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447A -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447A
KR20210068447A KR1020217010403A KR20217010403A KR20210068447A KR 20210068447 A KR20210068447 A KR 20210068447A KR 1020217010403 A KR1020217010403 A KR 1020217010403A KR 20217010403 A KR20217010403 A KR 20217010403A KR 20210068447 A KR20210068447 A KR 20210068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up
pipe
pressur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765B1 (ko
Inventor
요시히코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모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모트
Publication of KR20210068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과제] 배설물 처리장치의 본체 내의 오수탱크에 저장된 오수를 직접 공기압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해서 오수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의 문제점을 없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체 커버(73)의 내부 일단측에 오수탱크(25)를 배치하고, 이 오수탱크(25)의 상판부에, 흡인밸브(31)를 개재해서 배관(44)을 결합하고, 또한, 상기 상판부에, 상기 오수탱크(25)로부터 외부의 공기배관(43)에 연통하는 흡인·압송구(30)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상판부에, 오수 분쇄장치(33)의 분쇄모터(34)를 부착하고, 이 분쇄모터(34)의 회전축(34a)을 상기 오수탱크(25)의 내부에 늘어뜨려 분쇄 블레이드(35)를 설치하고, 상기 오수탱크(25)의 바닥부에 압송밸브(32)를 개재해서 외부배출부(13)에 결합시키기 위한 외부 압송관(45)이 결합해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일어나지 못하는 또는 보행이 부자유스러운 이용자가 고간에 환자용 변기(컵)를 세트해서 배변을 했을 때에 처리를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로서, 이 배설물 처리장치에 저장한 오수를 오수탱크로부터 직접 외부에 배출하도록 한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 종류의 배설물 처리장치는,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지만 모두 오수탱크를 배설물 본체로부터 꺼내어 수세변기 등까지 운반해서 흘러 들어가게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높은 소취 효과를 얻기 위하여, 변기의 주위에 정화제 생성 공급 수단으로서, 오존 발생기, 탱크 조립체, 거품 발생 탱크, 압축 공기 공급부가 설치되고, 상측 커버가 해방되면, 오존 함유 거품의 집합체인 정화제가 변기 내에 공급되도록 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오존 발생기는, 오존 가스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청정한 건조 공기 또는 산소 중에서 무성 방전을 행하게 하는 것(오조나이저)이나 O3 램프를 이용하는 것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탱크 조립체는, 메인 탱크, 워셔 탱크, 워터 탱크, 정량 혼합 탱크, A액(물) 탱크, B액(계면활성제 용액) 탱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거품 발생 탱크는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바닥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는, 공기 탱크와, 이 공기 탱크 내에 탄성 지지체로 플로팅(floating) 지지된 압축기 및 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변기통(便鉢)의 세정수가 적어도 처리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휴대용 화장실이 기재되어 있다.
이 휴대용 화장실은, 이동 가능한 가동 베이스와, 이 가동 베이스에 설치된 변기통과, 이 변기통의 아래쪽에 배치된 버킷(bucket)과, 상기 변기통의 위쪽에 배치된 변좌와, 상기 변기통에 용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변기통 세정수 공급 수단은, 상기 변기통의 후부에 배치되어, 변기통 내부를 향해서 물을 분무하는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탱크 내의 물은, 배관, 펌프, 3방 전환밸브, 배관을 개재해서 분무 노즐에 공급하고, 또한, 탱크 내의 물은, 이 3방 전환밸브로부터 분기된 배관, 히터를 개재해서 온수로 되어, 온수 세정 노즐에 공급한다. 변좌에 착좌해서 용변을 행한 후, 온수 세정 노즐에 의해서 둔부를 건조시킨다. 그 후, 분무 노즐로부터 물을 분무해서, 변기통의 세정을 행한다. 분무 노즐로부터 물을 분무해서 변기통을 세정하므로, 물의 사용량이 적고, 버킷의 세정이나 탱크에의 물주입 횟수가 적어도 처리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상부의 변기통부와 하부의 오물 저장조를 구비하는 오물 포트로서, 변기통부의 하단부의 뚜껑체로 폐쇄할 때에, 밀봉을 확실하게 해서 악취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물 포트에 상부의 변기통부와, 용기 형상을 이루는 하부의 오물 저장조와, 변기통부의 하단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뚜껑체를 설치한다. 그리고 개구의 내주면에는, 테이퍼 형상의 암(female) 끼워맞춤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뚜껑체에는 암 끼워맞춤면에 끼워맞춤되는 수(male) 끼워맞춤면을 형성해서 이들을 끼워맞춤되도록 하고, 또한 뚜껑체의 수 끼워맞춤면은 개구의 암 끼워맞춤면의 테이퍼 각도보다 심한 급각도의 면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이동 가능한 화장실의 본체 위에 개폐가능한 변좌가 있고, 이 변좌 위에 덮개가 씌워지고, 상기 변좌 밑에는, 배설물을 수취 가능한 버킷이 설치되고, 이 버킷 밑에는, 거품물 탱크가 배치되고, 이 거품물 탱크 내에서 발생한 거품을 정기적으로 통관을 통해서 상기 버킷의 상단측쪽에서부터 버킷 내에 배출해서 버킷 내의 배설물을 항상 거품으로 덮도록 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JPH11-244193 A JP 2002-45307 A JP 2002-200005 A JP 2008-18188 A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장치는, 변기의 주위에 정화제 생성 공급 수단으로서, 오존 발생기, 탱크 조립체, 거품 발생 탱크, 압축 공기 공급부가 설치되고, 상측 커버가 개방되면, 오존 함유 거품의 집합체인 정화제가 변기 내에 공급되도록 한 것이 기재되고, 높은 소취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구조가 극히 복잡하고, 고가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에 나타낸 장치는, 배설 후에는, 둔부와 용기부를 분무 노즐로 세정하지만, 배설물은, 변기통의 밑에 설치한 버킷에 수납하고, 뚜껑을 덮는 것뿐이기 때문에, 악취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3에 나타낸 장치는, 오물 포트를 구성하는 변기통부와, 그 하부의 오물 저장조의 개구를 테이퍼 형상의 암수 끼워맞춤면의 뚜껑체로 뚜껑을 덮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배변 중의 악취의 발산을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4에 나타낸 장치는, 버킷 속에 소정 시간마다 거품을 공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배설물이 버킷에 직접 모아두기 때문에 용변 후에 시간의 경과와 함께 거품이 꺼져서 악취가 발산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수세식의 장치는, 절수형이라고는 해도 1회에 대해 적어도 4 내지 5리터의 세정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변기 내의 오물이 탱크나 버킷 내에 흘러가지 않고, 방 안에 악취가 충만하게 된다. 또한, 1회에 대해 4 내지 5리터의 세정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세정수 탱크와 오물을 수납하는 탱크도 함께 40 내지 50리터의 대용량인 것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곤란했다.
