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084A - 전기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084A
KR20210067084A KR1020190156355A KR20190156355A KR20210067084A KR 20210067084 A KR20210067084 A KR 20210067084A KR 1020190156355 A KR1020190156355 A KR 1020190156355A KR 20190156355 A KR20190156355 A KR 20190156355A KR 20210067084 A KR20210067084 A KR 20210067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inner pot
base
electric cooker
coi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
김원주
손수호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7084A/ko
Publication of KR20210067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94Warming devices using heat storage elements or materials, e.g. lava st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단열성능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 상기 내솥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기 내솥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유도가열코일이 장착되는 코일베이스; 및 상기 내솥과 상기 코일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되 하측 및 상측 테두리가 상기 코일베이스와 밀폐 접촉되며, 상기 코일베이스와의 사이에 단열공기층이 형성되는 단열케이스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조리기{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성능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업소 및 가정에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조리기(1)는 발열부(12,14)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단을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2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솥(30)으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발열부(12,14)는 내솥(30)의 바닥면과 외측면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유도가열코일(12a,12b)과 내솥(30)의 외측면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측면히터(14)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열부(12,14)를 통해 조리시와 보온시에 조리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된 내솥(30)이 가열된다.
또한, 상기 내솥(30)의 하부에는 상기 유도가열코일(12)이 장착되는 코일베이스(11)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가열코일(12)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코일홀더(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측에는 조리 상태의 표시를 위한 표시장치, 조리 상태의 제어를 위한 마이컴, 조절버튼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부(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코일베이스(11)에는 내솥(30)의 온도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5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온도 및 조절버튼의 조작에 따라 유도가열코일(12)과 측면히터(14)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부(60)의 하부에는 냉각팬(40)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팬(40)에 의해 발생된 냉각풍은 기판부(60)측으로 유도된다. 또한, 상기 유도가열코일(12)에 의해 가열된 내솥(30)은 본체(10) 하부의 베이스커버(15)에 형성된 관통부(15a)를 통해 유입된 외기에 의해 냉각된다.
이러한 전기조리기(1)는 취사시 유도가열코일(12)이 주로 작동하고, 측면히터(14)가 보조적으로 작동하여 내솥(30)을 가열시킨다. 또한, 보온시에는 측면히터(14)가 주로 작동하고 유도가열코일(12)이 보조적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유도가열코일(12)과 상기 측면히터(14)의 외측에는 단열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취사 및 보온시 열에너지 손실이 크고, 이로 인해 상기 내솥(30) 내부의 온도가 불균일하게 되어 일정한 온도의 유지가 되지 않는 부분에는 물이 맺혀 보온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측면히터(14)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열에너지로 인해 상기 본체(10) 내부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기판부(60)에 고열로 인한 손상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측면히터(14)가 가열되어 공기를 통해 상기 내솥(30)으로 열전달되므로 열손실이 발생되어 열전달 효율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내솥(30) 내부의 보온을 위한 가열횟수가 증가되며 전기 소모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열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측면히터(14)의 가열횟수가 증가되면 상기 내솥(30) 내부의 조리대상물에 열스트레스가 가해져 취사 및 보온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기판부(60)의 냉각을 위해 상기 냉각팬(40)이 동작시 상기 기판부(60) 뿐만 아니라 상기 발열부(12,14) 및 상기 코일베이스(11)가 냉각됨에 따라 상기 내솥(30)에도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유도가열코일(12)의 하측과 외측 전체를 단열시킬 수 없어 단열이 되지 않는 상기 유도가열코일(12)의 하측과 외측을 통한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8628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열성능이 개선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 상기 내솥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기 내솥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유도가열코일이 장착되는 코일베이스; 및 상기 내솥과 상기 코일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되 하측 및 상측 테두리가 상기 코일베이스와 밀폐 접촉되며, 상기 코일베이스와의 사이에 단열공기층이 형성되는 단열케이스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코일베이스 및 상기 단열케이스 사이에 실질적으로 밀폐되는 상기 단열공기층이 상기 내솥의 하부 및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솥이 외부로부터 단열되므로 단열성능이 개선되며, 음식물의 조리 및 보온시 에너지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단열케이스의 하부가 견인체결수단에 의해 하측으로 견인된 상태로 상기 코일베이스에 밀착되어 결합되면 상기 코일베이스와 상기 단열케이스의 하측 및 상측이 면접촉되어 상기 단열공기층이 실질적으로 밀폐되므로 상기 내솥의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내솥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히터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기 코일베이스 및 상기 단열케이스가 상향 연장 배치되므로 상기 측면히터의 발열이 상기 내솥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열효율이 향상되며, 상기 측면히터 외측으로의 열손실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단열케이스 및 상기 코일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가열코일 또는 와이어코일이 유도가열을 통해 상기 내솥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보조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어 에너지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상면도.
