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813A -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 - Google Patents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813A
KR20210066813A KR1020217008110A KR20217008110A KR20210066813A KR 20210066813 A KR20210066813 A KR 20210066813A KR 1020217008110 A KR1020217008110 A KR 1020217008110A KR 20217008110 A KR20217008110 A KR 20217008110A KR 20210066813 A KR20210066813 A KR 20210066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kin care
care products
fiber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미 오야마
히로시 카지야마
마코토 나카하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8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04H1/4258Regenerated 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3Composite fibres sea-isla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8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9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20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 D10B2201/22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made from cellulose solutions
    • D10B2201/24Visco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스킨케어 제품으로 했을 때의 취급성이 우수하고, 또한 스킨케어 제품으로 했을 때의 피부로의 밀착성 및 피부에 부착한 화장료의 와이핑성이 우수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단섬유 직경이 50㎚ 이상 800㎚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이며,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JIS L 1015: 2010 8.7.2에 준하여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1.9cN/dtex 이하이며, 상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합계 함유량이 85질량% 이상이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 질량비(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셀룰로오스 섬유)가 0.23~1.50이며, 상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밀도가 0.08~0.16g/㎤이다.

Description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
본 발명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관한 것이다.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로 대표되는 시트형상의 스킨케어 화장품은 약액의 피부로의 침투나 화장료의 제거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페이스 마스크는 일정 시간 피부의 표면에 있어서 약액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종래의 스킨케어에 비해 약액을 충분히 피부로 침투시킬 수 있다. 또한, 클렌징 시트는 클렌징제에 의한 화장료의 제거와 시트의 피부로의 접촉에 의한 제거 효과의 쌍방으로부터 높은 클렌징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와 같은 우수한 성능으로부터 시트형상의 스킨케어 제품으로서 다양한 상품이 제안되어 있다.
최근에는 단섬유 직경이 1~500㎚인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와 습윤 시의 인장 강도가 2.0cN/dtex 이상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함으로써 이 부직포를 클렌징제 등에 침지시켜서 얻어진 것은 습윤 시의 강도가 우수함과 아울러, 또한 피부로의 밀착성이나 피부에 부착한 화장료의 와이핑성이 향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9-97121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부직포(이하, 공지 부직포 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는 습윤 시의 인장 강도가 2.0cN/dtex 이상이며, 인장 강도가 높은 섬유를 30~70질량%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 공지 부직포 1을 클렌징제나 화장료에 함침시켜서 얻어지는 스킨케어 제품은 습윤 시의 강도가 우수한 것이 되지만 피부로의 밀착성(특히, 스킨케어 제품의 사용 후 일정 시간 경과 시에 있어서의 밀착성)이나 피부에 부착한 화장료의 와이핑성이 불충분하다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스킨케어 제품으로 했을 때의 취급성이 우수하고, 또한 스킨케어 제품으로 했을 때의 피부로의 밀착성 및 피부에 부착한 화장료의 와이핑성이 우수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1) 단섬유 직경이 50㎚ 이상 800㎚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로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JIS L 1015: 2010 8.7.2에 준하여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1.9cN/dtex 이하이며, 상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합계 함유량이 85질량% 이상이며,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 질량비(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셀룰로오스 섬유)가 0.23~1.50이며, 상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밀도가 0.08~0.16g/㎤인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가 폴리아미드 섬유인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가 레이온인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유 길이가 35㎜ 이상인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밀도가 0.08~0.14g/㎤인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갖는 페이스 마스크,
(7)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갖는 클렌징 시트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특정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합계 함유량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 질량비(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셀룰로오스 섬유)가 특정 범위에 있는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로 함으로써 스킨케어 제품으로 했을 때의 취급성이 우수하고, 또한 스킨케어 제품으로 했을 때의 피부로의 밀착성 및 피부에 부착한 화장료의 와이핑성이 우수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단섬유 직경이 50㎚ 이상 800㎚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JIS L 1015: 2010 8.7.2에 준하여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1.9cN/dtex 이하인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합계 함유량이 85질량% 이상이며, 또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 질량비(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셀룰로오스 섬유)가 0.23~1.50이며, 밀도가 0.08~0.16g/㎤이다. 또한, 이하 JIS L 1015: 2010 8.7.2에 준하여 측정되는 인장 강도를 간단히 인장 강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합계 함유량을 간단히 합계 함유량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 질량비(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셀룰로오스 섬유)를 간단히 함유 질량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정마찰계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상기 효과를 나타내는 메커니즘의 상세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즉,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단섬유 직경이 50㎚ 이상 800㎚ 이하로 극세이며, 유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흡수성이 우수하고, 고도인 인장 강도를 갖는 경향이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 중에서도 인장 강도가 1.9cN/dtex 이하로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함과 아울러,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대부분이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성이 상이한 2종의 섬유의 함유 질량비가 0.23~1.50으로 특정 범위의 것이며, 상기 함유 질량비의 범위에 있어서 밀도가 0.08~0.16g/㎤로 한정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이것을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의 취급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한편, 우수한 습윤 시의 유연성(즉, 압축 시의 유연함), 추종성, 및 보액성도 구비한 것이 된다. 그리고 이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 (이하, 본 스킨케어 제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사용 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이하, 간단히 피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표면에 존재하는 요철로의 우수한 추종성을 발휘하고, 본 스킨케어 제품과 피부 사이에 큰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극세 섬유인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를 특정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스킨케어 제품의 사용 시에 있어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가 피부에 존재하는 자잘한 주름에도 들어가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와 피부의 접촉 면적이 커지며, 정마찰계수가 우수한 것이 된다. 