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981B1 - 풀치 비빔밥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풀치 비빔밥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4981B1 KR101424981B1 KR1020130024138A KR20130024138A KR101424981B1 KR 101424981 B1 KR101424981 B1 KR 101424981B1 KR 1020130024138 A KR1020130024138 A KR 1020130024138A KR 20130024138 A KR20130024138 A KR 20130024138A KR 101424981 B1 KR101424981 B1 KR 1014249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pull
- preparing
- bibimbap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656147 Benthodesmus simonyi Species 0.000 title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40000005158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40000003453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576 supplementa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22 soy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129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7647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325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3670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claims 2
- 241001125929 Trisopterus luscus Species 0.000 claims 2
- 229920005830 Polyurethane Foam Polymers 0.000 claims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11496 polyurethane foam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41001125843 Trichiurida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055 chew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18984 masti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21384 green leafy vegetabl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abstract 4
- 240000000772 Brassica cretic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9849 Cucumis sativu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0000002114 Satureja hortensis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abstract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abstract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41000219315 Spinaci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41000207961 Sesamum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0 marina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955 Equisetum hyemal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FFEARJCKVFRZRR-BYPYZUCNSA-N L-methionine Chemical compound CSCC[C@H](N)C(O)=O FFEARJCKVFRZRR-BYPYZUCN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054 Agastache 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72773 Aulop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98 Bras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93 Brassica nap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791 Brassica na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548 Camelli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801 Carthamus tinc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55 Carthamus tinctor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89527 Cordyline term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091 Cordyline term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60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243 Daucus carota subsp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184 Falcon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50 Hyssopus offic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COLNVLDHVKWLRT-QMMMGPOBSA-N L-phenylala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C=C1 COLNVLDHVKWLRT-QMMMGPOB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16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25761 Parthenos