도 3b는 도 3의 'A-B' 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C-D' 방향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3b는 도 3의 'A-B' 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1000)는 내솥(400), 코일베이스(610), 및 단열케이스(6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솥(400)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형상으로서, 바닥부(401), 측면부(402) 및 상기 바닥부(401)와 상기 측면부(402)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부(40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솥(400)의 개방된 상부는 본체(60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된 뚜껑(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600)는 내부에 상기 내솥(400)과 상기 단열케이스(620)가 수납되도록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케이스(601)와, 상기 본체케이스(601)의 하단에 연결되어 본체(600)의 하부 몸체를 형성하는 베이스커버(60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600)의 전방측에는 조리 상태의 표시를 위한 표시장치와, 조리 상태의 제어를 위한 마이컴, 조절버튼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부(5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케이스(620)에는 상기 내솥(400)의 온도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634)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온도 및 조절버튼의 조작에 따라 유도가열코일(630)과 측면히터(650)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기판부(500)의 하부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풍을 발생시키는 냉각팬(60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냉각팬(603)에 의해 발생된 냉각풍은 상기 기판부(500)와 상기 코일베이스(610)로 유동된다.
한편, 상기 코일베이스(610)는 상기 내솥(400)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기 내솥(400)의 하부 및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코일베이스(610)는 상기 바닥부(401), 상기 측면부(402), 및 상기 곡면부(403)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코일베이스(6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하부에는 상기 내솥(400)의 하부가 가열되도록 유도가열코일(630)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도가열코일(630)은 상기 바닥부(40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중심부를 따라 권취된 바닥가열부(630a)와, 상기 곡면부(40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외주부를 따라 권취된 곡면가열부(630b)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바닥가열부(630a)와 곡면가열부(630b)는 나선형으로 복수회 권취된 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내솥(400)의 유도가열을 위한 자력선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가열코일(630)의 하부에는 상기 유도가열코일(630)이 지지되도록 코일홀더(63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코일홀더(631)는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하부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도가열코일(630) 및 상기 코일베이스(61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코일베이스(610)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케이스(620)는 상기 내솥(400)과 상기 코일베이스(610) 사이에 배치되되 하측 및 상측 테두리가 상기 코일베이스(610)와 각각 밀폐 접촉되며, 상기 코일베이스(610)와의 사이에 단열공기층(s)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열케이스(620) 및 상기 단열공기층(s)은 상기 바닥부(401), 상기 측면부(402), 및 상기 곡면부(403)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열케이스(6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하부는 견인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하측으로 견인된 상태로 상기 코일베이스(610)에 밀착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견인체결수단은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하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간 이격 배치되되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하부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스부(6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스부(621)의 내주에는 체결나사산이 형성된 보스체결부(621a)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견인체결수단은 상기 보스부(621)가 삽입되어 상기 보스부(621)의 하단이 면접촉되며 밀착되도록 상기 코일베이스(610)에 형성되는 보스삽입부(6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스삽입부(611)에는 후술되는 견인체결피스(632)가 관통되도록 보스삽입홀부(611a)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체결수단은 상기 보스부(621) 및 상기 보스삽입부(611)에 체결되는 상기 견인체결피스(6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스부(621)가 상기 보스삽입부(611)에 삽입되고, 상기 견인체결피스(632)가 상기 보스삽입홀부(611a)를 관통하여 상기 보스부(621)의 보스체결부(621a)와 체결되므로 상기 보스부(621) 및 상기 보스삽입부(611)가 상호간 밀착되어 견인 및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케이스(620)가 상기 견인체결피스(632)를 통해 하측으로 견인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견인체결수단의 구성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하부에는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중앙 하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센서형합부(62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센서형합부(623)의 중앙측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634)가 상기 센서형합부(623)의 내주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하부에는 상기 센서형합부(623)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센서형합부(623)의 외주에 면접촉되는 