KR102281395B1 - 교량용 점검시설 - Google Patents

교량용 점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395B1
KR102281395B1 KR1020210006512A KR20210006512A KR102281395B1 KR 102281395 B1 KR102281395 B1 KR 102281395B1 KR 1020210006512 A KR1020210006512 A KR 1020210006512A KR 20210006512 A KR20210006512 A KR 20210006512A KR 102281395 B1 KR102281395 B1 KR 10228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late
coupling
edg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정
Original Assignee
(주)승조이앤씨
김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승조이앤씨, 김은정 filed Critical (주)승조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006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점검시설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교각 또는 상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브라켓과 이 결합브라켓에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빔을 갖는 발판프레임, 복수 개의 지지빔에 걸쳐 지지되는 발판조립체, 지지빔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난간대, 발판조립체를 결합브라켓과 상기 난간대에 결속하는 결속부, 및 발판프레임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판을 따라 점검 가능하기 위한 종방향점검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발판조립체를 발판프레임에 조립시 볼팅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키고, 발판조립체를 이루는 개별적 발판을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암수 끼움 조립함으로써 조립성과 분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판조립체나 발판프레임에서 종방향점검통로를 연장하면서 종방향점검통로에 안전발판을 직접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설치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점검시설{CHECK EQUIPMENT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점검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조립체를 발판프레임에 조립시 볼팅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키고, 발판조립체를 이루는 개별적 발판을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암수 끼움 조립함으로써 조립성과 분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판조립체나 발판프레임에서 종방향점검통로를 연장하면서 종방향점검통로에 안전발판을 직접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설치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교량용 점검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그 안전성을 유지 보완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점검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 교량은 지상에서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의 높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교각 또는 교대 상부에 구비되는 교좌장치(일명, 탄성받침(SHOE)이라고도 한다)나 각종 교량구조물의 안전상태를 점검 보완하기 위해서는 교각 또는 교대 상부측에 이들을 점검하기 위한 교량점검대를 별도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교량점검대는 교량구조물 각 부위의 기능상태, 노후도, 결함 등의 확인점검과 유지보수 등 교량관리의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교량유지관리 시설물로서, 이는 교량 상부구조, 교좌장치, 교각 상부면의 균열, 파손 등의 점검 및 유지보수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교각이나 교대 상단 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작업자의 작업통로를 구성하는 작업발판 및 상기 작업발판과 함께 설치되는 안전난간을 포함하며, 이러한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을 교각에 부착시켜 지지할 수 있는 지지장치가 설치된다.
특히, 종래의 앵커식 교량점검대는 교량점검대를 교각에 설치하기 위하여 교량점검대를 앵커볼트로 교각 측면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특히, 기존 교량점검대를 설치하기 위해 지상 또는 교량의 방호벽에서 점검계단을 이용하여 앵커볼트 등과 같은 설치 작업이 실시된다.
관련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01-0000460호의 '교량용 점검대 설치용고정자켓 및 점검대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앵커식 교량점검대는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교량에 고정하였는데, 앵커볼트의 설치 불량이나 교량의 노후화 등으로 인해 앵커볼트가 교량에서 빠짐에 따라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교량점검대에 설치되는 발판프레임은 프레임 상에 단순히 발판을 이웃하게 배치 후, 각 발판을 프레임에 볼트 결합하여 제작함에 따라 설치 및 분해에 따른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교량점검대의 발판프레임은 교량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설치되는 점검계단과 연결하기 위해 난간발판을 별도로 설치해야 함에 따라 시공기간과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판조립체를 발판프레임에 조립시 볼팅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교량용 점검시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판조립체를 이루는 개별적 발판을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암수 끼움 조립함으로써 조립성과 분해성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교량용 점검시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판조립체나 발판프레임에서 종방향점검통로를 연장하면서 종방향점검통로에 안전발판을 직접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설치 기간과 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교량용 점검시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은: 교량의 교각 또는 상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브라켓과, 상기 결합브라켓에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빔을 갖는 발판프레임; 복수 개의 상기 지지빔에 걸쳐 지지되는 발판조립체; 상기 지지빔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난간대; 상기 발판조립체를 상기 결합브라켓과 상기 난간대에 결속하는 결속부; 및 상기 발판프레임 또는 상기 발판조립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판을 따라 점검 가능하기 위한 종방향점검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브라켓은, 상기 교각 또는 상기 상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서 상기 난간대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빔과 상기 발판조립체를 구속하는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빔은 축 방향을 따라 타측 가장자리에서 상측과 타측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끼움홈부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난간대는 