따라서, 본 스킨케어 제품은 피부와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스킨케어 제품의 피부로의 우수한 추종성과, 피부와의 사이에서의 미끄러짐 억제에 의해 본 스킨케어 제품이 우수한 밀착성과 우수한 와이핑성이 발휘된다고 추측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밀도는 0.08~0.16g/㎤의 범위이다. 이것에 의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합계 함유량이 85질량% 이상이며, 또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 질량비(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셀룰로오스 섬유)가 0.23~1.50인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즉, 극세이며, 유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를 비교적 높은 함유량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있어서도 취급성은 우수한 것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은 취급성과 밀착성, 와이핑성 모두를 높은 수준으로 구비함과 아울러, 우수한 습윤 시의 추종성과 유연성도 구비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은 스킨케어 제품의 사용 직후에 있어서의 피부와의 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스킨케어 제품의 사용 개시 후 일정 시간 경과 시에 있어서의 피부와의 밀착성도 우수하다. 스킨케어 제품의 사용 개시 후 일정 시간 경과 시에 있어서의 피부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인지의 여부는 스킨케어 제품의 사용 개시 후 20분 경과 시의 피부와의 밀착성(이하, 간단히 20분 후의 밀착성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단섬유 직경이 50㎚ 이상 800㎚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를 포함한다. 우선, 이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는 단섬유 직경이 50㎚ 이상 800㎚ 이하인 섬유이다.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단섬유 직경을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의 사용 시에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가 탈락하여 피부에 잔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단섬유 직경을 800㎚ 이하로 함으로써 피부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표면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여 피부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마찰계수가 향상되기 때문에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피부 표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억제되고,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와이핑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이유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단섬유 직경의 상한은 6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습윤 시의 밀착성이나 와이핑성을 높이는 점에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는 폴리아미드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 직경이 50㎚ 이상 800㎚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를 흡수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섬유로 함으로써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와 피부 사이에 존재하는 약액을 흡수하는 모세관 효과가 높아지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피부와의 사이의 여분의 약액을 흡수함으로써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와 피부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고, 결과적으로 습윤 시의 밀착성이나 와이핑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들 열가소성 수지에는 다른 성분이 중합되어 있어도 좋고, 안정제 등의 첨가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폴리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 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6, 각종 아라미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흡수성이 양호한 나일론 6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군은 각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가 각각으로 분산되어 존재하고 있어도 좋고, 적어도 일부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끼리가 부분적으로 결합해서 존재하고 있어도 좋고, 적어도 일부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가 응집하여 번들을 형성해서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는 그 장단이나 단면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위 섬유형상의 형태로 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인장 강도가 1.9cN/dtex 이하로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 이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습윤 상태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피부의 자잘한 요철에 의해 고도로 추종하고, 이것에 의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와이핑성이 보다 한층 우수한 것이 된다는 이유로부터 셀룰로오스 섬유의 인장 강도는 1.7cN/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cN/dtex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인장 강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본 스킨케어 제품의 취급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는 이유로부터 0.9cN/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유 길이는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유 길이를 35㎜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있어서의 섬유끼리의 얽힘의 정도가 커진다. 그리고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있어서의 섬유끼리의 얽힘의 정도가 커짐으로써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습윤 시의 강도가 커지며, 결과적으로 본 스킨케어 제품의 취급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유 길이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제조 공정에서의 섬유의 공정 통과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되기 위해서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셀룰로오스 섬유로서는 펄프나 면 등의 식물계 천연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아세테이트나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스킨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와이핑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는 이유에 의해 레이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전체 질량에 대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합계 함유량이 85질량% 이상이다. 합계 함유량을 85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유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동일하게 유연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섬유가 효과를 나타내고,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유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본 스킨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와이핑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고 추측된다. 상기 이유로부터 합계 함유량은 9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 질량비(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셀룰로오스 섬유)는 0.23~1.50이다. 함유 질량비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스킨케어 제품의 밀착성 및 와이핑성이 향상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연성이란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했을 때의 유연함(즉, 압축 시의 유연함)을 가리킨다. 또한, 유연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는 KES 압축 시험기에 의해 측정되는 WC값이 있다. WC값이란 포백을 압축했을 때의 최대 압력까지의 작업량(gf·㎝/㎠)이며, 이 값이 높을수록 압축 시의 유연함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KES 압축 시험에 의한 WC값은 습윤 시에 측정되는 WC값이며,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WC값은 0.40g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gf·㎝/㎠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60gf·㎝/㎠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단섬유 직경이 800㎚를 초과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나, 습윤 시의 인장 강도가 1.9cN/dtex를 초과하는 셀룰로오스 섬유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나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나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의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비단이나 양모 등의 동물계 천연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800㎚를 초과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로서 단섬유 섬도가 1.6dtex 이상(단섬유 직경 12.3㎛)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 섬유의 단면형상은 이형 단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편평 단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섬유의 단면형상이 이형 단면이나 편평 단면임으로써 원형 단면의 섬유에 비해 섬유의 2차 모멘트가 작아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습윤 시의 유연성(즉, 압축 시의 유연함) 및 추종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25~150g/㎡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하한은 30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g/㎡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이 상한은 100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g/㎡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단위 중량을 25g/㎡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강도가 우수한 것이 된다. 