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087A - 연신된 방향족 폴리에테르 - Google Patents

연신된 방향족 폴리에테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087A
KR20210072087A KR1020217014256A KR20217014256A KR20210072087A KR 20210072087 A KR20210072087 A KR 20210072087A KR 1020217014256 A KR1020217014256 A KR 1020217014256A KR 20217014256 A KR20217014256 A KR 20217014256A KR 20210072087 A KR20210072087 A KR 2021007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stretched
filament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란 드 간스 리
마르틴 빌퓌츠
마르쿠스 하르트만
디르크 하인리히 뷔커
Original Assignee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7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08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4Selection or control of the temperature during str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3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derived from phenols
    • C08G65/4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derived from phenols from phenols (I) and other compounds (II), e.g. OH-Ar-OH + X-Ar-X, where X is halogen atom, i.e. leaving group
    • C08G65/4012Other compound (II) containing a ketone group, e.g. X-Ar-C(=O)-Ar-X for polyetherketo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thers
    • D01F6/665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thers from polyetherketones, e.g. PEEK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 C08G2650/3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ether group
    • C08G2650/4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ether group containing ketone groups, e.g. polyarylethylketones, PEEK or PE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방향족 폴리에테르를 기재로 하는 연신된 필라멘트로서, 유리 전이 온도와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연신되고, 최대 인장 하중 하에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냉각되는 필라멘트가 개시된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그의 용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연신된 방향족 폴리에테르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에테르를 기재로 하는 연신된 필라멘트로서, 여기서 필라멘트는 유리 전이 온도와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연신되고, 여기서 필라멘트는 최대 인장 하중 하에 실온으로 냉각되는 것인 연신된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섬유-강화된 재료는 통상적으로 중합체에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를 사용하는 것에 기반한다. 이는 섬유와 매트릭스 재료의 근본적인 상용성 문제가 있으므로, 따라서 강화 재료와 매트릭스 간의 결합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열가소성 물질이 매트릭스로서 사용될 때 빈번하게 특히 문제가 된다. 더욱이, 이들 재료는 섬유를 분리해 내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재활용할 수 없다.
선행 기술에는 주로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연신시키는 2가지 방법, 즉, 용융 방사 방법 (WO 2004/028803 A1) 및 겔 방사 방법 (WO 2010/057982 A1)이 개시되어 있다. 폴리올레핀은 간단히 실온에서 연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 연신의 발열성 때문에 상대적으로 느린 연신 속도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연신된 폴리올레핀은 이들이 연신 후에 승온에서 가공될 때 매우 크게 수축하므로, 따라서 먼저 목적하는 작업 온도에서 평형화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연신된 폴리올레핀은 매우 제한적인 기계적 값을 가져, 강화 섬유로서의 그의 유용성이 제한된다. 특히 열적 안정성의 결여 및 압축 응력 (냉간 성형성)의 결여가 불리하다.
문헌 [Bruening et al., J Mat Sci 38 (2003) 2149-53]에는 방사구당 질량 처리량의 감소와 동시에 취출 속도의 증가를 통한 용융 방사 방법에 의한 초박형 PEEK 필라멘트가 보고되어 있다.
문헌 [Shekar et al.,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 112, no. 4, pages 2497-2510]에는 연신된 PEEK 필라멘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PEEK 필라멘트는 부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4 참조).
WO 2013/190149 A1에는 소위 프리프레그의 구성성분으로서의 다양한 열가소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의 연성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열가소성 섬유의 취성 섬유, 특히 탄소 섬유와의 직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어서, 이들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연성 섬유 재료의 매트릭스에서 열성형되거나 또는 압축된다. 이는 연성 섬유를 용융시키고, 매트릭스와 취성 섬유 간의 결합의 개선을 유도한다.
완전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예컨대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PPTA, 하기 상표명 하의 아라미드: 케블라(Kevlar)® (미국 소재의 듀폰(DuPont)의 상표), 트와론(Twaron)® (일본 소재의 테이진 림(Teijin Lim)의 상표))의 제조가 US 3,869,430 A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어 "필라멘트"는 섬유, 필름 또는 리본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여러 방향으로 연신된다.
