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263A - 타워 크레인 - Google Patents

타워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263A
KR20210067263A KR1020190156681A KR20190156681A KR20210067263A KR 20210067263 A KR20210067263 A KR 20210067263A KR 1020190156681 A KR1020190156681 A KR 1020190156681A KR 20190156681 A KR20190156681 A KR 20190156681A KR 20210067263 A KR20210067263 A KR 2021006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om
wind speed
tower crane
c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937B1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19015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9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16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where only part of the column rotates, i.e. at least the bottom part is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킨 타워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부; 상기 마스트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하기 위한 운전실부; 상기 마스트부와 상기 운전실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운전실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부; 상기 운전실부에 고정 설치되는 카운터지브부; 상기 카운터지브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다단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붐부; 상기 붐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붐을 인입 또는 인출시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 상기 붐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붐부의 기복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 상기 붐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걸기 위한 후크부; 상기 후크부를 권상하기 위한 권상부; 및 상기 카운터지브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운터지브부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평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워 크레인{A tower crane}
본 발명은 타워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킨 타워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타워 크레인은 주로 고층 건축에 사용하는 고양정의 기중기로서, 건설자재나 작업수화물을 높이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고, 그 작업범위가 넓기 때문에 특히 대도시의 밀집된 고층건축물의 공사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워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화물을 후크에 의해 수직으로 인양하는 호이스트(hoist)와, 수직으로 인양된 화물을 소정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트롤리(trolley)로 구성되는 권상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4030호(2012.02.01 등록)는 지브크레인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기계실과, 일단이 상기 기계실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붐과, 상기 붐을 지지하기 위한 붐지지프레임과, 상기 붐을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러핑수단과, 주후크와, 상기 주후크를 들어올리기 위한 주호이스팅수단과, 상기 붐지지프레임과 상기 기계실을 지지하는 포털프레임을 포함한 지브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주호이스팅수단은 상기 기계실에 설치된 주호이스팅드럼과, 상기 붐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제1주호이스팅시브와, 상기 붐의 타단에 설치된 제2주호이스팅시브와, 상기 주호이스팅드럼과 상기 제1호이스팅시브와 상기 제2 호이스팅시브와 상기 주후크에 권선된 주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붐이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주후크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상기 주호이스팅수단이 상기 제1주호이스팅시브와 상기 제2주호이스팅시브의 거리의 차이로 상기 주후크를 하강 또는 상승시켜서 상기 주후크가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수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8240호(2010.03.18 등록)는 다용도 타워 크레인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지면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마스트; 상기 마스트의 상단에 선회장치의 구동으로 인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카운터지브; 상기 카운터지브 상에 상, 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브; T타입 타워 크레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브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호이스트용 와이어에 의해 후크가 승강가능하게 고정되는 트롤리; 상기 마스트의 상단에 장착되고, 지브와 카운터지브를 지지하는 상부탑; 상기 상부탑에 일단이 고정되고 지브의 앞쪽에 타단이 고정되며, 지브를 지지하는 지브용 서스펜션; 상기 카운터지브에 고정되고 중량체 인양에 따른 지브의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는 카운터웨이트; 상기 카운터지브 상에 장착되고, 호이스트용 구동모터의 구동시 윈치에 권선되는 호이스트용 와이어에 의해 후크를 승강시켜 중량체를 수직으로 인양하는 호이스트 윈치; 러핑타입 타워 크레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카운터지브 상에 장착되고, 러핑용 구동모터의 구동시 윈치에 권선되는 러핑용 와이어에 의해 지브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러핑 윈치; 및 상기 지브 상에 장착되고, 트롤리용 구동모터의 구동시 윈치에 권선되는 트롤리용 와이어에 의해 트롤리를 지브를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트롤리 윈치를 포함하여, 작업장 주변환경에 따라 T타입 타워 크레인과 러핑타입 타워 크레인중 어느 하나의 기종으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타워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러핑타입 타워 크레인으로 선택하여 셋팅된 경우, 상기 지브를 상, 하 방향으로 회동시 후크와 지브사이에 위치하는 호이스트용 와이어의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브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수개의 롤러는 각각 동일 축선상에서 벗어나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타워 크레인은, 마스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지브 또는 붐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강풍, 태풍 등에 의해 전도되거나 무게를 지탱하는 와이어가 파단되는 등 대형사고의 위험이 있음은 물론,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 및 타워 크레인을 설치하거나 설치되어 있는 타워 크레인을 다른 장소로 옮기고자 할 때, 마스트의 상단에 구비된 지브를 일일이 분해하여 각 구성을 별도로 운반한 후 다시 조립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4030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824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타워 크레인에서 지브와 카운터 지브를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탑(또는 ‘캣 타워’, ‘타워 헤드’라고도 함)의 구성이 생략되며, 