sylv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90 Phenylalan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511 Pisonia acule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97 common camel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7 edible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31 green be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98 plum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5 raw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5 sal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5 wild carro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풀치 비빔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풀치 비빔밥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풀치 비빔밥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풀치를 준비하여 풀치의 껍질 및 내장을 제거한 후 세척한 다음 뼈채 45도 각도로 너비 0.5 ~ 1.5cm로 절단하여 풀치회를 준비하는 풀치회준비단계와; 콩나물 무침, 시금치 무침, 배추나물, 무나물, 미역 무침, 오이, 김치로 이루어진 부재료를 준비하는 부재료준비단계와; 고추장을 베이스로 하는 양념장을 준비하는 양념장준비단계와; 쌀과 물을 이용하여 밥을 조리하여 준비하는 밥준비단계와; 용기에 상기 밥준비단계에서 제조된 밥을 투입한 후, 그 위에 상기 준비된 부재료를 올려놓고, 상기 부재료 상부에 풀치회를 올려놓은 다음, 상기 양념장을 용기에 투입하는 투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연안에서 손쉽게 잡히면서도 버려지거나 어육 등의 가공식품 재료로 취급되는 풀치를 이용하여 비빔밥을 제조하되, 갈치를 사용함에 비해 덜 비리면서 고소하고, 취식감이 훨씬 좋은 풀치 비빔밥이 제공되며, 특히, 풀치회와 조합되는 각종 나물 종류의 부재료들은 조리시 소금을 최대한 적게 사용하는 한편, 양념장에는 풀치를 이용하여 만든 젖갈을 첨가함으로써 풀치회 자체의 고소한 맛과 뼈를 씹을 때 느껴지는 식감, 젖갈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감한 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풀치 비빔밥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풀치 비빔밥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풀치를 준비하여 풀치의 껍질 및 내장을 제거한 후 세척한 다음 뼈채 45도 각도로 너비 0.5 ~ 1.5cm로 절단하여 풀치회를 준비하는 풀치회준비단계와; 콩나물 무침, 시금치 무침, 배추나물, 무나물, 미역 무침, 오이, 김치로 이루어진 부재료를 준비하는 부재료준비단계와; 고추장을 베이스로 하는 양념장을 준비하는 양념장준비단계와; 쌀과 물을 이용하여 밥을 조리하여 준비하는 밥준비단계와; 용기에 상기 밥준비단계에서 제조된 밥을 투입한 후, 그 위에 상기 준비된 부재료를 올려놓고, 상기 부재료 상부에 풀치회를 올려놓은 다음, 상기 양념장을 용기에 투입하는 투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연안에서 손쉽게 잡히면서도 버려지거나 어육 등의 가공식품 재료로 취급되는 풀치를 이용하여 비빔밥을 제조하되, 갈치를 사용함에 비해 덜 비리면서 고소하고, 취식감이 훨씬 좋은 풀치 비빔밥이 제공되며, 특히, 풀치회와 조합되는 각종 나물 종류의 부재료들은 조리시 소금을 최대한 적게 사용하는 한편, 양념장에는 풀치를 이용하여 만든 젖갈을 첨가함으로써 풀치회 자체의 고소한 맛과 뼈를 씹을 때 느껴지는 식감, 젖갈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감한 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풀치 비빔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갈치의 어린 새끼인 풀치를 익히지 않은 채 뼈채 첨가되어 고소하고 부드러우며, 날 갈치 특유의 비릿한 향이 나지 않으면서 감칠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한, 풀치 비빔밥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 재료로써의 갈치는 리진,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등의 필수 아미노산이 고루 함유되어 있어 어린이 성장 발육 촉진에 좋으며, 통상적으로 구이와 찌개, 조림 등으로 조리된다.
이러한 갈치는 회로도 섭취하는데 통상적으로 성질이 급하다고 하여 잡히고 나서 바로 죽어 버려 내륙 지방에서는 회로 먹기 힘들며, 해안 지방에서 회로 취식하기도 한다.
날생선으로서의 갈치 즉, 갈치회는 고소한 맛을 내는 반면, 비린내가 심하여 다량으로 섭취하는 경우가 드물고 소수의 매니아들이 주로 취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갈치의 어린 새끼를 풀치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풀치는 통상적으로 잡어로 취급하여 가공식품인 어육 등의 원료로 사용되어 왔다.
대규모로 가공 식품화되지 아니한 풀치들은 조림이나 볶음 등의 요리로 해안가 지방에서 취식되어 왔다.
한편, 비빔밥은 계절에 따라 재료를 변화있게 하여 밥과 비벼 먹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밥을 고슬고슬하게 지어 보기 좋게 대접에 담고 그 위에 미리 만들어 둔 여러 가지 나물이나, 야채, 필요에 따라 고기, 달걀, 육회 등을 첨가하여 고추장을 베이스로 하는 소스를 넣고 비벼 먹는 것으로, 한국인의 기호에 맞아 가정에서는 물론 외식적으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전주비빔밥, 안동비빔밥, 평양비빔밥 등이 있다.
전주 비빔밥이나 진주 비빔밥에는 소고기 육회를 넣는 것이 특징이며, 거제 멍게젓갈 비빔밥에는 숙성된 멍게를 넣는 것이 특징이다.
또, 통영 비빔밥에는 톳, 청각과 같은 해조류를 이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비빔밥에는 지역 특히 해안 지방에 따라 다양한 해산물이 적용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갈치 특히, 생 갈치를 비빔밥의 재료로 사용된 적은 없는 실정이다.
