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728A -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728A
KR20210066728A KR1020200158618A KR20200158618A KR20210066728A KR 20210066728 A KR20210066728 A KR 20210066728A KR 1020200158618 A KR1020200158618 A KR 1020200158618A KR 20200158618 A KR20200158618 A KR 20200158618A KR 20210066728 A KR20210066728 A KR 20210066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smetic
ester oil
aci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츠미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ublication of KR20210066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72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1Coated by 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유성 성분 및 분체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기재와,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가 포함되는 슬러리를 조제하는 공정과, 슬러리를 압축 성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유성 성분이, 상기 탄화수소계 용제에 불용인, 수산기가가 40∼85인 에스테르유를 포함하며, 분체 성분이 판상 분체를 포함하는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SOLID POWDER COSMETIC}
본 발명은,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형 분말 화장료는 분체 성분과 유성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이섀도우, 블러셔,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형 분말 화장료는, 휴대시의 운반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내충격성을 갖고 있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사용감에 대해서는, 도포시의 채도나 발색이 높고, 피부에 매끄럽게 발리면서 단단히 밀착되어 화장 지속성이 좋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고형 분말 화장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분체 성분과 유성 성분을 혼합하여, 몰드에 충전하여 프레스하여 성형하는 건식 제법과, 분체 성분과 유성 성분을 용매에 혼합하여 슬러리상으로 하고, 얻어진 슬러리를 몰드에 충전하여, 가볍게 프레스하고 나서 용매를 건조, 제거하여 성형하는 습식 제법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24839호 공보
습식 제법에 의해 얻어지는 고형 분말 화장료는, 슬러리 상태를 거침으로써, 분체와 유제의 균일 분산이 진행되어, 고운 분질과, 촉촉한 사용감을 얻기 쉬운 한편, 성형된 화장료의 표면이 희어 보이는 소위, 탈색을 일으키기 쉬운 경향이 있다. 탈색을 일으키고 있는 화장료는, 구매자에게 외관상의 색으로부터 도포색이 전해지기 어려워, 도포시의 채도나 발색이 좋은 것을 소구(訴求)하기 어렵다.
고형 분말 화장료의 채도나 발색에 대해서는, 목적에 따른 판상 분체의 배합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고, 예컨대, 펄감을 내는 경우, 판상 분체를 모체로 하는 광휘성 분체 등이 이용된다. 또한, 도포시의 발림성 좋음이나 밀착성을 얻는 경우, 탈크 등의 판상 분체가 이용된다. 그러나, 고형 분말 화장료에 판상 분체를 다량으로 배합하면 내충격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 유성 성분도 고배합한 조성에서는 성형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은, 도포시의 채도나 발색이 충분히 높고,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밀착감 등의 사용감이 우수함과 더불어, 미사용 부분의 표면색과 속색의 색차가 작으며, 충분한 내충격성을 갖는 고형 분말 화장료를 얻을 수 있는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습식 제법에 의해 판상 분체를 함유하는 고형 분말 화장료를 제조하는 경우에, 슬러리에 포함되는 유성 성분 및 용매로서, 특정 수산기가를 갖는 에스테르유와, 이 에스테르유와 상용(相溶)되지 않는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발색 및 사용감, 프레스 표면에 있어서의 색상, 및 내충격성 모두가 양호한 고형 분말 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유성 성분 및 분체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기재와,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가 포함되는 슬러리를 조제하는 공정과, 슬러리를 압축 성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유성 성분이, 상기 탄화수소계 용제에 불용인, 수산기가가 40∼85인 에스테르유(A)를 포함하며, 분체 성분이 판상 분체(B)를 포함하는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도포시의 채도나 발색이 충분히 높고,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밀착감 등의 사용감이 우수함과 더불어, 미사용 부분의 표면색과 속색의 색차가 작으며, 충분한 내충격성을 갖는 고형 분말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효과를 더욱 높은 수준으로 양립시킨다는 관점에서, 에스테르유(A)가, 수첨(水添) 피마자유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또는 다이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효과를 더욱 높은 수준으로 양립시킨다는 관점에서, 상기 에스테르유(A)가,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다이머디리놀산) 코폴리머, (수첨 피마자유/세바신산) 코폴리머 및 다이머디리놀산 수첨 피마자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에스테르유를 포함하고, 상기 탄화수소계 용제가, 이소파라핀 및 이소도데칸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기재에 있어서의 분체 성분의 함유량은, 화장료 기재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75∼95 질량%여도 좋다.