붐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하여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강풍에 의해 전도되는 사고 방지 및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킨 타워 크레인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부; 상기 마스트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하기 위한 운전실부; 상기 마스트부와 상기 운전실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운전실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부; 상기 운전실부에 고정 설치되는 카운터지브부; 상기 카운터지브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다단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붐부; 상기 붐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붐을 인입 또는 인출시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 상기 붐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붐부의 기복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 상기 붐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걸기 위한 후크부; 상기 후크부를 권상하기 위한 권상부; 및 상기 카운터지브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운터지브부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평형부를 포함하는 타워 크레인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운전실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속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허용되는 기준 풍속을 설정하여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풍속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풍속을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풍속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풍속을 비교하며, 상기 풍속이 상기 기준 풍속 이상인 경우에 경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운전실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음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길이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음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각도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붐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은 물론, 작업하지 않을 경우에 붐의 길이를 최소로 줄여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타워 크레인이 전도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워 크레인을 설치하거나 설치되어 있는 타워 크레인을 다른 장소로 옮기고자 할 때, 붐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조립, 해제, 운반이 용이해지고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붐부의 길이가 연장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길이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붐부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평형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타워 크레인(10)은, 마스트부(100), 운전실부(200), 턴테이블부(300), 카운터지브부(400), 붐부(500), 길이조절부(600), 각도조절부(700), 후크부(800), 권상부(900), 평형부(1000)를 포함한다.
마스트부(10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여 고층빌딩의 건설 현장에서 해당 높이에 각종 건설장비, 재료 등을 인양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마스트부(100)는, 하단부가 건설현장의 콘크리트 상에 설치된 기초앵커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스트부(100)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유압실린더와 유압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텔레스코핑케이지가 설치될 수 있다.
운전실부(200)는, 마스트부(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운전실부(200)는, 턴테이블부(3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턴테이블부(300), 길이조절부(600), 각도조절부(700) 등과 같이 타워 크레인(10)의 각 구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종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턴테이블부(300)는, 마스트부(100)와 운전실부(200) 사이에 설치되며, 운전실부(200)를 회전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턴테이블부(300)는, 운전실부(20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면 어느 구성이든 무방하다.
카운터지브부(400)는, 운전실부(200)와 고정되며, 턴테이블부(3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카운터지브부(400)는, 보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턴테이블부(300)와의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붐부(500)는, 카운터지브부(400)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다단으로 인입 또는 인출된다. 도 3에 복수개의 붐이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된 상태가 잘 나타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붐부(500)는, 복수개의 붐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조절부(600)의 구동에 따라 안테나식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붐부(500)는, 작업시 복수개의 붐의 인입 또는 인출 정도를 조절하여 작업 위치로 후크부(8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작업하지 않을 경우에는 길이를 최소로 줄여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600)는, 붐부(5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붐을 인입 또는 인출시켜 붐부(5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길이조절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로서, 유압 방식으로 복수개의 붐을 인입 또는 인출시켜 붐부(5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700)는, 붐부(5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도 5와 같이, 붐부(500)의 기복 각도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각도조절부(700)는, 유압실린더로서, 카운터지브부(400)와 붐부(500)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어, 유압 방식으로 붐부(500)의 기복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후크부(800)는, 붐부(500)에 결합되어 건설장비, 재료 등 각종 중량물을 걸어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후크부(800)는, 붐부(500) 최연장단부의 일측에 걸려 상하로 승강되는 와이어 및 와이어의 일단에 형성되어 중량물을 걸기 위한 후크로 구성될 수 있다.
권상부(900)는, 후크부(800)와 연결되어 후크부(800)를 권상하거나 하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권상부(900)는, 붐부(500)와 평형부(1000) 사이에 해당하는 카운터지브부(4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크부(800)의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후크에 걸린 중량물을 수직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한다.
