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264A - 디스플레이 변경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변경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264A
KR20210081264A KR1020200177719A KR20200177719A KR20210081264A KR 20210081264 A KR20210081264 A KR 20210081264A KR 1020200177719 A KR1020200177719 A KR 1020200177719A KR 20200177719 A KR20200177719 A KR 20200177719A KR 20210081264 A KR20210081264 A KR 20210081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
display
counter
clutc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092B1 (ko
Inventor
메흐디 덴덴
Original Assignee
불랑패인쏘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불랑패인쏘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불랑패인쏘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1008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3/00Gearwork
    • G04B13/02Wheels; Pinions; Spindles; Pivots
    • G04B13/028Wheels; Pinions; Spindles; Pivots wheels in which the teeth are conic, contrate, etc; also column wheels constructi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2Back-gearing arrangements between gear train and han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1/00Click devices; Stop clicks; Clutches
    • G04B11/006Clutch mechanism between two rotating members with transfer of movement in only one direction (free running devices)
    • G04B11/008Clutch mechanism between two rotating members with transfer of movement in only one direction (free running devices) with friction members, e.g. click springs or jumper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5/00Escapements
    • G04B15/14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nstruction of the lever or the escape whee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0Indicating by numbered bands, drums, discs, or sheets
    • G04B19/202Indicating by numbered bands, drums, discs, or sheets by means of turning disc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4Hands; Discs with a single mark or the like
    • G04B19/042Construction and manufacture of the hands; arrangements for increasing reading accuracy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7/00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non-electric means
    • G04F7/04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non-electric means using a mechanical oscillator
    • G04F7/08Watches or clocks with stop devices, e.g. chronograph
    • G04F7/0866Speci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카운터 (110) 로 제 1 정보 피이스를 표시하고 제 2 카운터 (120) 로 제 2 정보 피이스를 표시하도록 단일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로 디스플레이 변경을 허용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변경은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제어 오르간 (140) 에 의해 제어되는 때 제 1 위치 (131) 와 제 2 위치 (132) 사이에서 변위하는 클러치 오르간 (130) 의 치환 (permutation) 에 의해 수행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변경 메커니즘{DISPLAY CHANGE MECHANISM}
본 발명의 분야는 시계제조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다이얼에 그리고/또는 동일한 인디케이터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핸드로 두 개의 상이한 정보 피이스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분야에 관한 것이다.
기계식 시계 그리고 특히 복잡한 시계는 날짜, 월, 주, 파워 리저브, 시차 등과 같은 여러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다이얼에 지나치게 부하를 걸어 가독성을 잃을 위험이 있다.
실제로, 더 두꺼운 시계를 초래하는, 핸드피팅의 두께 및 핸드가 차지하는 시각적 표면은 말할 것도 없고, 종종 다이얼에 지나치게 부하가 걸려서 표시를 읽기가 복잡하다. 더욱이, 추가적인 핸드를 추가하는 것은 추가적인 요소를 수반하며, 당업계에서 불리는 "피라미드" 구조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들을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것 그리고 특히 단일 핸드에 여러 정보 피이스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안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누름 버튼에 의해, 예컨대 다음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 이동 가능하도록 그리고 제 1 정보 피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 이동 가능하도록 그리고 제 2 정보 피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의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그리고/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의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이러한 배열 덕분에, 단일 디스플레이 모바일을 통해 2 개의 정보 피이스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그리고 특히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본 발명 덕분에, 다이얼의 깔끔한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여러 표시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 적은 수의 요소들 사이의 단순화된 메커니즘이 수반되고, 시계가 더 얇아진다. 이러한 배열과 관련된 이점은 2 개의 정보 피이스들이 동일한 시간축 (time base) 을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점핑 또는 드래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는 제 1 디스플레이 캠 또는 제 1 디스플레이 코어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는 제 2 디스플레이 캠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코어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을 변위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에 기대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은 제어 휠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은 디스플레이 휠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변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에 의존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연결부는 피봇 연결부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에 장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피봇 연결부는 블롬 스터드 (blom stud) 또는 핀이다.