본 발명은, 배설물 처리장치의 본체 내의 오수탱크에 저장된 오수를 직접 공기압으로 외부에 배출하도록 해서 오수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의 문제점을 없앤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본체 커버(73)의 내부 일단측에 오수탱크(25)를 배치하고, 이 오수탱크(25)의 상판부에, 흡인밸브(31)를 개재해서 배관(44)을 결합하고, 또, 상기 상판부에, 상기 오수탱크(25)로부터 외부의 공기배관(43)에 연통하는 흡인·압송구(30)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상판부에, 오수 분쇄장치(33)의 분쇄모터(34)를 부착하고, 이 분쇄모터(34)의 회전축(34a)을 상기 오수탱크(25)의 내부에 늘어뜨려 분쇄 블레이드(35)를 설치하고, 상기 오수탱크(25)의 바닥부에 압송밸브(32)를 개재해서 외부배출부(13)에 결합시키기 위한 외부 압송관(45)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내부의 오수탱크(25)에 대치한 본체 커버(73)의 외측에, 상기 배관(44)과 컵(15)의 배변 흡인관(19)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반(23)을 설치하고, 이 조인트반(23)에는 또한 상기 컵(15)에의 송풍관(20)과 송수관(21)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컵(15)에의 전기코드(2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무선 급전부(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인트반(23)의 아래쪽부의 상기 본체 커버(73)에, 외부 압송관(45)과 외부배출부(13)를 결합시키기 위한 외부 접속 조인트(48)를 설치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본체 커버(73)의 내부 타단측에, 하부에 흡입모터(26)를 배치하고, 이 흡입모터(26)의 상부에, 세정수 탱크(53)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본체 커버(73)의 내부의 상기 흡입모터(26)와 오수탱크(25) 사이에, 흡입모터(26)에 의한 흡인과 압송의 전환을 하는 전환밸브(27), 상기 공기배관(43)에 설치된 미스트 필터(40), 악취 필터(41), 압력센서(42), 상기 전환밸브(27)와 상기 컵(15) 사이를 결합하는 송풍관(65)에 설치된 냉각 박스(66), 리턴박스(67)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를 구비하고, 상기 컵(15)을 기저귀(100)를 개재해서 장착했을 때의 컵(15)의 내부로부터 상기 컵(15)의 배변 흡인관(19), 배관(44), 흡인밸브(31), 오수탱크(25)의 내부, 흡인·압송구(30), 공기배관(43), 악취 필터 박스(41), 압력센서(42), 전환밸브(27)의 송풍측(A)의 한쪽, 흡입모터(26), 전환밸브(27)의 송풍측(A)의 다른 쪽, 송풍관(65), 냉각 박스(66), 리턴박스(67), 컵(15)의 송풍관(20), 컵의 내부로 되돌리는 공기 순환로를 형성하고, 순환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리턴박스(67)에 설치한 필터(69)를 거쳐서 배기 조임밸브(68)로부터 외기에 배기하고, 그 배기량을 상기 기저귀(100)의 간극으로부터 흡인해서 악취를 외기에 방출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상기 압력센서(42)에 의해 공기 순환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귀(100)의 간극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인에 따르는 압력변화를 검출하고, 이 압력의 고저에 의해 기저귀(100)의 장착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오수탱크(25)로부터의 외부배출부(13)에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배출부(13)는, 외부 접속 조인트(48)에 배수관(50)을 연장시켜 수세변기(49)의 배출 트랩(51)에 삽입해서 하수배관(52)에 주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오수탱크(25)로부터의 외부배출부(13)로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배출부(13)는, 하수배관(52)의 바닥위 청소구(110)에, 연결기(111)에 의해서 배수관(50)을 연결해서 흘러 들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오수탱크(25)로부터의 외부배출부(13)로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배출부(13)는, 세면대(112) 등의 잡배수관(113)의 트랩(114) 뒤에 역류 방지관(115)을 형성해서 연결해서 흘러 들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를 구비하고,
상기 오수탱크(25)의 흡인측의 흡인밸브(31)는, 밸브 부착판(81)에 흡배구멍(吸排孔)(82)이 형성되고, 이 흡배구멍(82)에 오수탱크(25)의 배관(44)을 기밀하게 부착하고, 이 밸브 부착판(81)의 일단부에 설치한 회전축(88)에 탄성을 갖는 요동암(84)을 요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요동암(84)에 압압 조절 나사(89)를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압압 조절 나사(89)의 하단부를 슬라이더(83)에 압접하고, 상기 흡배구멍(82)의 전체 주위에 내측에 팽출 가장자리부(86)를 형성하고, 이 팽출 가장자리부(86)에 연속해서 동일 높이의 가이드 레일(87)을 상기 슬라이더(83)의 요동 방향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 설치판(81)에, 상기 회전축(88)과 반대쪽에 반달 모양의 가이드 홈(85)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홈(85)에 상기 요동암(84)의 선단부(84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상기 팽출 가장자리부(86)에 접해서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더(83)의 가장자리부에 칼 형상부(9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체 커버(73)의 내부 일단측에 오수탱크(25)를 배치하고, 이 오수탱크(25)의 상판부에, 흡인밸브(31)를 개재해서 배관(44)을 결합하고, 또, 상기 상판부에, 상기 오수탱크(25)로부터 외부의 공기배관(43)에 연통하는 흡인·압송구(30)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상판부에, 오수 분쇄장치(33)의 분쇄모터(34)를 부착하고, 이 분쇄모터(34)의 회전축(34a)을 상기 오수탱크(25)의 내부에 늘어뜨려 분쇄 블레이드(35)를 설치하고, 상기 오수탱크(25)의 바닥부에 압송밸브(32)를 개재해서 외부배출부(13)에 결합시키기 위한 외부 압송관(45)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오수탱크(25)로부터 컵(15)에의 접속과 분리, 그리고 오수탱크(25)로부터 외부 압송관(45)의 접속과 분리를 본체 커버(73)의 일단면에서 모두 처리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내부의 오수탱크(25)에 대치한 본체 커버(73)의 외측에, 상기 배관(44)과 컵(15)의 배변 흡인관(19)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반(23)을 설치하고, 이 조인트반(23)에는, 또한 상기 컵(15)에의 송풍관(20)과 송수관(21)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컵(15)에의 전기코드(2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무선 급전부(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인트반(23)의 아래쪽부의 상기 본체 커버(73)에, 외부 압송관(45)과 외부배출부(13)를 결합시키기 위한 외부 접속 조인트(48)를 설치해서 이루어지므로, 컵(15)과의 결합 시의 송풍관(20), 송수관(21), 전기코드(22)의 착탈이 용이하고, 또한, 전기코드(22)는, 무선 급전부(24)를 개재하고 있으므로, 인체에의 통전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본체 커버(73)의 내부 타단측에, 하부에 흡입모터(26)를 배치하고, 이 흡입모터(26)의 상부에, 세정수 탱크(53)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본체 커버(73)의 내부의 상기 흡입모터(26)와 오수탱크(25) 사이에, 흡입모터(26)에 의한 흡인과 압송의 전환을 하는 전환밸브(27), 상기 공기배관(43)에 설치된 미스트 필터(40), 악취 필터(41), 압력센서(42), 상기 전환밸브(27)와 상기 컵(15) 사이를 결합하는 송풍관(65)에 설치된 냉각 박스(66), 리턴박스(67)를 배치했으므로, 오수탱크(25)와 외부배관의 접속 상태의 감시가 용이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를 구비하고, 상기 컵(15)을 기저귀(100)를 개재해서 장착했을 때의 컵(15)의 내부로부터 상기 컵(15)의 배변 흡인관(19), 배관(44), 흡인밸브(31), 오수탱크(25)의 내부, 흡인·압송구(30), 공기배관(43), 악취 필터 박스(41), 압력센서(42), 전환밸브(27)의 송풍측(A)의 한쪽, 흡입모터(26), 전환밸브(27)의 송풍측(A)의 다른 쪽, 송풍관(65), 냉각 박스(66), 리턴박스(67), 컵(15)의 송풍관(20), 컵의 내부로 되돌리는 공기 순환로를 형성하고, 순환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리턴박스(67)에 설치한 필터(69)를 거쳐서 배기 조임밸브(68)로부터 외기에 배기하고, 그 배기량을 상기 기저귀(100)의 간극으로부터 흡인해서 악취를 외기에 