평형부(1000)는, 카운터지브부(400)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카운터지브부(400)의 평형을 유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타워 크레인(10)은, 붐부(500)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므로,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은 물론, 작업하지 않을 경우에 붐부(500)의 길이를 최소로 줄여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타워 크레인이 전도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타워 크레인(10)을 설치하거나 설치되어 있는 타워 크레인(10)을 다른 장소로 옮기고자 할 때, 붐부(500)의 길이를 최소화시켜 조립, 해제, 운반이 용이하고 작업 효율성이 증대된다.
또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붐부(500)의 길이 및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타워 크레인과 같이, 지브와 카운터 지브를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탑(또는 ‘캣 타워’, ‘타워 헤드’라고도 함) 및 지브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와이어 등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간단해지고 작업 효율성 및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평형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평형부(1000)는, 평형추(1010), 슬라이드부재(1020)로 구성될 수 있다.
평형추(1010)는, 카운터지브부(400)의 다른 일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카운터지브부(400)의 평형을 유지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평형추(1010)는, 붐부(500)의 길이, 붐부(500)의 기복 각도 또는 후크부(800)에 적재되는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슬라이드부재(1020)를 통해 위치가 조절되어 카운터지브부(400)의 평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1020)는, 카운터지브부(400)와 평형추(1010) 사이에 형성되어, 붐부(500)의 길이에 따라 평형추(1010)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부재(1020)는, 예를 들어, 평형추(101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는 구동 풀리, 구동 풀리와 평형추(1010)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 구동 풀리를 구동시켜 평형추(10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 다른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타워 크레인(10)은, 마스트부(100), 운전실부(200), 턴테이블부(300), 카운터지브부(400), 붐부(500), 길이조절부(600), 각도조절부(700), 후크부(800), 권상부(900), 평형부(1000), 풍속 측정부(1100), 메모리부(1200), 제어부(1300), 스피커부(1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마스트부(100), 운전실부(200), 턴테이블부(300), 카운터지브부(400), 붐부(500), 길이조절부(600), 각도조절부(700), 후크부(800), 권상부(900), 평형부(1000)는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풍속 측정부(1100)는, 운전실부(200)의 외부에 설치되어 풍속을 측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풍속 측정부(1100)는, 풍속계로서, 풍속을 측정하여 측정된 풍속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0)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허용되는 기준 풍속을 설정하여 미리 저장해둔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200)는, 스피커부(1400)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의 지속시간에 따라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기 위한 한계 시간(예를 들어, 10 ~ 20초)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풍속 측정부(1100)로부터 측정된 풍속을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풍속과 메모리부(1200)에 저장된 기준 풍속을 비교하며, 풍속 측정부(1100)에서 측정된 풍속이 기준 풍속 이상인 경우에 경보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0)는, 스피커부(1400)에서 경보음이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약 10 ~ 20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붐부(50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6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0)는, 스피커부(1400)에서 경보음이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약 10 ~ 20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붐부(500)의 기복 각도를 안전한 상태(예를 들어, 약 15 ~ 50°의 각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7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부(1400)는, 운전실부(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부(1300)로부터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음을 출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피커부(1400)는, 제어부(1300)로부터 경보신호가 수신되면 경보음을 해제하기 위해 구비된 경보해제 스위치가 눌려지기 전까지 경보음을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강풍에 따른 위험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먼저 경보음을 통해 알려주어, 운전자가 신속하게 권상부(900)의 구동 및 붐부(500)의 길이와 각도를 안전한 상태로 조작한 후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운전자가 운전할 수 없는 상태 또는 크레인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 등 비상 상황에는 자동으로 붐부(500)의 길이 및 각도를 제어하여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타워 크레인(10)이 전복되는 등의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타워 크레인(10)은, 풍향 측정부(1500), 스크린(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풍향 측정부(1500)는, 운전실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풍향을 측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풍향 측정부(1500)는, 풍향계로서, 풍향을 측정하여 측정된 풍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0)는, 타워 크레인(10)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풍향 측정부(1500)에서 측정된 풍향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측정된 풍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턴테이블부(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풍향을 따라 턴테이블부(300)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바람에 대한 저항을 더욱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크린은, 운전실부(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어부(1300)로부터 풍속 또는 풍향에 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타워 크레인(10)은, 날개부(1600)를 더 포함한다.
