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657A - 해삼창자젓과 멍게를 이용한 알밥 소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삼창자젓과 멍게를 이용한 알밥 소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657A
KR20210071657A KR1020190162053A KR20190162053A KR20210071657A KR 20210071657 A KR20210071657 A KR 20210071657A KR 1020190162053 A KR1020190162053 A KR 1020190162053A KR 20190162053 A KR20190162053 A KR 20190162053A KR 20210071657 A KR20210071657 A KR 20210071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uce
rice
weight
sea
sal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용
Original Assignee
김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용 filed Critical 김성용
Priority to KR102019016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1657A/ko
Publication of KR20210071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10Fish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삼창자젓과 멍게를 이용한 알밥 소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학조미료를 전혀 사용하지않고 해삼창자젓과 멍게만을 이용하여 소스를 제조하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알밥을 제조함으로써, 맛과 향이 우수하도록하는 것으로, 해삼창자젓을 곱게 다지는 단계와, 멍게를 믹서로 분쇄하는 단계와, 준비된 해삼창자젓 15∼20중량%와 멍게 45∼55중량%를 혼합한 후, 이에 청주 30∼35중량%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소스에 꽃소금을 첨가하여 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삼창자젓과 멍게를 이용한 알밥 소스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RICE SAUCE}
본 발명은 해삼창자젓과 멍게를 이용한 알밥 소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학조미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해삼창자젓(고노와다)과 멍게만을 이용하여 소스를 제조하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알밥을 제조함으로써, 맛과 향이 우
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 나라는 전통적으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로서, 쌀을 원료로 하는 음식중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밥을 중심으로 떡, 김밥, 초밥, 알밥, 비빔밥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쌀 식품들이 발전되어 왔다.
이중 알밥은 그 맛과 영양이 좋고,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점점 그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근래 빵, 핏자, 햄버거 등 각종 인스턴트 식품이 범람하면서 어린이들과 어른들의 입맛이 길들여지고, 알밥에 사용되는 각종 조미료로 인해 그 맛이 강해지게 됨으로써 그 선호도가 점차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한편으로는 미각 개발이 지체된 것에서도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는바, 알밥 소스나 알밥 제조방법을 개발치 않고 전통적 제조방법이 오랫동안 그대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알밥 소스 및 알밥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조미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해삼창자젓과 멍게만을 이용하여 소스를 제조하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알밥을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필요한 각종 영양소를 충분히 보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알밥의 맛과 향을 좋게 하여 평소 알밥을 좋아하지 않던 어린이나 외국인들까지도 선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해삼창자젓과 멍게를 이용한 알밥 소스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삼창자젓과 멍게를 이용한 알밥 소스 제조방법에 의하면, 화학조미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해삼창자젓과 멍게만을 이용하여 소스를 제조하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알밥을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필요한 각종 영양소를 충분히 보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알밥의 맛과 향을 좋게 하여 평소 알밥을 좋아하지 않던 어린이나 외국인들까지도 선호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알밥 소스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알밥의 제조공정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알밥 소스의 제조방법은,
해삼창자젓(고노와다)을 곱게 다지는 단계(S1)와,
멍게를 믹서로 분쇄하는 단계(S2)와,
상기 준비된 해삼창자젓 15∼20중량%와 멍게 45∼55중량%를 혼합한 후, 이에 청주 30∼35중량%를 투입하는 단계(S3)와,
상기 혼합된 소스에 꽃소금을 첨가하여 간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 알밥 소스는 해삼창자젓 15∼20중량%와 멍게 45∼55중량% 및 청주 30∼35중량%로 된 소스에 꽃소금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 알밥의 제조방법은,
무쇠솥에 올리브유를 드리우고 밥을 담는 단계(S10)와,
상기 담겨진 밥 위에 해삼창자젓 15∼20중량%와 멍게 45∼55중량% 및 청주 30∼35중량%로 되는 소스를 넣는 단계(S20)와,
상기 소스가 놓인 밥 위에 가다랭이포(가쯔오부시)를 뿌리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알밥 소스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알밥 소스의 제조공정도로서, 해삼창자젓 다짐(S1), 멍게 분쇄(S2), 해삼창자젓, 멍게 및 청주 혼합(S3) 및 꽃소금첨가단계(S4)로 된다.
