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760A - 후진 주차 지원장치 - Google Patents

후진 주차 지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760A
KR20210066760A KR1020210008350A KR20210008350A KR20210066760A KR 20210066760 A KR20210066760 A KR 20210066760A KR 1020210008350 A KR1020210008350 A KR 1020210008350A KR 20210008350 A KR20210008350 A KR 20210008350A KR 20210066760 A KR20210066760 A KR 20210066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automatic steering
gear position
reverse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7085B1 (ko
Inventor
김병혁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0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36Rever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62D15/0285Parking performed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33Rever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후진 주차 시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 스위치(O/SIDE MIRROR ADJUST SWITCH)를 활용하여 조향 핸들의 조작을 보조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후진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한 후진 주차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어 위치를 검출하는 기어위치 검출부; 스마트키를 검출하는 스마트키 검출부; 도어 개폐 상태와 록킹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상태 검출부; 상기 기어위치 검출부에서 검출한 기어 위치가 "후진" 위치이면 상기 스마트키 위치와 도어 상태에 따라 자동 조향 진입 조건을 판단하여 자동 조향 진입조건을 충족하면 클러스터에 자동 조향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출하고,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의 조작이 발생하면 조작량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스티어링 휠의 구동을 제어하며, 자동 조향 해제 조건이 입력되면 자동 조향 해제를 제어하는 주차 제어부; 및 상기 주차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스티어링 휠 제어신호에 따라 스티어링 휠을 구동하는 스티어링 구동부를 포함하여 후진 주차를 보조하게 된다.