하부밀착리브(6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밀착리브(613)가 상기 센터센서형합부(623)의 외주를 감싸며 밀착되며, 상기 하부밀착리브(613)의 내경이 상기 센서형합부(623)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센서형합부(623)에 상기 하부밀착리브(613)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체결수단이 체결됨에 따라 상기 코일베이스(610) 및 상기 단열케이스(620)가 상호간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열공기층(s)의 하측이 밀폐되므로 단열성능이 개선되어 상기 내솥(400)의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지지리브(629)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629)는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내면에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코일베이스(610) 및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사이에 상기 단열공기층(s)이 형성되면서도 상기 단열공기층(s)의 내부로 배치되는 상기 지지리브(629)를 통해 상기 단열케이스(620)가 지지된다.
또한, 상기 단열케이스(62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확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케이스(620)에는 제1단차부(620a)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코일베이스(610)는 상기 단열공기층(s)이 확장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확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베이스(610)에는 상기 코일홀더(631)의 상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단차부(610a)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된 리브연장부(624a)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연장부(624a)의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된 제1측면밀착리브(624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상부 단면은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상단이 밀착되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베이스(610)는 상기 측면부(402)를 감싸도록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상단에는 외면이 상기 제1측면밀착리브(624b)의 내면에 면접촉되는 제2측면밀착리브(6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스체결부(621a)에 상기 견인체결피스(632)가 체결되어 상기 내솥(400)의 하측방향으로 견인됨에 따라 상기 제1측면밀착리브(624b) 및 상기 제2측면밀착리브(614)가 상호간 면접촉된 상태에서 밀착된다. 더욱이,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상단 외면에는 상기 제1측면밀착리브(624b)의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밀착돌기(61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코일베이스(610) 및 상기 단열케이스(620)가 상호간 밀착됨에 따라 상기 단열공기층(s)의 상부가 실질적으로 밀폐되므로 상기 내솥(400)의 상승되는 열기 누출에 의한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하부가 상기 견인체결수단에 의해 하측으로 견인된 상태로 상기 코일베이스(610)에 밀착되어 결합되면 상기 코일베이스(610)와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하측 및 상측이 면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열공기층(s)이 실질적으로 밀폐되므로 단열성능이 개선되어 상기 내솥(400)의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리브연장부(624a)를 통해 상기 코일베이스(610) 및 상기 단열케이스(620) 간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고열에 의한 상기 코일베이스(610) 및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열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베이스(610) 및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사이에 실질적으로 밀폐되는 단열공기층(s)이 상기 내솥(400)의 하부 및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솥(400)이 단열되므로 단열성능이 개선되며, 음식물의 조리 및 보온시 에너지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베이스(610) 및 상기 단열케이스(620)가 적층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견인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것만으로도 상호간 밀착되어 상기 단열공기층(s)이 밀폐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조립성이 개선되며, 최소한의 부품을 사용하면서도 단열 효과가 향상되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측면밀착리브(624b)에는 상기 단열공기층(s)의 공기가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외측으로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압력배출홈부(625)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2측면밀착리브(614)에는 상기 제1압력배출홈부(62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압력배출홈부(615)가 하방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압력배출홈부(625) 및 상기 제2압력배출홈부(615)가 상호간 정렬되어 결합되면 상기 단열공기층(s)의 공기 연통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단열공기층(s)에 의한 상기 내솥(400)의 보온이 유지되되, 온도 상승에 의한 상기 단열공기층(s)의 압력 상승시에는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외측으로 압력이 자동으로 배출되므로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면밀착리브(624b)의 외면에는 제1정렬요철부(627)가 상하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외면에는 상기 제1정렬요철부(627)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정렬요철부(617)가 상하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정렬요철부(617)는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외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정렬요철부(617)의 외측에 상기 제1정렬요철부(627)가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정렬요철부(627) 및 제2정렬요철부(617)가 상호간 정렬되면 상기 제1압력배출홈부(625) 및 상기 제2압력배출홈부(615)가 상호간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베이스(610) 및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각 