상기 판상 분체(B)는, 금속 산화물로 피복된 판상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 산화물 피복에 의한 특성을 고형 분말 화장료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에스테르유(A)의 함유량은, 화장료 기재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0.1∼5 질량%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포시의 채도나 발색이 충분히 높고,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밀착감 등의 사용감이 우수함과 더불어, 미사용 부분의 표면색과 속색의 색차가 작으며, 충분한 내충격성을 갖는 고형 분말 화장료를 얻을 수 있는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은, 유성 성분 및 분체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기재와,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가 포함되는 슬러리를 조제하는 공정(이하, 슬러리 조제 공정이라고도 함)과, 슬러리를 압축 성형하는 공정(이하, 성형 공정이라고도 함)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휘발성 용제란, 1기압(101.325 kPa)에 있어서의 비점이 250℃ 이하인 용제를 의미한다.
우선, 고형 분말 화장료를 구성하는 화장료 기재에 포함되는 유성 성분 및 분체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성 성분)
유성 성분으로는, 통상 화장품에 사용되는 것을 배합할 수 있고, 예컨대, 고형유 및 고형유 이외의 유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성 성분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고형유로는, 예컨대,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등의 탄화수소류, 경화 피마자유, 수첨 호호바유, 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등의 식물 유래 유지, 트리베헨산글리세릴,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스테아르산, 베헨산 등의 고급 지방산류,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류, 알킬 변성 실리콘, 아크릴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류, 팔미트산덱스트린, 스테아르산이눌린 등의 당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고형유 이외의 유제로는, 페이스트상유, 액상유를 이용할 수 있다. 페이스트상유로는, 예컨대, 바셀린, 헥사(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르산/로진산)디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틸, 헥사히드록시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틸,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미리스트산/스테아르산)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수첨 피마자유, 올레산피토스테릴, 트리아세트산테트라스테아르산수크로오스, 헥사(올레산/팔미트산/스테아르산)수크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액상유로는, 예컨대,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수첨 폴리이소부텐, 수첨 폴리데센 등의 불휘발성 탄화수소유,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펜타이소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틸,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에스테르유, 피마자유 등의 식물유,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스테아록시메틸폴리실록산,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불소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에 있어서의 유성 성분의 함유량은, 화장료 기재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5∼20 질량%로 할 수 있고, 내충격성, 항케이킹의 관점에서, 7∼18 질량%가 바람직하며, 8∼16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0∼15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는, 유성 성분으로서, 슬러리에 배합되는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에 불용이며, 수산기가가 40∼85인 에스테르유(A)(이하, 에스테르유(A)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에스테르유(A)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탄화수소계 용제에 불용인 에스테르유(바꾸어 말하면, 탄화수소계 용제와 에스테르유가 비상용의 관계에 있음)란, 25℃에서, 스크류관에, 에스테르유 0.5 g과 탄화수소계 용제 5 g을 넣어, 교반 막대로 혼합하고, 15분간 정치한 후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백탁 또는 분리가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슬러리에 포함되는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가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혼합물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에 의해 불용으로 확인되는 에스테르유를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에스테르유의 수산기가는, 「기준 유지 분석 시험법」(일본유화학회 제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에스테르유(A)는, 수산기가가 40∼85여도 좋고, 45∼80이어도 좋으며, 45∼75여도 좋다.