방출하지 않도록 했으므로, 컵(15)과 공기 순환로에 있어서의 악취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력센서(42)에 의해 공기 순환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귀(100)의 간극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인에 따르는 압력변화를 검출하고, 이 압력의 고저에 의해 기저귀(100)의 장착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했으므로, 기저귀(100)의 장착의 숙련 정도에 관계없이, 항상 정상인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오수탱크(25)로부터의 외부배출부(13)로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배출부(13)는, 외부 접속 조인트(48)에 배수관(50)을 연장하여 수세변기(49)의 배출 트랩(51)에 삽입해서 하수배관(52)에 흘러 들어가도록 했으므로, 외부 접속 조인트(48)에 결합한 배수관(50)과 하수배관(52) 사이에 특별히 공사하는 일 없이 오수를 공기압으로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오수탱크(25)로부터의 외부배출부(13)로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배출부(13)는, 하수배관(52)의 바닥위 청소구(110)에, 연결기(111)에 의해서 배수관(50)을 연결해서 흘러 들어가도록 했으므로, 바닥위 청소구(110)가 있으면 전용의 연결기(111)에 의해 확실하게 하수배관(52)에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오수탱크(25)로부터의 외부배출부(13)로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배출부(13)는, 세면대(112) 등의 잡배수관(113)의 트랩(114) 뒤에 역류 방지관(115)을 형성해서 연결해서 흘러 들어가도록 했으므로, 잡배수관(113)에 오수가 역류하는 일 없이 배수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를 구비하고,
상기 오수탱크(25)의 흡인측의 흡인밸브(31)는, 밸브 부착판(81)에 흡배구멍(82)이 형성되고, 이 흡배구멍(82)에 오수탱크(25)의 배관(44)을 기밀하게 부착하고, 이 밸브 부착판(81)의 일단부에 설치한 회전축(88)에 탄성을 갖는 요동암(84)을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요동암(84)에 압압 조절 나사(89)를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압압 조절 나사(89)의 하단부를 슬라이더(83)에 압접하고, 상기 흡배구멍(82)의 전체 주위에 내측에 팽출 가장자리부(86)를 형성하고, 이 팽출 가장자리부(86)에 연속해서 동일 높이의 가이드 레일(87)을 상기 슬라이더(83)의 요동 방향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 설치판(81)에, 상기 회전축(88)과 반대쪽에 반달 모양의 가이드 홈(85)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홈(85)에 상기 요동암(84)의 선단부(84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하였으므로, 슬라이더(83)가 탄성을 갖는 요동암(84)으로 팽출 가장자리부(86)에 밀접하고, 그리고 슬라이더(83)의 전체 주위에 팽출 가장자리부(86)가 형성됨으로써, 밸브 부착판(81)에 오물 등이 부착되어도 항상 밀접해서 유도해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팽출 가장자리부(86)에 접해서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더(83)의 가장자리부에 칼 형상부(92)를 형성했으므로, 밸브 부착판(81)의 흡배구멍(82)에 오물등이 걸려도 칼 형상부(92)로 절단해서 원활하게 오수를 통과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제어회로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본체 커버를 뺀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본체 커버를 뺀 후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에 이용한 흡인밸브(또는 압송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흡인밸브(또는 압송밸브)의 상세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c)는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기저귀 부착 환자용 변기의 분해 사시도로, (a)는 내측의 사시도, (b)는, 기저귀의 사시도, (c)는 외측의 사시도, (d)는 기저귀 부착 환자용 변기를 이용자의 고간부에 세트한 설명도이다.
도 9(a)는 오수탱크로부터 배수관의 선단부를 하수배관의 바닥 위 청소구에 연결구로 연결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오수탱크로부터 배수관의 선단부를 세면대의 배수관에 연결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오수탱크로부터 오수를 외부에 압송하는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사용에 앞서 환자용 변기(컵)을 세정하는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환자용 변기(컵)을 소변 검지 후에 세정하는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환자용 변기(컵)을 대변 검지 후에 세정하는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간병인에 의한 기저귀를 정상적으로 세트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본체 커버(73)의 내부 일단측에 오수탱크(25)를 배치하고, 이 오수탱크(25)의 상판부에, 흡인밸브(31)를 개재해서 배관(44)을 결합하고, 또한, 상기 상판부에, 상기 오수탱크(25)로부터 외부의 공기배관(43)에 연통하는 흡인·압송구(30)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상판부에, 오수 분쇄장치(33)의 분쇄모터(34)를 부착하고, 이 분쇄모터(34)의 회전축(34a)을 상기 오수탱크(25)의 내부에 늘어뜨려 분쇄 블레이드(35)를 설치하고, 상기 오수탱크(25)의 바닥부에 압송밸브(32)를 개재해서 외부배출부(13)에 결합시키기 위한 외부 압송관(45)에 결합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내부의 오수탱크(25)에 대치한 본체 커버(73)의 외측에, 상기 배관(44)과 컵(15)의 배변 흡인관(19)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반(23)을 설치하고, 이 조인트반(23)에는, 또한, 상기 컵(15)에의 송풍관(20)과 송수관(21)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컵(15)에의 전기코드(2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무선 급전부(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인트반(23)의 아래쪽부의 상기 본체 커버(73)에, 외부 압송관(45)과 외부배출부(13)를 결합시키기 위한 외부 접속 조인트(48)를 설치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체 커버(73)의 내부 타단측에, 하부에 흡입모터(26)를 배치하고, 이 흡입모터(26)의 상부에, 세정수 탱크(53)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본체 커버(73)의 내부의 상기 흡입모터(26)와 오수탱크(25) 사이에, 흡입모터(26)에 의한 흡인과 압송의 전환을 하는 전환밸브(27), 상기 공기배관(43)에 설치된 미스트 필터(40), 악취 필터(41), 압력센서(42), 상기 전환밸브(27)와 상기 컵(15) 사이를 결합하는 송풍관(65)에 설치된 냉각 박스(66), 리턴박스(67)를 배치한다.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를 구비하고, 상기 컵(15)을 기저귀(100)를 개재해서 장착했을 때의 컵(15)의 내부로부터 상기 컵(15)의 배변 흡인관(19), 배관(44), 흡인밸브(31), 오수탱크(25)의 내부, 흡인·압송구(30), 공기배관(43), 악취 필터 박스(41), 압력센서(42), 전환밸브(27)의 송풍측(A)의 한쪽, 흡입모터(26), 전환밸브(27)의 송풍측(A)의 다른 쪽, 송풍관(65), 냉각 박스(66), 리턴박스(67), 컵(15)의 송풍관(20), 컵의 내부로 되돌리는 공기 순환로를 형성하고, 순환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리턴박스(67)에 설치한 필터(69)를 거쳐서 배기 조임밸브(68)로부터 외기에 배기하고, 그 배기량을 상기 기저귀(100)의 간극으로부터 흡인해서 악취를 외기에 방출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압력센서(42)에 의해 공기 순환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귀(100)의 간극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인에 따르는 압력변화를 검출하고, 이 압력의 고저에 의해 기저귀(100)의 장착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숙련도에 관계없이, 항상 정상적으로 기저귀(100)를 장착할 수 있다.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오수탱크(25)로부터의 외부배출부(13)로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배출부(13)는, 외부 접속 조인트(48)에 배수관(50)을 연장하여 수세변기(49)의 배출 트랩(51)에 삽입해서 하수배관(52)에 흘러 들어가게 한다.
