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061B1 - 비디오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디오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061B1
KR102424061B1 KR1020200148276A KR20200148276A KR102424061B1 KR 102424061 B1 KR102424061 B1 KR 102424061B1 KR 1020200148276 A KR1020200148276 A KR 1020200148276A KR 20200148276 A KR20200148276 A KR 20200148276A KR 102424061 B1 KR102424061 B1 KR 102424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ontent
information
control
video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736A (ko
Inventor
양진홍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0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비디오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비디오 콘텐츠의 재생 대상의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상기 비디오 콘텐츠에 대해 상기 컨트롤 스크립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CONTROL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VIDEO CONTENT PLAYBACK ENVIRONMENT}
아래의 설명은 비디오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콘텐츠 공유 플랫폼의 성장에 따라 비디오 기반의 학습 콘텐츠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교육, 조립, 레시피, 언박싱(unboxing) 등 다양한 분야의 학습 장르 콘텐츠가 생산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3382호(공개일 2015년 02월 05일)에는 동영상 콘텐트의 편집, 재생, 유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학습 장르의 콘텐츠는 콘텐츠 특성 상 콘텐츠 소비자가 동일 행위를 반복하거나 영상을 참조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요리 콘텐츠의 경우 콘텐츠 소비자가 실제 요리를 진행하다 보면 동영상 재생 길이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요리 진행으로 손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 해당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많다.
학습 장르의 콘텐츠에 대해 단계적인(Step by Step) 형태의 재생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비디오 콘텐츠의 재생 대상의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비디오 콘텐츠에 대해 상기 컨트롤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비디오 콘텐츠의 장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콘텐츠가 학습 장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학습 모드로 재생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음성을 이용한 제어,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제어, 제스처를 이용한 제어, 모션을 이용한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형 인터페이스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립트 정보, 객체 정보,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와 해당 장면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비디오를 제어하기 위한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간 별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와 상기 컨트롤 스크립트를 패키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STT(speech to text)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립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관련된 스크립트 파일을 크롤링(crawl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객체 검출(object detection) 및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비디오 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타겟팅된 광고 콘텐츠를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장치 정보에 기반한 노출 형태에 따라 노출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비디오 콘텐츠의 재생 대상의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비디오 콘텐츠에 대해 상기 컨트롤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장르의 콘텐츠에 대해 단계적인 형태의 재생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학습 모드 적용 여부 선정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재생 대상 장치 정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학습 모드 제어 스크립트 생성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딥 메타데이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디오 프레임 패키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디오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디오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AI 스피커,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AI 스피커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서버(160) 역시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15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1 서비스로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6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제2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서버(150)는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비디오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학습 콘텐츠는 장르 정보가 학습(how to)으로 분류된 콘텐츠로, 어떤 일을 해 나가거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취하는 수단이나 방식 등 다양한 분야의 학습 방법이나 과정을 비디오로 제작한 콘텐츠를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다.
학습 콘텐츠는 콘텐츠 소비 측면에서 학습이라는 장르 특성 상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있다. 학습 장르 중 요리를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는, 학습에 필요한 내용을 별도로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요리에 필요한 재료의 정량이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게시글로 작성된 경우 해당 요리 레시피의 준비물과 작업 시 필요한 준비물 등을 별도로 확인해야 한다.
다른 하나는, 요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재료들을 확인하는 경우 실제 요리를 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개별 항목에 대한 체크 후 진행되어야 한다.
또 다른 하나는, 요리 단계 별 작업에 대해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비디오 속 진행과 달리, 실 환경에서 동일 동작을 수행하기에 시간이 부족하거나, 혹은 요리 진행으로 손이 자유롭지 못해 터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어려운 경우 등이 있다.