에스테르유(A)로는, 고형 분말 화장료의 발색 및 사용감, 프레스 표면에 있어서의 색상, 및 내충격성 모두를 보다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수첨 피마자유(경화 피마자유)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또는 다이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에스테르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에스테르유로는, 2분자의 불포화 지방산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2염기산의 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다이머디리놀산, 다이머디리놀레산, 다이머디올레산 등 에스테르,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이머산에스테르의 에스테르 부분으로는, 올레일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리놀레일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디글리세린,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다이머디리놀레일알코올 등의 불포화 알코올 2분자가 중합한 다이머디올;로부터 유도되는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들 수 있다.
다이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에스테르유는,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다이머디리놀산) 코폴리머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코폴리머는, 예컨대, 디글리세린, 이소스테아르산과, 수첨 다이머산의 축합 반응에 의해 생성할 수 있고, 「하이루센트 ISDA」(고큐알코올고교(주) 제조, 상품명)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수첨 피마자유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에스테르유로는, 수첨 피마자유와 포화 2염기산의 올리고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 포화 2염기산으로는, 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옥타데카메틸렌디카르복실산, 에이코사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수첨 피마자유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에스테르유는, (수첨 피마자유/세바신산) 코폴리머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코폴리머는, 「쿠로다본드 CSA-LQ-(JP)」(쿠로다재팬(주) 제조, 상품명)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수첨 피마자유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다이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에스테르유로는, 수첨 피마자유와 다이머산의 올리고머를 이용할 수 있다.
수첨 피마자유와 다이머산의 올리고머는, 시판되고 있는 다이머디리놀산 수첨 피마자유를 이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예컨대, 「리소카스타 DA-L」, 「리소카스타 DA-H」(고큐알코올고교(주) 제조,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A)는, 25℃에서 페이스트상, 또는 점도가 10000 mPa·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도는, 에스테르유의 점도가, 10,000∼100,000 mPa·s인 경우, BH형 점도계 및 로터: No.6을 이용하여, 회전수: 10 rpm으로 측정되고, 100,000∼350,000 mPa·s인 경우, BH형 점도계 및 로터: No.7을 이용하여, 회전수: 10 rpm의 조건으로, 25℃에서 측정된다. 또한, 상기한 점도계 및 로터는 토키산교사에서 제조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유(A)의 점도는, 10,000∼200,000 mPa·s가 바람직하고, 40,000∼100,000 mPa·s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는, 고형 분말 화장료의 발색 및 사용감, 프레스 표면에 있어서의 색상, 및 내충격성 모두를 보다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에스테르유(A)로서,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다이머디리놀산) 코폴리머, (수첨 피마자유/세바신산) 코폴리머 및 다이머디리놀산 수첨 피마자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에스테르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료 기재가 이들 에스테르유를 포함하는 경우,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가 이소파라핀 및 이소도데칸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에 있어서의 에스테르유(A)의 함유량은, 내충격성과 사용감을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화장료 기재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0.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4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3 질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에 포함되는 유성 성분에 있어서의 에스테르유(A)의 함유 비율은, 내충격성과 사용감을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유성 성분 전량에 대한 에스테르유(A)의 질량비 [에스테르유(A)]/[유성 성분]이, 0.1/20∼1/1인 것이 바람직하고, 0.5/20∼4/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16∼3/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10∼1/5 질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슬러리에 있어서의 에스테르유(A)와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의 함유 비율은, 프레스 표면의 채도와 발색을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에 대한 에스테르유(A)의 질량비 [에스테르유(A)]/[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가, 0.1/80∼5/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5/75∼4/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70∼3/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분체 성분)
분체 성분으로는,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분체라면, 특별히 한정없이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체질 분체, 백색 안료, 착색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분체의 형상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상, 판상, 침상 등의 형상, 연무상, 미립자, 안료급의 입자경, 다공질, 무공질 등의 입자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분체 성분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운모, 합성 운모, 세리사이트, 탈크, 카올린, 탄화규소, 황산바륨,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산화크롬, 수산화알루미늄마그네슘 등의 체질 안료류,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 등의 자외선 산란제류, 나일론 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아크릴로니트릴-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파우더, 염화비닐리덴-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파우더, 폴리스티렌 파우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엘라스토머 파우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파우더, 우레탄 파우더, 울 파우더, 실크 파우더, 셀룰로오스 파우더, N-아실리신 파우더 등의 유기 분체류, 미립자 산화티탄 피복 운모티탄, 미립자 산화티탄 피복 나일론, 황산바륨 피복 운모티탄, 산화티탄 함유 실리카, 산화아연 함유 실리카 등의 복합 분체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미리스트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를 들 수 있다.