한편, 단위 중량을 150g/㎡ 이하로 함으로써 부직포의 유연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JIS L 1913: 1998 6.2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밀도는 0.08~0.16g/㎤이다. 이 하한은 0.09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g/㎤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이 상한은 0.15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4g/㎤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밀도를 0.08g/㎤ 이상으로 함으로써 단섬유 직경이 50㎚ 이상 800㎚ 이하로 극세이며, 유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를 높은 함유량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스킨케어 제품의 취급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밀도를 0.16g/㎤ 이하로 함으로써 우수한 습윤 시의 추종성과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밀도는 JIS L1913: 1998 6.1.2 A법에 의거하여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단위 중량과 상기 두께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밀도(g/㎤)=단위 중량(g/㎡)/두께(㎜)/1000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단섬유 직경이 50㎚ 이상 800㎚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가 피부 표면의 자잘한 요철까지 들어감으로써 피부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여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와 피부의 마찰계수가 향상되고,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피부의 표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본 스킨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와이핑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상기 점에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를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2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와 피부 사이의 마찰계수는 JIS P 8147: 1994 3.2 경사법에 준하여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화장수를 함침시켰을 때의 정마찰계수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본 스킨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와이핑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는 이유로부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와 피부 사이의 정마찰계수는 0.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인장 강도가 1.9cN/dtex 이하인 셀룰로오스 섬유를 함유함으로써 습윤 시에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피부의 자잘한 요철을 따라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추종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본 스킨케어 제품의 밀착성이나 와이핑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즉, 습윤 시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20% 신장 응력은 5.0N/25㎜ 이하인 것이 상기 추종성이 본 스킨케어 제품의 밀착성 등을 향상시키는 데에 충분한 것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이유로부터 4.0N/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3.0N/25㎜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습윤 시의 신장 응력은 JIS L 1913: 1998 6.3.2에 의거하여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에 의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초기의 길이의 20% 신장시켰을 때의 응력을 판독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량 및 셀룰로오스 섬유의 단섬유 섬도를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습윤 상태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20% 신장 응력을 소망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보액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섬유를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3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약액을 함침시켜서 스킨케어 제품으로 했을 때에 셀룰로오스 섬유가 섬유 내부에 약액을 도입하기 때문에 약액이 공기 중에 휘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본 스킨케어 제품의 보액성이 향상된다. 또한, 보액성의 향상에 의해 본 스킨케어 제품의 밀착성(특히, 20분 후의 밀착성)이나 와이핑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측한다. 보액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는 화장수를 함침시킨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유사 피부 상에 얹고,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유지하는 초기의 화장수 질량의 값과 20분 후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유지하는 화장수 질량의 값을 사용한 약액 유지율로 평가할 수 있다. 습윤 시의 밀착성이나 와이핑성을 장시간 유지하는 이유로부터 20분 후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약액 유지율은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건식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식 부직포로 함으로써 습식 부직포에 비해 부직포의 두께를 크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부직포의 압축 시의 유연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건식 부직포 중에서도 스펀레이스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펀레이스 부직포는 고압 수류에 의해 구성 섬유를 얽히게 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지만 이 방법은 니들 펀치에 의해 구성 섬유를 얽히게 하는 방법에 비해 얽힘 시의 구성 섬유의 실 끊김이 적어 부드러운 감촉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12/173116호에 개시된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는 화장수나 미용액 또는 클렌징제 등의 약액에 침지함으로써, 예를 들면 페이스 마스크나 스킨케어 시트, 눈가용 마스크, 클렌징 시트, 포인트 메이크업용 클렌징 시트 등의 스킨케어 제품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측정법을 후술한다.
(1) 셀룰로오스 섬유의 인장 강도
JIS L 1015: 2010 8.7.2에 의거하여 셀룰로오스 섬유의 인장 강도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로부터 셀룰로오스 섬유를 50개 채취했다. 이어서, 각 섬유를 수중에 2분간 침지한 후 50개의 셀룰로오스 섬유 중으로부터 1개를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에 부착해서 인장 강도를 수중에서 측정했다. 이 측정을 50개의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해서 행했다. 고정 간격은 20㎜로 하고, 20㎜/min의 인장 속도로 시료가 절단될 때까지 하중을 가하여 그때의 강도를 측정하고, 50회의 인장 강도 측정의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산출해서 셀룰로오스 섬유의 인장 강도라고 했다. 또한, 섬유가 짧아 고정 간격이 20㎜로 시험할 수 없을 경우에는 고정 간격 10㎜로 하고, 10㎜/min의 인장 속도로 시료가 절단될 때까지 하중을 가하여 그때의 강도를 측정했다.
(2)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유 길이
JIS L 1015: 2010 8.4.1 직접법(C법)에 의거하여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유 길이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80㎜×80㎜의 사이즈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시료로서 준비했다. 이 시료의 일방의 면에 있어서 이 시료의 중심점과 중심점을 공유하는 직경 6㎝의 원을 그렸다. 이어서, 이 원의 내측으로부터 셀룰로오스 섬유를 무작위로 1개씩 인출하고, 합계 25개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채취했다. 이 조작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이 시료의 타방의 면에 있어서도 행했다. 그리고 이 시료로부터 얻어진 합계 50개의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유 길이를 이하와 같이 측정했다.
무작위로 인출한 1개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신장시키는 일 없이 곧게 폈다. 이어서, 자로 재는 것에 의해 곧게 편 상태의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유 길이를 ㎜ 단위까지 측정했다. 이 측정을 50개의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해서 행하고, 50개의 평균값을 산출해서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유 길이라고 했다.