날개부(1600)는, 운전실부(200)의 외부에 복수개로 결합 형성되며,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날개부(1600)는, 운전실부(200)의 전부, 후부, 좌부, 우부에 각각 하나씩 결합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날개부(1600)는, 제1 프레임부재(1610), 제2 프레임부재(1620), 날개부재(1630), 제1 구동부재(1640), 제2 구동부재(1650), 회동부재(16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프레임부재(1610)는, 운전실부(2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방향에 날개부재(163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프레임부재(1610)는, 운전실부(200)의 상부 전측, 상부 후측, 상부 좌측, 상부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재(1620)는, 일측이 제1 프레임부재(1610)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에 날개부재(1630)가 결합되어 이들을 연결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프레임부재(1620)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다단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다.
날개부재(1630)는, 제2 프레임부재(1620)의 다른 일측에 결합 형성되어,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날개부재(1630)는,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곡된 부분을 중심으로 바람을 양쪽으로 분산시켜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날개부재(1630)는, 운전실부(200)의 크기 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강판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구동부재(1640)는, 제1 프레임부재(1610)에 연결되어, 제1 프레임부재(1610)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부여한다.
이때, 제어부(1300)는, 풍속 측정부(1100)에서 측정된 풍속이 기준 풍속 이상인 경우에 제1 구동부재(16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 구동부재(164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구동부재(1650)는, 제2 프레임부재(1620)에 연결되어, 제2 프레임부재(1620)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부여한다.
회동부재(1660)는, 제1 프레임부재(1610)와 제2 프레임부재(1620) 사이에 형성되어, 제2 프레임부재(162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평상시에는 도 8과 같이 날개부재(1630)가 운전실부(200)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보관되어 있다가, 기준 풍속 이상의 바람이 감지되는 경우 제1 구동부재(1640)가 구동되면서 도 9와 같이 날개부재(1630)가 운전실부(200)의 외측방향으로 위치됨으로써, 바람을 양쪽으로 분산시켜 운전실부(200)에 가해지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운전실부(200)가 흔들리거나 회전되는 현상, 더 나아가 타워 크레인(10)이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시로 바뀌는 풍향에 따라 날개부재(1630)를 좌우 방향을 회동시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타워 크레인(10)은, 확장부(1700)를 더 포함한다.
확장부(1700)는, 운전실부(200)에 결합되어, 운전실부(200)의 내부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확장부(1700)는, 확장부재(1710), 가이드부재(1720), 기어부재(1730), 모터부재(17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장부재(1710)는, 운전실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운전실부(200)의 내부 공간을 확장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확장부재(1710)는, 일측이 개방되는 상자형 구조로, 가이드부재(17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확장부재(1710)는,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돌기부재(1711)가 구비되며, 그 돌기부재(1711)가 기어부재(1730)와 맞물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720)는, 확장부재(17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재(1720)는, 확장부재(1710)의 돌기부재(1711)를 삽입하여, 확장부재(17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기어부재(1730)는, 모터부재(1740)에 결합되며, 모터부재(17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확장부재(1710)를 이동시킨다.
모터부재(1740)는, 기어부재(1730)와 연결되어, 기어부재(173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부재(174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양방향 모터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번갈아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모터부재(1740)에서 제공되는 정방향 회전력에 의해 기어부재(17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확장부재(1710)의 돌기부재(1711)가 맞물려 이동하여 도 11과 같이 운전실부(200)의 공간을 확장시키거나, 모터부재(1740)에서 제공되는 역방향 회전력에 의해 기어부재(17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확장부재(171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0과 같이 다시 원상태의 운전실부(200)의 공간의 크기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종래 타워 크레인의 운전실은 내부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장시간 작업하는 경우에 불편함이 있었는데, 필요에 따라 확장부(1700)를 통해 운전실부(200)의 내부 공간을 확장함으로써, 운전자의 활동 영역을 넓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편의성 및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타워 크레인
100 : 마스트부
200 : 운전실부
300 : 턴테이블부
400 : 카운터지브부
500 : 붐부
600 : 길이조절부
700 : 각도조절부
800 : 후크부
900 : 권상부
1000 : 평형부
1010 : 평형부재
1020 : 슬라이드부재
1100 : 풍속 측정부
1200 : 메모리부
1300 : 제어부
1400 : 스피커부
1500 : 풍향 측정부
1600 : 날개부
1610 : 제1 프레임부재
1620 : 제2 프레임부재
1630 : 날개부재