Description

후진 주차 지원장치{Support Apparatus for Reverse Parking}
본 발명은 후진 주차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후진 주차 시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 스위치(O/SIDE MIRROR ADJUST SWITCH)를 활용하여 조향 핸들의 조작을 보조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후진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한 후진 주차 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운전자가 주차를 위해 후진 시 적절한 핸들 조향이 필요한 데, 운전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는 적절한 조향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후진 주차 시 조향의 어려움을 해결하면서 후진 시 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주차 보조 시스템(PAS; Parking Assistance System)이 활용되고 있다.
주차 보조 시스템은 주차할 때 또는 후진할 때 물체와의 간격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물체와의 간격을 알려주는 방식은 거리를 표시해주는 방식, 음향신호 또는 광신호를 이용하여 알려주는 방식, 상기 경보 방식을 조합하여 알려주는 방식 등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주차 보조 시스템도 결과적으로 운전자가 조향 핸들을 직접 조작하여 후진해야 하므로, 운전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에게 적절한 조향을 보조해주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후진 시 조향을 보조해주기 위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이중 주차된 상태의 차량을 이동 시에 차량 외부에 마련된 이동버튼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일 방향으로 차량을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주차된 차량의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차량 외부에서 이동버튼을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식으로서, 차량 후진 주차 시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 내부에서 조향 핸들을 자동으로 동작시켜 후진 주차를 보조해주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주차 모드 스위치를 통하여 자동 주차 모드가 직각주차인지 평행주차인지의 여부가 입력되고, 입력된 직각주차 또는 평행주차에 따라서 사용자 제어화면에 표시되는 스티어링 휠의 방향과 각도만큼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켜 자동 주차 모드를 선택하는 구성을 포함한 자동 주차 모드의 선택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주차 시 운전자가 조향 핸들을 돌리면 그에 대응한 조향 휠의 회전방향 및 각도에 따른 차량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자 제어화면에 표시해주고, 이후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면 자동 조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서, 운전자의 조작량이 많고 운전자가 차량의 이동 상황을 보면서 조작하는 것이 아니고 사전에 차량의 이동 정보를 전부 입력하는 방식이므로, 오입력에 따라 차량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27298호(2017.11.21. 공개)(주차차량의 이동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11554호(2015.04.07. 등록)(스티어링 휠을 이용하는 자동 주차 모드의 선택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주차 보조 시스템의 단점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 후진 주차 시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 스위치(O/SIDE MIRROR ADJUST SWITCH)를 활용하여 조향 핸들의 조작을 보조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후진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한 후진 주차 지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진 주차 지원장치"는, 기어 위치를 검출하는 기어위치 검출부; 스마트키를 검출하는 스마트키 검출부; 도어 개폐 상태와 록킹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상태 검출부; 상기 기어위치 검출부에서 검출한 기어 위치가 "후진" 위치이면 상기 스마트키 위치와 도어 상태에 따라 자동 조향 진입 조건을 판단하여 자동 조향 진입조건을 충족하면 클러스터에 자동 조향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출하고,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의 조작이 발생하면 조작량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스티어링 휠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차 제어부; 상기 주차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스티어링 휠 제어신호에 따라 스티어링 휠을 구동하는 스티어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주차 제어부는 차량 시동이 온 상태이고,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 스마트키가 차량 실내에 위치하고 모든 도어가 록킹 상태이면 자동 조향 진입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진 주차 지원방법"은, (a) 자동 조향 진입 조건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확인 결과 자동 조향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기어 위치를 확인하여 후진 기어 위치이면 클러스터에 자동 조향 선택을 알리는 메뉴를 팝-업 형태로 표출하는 단계; (c) 상기 클러스터에 자동 조향 선택 메뉴가 표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면 상기 자동 조향을 해제하는 단계; (d) 상기 클러스터에 자동 조향 선택메뉴가 표출된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가 조작되면, 조작되는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의 위치 및 조작량에 따라 스티어링 휠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단계; (e) 상기 (d)단계 후 자동 조향 해제조건이 입력되면 자동 조향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a)단계는 차량 시동이 온 상태이고,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 스마트키가 차량 실내에 위치하고 모든 도어가 록킹 상태이면 자동 조향 진입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e)단계는 특정 도어가 오픈되거나 기어 위치가 "후진" 이외의 위치로 변경되거나 스마트키가 실내에 없으면 자동 조향 해제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후진 주차 시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 스위치(O/SIDE MIRROR ADJUST SWITCH)를 활용하여 조향 핸들의 조작을 보조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후진 주차를 할 수 있는 편리함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진 주차 지원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진 주차 지원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를 이용한 스티어링 휠 이동 방향 예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후진 주차 지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후진 주차 지원장치의 구성도로서,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10), 기어 위치 검출부(20), 스마트키 검출부(30), 주차 제어부(40), 클러스터(50), 스티어링 구동부(60) 및 도어상태 검출부(70)를 포함한다.