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192A - 공장제작형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박스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장제작형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박스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192A
KR20170009192A KR1020150100844A KR20150100844A KR20170009192A KR 20170009192 A KR20170009192 A KR 20170009192A KR 1020150100844 A KR1020150100844 A KR 1020150100844A KR 20150100844 A KR20150100844 A KR 20150100844A KR 20170009192 A KR20170009192 A KR 20170009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box
shaped steel
steel gir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587B1 (ko
Inventor
정해용
Original Assignee
(주)지아이건설
정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아이건설, 정해용 filed Critical (주)지아이건설
Priority to KR1020150100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5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시공방법은 교대 또는 교각에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를 거치하는 박스형 강재거더 거치단계;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데크(100)를 준비하는 데크준비단계;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에 선행하중이 작용하도록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하부에 상기 데크(100)를 설치하는 데크설치단계; 상기 데크(100)를 작업대로 이용하여 상기 바닥판(1)의 설치를 위한 거푸집(A)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상기 거푸집(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바닥판(1)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 및 상기 데크(100)를 제거하여 상기 교량에 상향력을 도입하는 데크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유압장치나 발전장치 없이 박스형 강재거더와 바닥판이 합성된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상향력의 하중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고공작업을 수행함은 물론 현장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장제작형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박스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TEMPORARY PRESTRESS DECK FOR STEEL BRIDGE.}
본 발명은 토목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장제작형의 콘크리트 데크를 박스형 강재거더의 하부에 설치하여 선행하중을 도입하는 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교량은 교각과 교대의 설치 후, 거더를 거치하고,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에 의해 시공된다.
거더 상부의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고, 거푸집 설치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거푸집을 설치 고정할 수 있는 작업대가 설치되어야 한다.
작업대는 거더의 하부에 임시적으로 강관 파이프와 발판이 결합한 구조로 설치되고, 바닥판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과 함께 해체된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대는 설치와 철거가 복잡한 구조이기 때문에 공정시간이 길어지고, 설치와 철거시 강재거더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도장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강재거더에 선행하중을 도입하기 위하여 강재거더에 콘크리트 합성부를 형성한 후 콘크리트 합성부에 강연선을 설치해 강연선을 긴장하거나, 강재거더에 휨변형을 가하고, 그 휨변형을 구속하는 구속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선행하중을 도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모두 I형 강재거더에 관한 선행하중 도입 방법으로 강박스 거더에 선행하중을 도입하는 효율적인 공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대형 유압장비와 발전기 없이 박스형 강재거더의 하부에 공장제작된 콘크리트 데크를 설치하여 선행하중을 도입하는 방법으로서, 바닥판과 박스형 강재거더가 합성된 후 콘크리트 데크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박스형 강재거더와 바닥판이 합성된 상부구조물에 상향력의 하중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박스형 강재거더의 하부에 결합되는 데크는 거푸집 설치와 기타 작업을 위한 작업대로 사용되어 안전한 고공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박스형 강재거더(300) 및 바닥판(1)을 구비한 교량의 시공방법으로서 본 발명은 교대 또는 교각에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를 거치하는 박스형 강재거더 거치단계,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데크(100)를 준비하는 데크준비단계,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에 선행하중이 작용하도록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하부에 상기 데크(100)를 설치하는 데크설치단계, 상기 데크(100)를 작업대로 이용하여 상기 바닥판(1)의 설치를 위한 거푸집(A)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상기 거푸집(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바닥판(1)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 및 상기 데크(100)를 제거하여 상기 교량에 상향력을 도입하는 데크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는 하부플랜지(330), 상기 하부플랜지(33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한 쌍의 웹(320), 상기 웹(32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플랜지(310), 한 쌍의 상기 웹(320)의 외측 하부에 각각 결합된 하부고정부(321) 및 상기 하부고정부(321)의 설치위치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상부고정부(3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고정부(321)와 상기 상부고정부(322)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종방향으로 고정부홀(323)이 형성되도록 상기 