착색 안료로는,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코발트, 산화크롬, 군청, 감청,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성 착색 안료, 적색 228호, 적색 226호, 청색 404호, 적색 202호, 황색 4호 알루미늄레이크 등의 유기성 착색 안료, 운모티탄, 미립자 산화티탄 피복 운모티탄, 황산바륨 피복 운모티탄, 어린박(魚鱗箔), 옥시염화비스무트, 알루미늄 플레이크 등의 펄 안료, 카르민, 홍화 등의 천연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체 성분은, 발색, 밀착성의 관점에서, 소수성 처리 분체가 바람직하다. 소수성 처리로는, 고급 지방산, 금속 비누, 유지, 납, 실리콘 화합물,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에 있어서는, 화장료가 피부에 매끄럽게 발리면서 단단히 밀착되어 화장 지속성을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분체 성분이 판상 분체(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상 분체는, 발색, 사용감의 관점에서, 평균 입자 직경이 0.1∼3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1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판상 분체의 종횡비는, 바람직하게는 8∼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00이다. 또한, 판상 분체의 평균 입자 직경이란, 레이저 회절법에 의한 50% 메디안 직경을 의미한다. 또한, 종횡비는, 평균 입자 직경/평균 두께를 의미한다.
판상 분체로는, 예컨대, 탈크, 운모, 합성 운모, 세리사이트, 무수규산, 카올린, 탄산칼슘, 알루미나, 유리를 이용할 수 있다. 판상 분체는, 피복 처리된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는, 고형 분말 화장료의 채도나 발색을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금속 산화물로 피복된 판상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 산화물 피복에 의한 특성(예컨대, 펄감 등)을 고형 분말 화장료에 부여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로 피복된 판상 분체로는, 광휘성 분체, 산화철 피복 운모티탄, 산화철 피복 운모, 산화철 피복 탈크, 산화아연 피복 운모, 산화아연 피복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광휘성 분체는, 모체인 판상 분체가 알루미나, 유리, 또는 운모여도 좋다.
그런데, 알루미나나 유리는, 운모에 비해 흡유량이 낮아, 유성 성분과 함께 배합되었을 때에 케이킹의 발생이나 화장료의 제거 악화가 일어나기 쉽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유성 성분의 배합량을 줄이면, 분체끼리가 접합되기 어려워, 내충격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습식 제법으로 고형 분말 화장료를 제조하는 경우, 유성 성분이 휘발성 용매와 혼화함으로써 용매 전체에 점성을 부여하여, 이것에 의해 점성이 지나치게 높아진 경우, 프레스시에 충분히 용매를 흡인할 수 없어 압축 성형 불량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유성 성분의 배합량을 줄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분체의 접합이 부족하여 내충격성이 악화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한 광휘성 분체를 배합하는 경우여도, 도포시의 채도나 발색이 충분히 높고, 피부에의 발림성이나 밀착감 등의 사용감이 우수함과 더불어, 미사용 부분의 표면색과 속색의 색차가 작으며, 충분한 내충격성을 갖는 고형 분말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로는,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에 불용인 에스테르유(A)를 배합함으로써, 용매의 점도 상승에 기인한 용매의 흡인 부족 및 압축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에스테르유(A)는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에 불용이기 때문에, 용매의 흡인시에 있어서도 화장료 중에 잔존하기 쉬워 유성 성분을 고배합하지 않아도 분말끼리의 접합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내충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생각된다. 또한, 수산기가가 특정 범위에 있는 에스테르유(A)에 의해, 안료가 용제에 분산되는 것이 억제되어, 프레스시에 있어서의 탈색이 저감되었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에 있어서의 분체 성분의 함유량은, 도포시의 채도나 발색, 피부에의 매끄러운 발림성을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화장료 기재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75∼9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80∼9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9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에 있어서의 판상 분체(B)의 함유량은, 화장료가 피부에 매끄럽게 발리면서 단단히 밀착되어 화장 지속성을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화장료 기재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3∼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0∼87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85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에 있어서의 에스테르유(A)와 상기 판상 분체(B)의 질량비[(A)/(B)]는, 내충격성과 