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10)는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아웃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기어 위치 검출부(20)는 기어 위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며, 스마트키 검출부(30)는 스마트키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고, 도어상태 검출부(70)는 도어 개폐 상태와 록킹 상태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주차 제어부(40)는 상기 기어위치 검출부(20)에서 검출한 기어 위치가 "후진" 위치이면 상기 스마트키 위치와 도어 상태에 따라 자동 조향 진입 조건을 판단하여 자동 조향 진입조건을 충족하면 클러스터(50)에 자동 조향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출하고,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10)의 조작이 발생하면 조작량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스티어링 휠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클러스터(50)는 차량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계기판으로서, 차량 속도, 주행 가능 거리, 회전 수 등을 표시해주며, 자동 조향 선택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스티어링 구동부(60)는 상기 주차 제어부(40)에서 발생하는 스티어링 휠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스티어링 휠을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차 제어부(40)는 차량 시동이 온 상태이고,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 스마트키가 차량 실내에 위치하고 모든 도어가 록킹 상태이면 자동 조향 진입조건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후진 주차 지원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시동이 온(IGN ON) 상태가 되면, 주차 제어부(40)는 기어위치 검출부(20)를 통해 검출되는 변속기의 위치 즉, 기어 위치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기어 위치가 "후진(R)" 이외의 기어 위치이면 기존 차량 제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차량 운행을 제어하고, 이와는 달리 기어 위치가 "후진" 위치이면, 스마트키 검출부(30) 및 도어 상태 검출부(70)의 검출 값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후진 주차 시 주차 보조를 위한 자동 조향 진입 조건을 확인한다.
여기서 자동 조향 진입 조건은 차량 시동이 온 상태이고,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ALL DOOR CLOSE), 스마트키가 차량 실내에 위치하고 모든 도어가 록킹 상태이면(ALL DOOR LOCK) 자동 조향 진입조건으로 판단한다.
자동 조향 조건을 만족하면, 클러스터(50)에 자동 조향 선택메뉴를 팝-업 형태로 표출해준다.
운전자는 후진 시 클러스터(50)를 통해 자동 조향 선택메뉴가 팝-업 형태로 표출되면, 자동 조향을 할 것인지 아니면 수동 조향을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수동 조작으로 결정하는 방법은 기존과 같이 직접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면 간단하게 수동 조향으로 결정된다.
만약, 자동 조향을 하고 싶다면, 클러스터(50)에 자동 조향 선택메뉴가 표출된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미러 조향스위치(10)를 조작하면 된다. 여기서 아웃사이드 미러 조향스위치(10)는 조이스틱이나 조이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회전, 우회전 스티어링 정렬 등과 같은 조작 방향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자동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한다.
즉,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10)의 LEFT SWITCH를 조작하면 좌회전을 의미하고, RIGHT SWITCH를 조작하면 우회전을 의미하며, DOWN SWITCH를 조작하면 스티어링 정렬을 의미한다. 회전량은 해당 방향의 스위치를 누르는 횟수나 누르는 지속시간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10)의 조작에 대응하여 주차 제어부(40)는 스티어링 구동부(6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후진 시 주차를 보조하여, 운전자가 편리하게 후진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해준다.
후진 주차를 완료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특정 도어를 열거나(OPEN), 기어를 후진 이외의 기어 위치로 변경하거나 스마트키가 실내를 벗어나면, 주차 제어부(40)는 자동으로 자동 조향 선택 메뉴를 제거하고, 자동 조향을 해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진 주차 지원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자동 조향 진입 조건을 확인하는 단계(S10), (b) 상기 확인 결과 자동 조향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기어 위치를 확인하여 후진 기어 위치이면 클러스터에 자동 조향 선택을 알리는 메뉴를 팝-업 형태로 표출하는 단계(S20 - S30), (c) 상기 클러스터에 자동 조향 선택 메뉴가 표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면 상기 자동 조향을 해제하는 단계(S40 - S50), (d) 상기 클러스터에 자동 조향 선택메뉴가 표출된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가 조작되면, 조작되는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의 위치 및 조작량에 따라 스티어링 휠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단계(S50), (e) 상기 (d)단계 후 자동 조향 해제조건이 입력되면 자동 조향을 해제하는 단계(S60 - S70)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는 차량 시동이 온 상태이고,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 스마트키가 차량 실내에 위치하고 모든 도어가 록킹 상태이면 자동 조향 진입조건으로 판단한다.
상기 (e)단계는 특정 도어가 오픈되거나 기어 위치가 "후진" 이외의 위치로 변경되거나 스마트키가 실내에 없으면 자동 조향 해제조건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후진 주차 지원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0에서 차량의 시동이 온(IGN ON) 상태가 되면, 스마트키 검출부(30) 및 도어 상태 검출부(70)의 검출 값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후진 주차 시 주차 보조를 위한 자동 조향 진입 조건을 확인한다.
여기서 자동 조향 진입 조건은 차량 시동이 온 상태이고,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ALL DOOR CLOSE), 스마트키가 차량 실내에 위치하고 모든 도어가 록킹 상태이면(ALL DOOR LOCK) 자동 조향 진입조건으로 판단한다.
이어, 자동 조향 조건으로 판단이 되면, 주차 제어부(40)는 단계 S20에서 기어위치 검출부(20)를 통해 검출되는 변속기의 위치 즉, 기어 위치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기어 위치가 "후진(R)" 이외의 기어 위치이면 기존 차량 제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차량 운행을 제어하고, 이와는 달리 기어 위치가 "후진" 위치이면, 자동 조향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 조향 모드로 인식하고, 단계 S30과 같이 클러스터(50)에 자동 조향 선택메뉴를 팝-업 형태로 표출해준다.
운전자는 후진 시 클러스터(50)를 통해 자동 조향 선택메뉴가 팝-업 형태로 표출되면, 자동 조향을 할 것인지 아니면 수동 조향을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수동 조작으로 결정하는 방법은 단계 S40과 같이, 직접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면 간단하게 수동 조향으로 결정된다.
만약, 자동 조향을 하고 싶다면, 클러스터(50)에 자동 조향 선택메뉴가 표출된 상태에서, 단계 S50과 같이 아웃사이드 미러 조향스위치(10)를 조작하면 된다. 여기서 아웃사이드 미러 조향스위치(10)는 조이스틱이나 조이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회전, 우회전 스티어링 정렬 등과 같은 조작 방향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자동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한다.
즉,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10)의 LEFT SWITCH를 조작하면 좌회전을 의미하고, RIGHT SWITCH를 조작하면 우회전을 의미하며, DOWN SWITCH를 조작하면 스티어링 정렬을 의미한다. 회전량은 해당 방향의 스위치를 누르는 횟수나 누르는 지속시간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10)의 조작에 대응하여 주차 제어부(40)는 스티어링 구동부(6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후진 시 주차를 보조하여, 운전자가 편리하게 후진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해준다.
후진 주차를 완료한 상태에서, 단계 S60 및 S70에서 운전자가 특정 도어를 열거나(OPEN), 기어를 후진 이외의 기어 위치로 변경하거나 스마트키가 실내를 벗어나면, 주차 제어부(40)는 자동으로 자동 조향 선택 메뉴를 제거하고, 자동 조향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후진 주차 시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스티어링 구동부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함으로써 후진 시 주차를 보조하여, 운전자가 편리하게 후진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해준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 20: 기어위치 검출부
30: 스마트키 검출부 40: 주차 제어부
50: 클러스터 60: 스티어링 구동부
70: 도어상태 검출부