웹(3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크(100)의 폭은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폭 보다 크고, 상기 데크(100)의 가장자리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크(100) 가장자리부의 상면에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와 연결되도록 연결부(11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횡방향으로 관통공(130)이 형성되도록 상기 데크(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횡방향을 따라 열지어 결합된 내측연결부(111)와 외측연결부(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연결부(111)는 결합부재(500)에 의해 상기 하부고정부(321)와 결합되고, 상기 외측연결부(112)는 결합부재(500)에 의해 상기 상부고정부(322)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와 상기 데크(100)는 복수가 설치되고,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의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에는 복수의 상기 데크(100)가 결합한 데크조립체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량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는 복수가 설치되고, 하나의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에는 상기 하나의 데크 조립체가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데크 조립체는 서로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상기 데크(100)의 측면부에는 복수의 상기 데크(100)가 결합하기 위한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상기 데크(100)는 결합부재(120)에 의해 결속되고, 상기 결합부재(120)는 복수의 상기 데크(100)의 결합면의 인접한 상면부에 각각 돌출 결합된 한 쌍의 결합볼트(121), 및 상기 한 쌍의 결합볼트(121)에 끼워지도록 한 쌍의 결합공(123)을 구비한 결합플레이트(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결합공(123)중 하나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폭방향으로 긴 장공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횡방향으로 긴 장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크(10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안전난간(20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사이 구간에 위치한 상기 데크(100)의 상기 내측연결부(111)와 상기 외측연결부(112)의 상기 관통공(120)에는 지지봉(600)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봉(600)은 상기 관통공(120)에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됨과 아울러,이웃하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양 상기 하부플랜지(33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박스형 강재거더의 하부에 결합되는 데크를 활용하여 교량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바닥판 거푸집공정의 작업대로 이용함과 아울러, 박스형 강재거더에 하향력의 선행하중을 도입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유압장치나 발전장치 없이 박스형 강재거더와 바닥판이 합성된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상향력의 하중을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고공작업을 수행함은 물론 현장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가 설치된 교량 상부구조물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 설치된 상부구조물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거더에 데크가 결합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가 설치되기 이전의 거더와 데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거더 및 바닥판 콘크리트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결합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시공방법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의 시공방법은 교대 또는 교각에 박스형 강재거더(300)를 거치하는 박스형 강재거더 거치단계,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데크(100)를 준비하는 데크준비단계, 박스형 강재거더(300)에 선행하중이 작용하도록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하부에 데크(100)를 설치하는 데크설치단계, 데크(100)를 작업대로 이용하여 바닥판(1)의 설치를 위한 거푸집(A)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거푸집(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바닥판(1)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 및 데크(100)를 제거하여 교량에 상향력을 도입하는 데크제거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교량은 거더제작시 선행하중을 도입하고, 선행하중이 도입된 거더를 교대 또는 교각에 거치한 후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에 의해 시공된다.
강재거더의 경우, 강재거더에 콘크리트 합성부를 형성하고 콘크리트 합성부에 강연선을 설치해 강연선을 긴장하여 선행하중을 도입하거나, 강재거더에 휨변형을 가하고, 그 휨변형을 구속하는 구속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선행하중을 도입한다.
그러나 위 방법은 모두 I형 강재거더에 관한 선행하중 도입 방법으로서, 현재 강박스 거더에 선행하중을 도입하는 효율적인 공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박스형 강재거더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공장제작된 데크를 설치하고, 바닥판과 박스형 강재거더가 합성된 이후에 데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선행하중을 도입한다.
이 경우, 각각의 박스형 강재거더에 설치된 데크조립체의 자중이 박스형 강재거더에 선행하중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유압장비가 필요없고, 바닥판과 박스형 강재거더가 합성된 이후에 데크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상부구조물(박스형 강재거더+바닥판) 전체에 상향력을 도입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상향력을 도입하기 위해 설치된 데크는 거푸집공을 위한 작업대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고공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박스형 강재거더는 개구재형 강재거더와 박스형 강재거더를 포함한다.
