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764A -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764A
KR20210086764A KR1020190177656A KR20190177656A KR20210086764A KR 20210086764 A KR20210086764 A KR 20210086764A KR 1020190177656 A KR1020190177656 A KR 1020190177656A KR 20190177656 A KR20190177656 A KR 20190177656A KR 20210086764 A KR20210086764 A KR 20210086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vehicle
window
control uni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최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77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6764A/ko
Publication of KR2021008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sola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및 방법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조도 및 온도를 측정하여, 실내 온도가 상승하면 1차적으로 차량의 선루프를 닫도록 동작시키고, 차량의 앞 유리창에 설치된 선바이저를 펼치며, 차량의 후방 유리창의 커튼을 동작시켜 햇빛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낮춘다. 그래도, 실내 온도가 상승하면 차량의 창문을 개방하여 실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고, 그래도 차량 실내 온도가 상승하면 사전에 정의된 시간동안 차량의 공조기를 동작시켜 차량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 온도를 낮춘다. 이렇게, 본 발명은 조도와 온도에 따라서 기존에 차량에 설치된 장치들을 동작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및 방법{Tempa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실내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더운 날씨에 외부에 차량 주차시 강한 빛(태양)의 열기가 전도되어 차량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온도 30℃ 환경에서 양지에 30분간 차량을 방치할 때, 차량 내부의 온도는 90℃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시동을 끄고 사람이 차량 실내에 있을 경우, 열사병 및 질식사의 위험성이 있으며, 운전자가 차량 운행을 위해 곧바로 차량에 탑승하여 운전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뜨거운 열기에 의해 불쾌감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차량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면, 차량 내부에 설치된 블랙박스, 네비게이션과 같은 전자제품의 오동작 및 고장이 발생할 수 있고, 차량 내에 방치된 인화성 물체는 폭발의 위험마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사용자들은 주차시에 차량의 창문을 조금 열어두거나, 전면 유리창에 직사 광선을 피하기 위한 가림막을 설치하는 정도의 대책을 세우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실내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은, 차량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여 실내 온도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 차량의 실내 조도를 측정하여 실내 조도를 출력하는 조도 센서; 차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조사하여 배터리 충전 정보를 출력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 및 배터리 충전 정보, 실내 온도 및 실내 조도에 따라서, 차량으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차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차량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스마트 온도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기는, 선바이저가 펼쳐짐으로써 전방 유리창을 통해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도록, 차량 전방에 설치된 선바이저를 제어하는 선바이저 제어부; 후방 유리창 커튼을 동작시켜 후방 유리창을 통해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도록 후방 유리창 전동 커튼을 제어하는 후방 유리창 커튼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전압 임계치 이상이고, 실내 조도가 조도 임계치 이상이며, 실내 온도가 제 1 온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선바이저 제어부 및 상기 후방 유리창 커튼 제어부를 활성화시키고,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선바이저 및 후방 유리창 커튼을 동작시켜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기는, 선루프를 통해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도록 선루프를 제어하는 선루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전압 임계치 이상이고, 실내 조도가 조도 임계치 이상이며, 실내 온도가 제 1 온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선루프 제어부를 더 활성화시키고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선루프를 닫도록 동작시킴으로써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기는, 윈도우의 개폐를 제어하는 윈도우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실내 온도가 더 상승하여 상기 제 1 온도 임계치보다 더 높은 제 2 온도 임계치 이상이 되면, 실내 공기를 외부로 자연 방출하기 위해서 상기 윈도우 제어부를 활성화시키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윈도우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비가 오는지 여부를 측정하여 강우 정보를 출력하는 레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제어부를 활성화시키기 전에, 강우 정보를 확인하고,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 상기 윈도우 제어부를 활성화시키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윈도우를 개방하고, 윈도우를 개방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강우 정보를 조사하여 비가 오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윈도우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개방된 윈도우를 모두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상기 전압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윈도우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개방된 윈도우를 모두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기는, 공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조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실내 온도가 더 상승하여 상기 제 2 온도 임계치보다 