상기 끼움홈부에 일대일 삽입된 채 상기 지지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조립체는, 상기 지지빔의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각각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빔에 대해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부는,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상기 지지빔의 일측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결합브라켓에 끼움 조립하는 제 1조립부;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상기 지지빔의 축 방향을 따라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끼리를 암수 결합하여 조립하는 제 2조립부; 및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상기 지지빔의 타측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난간대 측에 결속하는 제 3조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조립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결합브라켓 측 가장자리,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해당 레그에서 돌출되는 끼움돌부; 및 상기 리브에 함몰되어 대응되는 상기 끼움돌부를 수용함으로써 결속하는 끼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조립부는,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 중, 어느 한 플레이트의 상기 결합브라켓 측 가장자리, 또는 어느 한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해당 레그에서 돌출되는 끼움돌부; 및 다른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또는 다른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해당 레그에 함몰 형성되어, 대응되는 상기 끼움돌부를 슬라이드 수용하는 조립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3조립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난간대 측 가장자리,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해당 레그에 함몰 형성되는 조립홈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난간대 사이에 억지 끼움되는 스페이스블록; 및 상기 스페이스블록에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조립홈부에 수용되는 구속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종방향점검통로는, 상기 상판에 한 쌍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빔; 한 쌍의 상기 거치빔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빔; 상기 상판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연결빔에 지지되는 안전발판; 및 상기 거치빔을 상기 상판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빔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적어도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엣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거치빔은 대응되는 상기 엣지홈부에 삽입 후 상기 연결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브라켓; 상기 설치브라켓에서 마주하는 한 쌍으로 연장되는 조립브라켓; 및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조립브라켓 사이에 구비된 채 상기 조립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응되는 상기 거치빔을 수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라켓블록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발판조립체를 발판프레임에 조립시 볼팅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발판조립체를 이루는 개별적 발판을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암수 끼움 조립함으로써 조립성과 분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발판조립체나 발판프레임에서 종방향점검통로를 연장하면서 종방향점검통로에 안전발판을 직접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설치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발판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발판조립체의 발판프레임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종방향점검통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점검통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종방향점검통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발판조립체의 발판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발판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발판조립체의 발판프레임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종방향점검통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점검통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종방향점검통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10)용 점검시설(100)은 발판프레임(110), 발판조립체(120), 난간대(130), 결속부(200) 및 종방향점검통로(300)를 포함한다.
발판프레임(110)은 교량(10)의 교각(20) 또는 상판(30)에 고정 설치된 채 발판조립체(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발판프레임(110)은 교각(2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발판프레임(110)은 결합브라켓(111) 및 지지빔(112)을 포함한다.
결합브라켓(111)은 교각(20)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결합브라켓(111)은 교각(20)의 둘레면에 둘레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특히, 결합브라켓(111)은 결합부재(113) 및 리브(114)를 포함한다.
결합부재(113)는 교각(20)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결합부재(113)는 볼트(102)에 의해 교각(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재(113)는 평판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리브(114)는 결합부재(113) 각각에서 접한 상태의 교각(20)을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리브(114)는 적어도 한 쌍으로 연장 형성되고, 서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리브(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리브(114)는 지지빔(112)과 발판조립체(120)를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빔(112)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대응되는 결합브라켓(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발판조립체(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빔(112)은 일측 단부가 대응되는 결합브라켓(111)의 결합부재(113)에 접하고, 일측 양쪽 가장자리가 대응되는 리브(114)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접한 상태의 리브(114)와 지지빔(112)은 볼트(102)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편의상, 지지빔(112)은 단면상 사각 형상인 것으로 한다.