용어 "연신"은 압출이 끝났을 때 열적 및 기계적 에너지의 적용에 의해 수행되는 인발 공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향족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연신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것, 및 방향족 열가소성 물질을 연신시키기 위한 무해하고 간단한 무용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상기 과제는 방향족 폴리에테르의 연신된 필라멘트로서, 연신 후에 최대 인장 하중 하에 냉각되는 필라멘트에 의해 해결되었다.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에테르를 적어도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8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중량%로 함유하며, 특히 그로 이루어진 연신된 필라멘트로서,
여기서 필라멘트는 유리 전이 온도와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연신되고,
여기서 필라멘트는 최대 인장 하중 하에 유리 전이 온도 미만으로 냉각되는 것인
연신된 필라멘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필라멘트가 연신된 유리 전이 온도와 융점 사이의 온도는 또한 "연신 온도"라고도 칭해진다. 이러한 온도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연신 작업 동안 유지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합재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권취 층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의 하나의 이점은 이들이 승온에서 수축을 거의 겪지 않는다는 것, 즉, 임의의 이완 효과를 거의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가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이 유리하다. 기계적 안정성은 바람직하게는 연신 방향으로의 파단 응력의 형태로 측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가 심지어 승온에서도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는 놀랍게도 선행 기술에 비해 상기 기재된 이점을 제시한다. 수많은 분석 노력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자들은 이들 개선에 대한 물리적 설명을 제공하는 임의의 파라미터를 찾을 수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 및 본 발명에 따른 제조법 및 용도가 하기에서 예로서 기재되나, 본 발명을 이들 예시적 실시양태로 제한하려는 어떠한 의도도 갖지 않는다. 범위, 화합물의 화학식 또는 부류가 하기에서 명시된 경우에, 이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상응하는 범위 또는 화합물의 군 뿐만 아니라 개별 값 (범위) 또는 화합물을 배제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모든 하위범위 및 화합물의 하위군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문헌이 인용된 경우에, 그의 전체 내용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의 일부인 것으로 의도된다. 하기에서 백분율 수치가 주어진 경우에,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들은 중량% 단위의 수치이다. 조성물의 경우에, 백분율 수치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하기에서 평균 값이 주어진 경우에,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들은 질량 평균 (중량 평균)이다. 하기에서 측정 값이 주어진 경우에,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들 측정 값은 1013.25 hPa의 압력 및 25℃의 온도에서 결정되었다. 용융 온도 및 유리 전이 온도는 EN ISO 11357-1:2016D에 따라 DSC에 의해 결정된다. 유리 전이 온도는 또한 때때로 관련 기술분야에서 유리 온도로서 지칭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과 관련하여 기재된 기술적 세부사항 및 실시양태는, 명시적으로 제외되지 않고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또한 다른 측면에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의 실시양태 및 바람직한 파라미터는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적용가능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보호 범주는 상업에서 통상적인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의 완성되고 패키징된 형태를, 그 자체로서 및 임의의 축소된 크기의 형태로 둘 다, 이들이 청구범위에 정의되지 않은 정도까지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라멘트는 유리 전이 온도와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연신되고, 이어서 최대 하중 하에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냉각된다.
방향족 폴리에테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폴리에테르케톤 (PEK), 폴리에테르케톤에테르케톤케톤 (PEKEKK), 폴리에테르케톤케톤 (PEKK), 폴리술폰 (PSU), 폴리에테르술폰 (PES), 폴리아릴술폰 (PAS), 및 그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한 방향족 폴리에테르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폴리에테르케톤 (PEK), 폴리에테르케톤에테르케톤케톤 (PEKEKK), 폴리에테르케톤케톤 (PEKK)이다.
방향족 폴리에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어떠한 용매도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의 연신 배율 SF,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또는 그 초과의 SF만큼 연신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연신 배율은 필라멘트의 길이가 연신 후에 증가한 배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길이 1 m의 출발 필라멘트는, 10 m로의 연신 후에, 10의 연신 배율만큼 연신되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없이 자유 공간에서 연신된다. 연신이 실행되는 구역은 주위 분위기가 가열되는 구역, 즉, 예를 들어, 튜브 퍼니스 또는 2개의 가열판 사이의 공간의 유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는 연속식으로 또는 회분식으로 연신될 수 있다.