학습 콘텐츠의 경우 콘텐츠 소비자 입장에서는 단계적인 형태의 콘텐츠 재생이 필요하고, 또한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200)는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클라이언트 상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컴퓨터 장치(200)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 접속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에는 컴퓨터로 구현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이후 설명될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0)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0)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이후 설명될 콘텐츠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10)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20)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설명될 콘텐츠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은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학습 모드 적용 여부 선정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310)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일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비디오 재생을 요청하거나 혹은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 모드(how to mode)로의 재생을 직접 요청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비디오 재생 요청에 따라 재생 대상 장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재생 대상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로, 비디오가 재생될 장치를 의미한다. 프로세서(220)는 비디오 재생을 요청한 사용자 디바이스, 즉 재생 대상 장치로부터 해당 장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330)에서 프로세서(220)는 재생 대상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별도의 제어 명령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유무를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220)는 비디오가 재생될 장치에서 음성 또는 별도의 제어 인터페이스 활용이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340)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재생을 요청한 비디오의 서비스 상에서의 장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서비스 플랫폼 상에 등록된 채널이나 카테고리, 해시 태그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비디오가 학습 장르의 콘텐츠인지 기타 다른 장르의 콘텐츠인지 장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350)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재생을 요청한 비디오의 장르 정보가 학습인 경우 해당 비디오를 학습 모드로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재생을 요청한 비디오에 대해 학습 모드로 재생 가능한 스크립트(script)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 모드 재생을 위한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360)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재생을 요청한 비디오에 대해 학습 모드의 재생 가능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S370)에서 프로세서(220)는 학습 모드에 대한 재생 가능 알림을 통해 사용자가 학습 모드로의 재생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가 재생을 요청한 비디오 콘텐츠에 대해 해당 콘텐츠를 학습 모드로 재생하기 위한 스크립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S380)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재생을 요청한 비디오의 장르 정보가 학습이 아닌 다른 장르인 경우, 혹은 학습 모드에 대한 재생 가능 알림을 통해 사용자가 일반 모드로의 재생을 요청하는 경우 일반 재생용 API를 호출할 수 있다.
콘텐츠 소비자인 사용자가 재생을 요청한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학습 모드에 대한 재생 가능 여부를 알리고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재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학습 모드 재생을 위한 장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경우 각자 제공하는 디스커버리 인터페이스(Discovery Interface) 등을 활용하여 해당 디바이스의 기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인공지능) 스피커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치에 접근 가능한 엔드포인트(endpoint)에 대한 정보, 물리적/가상 디바이스(physical/virtual device) 유무, 디바이스의 그룹이나 클러스터(group or cluster of device), 소프트웨어 구성요소(software component)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학습 콘텐츠를 학습 모드로 재생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장치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학습 모드는 장치가 가진 기능(capabilities) 특성에 따라 맞춤형 콘텐츠 재생 환경을 구성하여야 한다. 이에,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명시적인 수단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프로세서(220)는 터치와 같은 접촉형 인터페이스 이외에,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대상 장치가 음성을 이용한 제어,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제어, 제스처를 이용한 제어, 모션을 이용한 제어 등의 비접촉형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입력 받아 해당 장치의 컨트롤 기능에 맞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학습 모드 제어 스크립트 생성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501)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재생을 요청한 비디오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해당 비디오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공급하는 장르 정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data)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502)에서 프로세서(220)는 비디오의 내용 정보로 비디오 내 스크립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220)는 STT(speech to text)를 기반으로 비디오의 스크립트를 추출하거나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스크립트 파일을 크롤링(crawling)할 수 있다.
