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578A -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578A
KR20210083578A KR1020190175998A KR20190175998A KR20210083578A KR 20210083578 A KR20210083578 A KR 20210083578A KR 1020190175998 A KR1020190175998 A KR 1020190175998A KR 20190175998 A KR20190175998 A KR 20190175998A KR 20210083578 A KR20210083578 A KR 20210083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stamp
video
comment
provid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곤
오승주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5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578A/ko
Priority to JP2020217696A priority patent/JP2021108451A/ja
Publication of KR2021008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58Heading extraction; Automatic titling; Numb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영상 제공 방법은, 영상과 관련된 댓글 중 타임스탬프(timestamp)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과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동기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EXPERIENCE THAT CONSUMES VIDEO AND COMMENT AT THE SAME TIME}
아래의 설명은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통신망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는 통신망을 통한 신규 서비스의 개발 및 서비스 아이템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중 가장 일반적인 서비스가 동영상 제공 서비스라 할 수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0827198호(등록일 2008년 04월 25일) "동영상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중에 인터넷 상에서 링크된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동영상 링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영상과 관련된 타임스탬프(timestamp) 댓글을 영상의 재생 구간과 매칭시켜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의 재생에 맞춰 현재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 댓글을 자동 표시하거나 현재 표시 중인 타임스탬프 댓글에 맞춰 영상의 재생 구간을 건너뛰는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댓글에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를 태그로 활용할 수 있고 특정 태그로 선별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영상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영상의 업로더에 의해 작성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여 선별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영상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영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영상과 관련된 댓글 중 타임스탬프(timestamp)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영상과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동기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상기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상기 영상과 동일한 타임라인 순서대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단위 재생 구간 별로 상기 단위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가 포함된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재생 시점에 맞춰 현재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로 이루어진 댓글 목록의 스크롤에 맞춰 상기 영상의 재생 구간을 이동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재생 구간에 둘 이상의 타임스탬프 댓글이 등록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타임스탬프 댓글을 하나의 그룹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영상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핵심 키워드를 상기 영상과 관련된 태그 목록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에 등장하는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에 포함된 키워드에서 상기 핵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 목록에서 특정 태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 중 상기 특정 태그의 키워드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태그 목록에 영상 업로더(uploader)를 나타내는 업로더 태그가 포함되고, 상기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 목록에서 상기 업로더 태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 중 상기 영상을 업로드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제공 방법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영상과 관련된 댓글 중 타임스탬프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는 댓글 선별부; 및 상기 영상과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동기화하여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타임스탬프 댓글 선별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동영상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과 함께 해당 영상과 관련된 댓글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영상과 관련된 댓글 중 해당 영상과 관련된 타임스탬프(timestamp) 댓글을 영상 재생과 매칭시켜 영상과 타임스탬프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서버(160) 역시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15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동영상 서비스 등)를 제1 서비스로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6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제2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110), 그리고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상술한 전자 기기(110) 또는 서버(15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1, 22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전자 기기(110)나 서버(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110) 및/또는 서버(150)가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15)는 전자 기기(11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5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는 서버(150)와 연결되거나 서버(15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타임스탬프 댓글은 영상과 관련된 댓글 중 하나로, 타임스탬프가 포함된 댓글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상에 대한 댓글로 해당 영상의 특정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재생 시간이 링크(이하, '시간 링크'라 칭함)로 삽입되는 댓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50)는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서버(150)에는 컴퓨터로 구현된 영상 제공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서버(150)는 클라이언트(client)인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을 대상으로 영상과 영상에 대한 댓글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상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버(150)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 접속을 통한 서비스 요청에 대응되는 영상과 댓글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서버(150)는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영상과 타임스탬프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는 도 4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제공부(310), 댓글 선별부(320), 및 영상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영상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20)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서버(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2)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가 영상과 관련된 태그 목록을 제공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서버(15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22)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태그 제공부(310)가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서버(15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21)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22)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410 내지 S42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설명될 단계들(S410 내지 S420)은 도 4에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들(S410 내지 S420)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10)에서 댓글 선별부(320)는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110))의 서비스 요청에 대응되는 영상이 특정되는 경우 해당 영상과 관련된 댓글 중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할 수 있다. 댓글 선별부(320)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에 의해 플랫폼 상의 특정 영상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 영상과 연관되어 등록된 댓글들 중에서 시간 링크를 가진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영상 제공부(330)는 전자 기기(110)를 대상으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과 함께 단계(S410)에서 선별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전자 기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영상 제공부(330)는 타임스탬프 댓글을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영상과 동일한 타임라인 순서대로 정렬한 후 영상과 타임스탬프 댓글 간의 동기화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제공부(330)는 영상의 단위 재생 구간(예컨대, 5초) 별로 해당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가 포함된 댓글을 매칭시켜 영상의 재생과 타임스탬프 댓글의 표시를 동기화함으로써 영상과 타임스탬프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제공부(330)는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영상의 재생에 맞춰 현재 재생 구간에 매칭되는 타임스탬프 댓글을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제공부(330)는 영상과 동일한 타임라인 순서대로 정렬된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에서 현재 표시 중인 타임스탬프 댓글에 맞춰 영상의 재생 구간을 자동으로 건너뛰어 재생할 수 있다.