또,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오수탱크(25)로부터의 외부배출부(13)로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배출부(13)는, 하수배관(52)의 바닥위 청소구(110)에, 연결기(111)에 의해서 배수관(50)을 연결해서 집어넣는다.
또한,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오수탱크(25)로부터의 외부배출부(13)로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배출부(13)는, 세면대(112) 등의 잡배수관(113)의 트랩(114) 뒤에 역류 방지관(115)을 형성해서 연결해서 흘러 들어가게 한다.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를 구비하고,
상기 오수탱크(25)의 흡인측의 흡인밸브(31)는, 밸브 부착판(81)에 흡배구멍(82)이 형성되고, 이 흡배구멍(82)에 오수탱크(25)의 배관(44)을 기밀하게 부착하고, 이 밸브 부착판(81)의 일단부에 설치한 회전축(88)에 탄성을 갖는 요동암(84)을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요동암(84)에 압압 조절 나사(89)를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압압 조절 나사(89)의 하단부를 슬라이더(83)에 압접하고, 상기 흡배구멍(82)의 전체 주위에 내측에 팽출 가장자리부(86)를 형성하고, 이 팽출 가장자리부(86)에 연속해서 동일 높이의 가이드 레일(87)을 상기 슬라이더(83)의 요동 방향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 설치판(81)에, 상기 회전축(88)과 반대쪽에 반달 모양의 가이드 홈(85)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홈(85)에 상기 요동암(84)의 선단부(84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팽출 가장자리부(86)에 접해서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더(83)의 가장자리부에 칼 형상부(92)를 형성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9)의 실시예 1을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있어서, 배설물 처리장치(9)는, 침대나 침실에 설치해도 방해되지 않고, 간병인이 사용하기 쉽도록, 폭이 약 230㎜, 깊이가 약 650㎜이고, 본체 베이스(72) 위에 본체 커버(73)를 배치한 높이가 약 500㎜의 크기로 다소 좁은 폭의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본체 베이스(72)의 앞 부분 양측에는, 직경 약 200㎜의 다소 큼직한 타이어가 부착된 전륜(79)이 설치되고, 후부 양측에는, 선회 가능한 직경 약 50㎜의 작은 후륜(8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 커버(73)의 전면에는 상부에 동작이 정상(정지 점등), 에러(점멸 점등)를 표시하는 2개의 표시등(78)이 설치되고, 거의 중간부에는, 조작 패널(75)과 리모컨(76)과 전원 콘센트(77)가 도출되어 있다. 상기 조작 패널(75)은, 간병인이 손에 들고 조작하도록 해도 되고, 이 조작 패널(75)을 본체 커버(73)의 상부면에 설치해서 조작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리모컨(76)은, 침대 위의 이용자가 손에 들고서 간호사 호출 스위치(99)나 배설물 처리장치(9)의 온, 오프 등의 간단한 조작을 한다.
상기 본체 커버(73)의 상부면에는, 세정수 탱크(53)의 세정수의 보급 시에 개폐하는 뚜껑체(74a)가 설치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오수탱크(25)의 상부면의 연결 상태, 그 밖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의 검사 시에 개폐하는 뚜껑체(74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 베이스(72)의 상부면에서, 본체 커버(73)의 내부에는, 앞 부분의 아래쪽에 흡입모터(26)가 방음과 방진 대책이 시행되어서 설치되고, 이 흡입모터(26) 위에 서브탱크(54)가 고정되고, 이 서브탱크(54)에 착탈 가능하게 세정수 탱크(53)가 끼워맞춤된다. 또, 상기 흡입모터(26)의 일단부에는, 흡인과 압송의 2위치를 전환하는 전환밸브(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 커버(73)의 후부측에 오수탱크(2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오수탱크(25)의 앞부분에는, 리턴박스(67)가 배치되고, 이 리턴박스(67)의 상부에, 조인트반(23)과 무선 급전부(24)가 부착되고, 이 조인트반(23)에는, 상부에 배변 흡인관(19)의 연결부가 설치되고, 하부에 환자용 변기(15)에의 송풍관(20)과 송수관(21)이 설치되고, 상기 무선 급전부(24)에 전기코드(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모터(26)와 오수탱크(25) 사이에는, 보온 탱크(60), 물 펌프(57), 미스트 필터(40), 악취 필터 박스(41), 압력센서(42), 냉각 박스(66)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의해 각 부의 구성 부위의 개략의 배치를 설명했지만, 더욱 공기의 흐름, 물의 흐름, 전기의 흐름에 대해서, 도 1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9)는,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환자용 변기(15)(이하, 컵(15)이라고도 칭함)를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후술하는 외부배출부(13)로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컵 제어부(10)에의 세정수를 제어하는 세정수 제어부(12)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와,
CPU(64)를 주체로 해서 장치 전체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전기적 제어부(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컵 제어부(10)에 있어서, 상기 컵(15)은, 기저귀(100)와 함께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104)의 고간의 배설기관의 위치에 장착된다.
도 8(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컵(15)은 기저귀(100)와 외측(101)과 내측(1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102)에는, 배변받이부(16) 내에 대변센서(17)와 소변센서(18)를 구비하고, 배뇨받이부(105)에 세정 노즐(20)을 구비한다. 상기 배변받이부(16)에 연통하는 배변 흡인관(19)이 설치되고, 상기 배뇨받이부(105)의 후면에 송풍관(20), 송수관(21), 전기코드(22)가 설치된다.
상기 기저귀(100)는, 내측(102)과 외측(101) 사이의 간극에 끼워맞춤되고, 중앙부분을 내측 방수지(106)로 하고, 이 내측 방수지(106)의 외주부를 쿠션재(108)로 한다.
상기 내측 끼워맞춤오목부(107)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배변부 끼워맞춤벽과 배뇨부 끼워맞춤벽에, 내측(102)을 끼워맞춤했을 때 배변받이부(17)와 배뇨받이부(105)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바와 같은 연질재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형성한다.
상기 외측(101)에는, 내측(102)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101)의 내주위 사이의 간극에 기저귀(100)를 밀착해서 사이에 끼워유지하는 내측 끼워맞춤오목부(107)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외측(101) 전단부에 엉덩이받이부를 부착한다.
상기 기저귀(100)와 외측(101)과 내측(102)은, 다음 공정으로 조립된다.
최초의 공정에서, 배변받이부(16)와 배뇨받이부(105)와 배변 흡인관(19)을 구비하고, 환자용 변기로서 기능하는 내측(102)에, 고간에 장착하기 위한 기저귀(100)를 상기 내측(102)의 배후에 꼭 댄다.
다음 공정에서, 상기 내측(102)의 앞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기저귀(100)의 배후에서부터 외측(101)을 대고 상기 내측(102)과 함께 상기 기저귀(100)의 내측 방수지(106) 부분을 사이에 끼워유지한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흡인·압송제어부(11)는, 상기 오수탱크(25)와 흡입모터(26)를 주체로 한다.
