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767A -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767A
KR20210073767A KR1020190164367A KR20190164367A KR20210073767A KR 20210073767 A KR20210073767 A KR 20210073767A KR 1020190164367 A KR1020190164367 A KR 1020190164367A KR 20190164367 A KR20190164367 A KR 20190164367A KR 20210073767 A KR20210073767 A KR 20210073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water
raw water
evaporation system
cir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최용준
최지혁
김유식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3767A/ko
Publication of KR2021007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36Pervaporation; Membrane distillation; Liquid permeation
    • B01D61/364Membrane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36Pervaporation; Membrane distillation; Liquid permeation
    • B01D61/368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membrane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0Use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01D2321/162Use of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은, 막증발 시스템의 정지 시간에 따라 각각 다른 방법을 적용하며, 구체적으로, 원수 및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방법, 세척 후 여과수를 순환시키는 방법, 구연산이 포함된 여과수를 순환시키는 방법,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주입한 보존액을 채운 후 가동을 정지시키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Description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 {Intermittent operation method of membrane distillation system}
소수성 표면을 가지는 다공성의 분리막을 이용하여 원수로부터 순수한 증기 상태로 물을 분리하는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막증발 공정은 소수성 표면을 가지는 다공성의 분리막을 이용하여 원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수처리 공정이다. 이러한 막증발 공정에서는 높은 온도의 원수와 낮은 온도의 냉각수가 분리막의 양쪽 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원수와 냉각수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증기압 차이로 인해 원수측 분리막의 표면에서 상변화가 발생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 순수한 증기가 분리막의 미세 기공을 통해 투과되어 냉각수에 의해 응축된다.
막증발법은 구동력인 증기압 차이를 발생시키기 위해 여과수 측면에 적용하는 방법에 따라 직접 접촉식 막증발법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DCMD), 공기 간극형 막증발법 (Air Gap Membrane Distillation; AGMD), 스윕가스 흐름형 막증발법 (Sweep Gas Membrane Distillation; SGMD), 진공 막증류법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VMD)의 4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막증발 공정에 필요한 원수의 온도는 60~80℃ 정도로 태양열 발전시스템과 연계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태양열 발전을 열원으로 이용할 경우 축열조를 사용하더라도 간헐적으로 운전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막증발시스템의 운전이 오랫동안 중단되는 경우, 막오염, 미생물 번식, 분리막 성능 변질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막증발 시스템의 정지 시간에 따라 다른 운전 방법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은 막증발 시스템의 정지 시간에 따라 각각 다른 방법을 적용하며, 구체적으로, 원수 및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방법, 세척 후 여과수를 순환시키는 방법, 구연산이 포함된 여과수를 순환시키는 방법,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주입한 보존액을 채운 후 가동을 정지시키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에 따르면, 간헐 운전에 따른 막증발 시스템의 막오염, 미생물 번식을 방지하고, 장시간 미운용에 따른 분리막 변질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막증발 공정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태양열 축열 시스템과 연계된 막증발 수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증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운전방법은 막증발 시스템의 정지 시간에 따라 각각 다른 방법을 적용한다.
1. 막증발 시스템의 정지 기간이 1일 미만인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한다.
원수의 온도가 냉각수 또는 스윕가스의 온도와 동일하게 되어 여과플럭스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혹은 원수의 증기압이 진공압력과 동일하게 되어 여과플럭스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원수 및 냉각수(SGMD와 VMD는 원수만 순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킨다. 순환유속은 담수생산시 유입되는 유량의 절반수준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막증발 공정의 원수/냉각수 순환 속도는 생산량의 20~50배 정도이다.
2. 막증발 시스템의 정지 기간이 1일 이상 일주일 미만인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한다.
원수의 온도가 냉각수의 온도와 동일하게 되어 여과플럭스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원수를 배출하고 여과수를 분리막 모듈에 모두 채운후에 수분 동안 공기를 주입하여 세척을 수행한다.
다음 막표면에서 탈착된 오염물질이 포함된 여과수를 배출하고, 여과수를 다시 원수라인으로 유입시켜 순환시킨다. 막증발 타입에 따라 냉각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냉각수 또한 순환시킨다. 순환유속은 담수생산시 유입되는 유량의 절반수준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막증발 공정의 원수 순환 속도는 생산량의 20~50배 정도이다.
3. 막증발 시스템의 정지 기간이 7일 이상 30일 미만인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한다.