이는, 갈치가 잡힌 후 바로 죽어버려 신선도가 떨어져 식당에서의 음식 재료로 사용되기 힘든 문제점, 갈치 특유의 비린 맛에 대한 거부감 등으로 날 생선으로써 다른 음식재료들과의 궁합이 안맞아 기호도가 떨어지는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회 비빔밥에 적합하도록 고추장을 베이스로 하는 소스에 대한 기술이 "회 비빔밥용 고추장 소스 및 상기 고추장 소스를 함유한 비빔밥"(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6585호, 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 특허문헌 1에는 흔히 밥과 함께 취식하는 참치 등을 회재료로 사용했지 기호도가 극히 떨어지는 갈치 종류를 사용하지는 아니한 바, 날재료로써의 갈치에 적합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갈치를 이용한 보다 다양한 음식의 조리 방법에 대해 연구하던 중 비빔밥에 적용해보았으나, 비린 맛이 강하고 취식자에 따라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상태에서 풀치를 적용해본 결과 갈치를 사용했을 때에 비해 취식자의 거부감은 크게 줄어들고 선호도가 높아짐을 알게 되어 이를 활용하여 보다 대중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비빔밥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게 되어 이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연안에서 손쉽게 잡히면서도 버려지거나 어육 등의 가공식품 재료로 취급되는 풀치를 이용하여 비빔밥을 제조하되, 갈치를 사용함에 비해 덜 비리면서 고소하고, 취식감이 훨씬 좋은 풀치 비빔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풀치회와 조합되는 각종 나물 종류의 부재료들은 조리시 소금을 최대한 적게 사용하는 한편, 양념장에는 풀치를 이용하여 만든 젖갈을 첨가함으로써 풀치회 자체의 고소한 맛과 뼈를 씹을 때 느껴지는 식감, 젖갈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감한 향을 느낄 수 있고, 젖갈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짜지 않고 취식에 적합한 비빔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풀치 비빔밥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풀치를 준비하여 풀치의 껍질 및 내장을 제거한 후 세척한 다음 뼈채 45도 각도로 너비 0.5 ~ 1.5cm로 절단하여 풀치회를 준비하는 풀치회준비단계와; 콩나물 무침, 시금치 무침, 배추나물, 무나물, 미역 무침, 오이, 김치로 이루어진 부재료를 준비하는 부재료준비단계와; 고추장을 베이스로 하는 양념장을 준비하는 양념장준비단계와; 쌀과 물을 이용하여 밥을 조리하여 준비하는 밥준비단계와; 용기에 상기 밥준비단계에서 제조된 밥을 투입한 후, 그 위에 상기 준비된 부재료를 올려놓고, 상기 부재료 상부에 풀치회를 올려놓은 다음, 상기 양념장을 용기에 투입하는 투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양념장준비단계는, 별도의 풀치를 준비하는 풀치준비단계와; 상기 풀치준비단계에서 준비된 풀치 100 중량부 대비 15 ~ 20 중량부의 소금을 준비하여 풀치에 소금을 뿌려주는 소금도포단계와; 상기 소금이 도포된 풀치를 밀폐된 용기에 투입하고, 그늘진 곳에서 18 ~ 24개월 숙성시켜 젖갈을 제조하는 젖갈제조단계와; 고추장을 준비한 후, 고추장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젖갈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젖갈 40 ~ 50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추장 100 중량부 대비 3 ~ 7 중량부의 매실액기스를 첨가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부재료준비단계에서 상기 콩나물 무침은 삶은 콩나물 100 중량부와, 상기 콩나물 100 중량부 대비 소금 1중량부, 대파 6중량부, 다진 마늘 3중량부, 참기름 0.2중량부, 깨소금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시금치 무침은 삶은 시금치 100 중량부와, 상기 시금치 100 중량부 대비 소금 1중량부, 다진 파 6중량부, 다진 마늘 3중량부, 참기름 0.2중량부, 깨소금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배추나물은 삶은 배추 100 중량부와, 상기 삶은 배추 100 중량부 대비 소금 1중량부, 다진 마늘 3중량부, 생강즙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무나물은 무를 채 썰어 준비한 후, 무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의 식용유를 팬에 두르고, 팬에 3 중량부의 새우젓을 첨가한 상태에서 무를 첨가하여 볶아 제조하고, 상기 미역무침은 생미역 100 중량부와, 상기 생미역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의 된장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풀치회준비단계에서, 절단된 풀치회를 1 ~ 3℃의 온도로 6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된 풀치회를 -3 ~ -5℃의 온도로 4시간 동안 냉동시키는 냉동단계;가 추가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풀치 비빔밥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연안에서 손쉽게 잡히면서도 버려지거나 어육 등의 가공식품 재료로 취급되는 풀치를 이용하여 비빔밥을 제조하되, 갈치를 사용함에 비해 덜 비리면서 고소하고, 취식감이 훨씬 좋은 풀치 비빔밥이 제공된다.