더 높은 제 3 온도 임계치 이상이 되면, 상기 공조기 제어부를 활성화시키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사전에 정의된 시간 동안 공조기를 동작시켜 차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은 상기 선바이저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바이저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바이저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선바이저 제어부가 활성화되어 선바이저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온도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온도 제어 방법은, (a)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 시스템이 차량 내부 조도를 확인하여, 차량 내부 조도가 조도 임계치 이상이면, 차량의 배터리 충전 전압이 전압 임계치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 (b) 차량의 배터리 충전 전압이 상기 전압 임계치 이상이면, 실내 온도가 제 1 온도 임계치 이상인지 확인하여, 실내 온도가 상기 제 1 온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선바이저 및 후방 유리창 커튼을 동작시켜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및 (c) 차량의 실내 온도가 더 상승하여 제 2 온도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온도 임계치 이상이면, 차량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창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 방법은, (d) 차량의 실내 온도가 더 상승하여 제 3 온도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3 온도 임계치 이상이면, 사전에 정의된 시간 동안 공조기를 동작시켜 차량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차량의 배터리 충전 전압이 상기 전압 임계치 미만이면, 차량의 창문이 개방된 상태인지 확인하고, 개방된 창문을 모두 닫고 차량 실내 온도 조절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 시스템은 선루프를 동작시켜 선루프를 통해서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 시스템은 레인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강우 정보에 따라서 비가 오는지 확인하고, 비가 오지 않으면 창문을 개방하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현재 창문 상태를 확인하여 개방된 창문을 닫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조도 및 온도를 측정하여, 실내 온도가 상승하면 1차적으로 차량의 선루프를 닫도록 동작시키고, 차량의 앞 유리창에 설치된 선바이저를 펼치며, 차량의 후방 유리창의 커튼을 동작시켜 햇빛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낮춘다.
그래도, 실내 온도가 상승하면 차량의 창문을 개방하여 실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고, 그래도 차량 실내 온도가 상승하면 사전에 정의된 시간동안 차량의 공조기를 동작시켜 차량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 온도를 낮춘다.
이렇게, 본 발명은 조도와 온도에 따라서 기존에 차량에 설치된 장치들을 동작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온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은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 차량 실내에 설치되어 차량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1), 차량 실내에 설치되어 차량 실내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13) 및 현재 비가 내리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레인 센서(12)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선바이저를 조작할 수 있도록하는 선바이저 스위치(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는 메인 제어부(160), 차량의 창문(310) 개폐를 제어하는 윈도우 제어부(110), 차량의 선루프(320) 개폐를 제어하는 선루프 제어부(120), 차량의 공조기(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조기 제어부(130), 차량 전면 유리창에 설치된 선바이저(340)를 제어하는 선바이저 제어부(140), 및 차량의 후방 유리창에 설치된 커튼을 전동으로 제어하는 후방 유리창 커튼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에 포함된 각각의 제어부들은 메인 제어부(160)에 의해서 활성화되어 동작하고, 메인 제어부(160)는 온도 센서(11), 조도 센서(13), 및 레인 센서(12)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이 필요한 제어부들을 활성화한다. 이하, 각 제어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의 메인 제어부(160)는 온도 센서(11), 조도 센서(13) 및 레인 센서(12)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정보에 따라서 동작이 필요한 제어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각 제어부들로 하여금 본 발명의 온도 조절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160)는 배터리 모니터링부(40)로부터 차량의 SoC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배터리(3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차량 배터리(30)의 충전 전압이 10V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한 제어부들을 활성화시키고, 차량의 배터리(30) 충전 전압이 10V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윈도우 제어부(110)를 활성화시켜 창문(310) 개방 여부를 확인한 후, 개방된 창문(310)이 있으면 창문(310)을 닫고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하고, 모든 창문(310)이 닫혀 있으면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한다. 메인 제어부(160)는 배터리(30)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배터리(30)의 충전 전압이 10V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제어부들을 비활성화시켜 배터리(30) 방전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가 구동되면, 메인 제어부(160)는 먼저 차량내 실내 조도와 차량 실내 온도를 확인하고, 차량내의 햇빛 유입과 관련된 제어부들로 하여금 각 제어부들이 제어하는 대상의 상태를 확인하여 햇빛을 차단 동작을 실행하도록 한다.
먼저, 실내 조도가 500Lux 이상이고, 차량 실내 온도가 40도 이상이면, 메인 제어부(160)는 후방 유리창 커튼 제어부(150)를 활성화시키고 후방 유리창 커튼을 동작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후방 유리창 커튼 제어부(150)는 후방 유리창 커튼(350)의 상태를 체크하고, 후방 유리창 커튼(350)이 OFF 상태인 경우(즉, 후방 유리창을 통해서 햇빛이 유입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 후방 유리창 커튼(350)을 구동시켜 커튼이 후방 유리창을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햇빛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한다(도 3a 참조).