사용성을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0.1/90∼5/75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3/9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가 상기 금속 산화물로 피복된 판상 분체(B')를 포함하는 경우, 판상 분체(B)와, 금속 산화물로 피복된 판상 분체(B')의 질량비[(B')/(B)]는, 3/95∼1/1인 것이 바람직하고, 5/90∼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에스테르유(A)와, 금속 산화물로 피복된 판상 분체(B')의 질량비[(A)/(B')]는, 0.5/95∼1/1인 것이 바람직하고, 1/90∼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에 있어서의 유성 성분 및 분체 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화장료가 피부에 매끄럽게 발리면서 단단히 밀착되어 화장 지속성을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화장료 기재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85∼10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87∼99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98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기재는, 상기 성분 이외에,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성분, 예컨대, 방부제, 산화방지제, 색소, 증점제, pH 조정제, 향료, 자외선흡수제, 보습제, 킬레이트제, 소염제,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
다음에, 슬러리에 포함되는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스테르유(A)와 비상용의 관계에 있다.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는, 배합되는 에스테르유(A)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이소파라핀 및 이소도데칸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파라핀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을 이용할 수 있다.
(슬러리 조제 공정)
슬러리의 조제 방법으로는, 유성 성분 및 분체 성분이 전술한 배합량으로 포함되는 화장료 기재에,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를 첨가하여, 이들을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화장료 기재는, 예컨대, 분체 성분을 혼합한 제1 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유성 성분을 혼합한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제1 혼합물을 얻는 단계는, 예컨대, 수퍼믹서 또는 헨셀믹서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아토마이저 등을 이용하여 분쇄가 행해져도 좋다.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는, 예컨대, 디스퍼, 호모믹서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고, 60∼80℃, 바람직하게는 60∼70℃에서 가열하면서 유성 성분을 혼합할 수 있다.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는, 예컨대, 수퍼믹서나 헨셀믹서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아토마이저 등을 이용하여 분쇄가 행해져도 좋다.
화장료 기재와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의 혼합은, 예컨대, 니더, 만능 교반기 등을 이용하여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가열하면서 혼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슬러리에 있어서의 화장료 기재와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의 배합 비율은, 질량비로 화장료 기재: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100:10∼100:80로 할 수 있고, 성형성의 관점에서, 100:20∼100:60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슬러리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라면, 전술한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 이외의 분산매를 함유시켜도 좋다. 분산매로는, 물,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에틸알코올 등의 휘발성 용매를 들 수 있다.
(성형 공정)
슬러리를 압축 성형하는 공정에서는, 예컨대, 상기에서 얻어진 슬러리를 필요에 따라 탈포(脫泡)하고, 소정의 용기에 충전한 후, 이것을 흡인 압축 성형 등으로 압축 성형한 후, 적절하게 건조기에 의해 건조할 수 있다.
소정의 용기로는, 금속 접시, 수지 접시 등의 속 접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정을 거쳐 고형 분말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고형 분말 화장료는, 전술한 화장료 기재와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고형 분말 화장료는, 파운데이션, 페이스 컬러,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블러셔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등으로서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 안의 수치는, 화장료 기재 전량(휘발성 용제 이외의 성분의 합계)을 기준으로 하는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휘발성 용제에 대해서는, 화장료 기재 전량(휘발성 용제 이외의 성분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한 비율(질량부)을 나타낸다.