특히, 풀치회와 조합되는 각종 나물 종류의 부재료들은 조리시 소금을 최대한 적게 사용하는 한편, 양념장에는 풀치를 이용하여 만든 젖갈을 첨가함으로써 풀치회 자체의 고소한 맛과 뼈를 씹을 때 느껴지는 식감, 젖갈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감한 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풀치회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서 부재료준비단계를 거쳐 제조된 부재료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서 양념장준비단계에서 제조된 양념장을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풀치 비빔밥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서 부재료준비단계를 거쳐 제조된 부재료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서 양념장준비단계에서 제조된 양념장을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풀치 비빔밥을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풀치 비빔밥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풀치회준비단계
풀치를 준비하여 풀치의 껍질 및 내장을 제거한 후 세척한 다음 뼈채 45도 각도로 너비 0.5 ~ 1.5cm로 절단하여 풀치회를 준비한다.
도 1에는 풀치회를 제조하기 위해 칼질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풀치는 갈치의 새끼를 말하는데, 갈치에 비해 뼈가 부드러우며, 살코기 대비 뼈의 양이 많다.
또한, 갈치의 경우 지방질이 많아 회로 섭취할 때 취식자에 따라서는 거부감을 일으키는 반면, 풀치의 경우 갈치에 비해서 비린 맛이 덜하다.
싱싱한 풀치의 경우나, 현장에서 바로 풀치회로 만들어 비빔밥을 만들지 않을 경우 제조된 풀치회를 숙성 및 냉동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숙성 및 냉동 단계를 거치게 되면 보다 고소하고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다.
숙성단계는 절단된 풀치회를 1 ~ 3℃의 온도로 6시간 동안 숙성시키면 된다.
아울러, 냉동단계는 숙성된 풀치회를 -3 ~ -5℃의 온도로 4시간 동안 냉동시키면 된다.
2. 부재료준비단계
콩나물 무침, 시금치 무침, 배추나물, 무나물, 미역 무침, 오이, 김치로 이루어진 부재료를 준비한다.
상기와 같은 부재료는 통상의 조리법에 의해 조리될 수 있다.
그러나, 풀치의 맛과 향을 보다 더 느끼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몇 가지 부재료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조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콩나물 무침은 삶은 콩나물 100 중량부와, 상기 콩나물 100 중량부 대비 소금 1중량부, 대파 6중량부, 다진 마늘 3중량부, 참기름 0.2중량부, 깨소금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때의 소금 중량은 일반적인 콩나물 무침에 비해 적게 첨가되는 것이다.
시금치 무침은 삶은 시금치 100 중량부와, 상기 시금치 100 중량부 대비 소금 1중량부, 다진 파 6중량부, 다진 마늘 3중량부, 참기름 0.2중량부, 깨소금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배추나물은 삶은 배추 100 중량부와, 상기 삶은 배추 100 중량부 대비 소금 1중량부, 다진 마늘 3중량부, 생강즙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무나물은 무를 채 썰어 준비한 후, 무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의 식용유를 팬에 두르고, 팬에 3 중량부의 새우젓을 첨가한 상태에서 무를 첨가하여 볶아 제조한다.
상기 미역무침은 생미역 100 중량부와, 상기 생미역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의 된장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오이와 김치는 취식하게 쉽게 잘게 절단하여 준비한다.
상기와 같은 부재료들은 모두 통상의 조리법에 비해 소금을 최소화한 것이며, 특히 고추가루나 고추장 등을 첨가하지 않은 방법이다.
특히, 미역무침의 경우 소량의 된장만으로 조리한 것이 특징이다.
도 2에는 제조된 부재료 및 풀치회가
3. 양념장준비단계
고추장을 베이스로 하는 양념장을 준비한다.
고추장 자체로 양념장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공지의 비빔밥용 양념장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양념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금을 최소화한 부재료와 더불어 아래와 같은 양념장으로 제조함이 보다 바람지하다.