1640 : 제1 구동부재
1650 : 제2 구동부재
1660 : 회동부재
1700 : 확장부
1710 : 확장부재
1720 : 가이드부재
1730 : 기어부재
1740 : 모터부재

Claims (5)

  1.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부;
    상기 마스트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하기 위한 운전실부;
    상기 마스트부와 상기 운전실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운전실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부;
    상기 운전실부에 고정 설치되는 카운터지브부;
    상기 카운터지브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다단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붐부;
    상기 붐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붐을 인입 또는 인출시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
    상기 붐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붐부의 기복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
    상기 붐부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걸기 위한 후크부;
    상기 후크부를 권상하기 위한 권상부; 및
    상기 카운터지브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운터지브부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평형부를 포함하는 타워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속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허용되는 기준 풍속을 설정하여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풍속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풍속을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풍속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풍속을 비교하며, 상기 풍속이 상기 기준 풍속 이상인 경우에 경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운전실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음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길이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음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각도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
KR1020190156681A 2019-11-29 2019-11-29 타워 크레인 KR102363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681A KR102363937B1 (ko) 2019-11-29 2019-11-29 타워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681A KR102363937B1 (ko) 2019-11-29 2019-11-29 타워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263A true KR20210067263A (ko) 2021-06-08
KR102363937B1 KR102363937B1 (ko) 2022-02-15

Family

ID=7639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681A KR102363937B1 (ko) 2019-11-29 2019-11-29 타워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606B1 (ko) * 2023-04-13 2023-10-23 주식회사 오에스아이랩 초대형 풍력 발전기용 크레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277A (ko) * 1997-06-30 1999-01-25 토니 헬샴 크레인의 안전 제어방법
JP2004256240A (ja) * 2003-02-26 2004-09-16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クレーン
KR200448240Y1 (ko) 2008-03-15 2010-03-25 엄부섭 다용도 타워 크레인
KR101114030B1 (ko) 2009-03-20 2012-03-14 박실룡 지브크레인
KR101946332B1 (ko) * 2018-10-29 2019-02-11 엄부섭 안전성이 향상된 타워크레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277A (ko) * 1997-06-30 1999-01-25 토니 헬샴 크레인의 안전 제어방법
JP2004256240A (ja) * 2003-02-26 2004-09-16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クレーン
KR200448240Y1 (ko) 2008-03-15 2010-03-25 엄부섭 다용도 타워 크레인
KR101114030B1 (ko) 2009-03-20 2012-03-14 박실룡 지브크레인
KR101946332B1 (ko) * 2018-10-29 2019-02-11 엄부섭 안전성이 향상된 타워크레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606B1 (ko) * 2023-04-13 2023-10-23 주식회사 오에스아이랩 초대형 풍력 발전기용 크레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937B1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3043B1 (en) Traveling crane and assembling/disassembling method thereof
EP0132892B1 (en) Mobile crane
KR20180110822A (ko) 크레인 차량 및 크레인 차량의 안전 제어 방법
KR102363937B1 (ko) 타워 크레인
KR101114030B1 (ko) 지브크레인
JP2005194086A (ja) 移動式クレーン及びその組立・分解方法
JP2017043430A (ja) 移動式クレーンのウェイト浮き量調整装置及びウェイト浮き量調整方法
CN214879790U (zh) 一种动臂塔式起重机
KR200448240Y1 (ko) 다용도 타워 크레인
US6669038B1 (en) Self-propelled crane
JPH07315766A (ja) シャトルジブ型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
CN109650272B (zh) 一种桅杆起重吊装装置
KR100881807B1 (ko) 더블 크레인
RU81181U1 (ru) Уравновешивающее груз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8145567U (zh) 一种带有滑轮组件的吊装装置
KR102643139B1 (ko) 타워크레인의 풍속/중량 표시 및 경보 시스템
CN212953963U (zh) 起重机起吊报警装置
KR200349056Y1 (ko) 타워 크레인
JP2002080187A (ja) 水平引込み式ジブクレーン
JPS5811231A (ja) 省力グラブ作業船
JPS59172388A (ja) 多段伸縮ブ−ム付クレ−ンの水平引込制御装置
JPH0656387A (ja) 建設用クレーン
JPS5986594A (ja) 建造用クレ−ン
CN115072589A (zh) 一种建筑工地用移动塔吊设备
JPH11292476A (ja) 油圧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