실시예에 앞서, 각 실시예에서 채용한 평가 방법을 설명한다.
(1) 내충격성
각 고형 분말 화장료의 샘플을, 내용물이 위를 향하게 되는 방향에서, 50 cm 높이로부터 P 타일 위에 5회 낙하시킨 후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4단계 평가를 행하여 샘플마다 평점을 매기고, 또한 전체 패널의 평점의 평균점(n=5)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평점: 평가 기준]
4점: 변화 없음
3점: 약간 들뜸, 깨짐, 균열이 생기지만 문제 없음
2점: 부분적으로 들뜸, 깨짐, 균열이 있음
1점: 전체적으로 들뜸, 깨짐, 균열이 있음
[판정 기준(평점의 평균점)]
◎: 3.5 이상
○: 3.0 이상∼3.5 미만
△: 2.0 이상∼3.0 미만
×: 2.0 미만
(2) 색차
화장용 팁으로, 화장료 표면을 30회 반복하여 문질러서, 사용 부분의 표면색과 미사용 부분의 표면색의 색차(ΔE*)를 색채 색차계 CR-400(코니카미놀타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 ΔE*<5.0
○: 5.0≤ΔE*<7.0
△: 7.0≤ΔE*<9.0
×: 9.0≤ΔE*
(3) 채도(투명감) 또는 발색의 좋음, 및 사용감
화장품 평가 전문 패널 20명에게,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고형 분말 화장료를 사용하게 하여, 「채도(투명감) 또는 발색이 좋음」, 그리고 사용감으로서 「발림성의 좋음」 및 「피트감」에 대해서, 각자가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5단계 평가를 행하여 샘플마다 평점을 매기고, 또한 전체 패널의 평점의 평균점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평점: 평가 기준]
5점: 매우 양호
4점: 양호
3점: 보통
2점: 약간 불량
1점: 불량
[판정 기준(평점의 평균점)]
◎: 4 이상
○: 3 이상∼4 미만
△: 2 이상∼3 미만
×: 2 미만
(실시예 1∼9 및 비교예 1∼5)
표 1, 2에 나타낸 조성의 아이섀도우를 이하의 제법에 의해 조제하고, 상기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아울러 표 1, 2에 나타낸다.
<제법>
분체 성분을 헨셀믹서로 혼합하고, 여기에 별도 60∼80℃에서 가온·혼합한 유성 성분을 첨가하여, 헨셀믹서로 교반하여 화장료 기재를 조제하였다. 여기에, 표에 나타낸 휘발성 용제를 소정량 첨가하여, 혼련함으로써 슬러리화하였다. 이 슬러리를, 속 접시(금속 접시)에 충전하여, 흡인 프레스 및 건조함으로써 아이섀도우 샘플을 제작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1, 2 중, 각 성분의 상세는 하기와 같다.