구체적인 양념장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풀치회 제조용이 아닌 별도의 풀치를 준비하는 풀치준비단계와;
상기 풀치준비단계에서 준비된 풀치 100 중량부 대비 15 ~ 20 중량부의 소금을 준비하여 풀치에 소금을 뿌려주는 소금도포단계와;
상기 소금이 도포된 풀치를 밀폐된 용기에 투입하고, 그늘진 곳에서 18 ~ 24개월 숙성시켜 젖갈을 제조하는 젖갈제조단계와;
고추장을 준비한 후, 고추장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젖갈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젖갈 40 ~ 50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추장 100 중량부 대비 3 ~ 7 중량부의 매실액기스를 첨가하는 혼합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젖갈제조단계에 사용되는 소금 역시 통상의 젖갈 제조시 사용되는 소금에 비해 적게 사용되었다.
상기 젖갈은 시중에 공개되어 있는 갈치 젖갈에 비해 역한 향이 덜하며, 소금기가 적어 덜 짠 맛을 내게 된다.
도 3에는 본 공정에 따라 제조된 양념장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4. 밥준비단계
쌀과 물을 이용하여 고슬고슬하게 밥을 제조한다.
5. 투입단계
용기에 상기 밥준비단계에서 제조된 밥을 투입한 후, 그 위에 상기 준비된 부재료를 올려놓고, 상기 부재료 상부에 풀치회를 올려놓은 다음, 상기 양념장을 용기에 투입하여 비빔밥을 완성한다.
도 4는 양념장을 투입하기 전까지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풀치 비빔밥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풀치 비빔밥의 제조1
풀치 1kg을 구입하여 준비하고, 비늘을 제거한 후 내장을 제거한 다음 세척하고, 45도 각도로 0.5 ~1.5cm 정도의 너비로 절단하여 풀치회를 준비하였다.
콩나물을 구입하여 물에 삶아 100g을 준비하고, 소금 1g, 대파 6g, 다진 마늘 3g, 참기름 0.2g, 깨소금 1.5g을 계량하여 버무려 콩나물 무침을 준비하였다.
시금치를 구입하여 물에 대친 다음 소금 1g, 다진 파 6g, 다진 마늘 3g, 참기름 0.2g, 깨소금 1.5g을 계량하여 버무려 시금치 무침을 준비하였다.
배추를 구입하여 물에 대쳐 100g을 준비한 후, 소금 1g, 다진 마늘 3g, 생강즙 1g을 혼합하여 배추나물을 준비하였다.
무를 채 썰어 100g 준비한 후 팬에 3g의 새우젓을 첨가하고, 식용유를 두른 다음 팬에 볶아 무나물을 준비하였다.
생미역 100g을 준비한 후 5g의 된장을 혼합하여 미역무침을 준비하였다.
숙성된 김치 100g을 준비하고, 오이를 채 썰어 준비하였다.
솥에 쌀과 물을 넣고 밥을 지어 준비하였다.
한편, 이와 별도로 시중에서 풀치 1kg을 구입하여 준비하고, 소금 150g을 준비하여 풀치 위에 골고루 뿌려준 후 비닐에 쌓아 밀폐용기에 넣고 1년 6개월 동안 그늘에 보관하여 숙성시켜 젖갈을 제조하였다.
아울러, 고추장을 준비한 후 고추장 20g과 상기 젖갈 10g, 매실액기스 1g을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하였다.
도 4와 같이 적당량의 밥을 그릇에 넣고, 준비된 풀치회, 콩나물 무침, 시금치 무침, 배추나물, 무나물, 미역무침, 김치, 오이를 적당량 첨가하고, 양념장을 얹어 실시예 1의 풀치회 비빔밥을 제조하였다.
2. 풀치 비빔밥의 제조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양념장 제조시 젖갈을 사용하지 않고 고추장 30g, 매실엑기스 3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부재료 중 콩나물 무침은 소금을 3g 첨가하고, 고추가루 2g을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시금치 무침 및 배추나물 역시 소금은 3g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미역무침을 제외한 채 실시예 2의 풀치 비빔밥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실험1
제주도에서 한치회 비빔밥집에서 한치회 비빔밥을 구입하여 비교예 1으로 준비하였다.