(3) 단위 중량
JIS L 1913: 1998 6.2에 의거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시료로부터 50㎜×50㎜의 시험편을 강제(鋼製) 정규와 면도날을 사용해서 3장 채취했다. 표준 상태에 있어서의 시험편의 질량을 측정하고, 단위 면적당 질량을 다음 식에 의해 구하고, 평균값을 산출했다.
ms=m/S
ms: 단위 면적당 질량(g/㎡)
m: 시험편의 평균 질량(g)
S: 시험편의 면적(㎡)
(4) 두께
JIS L1913: 1998 6.1.2 A법에 의거하여 측정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시료로부터 50㎜×50㎜의 시험편을 강제 정규와 면도날을 사용해서 5장 채취했다. 두께 측정기(TECLOCK CO., Ltd.제 정압 두께 측정기, 형식 PG11J)를 사용해서 표준상태로 시험편에 0.36㎪의 압력을 10초간 가하여 두께를 측정했다. 측정은 각 시험편(5장)에 대해서 행하고, 평균값을 산출했다.
(5) 밀도
상기 (3)의 단위 중량과 상기 (4)의 두께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구했다.
밀도(g/㎤)=단위 중량(g/㎡)/두께(㎜)/1000
(6) 정마찰계수
JIS P8147: 1994 3.2 경사 방법에 준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폭 30㎜, 길이 130㎜의 시험편(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을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제조 장치의 진행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시험편을 5장, 제조 장치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시험편을 5장, 합계 10장 준비했다. 진행 방향의 평가에 대해서는 시험편을 화장수(무인양품 「화장수·민감 피부용 촉촉한 타입」) 중에 10분간 침지하고, 인출하고 나서 신속하게 미끄러짐 경사각 측정 장치의 추에 부착했다. 한편, 실리콘 유사 피부(Beaulax Co., Ltd.제)를 미끄러짐 경사각 측정 장치에 부착해서 시험편을 부착한 추를 시험편의 측정면이 실리콘 유사 피부에 접촉하고, 또한 시험편의 진행 방향(길이 방향)과 미끄러짐 경사각 측정 장치의 미끄러짐 방향이 일치하도록 유사 피부 상에 상재(上載)하고, 경사 각도 3°/초 미만의 조건으로 추가 낙하했을 때의 경사각을 판독하여 상기 경사각의 정접(tanθ)을 정마찰계수라고 했다. 또한,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평가에 대해서는 시험편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길이 방향)과 미끄러짐 경사각 측정 장치의 미끄러짐 방향이 일치하도록 유사 피부 상에 상재하여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얻어진 10장의 시험편의 정마찰계수의 평균을 본 발명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정마찰계수라고 했다. 또한, 측정값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측정에 사용하는 화장수는 개봉 후 1개월 이내의 것으로 하고, 상기 측정에 사용하는 유사 피부는 사용 횟수가 5회 이상 50회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7) 추종성(20% 신장 응력)
JIS L 1913: 1998 6.3.2에 의거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폭 25㎜, 길이 150㎜의 시험편(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을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제조 장치의 진행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시험편을 5장, 제조 장치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시험편을 5장, 합계 10장 준비했다. 진행 방향의 평가에 대해서는 시험편을 20℃의 증류수 중에 10분간 침지하고, 인출하고 나서 신속하게 인장 방향이 시험편의 진행 방향(길이 방향)이 되도록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에 부착하고, 고정 간격: 100㎜, 인장 속도: 200㎜/min의 조건에서 시험편이 절단될 때까지 하중을 가하여 시험편이 20㎜ 신장했을 때의 응력(N/25㎜)을 응력 변형 곡선으로부터 판독하여 20% 신장 응력이라고 했다. 또한,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평가에 대해서는 인장 방향이 시험편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길이 방향)이 되도록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에 부착하고,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얻어진 각 방향의 20% 신장 응력의 평균값 중 낮은 쪽의 값을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20% 신장 응력이라고 했다.
(8) 보액성(화장수의 질량 유지율)
온도 20℃×습도 60%RH의 분위기하에서 24hr 조습한 시료로부터 폭 25㎜, 길이 25㎜의 시험편(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을 5장 채취했다. 이어서, 이 시험편의 질량(g)을 측정했다. 또한, 실리콘 유사 피부(Beaulax Co., Ltd제, 사이즈: φ50㎜)의 질량(g)을 측정했다. 시험편을 이 실리콘 유사 피부에 상재하고, 이 시험편에 화장수(무인양품 「화장수·민감 피부용 촉촉한 타입」)를 적하하고, 시험편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상기 화장수를 700질량% 함유하는 시험편을 얻었다. 이 상태로 시험편과, 실리콘 유사 피부와, 화장수의 초기의 합계 질량(g)을 측정하고, 이어서 온도 20℃×습도 60%RH의 항온 항습조에 이 시험편을 투입했다. 20분 후에 상기 샘플을 인출하고, 시험편과, 실리콘 유사 피부와, 화장수의 20분 후의 합계 질량(g)을 측정하여 하기 식에 의해 화장수의 질량 유지율(%)을 산출했다. 측정은 5장 행하여 평균값을 산출했다.
초기의 화장수 질량(g)=초기의 합계 질량(g)-실리콘 유사 피부의 질량(g)-시험편의 질량(g)
20분 후의 화장수 질량=20분 후의 합계 질량(g)-실리콘 유사 피부의 질량(g)-시험편의 질량(g)
화장수의 질량 유지율(%)=20분 후의 화장수 질량(g)/초기의 화장수 질량(g)×100
(9) 압축 시의 유연함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로부터 60㎜×60㎜의 시험편을 5장 채취했다. 시험편을 20℃의 증류수 중에 10분간 침지하고, 인출하고 나서 신속하게 KES 압축 시험기 (Kato Tech Co., Ltd.제, 형식: KES-G5)에 부착하고, 압축 속도: 20㎛/sec, 최대 압축 하중: 4.9㎪, 가압판: 2㎠(원형)의 조건에서 시료를 압축했을 때의 WC값(최대 압력까지의 기계 일: gf·㎝/㎠)을 측정, 그 평균값을 산출해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압축 시의 유연함이라고 했다.