[유성 성분]
에스테르유-1: 「하이루센트 ISDA」(고큐알코올고교(주) 제조, 상품명,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다이머디리놀산) 코폴리머), 수산기가: 55, 점도: 52000 mPa·s
에스테르유-2: 「쿠로다몰 CWS-S」(쿠로다재팬(주) 제조, 상품명, (수첨 피마자유/세바신산) 코폴리머), 수산기가: 59, 점도: 57500 mPa·s
에스테르유-3: 「코스몰 168ARV」(닛신오일리오그룹(주) 제조, 상품명, 헥사(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르산/로진산)디펜타에리트리틸), 수산기가: 90∼110(카탈로그값), 페이스트상(점도 측정 불가)
에스테르유-4: 「Plandool-G」(닛폰세이카(주) 제조, 상품명, 다이머디리놀산다이머리놀레일비스(베헤닐/이소스테아릴/피토스테릴), 수산기가: 25 이하(카탈로그값), 페이스트상(점도 측정 불가)
에스테르유-5:「코스몰 43N」(닛신오일리오그룹(주) 제조, 상품명, 트리이소스테린산폴리글리세릴-2), 수산기가: 30∼50(카탈로그값), 점도: 22500 mPa·s
[분체 성분]
알루미나 모체 광휘성 분체: 「Mirinae A-7001K Splendor Gold」(CQV Co., Ltd. 제조, 상품명, 입경 15∼19 ㎛)
유리 모체 광휘성 분체: 「Astral Effect Gold Shimmer」(쿠로다재팬(주) 제조, 입경 10∼40 ㎛)
운모 모체 광휘성 분체: 「Timiron Super Gold」(머크(주) 제조, 입경 10∼60 ㎛)
흑산화철 피복 운모티탄:「Colorona Mica Black」(머크(주) 제조, 입경 18∼25 ㎛)
착색 안료-1, -2, -3: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및 적 226을 적당량 포함하여 구성됨
[휘발성 용제]
경질 유동 파라핀: 「IP 솔벤트 1620MU」(이데미츠코산(주) 제조, 상품명, 비점 166℃)
(에스테르유의 수산기가의 측정)
에스테르유의 수산기가를, 「기준 유지 분석 시험법」(일본유화학회 제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에스테르유의 점도 측정)
에스테르유의 25℃에 있어서의 점도를 BH형 점도계(토키산교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에스테르유의 점도가, 10,000∼100,000 mPa·s인 경우, BH형 점도계 및 로터: No.6를 이용하여, 회전수: 10 rpm으로 행하고, 100,000∼350,000 mPa·s인 경우, BH형 점도계 및 로터: No.7을 이용하여, 회전수: 10 rpm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에스테르유와 휘발성 용제의 상용성)
표에 나타낸 에스테르유 및 휘발성 용제에 대해서, 25℃에서, 스크류관에, 에스테르유 0.5 g과 탄화수소계 용제 5 g을 넣고, 교반 막대로 혼합하여, 15분간 정치한 후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백탁 또는 분리가 보이는 경우를 「불용」, 투명한 경우를 「상용」으로 하여, 표 안에 나타낸다.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9에서 얻어지는 고형 분말 화장료는, 「내충격성」, 「색차」, 「채도(투명성) 또는 발색」, 「사용감(발림성, 피트감)」에 있어서, 「○」 또는 「◎」의 평가였다.
(실시예 10: 블러셔)
(성분) (배합 비율(질량%))
1. 방부제 0.60
2. 스테아르산 Al 1.00
3. 황산 Ba 3.00
4. 알루미나 5.00
5. 합성 금운모 20.00
6. 탈크 30.00
7. 운모 24.40
8. 착색 안료-2 0.95
9. 알루미나 모체 광휘성 분체 7.00
10. 디메티콘(6cs) 3.00
11. 에스테르유-1 5.00
12. 산화방지제 0.05
13.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35.00
상기 성분의 상세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제법>
분체 성분을 헨셀믹서로 혼합하고, 여기에 별도 60∼80℃에서 가온·혼합한 유성 성분을 첨가하여, 헨셀믹서로 교반하여 화장료 기재를 조제하였다. 여기에, 표에 나타낸 휘발성 용제를 소정량 첨가하여, 혼련함으로써 슬러리화하였다. 이 슬러리를, 속 접시(금속 접시)에 충전하여, 흡인 프레스 및 건조함으로써 블러셔 샘플을 제작하였다.