Claims (3)

  1. 기어 위치를 검출하는 기어위치 검출부;
    스마트키를 검출하는 스마트키 검출부;
    도어 개폐 상태와 록킹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상태 검출부;
    상기 기어위치 검출부에서 검출한 기어 위치가 "후진" 위치이면 상기 스마트키 위치와 도어 상태에 따라 자동 조향 진입 조건을 판단하여 자동 조향 진입조건을 충족하면 클러스터에 자동 조향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출하고,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의 조작이 발생하면 조작량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스티어링 휠의 구동을 제어하며, 자동 조향 해제 조건이 입력되면 자동 조향 해제를 제어하는 주차 제어부; 및
    상기 주차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스티어링 휠 제어신호에 따라 스티어링 휠을 구동하는 스티어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 주차 지원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주차 제어부는 차량 시동이 온 상태이고,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 스마트키가 차량 실내에 위치하고 모든 도어가 록킹 상태이면 자동 조향 진입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 주차 지원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주차 제어부는 특정 도어가 오픈되거나 기어 위치가 "후진" 이외의 위치로 변경되거나 스마트키가 실내에 없으면 자동 조향 해제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 주차 지원장치.
KR1020210008350A 2019-11-28 2021-01-20 후진 주차 지원장치 KR102297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50A KR102297085B1 (ko) 2019-11-28 2021-01-20 후진 주차 지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55A KR102220702B1 (ko) 2019-11-28 2019-11-28 후진 주차 지원방법
KR1020210008350A KR102297085B1 (ko) 2019-11-28 2021-01-20 후진 주차 지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55A Division KR102220702B1 (ko) 2019-11-28 2019-11-28 후진 주차 지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760A true KR20210066760A (ko) 2021-06-07
KR102297085B1 KR102297085B1 (ko) 2021-09-02

Family

ID=751510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55A KR102220702B1 (ko) 2019-11-28 2019-11-28 후진 주차 지원방법
KR1020210008350A KR102297085B1 (ko) 2019-11-28 2021-01-20 후진 주차 지원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55A KR102220702B1 (ko) 2019-11-28 2019-11-28 후진 주차 지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20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113B1 (ko) 2021-11-03 2023-10-20 재단법인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근거리 통신 기반의 자율주행 안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9656A (ja) * 2001-02-06 2002-08-16 Honda Motor Co Ltd 車両の運転操作装置
JP2003212073A (ja) * 2002-01-23 2003-07-30 Toyota Motor Corp 駐車支援装置
KR101511554B1 (ko) 2013-12-02 201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휠을 이용하는 자동주차모드의 선택방법
KR20170127298A (ko) 2016-05-11 2017-11-21 백승만 주차차량의 이동장치
JP2018047848A (ja) * 2016-09-23 2018-03-2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駐車導入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2018107653A (ja) * 2016-12-27 2018-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認証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9656A (ja) * 2001-02-06 2002-08-16 Honda Motor Co Ltd 車両の運転操作装置
JP2003212073A (ja) * 2002-01-23 2003-07-30 Toyota Motor Corp 駐車支援装置
KR101511554B1 (ko) 2013-12-02 201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휠을 이용하는 자동주차모드의 선택방법
KR20170127298A (ko) 2016-05-11 2017-11-21 백승만 주차차량의 이동장치
JP2018047848A (ja) * 2016-09-23 2018-03-2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駐車導入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2018107653A (ja) * 2016-12-27 2018-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認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085B1 (ko) 2021-09-02
KR102220702B1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5763B2 (ja) 車両開閉体の制御装置
DE102006028046B4 (de) Kombinierte 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WO2018037780A1 (ja) 駐車支援装置
JP6683313B2 (ja) 車両用ドアの操作制御システム
JP2019006277A (ja) 車両操作装置
JP2016007959A (ja) 車両用装置、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
US11001145B2 (en) Assembly, transportation vehicle and method for assisting a user of a transportation vehicle
JP6567723B2 (ja) 車両用装置、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
KR102297085B1 (ko) 후진 주차 지원장치
EP2444302A2 (en)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parking method
JP5084352B2 (ja) 車載用表示装置
JP6641762B2 (ja) 車両周辺視認装置
JP2006213071A (ja) 車両用監視装置
CN104442623B (zh) 用于在车辆中尤其商用车辆中显示可视信息的方法和设备
DE102015214794A1 (de) Bedienvorrichtung für eine motorisch verstellbare Seitentür eines Fahrzeugs
JP2018135030A (ja) 自動運転操作支援装置
JP3728553B2 (ja) 自動車用入力装置
JP5977724B2 (ja) 駐車支援装置
KR100785336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자동회전문 제어장치
JP2010030324A (ja) 操作装置
JP2005041376A (ja) 車両後退時の運転操作支援システム
US20210148154A1 (en) Method and motor control system for use in a vehicle roof assembly
JPH04224432A (ja) 車載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706405B1 (ko) 차량에 구비되는 모니터의 작동구조
JP4979651B2 (ja) 開閉体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