박스형 강재거더(300)는 하부플랜지(330), 하부플랜지(33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한 쌍의 웹(320), 웹(32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플랜지(310), 한 쌍의 웹(320)의 외측 하부에 각각 결합된 하부고정부(321) 및 하부고정부(321)의 설치위치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상부고정부(3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정부(321,322)는 박스형 강재거더의 웹(320)에 이격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각각 독립적인 결합구조를 갖으면서 하부고정부와 상부고정부로 데크자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하부고정부(321)와 상부고정부(322)는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종방향으로 고정부홀(323)이 형성되도록 웹(3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크를 지지하는 고정부(321,322)에는 하방향과 외측방향으로 데크의 무게만큼의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고정부(321,322)는 고정부홀(323)이 박스형 강재거더의 종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웹에 결합되기 때문에 데크 자중으로 인한 하방향과 외측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도 4 참고)
데크(100)의 폭은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폭 보다 크고, 데크(100)의 가장자리는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데크의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작업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데크의 돌출부에서 결합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데크(100) 가장자리부의 상면에는 박스형 강재거더(300)와 연결되도록 연결부(11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의 고정부(321,322)가 데크 가장자리부의 상면에 설치된 연결부에 각각 결합하기 때문에 데크와 박스형 강재거더의 결합은 복수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데크 가장자리부의 상면부에만 연결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가장자리부의 상면부에서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연결부(110)는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횡방향으로 관통공(130)이 형성되도록 데크(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결부(110)는 관통공(130)이 박스형 강재거더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데크에 구속되기 때문에 연결부의 일측으로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하중에 저항하게 된다.
연결부(110)는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횡방향을 따라 열지어 결합된 내측연결부(111)와 외측연결부(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데크는 크기와 자중에 따라 복수의 연결부(110)를 결합하여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21,322)와 각각 대응되는 연결부(110)가 열지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력을 극대화 시키고, 작업공간의 확보를 최대화할 수 있다.
내측연결부(111)는 결합부재(500)에 의해 하부고정부(321)와 결합되고, 외측연결부(112)는 결합부재(500)에 의해 상부고정부(322)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측연결부(111)와 외측연결부하부(112)가 열지어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부재는 서로 간섭하지 않고 안정적인 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는 데크와 박스형 강재거더를 사선으로 연결하는 결합구조이기 때문에 한 쌍의 데크가 서로 결합되는 박스형 강재거더의 사이 구간에도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고,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해 진다.(도 3참고)
박스형 강재거더(300)와 데크(100)는 복수가 설치되고,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의 박스형 강재거더(300)에는 복수의 데크(100)가 결합한 데크조립체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박스형 강재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데크가 조립식으로 설치되고 철거되기 때문에 공장제작된 데크의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고, 대형장비가 아닌 소형장비로 데크를 시공할 수 있다.
교량의 폭방향을 따라 박스형 강재거더(300)는 복수가 설치되고, 하나의 박스형 강재거더(300)에는 하나의 데크 조립체가 설치되며, 복수의 데크 조립체는 서로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의 박스형 강재거더로 형성된 교량에 있어서 각각의 박스형 강재거더에는 동일한 하중의 데크조립체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선행하중의 도입이 가능하다.
또한,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데크는 서로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고공작업시 진동과 처짐으로부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데크(100)의 측면부에는 복수의 데크(100)가 결합하기 위한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데크와 데크의 결합면이 단차구조로 결합되기 때문에 데크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작업자에 의한 진동과 거푸집설치에 따른 데크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고공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복수의 데크(100)는 결합부재(120)에 의해 결속되고, 결합부재(120)는 복수의 데크(100)의 결합면의 인접한 상면부에 각각 돌출 결합된 한 쌍의 결합볼트(121) 및 한 쌍의 결합볼트(121)에 끼워지도록 한 쌍의 결합공(123)을 구비한 결합플레이트(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데크는 상면에서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일체화되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한 데크의 결합공정이 용이하다.