정적 연신, 즉, 필라멘트의 한쪽 말단이 그대로 유지되고 10 mm/min 내지 200 mm/min, 바람직하게는 20 mm/min 내지 100 mm/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mm/min 내지 80 mm/min의 속도로 연신되는 연신 작업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연속식 연신 작업은, 낮은 이송률이 바람직하게는 5 mm/min 내지 20000 mm/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m/min 내지 3000 mm/min,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mm/min 내지 2500 mm/min,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mm/min 내지 2000 mm/min,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0 mm/min 내지 1500 mm/min의 범위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연신 배율을 사용하여 고속-운전 이송 유닛의 속도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이송 속도는 연신될 필라멘트의 시작과 끝에서 적어도 1개의 롤 또는 스풀의 운전 속도를 각각의 경우에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는 단지 1회의 연신 작업에 의해 또는 연속해서 수회 연신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선택된 연신 온도는 보다 높아야 한다. 단지 1회의 연신 작업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는, 연신 작업 후에, 바람직하게는 130℃ 미만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미만으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0℃ 미만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으로,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미만으로, 특히 80℃ 미만으로 냉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는 연신 작업 후에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로 냉각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냉각은 서서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초,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5초,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분 동안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는 최대 인장 하중 하에 냉각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는 연신 동안의 힘의 적어도 80%가 냉각 동안에도 계속해서 필라멘트에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힘은 바람직하게는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95%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힘은 연신 동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상적으로, 힘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는 바람직하게는 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될 때 인장 방향으로 단지 약간의 수축/이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완 온도는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고 용융 온도보다 낮으며, 바람직하게는 연신 온도보다 낮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는 연신된 길이에 비해 최대 6%만큼, 바람직하게는 최대 5.5%만큼,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5%만큼,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4.5%만큼,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4%만큼 이완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의 이완은 인장 응력 하에 실행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는 바람직하게는 길이에 직각으로의 치수의 5배 초과의 길이를 가지며; 필라멘트는 바람직하게는 소위 무한 필라멘트이다. 필라멘트의 길이는 항상 인장 방향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어 "필라멘트"는 섬유, 필름 또는 리본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여러 방향으로 연신된다.
바람직한 필라멘트는 리본이다. 7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0의 폭 대 두께의 비를 갖는 리본이 바람직하다.
개별 필라멘트는 복합재를 형성하도록 조작될 수 있고; 따라서, 섬유의 바람직한 복합재는 섬유 다발 및 실이며, 여기서 섬유 다발 또는 실은 추가의 복합재를 제공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단방향성 또는 다방향성 스크림, 직조물 예컨대 매트, 및 편성물, 또는 그밖에 혼합 형태를 제공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스크림은 특정한 길이로 절단된 필라멘트 또는 예를 들어 튜브 둘레에 권취된 형태의 무한 필라멘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한 필라멘트로 구성된 바람직한 스크림은 중공형 바디 둘레의 권취 층이고; 이러한 경우에, 필라멘트는 바람직하게는 리본이다. 바람직하게는, 권취 층은 단방향성 또는 다방향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방향성이다. 다방향성 권취 층은 필라멘트의 인장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는다. 이러한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의 범위에 있다. 튜브 둘레의 권취 층의 경우에, 이들 권취 와이어는 튜브의 중심에 대해 경사 각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권취 층은 상이한 경사 각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튜브 둘레의 권취 층은, 회전 후에, 층의 에지가 서로 같은 높이에서 끝나도록 경사 각도에 대해 설계된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80 중량%의 방향족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연신된 필라멘트,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필라멘트를 유리 전이 온도와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연신시키고, 이어서 최대 하중 하에 유리 전이 온도 미만으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파라미터의 일부 예가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연신은 바람직하게는 정적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냉각은 적어도 10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초,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5초,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분 걸린다.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는, 연신 후에, 130℃ 미만으로, 바람직하게는 120℃ 미만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미만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으로,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미만으로, 특히 80℃ 미만으로 냉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단지 1회의 연신 작업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리하게는, 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될 때, 인장 방향으로 단지 약간의, 바람직하게는 연신된 길이에 비해 6% 이하의 수축/이완을 갖는 연신된 필라멘트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는 선행 기술의 방법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보다 높은 연신이 주목된다. 오히려, 선행 기술로부터의 필라멘트는 연신 후에, 특히 이완 후에, 기계적 특성의 손실과 연관된 원치 않는 수축을 겪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리하게는, 공지된 선행 기술의 방법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승온에서 원치 않는 수축 없이 또는 원치 않는 수축이 상당히 더 낮아진 연신된 필라멘트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1종의 연신된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권취 층을 포함하는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이들 튜브는 뛰어난 안정성이 주목된다.