아울러, 실내 조도가 500Lux 이상이고, 차량 실내 온도가 40도 이상이면, 메인 제어부(160)는 선루프 제어부(120)를 활성화시키고 선루프(320)를 동작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선루프 제어부(120)는 차량의 선루프(320) 상태를 조사하여, 선루프(320)의 유리창을 통해서 햇빛이 유입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선루프(320)의 차단막을 전개하여 햇빛 유입을 차단한다(도 3b 참조).
또한, 실내 조도가 500Lux 이상이고, 차량 실내 온도가 40도 이상이면, 메인 제어부(160)는 선바이저 제어부(140)를 활성화시키고 선바이저(340)를 동작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선바이저 제어부(140)는 차량의 앞유리창에 설치된 선바이저(340)의 상태를 조사하여, 선바이저(340)가 전개되어 있지 않으면, 선바이저(340)를 전개시켜 앞유리창으로부터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한다(도 3c 참조).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 유리창, 선루프(320) 및 앞 유리창을 통해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내 온도가 계속 상승하여, 실내 조도가 500Lux 이상이고, 차량 실내 온도가 50도 이상이 되면, 메인 제어부(160)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자연 방출하기 위해서 윈도우 제어부(110)를 활성화시키고, 윈도우 제어부(110)는 차량의 윈도우(창문)(310)의 상태를 확인하고, 윈도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윈도우를 개방한다(도 3d 참조).
이 때, 윈도우 개방 정도는 사전에 정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외부 침입의 우려를 고려하여 윈도우를 약 2cm 정도만 개방하지만, 이는 사용자의 설정이나 제조사의 설계사양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창문(310)을 개방할지 여부도 사전에 정의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정의 또는 제조사의 설정에 따라서 운전석과 보조석의 창문(310)을 개방할 수도 있고, 뒤좌석의 양 창문(310)을 개방할 수도 있으며, 보조석과 대각선 방향의 뒷좌석 창문(310)을 개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메인 제어부(160)는 윈도우 제어부(110)를 활성화시켜 윈도우 개방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레인 센서(12)로부터 입력되는 강우 정보를 조사하여 현재 비가 내리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만 창문(310) 개방을 실행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160)는 윈도우 제어부(110)가 윈도우를 개방한 이후에도 레인 센서(12)로부터 입력되는 강우 정보를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비가 내리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윈도우 제어부(110)로 하여금 윈도우 구동 모터들을 제어하여 개방된 창문(310)을 모두 닫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310)까지 개방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실내 조도가 500Lux 이상이고, 차량 실내 온도가 60도 이상이 되면, 메인 제어부(160)는 팬(FAN)을 구동하여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서 공조기 제어부(130)를 활성화시키고, 공조기 제어부(13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공조기 제어부(130)는 차량의 공조기(330)를 사전에 정의된 시간(예컨대, 5분)동안 동작시켜 차량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는 차량의 윈도우(310), 선루프(320), 공조기(330), 선바이저(340) 및 후방 유리창 커튼(350)과 직접 연결되어 직접 제어하는 반면, 도 2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윈도우(310), 선루프(320), 공조기(330), 선바이저(340) 및 후방 유리창 커튼(350)이 각각을 구동하는 제어기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고,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는 CAN 통신 네트워크 또는 다른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각 제어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제어기들을 구동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즉,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는 통신 방식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기능은 동일하므로,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의 각 제어부(210~250)가 윈도우(310), 선루프(320), 공조기(330), 선바이저(340), 후방 유리창 커튼(350) 등을 제어한다고 함은 통신 방식에만 차이가 있을 뿐,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됨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통신 방식을 제외한 나머지 설명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340)는 다단으로 접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선바이저 제어부(140)가 선바이저(340)를 동작시키면,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340)가 언폴딩(unfolding)되고, 다단으로 접혀있던 선바이저(340)의 각 부분들이 도 4a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펴지면서 햇빛을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선바이저 스위치(20)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바이저(340)만을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 때, 선바이저 스위치(20)는 별도의 푸시 버튼 또는 토글형 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b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340)의 힌지축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접혀져 있는 선바이저(340)를 수동으로 펴면, 스위치가 온되어 도 4b의 (b) 내지 (d)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선바이저 스위치(20)가 온되면, 선바이저 제어부(140)가 활성화되고, 선바이저 제어부(140)는 선바이저(340)를 제어하여 선바이저(340)가 펼쳐지거나 접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온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온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가 구동되면,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는 조도 센서(13)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가 500LUX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실내 조도가 500LUX 이상이 될 때까지 조도를 지속적으로 조사한다(S510).