또한, 데크는 결합볼트(121)가 설치된 상태로 박스형 강재거더에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부재를 이용한 데크간의 결합을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공(123)중 하나는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폭방향으로 긴 장공이고, 다른 하나는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횡방향으로 긴 장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결합공은 서로 방향을 달리하는 장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데크의 시공오차 및 결합볼트(121)의 시공 오차가 발생하여도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데크(10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안전난간(20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공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난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복수의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사이 구간에 위치한 데크(100)의 내측연결부(111)와 외측연결부(112)의 관통공(120)에는 지지봉(600)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로 설치되는 박스형 강재거더의 사이 구간에는 결합부재(500)와 함께 연결부(111)의 관통공(120)에 지지봉(600)을 추가로 끼워 설치하기 때문에 결합부재의 파단에도 데크가 탈락하지 않는다.
지지봉(600)은 관통공(120)에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됨과 아울러, 이웃하는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양 하부플랜지(33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봉은 관통공에 끼워져 별도의 지지장치 없이 박스형 강재거더의 양 하부플랜지에 의해 지지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지봉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 : 거푸집 1 : 바닥판
100 : 데크 110 : 연결부
111 : 내측연결부 112 : 외측연결부
120 : 결합부재 121 : 결합볼트
122 : 결합플레이트 123 : 결합공
130 : 관통공 200 : 안전난간
300 : 박스형 강재거더 310 : 상부플랜지
320 : 웹 321 : 하부고정부
322 : 상부고정부 330 : 하부플랜지
500 : 결합부재 600 : 지지봉

Claims (16)

  1. 박스형 강재거더(300) 및 바닥판(1)을 구비한 교량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대 또는 교각에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를 거치하는 박스형 강재거더 거치단계;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데크(100)를 준비하는 데크준비단계;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에 선행하중이 작용하도록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하부에 상기 데크(100)를 설치하는 데크설치단계;
    상기 데크(100)를 작업대로 이용하여 상기 바닥판(1)의 설치를 위한 거푸집(A)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상기 거푸집(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바닥판(1)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 및
    상기 데크(100)를 제거하여 상기 교량에 상향력을 도입하는 데크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는
    하부플랜지(330);
    상기 하부플랜지(33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한 쌍의 웹(320);
    상기 웹(32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플랜지(310);
    한 쌍의 상기 웹(320)의 외측 하부에 각각 결합된 하부고정부(321); 및
    상기 하부고정부(321)의 설치위치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상부고정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321)와 상기 상부고정부(322)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종방향으로 고정부홀(323)이 형성되도록 상기 웹(3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100)의 폭은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폭 보다 크고, 상기 데크(100)의 가장자리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100) 가장자리부의 상면에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와 연결되도록 연결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횡방향으로 관통공(130)이 형성되도록 상기 데크(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횡방향을 따라 열지어 결합된 내측연결부(111)와 외측연결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결부(111)는 결합부재(500)에 의해 상기 하부고정부(321)와 결합되고, 상기 외측연결부(112)는 결합부재(500)에 의해 상기 상부고정부(322)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와 상기 데크(100)는 복수가 설치되고,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의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에는 복수의 상기 데크(100)가 결합한 데크조립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는 복수가 설치되고, 하나의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에는 상기 하나의 데크 조립체가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데크 조립체는 서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데크(100)의 측면부에는
    복수의 상기 데크(100)가 결합하기 위한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데크(100)는
    결합부재(120)에 의해 결속되고, 상기 결합부재(120)는 복수의 상기 데크(100)의 결합면의 인접한 상면부에 각각 돌출 결합된 한 쌍의 결합볼트(121); 및 상기 한 쌍의 결합볼트(121)에 끼워지도록 한 쌍의 결합공(123)을 구비한 결합플레이트(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공(123)중 하나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폭방향으로 긴 장공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횡방향으로 긴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10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안전난간(2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사이구간에 위치한 상기 데크(100)의 상기 내측연결부(111)와 상기 외측연결부(112)의 상기 관통공(120)에는 지지봉(60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600)은 상기 관통공(120)에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됨과 아울러,이웃하는 상기 박스형 강재거더(300)의 양 상기 하부플랜지(33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시공방법.