실시예
재료:
PEEK: 베스타킵(VESTAKEEP)® 5000G, 에보닉(Evonik)의 상표
용융 온도 및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은 DIN EN ISO 11357-1:2016D에 따라, 자동 피크 검출 및 적분이 수행되는 퍼킨 엘머 다이아몬드(Perkin Elmer Diamond) 기기를 사용하여 20 K/min의 가열 속도에서 수행되었다.
실시예 1, 시편의 제조:
하나의 시편을 각각의 경우에, PEEK를 압출기 (콜린(Collin) E45M)에 의해 390℃의 온도에서 압출시키고, 캘린더링하여 650 μm의 두께 및 23 mm의 폭을 갖는 리본을 제공하고, 130℃로 냉각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취출 속도는 1.4 m/min이었다.
실시예 2, 시편의 정적 또는 연속식 연신:
방법 1 (정적 연신):
인장 시험기 (츠빅(Zwick), Z101-K)에서, 실시예 1에 따른 시편을 200℃에서 10 mm/min의 속도로 연신시켰다. 인장 응력이 해제되기 전에, 연신된 시편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를 제공하였다.
방법 2 (연속식 연신):
실시예 1에 따른 무한 시편을 스풀 상에 제공하였다. 각각의 시편을 연속식 기계 (리테크 드로잉(Retech Drawing)) 상에서, 1000 mm/min의 이송 속도에 상응하는 4 rpm의 재료 공급 속도 및 8000 mm/min의 이송 속도에 상응하는 32 rpm 이하의 인장 속도로 8 이하의 연신 배율 (SF)까지 연신시켰다. 보다 낮은 연신 배율을 위해서는, 인장 속도를 상응하게 조정하였다. 연신은 200℃의 온도에서 실행하였다. 인장이 해제되기 전에, 연신된 시편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3, 인장 시험에 의한 기계적 시험:
DIN 527-5:1997에 따른 덤벨 시편 (A 시편)을 방법 1 및 2에 의해 수득되는 연신된 필라멘트로부터 펀칭하였다. 두께는 각각의 연신 실험의 결과이며 변경되지 않았다.
인장 강도를 츠빅 인장 시험기에 의해 23℃에서 5 mm/min의 시험 속도, 120 mm의 클램핑 길이 및 75 mm의 증분 게이지의 측정 길이로 측정하였다. 상대 습도는 50%였다.
결과는 표 1 내지 3에 보고되어 있다. 각각의 결과는, 연신된 필라멘트로 각각 만들어진 3개의 덤벨 시편에 대한 인장 시험으로부터의 산술 평균이다.
표 1 내지 3에서, "최대 강도"는 덤벨 시편의 파괴 또는 인열 전의 최대 힘을 나타낸다 (사실상 파단 강도).
표 1: T = 23℃, 실시예 3에 따른 인장 시험의 결과 (정적 연신).
Figure pct00001
* 비연신된 샘플
표 2: T = 23℃, 실시예 3에 따른 인장 시험의 결과 (연속식 연신).
Figure pct00002
* 비연신된 샘플
실시예 4 (비교 실시예):
실시예 2의 방법 2와 유사하게, 실시예 1에 따라 수득된 시편을 200℃에서 4 rpm의 재료 공급 속도로 연신시켰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인장 속도는 목적하는 연신 배율에 맞추어 조정하였다.
실시예 2와 달리, 연신된 시편을 인장 하중의 부재 하에 즉각적으로 냉각시켰다.
표 3: T = 23℃, 실시예 4에 따른 인장 시험의 결과.
Figure pct00003
* 비연신된 샘플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덤벨 시편을 펀칭하였고, 그의 기계적 특성을 인장 시험에 의해 결정하였다.