이때, 지지빔(112)은 강성을 갖도록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발판조립체(120)는 복수 개의 지지빔(112)에 걸쳐져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난간대(130)는 지지빔(112)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발판조립체(120)의 타측 가장자리를 구속하거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빔(112)은 축 방향을 따라 타측 가장자리에서 상측과 타측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끼움홈부(116)를 함몰 형성하고, 난간대(130)는 끼움홈부(116)에 일대일 삽입된 채 볼트(102)로써 지지빔(1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난간대(130)는 끼움홈부(116)에 안착되어 지지된 상태로 볼트(102)에 의해 지지빔(112)에 결속됨으로써, 난간대(130)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 아울러, 끼움홈부(116)가 타측 외측 방향으로 개방됨에 따라, 지지빔(112)의 축 방향으로 발판조립체(120)의 너비에 따라, 난간대(130)의 끼움홈부(116)에 대한 삽입 위치는 소정 조정이 가능하다.
이때, 이웃한 난간대(130)끼리는 안전봉(115)으로 연결된다. 안전봉(115)은 작업자가 발판조립체(120)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결속부(200)는 발판조립체(120)를 결합브라켓(111)과 난간대(130)에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발판조립체(120)는 플레이트(122) 및 레그(124)를 포함한다.
특히, 발판조립체(120)는 지지빔(112)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웃하게 배치된다. 그래서, 발판조립체(120)는 동일한 또는 규격화된 형상이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레이트(122)는 지지빔(112)의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 구비된다. 이때, 플레이트(122)는 지지빔(112)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축 방향의 길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플레이트(122)는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물, 눈 및 모래 등이 하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타공홀(123)을 통공한다.
또한, 레그(124)는 플레이트(122) 각각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지빔(112)에 대해 플레이트(12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레그(124)는 각 플레이트(122)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일측 가장자리 및 일측과 타측의 대략 중간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을 따라 형성된다. '일측'은 결합브라켓(111)을 향하는 가장자리이고, '타측'은 난간대(130)를 향하는 가장자리인 것으로 한다. 물론, 레그(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결속부(200)는 결합브라켓(111)이 발판조립체(120)와 지지빔(112)을 결속하는 제 1조립부(210), 발판조립체(120)의 이웃한 플레이트(122)끼리 끼움 조립되는 제 2조립부(220), 및 발판프레임(110)이 난간대(130)에 구속되는 제 3조립부(230)로 나뉜다.
즉, 제 1조립부(21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122) 중, 지지빔(112)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플레이트(122)를 결합브라켓(111)에 끼움 조립한다.
제 2조립부(22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122) 중, 지지빔(112)의 축 방향을 따라 이웃한 플레이트(122)끼리를 암수 결합하여 조립한다.
제 3조립부(23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122) 중, 지지빔(112)의 타측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플레이트(122)를 난간대(130) 측에 결속한다.
더욱 상세히, 제 1조립부(210)는 끼움돌부(212) 및 끼움부(214)를 포함한다.
끼움돌부(212)는 플레이트(122)의 결합브라켓(111) 측인 일측 가장자리, 또는 플레이트(122)의 일측 가장자리와 해당측의 레그(124)에서 각각 결합브라켓(111) 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끼움돌부(212)는 플레이트(122)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플레이트(122)의 일측 가장자리의 하부에 구비된 레그(124)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끼움부(214)는 리브(114)에 함몰되어 대응되는 끼움돌부(212)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일측 최외측의 플레이트(122)는 리브(114)에 단순 끼움되어 결속된다.
또한, 제 2조립부(220)는 끼움돌부(212) 및 조립홈부(216)를 포함한다.
끼움돌부(212)는 지지빔(112)의 축 방향을 따라, 이웃한 플레이트(122) 중, 어느 한 플레이트(122)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어느 한 플레이트(122)의 일측 가장자리와 해당 레그(124)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조립홈부(216)는 다른 플레이트(122)의 타측 가장자리, 또는 다른 플레이트(122)의 타측 가장자리와 해당 레그(124)에 함몰 형성되어, 대응되는 끼움돌부(212)를 슬라이드 수용한다. 이에 따라, 이웃한 플레이트(122)는, 레그(124)가 지지빔(112)에 접한 채, 슬라이드 이동되며 암수 끼움 조립된다.
이때, 양쪽 최외측의 플레이트(122)를 제외한, 플레이트(122)와 플레이트(122)의 일측에 구비되는 레그(124)는 끼움돌부(212)를 연장 형성하고, 플레이트(122)와 플레이트(122)의 타측에 구비되는 레그(124)는 조립홈부(216)를 형성한다.