상기 오수탱크(25)의 상판부에는, 배관(44)이 개폐를 제어하는 흡인밸브(31)를 개재해서 연결되고, 또, 흡인·압송구(30)와 오수 분쇄장치(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수 분쇄장치(33)를 구성하는 분쇄모터(34)의 회전축(34a)의 하단부에는, 분쇄 블레이드(35)가 설치되고, 분쇄 바구니(36)의 경사 가이드면에서 중앙에 모아진 배변이나 화장지 등의 고형물을 분쇄하고, 작은 구멍(37)으로부터 분쇄 바구니(36)의 밖으로 오수와 함께 배출한다. 상기 오수탱크(25)(예를 들어 8리터)의 내부에는, 오수의 만수 센서(39)(예를 들어 약 3리터로 검지)와 공센서(空センサ-)(38)(예를 들어 0.2리터로 검지)가 설치되고, 밑판의 측부에는, 압송밸브(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만수 센서(39)는, 오수탱크(25)의 중앙부나 약간 아래쪽에 부착됨으로써, 배설물 처리장치(9)의 이동이나 경사로 오수가 오수탱크(25)로부터 새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분쇄된 오물과 오수는, 압송밸브(32)를 개구했을 때, 후술하는 공기의 압송으로 체크밸브(27)와 역류 방지 트랩(46)을 거쳐서 오수 압송관(45)에 보내져, 외부 접속 조인트(48)로 결합된 외부배출부(13)로 배출된다. 이 외부배출부(13)의 구체예는 후술한다.
상기 배관(44)의 타단부는, 조인트반(23)의 위치에서 상기 배변 흡인관(19)에 연결된다. 상기 오수탱크(25)의 상부면의 흡인·압송구(30)에는, 공기배관(43)이 연결된다. 이 공기배관(43)은, 미스트 필터(40)와 악취 필터(41)와 압력센서(42)을 개재해서 상기 전환밸브(27)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전환밸브(27)는, 송풍측(A)와 압송측(B)이 밸브 모터(28)에 의해 전환되고, 압송측(B)의 일단부가 외기(29)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전환밸브(27)의 송풍측(A)의 다른 쪽에 연결된 송풍관(65)은, 냉각 박스(66)와 리턴박스(67)를 거쳐서 조인트반(23)에 의해 상기 송풍관(20)에 연결된다.
상기 리턴박스(67)에는, HEPA 필터(69)와 송풍 온도 센서(70)와 과상승온도 감시센서(71)를 구비하고, 또한, 순환로를 순회하는 공기의 10% 정도를 외기에 방출하는 배기 조임편(6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환밸브(27)가 송풍측(A)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컵(15)의 배변 흡인관(19), 배관(44), 흡인밸브(31), 오수탱크(25)의 내부, 흡인·압송구(30), 미스트 필터(40), 공기배관(43), 악취 필터 박스(41), 압력센서(42), 전환밸브(27)의 송풍측(A)의 한쪽, 흡입모터(26), 전환밸브(27)의 송풍측(A)의 다른 쪽, 송풍관(65), 냉각 박스(66), 리턴박스(67), 컵(15)의 송풍관(20), 컵의 내부를 거쳐서 상기 배변 흡인관(19)에 되돌리는 공기 순환로가 형성된다.
이 공기 순환로의 공기를 흡입모터(26)로 흡인하면, 이용자(104)의 고간에 세트된 상태에서 기저귀(100)와 고간의 간극으로부터 외기를 흡인해서 악취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 흡인한 공기량만 배기 조임밸브(68)로부터 악취를 제거해서 외기에 방출한다.
기저귀(100)를 부착한 컵(15)의 고간에의 압박정도에 의해, 외기를 흡인하는 공기량이 다르면,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없게 되므로, 기저귀(100)를 부착한 컵(15)의 고간에의 설치를 거의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공기 순환로 내의 압력센서(42)로 감시한다. 이 때의 조작은 후술한다.
상기 오수탱크(25)에 부착한 흡인밸브(31)와 압송밸브(32)의 구체적 구조를 도 6 및 도 7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상기 흡인밸브(31)(압송밸브(32)도 동일구조)는, 밸브 부착판(81)에 흡배구멍(82)이 형성되고, 이 흡배구멍(82)을 오수탱크(25)의 배관(44)의 연결구 내면에 일치시킨 상태로 기밀하게 부착된다. 이 밸브 부착판(81)의 일단부에는, 회전축(88)의 선단부가 안쪽에 돌출하고, 이 회전축(88)에 탄성을 갖는 요동암(84)이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요동암(84)에는, 2개의 압압 조절 나사(89)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2개의 압압 조절 나사(89)의 하단부가 슬라이더(83)의 오목부(91)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상기 흡배구멍(82)의 전체 주위에 내측에 팽출 가장자리부(86)가 형성되고, 이 팽출 가장자리부(86)에 연속해서 동일 높이의 가이드 레일(87)이 상기 슬라이더(83)의 요동 방향으로 신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 설치판(81)은, 상기 회전축(88)과 반대쪽이 반달 모양으로 굴곡되고, 이 반달 모양부분의 내측에 가이드 홈(85)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홈(85)에 상기 요동암(84)의 선단부(84a)가 끼워맞춤되면서 슬라이딩한다. 상기 슬라이더(83)의 가장자리부에는, 칼 형상부(9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88)의 오수탱크(25)의 외측에는, 2개의 기어(93)를 개재해서 모터(94)의 모터축(95)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88)에 부착된 요동암(84)은, 선단부(84a)를 가이드 홈(85)에 끼워맞춤하고, 중간부에 2개의 압압 조절 나사(89)로 슬라이더(83)를 지지한다. 이 슬라이더(83)가 요동암(84)의 탄성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팽출 가장자리부(86)와 가이드 레일(87)에 접하도록 압압조정 나사(89)로 조정해서, 슬라이딩해서 흡배구멍(82)을 개폐 제어한다. 이때, 슬라이더(83)의 칼 형상부(92)가, 오물 기타의 고형물을 절단해서 확실하게 흡배구멍(82)을 차단한다.
압송밸브(32)는, 상기 흡인밸브(31)와 동일구조이며, 오수탱크(25)의 바닥부의 내측에 부착되어서 오수를 외부로 압송할 때에 확실하게 개폐된다.
상기 흡인밸브(31) 또는 압송밸브(32)의 개폐는, 요동암(84)의 스토퍼(96)의 위치에 포토센서 등을 설치해서 확실한 개폐를 제어한다.
도 1에 있어서의 상기 세정수 제어부(12)에 있어서, 세정수 탱크(53)는, 1일 10회 정도의 배변, 배뇨의 사용량으로서 3리터 정도의 세정수를 저장하는 용량을 갖고, 바닥부 가까이에 수위센서(55)를 갖는 서브탱크(54)에 끼워맞춤된다. 이 서브탱크(54)에는, 상기 세정수 탱크(53)로부터 0.5리터 정도의 세정수가 자연낙하해서 상시 보충되고 있다. 이 용량의 서브탱크(54)에는, 필터(26)를 개재해서 물 펌프(57)가 연결되고, 이 물 펌프(57)는 타이머에 의해 구동 시간이 제어된다. 상기 서브탱크(54)에는, 필요에 따라서 물 빼는 수동의 드레인(59)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 펌프(57)에는, 릴리프 밸브(58)가 결합되고, 상기 물 펌프(57)에 결합된 컵에의 공급로가 어떠한 이상 시에 작동해서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해서 보호한다.