단계(S503)에서 프로세서(220)는 비디오 내 객체 검출(object detection) 및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을 이용하여 해당 비디오와 관련된 내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S504)에서 프로세서(220)는 비디오에 대한 딥 메타데이터(deep metadata)를 구축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단계(S501)에서 확인된 콘텐츠 메타데이터, 단계(S502)에서 추출된 스크립트, 단계(S503)에서 추출된 객체 검출 결과나 OCR 인식 결과 등을 이용한 비디오 내 문자열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딥 메타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0)는 객체 검출 기술이나 OCR 기술 등을 활용하여 비디오(600) 내에서 객체 정보(601) 또는 텍스트 정보(602) 등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정보(601, 602)를 해당 비디오의 딥 메타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505)에서 프로세서(220)는 딥 메타데이터에 대해 해당 비디오의 장면 정보와의 매칭(matching)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주요 장면 정보를 선정한 후 해당 장면에 대한 딥 메타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비디오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해당 비디오의 장면과 딥 메타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단계(S506)에서 프로세서(220)는 비디오의 구간 분할(segmentation)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비디오를 제어하기 위한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S507)에서 프로세서(220)는 딥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구간에 대한 컨트롤 스크립트(control script)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비디오의 각 구간에 대해 제어 가능한 형태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S508)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재생을 요청한 비디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컨트롤 스크립트)와 딥 메타데이터를 패키징(packaging)할 수 있다.
도 7은 주요 장면 추출을 위한 비디오 프레임 패키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video frame은 비디오 콘텐츠의 장면 프레임을 의미한다. Video Script는 비디오의 오디오 마이닝(audio mining) 또는 기 입력된 자막 정보 등을 포함한다. Object Info.는 비디오 내에서 검출된 객체 정보를 의미하고, OCR Info.는 비디오 내에서 인식된 OCR 정보를 의미한다. Video Script와 Object Info. 및 OCR Info.는 개별 프레임 별로 해당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Video based Segment Info.는 비디오의 의미 구간 정보를 의미하고, Content Metadata Info.는 비디오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의미하고, Control Command Info.는 해당 구간의 특성을 반영한 제어 방법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한 정보를 하나의 구간 별로 딥 메타데이터로 패키징함으로써 콘텐츠 활용에 대응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Control Command Capability)은 다음의 기능을 포함한다.
반복 재생(repeat)은 예를 들어, 음성 이용 시 '한번 더', '반복' 등과 같이 특정 구간을 반복 재생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모션 이동 시 '손바닥 보이기', '주먹 쥐기', '손가락 돌리기' 등 정해진 제스처를 통해 반복 재생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구간 이동(movement)은 '다음', '건너 뛰어' 등과 같은 정해진 발화나 제스처 등을 통해 특정 구간을 스킵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재생 속도(play speed)는 '천천히', '2배속' 등과 같은 정해진 발화나 제스처 등을 통해 재생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재생 속도의 경우 대표 이미지가 추출된 영역, 또는 딥 메타데이터를 기준으로 분할된 구간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확대 재생(expansion)은 특정 장면을 확대해서 재생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영상 속 레시피나 특정 스크립트 오버레이 등 특정 내용을 강조하여 보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다. 확대 재생 시에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의 해상도 보다 더 높은 해상도의 콘텐츠가 있는 경우 더 상위의 해상도 콘텐츠로 재생 대상을 변경할 수 있고, 높은 해상도의 콘텐츠 수신 시 이를 크롭(crop)하는 형태로 확대함으로써 영상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디오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800)은 콘텐츠 수집부(Content Aggregator)(801), 비디오 처리 엔진(Video Processing Engine)(802), 오디오 처리 엔진(Audio Processing Engine)(803), 자연어 처리 엔진(NLP Processing Engine)(804), 딥 메타데이터 구성부(Deep Metadata Composer)(805), 딥 메타데이터 패키징부(Deep Metadata Packer)(806), 재생 제어부(Play Controller)(807), 광고 노출 제어부(Ad. Controller)(809)를 포함한다.