또한, 제 3조립부(230)는 조립홈부(216), 스페이스블록(217) 및 구속돌부(218)를 포함한다.
조립홈부(216)는 플레이트(122)의 난간대(130) 측인 타측 가장자리, 또는 플레이트(122)의 타측 가장자리와 해당 레그(124)에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스페이스블록(217)은 해당 플레이트(122)와 난간대(130) 사이에 억지 끼움된다. 이때, 스페이스블록(217)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구속돌부(218)는 스페이스블록(217)에서 연장되어 대응되는 조립홈부(216)에 강제 수용된다.
이로써, 발판조립체(120)는 각각의 플레이트(122)를 지지빔(112)에 지지된 채 상호 슬라이드 끼움 조립함에 따라, 볼팅이 불필요하거나 최소화된다.
물론, 끼움돌부(212)와 구속돌부(218)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끼움부(214) 및 조립홈부(216)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제 1조립부(210)의 끼움돌부(212)와 제 2조립부(220)의 끼움돌부(212)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 2조립부(220)의 조립홈부(216)와 제 3조립부(230)의 조립홈부(216)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특히, 발판조립체(120)는 지지빔(112) 상에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122)를 조립 후, 플레이트(122)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끼리를 마감바(126)로써 캡핑(caping) 처리한다. 물론, 마감바(126)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자가 교량(10)의 상판(30)이나 상판(30)의 상부 가장자리의 방호벽에서 발판조립체(120)로 하향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판(30) 또는 방호벽에서 점검시설(100)로 연결되는 사다리(130)가 구비된다.
특히, 사다리(130)는 교각(20)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설치됨에 따라, 지지빔(112)과 발판조립체(120)가 특정 방향으로 연장되어야 한다. 발판조립체(120)의 플레이트(122)가 상호 끼움 조립되기 때문에, 발판조립체(120)의 확장 작업이 용이하다.
한편, 종방향점검통로(300)는 발판프레임(110) 또는 발판조립체(120)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판(30)을 따라 점검 가능하도록 작업자의 점검통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종방향점검통로(300)는 거치빔(310), 연결빔(320), 안전발판(320) 및 결합부(340)를 포함한다.
거치빔(310)은 상판(30)의 축 방향, 즉 차량이나 사람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판(30)에 한 쌍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거치빔(3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한 쌍의 거치빔(310)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보강하기 위해, 한 쌍의 거치빔(310)은 연결바(312)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바(3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연결빔(320)은 한 쌍의 거치빔(310)의 하측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연결빔(320)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적어도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엣지홈부(322)를 형성하고, 거치빔(310)은 대응되는 엣지홈부(322)에 삽입 후 볼트(102)에 의해 연결빔(3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엣지홈부(322)는, 끼움홈부(116)와 동일하게, 연결빔(320)의 상부방향과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연결빔(32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안전발판(320)은 상판(30)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연결빔(320)에 지지된다.
이때, 안전발판(320)은 상술한 발판조립체(120)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는, 안전발판(320)과 발판조립체(120)가 호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안전발판(320)의 한정구성은 발판조립체(120)의 한정구성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다만, 발판조립체(120)의 일측 최외측의 플레이트(122)는 결합브라켓(111)의 리브(114)에 끼워져 조립되지만, 안전발판(320)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의 거치빔(310) 사이의 연결빔(320)에 배치됨으로써, 마감블록(332)이 안전발판(320)의 일측 최외측의 플레이트(122)와 대응되는 거치빔(310) 사이에 억지 삽입된다. 이때, 마감블록(332)은 스페이스블록(217)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로써, 마감블록(332)에 대응되는 플레이트(122)는 마감블록(332)의 돌기를 수용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홈부를 형성한다.
또한, 결합부(340)는 거치빔(310)을 상판(30)에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결합부(340)는 설치브라켓(342), 조립브라켓(344) 및 브라켓블록(346)을 포함한다.