(10) 모니터 평가
[페이스 마스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마스크형으로 펀칭하여 페이스 마스크용 부직포를 작성하고, 페이스 마스크용 부직포를 화장수(무인양품 「화장수·민감 피부용 촉촉한 타입」)에 침지하고, 페이스 마스크용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상기 화장수를 700질량%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이어서, 이 페이스 마스크의 사용 개시 직후의 밀착성 및 사용 개시 후 20분 경과 시의 밀착성, 추종성, 건조의 어려움, 압축 시의 유연함, 및 페이스 마스크의 취급성에 대해서 여성 패널 10명에 의해 각 사람의 절대 평가에 의해 10점 만점으로 평가하고, 10명의 평균점(소수점 이하는 사사오입)으로부터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또한, 점수가 클수록 페이스 마스크의 성능은 보다 우수하다.
A: 9~10점
B: 6~8점
C: 3~5점
D: 0~2점
[클렌징 시트]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폭 70㎜, 길이 55㎜로 재단하고, 이 재단 부직포를 클렌징제(KOSE COSMEPORT Corp.「화이트 클렌징 워터」)에 침지하고, 재단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클렌징제를 700질량% 함유하는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클렌징 시트를 아이라인에 부착한 화장료(Shiseido Company, Limited 「베네피크 세오티 스마트 리퀴드 아이라이너」(등록상표))의 와이핑성 및 부직포의 취급성에 대해서 여성 패널 10명에 의해 각 사람의 절대 평가에 의해 10점 만점으로 평가하고, 10명의 평균점(소수점 이하는 사사오입)으로부터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또한, 점수가 클수록 클렌징 시트의 성능은 보다 우수하다.
A: 9~10점
B: 6~8점
C: 3~5점
D: 0~2점
(11) 총합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의 사용감의 총합 평가에 대해서 상기 (10)의 모니터 평가를 실시한 여성 패널 10명에 의해 각 사람의 절대 평가에 의해 10점 만점으로 평가하고, 10명의 평균점(소수점 이하는 사사오입)으로부터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또한, 점수가 클수록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의 성능은 보다 우수하다.
A: 9~10점
B: 6~8점
C: 3~5점
D: 0~2점
(실시예 1)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
(해도 복합 섬유)
도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용융 점도: 160Pa·s)와 해 성분으로서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8.0몰% 공중합한 PET(공중합 PET 용융 점도: 95Pa·s)를 290℃에서 각각 용융 후 계량하여 기지의 복합 구금(국제공개 제2012/173116호의 도 6(b)에 개시된 배열의 복합 구금)이 장착되고, 1개의 토출 구멍당 도 성분용으로서 1000의 분배 구멍을 천설한 분배 플레이트를 사용한 방사팩에 해/도 성분의 복합비가 60/40이 되도록 유입하고, 토출 구멍으로부터 복합 폴리머류를 토출해서 용융 방사를 행하여 미연신 섬유를 얻었다. 이것을 연신 속도 800m/min으로 연신하여 도 성분 지름이 230㎚, 150dtex-15필라멘트인 해도 복합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해도 복합 섬유의 강도는 3.6cN/dtex, 신도 30%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권축·커팅 공정)
상기 해도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에 권축(12산/25㎜)을 실시한 후 51㎜의 단섬유로 커팅해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를 얻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도 성분 지름: 230㎚) 52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 48질량%를 카드로 혼면, 개섬한 후 크로스랩 웨버에 의해 웹으로 했다. 이 웹을 압력: 10㎫, 속도 1.0m/min의 조건에서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고, 핀 텐터를 사용해서 건조 온도: 100℃에서 건조해서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 부직포에 대해서 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온도 95℃, 욕비 1:40, 처리 시간 30분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해 성분을 탈해하고,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단섬유 직경: 230㎚) 30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 70질량%를 포함하는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을 얻었다. 또한, 상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과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상기 탈해 후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것이다.
또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을 마스크형으로 펀칭하여 페이스 마스크를 얻었다. 또한, 페이스 마스크와는 별도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을 폭 70㎜, 길이 55㎜로 재단해서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정리했다.
(실시예 2)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
(폴리머 알로이 섬유)
용융 점도 212Pa·s(262℃, 전단 속도 121.6sec-1), 융점 220℃의 나일론 6(N6)(40질량%)과 중량 평균 분자량 12만, 용융 점도 30Pa·s(240℃, 전단 속도 2432sec-1), 융점 170℃에서 광학 순도 99.5% 이상의 폴리L락트산(60질량%)을 각각 계량하고, 각각에 하기 상세의 2축 압출 혼련기에 공급하고, 220℃에서 혼련해서 폴리머 알로이 칩을 얻었다.