영상 제공부(330)는 영상과 함께 영상과 동일한 타임라인 순서대로 정렬된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을 제공할 수 있고, 이때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의 스크롤을 통해 현재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 댓글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타임스탬프 댓글은 개별 카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영상 재생 화면과 인접한 댓글 영역에 현재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 댓글 카드가 노출될 수 있다. 영상의 재생에 맞춰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을 자동 스크롤하는 인터페이스에서는 현재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 댓글 카드를 댓글 영역의 중앙에 자동 위치시킬 수 있다. 댓글 영역에 둘 이상의 타임스탬프 댓글 카드가 노출되는 경우 현재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 댓글 카드를 다른 댓글 카드와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의 스크롤에 맞춰 영상의 재생 구간을 자동 건너뛰는 인터페이스에서는 영상의 재생 구간을 댓글 영역 내에서 사전 정의된 기준선에 위치하는 타임스탬프 댓글이 매칭된 재생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제공부(330)는 영상과 타임스탬프 댓글 간에 인터랙티브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타임스탬프 댓글 선별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례로, 도 5의 댓글 선별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501 내지 S503)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단계(S41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501)에서 태그 제공부(310)는 영상과 관련된 댓글 중 타임스탬프 댓글에 포함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영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핵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태그 제공부(310)는 타임스탬프 댓글에 등장하는 빈도에 기초하여 타임스탬프 댓글에 자주 언급되는 키워드를 핵심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단계(S502)에서 태그 제공부(310)는 단계(S501)에서 추출된 핵심 키워드를 해당 영상과 관련된 태그 목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태그는 영상의 재생 구간이나 타임스탬프 댓글을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로 활용될 수 있다.
단계(S503)에서 댓글 선별부(320)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에 의해 영상의 태그 목록에서 특정 태그가 선택되는 경우 타임스탬프 댓글 중 특정 태그의 키워드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할 수 있다.
영상 제공부(330)는 단계(S503)에서 선별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영상과 동일한 타임라인 순서대로 정렬한 후 영상과 특정 태그의 타임스탬프 댓글 간의 동기화를 통해 인터랙티브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제공부(330)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과 해당 댓글이 등록된 영상 구간을 함께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이 서버(15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영상 제공 방법에 포함된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의 단계가 클라이언트인 전자 기기(110, 120, 130, 140)에서 수행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동영상 서비스 페이지(600)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자 기기(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영상 서비스 페이지(600)에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영상 재생 영역(610)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타임스탬프 댓글을 영상과 함께 동시 시청하기 위한 동시 시청 모드를 온/오프할 수 있는 'TIMESTAMP' 버튼(601)이 포함될 수 있다.
동영상 서비스 페이지(600)에는 'TIMESTAMP' 버튼(601)을 통해 동시 시청 모드가 오프되어 있는 경우 일 영역에 영상에 등록된 댓글 전체가 포함된 전체 댓글 목록(620)이 포함될 수 있다. 전체 댓글 목록(620)은 시간 링크(60)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621)은 물론이고, 영상에 등록된 모든 유형의 댓글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댓글 목록(620)은 영상 재생 영역(610)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의 타임라인과는 관계없이 댓글 작성 시간 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TIMESTAMP' 버튼(601)에 의해 동시 시청 모드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영상 재생 영역(610)과 전체 댓글 목록(620)이 독립된 인터페이스로 동작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전체 댓글 목록(620)과는 무관하게 영상 재생 영역(610)을 통해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또한 영상 시청과는 별개의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전체 댓글 목록(620)을 통해 해당 영상의 댓글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가 전체 댓글 목록(620)에서 타임스탬프 댓글(621)의 시간 링크(60)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영상 재생 영역(610)을 통해 재생 중인 영상의 재생 구간을 선택된 시간 링크와 일치하는 재생 시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2)는 동영상 서비스 페이지(600)에서 'TIMESTAMP' 버튼(601)을 통해 동시 시청 모드가 온되는 경우 영상 재생 영역(610)과 인접한 영역에 태그 목록(730)과 함께 타임스탬프 댓글로 이루어진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740)을 제공할 수 있다.