인장 하중 하의 연신 및 냉각은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의 기계적 특성에서 뚜렷한 개선을 달성하였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방식으로 제조되지 않은 필라멘트의 기계적 특성 (표 3)은 대등하거나 또는 비슷한 연신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응하는 필라멘트 (표 1 및 2)보다 훨씬 더 불량하였다. 작업 실시예로부터의 연신된 필라멘트의 탄성률은, 예를 들어 2 배율의 연신의 경우에, 비연신된 비교 샘플보다 실제로 더 불량하였다. 또한 보다 높은 연신 배율에서의 개선이 본 발명에 따른 비슷한 필라멘트의 경우보다 훨씬 덜 두드러졌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주목된 특히 불리한 특색은, 실시예 4에 따라 본 발명의 방식으로 제조되지 않은 필라멘트가 냉각 후에 큰 수축을 갖는다는 것이었다. 그 결과, 재현가능한 기계적 특성을 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것들과 비교하여 선행 기술의 필라멘트의 추가의 단점이다.
더욱이, 실험은 연속식 연신보다 정적 연신이 뚜렷하게 보다 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달성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Claims (19)

  1. 적어도 80 중량%의 방향족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연신된 필라멘트로서,
    여기서 필라멘트는 유리 전이 온도와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연신되고,
    필라멘트는 최대 하중 하에 유리 전이 온도 미만으로 냉각되는 것인
    연신된 필라멘트.
  2. 제1항에 있어서, 용융 온도 및 유리 전이 온도가 EN ISO 11357-1:2016D에 따라 DSC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된 필라멘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에테르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폴리에테르케톤 (PEK), 폴리에테르케톤에테르케톤케톤 (PEKEKK), 폴리에테르케톤케톤 (PEKK), 폴리술폰 (PSU), 폴리에테르술폰 (PES), 폴리아릴술폰 (PAS), 및 그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된 필라멘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된 필라멘트가 8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중량%의 방향족 폴리에테르를 포함하며, 특히 방향족 폴리에테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된 필라멘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라멘트가 섬유, 필름 또는 리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된 필라멘트.
  6. 제5항에 있어서, 필라멘트가 리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된 필라멘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
  8. 적어도 80 중량%의 방향족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연신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필라멘트를 유리 전이 온도와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연신시키고, 이어서 최대 하중 하에 유리 전이 온도 미만으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용융 온도 및 유리 전이 온도가 EN ISO 11357-1:2016D에 따라 DSC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이 정적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이 적어도 10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초,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5초,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분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라멘트가, 연신 후에, 130℃ 미만으로, 바람직하게는 120℃ 미만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미만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으로,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미만으로, 특히 80℃ 미만으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 배율이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지 1회의 연신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라멘트.
  16. 복합재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의 용도.
  17. 권취 층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신된 필라멘트의 용도.
  18.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1종의 연신된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권취 층 또는 복합재.
  19.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1종의 연신된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권취 층을 포함하는 튜브.
KR1020217014256A 2018-10-17 2019-10-17 연신된 방향족 폴리에테르 KR202100720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0966.2 2018-10-17
EP18200966.2A EP3640376A1 (de) 2018-10-17 2018-10-17 Gereckte aromatische polyether
PCT/EP2019/078159 WO2020079121A1 (de) 2018-10-17 2019-10-17 Gereckte aromatische polyet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087A true KR20210072087A (ko) 2021-06-16

Family

ID=6410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256A KR20210072087A (ko) 2018-10-17 2019-10-17 연신된 방향족 폴리에테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332507A1 (ko)
EP (2) EP3640376A1 (ko)
JP (1) JP7441831B2 (ko)
KR (1) KR20210072087A (ko)
CN (1) CN112955589B (ko)
AR (1) AR116735A1 (ko)
BR (1) BR112021007106A2 (ko)
CA (1) CA3116269A1 (ko)
MX (1) MX2021004362A (ko)
WO (1) WO20200791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4573A (zh) * 2021-08-16 2021-11-23 深圳市栢迪科技有限公司 一种聚醚醚酮细纱的制备方法及聚醚醚酮细纱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64568A (ko) * 1944-09-15
NL137170C (ko) * 1963-08-02
US3869430A (en) 1971-08-17 1975-03-04 Du Pont High modulus, high tenacity poly(p-phenylene terephthalamide) fiber
JPH01127511A (ja) * 1987-11-10 1989-05-19 Okura Ind Co Ltd ポリエーテル・エーテル・ケトン樹脂製搬送用ベルト
US5223585A (en) * 1987-12-16 1993-06-29 Kureha Kagaku Kogyo K. K. Heat-resistant film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EP0336420B1 (en) * 1988-04-08 1994-03-16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Aromatic polyethers, fluorescent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JPH0319913A (ja) * 1989-06-15 1991-01-29 Unitika Ltd ポリエーテルケトン繊維の製造法
US5149581A (en) * 1989-11-21 1992-09-22 Idemitsu Kosan Co., Ltd. Polyether copolymers,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molded articles formed from them
JPH04343710A (ja) * 1991-05-15 1992-11-30 Teijin Ltd 芳香族ポリエーテルケトンモノフィラメントの製造法
JP2001279522A (ja) 2000-03-29 2001-10-10 Toray Monofilament Co Ltd 高融点モノフィラ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PA04008844A (es) * 2002-03-11 2004-12-1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ibras elasticas, termoendurecibles, reversibles y metodo de elaboracion y articulos hechos de las mismas.