이러한 배열들 중 하나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변위는 피봇팅에 의해 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의 상기 피봇 연결부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그루브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의 상기 피봇 연결부 그리고 상기 핀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그루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변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의 피봇팅 및 슬라이딩에 의해 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에 의해 작동되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의 변위를 허용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의 변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의 변위를 야기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의 변위를 제어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은 상기 기계적 연결부 및/또는 상기 그루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의 변위를 제어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의 변위를 제어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은 제 1 속도로 변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은 제 2 속도로 변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의 상기 제 1 속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의 상기 제 2 속도와 상이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의 상기 제 1 속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의 상기 제 2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로 변위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의 상기 제 1 속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의 상기 제 2 속도보다 작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로 변위한다.
이러한 이전 배열들 중 어느 하나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의 속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기관의 속도가 상이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위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이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을 구동하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의 이동성을 제한하도록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abutment) 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이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을 구동하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의 이동성을 제한하도록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에 접하고 있는 때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에 접하고 있는 때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 가능한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한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상의 베어링을 변위시키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로 변위시킨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상의 베어링을 변위시키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로 변위시킨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은 임의의 접촉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치수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상의 및/또는 내의 노치 및/또는 캐비티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은 임의의 접촉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치수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상의 및/또는 내의 노치 및/또는 캐비티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내부에 코어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는 제 1 캠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는 제 2 캠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이전 배열들 중 어느 하나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에 각각 접하는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가 기어에서 작동하도록, 치합되게 그리고/또는 치합하게 구성된 내부 치형부 및/또는 외부 치형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는 각각 제 1 정보 피이스 및/또는 제 2 정보 피이스를 표시하기 위해 치합되거나 치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에 기대고 있거나 기대기 위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치합, 롤링 및/또는 슬라이딩하기 위해 피니언, 스핀들 및/또는 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에서의 기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치합, 롤링 및/또는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에 기대고 있거나 기대도록 구성된 베어링 아암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에서의 기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치합, 롤링 및/또는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아암은 가요성이고/이거나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아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에 힘을 가하고/하거나 전달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핸드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요소들의 맞물림 및 피봇팅 간격을 차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 아암은 상기 스핀들 및/또는 상기 패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 아암은 상기 피니언, 상기 스핀들 및/또는 상기 패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을 가로지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치수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전 배열들 중 어느 하나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와의 임의의 접촉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 아암의 상기 치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의 상기 그루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치수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치수는 임의의 접촉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로 이동되도록 그들의 형상에 의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학적 함수에 의해 관련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와의 임의의 접촉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는 동일 평면에 있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공간이 절감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은 적어도 하나의 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 주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이전 배열들 중 어느 하나 덕분에, 상기 디스플레이 메커니즘은 회전 및/또는 반복 변위에 적합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메커니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사이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의 상기 제 1 속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의 상기 제 2 속도 사이에서 운동 힘 (kinetic force) 을 분배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에 의해 구동되도록 또는 이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차동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 덕분에, 차동기는 한편으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에 의해 가해지는 힘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을 변위시키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힘의 에너지가 증가된다.
위에서 언급한 실시형태들 및 변형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임의의 조합으로 취해질 수 있다.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이하의 설명에 비추어 본 발명은 잘 이해될 것이고 본 발명의 이점이 또한 분명해질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구조적으로 그리고/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에 해당한다.
이하에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를 각각 보여준다.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오르간 (140) 을 보여준다.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보여준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동기 (170) 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6 및 도 7 은 상방 및 하방에서 바라본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8 은 상기 시행된 디스플레이 메커니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깨끗한 다이얼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여러 표시를 배열할 수 있도록 도 4 에 도시된 단일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통해 두 개의 정보 피이스들을 디스플레이하고 특히 나타내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제 1 정보 피이스를 나타내도록 그리고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도 1 에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및 또한 제 2 정보 피이스를 나타내도록 그리고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도 2 에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의 형태를 갖는다.