스크류형상: 동 방향 완전 맞물림형 2조 나사
스크류: 직경 37㎜, 유효 길이 1670㎜, L/D=45.1
혼련부 길이는 스크류 유효함의 28%
혼련부는 스크류 유효 길이의 1/3보다 토출측에 위치시켰다
도중 3개소의 백플로우부 있음
벤트: 2개소
얻어진 폴리머 알로이 칩을 스테이플용 방사기의 1축 압출형 용융 장치에 공급하고, 용융 온도 235℃, 방사 온도 235℃(구금면 온도 220℃), 방사 속도 1200m/min으로 해서 용융 방사를 행하여 폴리머 알로이 섬유를 얻었다. 이것을 합사한 후 스팀 연신을 행하여 단사 섬도 3.0dtex의 폴리머 알로이 섬유로 이루어지는 토우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 알로이 섬유의 강도는 3.5cN/dtex, 신도 45%, U%=1.0%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권축·커팅 공정)
상기 폴리머 알로이 섬유로 이루어지는 토우에 권축(12산/25㎜)을 실시한 후 51㎜의 단섬유로 커팅해서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를 얻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도 성분 지름: 230㎚) 52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 38질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단섬유 섬도: 1.6dtex) 10질량%를 카드로 혼면, 개섬한 후 크로스랩 웨버에 의해 웹으로 했다. 이 웹을 압력: 10㎫, 속도 1.0m/min의 조건에서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고, 핀 텐터를 사용해서 건조 온도: 100℃에서 건조해서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 부직포에 대해서 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온도 95℃, 욕비 1:40, 처리 시간 30분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해 성분을 탈해하고,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단섬유 직경: 230㎚) 30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 55질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단섬유 섬도: 1.6dtex) 15질량%를 포함하는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를 얻었다. 또한, 상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과 레이온 섬유, PET 섬유의 함유량은 상기 탈해 후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것이다.
또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정리했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PET 섬유를 PET로 이루어지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 섬유(단섬유 섬도: 1.7dtex)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3을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3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3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정리했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해도 복합 섬유의 도 성분을 나일론 6(N6 용융 점도: 190Pa·s)으로 해서 방사 온도를 270℃로 변경하고, 해도 복합 섬유의 도 성분 지름을 700㎚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4를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4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4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정리했다.
(실시예 5)
실시예 4의 해도 복합 섬유의 도 성분 지름을 300㎚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5를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5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5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정리했다.
(실시예 6)
실시예 2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도 성분 지름: 230㎚) 52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8dtex, 습윤 시 강도: 1.9cN/dtex, 섬유 길이: 38㎜) 48질량%를 카드로 혼면, 개섬한 후 크로스랩 웨버에 의해 웹으로 했다. 이 웹을 압력: 10㎫, 속도 1.0m/min의 조건에서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고, 핀 텐터를 사용해서 건조 온도: 100℃에서 건조해서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 부직포에 대해서 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온도 95℃, 욕비 1:40, 처리 시간 30분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해 성분을 탈해하고,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단섬유 직경: 230㎚) 30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8dtex, 습윤 시 강도: 1.9cN/dtex, 섬유 길이: 38㎜) 70질량%를 포함하는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6을 얻었다. 또한, 상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6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과 레이온 섬유의 함유량은 상기 탈해 후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것이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6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6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정리했다.
(실시예 7)
실시예 6의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8dtex, 습윤 시 강도: 1.9cN/dtex, 섬유 길이: 38㎜)를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6dtex, 습윤 시 강도: 1.6cN/dtex, 섬유 길이: 38㎜)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7을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7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7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정리했다.
(실시예 8)
실시예 6의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8dtex, 습윤 시 강도: 1.9cN/dtex, 섬유 길이: 38㎜)를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을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정리했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서 사용한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를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2㎜)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9를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9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본 실시예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9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정리했다.
(실시예 10)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
실시예 2의 폴리머 알로이 섬유로 이루어지는 토우를 1㎜로 커팅하고, 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온도 95℃, 욕비 1:40, 처리 시간 30분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해 성분을 탈해하여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단섬유 직경: 230㎚)의 단섬유를 얻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단섬유 직경: 230㎚) 30질량%와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15㎜) 70질량%를 혼합 교반한 후 각형 시트 머신에 의해 단위 중량 65g/㎡로 초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해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0을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0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정리했다.
(실시예 11)
실시예 8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단섬유 직경: 230㎚)의 함유량을 20질량%,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의 함유량을 80질량%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1을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1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정리했다.
(실시예 12)
실시예 8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단섬유 직경: 230㎚)의 함유량을 40질량%,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의 함유량을 60질량%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2를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2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2의 구성 및 평가를 표3 및 표 4에 정리했다.
(실시예 13)
실시예 8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단섬유 직경: 230㎚)의 함유량을 50질량%,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의 함유량을 50질량%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3을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3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3의 구성 및 특징을 표 3 및 표 4에 정리했다.
(실시예 14)
실시예 2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단섬유 직경: 230㎚)의 함유량을 50질량%,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의 함유량을 35질량%로 하고, PET 섬유(단섬유 섬도: 1.6dtex)의 함유량을 15질량%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4를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4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4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정리했다.
(실시예 15)
수류 교락의 압력을 8㎫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5를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5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5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정리했다.
(실시예 16)
수류 교락의 압력을 15㎫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6을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6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6의 구성 및 특징을 표 3 및 표 4에 정리했다.
(실시예 17)
실시예 4의 해도 복합 섬유의 도 성분 지름을 600㎚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7을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7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7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정리했다.
(실시예 18)
수류 교락의 압력을 13㎫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8을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8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8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정리했다.