원수의 온도가 냉각수의 온도와 동일하게 되어 여과플럭스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원수를 배출하고 여과수를 분리막 모듈에 모두 채운후에 수분 동안 공기를 주입하여 세척을 수행한다.
다음 막표면에서 탈착된 오염물질이 포함된 여과수를 배출하고, 여과수에 구연산을 10~20 ppm의 농도로 주입하여 원수라인을 채운후 30분 정지시킨후 다시 30분 동안 순환시킨다.
다음 구연산이 포함된 여과수를 배출하고, 다시 여과수를 채워 10분간 순환시킨후 배출한다.
다음 여과수를 다시 원수라인으로 유입시켜 순환시킨다. 막증발 타입에 따라 냉각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냉각수 또한 순환시킨다. 순환유속은 담수생산시 유입되는 유량의 절반수준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막증발 공정의 원수 순환 속도는 생산량의 20~50배 정도이다.
4. 막증발 시스템의 정지 기간이 30일 이상인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한다.
원수의 온도가 냉각수의 온도와 동일하게 되어 여과플럭스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원수를 배출하고 여과수를 분리막 모듈에 모두 채운후에 수분 동안 공기를 주입하여 세척을 수행한다.
다음 막표면에서 탈착된 오염물질이 포함된 여과수를 배출하고, 여과수에 구연산을 10~20 ppm의 농도로 주입하여 원수라인을 채운후 30분 정지시킨후 다시 30분 동안 순환시킨다.
다음 구연산이 포함된 여과수를 배출하고, 다시 여과수를 채워 10분간 순환시킨후 배출한다.
다음 분리막의 보존액 또는 여과수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5~10 ppm 농도로 주입하여 모듈의 원수와 여과수 라인을 모두 채운후 정지시킨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막증발 시스템의 정지 시간에 따라, 원수 및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방법, 세척 후 여과수를 순환시키는 방법, 구연산이 포함된 여과수를 순환시키는 방법,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주입한 보존액을 채운 후 가동을 정지시키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
KR1020190164367A 2019-12-11 2019-12-11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 KR20210073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67A KR20210073767A (ko) 2019-12-11 2019-12-11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67A KR20210073767A (ko) 2019-12-11 2019-12-11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67A true KR20210073767A (ko) 2021-06-21

Family

ID=7660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367A KR20210073767A (ko) 2019-12-11 2019-12-11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37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060A (ko) * 2021-09-13 2023-03-21 현대건설(주) 농업 용수처리 시스템 및 용수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060A (ko) * 2021-09-13 2023-03-21 현대건설(주) 농업 용수처리 시스템 및 용수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20581A1 (en) Forward osmosis with an organic osmolyte for cooling towers
TW2011023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etching solution
WO2009128327A1 (ja) 電子材料用洗浄水、電子材料の洗浄方法及びガス溶解水の供給システム
JP2015139748A (ja) 熱安定性塩除去システム、二酸化炭素回収システム及び熱安定性塩除去方法
JP5768961B2 (ja) 水処理装置
KR20210073767A (ko) 막증발 시스템의 간헐 운전 방법
JP6818472B2 (ja) 酸性ガス回収装置および酸性ガス回収方法
KR20170102997A (ko) 삼투 발전소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그리고 삼투 발전소
JPH03500981A (ja) 気体調節の方法
JP3966103B2 (ja) 電気脱イオン装置の運転方法
CN101519259A (zh) 一种废水脱盐工艺
JP2007090249A (ja) 膜脱気装置の洗浄方法
JP2008086945A (ja) 選択的透過膜の性能回復方法
JP2004244277A (ja) 高純度塩化ナトリウムの製造方法
JP5779369B2 (ja) ゼオライト膜脱水設備における膜の洗浄・再生方法
CN103508596A (zh) 一种己二酸铵清洗废水的处理系统及其回收方法
JP6513874B1 (ja)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JPH11267645A (ja) 純水の製造方法
JPH05192543A (ja) 廃液の膜蒸発濃縮器の再生法およびその装置
TWI788417B (zh) 去陽離子水的導電係數之測定方法及測定系統
JP6840364B2 (ja) 濃縮処理方法、及び濃縮処理装置
JPH04346823A (ja) 廃液の膜蒸発濃縮方法及び装置
CN106040001B (zh) 一种蛋氨酸盐皂化液脱碳酸盐工艺
JPH10128075A (ja) 逆浸透膜装置および逆浸透膜を用いた処理方法
JP3826546B2 (ja) ホウ素含有水の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