전형적으로, 도 1 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와 비슷한, 제 1 디스플레이 캠 (110) 또는 제 1 디스플레이 코어 (110) 의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는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캠 (12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코어 (120) 일 수 있다 (예컨대, 도 2 참조).
본 발명의 상기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의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그리고/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의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며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 또는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 일방을 표시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전형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휠 (150) 을 또한 포함한다.
이 표시 변경은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와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의 변위를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에 의해 허용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제어 휠 (140) 의 형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제어된다. 실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 또는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 일방이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변위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에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제로, 도 1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베어링을 허용하도록 또는 더욱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이동성 (mobility) 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상의 베어링을 변위시키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로 변위시킬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이 이동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구동하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abutment) (111) 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을 정지시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이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상에 존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상의 및/또는 내의 노치 및/또는 캐비티의 형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111) 의 존재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121)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12) 상의 및/또는 내의 노치 및/또는 캐비티일 수 있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121) 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을 또한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의 구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처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상의 베어링을 변위시키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변위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처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과의 임의의 접촉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111) 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치수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은 또한 임의의 접촉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121) 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 표면,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은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이 코어 형상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있든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이 독립적인 방식으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게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와 관련하여, 이는 또는 이들은 실시형태들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가 제 1 정보 피이스 및/또는 제 2 정보 피이스를 각각 표시하기 위해 기어에서 작동하도록 치합되게 그리고/또는 치합하게 구성된 내부 치형부 및/또는 외부 치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로 구동하여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을 정지시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이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이동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121) 에 의해 제한된다.
그러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111) 에 접하고 있는 때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121) 에 접하고 있는 때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사이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변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이 제 1 속도로 변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의 상기 제 1 속도와 상이한 제 2 속도로 변위하는 때, 수행된다. 실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의 상기 제 1 속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의 상기 제 2 속도보다 클 때,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로 변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의 상기 제 1 속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의 상기 제 2 속도보다 작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로 변위한다.
실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의 속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의 속도가 상이할 때, 기계적 연결부 (160) 가 블롬 스터드 (161) 및 상기 핀 (162) 에 의해 편향되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사이에서 변위하거나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사이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의 상기 제 1 속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의 상기 제 2 속도 사이에서 운동 힘을 분배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에 의해 구동되도록 또는 이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차동기 (170) 를 포함하여서, 한편으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에 가해지는 힘 덕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변위하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은 변위되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에 가해지는 상기 힘의 에너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111)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121) 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증가된다.
도 6 및 도 7 에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연결부 (160) 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에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에 연결되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사이에서의 변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에 의존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연결부 (160) 는 피봇 연결부 (161),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블롬 스터드 (161) 또는 핀 (162) 일 수 있고,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에 장착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에 피봇식으로 장착되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사이에서의 변위가 피봇팅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이 피봇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가 동일 평면에 있다면 용이하고/하거나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은 적어도 하나의 축에 또는 심지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 주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은 회전 및/또는 반복 변위에 적합하다.
이 피봇팅과 관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연결부 (160)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서로에 대해 피봇할 수 있게 하는 핀 (162) 이고, 특히 예컨대 도 4 의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핀 (162)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은 상기 핀 (162) 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상기 피봇 연결부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그루브 (163) 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의 상기 피봇 연결부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그루브 (163) 를 포함한다.
도 3 의 실시형태에서, 단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이 그루브 (163)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을 피봇시키고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사이에서의 변위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연결부 (160) 는 상기 그루브 (163)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기 블롬 스터드 (161) 에 의해 만들어진다.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이 상기 기계적 연결부 (160) 및/또는 상기 그루브 (163) 를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의 변위를 제어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변위를 제어한다.