설치브라켓(342)은 상판(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설치브라켓(342)은 상술한 결합브라켓(111)의 결합부재(113)와 동일한 평판인 것으로 한다. 설치브라켓(342)은 볼트(102)에 의해 상판(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조립브라켓(344)은 설치브라켓(342)에서 마주하는 한 쌍으로 연장된다. 즉, 조립브라켓(344)은 상술한 결합브라켓(111)의 리브(114)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물론, 조립브라켓(344)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브라켓블록(346)은 마주하는 한 쌍의 조립브라켓(344) 사이에 구비된 채 볼트(102)에 의해 조립브라켓(34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응되는 거치빔(310)을 축 삽입하여 수용한다. 이때, 조립브라켓(344)에 삽입된 거치빔(310)은 볼트(102)에 의해 조립브라켓(344)에 함께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
특히, 브라켓블록(346)은 상부가 막힌 관 형상의 덕트(347), 및 덕트(347)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면 각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윙(348)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덕트(347)는 거치빔(310)을 삽입하여 면접되도록 거치빔(31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인 것으로 하고, 윙(348)은 대응되는 조립브라켓(344)에 접하여 덕트(347)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덕트(347)의 굵기나 부피를 줄일 수 있음에 따라, 브라켓블록(346)의 제조단가가 줄어든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발판조립체의 발판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시설의 발판프레임(110)은 결합브라켓(111) 및 지지빔(112)을 포함한다.
결합브라켓(111)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지지빔(112)은 사각형 형상의 바디(117), 및 바디(117)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118)를 포함한다.
이때, 플랜지(118)는 각각 대향하는 리브(114)에 접하여 리브(114)를 지지한다.
아울러, 바디(117)의 상부 양측의 플랜지(118)는 바디(117)의 상측면과 동일 높이로 이루어짐에 따라, 레그(124)는 평면적이 넓어진 지지빔(112)의 상측면에 안정적으로 접하게 된다.
물론, 지지빔(112)은 양측면이 대향하는 리브(114)에 접하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지지빔(112)의 제작단가가 증가함에 따라, 지지빔(112)은 바디(117)와 플랜지(11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조립브라켓(344) 간의 간격이 거치빔(310)의 굵기보다 클 경우, 대향하는 조립브라켓(344)과 거치빔(310) 사이의 공간은 브라켓블록(346)이 차지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교량 20: 교각
100: 점검시설 102: 볼트
111: 결합브라켓 112: 지지빔
113: 결합부재 114: 리브
116: 끼움홈부 117: 바디
118: 플랜지 120: 발판조립체
122: 플레이트 124: 레그
126: 마감바 130: 난간대
200: 결속부 210: 제 1조립부
220: 제 2조립부 230: 제 3조립부
300: 종방향점검통로 310: 거치빔
320: 연결빔 322: 엣지홈부
330: 안전발판 332: 마감블록
340: 결합부 342: 설치브라켓
344: 조립브라켓 346: 브라켓블록

Claims (11)

  1. 교량의 교각 또는 상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브라켓과, 상기 결합브라켓에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빔을 갖는 발판프레임; 복수 개의 상기 지지빔에 걸쳐 지지되는 발판조립체; 상기 지지빔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난간대; 및 상기 발판조립체를 상기 결합브라켓과 상기 난간대에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브라켓은, 상기 교각 또는 상기 상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서 상기 난간대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빔과 상기 발판조립체를 구속하는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빔은 축 방향을 따라 타측 가장자리에서 상측과 타측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끼움홈부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난간대는 상기 끼움홈부에 일대일 삽입 후 위치 조정된 상태로 바닥에 안착된 채 상기 지지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판조립체는, 상기 지지빔의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각각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빔에 대해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상기 지지빔의 일측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결합브라켓에 끼움 조립하는 제 1조립부; 및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상기 지지빔의 타측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난간대 측에 결속하는 제 3조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조립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결합브라켓 측 가장자리,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해당 레그에서 돌출되는 끼움돌부; 및 상기 리브에 함몰되어 대응되는 상기 끼움돌부를 수용함으로써 결속하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조립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난간대 측 가장자리,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해당 레그에 함몰 형성되는 조립홈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난간대 사이에 억지 끼움되는 스페이스블록; 및 상기 스페이스블록에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조립홈부에 수용되는 구속돌부를 포함하여,
    상기 끼움부가 대응되는 상기 끼움돌부를 수용하고, 상기 구속돌부가 상기 스페이스블록에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조립홈부에 강제 수용됨으로써, 상기 발판조립체는 상기 지지빔에 지지된 채 슬라이드 이동하며 볼팅 조립이 생략되며 상기 리브와 상기 난간대에 조립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점검시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상기 지지빔의 축 방향을 따라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끼리를 암수 결합하여 조립하는 제 2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점검시설.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조립부는,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 중, 어느 한 플레이트의 상기 결합브라켓 측 가장자리, 또는 어느 한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해당 레그에서 돌출되는 끼움돌부; 및
    다른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또는 다른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해당 레그에 함몰 형성되어, 대응되는 상기 끼움돌부를 슬라이드 수용하는 조립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점검시설.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프레임 또는 상기 발판조립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판을 따라 점검 가능하기 위한 종방향점검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점검시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점검통로는,
    상기 상판에 한 쌍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빔;
    한 쌍의 상기 거치빔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빔;
    상기 상판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연결빔에 지지되는 안전발판; 및
    상기 거치빔을 상기 상판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점검시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빔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적어도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엣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거치빔은 대응되는 상기 엣지홈부에 삽입 후 상기 연결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점검시설.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브라켓;
    상기 설치브라켓에서 마주하는 한 쌍으로 연장되는 조립브라켓; 및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조립브라켓 사이에 구비된 채 상기 조립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응되는 상기 거치빔을 수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라켓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점검시설.