(비교예 1)
실시예 2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도 성분 지름: 230㎚) 52질량%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단섬유 섬도: 1.6dtex) 48질량%를 카드로 혼면, 개섬한 후 크로스랩 웨버에 의해 웹으로 했다. 이 웹을 압력: 10㎫, 속도 1.0m/min의 조건에서 고압 수류에 의해 얽히게 하고, 핀 텐터를 사용해서 건조 온도: 100℃에서 건조해서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 부직포에 대해서 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온도 95℃, 욕비 1:40, 처리 시간 30분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해 성분을 탈해하고,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단섬유 직경: 230㎚) 30질량%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단섬유 섬도: 1.6dtex) 70질량%를 포함하는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9를 얻었다. 또한, 상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9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과 PET 섬유의 함유량은 상기 탈해 후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9의 전체 질량에 대한 것이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9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9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정리했다.
(비교예 2)
실시예 8의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를 리오셀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3.2cN/dtex, 섬유 길이: 38㎜)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0을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0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0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정리했다.
(비교예 3)
실시예 8의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를 리오셀 섬유(단섬유 섬도: 1.25dtex, 습윤 시 강도: 2.4cN/dtex, 섬유 길이: 38㎜)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1을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1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1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정리했다.
(비교예 4)
실시예 2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도 성분 지름: 230㎚)의 함유량을 30질량%,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의 함유량을 50질량%, PET 섬유(단섬유 섬도: 1.6dtex)의 함유량을 20질량%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2를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2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2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정리했다.
(비교예 5)
실시예 8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단섬유 직경: 230㎚)의 함유량을 65질량%,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의 함유량을 35질량%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3을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3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3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정리했다.
(비교예 6)
실시예 8의 폴리머 알로이 섬유에 대해서 나일론 6의 질량비를 80질량%, 폴리L락트산의 질량비를 20질량%로 변경하고,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도 성분 지름을 1000㎚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4를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4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4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정리했다.
(비교예 7)
실시예 8의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단섬유 직경: 230㎚)의 함유량을 15질량%, 레이온 섬유(단섬유 섬도: 1.4dtex, 습윤 시 강도: 1.1cN/dtex, 섬유 길이: 38㎜)의 함유량을 85질량%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5를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5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5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정리했다.
(비교예 8)
수류 교락의 압력을 7㎫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본 실시예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6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정리했다.
(비교예 9)
수류 교락의 압력을 18㎫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중량 65g/㎡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얻었다.
이어서, 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를 얻었다. 본 실시예의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7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정리했다.
표 1~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은 실시예 1~실시예 18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1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9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실시예 1~실시예 18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부직포 18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뒤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은 실시예 1~실시예 18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2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0 및 부직포 21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부직포 1~부직포 18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뒤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비교예 4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은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4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2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 및 부직포 3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뒤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비교예 5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이나 취급성은 실시예 8, 실시예 11~실시예 13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이나 취급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5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3이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 부직포 11~부직포 13이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에 비해 높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비교예 6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은 실시예 4, 실시예 5, 및 실시예 8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6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4의 정마찰계수가 실시예 4, 실시예 5, 및 실시예 8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4, 부직포 5, 및 부직포 8의 정마찰계수가 뒤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비교예 7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은 실시예 4, 실시예 5, 및 실시예 8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7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5가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4, 부직포 5 및 부직포 8이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에 비해 낮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비교예 8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이나 취급성은 실시예 8, 실시예 15, 실시예 16, 및 실시예 18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이나 취급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8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6의 밀도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 부직포 15, 부직포 16, 및 부직포 18의 밀도에 비해 낮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비교예 9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은 실시예 8, 실시예 15, 실시예 16, 및 실시예 18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비교예 9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7의 밀도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 부직포 15, 부직포 16, 및 부직포 18의 밀도에 비해 높아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7의 추종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 부직포 15, 부직포 16, 및 부직포 18의 추종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뒤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여기에서 실시예 3의 페이스 마스크의 20분 후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은 실시예 2의 페이스 마스크의 20분 후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실시예 2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가 함유하는 PET 섬유의 단면형상이 원형 단면인 것에 대해 실시예 3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3이 함유하는 PET 섬유의 단면형상이 편평 다엽 단면이기 때문에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3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부직포 2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보다 우수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실시예 5의 페이스 마스크의 20분 후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은 실시예 4의 페이스 마스크의 20분 후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실시예 5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5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실시예 4의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4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보다 우수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실시예 8의 페이스 마스크의 