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522A - 차체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차체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522A
KR20210072522A KR1020190162908A KR20190162908A KR20210072522A KR 20210072522 A KR20210072522 A KR 20210072522A KR 1020190162908 A KR1020190162908 A KR 1020190162908A KR 20190162908 A KR20190162908 A KR 20190162908A KR 20210072522 A KR20210072522 A KR 20210072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rail
roof side
rail member
roof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2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2522A/ko
Priority to US16/836,367 priority patent/US11104385B2/en
Priority to CN202010318124.XA priority patent/CN113022717A/zh
Publication of KR2021007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모듈화된 스페이스프레임 방식의 차체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량의 리어필러(C필러)에 해당하는 리어필러멤버(30)가 차체의 루프 및 플로어와 용이한 조립성 및 우수한 강도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이다.

Description

차체 연결 구조{VEHICLE BODY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차체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필러(C필러) 어퍼부의 연결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 모노코크 방식의 차체에서는, 다수의 부품들이 서로 복잡한 구조로 결합되어 차체를 구성하며, 이러한 부품들의 형상 및 결합구조는 각 차량의 모델별로 상이하게 마련이다.
따라서, 한 모델의 차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도, 이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 제작에 다수의 금형이 소요되고, 다른 모델의 차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금형을 공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므로, 또 다른 일군의 금형들을 제작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부품들을 사용하여 모델별로 서로 다른 조립 구조에 따라 차체를 제작하는 것은 작업성이 떨어진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41274호
본 발명은, 모듈화된 스페이스프레임 방식의 차체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량의 리어필러(B필러)에 해당하는 부품이 차체의 루프와 플로어에 용이한 조립성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면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차체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체 연결 구조는,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구비된 루프사이드레일멤버;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에 단부가 결합되는 루프리어크로스멤버; 차체의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어퍼부가 루프리어크로스멤버의 단부와 정렬되어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연결되는 리어필러멤버; 및 상기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루프리어크로스멤버의 단부 및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가 연결된 부위를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커버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는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직접 결합되어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직접 결합되는 구조는,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모양으로 연장되어서 상단면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직접 결합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보강부로 형성되고 이 보강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면접촉으로 결합되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직접 결합되는 구조일 때,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제1기준선과 상기 루프리어크로스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제2기준선 및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제3기준선은 한 점에서 만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는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모양으로 연장된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보강부로 형성되고 이 보강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브라켓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루프리어크로스멤버의 단부 및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를 차체 내측에서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제1커버브라켓; 상기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루프리어크로스멤버의 단부를 차체 외측에서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제2커버브라켓; 및 상기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를 차체 외측에서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제3커버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커버브라켓과 제3커버브라켓은 차체 외측의 루프사이드레일멤버에서 만나서 평면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2커버브라켓과 제3커버브라켓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커버브라켓과 제3커버브라켓이 서로 중첩되게 포개어짐에 따라 소정 면적을 갖는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에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보강부가 형성된 경우 플래지부는 보강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모듈화된 스페이스프레임 방식의 차체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량의 리어필러(C필러)에 해당하는 리어필러멤버가 차체의 루프와 플로어에 용이한 조립성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면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이를 통해 보다 강건한 결합력 및 강도와 강성을 확보하면서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듈화된 스페이스프레임 차체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연결 구조로서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에 적용된 보강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에 직접 결합된 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와 이격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에 적용된 보강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와 이격된 실시예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 차체 연결 구조가 다양한 차체 구조에 적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체 연결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듈화된 스페이스프레임(Space Frame) 차체를 예시한 것으로서, 프런트에이프런조립체(101)와 대시조립체(103)와 센터플로어조립체(105) 및 리어플로어조립체(107)가 플로어조립체(109)를 구성하고, 사이드조립체(111)와 쿼터조립체(113)와 백조립체(115) 및 루프캐리어(117)가 어퍼조립체(119)를 구성하며, 이들 플로어조립체(109)와 어퍼조립체(119)가 조립된 상태에서, 휀더(121)와 사이드아웃터(123) 및 루프패널(125)로 이루어진 스킨조립체(127)를 결합하면, 스페이스프레임 차체를 형성할 수 있음을 개념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참고로, 위 설명이나 도 1에 도시된 표현은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스페이스프레임 차체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 스페이스프레임 차체를 형성하는 각 부품들의 조립순서를 그대로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실질적인 