직전에 설명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한편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을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아암 (137) 을 포함한다.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아암 (137) 은 상기 블롬 스터드 (161) 의 양쪽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단부에 그리고 결과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는 상기 핀 (162) 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을 변위시키는 데 사용되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에 의해 작동되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은 피봇 연결부 (160) 주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을 변위시킨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의 변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변위를 야기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아암 (137)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다른 쪽에 위치된다.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에 기대고 있거나 기대기 위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치합, 롤링 및/또는 슬라이딩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다른 단부에,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아암 (137) 의 단부에 피니언, 스핀들 (139) 및/또는 패드가 위치되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와 접촉하고 있는 때에 이동 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상의 기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치합, 롤링 및/또는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아암 (137) 의 특징들 중 하나는 가요성 및/또는 탄성 변형 가능하여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에 힘을 가하고/하거나 전달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핸드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요소들의 맞물림 및 피봇팅 간격을 차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 아암 (137)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와의 임의의 접촉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111)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121) 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피니언, 상기 스핀들 (139) 및/또는 상기 패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111)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121) 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을 가로지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 아암 (137) 의 상기 치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상기 그루브 (163),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치수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치수는 임의의 접촉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111)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111) 로 이동되도록 그들의 형상에 의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학적 함수에 의해 관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의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디스플레이 코어 (110) 또는 제 1 디스플레이 캠 (110) 의 형상일 수 있거나 또는 제 1 정보 피이스, 예컨대 날짜와 관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디스플레이 캠 (12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코어 (120) 는 제 2 정보 피이스, 예컨대 초와 관련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는 동축이며 동일한 높이에 있고, 즉 동일한 평면에서 일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은 스핀들 (139) 이 피봇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핀 (162) 에 작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중 하나에서 제한된다. 디스플레이 위치들 중 하나에서, 상기 스핀들 (139)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의 노치 내에 있다. 따라서, 무브먼트 (도시 안 됨) 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구동한다. 그러므로, 무브먼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의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은 그루브 (163) 또는 통칭 "루프"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에 대해 오프셋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은 차동기 (170) 의 제 1 입력부 (171) 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을 구동한다. 상기 차동기 (170) 제 2 입력부 (172) 는 디스플레이 변경 캠 (192) 을 감지하는 랙 (191) 에 링크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 1 입력부 (171) 의 속도와 상기 제 2 입력부 (172) 의 속도의 합이다.
실제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변경을 제어하는 때, 스타 (194). 상기한 캠들 (192, 193) 은 상기 스타 (194) 에서 구동되고, 이들은 또한 회전한다. 상기 캠들 (192, 193) 의 제 1 회전 정도는 상기 차동기 (170) 의 상기 제 1 입력부 (171) 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195) 를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브레이크 (195) 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랙 (191) 의 필러 (feeler) 가 상기 디스플레이 변경 캠 (192) 의 재그 (jag) 로 전환되어, 상기 차동기 (170) 의 제 2 입력부 (172) 를 작동시킬 것이다. 후자, 즉 상기 차동기 (170) 의 제 2 입력부 (172) 는 유지되고, 상기 차동기 (170) 의 출력부 (173) 가 자유로운 채, 상기 랙 (191) 의 회전은, 상기 차동기 (170) 의 출력부 (173) 를 구동하고,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을 구동할 것이다.
상기 핀 (16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상기 루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에 포함된 베어링 아암 (137) 은 상기 스핀들 (139) 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와 접촉할 때까지 피봇할 것이다. 그러면 상기 스핀들 (139)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121) (노치 (121) 의 형상일 수 있음) 로 롤링하여서, 디스플레이 휠을 구동할 것이다. 그러면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의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캠들 (192, 193) 의 배열은 구성요소들이 다음 순서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의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의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로 전환함: 상기 브레이크 (195) 를 배치하고 유지한 후, 상기 차동기 (170) 를 활성화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의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의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로 전환함: 상기 브레이크 (195) 를 유지한 후, 상기 차동기 (170) 를 활성화하고 상기 브레이크 (195) 를 해제함.