AR041322A1 (es) 2002-09-27 2005-05-11 Lankhorst Indutech Bv Metodo para reforzar un articulo
US7674409B1 (en) * 2006-09-25 2010-03-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making uniform high strength yarns and fibrous sheets
JP5173271B2 (ja) * 2007-06-14 2013-04-03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高タフネス繊維の製造方法
CN101225555B (zh) * 2008-02-01 2010-05-12 吉林大学 聚醚醚酮纤维的熔融纺丝热拉伸定型制备方法
CN102224282B (zh) 2008-11-20 2013-05-15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凝胶纺丝的聚乙烯纤维
FR2981653B1 (fr) * 2011-10-25 2014-08-22 Arkema France Materiau composite thermoplastique renforce de fibres synthetiques et procede de fabrication
EP2864109B1 (en) 2012-06-22 2021-08-25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K.U. Leuven R&D Hybrid self-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RU2680319C1 (ru) * 2014-12-19 2019-02-19 Трютцшлер ГмбХ унд Ко. КГ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малоусадочной нити из алифатического полиамида и малоусадочная нить
JP6916738B2 (ja) * 2014-12-22 2021-08-11 ソルベイ スペシャルティ ポリマーズ ユーエスエー, エルエルシー Paek/ppsu/pes組成物
CN107779989B (zh) * 2017-11-02 2019-12-13 上海益弹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复合弹性纤维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07106A2 (pt) 2021-07-20
MX2021004362A (es) 2021-05-31
JP2022504891A (ja) 2022-01-13
CA3116269A1 (en) 2020-04-23
AR116735A1 (es) 2021-06-09
EP3867425A1 (de) 2021-08-25
EP3640376A1 (de) 2020-04-22
CN112955589A (zh) 2021-06-11
US20210332507A1 (en) 2021-10-28
WO2020079121A1 (de) 2020-04-23
CN112955589B (zh) 2023-06-23
JP7441831B2 (ja) 202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7501B1 (en) Flexible polymer element as toughening agent in prepregs
EP2864109B1 (en) Hybrid self-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JP4513929B2 (ja) 高機能ポリエチレン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並びにその手袋
KR101311105B1 (ko) 성형가공성이 우수한 고기능 폴리에틸렌 섬유
US20040041128A1 (en) Flexible polymer element as toughening agent in prepregs
CA2024218A1 (en) Fabric of thermoplastic fibre and continuous reinforcing fibre
Chabba et al. ‘Green’composites part 2: characterization of flax yarn and glutaraldehyde/poly (vinyl alcohol) modified soy protein concentrate composites
Hine et al. The influence of the hybridisation configura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ybrid self reinforced polyamide 12/carbon fibre composites
JP7014354B2 (ja) 高強度繊維、及び高強度繊維の製造方法
JP2005510635A (ja) ポリプロピレンシートを二次加工する方法
KR20210072087A (ko) 연신된 방향족 폴리에테르
Duhovic et al. Polyamide 66 polymorphic single polymer composites
Wang et 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single-polymer composites produced by the undercooling melt film stacking method
KR20210069705A (ko) 용융-연신된 폴리아미드 필라멘트
CN113272482A (zh) 拉伸的含氟聚合物
TWI397621B (zh) 成型加工性優異的高機能聚乙烯纖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