조립순서는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루프캐리어(117)는 이를 구성하는 차체 양측의 루프사이드튜브(129)와 그 사이를 연결하는 카울(131), 미들루프레일(133) 및 리어루프레일(135)이 모두 각각 중공의 폐단면 구조로 이루어져서, 스페이스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루프사이드튜브(129)를 차체 길이방향으로 신축시키고, 상기 카울(131)과 미들루프레일(133) 및 리어루프레일(135)을 차체 횡방향으로 신축시켜서, 다양한 차종이나 모델에 용이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로어조립체(109)는 이를 구성하도록 모듈화된 상기 프런트에이프런조립체(101), 대시조립체(103), 센터플로어조립체(105) 및 리어플로어조립체(107)의 길이나 폭을 각각 변형하여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차종이나 모델에 용이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루프캐리어(117) 및 플로어조립체(109)의 변경에 따라 다른 부품들도 각각 그 형상이나 크기를 조절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새로 개발하고자 하는 차종 또는 모델에 적합한 차체를 개발할 수 있게 되어, 신규 차종 개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하고,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휀더(121)와 사이드아웃터(123) 및 루프패널(125)로 이루어진 스킨조립체(127)는 재질을 종래의 일반적인 스틸 플레이트는 물론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각각의 형상을 원하는 차종이나 모델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스페이스프레임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차량의 용이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체 연결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스페이스프레임 차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는,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구비된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에 단부가 결합되는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 차체의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어퍼부가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의 단부와 정렬되어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연결되는 리어필러멤버(30); 및 상기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의 단부 및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가 연결된 부위를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플레이트 형상의 커버브라켓(40);을 포함한다.
즉,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를 사이에 두고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와 리어필러멤버(30)가 각각 직각방향으로 연결되게 서로 정렬되고,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의 단부 및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를 커버브라켓(40)이 감싸면서 보강하여 연결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와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 및 리어필러멤버(30)는 모두 내부가 빈 중공의 튜브 또는 파이프로 형성되어서 스페이스프레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는 도 1의 예에서 루프사이드튜브(129)에 상당하는 구성이고, 상기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는 도 1의 예에서 리어루프레일(135)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필러멤버(30)는 일반적인 차량에서 C필러 또는 리어필러로 불리는 부품에 상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도 1의 예에서 보면 루프사이드튜브(129)의 후방단에서 리어루프레일(135)이 연결된 부위에 리어필러멤버(30)가 정렬되어 연결되는 구조로 볼 수 있고, 상기와 같이 3개의 부품이 함께 연결된 연결부를 감싸도록 본 발명의 커버브라켓(40)이 결합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차체 연결 구조는 리어필러멤버(30)가 도 1의 플로어조립체(109)와 같은 대상에 결합되는 구조로 활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플로어조립체(109)의 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실의 후방단에 리어필러멤버(3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플로어조립체(109) 등에는 차체의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언급된 것과는 다른 크로스멤버를 구비할 수 있어서, 이 플로어조립체(109)에 구비된 크로스멤버를 상기 도 1의 루프캐리어(117)에 구비된 리어루프레일(135)에 대응시키면, 도 2와 같은 차체 연결 구조는 그 방향만 상하로 바꾸면 동일하게 상기 리어필러멤버(30)가 플로어조립체(109)의 사이드실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구조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 실시예들의 표현은 상기와 같이 상기 리어필러멤버(30)가 루프사이드튜브(129)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것과 사이드실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것을 포괄하는 것을 염두에 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체 연결 구조는 이와 같이 차체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리어필러멤버(30)를 차체의 상측과 하측에 결합하는 구조로 공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는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에 대해 차량의 횡방향으로 직각으로 배치되고,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의 단부는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에 직접 결합되는 형태로 연결된다.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결합은 용접이나 또는 구조용 접착제 또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해서 결합할 수 있다.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의 단부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이 직접 결합됨에 따라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결합부위 강도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어필러멤버(30)는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에 대해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직각으로 배치되고,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는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의 단부와 정렬되는 형태로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에 직접 결합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리어필러멤버(30)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결합은 용접이나 또는 구조용 접착제 또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해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직접 결합되는 구조는, 도 2와 같이 리어필러멤버(30)의 상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모양으로 연장되어서 상단면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직접 결합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리어필러멤버(30)의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보강부(31)로 형성되고, 이 보강부(31)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면접촉으로 결합되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리어필러멤버(30)의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리어필러멤버(30)의 상단에 L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보강부(31)를 매개로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경우, 이 두 개의 구조는 모두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결합부위 강도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도 2 및 도 4와 같이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직접 결합되는 구조이면,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제1기준선(L1)과 상기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제2기준선(L2) 