조도가 500LUX 이상이 되면,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는 배터리 모니터링부(40)로부터 입력되는 배터리(30)의 충전 상태(SoC)를 조사하여, 배터리(30) 전압이 10V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521), 배터리(30) 전압이 10V 미만이면 현재 창문(310)이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23). 만약, 창문(310)이 개방된 상태라면, 창문(310)을 닫고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온도 조절 과정을 종료하고, 창문(310)이 개방된 상태가 아니라면 즉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온도 조절 과정을 종료한다(S525).
제 S521 단계에서, 배터리(30) 전압이 10V 이상이라면,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는 온도 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실내 온도가 40도 이상인지 조사하여 40도 미만이라면 상술한 제 S510 단계로 진행한다(S531).
그러나, 실내 온도가 40도 이상이라면,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바이저(340)를 동작시켜 차량의 앞 유리창으로부터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고, 후방 유리창 커튼(350)을 동작시켜 차량의 후방 유리창으로부터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며, 선루프(320)를 차단하여 선루프(320)를 통해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한다(S533).
그 후,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는 온도 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실내 온도가 50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50도 미만이라면 제 S51 단계로 진행한다(S541).
그러나, 실내 온도가 50도 이상이라면,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는 레인 센서(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조사하여 현재 비가 오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551), 비가 오지 않는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창문(310)을 개방하고, 이미 개방되어 있다면 창문(310)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S553).
만약, 제 S551 단계에서 현재 비가 온다고 확인되면,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는 현재 창문(310)이 개방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555), 창문(310)이 개방된 상태라면 창문(310)을 닫는다(S557).
그 후,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는 온도 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실내 온도가 60도 이상인지 확인하고, 실내 온도가 60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 S510 단계로 진행한다(S561).
그러나, 실내 온도가 60도 이상이라면, 스마트 온도 제어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조기(330)를 사전에 정의된 시간(약 5분) 동안 동작시켜 차량 실내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제 S510 단계로 진행하여(S563), 상술한 제 S510 단계 내지 제 S56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온도 센서 12 : 레인 센서
13 : 조도 센서 20 : 선바이저 스위치
30 : 배터리 40 : 배터리 모니터링부
100,200 : 스마트 온도 제어기
110,210 : 윈도우 제어부
120,220 : 선루프 제어부
130,230 : 공조기 제어부
140,240 : 선바이저 제어부
150,250 : 후방 유리창 커튼 제어부
160,260 : 메인 제어부
310 : 윈도우
320 : 선루프
330 : 공조기
340 : 선바이저
350 : 후방 유리창 커튼

Claims (13)

  1. 차량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여 실내 온도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
    차량의 실내 조도를 측정하여 실내 조도를 출력하는 조도 센서;
    차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조사하여 배터리 충전 정보를 출력하는 배터리 모니터링부; 및
    배터리 충전 정보, 실내 온도 및 실내 조도에 따라서, 차량으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차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차량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스마트 온도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기는
    선바이저가 펼쳐짐으로써 전방 유리창을 통해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도록, 차량 전방에 설치된 선바이저를 제어하는 선바이저 제어부;
    후방 유리창 커튼을 동작시켜 후방 유리창을 통해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도록 후방 유리창 전동 커튼을 제어하는 후방 유리창 커튼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전압 임계치 이상이고, 실내 조도가 조도 임계치 이상이며, 실내 온도가 제 1 온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선바이저 제어부 및 상기 후방 유리창 커튼 제어부를 활성화시키고,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선바이저 및 후방 유리창 커튼을 동작시켜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기는, 선루프를 통해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도록 선루프를 제어하는 선루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전압 임계치 이상이고, 실내 조도가 조도 임계치 이상이며, 실내 온도가 제 1 온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선루프 제어부를 더 활성화시키고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선루프를 닫도록 동작시킴으로써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기는, 윈도우의 개폐를 제어하는 윈도우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실내 온도가 더 상승하여 상기 제 1 온도 임계치보다 더 높은 제 2 온도 임계치 이상이 되면, 실내 공기를 외부로 자연 방출하기 위해서 상기 윈도우 제어부를 활성화시키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윈도우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비가 오는지 여부를 측정하여 강우 정보를 출력하는 레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제어부를 활성화시키기 전에, 강우 정보를 확인하고,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 상기 윈도우 