먼저 해삼창자젓을 곱게 다짐(S1)한다.
상기 해삼창자젓은 해삼 내장을 이용하여 만든 젓갈로서 알밥 소스의 간을 더해주고 소스 특유의 맛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다짐의 정도는 소스 내에 다른 재료들과 잘 혼합될 수 있으면 되는 것으로, 그 정도를 제한하지 않는다.
해삼창자젓을 준비(S1)한 후, 멍게를 믹서로 분쇄(S2)하여 준비해 둔다. 상기 멍게는 알밥 소스의 바다향을 더해줄 수 있는 재료로서, 소스의 맛과 향을 좋게 하며, 멍게 역시 그 분쇄 정도나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해삼창자젓과 멍게가 준비(S2)되면, 준비된 해삼창자젓 15∼20중량%와 멍게 45∼55중량%를 혼합한 후, 이에 청주30∼35중량%를 투입(S3)한다.
이때 상기 해삼창자젓의 혼합비가 15중량% 미만이면 그 특유의 맛이 잘 나타나지 않고 간도 부족하며, 20중량%를 초과하면 소스가 짜게 될 수 있으며, 멍게가 45중량% 미만이거나 55중량%를 초과하면 멍게의 향이 강하거나 약해져 소스의 우수한 맛을 낼 수 없게 되므로 상기한 배합비로 혼합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소스가 혼합(S3)되면 꽃소금을 첨가하여 간(S4)하는 바, 염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숫자6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나, 취향에 따라 꽃소금을 조금 적게 넣거나 많이 넣어 그 간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알밥 소스는 해삼창자젓 15∼20중량%와 멍게 45∼55중량% 및 청주 30∼35중량%로 된 소스에 꽃소금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알밥 1인분당 소스의 양은 15cc를 사용하면 일반적인 입맛에 가장 적합한 양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알밥 소스를 이용하여 알밥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쇠솥에 올리브유를 드리우고 밥을 담는다.(S10) 이는 밥이 타지 않고 누룽지처럼 하기 위함이며, 담겨진 밥은 약 300g이 되도록 하여 1인분의 양에 맞춘다.
그리고 상기 담겨진 밥 위에 해삼창자젓 15∼20중량%와 멍게 45∼55중량% 및 청주 30∼35중량%로 되는 소스를 투입(S20)한다. 이때 상기 소스에는 상기 소스의 제조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취향에 따라 꽃소금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소스의 투입량은 약 15g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소스를 투입(S20)한 후, 소스가 놓인 밥 위에 가다랭이포를 뿌려준다.(S30)
상기 가다랭이포는 가다라어, 고등어 및 정어리의 살만을 쪄서 건조한 다음 얇게 저며놓은 어포로서, 그 특유의 맛을 가짐으로써 알밥의 맛을 좋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되는 알밥의 제조방법에 알밥 각각의 재료에 따라 새우, 전복, 새싹, 낙지, 아보카드, 오징어, 자연송이, 문어, 산마, 버섯, 김치, 쇠고기, 닭고기, 죽순 등을 투입하고 이를 익히거나 그대로 참깨, 날치알, 김 등과 함께 올려 제조한다.
상기 각 재료에 따른 알밥의 제조방법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참치 알밥을 제조하였다.
무쇠솥에 올리브유를 드리우고 300g의 밥을 담고, 준비된 소스 15g을 밥 위에 넣었다. 그리고 밥 위에 가다랭이포를 흩어지게 뿌린 후, 참깨를 넣고 불 위에 솥을 올려 솥 밑에 누룽지가 생길 즈음 김가루를 넣었다.
그리고 불 위에 있는 솥을 내려 밥 위 한쪽에 참치를 올려놓고 다른 쪽에 날치알을 올려둔 후 참기름 3방울 정도를 넣어 제조하였다.
(실시예2, 3)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참치 대신 자연송이, 아보카드를 올려놓았다.
(실시예4)
왕새우 알밥을 제조하였다.
먼저 왕새우를 익혀둔 후, 무쇠솥에 올리브유를 드리우고 300g의 밥을 담고, 준비된 소스 15g을 밥 위에 넣었다. 그리고 밥 위에 가다랭이포를 흩어지게 뿌린 후, 참깨와 왕새우를 넣고 불 위에 솥을 올려 솥 밑에 누룽지가 생길 즈음 김가루를 넣었다.