외면에는 전선정렬부(616,6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열케이스(620) 및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각 외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어 절곡 형성되는 제1전선정렬부(626) 및 제2전선정렬부(61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기판부(500)와 상기 측면히터(650)의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이 상기 전선정렬부(616,626)의 절곡된 내부를 통과하여 배치됨에 따라 간결하게 정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상단면은 상기 측면히터(650)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열이 차단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로(601)부터 하향 돌출되는 케이스지지부(605)의 하부면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외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코일베이스 체결부(61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코일베이스 체결부(619)는 상기 제2정렬요철부(617)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601) 및 상기 베이스커버(602)에는 상기 코일베이스 체결부(619)에 대응되는 위치에 본체케이스 지지보스(601a) 및 베이스커버 지지보스(602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케이스 지지보스(601a)의 하부 및 상기 베이스커버 지지보스(602a)의 상부 사이에 상기 코일베이스 체결부(619)가 정렬되어 체결부재(635)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코일베이스(610)가 상기 본체케이스(601) 및 상기 베이스커버(60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조리기(1000)는 상기 내솥(400)의 삽입시 상기 내솥(400)의 외측면이 가이드되어 편심되지 않고 중앙부에 정렬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단열케이스(620)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내솥가이드(633)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솥가이드(633)는 실리콘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케이스(620)에는 상기 내솥가이드(633)가 형합되어 고정되도록 내솥가이드 형합부(62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솥가이드 형합부(628)는 상기 제1단차부(620a)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내솥가이드(633)의 하부에는 상기 내솥가이드 형합부(628)에 삽입되도록 상기 내솥가이드 형합부(628)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의 삽입부(63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삽입부(633a)가 상기 내솥가이드 형합부(628)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내솥가이드(633)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전기조리기(1000)는 상기 내솥(400)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측면히터(6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측면히터(650)는 상기 내솥(400)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내솥(400) 및 상기 단열케이스(620) 사이에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측면보온판부(640)와, 상기 측면보온판부(640)의 외면을 감싸며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보온판부(640)의 하단은 상기 내솥(400)의 열방출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1단차부(620a)에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면보온판부(640)의 하단이 상기 내솥가이드(63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솥가이드(633)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측면보온판부(640)의 상단은 상기 내솥(400)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본체케이스(601)의 내솥안착부(604) 하단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면히터(650)의 열선은 상기 기판부(500)에 전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히터(650)의 열선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측면보온판부(640)를 통해 상기 내솥(4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기조리기(1000)는 취사시 상기 유도가열코일(630)이 주로 작동하고, 상기 측면히터(650)가 보조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내솥(400)이 가열된다. 또한, 보온시에는 상기 측면히터(650)가 주로 작동하고 상기 유도가열코일(630)이 보조적으로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히터(650)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기 코일베이스(610) 및 상기 단열케이스(620)가 상기 측면히터(650)의 외측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상향 연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내솥(400)의 측면을 감싸는 상기 측면히터(650)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기 코일베이스(610) 및 상기 단열케이스(620)가 상향 연장 배치되므로 상기 측면히터(650)의 발열이 상기 내솥(400)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열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측면히터(650) 외측으로의 열손실이 현저히 저감되므로 에너지효율이 개선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히터(650)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고온의 열에너지로 인한 상기 기판부(500)의 손상이 미연에 방지되어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보온품질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도록 상기 측면보온판부(640)의 외면에 상기 측면히터(650)를 대체하는 측면가열코일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단열공기층(s)에는 열차단성능이 개선되도록 단열재 및 흡음재 중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단차부(620a)가 제외되는 구성과, 단열케이스(720)의 상단(720a), 내솥가이드 형합부(728) 및 내솥가이드(733), 측면코일베이스(740) 및 와이어코일(750)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2000)는 내솥(400), 코일베이스(610), 및 상기 단열케이스(7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기조리기(2000)의 