제어부를 활성화시키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윈도우를 개방하고, 윈도우를 개방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강우 정보를 조사하여 비가 오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윈도우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개방된 윈도우를 모두 닫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상기 전압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윈도우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개방된 윈도우를 모두 닫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기는, 공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조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실내 온도가 더 상승하여 상기 제 2 온도 임계치보다 더 높은 제 3 온도 임계치 이상이 되면, 상기 공조기 제어부를 활성화시키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사전에 정의된 시간 동안 공조기를 동작시켜 차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선바이저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바이저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선바이저 제어부가 활성화되어 선바이저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9. 스마트 온도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온도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 시스템이 차량 내부 조도를 확인하여, 차량 내부 조도가 조도 임계치 이상이면, 차량의 배터리 충전 전압이 전압 임계치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
    (b) 차량의 배터리 충전 전압이 상기 전압 임계치 이상이면, 실내 온도가 제 1 온도 임계치 이상인지 확인하여, 실내 온도가 상기 제 1 온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선바이저 및 후방 유리창 커튼을 동작시켜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및
    (c) 차량의 실내 온도가 더 상승하여 제 2 온도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온도 임계치 이상이면, 차량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창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d) 차량의 실내 온도가 더 상승하여 제 3 온도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3 온도 임계치 이상이면, 사전에 정의된 시간 동안 공조기를 동작시켜 차량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차량의 배터리 충전 전압이 상기 전압 임계치 미만이면,
    차량의 창문이 개방된 상태인지 확인하고, 개방된 창문을 모두 닫고 차량 실내 온도 조절 과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 시스템은 선루프를 동작시켜 선루프를 통해서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온도 제어 시스템은 레인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강우 정보에 따라서 비가 오는지 확인하고, 비가 오지 않으면 창문을 개방하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현재 창문 상태를 확인하여 개방된 창문을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온도 조절 방법.
KR1020190177656A 2019-12-30 2019-12-30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6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56A KR20210086764A (ko) 2019-12-30 2019-12-30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56A KR20210086764A (ko) 2019-12-30 2019-12-30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764A true KR20210086764A (ko) 2021-07-09

Family

ID=7686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656A KR20210086764A (ko) 2019-12-30 2019-12-30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67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30786A (zh) * 2023-06-13 2023-07-14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遮阳帘控制方法、装置、控制器、系统和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30786A (zh) * 2023-06-13 2023-07-14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遮阳帘控制方法、装置、控制器、系统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5781A (en) Preliminary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s
US20020143452A1 (en) Automated closure system and method
US20030121988A1 (en) Cabin air purge strategy
CN204451964U (zh) 一种遮阳装置和车辆
KR20210086764A (ko) 차량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및 방법
US6759643B2 (en) Automatic sunshade curtain with sustained state at transition
CN104847248A (zh) 遮阳帘控制方法、控制装置、控制系统及遮阳装置
CN107105556A (zh) 一种调整工作指示灯亮度的控制系统及其方法
KR100500821B1 (ko) 자동차의 창 및 선루프 자동 개폐방법
JP3190081B2 (ja) 車両の予備換気装置
CN116039347A (zh) 一种车辆窗帘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车辆
KR101402298B1 (ko) 자동차유리 차광용 롤블라인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환기장치
CN103465841B (zh) 车辆自动控制系统
CN214822529U (zh) 一种遮阳帘控制系统及车辆
KR100980951B1 (ko) 자동차용 커튼의 자동 제어 방법
JP6733296B2 (ja) パワーウインドシステム
KR20130022665A (ko) 차량의 자동 우산 시스템
CN111645502A (zh) 汽车遮雨系统、汽车及汽车遮雨总成
KR100201085B1 (ko) 차량용롤러식바이저(visor)자동개폐장치
CN210706842U (zh) 汽车遮雨系统、汽车及汽车遮雨总成
CN115145068B (zh) 一种带护眼功能的汽车调光玻璃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2450707B (zh) 一种光控窗帘控制系统和控制方法
KR20210150673A (ko) 자동차 날개형 빗물 차단막 장치
CN116476608A (zh) 遮阳帘的使用策略、装置、设备、介质及车辆
KR200369200Y1 (ko) 자동차 출입문용 빗물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