다른 사용 모드에서, 캠 (193) 은 제거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클러치 오르간 (130) 의 루프뿐만 아니라 차동기는 차동기의 입력부 (172) 의 작용이 출력부들 (170, 171) 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요소들의 자연스러운 무브먼트는 디스플레이를 변경하기 위해 핀 (162) 이 클러치 오르간 (130) 의 루프에서 슬라이딩하게 한다. 이 사용 모드의 경우, 캠들 (192, 193) 의 시퀀싱에 작용을 행할 필요가 없다.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되는 디스플레이와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다른 디스플레이로의 전환에 필요한 힘은 사용자에 의해 극복되어야 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의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에 의해 요구되는 토크는 단지 기어트레인의 마찰이 극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낮다.
캠의 기하학적 형상을 수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변경의 각 끝에서 브레이크를 비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시스템은 전원 공급에 매우 적은 토크를 필요로 한다. 결과적인 이점은 예컨대 무브먼트의 작동을 방해함이 없이 두 디스플레이 중 하나에 초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하나에서 다른 것으로 전환하는 가능성을 남겨 두면서 동일한 핸드로 4 개의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예를 들어 다른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다른 레벨에서, 상기 베어링 아암 (137) 의 반대편에 추가적인 베어링 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추가적인 베어링 아암과 동일한 레벨에 추가적인 캠을 추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에서 루프를 수정하며, 제 2 아암에 작용하는 다른 하나를 추가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캠의 수를 상기 캠 (192) 에서 2 베어링에서 4 베어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으로서,
    - 이동 가능하도록 그리고 제 1 정보 피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 이동 가능하도록 그리고 제 2 정보 피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의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그리고/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의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와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연결부 (160) 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연결부 (160) 는 피봇 연결부 (161)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피봇 연결부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그루브 (163) 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의 피봇 연결부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그루브 (163)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 (136) 은 상기 기계적 연결부 (160) 및/또는 상기 그루브 (163)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은 제 1 속도로 변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은 제 2 속도로 변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의 상기 제 1 속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의 상기 제 2 속도와 상이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8.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이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제 1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위치 (131) 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구동하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이동성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abutment) (111) 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이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제 2 정보 피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132) 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을 구동하는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의 이동성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121)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9.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제 2 위치 (132) 로부터 상기 제 1 위치 (131) 로 이동 가능한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접합부 (111) 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이 상기 제 1 위치 (131) 로부터 상기 제 2 위치 (132) 로 이동 가능한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 (111) 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에 기대고 있거나 기대기 위해 또는 치합, 롤링 및/또는 슬라이딩하기 위해 피니언, 스핀들 (139) 및/또는 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오르간 (130) 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어링 표면 (112)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어링 표면 (122) 에 기대고 있거나 기대도록 구성된 베어링 아암 (137)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아암 (137) 은 상기 스핀들 (139) 및/또는 상기 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는 동일 평면에 있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운터 (1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운터 (1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은 적어도 하나의 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메커니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사이에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의 상기 제 1 속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의 상기 제 2 속도 사이에서 운동 힘을 분배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에 의해 구동되도록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바일 (15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오르간 (140) 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차동기 (170)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100).
KR1020200177719A 2019-12-20 2020-12-17 디스플레이 변경 메커니즘 KR102542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8749.0A EP3839658A1 (fr) 2019-12-20 2019-12-20 Mecanisme de changement d'affichage
EP19218749.0 2019-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264A true KR20210081264A (ko) 2021-07-01
KR102542092B1 KR102542092B1 (ko) 2023-06-12

Family

ID=6900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719A KR102542092B1 (ko) 2019-12-20 2020-12-17 디스플레이 변경 메커니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87034B2 (ko)
EP (1) EP3839658A1 (ko)
JP (1) JP7121790B2 (ko)
KR (1) KR102542092B1 (ko)
CN (1) CN113009804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7292A (ja) * 2003-06-26 2005-01-20 Richemont Internatl Sa ラトラパンテ機能をもつ時計、およびそのようなラトラパンテ機構
KR20110097656A (ko) * 2010-02-25 2011-08-31 몽트레 브레귀에 에스. 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시계의 주요 바늘들위에 시간대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JP2011257398A (ja) * 2010-06-08 2011-12-22 Daniel Roth & Gerald Genta Haute Horlogerie Sa 2つの位置の間で移動可能な時間表示針を有する時計
KR20130099271A (ko) * 2010-09-29 2013-09-05 라 몬트래 헤르메스 에스.에이. 시계
KR101375452B1 (ko) 2010-07-21 2014-03-17 불랑패인쏘시에떼아노님 이중 디스플레이 시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6217A5 (fr) * 2002-03-05 2007-02-15 Franck Muller Watchland Sa Pièce d'horlogerie mécanique.