상기 물 펌프(57)는, 온도 퓨즈와 온도 센서와 만수 센서를 갖는 보온 탱크(60), 세정수의 보내기를 제어하는 세정밸브(61), 온도 센서와 과상승 온도 센서를 갖는 안전탱크(63)를 거쳐서 조인트반(23)에 연결된 송수관(21)에 연결된다. 상기 세정밸브(61)와 안전탱크(63) 사이에는, 컵(15)까지의 사이의 관로내 세정수를 배출하는 물빼기 펌프(6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배출부(13)는, 제1 예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접속 조인트(48)에 배수관(50)을 연장시켜 수세변기(49)의 배출 트랩(51)에 삽입해서 하수배관(52)에 흘러 들어가도록 한다. 이 예에서는, 기존의 수세변기(49)를 사용하므로 신규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수세변기(49)에 배수관(50)을 집어넣으므로, 수세변기(49)가 막히는 일이 없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 상시 배수관(50)을 집어넣어두면, 수세변기(49)의 뚜껑이 닫히지 않거나, 수세변기(49)가 역류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외부배출부(13)는, 제2 예로서,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수배관(52)의 바닥위 청소구(110)에, 연결구(111)에 의해서 배수관(50)을 연결한다. 이 예에서는, 하수배관(52)의 바닥위 청소구(110)를 갖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바닥위 청소구(110)의 형상이 메이커에 따라 다르므로, 각각 일치하는 전용의 연결구(111)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3 예로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면대(112) 등의 잡배수관(113)의 트랩(114) 뒤에 역류 방지관(115)을 형성해서 연결한다. 이 예에서는, 잡배수관(113)은 음료수를 취급하고 있을 경우가 있으므로, 위생면의 처치가 필요로 된다.
상기 전기적 제어부(1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64)에 각종 스위치, 센서, 램프 등이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패널(75)의 스위치류로서, 스타트, 보온 탱크(60)의 세정 온도설정, 환자용 변기(15)로부터의 흡인, 오수탱크(25)로부터의 압송, 각종 표시등의 표시 전환의 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 패널(75)의 램프로서, 전원, 세정수 부족, 오수 만수, 컵 접속, 리모컨 접속, 2자리의 수치표시, 흡인압의 "고", "저"의 표시 램프를 갖는다.
상기 CPU(64)에는, 흡입모터(26)에의 출력, 압력센서(42)의 입력, 리턴박스(67)의 온도 센서(70)와 과상승 온도 센서(71)의 입력, 오수탱크(25)의 만수 센서(39)와 공센서(38)의 입력, 보온 탱크(60)에의 출력과 만수 센서·온도 센서·과상승 온도 센서의 입력, 물 펌프(57)에의 출력, 보온 탱크(60)에 수돗물 직결 시의 만수 센서·온도 센서·과상승 온도 센서의 입력, 세정밸브(61)에의 출력, 물빼기 공기펌프(62)에의 출력, 안전탱크(63)의 온도 센서·과상승 온도 센서의 입력, 컵(15)의 대변센서(17)·소변센서(18)가 접속된 수전 기판(24a)과 송전 기판(24b)으로 이루어진 무선 급전부(24)의 입출력, 밸브 모터(28)에의 출력과 개방 센서·폐쇄 센서의 입력, 흡인밸브(31)의 모터(28)에의 출력과 개방 센서·폐쇄 센서의 입력, 압송밸브(32)의 모터(28)에의 출력과 개방 포토센서·폐쇄 포토센서의 입력, 서브탱크(54)의 수위센서(55)의 입력, 호스피스 센서 기능을 위한 바이탈 센서패드(97)의 입력, 웹·와이파이 모듈(98)의 인터넷 접속을 위한 입출력, 간호사 호출 스위치(99)에의 출력, AC전원(77)의 누전 차단기의 입력, 리모컨(76)의 입력 등이 접속되어서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배설물 처리장치(9)의 작용을 설명한다.
1. 압송동작(컵(15)으로부터 흡인한 오수의 압송)
도 10
·흡인밸브(31)의 슬라이더(83)로 흡배구멍(82)을 닫는 동시에, 압송밸브(32)의 슬라이더(83)로 오수압송관(45)을 닫고, 전환밸브(27)를 B에 세트하고, 분쇄모터(34)를 5초간 회전시켜 오수탱크(25) 내의 오물에 혼입하는 고형물을 분쇄한다.
·압송밸브(32)를 개방하고, 흡입모터(26)를 구동해서, 외기(29)를 공기배관(43)으로부터 흡인·압송구(30)를 통해서 오수탱크(25) 내에 압송하고, 오수탱크(25) 내의 오수를 오수압송관(45)의 체크밸브(47)와 역류방지 트랩(46)을 개재해서 외부 접속 조인트(46)로부터 배출관(50)에 보내고, 수세변기(49)의 배출 트랩(51)으로부터 하수배관(52)에 오수를 배출한다. 수세변기(49)에 배출하는 이외에,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용의 연결구(111)로 바닥위 청소구(110)로부터 직접 하수배관(52)에 배출해도 되고, 또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잡배수관(113)의 트랩(114) 뒤에 역류 방지 가동관(115)을 개재해서 접속해서 오수를 하수배관(52)에 배출한다.
·오수탱크(25)의 공센서(38)로부터의 공출력(空出力)이 "예"가 되면, 더욱 흡입모터(26)를 5초간 구동해서 정지하고, 압송밸브(32)를 폐쇄하여 압송동작을 종료한다.
2. 컵(15)의 동작
이하의 컵(15)의 동작 설명에 있어서, 컵(15)의 조인트반(23)과 무선 급전부(24)를 결합하면, 공기와 물의 흐름이 연통한다.
도 11
·전원(73a)을 온시키고, 물부족 표시기가 비점등으로 되고, 알람 발생이 "아니오"가 되면, 컵 동작으로 대기한다.
·컵 소변센서(18)가 "예"가 되면, 후술하는 도 12의 컵 소변 흡인 동작이 스타트하고, 카운터로 +1을 가산한다.
·컵 소변센서(18)가 "아니오"이고, 컵 대변센서(17)가 "예"가 되면, 후술하는 도 13의 컵 대변 흡인 동작이 스타트하고, 카운터로 +2을 가산한다.
·카운터에서는, 소변 흡인이 4를 초과하면(4회분의 소변 모드의 오수가 쌓임), 대변 흡인이 2를 초과하면(2회분의 소변 모드의 오수가 쌓임), 전술한 도 10에 의한 압송동작이 스타트하고, 카운터가 0이 되면 원래로 되돌아간다.
3. 컵(15)의 소변 흡인 동작
도 12(a)
·전환밸브(27)가 A인 것을 확인하고, 흡입모터(26)를 작동한다.
·도 12(b)에 의한 컵 세정 동작을 스타트하고, 세정밸브(61)를 개방하고, 물펌프(57)를 작동하고, 세정수를 2초간 보내 세정하고, 물펌프(57)를 정지한다. 이때, 보온 탱크(60)에서 보온된 세정수의 온도를 안전탱크(63)로 체크한다.
·타이머로 2초 후, 소변 흡인 모드의 파라미터로서, 물펌프(57)의 세정 작업 시간을 2초, 세정 횟수 3회, 세정 간격 18초의 각 설정값을 각각의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재차, 도 12(b)에 의한 컵 세정 동작을 스타트해서 컵(15)을 세정한다.
·온수 펌프 세정 카운터를 +1로 한다. 그 다음에, 컵 대변센서(17)가 검출되지 않으면, 세정 카운터가 3회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컵 대변센서(17)가 검출되면, 대변 흡인 모드의 파라미터로서, 물펌프(57)의 세정 작업 시간을 4초, 세정 횟수 5회, 세정 간격 16초의 각 설정값을 각각의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또, 소변 흡인 처리의 세정 시에, 대변센서(17)를 검출했을 때는, 대변 흡인 모드로 이행해서 소변 흡인 모드로는 이행하지 않는다.