제주도에서 광어 새꼬시가 포함된 비빔밥을 구입하여 비교예 2로 준비하였다.
제주도 회집에서 갈치회를 구입하여 준비한 후, 상추, 깻잎, 당근, 양파를 부재료로 준비하여 초고추장을 이용하여 비교예 3의 비빔밥을 준비하였다.
이어 비교예 1 내지 3의 비빔밥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풀치 비빔밥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관능검사는 맛, 향, 기호도로 구분하여 9 점 평정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 대 ~ 4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 명씩 총 40 명을 선발하였다.
구분 | 맛 | 향 | 기호도 | 종합 |
실시예1 | 8.4 | 8.7 | 8.7 | 8.6 |
실시예2 | 8.1 | 7.9 | 8.2 | 8.1 |
비교예1 | 7.3 | 6.2 | 6.4 | 6.6 |
비교예2 | 6.7 | 5.0 | 6.1 | 5.9 |
비교예3 | 4.5 | 3.7 | 3.5 | 3.9 |
* 관능 검사 수치(9 : 아주 좋음, 0 : 아주 나쁨)
상기 표 1의 결과로 볼 때, 실시예 1의 풀치 비빔밥이 맛과 향, 기호도 면에서 가장 우수했으며, 실시예 2의 경우도 비교예들에 비해 맛, 향, 기호도 면에서 우수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2는 시중의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것들로써 전체적으로 맛은 기준 이상이었으나, 향 부분에서는 특별한 향을 느낄 수 없는 바 보통 수준에 그쳤다.
이는 실시예 1,2가 향 부분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과 차별된다.
특히, 비교예 3의 갈치를 이용하여 일반 회비빔밥에 사용되는 야채들을 첨가하여 제조된 비빔밥의 경우 주재료가 실시예 1,2와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맛, 향, 기호도 모두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시예 1,2가 갈치가 아닌 풀치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맛, 향을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일반적으로 회비빔밥에 사용되는 부재료가 아닌 나물 비빔밥에 사용되는 재료들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기호도 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 비빔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풀치를 준비하여 풀치의 껍질 및 내장을 제거한 후 세척한 다음 뼈채 45도 각도로 너비 0.5 ~ 1.5cm로 절단하여 풀치회를 준비하는 풀치회준비단계와;
콩나물 무침, 시금치 무침, 배추나물, 무나물, 미역 무침, 오이, 김치로 이루어진 부재료를 준비하는 부재료준비단계와;
고추장을 베이스로 하는 양념장을 준비하는 양념장준비단계와;
쌀과 물을 이용하여 밥을 조리하여 준비하는 밥준비단계와;
용기에 상기 밥준비단계에서 제조된 밥을 투입한 후, 그 위에 상기 준비된 부재료를 올려놓고, 상기 부재료 상부에 풀치회를 올려놓은 다음, 상기 양념장을 용기에 투입하는 투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풀치 비빔밥 제조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장준비단계는,
별도의 풀치를 준비하는 풀치준비단계와;
상기 풀치준비단계에서 준비된 풀치 100 중량부 대비 15 ~ 20 중량부의 소금을 준비하여 풀치에 소금을 뿌려주는 소금도포단계와;
상기 소금이 도포된 풀치를 밀폐된 용기에 투입하고, 그늘진 곳에서 18 ~ 24개월 숙성시켜 젖갈을 제조하는 젖갈제조단계와;
고추장을 준비한 후, 고추장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젖갈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젖갈 40 ~ 50 중량부를 첨가하고, 고추장 100 중량부 대비 3 ~ 7 중량부의 매실액기스를 첨가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치 비빔밥 제조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준비단계에서
상기 콩나물 무침은 삶은 콩나물 100 중량부와, 상기 콩나물 100 중량부 대비 소금 1중량부, 대파 6중량부, 다진 마늘 3중량부, 참기름 0.2중량부, 깨소금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시금치 무침은 삶은 시금치 100 중량부와, 상기 시금치 100 중량부 대비 소금 1중량부, 다진 파 6중량부, 다진 마늘 3중량부, 참기름 0.2중량부, 깨소금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배추나물은 삶은 배추 100 중량부와, 상기 삶은 배추 100 중량부 대비 소금 1중량부, 다진 마늘 3중량부, 생강즙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무나물은 무를 채 썰어 준비한 후, 무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의 식용유를 팬에 두르고, 팬에 3 중량부의 새우젓을 첨가한 상태에서 무를 첨가하여 볶아 제조하고,
상기 미역무침은 생미역 100 중량부와, 상기 생미역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의 된장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치 비빔밥의 제조 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풀치회준비단계에서,
절단된 풀치회를 1 ~ 3℃의 온도로 6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된 풀치회를 -3 ~ -5℃의 온도로 4시간 동안 냉동시키는 냉동단계;가 추가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치 비빔밥의 제조 방법.