및 상기 리어필러멤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제3기준선(L3)은 한 점(P1)에서 만나도록 연결되며, 이를 통해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와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 및 리어필러멤버(30)의 연결부의 강도 및 강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특히 하중을 여러 방향으로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제2기준선(L2)의 일단과 제3기준선(L3)의 일단이 제1기준선(L1)과 한 점(P1)에서 만나도록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와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 및 리어필러멤버(30)가 연결되는 구조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른 예로 도 5 및 도 6과 같이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는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의 단부와 정렬되는 형태로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와 이격되고, 이때에는 커버브라켓(40)을 통해 연결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와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40)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는, 저강성이 요구되는 구조나 또는 중강성이 요구되는 구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40)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는, 도 5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모양으로 연장된 리어필러멤버(30)의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일정 갭(G1)을 두고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40)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도 6과 같이 리어필러멤버(10)의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보강부(31)로 형성되고, 이 보강부(31)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일정 갭(G2)을 두고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40)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모양으로 연장된 리어필러멤버(30)의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일정 갭(G1)을 두고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40)을 통해 연결된 구조는, 저강성이 요구되는 구조에서 중량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구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리어필러멤버(30)의 상단에 L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보강부(31)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일정 갭(G2)을 두고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40)을 통해 연결된 구조는, 중강성이 요구되는 구조에서 중량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구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과 같이 리어필러멤버(30)의 상단에 보강부(31)가 구비된 구조는 도 5와 같이 보강부(31)가 없는 구조에 비해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의 강도 및 강성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커버브라켓(40)은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의 단부 및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를 차체 내측에서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제1커버브라켓(41), 상기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의 단부를 차체 외측에서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제2커버브라켓(42), 및 상기 루프사이드레일멤버(41)의 후방단과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를 차체 외측에서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제3커버브라켓(43)을 포함한다.
즉, 제1커버브라켓(41) 내지 제3커버브라켓(43)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의 단부 및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가 서로 연결된 연결부를 모든 방향에서 면접촉 상태로 감싸서 지지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이 연결부의 강도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커버브라켓(42)의 외곽 테두리와 제3커버브라켓(43)의 외곽 테두리는 차체 외측의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에서 만나서 서로 평면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2커버브라켓(42)과 제3커버브라켓(43)은 이들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합되는 구조가 되는 바, 이를 통해 보다 강건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커버브라켓(40)을 구성하는 제1커버브라켓(41) 내지 제3커버브라켓(43)은 루프리어크로스멤버(20)의 단부와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 및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이 서로 결합된 연결부를 감싸면서 용접이나 구조용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커버브라켓(41)과 제3커버브라켓(43)은 서로 중첩되게 포개어짐에 따라 소정 면적을 갖는 플랜지부(4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44)는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를 통해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과 리어필러멤버(30)의 어퍼부의 연결부위의 강도 및 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44)는 리어필러멤버(30)의 상단에서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 형성된 보강부(31)를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되는 바, 이를 통해 보강부(31)의 결합 강도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연결 구조는 기본적으로 리어필러멤버(30)의 상하방향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루프사이드레일멤버(10)의 후방단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 7에 예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차체 프레임 구조에 용이하게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는 A, B, C로 예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차체 프레임 구조가 함께 비교하여 도시되어 있고, 각 차체 프레임 구조에서 원(A1,C1)으로 표시된 부분들은 각 차체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조인트를 표시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본 발명의 리어필러멤버(30)에 상당하는 부품의 양단에는 속이 채워진 원(C1)으로 표시되어 있고, 속이 채워진 원(C1)으로 표시된 부분들이 바로 상술한 본 발명의 차체 연결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부분들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차체 연결 구조는 리어필러멤버(30)의 길이 변화와 약간의 변형만 수반되면, 도 7에 예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차종에 용이하게 공통적으로 적용하여, 신규 차종 개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하고,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듈화된 스페이스프레임 방식의 차체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량의 리어필러(C필러)에 해당하는 리어필러멤버(30)가 차체의 루프와 플로어에 용이한 조립성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면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이를 통해 보다 강건한 결합력 및 강도와 강성을 확보하면서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루프사이드레일멤버 20 - 루프리어크로스멤버
30 - 리어필러멤버 40 - 커버브라켓
41 - 제1커버브라켓 42 - 제2커버브라켓
43 - 제3커버브라켓 44 - 플랜지부
L1 -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기준선
L2 - 루프리어크로스멤버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기준선