제어부는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및 조절버튼의 조작에 따라 유도가열코일과 상기 와이어코일(750)의 온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케이스(720)의 내면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는 상이하게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내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코일베이스(610) 및 상기 단열케이스(720)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공기층(s)의 부피가 증가되어 보온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내솥(400)은 유도가열을 위한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 스틸(SUS)이 복수개층으로 적층되어 결합된 클래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솥(400)의 측면부에 유도가열을 위한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이 용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케이스(720)의 상단(720a)은 상기 내솥(400)의 열방출이 차단되도록 상기 내솥안착부(604) 하단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400)의 하부 및 측면이 상기 단열케이스(720)에 의해 감싸여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케이스(720)에는 상기 내솥가이드 형합부(728)가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내솥가이드(733)는 상기 내솥가이드 형합부(728)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솥가이드(733)외 외측단은 단턱지게 확장되어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내벽면에 밀착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내솥가이드 형합부(728)의 외측 테두리에 걸림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솥가이드(733)의 내측단은 상기 내솥(400)이 안내되도록 상기 내솥가이드 형합부(728)를 통과하여 상기 단열케이스(72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기조리기(2000)는 상기 단열케이스(720) 및 상기 코일베이스(61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측면코일베이스(7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기조리기(2000)는 상기 측면코일베이스(740)에 권취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솥(400)을 선택적으로 유도가열하는 상기 와이어코일(75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코일(750)은 외주에 피복이 형성된 리드와이어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내솥(400)의 유도가열을 위한 자력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코일(750)에는 상기 기판부(500)에 전선 연결되도록 코일연결부(750a)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코일베이스(740) 및 상기 와이어코일(750)은 상기 단열공기층(s)의 내부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측면코일베이스(740)에는 상기 단열케이스(720)의 외측면을 감싸는 중공형 원통 형상의 측면베이스(7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베이스(741)의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코일지지리브(742)가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베이스(741)의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걸림되도록 제1전선걸림부(744a)와, 제2전선걸림부(744b)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전선걸림부(74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전선걸림부(744)는 상기 측면베이스(741)의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걸림되도록 외측단이 상방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지지리브(742)는 상기 코일지지리브(742)의 상측에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지지되도록 상기 측면베이스(741)의 하부측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지지리브(742)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경유하여 배치되도록 리브홈부(743)가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전선걸림부(744a)는 상기 리브홈부(743)에 인접한 상기 코일지지리브(742)의 하부에 돌설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선걸림부(744b)는 후술되는 지지베이스(745)의 하부에 돌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상기 제1전선걸림부(744a)에서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리브홈부(743)를 통과한 후 상기 측면베이스(741)의 외면에 권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베이스(741)의 외면에 권취된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상기 제2전선걸림부(744b)에 걸림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전선걸림부(744a) 및 상기 제2전선걸림부(744b)에 걸림된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제1압력배출홈부(725) 및 상기 제2압력배출홈부(615)로 인출되어 상기 기판부(500)로 회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측면베이스(741)의 외면에 상기 와이어코일(750)의 권취 작업시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상기 제1전선걸림부(744a)에서 걸림됨과 동시에 상기 제2전선걸림부(744b)에 걸림되어 지지되므로 작업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상기 측면베이스(741)의 외면에 일정한 권선횟수로 균일하게 권선됨에 따라 생산되는 제품 간의 발열 효율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 도시된 상기 측면코일베이스(740)의 단면은 상기 제1전선걸림부(744a), 상기 제2전선걸림부(744b) 및 상기 리브홈부(743)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단면이 도시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코일베이스(740)에는 상기 측면베이스(741)의 상단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베이스(74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베이스(745)의 상면은 상기 단열케이스(720)의 상부에 돌설된 리브연장부(724a)의 하면과 면접촉되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지지베이스(745)의 외측단측 하면은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상단에 형성된 제2측면밀착리브(614)에 안착됨에 