KR1020150100844A 2015-07-16 2015-07-16 공장제작형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박스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KR10182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44A KR101825587B1 (ko) 2015-07-16 2015-07-16 공장제작형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박스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44A KR101825587B1 (ko) 2015-07-16 2015-07-16 공장제작형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박스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192A true KR20170009192A (ko) 2017-01-25
KR101825587B1 KR101825587B1 (ko) 2018-02-05

Family

ID=5799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844A KR101825587B1 (ko) 2015-07-16 2015-07-16 공장제작형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박스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5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4210A (zh) * 2018-07-20 2018-11-16 中交路桥华南工程有限公司 桥梁支架的预压方法
CN109577169A (zh) * 2019-01-28 2019-04-05 福州大学 一种基于钢结构横向联结系的装配式混凝土箱形梁结构与施工方法
CN113123232A (zh) * 2021-04-13 2021-07-16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拼宽桥刚性拼接接头结构
CN114775450A (zh) * 2022-06-20 2022-07-22 山西临汾市政工程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钢箱梁的建筑辅助模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718A (ja) * 1999-11-22 2001-05-29 Kawaju Koji Kk 橋梁床版張出部移動支保工構造
JP3602479B2 (ja) * 2001-01-09 2004-12-15 Jfe工建株式会社 橋梁床版用型枠の取付構造
JP4407306B2 (ja) * 2004-02-17 2010-02-03 株式会社Ihi 吊り足場の組立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4210A (zh) * 2018-07-20 2018-11-16 中交路桥华南工程有限公司 桥梁支架的预压方法
CN109577169A (zh) * 2019-01-28 2019-04-05 福州大学 一种基于钢结构横向联结系的装配式混凝土箱形梁结构与施工方法
CN109577169B (zh) * 2019-01-28 2024-02-06 福州大学 一种基于钢结构横向联结系的装配式混凝土箱形梁结构与施工方法
CN113123232A (zh) * 2021-04-13 2021-07-16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拼宽桥刚性拼接接头结构
CN113123232B (zh) * 2021-04-13 2024-01-23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拼宽桥刚性拼接接头结构
CN114775450A (zh) * 2022-06-20 2022-07-22 山西临汾市政工程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钢箱梁的建筑辅助模板
CN114775450B (zh) * 2022-06-20 2022-09-09 山西临汾市政工程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钢箱梁的建筑辅助模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587B1 (ko) 201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886B1 (ko)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KR101825587B1 (ko) 공장제작형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박스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US20160251853A1 (en) Concrete deck for an integrated building system assembly platform
JP2007016594A (ja) 合成パネル構造およびパネル橋梁構造ならびに連続合成桁橋の施工方法
JP201952600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床システム、および建築方法
JP2020105803A (ja) 斜張橋、および斜張橋の架設方法
KR101665482B1 (ko) 무지보 연속화를 통한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장경간 교량 시공방법
KR101432087B1 (ko) 프리플렉스 빔과 수평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및 그의 시공방법
CN113668370B (zh) 一种预制装配式桥墩及其施工方法
KR101765845B1 (ko) 공장 제작된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i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101335382B1 (ko) 내부힌지를 활용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시공법
KR101845717B1 (ko)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404481B1 (ko) 거더 제작이 협소한 곳에서의 복공판을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JP5318293B1 (ja) 連続桁橋とその施工方法
KR102085928B1 (ko) 스플라이스 파일캡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4585614B1 (ja)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KR101256774B1 (ko) Psc 거더의 전도 방지 및 지점부 연속화를 위한 단부 가로보의 일체 시공 방법
KR20080099061A (ko) Psc 교량의 psc 빔 연결용 강가로보
JP6435120B2 (ja) 仮橋構造
JP6286737B2 (ja) 床版パネルの固定構造
JP2022120437A (ja) 移動構台を用いた構造物のスライド工法
KR100701197B1 (ko) 해체 및 층고 절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시스템
KR20180135656A (ko)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140070700A (ko)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