- 풀치 비빔밥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치 비빔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4138A KR101424981B1 (ko) | 2013-03-06 | 2013-03-06 | 풀치 비빔밥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4138A KR101424981B1 (ko) | 2013-03-06 | 2013-03-06 | 풀치 비빔밥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4981B1 true KR101424981B1 (ko) | 2014-08-01 |
Family
ID=5174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4138A KR101424981B1 (ko) | 2013-03-06 | 2013-03-06 | 풀치 비빔밥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498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8506B1 (ko) | 2020-11-12 | 2022-01-07 | 윤다솔 | 고추장풀치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6585B1 (ko) | 2009-12-08 | 2012-01-19 | 김전경 | 회 비빔밥용 고추장 소스 및 상기 고추장 소스를 함유한 비빔밥 |
-
2013
- 2013-03-06 KR KR1020130024138A patent/KR1014249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6585B1 (ko) | 2009-12-08 | 2012-01-19 | 김전경 | 회 비빔밥용 고추장 소스 및 상기 고추장 소스를 함유한 비빔밥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http://blog,naver,com/up_771004/117625578(2010.12.2.)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8506B1 (ko) | 2020-11-12 | 2022-01-07 | 윤다솔 | 고추장풀치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osking | A dictionary of Japanese food: Ingredients & culture | |
CN103859336B (zh) | 一种炝炒鱼调料及其炝炒鱼的烹制方法 | |
KR101074354B1 (ko) | 명란 소스 제조방법 | |
KR20180119807A (ko) | 치즈김치삼겹살꼬치구이 | |
CN106942682A (zh) | 清油火锅底料的制作工艺 | |
KR101368134B1 (ko) | 신규한 메기 가공방법 | |
KR101424981B1 (ko) | 풀치 비빔밥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190171B1 (ko) | 고춧가루를 함유한 조미료 조성물 | |
KR101702575B1 (ko) | 직화구이 닭발양념 편육 제조방법 | |
Hazelton | The Regional Italian Kitchen | |
KR101797871B1 (ko) | 순대바 및 그 제조방법 | |
Waters | Chez Panisse Pasta, Pizza, & Calzone: A Cookbook | |
KR102057191B1 (ko) | 전복 만두의 제조 방법 및 그 전복 만두 | |
KR102378655B1 (ko) | 냉짬뽕의 제조방법 | |
Hutton | Mini Malysian Favourites | |
Alejandro | Food of the Philippines | |
KR102121008B1 (ko) | 해물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해물찜 | |
KR102309276B1 (ko) | 능이버섯과 사골육수를 이용한 전골요리 및 이의 제조방법 | |
Choi et al. | Authentic recipes from Vietnam | |
Puck | Wolfgang Puck Cookbook: Recipes from Spago, Chinois, and Points East and West | |
Van Wyk | Traditional South African Cooking | |
KR20170012624A (ko) | 굴크로켓 및 그 제조방법 | |
Kho | Phoenix Claws and Jade Trees: Essential Techniques of Authentic Chinese Cooking: A Cookbook | |
CN110916141A (zh) | 一种卤制花生的制作方法 | |
Chung et al. | The Korean Table: From Barbecue to Bibimbap 100 Easy-To-Prepare Recip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