태그 목록(730)은 타임스탬프 댓글에서 추출된 키워드, 예를 들어 타임스탬프 댓글에 자주 언급된 핵심 키워드로 이루어진 키워드 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태그 목록(730)은 각 키워드를 해당 키워드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검색하기 위한 UI 버튼으로 구성하고, 타임스탬프 댓글로 작성된 댓글 전체를 검색하기 위한 'All' 버튼과, 영상을 업로드한 사용자, 즉 업로더에 의해 작성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검색하기 위한 'Uploader'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740)은 타임스탬프 댓글이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영상과 동일한 타임라인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타임스탬프 댓글이 개별 카드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영상 재생 영역(610)의 인터페이스와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740)의 인터페이스를 동기화하여 영상과 타임스탬프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영상의 단위 재생 구간(예컨대, 5초) 별로 해당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가 포함된 댓글을 매칭시켜 영상의 재생과 타임스탬프 댓글의 표시를 동기화함으로써 영상과 타임스탬프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영상 재생 영역(610)의 영상 재생 시점에 맞춰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740)을 자동 스크롤(또는 스와이프)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영상 재생 영역(610)을 통해 재생 중인 구간의 타임스탬프 댓글 카드를 댓글 영역의 중앙에 자동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3분 24초 시간 링크를 가진 타임스탬프 댓글이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영상 재생 영역(610)에서 3분 24초가 포함된 재생 구간이 재생되는 시점에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740)이 자동 스와이프되어 3분 24초 타임스탬프 댓글이 댓글 영역의 중앙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영상 재생 영역(610)의 영상 재생 시점에 맞춰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740)을 자동 스크롤하는 것은 물론이고,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740)의 스크롤(또는 스와이프)에 맞춰 영상 재생 영역(610)의 영상 재생 구간을 자동으로 건너뛰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740)의 스크롤(또는 스와이프)에 의해 댓글 영역 내에서 사전 정의된 기준선에 위치하는 타임스탬프 댓글을 인식하여 영상 재생 영역(610)의 영상 재생 구간을 인식된 타임스탬프 댓글이 매칭된 재생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2)는 영상의 특정 재생 구간에 둘 이상의 타임스탬프 댓글이 등록된 경우 해당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 댓글들을 댓글 카드 오버레이(overlay)를 통해 하나의 카드 그룹(841)으로 묶어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740) 상에 오버레이된 카드 그룹(841)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카드 그룹(841)은 타임스탬프 댓글에 대한 포지티브 피드백(positive feedback)에 해당되는 인기도(예컨대, 추천수 등)에 기초하여 정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상위 카드에는 인기도가 가장 높은 타임스탬프 댓글이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카드 그룹(841)은 타임스탬프 댓글의 댓글 작성 시간, 타임스탬프 등을 기준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5분 55초가 포함된 재생 구간에 다수의 타임스탬프 댓글이 등록된 경우 영상 재생 영역(610)에서 5분 55초가 포함된 재생 구간이 재생되는 시점에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740)이 자동 스와이프되어 다수의 타임스탬프 댓글이 그룹핑된 카드 그룹(841)이 댓글 영역의 중앙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사용자에 의해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740)에서 카드 그룹(841)이 선택되는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그룹(841)에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942)을 펼침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프로세서(222)는 사용자에 의해 태그 목록(730)에서 특정 키워드가 선택되는 경우 영상의 타임스탬프 댓글 중 선택된 키워드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여 선별된 타임스탬프 댓글과 해당 댓글이 등록된 영상 구간을 함께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2)는 사용자가 태그 목록(730)에서 키워드 'BBB'를 선택한 경우 영상의 타임스탬프 댓글 중 키워드 'BBB'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여 키워드 'BBB'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로 이루어진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1050)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2)는 사용자가 태그 목록(730)에서 'Uploader' 버튼을 선택한 경우 영상의 타임스탬프 댓글 중 영상 재생 영역(610)을 통해 재생 중인 영상을 업로드한 사용자, 즉 업로더에 의해 직접 작성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여 업로더의 타임스탬프 댓글로 이루어진 타임스탬프 댓글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22)는 태그를 이용한 필터링을 통해 영상의 타임스탬프 댓글 중 적어도 일부 댓글을 선별하여 선별된 타임스탬프 댓글과 해당 댓글이 등록된 영상 구간을 함께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영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영상과 관련된 댓글 중 타임스탬프(timestamp)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영상과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동기화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상기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상기 영상과 동일한 타임라인 순서대로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단위 재생 구간 별로 상기 단위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가 포함된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매칭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재생 시점에 맞춰 현재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로 이루어진 댓글 목록의 스크롤에 맞춰 상기 영상의 재생 구간을 이동하여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재생 구간에 둘 이상의 타임스탬프 댓글이 등록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타임스탬프 댓글을 하나의 그룹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핵심 키워드를 상기 영상과 관련된 태그 목록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에 등장하는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에 포함된 키워드에서 상기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 목록에서 특정 태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 중 상기 특정 태그의 키워드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목록에 영상 업로더(uploader)를 나타내는 업로더 태그가 포함되고,
    상기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 목록에서 상기 업로더 태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 중 상기 영상을 업로드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영상 제공 방법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12.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영상과 관련된 댓글 중 타임스탬프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는 댓글 선별부; 및