그리고 불 위에 있는 솥을 내려 밥 위 한쪽에 날치알을 올려둔 후 참기름 3방울 정도를 넣어 제조하였다.
(실시예5~14)
상기 실시예4와 같이 제조하되, 왕새우를 대신하여 전복, 낙지, 오징어, 문어, 산마, 버섯, 김치, 쇠고기, 닭고기, 죽순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한 알밥은 종래의 알밥에 비해 그 맛과 향이 우수하여 알밥을 좋아하지 않았던 소비자는 물론, 어린아이와 외국인들의 입맛에도 적합하여 알밥 선호도가 증가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해삼창자젓(고노와다)을 곱게 다지는 단계(S1)와,
    멍게를 믹서로 분쇄하는 단계(S2)와,
    상기 준비된 해삼창자젓 15∼20중량%와 멍게 45∼55중량%를 혼합한 후, 이에 청주 30∼35중량%를 투입하는 단계(S3)와,
    상기 혼합된 소스에 꽃소금을 첨가하여 간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밥소스의 제조방법.
  2. 해삼창자젓 15∼20중량%와 멍게 45∼55중량% 및 청주 30∼35중량%로 된 소스에 꽃소금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밥소스.
  3. 무쇠솥에 올리브유를 드리우고 밥을 담는 단계(S10)와,
    상기 담겨진 밥 위에 해삼창자젓 15∼20중량%와 멍게 45∼55중량% 및 청주 30∼35중량%로 되는 소스를 넣는 단계(S20)와,
    상기 소스가 놓인 밥 위에 가다랭이포(가쯔오부시)를 뿌리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밥의 제조방법.
KR1020190162053A 2019-12-06 2019-12-06 해삼창자젓과 멍게를 이용한 알밥 소스 제조방법 KR20210071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053A KR20210071657A (ko) 2019-12-06 2019-12-06 해삼창자젓과 멍게를 이용한 알밥 소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053A KR20210071657A (ko) 2019-12-06 2019-12-06 해삼창자젓과 멍게를 이용한 알밥 소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657A true KR20210071657A (ko) 2021-06-16

Family

ID=7660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053A KR20210071657A (ko) 2019-12-06 2019-12-06 해삼창자젓과 멍게를 이용한 알밥 소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16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5951A (ko) 순대 핫도그의 제조방법
KR101142913B1 (ko) 어육분말, 어육 가공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418448A (zh) 一种海鲜鸡肉酱及其制作方法
KR101788627B1 (ko) 딱새우 떡어묵 제조방법
CN105104938A (zh) 一种丸子及其加工方法
KR20200081147A (ko) 아귀찜용 양념분말 조성물
CN104247966A (zh) 一种麻辣河豚鱼的制作方法
JP2009297009A (ja) ミンチ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
KR101559499B1 (ko) 야채류의 천연색소를 이용한 초록색 만두의 제조방법
KR20210071657A (ko) 해삼창자젓과 멍게를 이용한 알밥 소스 제조방법
KR100665526B1 (ko) 알밥 소스,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밥 소스를 이용한 알밥제조방법.
KR102134517B1 (ko) 청양고추와 젓갈을 이용한 무채김치의 제조방법
KR101485435B1 (ko) 밥동그랑땡 조성물 및 밥동그랑땡의 제조 방법
KR20060063219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만두제조방법 및 그 만두제조용반죽소스
KR101866365B1 (ko) 콩나물 짬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05035B1 (ko) 매생이를 이용한 아귀찜 제조방법
KR20040100356A (ko) 연육을 이용한 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101716762B1 (ko) 산천어 영양김치 제조방법
KR102392877B1 (ko) 해물 치킨 제조방법
KR101424981B1 (ko) 풀치 비빔밥 및 이의 제조 방법
EP3603413B1 (en) Breaded nugget product containing peeled shrimp or other peeled shell-bearing catch pieces and product production method
KR20100021292A (ko) 전복 김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복 김치
KR20040071566A (ko) 김치 밥 만두와 김치 밥 만두의 조리 방법
KR20170106585A (ko) 돼지족발 튀김의 제조방법
WO2010126212A1 (en) Instant noodle soup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