따라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베이스(745)의 외측단이 상기 리브연장부(724a)의 외측단에 형성된 제1측면밀착리브(724b)의 내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베이스(745)의 외측단에는 상기 단열케이스(720)의 제1정렬요철부(727) 및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제2정렬요철부(617)에 정렬되도록 제3정렬요철부(746)가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열케이스(720)의 제1압력배출홈부(725) 및 상기 코일베이스(610)의 제2압력배출홈부(615)가 상기 제1정렬요철부(727), 상기 제2정렬요철부(617), 및 상기 제3정렬요철부(746)에 의해 상호간 정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압력배출홈부(725) 및 상기 제2압력배출홈부(615)가 상호간 정렬되어 결합되면 상기 단열공기층(s)의 공기 연통 및 상기 코일연결부(750a)의 인출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연결부(750a)는 상기 제1압력배출홈부(725)와 상기 제2압력배출홈부(615)가 상호간 정렬되어 형성된 홀을 통해 인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전기조리기(2000)는 취사시 상기 유도가열코일이 주로 작동하고,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보조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내솥(400)이 가열된다. 또한, 보온시에는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주로 작동하고 상기 유도가열코일이 보조적으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열케이스(720) 및 상기 코일베이스(61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유도가열을 통해 상기 내솥(400)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보조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어 에너지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단열공기층(s)의 열손실이 저감되도록 상기 측면코일베이스(740)에는 상기 와이어코일(750)를 대체하는 측면히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단열공기층(s)에는 열차단성능이 개선되도록 단열재 및 흡음재 중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측면코일베이스(740)에 상기 와이어코일(750)의 권취시 상기 와이어코일(750)이 상기 단열재 및 상기 흡음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되어 제조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D' 방향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코일베이스(740)가 제외되는 구성과, 제1압력배출홈부(825a,825b) 및 제2압력배출홈부(815a,815b), 코일연결부(850a,850b), 제1고정리브(820b) 및 제2고정리브(810b), 안착단턱(810c) 및 측면가열코일(850)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3000)는 내솥(400), 코일베이스(810), 및 상기 단열케이스(8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기조리기(3000)의 제어부는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및 조절버튼의 조작에 따라 유도가열코일과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의 온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조리기(3000)는 상기 단열케이스(820) 및 상기 코일베이스(8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솥(400)을 선택적으로 유도가열하는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은 셀프본딩(self-bonding) 공법을 통해 상기 측면가열코일(850) 자체적으로 단단하게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내솥(400)의 유도가열을 위한 자력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의 조립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에는 상기 기판부(500)에 전선 연결되도록 한쌍의 상기 코일연결부(850a,850b)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은 상기 단열공기층(s)의 내부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케이스(820)의 제1측면밀착리브(824b)에는 한쌍의 제1압력배출홈부(825a,825b)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코일베이스(810)의 제2측면밀착리브(814)에는 한쌍의 제2압력배출홈부(815a,815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압력배출홈부(825a,825b) 및 상기 제2압력배출홈부(815a,815b)가 각각 상호간 정렬되어 결합되면 상기 단열공기층(s)의 공기 연통 및 상기 코일연결부(850a,850b)의 인출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연결부(850a,850b)는 상기 제1압력배출홈부(825a,825b)와 상기 제2압력배출홈부(815a,815b)가 상호간 정렬되어 형성된 홀을 통해 인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케이스(820)의 외면에는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의 내면이 점접촉되며 지지되도록 상기 단열케이스(820)의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복수개의 제1고정리브(820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고정리브(820b)가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단열케이스(820)의 외면에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코일베이스(810)의 내면에는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의 외면이 점접촉되며 지지되도록 상기 코일베이스(810)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제2고정리브(810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고정리브(810b)는 상기 제2측면밀착리브(814)의 내면으로부터 연장 돌설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이 상기 단열케이스(820) 및 상기 코일베이스(810) 사이에 이격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고정리브(820b) 및 상기 제2고정리브(810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솥(400) 및 상기 측면가열코일(850) 사이의 거리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진원도가 유지되므로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의 편심 배치에 따른 유도 가열 온도의 편중이 미연에 방지되며 조리대상물이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어 취사 및 보온품질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베이스(810)의 내면에는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안착단턱(810c)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단턱(810c)은 상기 제2고정리브(810b)에 형성될 수 있으나, 상술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의 하단은 상기 안착단턱(810c)에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의 상단은 상기 단열케이스(820)의 리브연장부(824a)의 하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기조리기(3000)는 취사시 상기 유도가열코일이 주로 작동하고,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이 보조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내솥(400)이 가열된다. 