추종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은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의 페이스 마스크의 추종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6 및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7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보다 우수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실시예 8의 페이스 마스크의 20분 후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은 실시예 1의 페이스 마스크의 20분 후의 밀착성이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실시예 1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보다 우수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실시예 8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은 실시예 9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이 함유하는 레이온 섬유의 섬유 길이가 실시예 9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9가 함유하는 레이온 섬유의 섬유 길이에 비해 크기 때문에 얽힘의 정도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9보다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의 편이 보다 고도인 것으로 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의 습윤 시의 강도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9의 습윤 시의 강도보다 크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마찬가지의 것이 실시예 8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이 실시예 10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우수했던 것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8의 페이스 마스크의 압축 시의 유연함은 실시예 10의 페이스 마스크의 압축 시의 유연함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이 건식 부직포이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0이 습식 부직포이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실시예 8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압축 시의 유연함,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은 실시예 11의 페이스 마스크의 밀착성이나 압축 시의 유연함,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이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이 실시예 11의 페이스 마스크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1이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에 비해 높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실시예 8의 클렌징 시트의 취급성은 실시예 12의 클렌징 시트의 취급성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이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이 실시예 12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2가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에 비해 낮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실시예 8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이나 취급성은 실시예 13 및 실시예 14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이나 취급성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이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이 실시예 13 및 실시예 14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3 및 부직포 14가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의 함유량에 비해 낮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실시예 8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이나 취급성은 실시예 15의 클렌징 시트의 와이핑성이나 취급성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의 밀도가 실시예 15의 클렌징 시트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5의 밀도에 비해 높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실시예 8의 페이스 마스크의 추종성이나 압축 시의 유연함은 실시예 16의 페이스 마스크의 추종성이나 압축 시의 유연함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8의 밀도가 실시예 16의 페이스 마스크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6의 밀도에 비해 낮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실시예 17의 페이스 마스크의 20분 후의 밀착성은 실시예 4의 페이스 마스크의 20분 후의 밀착성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실시예 17의 페이스 마스크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7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이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4의 정마찰계수, 추종성, 보액성, 및 압축 시의 유연함보다 우수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실시예 18의 페이스 마스크의 추종성이나 압축 시의 유연함은 실시예 16의 페이스 마스크의 추종성이나 압축 시의 유연함에 비해 우수했다. 이것은 실시예 18의 페이스 마스크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8의 밀도가 실시예 16의 페이스 마스크에 사용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16의 밀도에 비해 낮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Claims (7)

  1. 단섬유 직경이 50㎚ 이상 800㎚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로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JIS L 1015: 2010 8.7.2에 준하여 측정되는 인장 강도는 1.9cN/dtex 이하이며,
    상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합계 함유량이 85질량% 이상이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와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유 질량비(열가소성 수지 파이버/셀룰로오스 섬유)가 0.23~1.50이며,
    상기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의 밀도가 0.08~0.16g/㎤인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파이버가 폴리아미드 섬유인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가 레이온인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유 길이가 35㎜ 이상인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도가 0.08~0.14g/㎤인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페이스 마스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클렌징 시트.
KR1020217008110A 2018-10-02 2019-09-26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 KR20210066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87161 2018-10-02
JPJP-P-2018-187161 2018-10-02
PCT/JP2019/037824 WO2020071228A1 (ja) 2018-10-02 2019-09-26 スキンケア製品用不織布、フェイスマスクおよびクレンジング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813A true KR20210066813A (ko) 2021-06-07

Family

ID=7005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110A KR20210066813A (ko) 2018-10-02 2019-09-26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40050A1 (ko)
EP (1) EP3862475A4 (ko)
JP (1) JP7392651B2 (ko)
KR (1) KR20210066813A (ko)
CN (1) CN112739863B (ko)
TW (1) TW202026479A (ko)
WO (1) WO202007122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7121A (ja) 2007-10-18 2009-05-07 Toray Ind Inc シート型コスメ製品用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49737A (en) * 1970-08-27 1974-06-25 Madhu P. Godsay Nonwovens having improved properti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266191B2 (ja) * 2004-08-03 2009-05-20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身体洗浄材
JP2012223396A (ja) * 2011-04-20 2012-11-15 Teijin Fibers Ltd コスメテイック製品用不織布およびコスメテイック製品
WO2012173116A1 (ja) 2011-06-15 2012-12-20 東レ株式会社 複合繊維
JP5579220B2 (ja) * 2012-03-30 2014-08-27 三和製紙株式会社 メイク落とし用不織布及びメイク落としシート
JP6000638B2 (ja) * 2012-05-18 2016-10-05 アンファー株式会社 フェイスマスク
JP6158178B2 (ja) * 2012-06-12 2017-07-05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保液シート及びフェイスマスク
JP6285737B2 (ja) * 2014-02-06 2018-02-28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ウェットシート用不織布、ウェットワイピングシート、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CN106133226B (zh) * 2014-03-31 2019-06-11 大和纺控股株式会社 含浸化妆料的皮肤被覆片用无纺布及其制造方法
CN106714641A (zh) * 2014-09-30 2017-05-24 可乐丽可乐富丽世股份有限公司 擦拭片
CN110770380A (zh) * 2017-06-21 2020-02-07 东丽株式会社 护肤产品用的不织布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7121A (ja) 2007-10-18 2009-05-07 Toray Ind Inc シート型コスメ製品用不織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1228A1 (ja) 2020-04-09
JPWO2020071228A1 (ja) 2021-09-30
US20220040050A1 (en) 2022-02-10
TW202026479A (zh) 2020-07-16
EP3862475A4 (en) 2022-07-06
EP3862475A1 (en) 2021-08-11
CN112739863B (zh) 2023-05-16
CN112739863A (zh) 2021-04-30
JP7392651B2 (ja)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21877B1 (de) Kosmetisches wattepad
JP6494518B2 (ja) 保液シート及びフェイスマスク
US11225048B2 (en) Laminated nonwoven fabric
JP6385191B2 (ja) 薬液含浸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KR102469914B1 (ko)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JP4471620B2 (ja) セルロース繊維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不織布製品
KR20210066813A (ko)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페이스 마스크, 및 클렌징 시트
JP6866851B2 (ja) 積層不織布
WO2017122625A1 (ja) フェイスマスク
JP2009097121A (ja) シート型コスメ製品用不織布
JP2018153632A (ja) 薬液含浸用シート
KR20190029724A (ko) 겔 마스크용 부직포
JP2020084386A (ja) 積層不織布
KR102535595B1 (ko) 보액성 부직포 및 이 부직포를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
WO2022138449A1 (ja) スキンケア製品用不織布、フェイスマスクおよびクレンジングシート
JP2017209409A (ja) フェイスマスク用布帛およびこのフェイスマスク用布帛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JP2021050453A (ja) 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