·세정 카운터가 세정 횟수에 달하면, 배관 내의 물에 있는 잔압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서, 타이머로 5초 후에, 물빼기 펌프(62)를 5초간 작동하여, 컵(15)의 배관 내의 잔수와 공기를 보내어, 컵(15) 내에 배출한다.
·물빼기 동작의 5초 후에 흡입모터(26)를 정지해서 종료한다.
4. 컵(15)의 대변 흡인 동작
도 13
·전환밸브(27)가 A인 것을 확인하고, 흡입모터(26)를 작동한다.
·전술한 도 12(b)에 의한 컵 세정 동작을 스타트하고, 세정밸브(61)를 개방하고, 물펌프(57)를 작동하고, 세정수를 2초간 보내 세정하고, 물펌프(57)를 정지한다. 이때, 보온 탱크(60)에서 보온된 세정수의 온도를 안전탱크(63)에서 체크한다.
·타이머로 2초 후, 대변 흡인 모드의 파라미터로서, 물펌프(57)의 세정 작업 시간을 4초, 세정 횟수 5회, 세정 간격 16초의 각 설정값을 각각의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재차, 도 12(b)에 의한 컵 세정 동작을 스타트해서 컵(15)을 세정한다.
·온수 펌프 세정 카운터를 +1로 한다. 이어서, 컵 대변센서(17)가 검출되지 않으면, 세정 카운터가 5회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세정 카운터가 세정 횟수에 도달하면, 배관 내의 물에 있는 잔압의 영향을 피하기 위하여, 타이머로 5초 후에, 물빼기 펌프(62)를 5초간 작동하여, 컵(15)의 배관 내의 잔수와 공기를 보내어, 컵(15) 내에 배출한다.
·물빼기 동작 5초 후에 흡입모터(26)를 정지시켜 종료한다.
5. 컵 장착의 감시 동작
상기 컵(15)의 공기 순환로에 있어서, 공기를 흡입모터(26)로 흡인하면, 이용자(104)의 고간에 장착된 기저귀(100)와 고간의 간극으로부터 외기를 흡인해서 악취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이 흡인한 공기량만큼 배기 조임밸브(68)로부터 악취를 제거해서 외기에 방출한다.
기저귀(100)의 장착은, 숙련도에 따라 고간에의 압박정도가 다르고, 외기를 흡인하는 공기량이 다르다. 그러면,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없어지므로, 흡인 상태를 "흡인압 부족", "흡인압 과대"로 표시함으로써, 기저귀(100) 장착이 적정한지의 여부를 하기의 동작으로 판정한다.
도 14
·컵(15)을 장착해서 소변 또는 대변의 처리를 개시한다.
·처리의 개시 당초에는, 기저귀(100)로부터의 흡인압 상태는, 고저 어느 것도 아니므로, LED는 소등하고 있다.
·상기 공기 순환로의 압력센서(42)로 흡인 압력을 처리한다.
·도 14(b)로 이행하여, 1초마다 흡인 압력을 취득하고, 예를 들면 10회의 이동 평균치를 연산하고, 메모리에 격납해서 종료한다.
·도 14(a)로 되돌아가, 그 압력값이 설정한 값보다 낮은가가 "예"이면, "저LED" 점등, "고LED" 소등으로 되어 원래로 되돌아가고, 압력값이 설정한 값보다 낮은가가 "아니오"이고, 압력값이 설정한 값보다 높은가로 이행하여, "예"이면, "저LED" 소등, "고LED" 점등으로 되어 원래로 돌아간다.
· 그 압력값이 설정한 값보다 낮은가가 "아니오"이고, 그리고 압력값이 설정한 값보다 높은가가 "아니오"이면, "저LED"와 "고LED"는 모두 소등이 되어, 정상인 것을 나타낸다.
· 정상인 상태에서, 소변 또는 대변의 처리중이 된다.
9: 배설물 처리장치, 10: 컵 제어부, 11: 흡인·압송제어부, 12: 세정수 제어부, 13: 외부배출부, 14: 전기적 제어부, 15: 컵, 16: 배변받이부, 17: 대변센서, 18: 소변센서, 19: 배변 흡인관, 20: 송풍관, 21: 송수관, 22: 전기코드, 23: 조인트반, 24: 무선 급전부, 25: 오수탱크, 26: 흡입모터, 27: 전환밸브, 28: 밸브 모터, 29: 외기, 30: 흡인·압송구, 31: 흡인밸브, 32: 압송밸브, 33: 오수 분쇄장치, 34: 분쇄모터, 40: 미스트 필터, 41: 악취 필터, 42: 압력센서, 43: 공기배관, 44: 배관, 45: 외부 압송관, 46: 역류 방지 트랩, 47: 체크밸브, 48: 외부 접속 조인트, 49: 수세변기, 50: 배수관, 53: 세정수 탱크, 67: 리턴박스, 68: 배기 조임밸브, 73: 본체 커버, 100: 기저귀, 110: 바닥 위 청소구, 113: 잡배수관.

Claims (10)

  1. 배설물 처리장치로서,
    본체 커버(73)의 내부 일단측에 오수탱크(25)를 배치하고, 상기 오수탱크(25)의 상판부에, 흡인밸브(31)를 개재해서 배관(44)을 결합하고, 또한, 상기 상판부에, 상기 오수탱크(25)로부터 외부의 공기배관(43)에 연통하는 흡인·압송구(30)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상판부에, 오수 분쇄장치(33)의 분쇄모터(34)를 부착하고, 상기 분쇄모터(34)의 회전축(34a)을 상기 오수탱크(25)의 내부에 늘어뜨려 분쇄 블레이드(35)를 설치하고, 상기 오수탱크(25)의 바닥부에 압송밸브(32)를 개재해서 외부배출부(13)에 결합시키기 위한 외부 압송관(45)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의 오수탱크(25)에 대치한 본체 커버(73)의 외측에, 상기 배관(44)과 컵(15)의 배변 흡인관(19)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반(23)을 설치하고, 상기 조인트반(23)에는, 또한, 상기 컵(15)에의 송풍관(20)과 송수관(21)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컵(15)에의 전기코드(2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무선 급전부(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인트반(23)의 아래쪽부의 상기 본체 커버(73)에, 외부 압송관(45)과 외부배출부(13)를 결합시키기 위한 외부 접속 조인트(48)를 설치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본체 커버(73)의 내부 타단측에, 하부에 흡입모터(26)를 배치하고, 상기 흡입모터(26)의 상부에, 세정수 탱크(53)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본체 커버(73)의 내부의 상기 흡입모터(26)와 오수탱크(25) 사이에, 흡입모터(26)에 의한 흡인과 압송의 전환을 하는 전환밸브(27), 상기 공기배관(43)에 설치된 미스트 필터(40), 악취 필터(41), 압력센서(42), 상기 전환밸브(27)와 상기 컵(15) 사이를 결합하는 송풍관(65)에 설치된 냉각 박스(66), 리턴박스(67)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4. 배설물 처리방법으로서,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를 구비하고, 상기 컵(15)을 기저귀(100)를 개재해서 장착했을 때의 컵(15)의 내부로부터 상기 컵(15)의 배변 흡인관(19), 배관(44), 흡인밸브(31), 오수탱크(25)의 내부, 흡인·압송구(30), 공기배관(43), 악취 필터 박스(41), 압력센서(42), 전환밸브(27)의 송풍측(A)의 한쪽, 흡입모터(26), 전환밸브(27)의 송풍측(A)의 다른 쪽, 송풍관(65), 냉각 박스(66), 리턴박스(67), 컵(15)의 송풍관(20), 컵의 내부로 되돌리는 공기 순환로를 형성하고, 순환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리턴박스(67)에 설치한 필터(69)를 거쳐서 배기 조임밸브(68)로부터 외기에 배기하고, 그 배기량을 상기 기저귀(100)의 간극으로부터 흡인해서 악취를 외기에 방출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42)에 의해 공기 순환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귀(100)의 간극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인에 따르는 압력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압력의 고저에 의해 기저귀(100)의 장착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방법.