L3 - 리어필러멤버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기준선

Claims (10)

  1.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구비된 루프사이드레일멤버;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에 단부가 결합되는 루프리어크로스멤버;
    차체의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어퍼부가 루프리어크로스멤버의 단부와 정렬되어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연결되는 리어필러멤버; 및
    상기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루프리어크로스멤버의 단부 및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가 연결된 부위를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커버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연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는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직접 결합되어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연결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직접 결합되는 구조는,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모양으로 연장되어서 상단면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직접 결합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보강부로 형성되고 이 보강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면접촉으로 결합되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연결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직접 결합되는 구조일 때,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제1기준선과 상기 루프리어크로스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제2기준선 및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제3기준선은 한 점에서 만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연결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는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연결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모양으로 연장된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보강부로 형성되고 이 보강부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이격되어서 커버브라켓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연결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브라켓은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루프리어크로스멤버의 단부 및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를 차체 내측에서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제1커버브라켓;
    상기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루프리어크로스멤버의 단부를 차체 외측에서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제2커버브라켓; 및
    상기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를 차체 외측에서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제3커버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연결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브라켓과 제3커버브라켓은 차체 외측의 루프사이드레일멤버에서 만나서 평면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2커버브라켓과 제3커버브라켓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연결 구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브라켓과 제3커버브라켓이 서로 중첩되게 포개어짐에 따라 소정 면적을 갖는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후방단과 리어필러멤버의 어퍼부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연결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어필러멤버의 상단에 루프사이드레일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보강부가 형성된 경우 플래지부는 보강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연결 구조.
KR1020190162908A 2019-12-09 2019-12-09 차체 연결 구조 KR20210072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08A KR20210072522A (ko) 2019-12-09 2019-12-09 차체 연결 구조
US16/836,367 US11104385B2 (en) 2019-12-09 2020-03-31 Connection structure of vehicle body
CN202010318124.XA CN113022717A (zh) 2019-12-09 2020-04-21 车体的连接结构及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08A KR20210072522A (ko) 2019-12-09 2019-12-09 차체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522A true KR20210072522A (ko) 2021-06-17

Family

ID=7621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08A KR20210072522A (ko) 2019-12-09 2019-12-09 차체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04385B2 (ko)
KR (1) KR20210072522A (ko)
CN (1) CN1130227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1274A (ko) 1995-12-27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리어필러 보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345A (en) * 1984-10-10 1987-04-28 Mr. Gasket Company Vehicle space frame, castings therefor and method for remote construction
EP2792445B1 (de) * 2013-04-18 2018-07-25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Hohlprofilverbindung unter Verwendung des Reibrührschweissens
JP5013133B2 (ja) * 2009-03-31 2012-08-2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車体におけるチューブ状フレームの連結構造の組立方法
US9266569B1 (en) * 2014-10-02 2016-02-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pillar reinforcement memb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1274A (ko) 1995-12-27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리어필러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04385B2 (en) 2021-08-31
CN113022717A (zh) 2021-06-25
US20210171115A1 (en)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9475A1 (en) Body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CN102991584B (zh) 车辆的前部本体结构
US20010020794A1 (en) Vehicle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KR20210074860A (ko) 차체 조립 구조
JP4486655B2 (ja) 建設機械の運転室構造
JP6308427B2 (ja) 車体構造
JP2003137137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5695556B2 (ja) 自動車のキャビン構造
CA2951774C (en) Vehicle chassis structures
KR102448380B1 (ko) 프론트 사이드 멤버
KR20210072520A (ko) 차체 연결 구조
KR20210072522A (ko) 차체 연결 구조
KR20210072519A (ko) 차체 연결 구조
JP2008230421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2003104237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CN113022708A (zh) 车辆的侧外加强板
JP6527314B2 (ja) 車両のアンダーフロアフレームシステム
KR20220055949A (ko) 차체 조인트 구조
KR20210123876A (ko) 차량의 차체 보강기구
KR20210061527A (ko) 차체 연결 구조
JP2009096287A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JP2009101768A (ja) 車体構造
KR20210061528A (ko) 차체 연결 구조
JP2003146251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20210053013A (ko) 차체 조인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