또한, 보온시에는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이 주로 작동하고 상기 유도가열코일이 보조적으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열케이스(820) 및 상기 코일베이스(81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측면가열코일(850)이 유도가열을 통해 상기 내솥(400)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보조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어 에너지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단열공기층(s)의 열손실이 저감되도록 상기 단열케이스(820)에는 상기 측면가열코일(850)를 대체하는 측면히터가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0,2000,3000: 전기조리기 200: 뚜껑
400: 내솥 500: 기판부
600: 본체 610,810: 코일베이스
620,720,820: 단열케이스 630: 유도가열코일
650: 측면히터 740: 측면코일베이스
750: 와이어코일 850: 측면가열코일

Claims (31)

  1.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
    상기 내솥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기 내솥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유도가열코일이 장착되는 코일베이스; 및
    상기 내솥과 상기 코일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되 하측 및 상측 테두리가 상기 코일베이스와 밀폐 접촉되며, 상기 코일베이스와의 사이에 단열공기층이 형성되는 단열케이스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케이스의 하부는 견인체결수단에 의해 하측으로 견인된 상태로 상기 코일베이스에 밀착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체결수단은
    상기 단열케이스의 하부에 하향 돌출 형성되는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코일베이스에 형성되는 보스삽입부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보스삽입부에 체결되는 견인체결피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단열케이스의 하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센서형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베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센서형합부가 삽입되어 상기 단열공기층이 밀폐되도록 상기 센서형합부의 외주에 면접촉되는 하부밀착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케이스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된 리브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연장부의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된 제1측면밀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베이스는 상기 내솥의 측면부를 감싸도록 연장되며, 상기 코일베이스의 상단에는 외면이 상기 제1측면밀착리브의 내면에 면접촉되는 제2측면밀착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밀착리브에는 상기 단열공기층의 공기가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압력배출홈부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밀착리브에는 상기 제1압력배출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압력배출홈부가 하방으로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밀착리브의 외면에는 제1정렬요철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코일베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제1정렬요철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정렬요철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베이스의 상단 외면에는 상기 제1측면밀착리브의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케이스 및 상기 코일베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솥을 선택적으로 유도가열하는 측면가열코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측면가열코일의 내면이 점접촉되며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제1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베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측면가열코일의 외면이 점접촉되며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제2고정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열코일의 하단은 상기 코일베이스의 내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단턱에 지지되며, 상단은 상기 단열케이스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열코일에는 본체의 전방측에 구비된 기판부에 전선 연결되도록 코일연결부가 구성되되,
    상기 코일연결부는 제1측면밀착리브에 함몰 형성된 제1압력배출홈부와 상기 제1압력배출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측면밀착리브에 함몰 형성된 제2압력배출홈부가 상호간 정렬되어 형성된 홀을 통해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케이스 및 상기 코일베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측면코일베이스와,
    상기 측면코일베이스에 권취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솥을 선택적으로 유도가열하는 와이어코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코일베이스에는 상기 단열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는 측면베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베이스의 상단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베이스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베이스의 상면은 상기 단열케이스의 상단에 돌설된 리브연장부의 하면과 면접촉되며, 외측단측 하면은 상기 코일베이스의 상단에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베이스의 외측단에는 제3정렬요철부가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베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코일이 지지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코일지지리브가 연장 돌설되되,