  6. 배설물 처리장치로서,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오수탱크(25)로부터의 외부배출부(13)로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배출부(13)는, 외부 접속 조인트(48)에 배수관(50)을 연장하여 수세변기(49)의 배출 트랩(51)에 삽입해서 하수배관(52)에 흘러 들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7. 배설물 처리장치로서,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오수탱크(25)로부터의 외부배출부(13)로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배출부(13)는, 하수배관(52)의 바닥위 청소구(110)에, 연결기(111)에 의해서 배수관(50)을 연결해서 흘러 들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8. 배설물 처리장치로서,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과 오수탱크(25)로부터의 외부배출부(13)로의 압송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와, 상기 오수탱크(25)에 저장된 오수를 압송배출하는 외부배출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배출부(13)는, 세면대(112) 등의 잡배수관(113)의 트랩(114) 뒤에 역류 방지관(115)을 형성해서 연결해서 흘러 들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9. 배설물 처리장치로서,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되는 컵(15)을 제어하는 컵 제어부(10)와, 상기 컵 제어부(10)로부터의 흡인을 제어하는 흡인·압송제어부(11)를 구비하고,
    상기 오수탱크(25)의 흡인측의 흡인밸브(31)는, 밸브 부착판(81)에 흡배구멍(82)이 형성되고, 상기 흡배구멍(82)에 오수탱크(25)의 배관(44)을 기밀하게 부착하고, 상기 밸브 부착판(81)의 일단부에 설치한 회전축(88)에 탄성을 갖는 요동암(84)을 요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요동암(84)에 압압 조절 나사(89)를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압압 조절 나사(89)의 하단부를 슬라이더(83)에 압접하고, 상기 흡배구멍(82)의 전체 주위에 내측에 팽출 가장자리부(86)를 형성하고, 상기 팽출 가장자리부(86)에 연속해서 동일 높이의 가이드 레일(87)을 상기 슬라이더(83)의 요동 방향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 설치판(81)에, 상기 회전축(88)과 반대쪽에 반달 모양의 가이드 홈(85)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85)에 상기 요동암(84)의 선단부(84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 가장자리부(86)에 접해서 슬라이딩하는 상기 슬라이더(83)의 가장자리부에 칼 형상부(9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20217010403A 2018-10-09 2018-10-09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2541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7543 WO2020075217A1 (ja) 2018-10-09 2018-10-09 排泄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447A true KR20210068447A (ko) 2021-06-09
KR102541765B1 KR102541765B1 (ko) 2023-06-13

Family

ID=7016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403A KR102541765B1 (ko) 2018-10-09 2018-10-09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76847B2 (ko)
KR (1) KR102541765B1 (ko)
CN (1) CN112839555B (ko)
SG (1) SG11202103257QA (ko)
WO (1) WO2020075217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193A (ja) 1998-02-27 1999-09-14 Toyota Motor Corp 高機能ポータブルトイレ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浄化剤供給方法
JP2002045307A (ja) 2000-05-25 2002-02-12 Inax Corp ポータブルトイレ
JP2002200005A (ja) 2000-12-27 2002-07-16 Inax Corp ポータブル便器の汚物ポット
JP2008018188A (ja) 2006-07-14 2008-01-31 Chest M I Inc 移動可能トイレ
JP5254498B1 (ja) * 2012-04-02 2013-08-07 齋藤 恵子 排泄物処理装置
JP2014062410A (ja) * 2012-09-21 2014-04-10 Toto Ltd 移動式トイレ装置
JP2016032552A (ja) * 2014-07-31 2016-03-1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吸引式簡易トイレの真空ユニット体配置構造
WO2018139424A1 (ja) * 2017-01-25 2018-08-02 株式会社プロモート 排泄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7254B2 (en) * 2001-09-06 2005-01-04 Seiwa Pro Co., Ltd. System for cleaning drainage pipes in movable equipment
CN100582400C (zh) * 2004-12-22 2010-01-20 株式会社伊奈 西式便器设备
JP4793019B2 (ja) * 2006-02-20 2011-10-12 株式会社Lixil 便器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4643523B2 (ja) * 2006-08-24 2011-03-02 中村 稔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0963234B1 (ko) * 2008-05-01 2010-06-16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DE102012203114B4 (de) * 2012-02-29 2020-06-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inlegeteil für Nockenwellenversteller mit Mittenverriegelung, sowie Steuertrieb und Verbrennungskraftmaschine damit
CN204580358U (zh) * 2015-04-22 2015-08-26 山东友大慧成科技有限公司 电子信息机房实验室演示台
KR101592354B1 (ko) * 2015-06-10 2016-02-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저귀컵 모니터링 방법
CN106767996A (zh) * 2016-12-15 2017-05-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口罩佩戴检测方法、装置和口罩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193A (ja) 1998-02-27 1999-09-14 Toyota Motor Corp 高機能ポータブルトイレ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浄化剤供給方法
JP2002045307A (ja) 2000-05-25 2002-02-12 Inax Corp ポータブルトイレ
JP2002200005A (ja) 2000-12-27 2002-07-16 Inax Corp ポータブル便器の汚物ポット
JP2008018188A (ja) 2006-07-14 2008-01-31 Chest M I Inc 移動可能トイレ
JP5254498B1 (ja) * 2012-04-02 2013-08-07 齋藤 恵子 排泄物処理装置
JP2014062410A (ja) * 2012-09-21 2014-04-10 Toto Ltd 移動式トイレ装置
JP2016032552A (ja) * 2014-07-31 2016-03-1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吸引式簡易トイレの真空ユニット体配置構造
WO2018139424A1 (ja) * 2017-01-25 2018-08-02 株式会社プロモート 排泄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765B1 (ko) 2023-06-13
CN112839555A (zh) 2021-05-25
CN112839555B (zh) 2023-02-03
JPWO2020075217A1 (ja) 2021-09-24
WO2020075217A1 (ja) 2020-04-16
JP7076847B2 (ja) 2022-05-30
SG11202103257QA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500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2547934B1 (ko)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797578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JP4643523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411946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411665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0795149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2541765B1 (ko)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10082952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386377B1 (ko) 거품발생장치가 구비된 소변기
JP2001321286A (ja) 浴槽残り湯再利用システム
JP2523158B2 (ja) 便所装置
JP4167278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4699959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9990032244U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2023163989A (ja) 使用者装着型の汚物処理装置
KR100520880B1 (ko) 자동식 변기
CN117503521A (zh) 一种卧床二便护理系统
JP2011102516A (ja) 便器装置
JP2004011236A (ja) 洗浄水循環式水洗トイレ
JP2004263545A (ja) ビデ装置
JPS63293240A (ja) 衛生洗浄装置
KR20010082410A (ko) 무인 배변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