콘텐츠 수집부(801)는 콘텐츠 수집 역할을 담당하며, 비디오, 오디오, 스크립트, 및 기타 부가 메타데이터(예를 들어, 코멘트, 리뷰, 서비스 메타데이터 등)를 수집할 수 있다. 특히, 콘텐츠 수집부(801)는 비디오와 오디오가 분리된 콘텐츠의 경우 이를 개별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비디오 처리 엔진(802)은 비디오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고 비디오 클러스터링, 객체 검출, 및 OCR 등의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모듈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 엔진(803)은 오디오 상에서 마이닝(mining)을 통해 STT와 같은 처리 가능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모듈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 엔진(803)은 음색(voice color)이나 톤(tone) 등의 음성 분석을 통해 화자 여부 처리 및 구간의 연속성 등을 판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자연어 처리 엔진(804)은 자연어 처리(NLP)를 기반으로 비디오나 오디오 마이닝을 통해 획득한 텍스트 정보, 스크립트, 부가 메타데이터 등에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모듈을 포함한다.
딥 메타데이터 구성부(805)는 콘텐츠 재생 환경에 맞춰 사전에 딥 메타데이터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딥 메타데이터 구성부(805)는 재생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에 스피커 기능이 있는 경우 오디오를 활용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만 있는 경우 오디오 스크립트를 비디오에 오버레이할 것인지 등에 맞춰 콘텐츠를 사전에 구성할 수 있다.
딥 메타데이터 패키징부(806)는 콘텐츠의 딥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딥 메타데이터를 패키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재생 제어부(807)는 실제 디바이스로부터 재생 요청이 오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제어 명령 기능을 판단하고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재생 제어부(807)는 제어 명령 해석기(Control command interpreter)(80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 명령 해석기(808)는 디바이스에서 활용 가능한 명령 인터페이스(command interface)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해 알맞은 데이터를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고 노출 제어부(809)는 콘텐츠의 딥 메타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팅 및 재생 환경 특성에 맞춘 광고 노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광고와의 연동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광고 노출 제어부(809)는 개별 재생 환경에 맞춘 광고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설정하고, 이를 ADID, IDFA와 같은 사용자 식별 정보와 콘텐츠 기반의 딥 메타데이터 정보와 결합하여 보다 정교한 광고 집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광고 노출 제어부(809)는 광고 콘텐츠의 노출 형태를 디바이스 정보(재생 대상 장치 정보)에 기반해 이미지 광고 노출(On-over 형태)뿐 아니라 비디오 클릭(Video Clip) 광고, 스크립트 기반 광고 등 다양한 형태의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광고 노출 제어부(809)는 광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Ad. Network Interface)(810)를 통해 광고 사업자가 제공하는 광고 풀(pool)에 접근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811)는 비디오 콘텐츠를 소비하는 재생 대상 장치를 의미하며, 콘텐츠 제공 시스템(800)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재생을 해당 콘텐츠의 딥 메타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811)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을 활용하는 경우 비디오 콘텐츠를 이미지 캐러셀(Image Carousel)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811)로 스크린을 가진 AI 스피커를 활용하여 비디오를 이미지 기반으로 소비하면서 음성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카메라 기능이 있는 경우 카메라 기반 모션으로 제어 가능), 스크린 상에서 이미지를 노출할 수 있고, 특정 구간은 이미지가 아닌 비디오로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리 콘텐츠나 조립 콘텐츠의 경우 요리 또는 조립 구간은 이미지와 스크립트가 아닌 비디오로 시청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개별적인 인터랙션이 어렵기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스(811)로 활용되는 경우 이미지 중심의 순환(rotation) 방식 등을 통해 노출 빈도를 높이는 형태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터치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해당 인터페이슬 통해 콘텐츠 재생의 제어를 위한 조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학습 장르의 콘텐츠에 대해 단계적인 형태의 재생이 가능한 학습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비디오 콘텐츠의 재생 대상의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비디오 콘텐츠에 대해 상기 컨트롤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음성을 이용한 제어,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제어, 제스처를 이용한 제어, 모션을 이용한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형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고,
    상기 컨트롤 스크립트는 상기 비접촉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단계적인(Step by Step) 형태의 학습 모드로 재생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Control Command Capability)으로 반복 재생(repeat)을 위한 기능, 구간 이동(movement)을 위한 기능, 재생 속도(play speed) 제어를 위한 기능, 및 확대 재생(expansion)을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비디오 콘텐츠의 장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콘텐츠가 학습 장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학습 모드로 재생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립트 정보, 객체 정보,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와 해당 장면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비디오를 제어하기 위한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간 별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와 상기 컨트롤 스크립트를 패키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STT(speech to text)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립트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관련된 스크립트 파일을 크롤링(crawling)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객체 검출(object detection) 및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비디오 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타겟팅된 광고 콘텐츠를 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장치 정보에 기반한 노출 형태에 따라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비디오 콘텐츠의 재생 대상의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비디오 콘텐츠에 대해 상기 컨트롤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과정