    상기 영상과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동기화하여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
    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상기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상기 영상과 동일한 타임라인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영상의 단위 재생 구간 별로 상기 단위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가 포함된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매칭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영상의 재생 시점에 맞춰 현재 재생 구간의 타임스탬프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로 이루어진 댓글 목록의 스크롤에 맞춰 상기 영상의 재생 구간을 이동하여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단위 재생 구간에 둘 이상의 타임스탬프 댓글이 등록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타임스탬프 댓글을 하나의 그룹으로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핵심 키워드를 추출한 후 상기 핵심 키워드를 상기 영상과 관련된 태그 목록으로 제공하는 태그 제공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댓글 선별부는,
    상기 태그 목록에서 특정 태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 중 상기 특정 태그의 키워드가 포함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제공부는,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에 등장하는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에 포함된 키워드에서 상기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목록에 영상 업로더를 나타내는 업로더 태그가 포함되고,
    상기 댓글 선별부는,
    상기 태그 목록에서 상기 업로더 태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타임스탬프 댓글 중 상기 영상을 업로드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타임스탬프 댓글을 선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KR1020190175998A 2019-12-27 2019-12-27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83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998A KR20210083578A (ko) 2019-12-27 2019-12-27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0217696A JP2021108451A (ja) 2019-12-27 2020-12-25 映像とコメントを同時に消費する経験を提供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998A KR20210083578A (ko) 2019-12-27 2019-12-27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578A true KR20210083578A (ko) 2021-07-07

Family

ID=7686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998A KR20210083578A (ko) 2019-12-27 2019-12-27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108451A (ko)
KR (1) KR202100835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195A (ko) * 2022-06-23 2024-01-02 박승현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WO2024101667A1 (ko) * 2022-11-08 2024-05-16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미디어 파일로부터 추출한 텍스트를 이용하여 미디어 메시지를 검색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854B1 (ko) * 2022-08-05 2023-02-27 주식회사 리플에이아이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24084603A1 (ja) * 2022-10-18 2024-04-25 株式会社Splyza 端末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195A (ko) * 2022-06-23 2024-01-02 박승현 다중시점채팅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WO2024101667A1 (ko) * 2022-11-08 2024-05-16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미디어 파일로부터 추출한 텍스트를 이용하여 미디어 메시지를 검색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08451A (ja)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558B1 (ko) 동영상 내 하이라이트 댓글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8035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keyword search using messaging service
KR20210083578A (ko)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91582B1 (ko) 컨텐츠 내 하이라이트 댓글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567638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reputation badge for video chat
KR102632639B1 (ko) 이미지 기반 컨텐츠의 개인화 추천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14108A (ko) 대화 내용에서 텍스트를 이용하여 비텍스트를 검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16822B1 (ko) 영상과 관련된 사용자 반응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01821A (ko)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대화방과 연관하여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26919A (ko) 아바타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09243B1 (ko) Pip 모드에서 대화방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52792B1 (ko)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의 사용자를 위한 온보딩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44130B1 (ko) 영화 검색에서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05017A (ko) 관심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27863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10841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lacing a theme of a virtual environment
KR20210081935A (ko) 제스처를 이용하여 대화 메시지에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52053B1 (ko) 듀얼 스크린에서의 컨텐츠 중복을 배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76816B1 (ko) 공간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6574A (ko) 키워드 관계 구조를 이용한 신규 키워드 추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424061B1 (ko) 비디오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80782A (ko) 듀얼 스크린에서 컨텐츠와 컨텐츠 목록을 연동하여 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110023A (ko) 소셜 플랫폼의 랜딩 페이지를 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96394A (ko) 컨텐츠에 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07412A (ko) 커뮤니티 관계를 확대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