    상기 코일지지리브에는 상기 와이어코일이 경유하여 배치되도록 리브홈부가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베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코일이 걸림되도록 복수개의 전선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코일에는 본체의 전방측에 구비된 기판부에 전선 연결되도록 코일연결부가 구성되되,
    상기 코일연결부는 제1측면밀착리브에 함몰 형성된 제1압력배출홈부와 상기 제1압력배출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측면밀착리브에 함몰 형성된 제2압력배출홈부가 상호간 정렬되어 형성된 홀을 통해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케이스의 상단은 열방출이 차단되도록 상기 내솥을 지지하기 위한 내솥안착부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측면히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면히터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기 코일베이스 및 상기 단열케이스가 연장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히터의 하단은 열방출이 차단되도록 상기 단열케이스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1단차부에 안착되고, 상단은 상기 내솥을 지지하기 위한 내솥안착부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외측면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단열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내솥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케이스에는 상기 내솥가이드가 형합되어 고정되도록 내솥가이드 형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가이드 형합부는 상기 단열케이스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내솥가이드는 상기 내솥가이드 형합부에 삽입되되, 외측단이 상기 코일베이스의 내벽면에 밀착 배치되며, 내측단이 상기 단열케이스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가이드 형합부는 상기 단열케이스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1단차부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내솥가이드의 하부에는 상기 내솥가이드 형합부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의 삽입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코일은 상기 내솥의 하부가 가열되도록 상기 코일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하부에는 상기 유도가열코일이 지지되도록 코일홀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베이스에는 상기 코일홀더의 상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단차부가 단차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케이스의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지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코일베이스의 내면에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베이스 및 상기 단열케이스의 각 외면에는 전선정렬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케이스의 상단면은 상기 본체케이스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케이스지지부의 하부면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베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코일베이스가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코일베이스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베이스의 외측을 감싸는 본체케이스 및 베이스커버에는 상기 코일베이스 체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본체케이스 지지보스 및 베이스커버 지지보스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KR1020190156355A 2019-11-29 2019-11-29 전기조리기 KR20210067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355A KR20210067084A (ko) 2019-11-29 2019-11-29 전기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355A KR20210067084A (ko) 2019-11-29 2019-11-29 전기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084A true KR20210067084A (ko) 2021-06-08

Family

ID=7639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355A KR20210067084A (ko) 2019-11-29 2019-11-29 전기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708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288B1 (ko) 2009-12-31 2011-11-24 주식회사 리홈 유도가열방식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일체형 내솥안착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288B1 (ko) 2009-12-31 2011-11-24 주식회사 리홈 유도가열방식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일체형 내솥안착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85225A1 (en) Cooker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same
WO2018023863A1 (zh) 电压力锅
EP2312910A1 (en) Heating device usable with cooking applian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oking appliance
CN111839248B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839172B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067084A (ko) 전기조리기
JP5076403B2 (ja) 電気炊飯器
JP2015188491A (ja) 誘導加熱炊飯器
KR20180004567A (ko) 워킹 코일 베이스
JP5206168B2 (ja) 電気炊飯器
JP5040155B2 (ja) 電気炊飯器
KR102355783B1 (ko) 전기조리기
KR102355705B1 (ko)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KR101875136B1 (ko) 전기조리기
JP6071810B2 (ja) 炊飯器
JP5463896B2 (ja) 炊飯器
KR101218643B1 (ko) 전기조리기 및 그의 제조방법
JP5338130B2 (ja) 電気炊飯器
KR102421922B1 (ko) 전기밥솥
CN209846945U (zh) 一种烹饪装置及其上盖
US20220167468A1 (en) Electric range
CN221227769U (zh) 线圈盘和烹饪设备
CN219206594U (zh) 盖体及烹饪器具
JP5573380B2 (ja) 電気炊飯器
CN220423754U (zh) 上盖组件及烹饪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