    을 처리하고,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음성을 이용한 제어,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제어, 제스처를 이용한 제어, 모션을 이용한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형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고,
    상기 컨트롤 스크립트는 상기 비접촉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단계적인(Step by Step) 형태의 학습 모드로 재생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Control Command Capability)으로 반복 재생(repeat)을 위한 기능, 구간 이동(movement)을 위한 기능, 재생 속도(play speed) 제어를 위한 기능, 및 확대 재생(expansion)을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디오 콘텐츠의 장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비디오 콘텐츠가 학습 장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학습 모드로 재생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와 해당 장면 정보를 매칭하고,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비디오를 제어하기 위한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 별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와 상기 컨트롤 스크립트를 패키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비디오 내 객체 검출 및 OC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200148276A 2020-11-09 2020-11-09 비디오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424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276A KR102424061B1 (ko) 2020-11-09 2020-11-09 비디오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276A KR102424061B1 (ko) 2020-11-09 2020-11-09 비디오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736A KR20220062736A (ko) 2022-05-17
KR102424061B1 true KR102424061B1 (ko) 2022-07-21

Family

ID=8180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276A KR102424061B1 (ko) 2020-11-09 2020-11-09 비디오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0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341B1 (ko) * 2017-03-30 2018-03-09 한국과학기술원 비디오 콘텐츠를 분할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040B1 (ko) * 2015-07-06 2017-01-25 한국과학기술원 이미지 기반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17402B1 (ko) * 2015-11-30 2018-01-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스크린 환경에서 인터랙티브 비디오를 위한 썸네일 기반의 상호작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341B1 (ko) * 2017-03-30 2018-03-09 한국과학기술원 비디오 콘텐츠를 분할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736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558B1 (ko) 동영상 내 하이라이트 댓글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5886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teractive call-to-action, contextual applications with videos
WO2022057722A1 (zh) 程序试用方法、系统、装置、设备及介质
CN111818370B (zh) 信息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70287000A1 (en) Dynamically generating video / animation, in real-time, in a display or electronic advertisement based on user data
KR20180105810A (ko) 음성 댓글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9427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문맥 파악 기반의 동영상 편집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83578A (ko) 영상과 댓글을 동시에 소비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970521B (zh) 虚拟主播的直播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WO2015138451A1 (en) Optimized presentation of multimedia content
CN114501103B (zh) 基于直播视频的互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103726B1 (ko) 인공지능 디지털 사이니지
KR102316822B1 (ko) 영상과 관련된 사용자 반응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332284B1 (en) Personalized advertisement content
KR102293880B1 (ko) 반응형 광고 출력 시스템
KR102424061B1 (ko) 비디오 콘텐츠 재생 환경 특성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2201501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content using chatbot
KR102244130B1 (ko) 영화 검색에서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42709B1 (ko) 출현 객체를 식별하고 출현 객체의 반응에 따라 출력 방식을 변경하는 반응형 광고 출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N115643420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20105017A (ko) 관심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93743A (ko) 미디어 인리치먼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29691B1 (ko) 이미지 기반 동영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30178A1 (en) Method, computer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provide dynamic landing page for social platform
US11843821B2 (en) Method,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