KR1020210006512A 2021-01-18 2021-01-18 교량용 점검시설 KR102281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12A KR102281395B1 (ko) 2021-01-18 2021-01-18 교량용 점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12A KR102281395B1 (ko) 2021-01-18 2021-01-18 교량용 점검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395B1 true KR102281395B1 (ko) 2021-07-26

Family

ID=7712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512A KR102281395B1 (ko) 2021-01-18 2021-01-18 교량용 점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679B1 (ko) * 2023-04-14 2023-08-08 (주)승조이앤씨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강형 점검발판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579A (ko) * 2013-02-04 2014-08-13 주식회사 무한건설 조립형 바닥판
KR101911043B1 (ko) * 2018-04-16 2018-10-23 주식회사 부영물산 교량용 점검대
KR200491809Y1 (ko) * 2019-02-14 2020-06-09 진효순 교량 점검통로
KR102235163B1 (ko) * 2020-07-28 2021-04-01 김은정 교각 설치용 교량점검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579A (ko) * 2013-02-04 2014-08-13 주식회사 무한건설 조립형 바닥판
KR101911043B1 (ko) * 2018-04-16 2018-10-23 주식회사 부영물산 교량용 점검대
KR200491809Y1 (ko) * 2019-02-14 2020-06-09 진효순 교량 점검통로
KR102235163B1 (ko) * 2020-07-28 2021-04-01 김은정 교각 설치용 교량점검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679B1 (ko) * 2023-04-14 2023-08-08 (주)승조이앤씨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강형 점검발판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4430B1 (en) Peripheral slab formwork system
US8919727B2 (en) Elevated floor and ceiling slab formwork system
CN109415188B (zh) 对自动扶梯或移动步道进行现代化改装的方法
US20100090088A1 (en) Ceiling joist formwork with automatic stripping of the inner board
KR20090028716A (ko) 건축 현장에 사용하기 위한 계단
KR20130027819A (ko)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
KR102281395B1 (ko) 교량용 점검시설
KR200490153Y1 (ko)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KR20170009192A (ko) 공장제작형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박스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KR102464479B1 (ko)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
KR100381724B1 (ko) 교각 점검대
KR102210981B1 (ko) 교량용 점검로
JP6590512B2 (ja) 階段仮設足場
KR101138805B1 (ko) 안전 작업대유닛
KR100278830B1 (ko) 교각두부 시설용 안전작업대
CN113089831A (zh) 一种高性能阻尼梁柱榫卯结构及其制作方法
KR20070099375A (ko) 돌출 리브를 이용한 교량 점검통로 결합구조
KR102537075B1 (ko) 교량용 주탑의 거치식 내부점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JP2020133301A (ja) 点検路
KR20210090400A (ko) 접철식 난간기초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교량점검용 난간
CN113802872B (zh) 一种用于钢结构桁架安装的活动防护通道
KR100693482B1 (ko) 조립식 교량점검대
KR102401684B1 (ko)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상이 발휘되는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복합 이종소재 난간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