ATE425480T1 (de) 2003-04-02 2009-03-15 Ronda Ag Monatstaganzeigemechanismus für uhrenbewegung
FI120960B (fi) 2004-07-01 2010-05-31 Suunto Oy Menetelmä ja laitteisto liikuntasuorituksen aikaisen suorirustason ja väsymisen mittaamiseksi
EP2015145B1 (fr) 2007-06-11 2013-05-01 Chopard Manufacture SA Dispositif d'embrayage vertical pour pièce d'horlogerie
CH709717A2 (fr) * 2014-05-26 2015-11-30 Montre Hermes Sa Dispositif d'affichage à la demande.
EP3185090B1 (fr) 2015-12-23 2019-10-23 Rolex Sa Dispositif de comptage et d'affichage d'une fraction d'unité de temp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7292A (ja) * 2003-06-26 2005-01-20 Richemont Internatl Sa ラトラパンテ機能をもつ時計、およびそのようなラトラパンテ機構
KR20110097656A (ko) * 2010-02-25 2011-08-31 몽트레 브레귀에 에스. 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시계의 주요 바늘들위에 시간대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JP2011257398A (ja) * 2010-06-08 2011-12-22 Daniel Roth & Gerald Genta Haute Horlogerie Sa 2つの位置の間で移動可能な時間表示針を有する時計
KR101375452B1 (ko) 2010-07-21 2014-03-17 불랑패인쏘시에떼아노님 이중 디스플레이 시계
KR20130099271A (ko) * 2010-09-29 2013-09-05 라 몬트래 헤르메스 에스.에이. 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87034B2 (en) 2023-06-27
US20210191325A1 (en) 2021-06-24
JP7121790B2 (ja) 2022-08-18
CN113009804B (zh) 2023-02-21
CN113009804A (zh) 2021-06-22
EP3839658A1 (fr) 2021-06-23
JP2021099319A (ja) 2021-07-01
KR102542092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7432B2 (ja) 計時器用の月位相表示機構
JP5483781B2 (ja) 2つの異なる時間測定可能量を表示及び補正するための機構
CN103765333A (zh) 用于驱动适于钟表的指示器的机构
KR101445454B1 (ko) 점프 표시 기구를 위한 상태 변화 인디케이터
US8477567B2 (en) Timepiece
KR20210081264A (ko) 디스플레이 변경 메커니즘
RU2590324C2 (ru) Часы
US8537641B2 (en) Timepiece having a time indicator hand which is movable between two positions
EP2687918A1 (fr) Mécanisme de phase de lune
JPH0115834B2 (ko)
US11550267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functions of a timepiece
EP3839657A1 (fr) Mecanisme d'affichage d'horlogerie a la demande
JP6434605B2 (ja) 複数のディスプレーの双方向性変更のための計時器用機構
EP2933692B1 (fr) Dispositif d'affichage
JP2020517933A (ja) クラウンプッシャー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手首装着型電子デバイス
EP3435174A1 (fr) Sélecteur de mode de sonnerie pour montre ou pièce d'horlogerie
JP6960009B2 (ja) 年ごとのサイクルを形成する一連の周期的事象を表示する表示デバイス及びこのような表示デバイスによって構成している計時器
TWI830968B (zh) 用於錶的顯示機構
JP6933477B2 (ja) クロノグラフ機構、ムーブメント及び時計
JPS6038933Y2 (ja) 指輪等展示台
CH709538B1 (fr) Pièce d'horlogerie.
EP2790071A3 (fr) Mouvement horloger à fonction compte à rebou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