<평가>
얻어진 블러셔 샘플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한 평가를 행한 결과, 샘플은, 「내충격성」이 「◎」, 「색차」가 「◎」, 「채도(투명성) 또는 발색」이 「◎」, 「사용감(발림성, 피트감)」이 「○」의 평가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1: 하이라이트)
(성분) (배합 비율(질량%))
1. 방부제 0.60
2. 스테아르산 Al 1.00
3. 황산 Ba 3.00
4. 알루미나 5.00
5. 합성 금운모 20.00
6. 탈크 10.00
7. 운모 3.70
8. 착색 안료-3 0.70
9. 알루미나 모체 광휘성 분체 45.00
10.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5.00
11. 수첨 폴리데센 3.95
12. 디메티콘(5000cs) 2.00
13. 에스테르유-6 3.00
14. 산화방지제 0.05
15.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35.00
상기 성분의 상세는, 이하에 나타낸 성분 이외에는 이미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에스테르유-6: 「리소카스타 DA-L」(고큐알코올고교(주) 제조, 상품명, 다이머디리놀산 수첨 피마자유), 수산기가: 78, 점도: 118000 mPa·s
에스테르유-6과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의 상용성을, 상기와 같이 평가한 결과, 불용이었다.
<제법>
분체 성분을 헨셀믹서로 혼합하고, 여기에 별도 60∼80℃에서 가온·혼합한 유성 성분을 첨가하여, 헨셀믹서로 교반하여 화장료 기재를 조제하였다. 여기에, 표에 나타낸 휘발성 용제를 소정량 첨가하여, 혼련함으로써 슬러리화하였다. 이 슬러리를, 속 접시(금속 접시)에 충전하여, 흡인 프레스 및 건조함으로써 하이라이트 샘플을 제작하였다.
<평가>
얻어진 하이라이트 샘플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한 평가를 행한 결과, 샘플은, 「내충격성」이 「○」, 「색차」가 「◎」, 「채도(투명성) 또는 발색」이 「◎」, 「사용감(발림성, 피트감)」이 「◎」의 평가인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6)

  1. 유성 성분 및 분체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기재와, 휘발성 탄화수소계 용제가 포함되는 슬러리를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슬러리를 압축 성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유성 성분이, 상기 탄화수소계 용제에 불용인, 수산기가가 40∼85인 에스테르유(A)를 포함하며,
    상기 분체 성분이 판상 분체(B)를 포함하는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유(A)가, 수첨 피마자유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또는 다이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또는 둘다를 포함하는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유(A)가,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다이머디리놀산) 코폴리머, (수첨 피마자유/세바신산) 코폴리머 및 다이머디리놀산 수첨 피마자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에스테르유를 포함하고,
    상기 탄화수소계 용제가, 이소파라핀 및 이소도데칸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분체 성분의 함유량이, 화장료 기재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75∼95 질량%인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분체(B)가, 금속산화물로 피복된 판상 분체를 포함하는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에스테르유(A)의 함유량이, 화장료 기재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0.1∼5 질량%인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
KR1020200158618A 2019-11-28 2020-11-24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 KR202100667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15400A JP7382058B2 (ja) 2019-11-28 2019-11-28 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JP-P-2019-215400 2019-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728A true KR20210066728A (ko) 2021-06-07

Family

ID=7599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618A KR20210066728A (ko) 2019-11-28 2020-11-24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61774A1 (ko)
JP (1) JP7382058B2 (ko)
KR (1) KR20210066728A (ko)
CN (1) CN112842939A (ko)
FR (1) FR31037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4839A (ja) 2015-01-06 2016-07-11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固形粉末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9350B2 (ja) * 2000-10-23 2010-07-21 株式会社コーセー 粉体化粧料
JP2004107355A (ja) * 2003-10-20 2004-04-08 Kokyu Alcohol Kogyo Co Ltd 油性固形化粧料
JP2006022015A (ja) * 2004-07-06 2006-01-26 Croda Japan Kk 口唇化粧料
JP2005179377A (ja) * 2005-03-10 2005-07-07 Kokyu Alcohol Kogyo Co Ltd 化粧料
US20100015082A1 (en) * 2008-06-23 2010-01-21 Ting-Jenulis Arlene G Compositions For Forming Long Wear Cosmetic Products
JP2013530126A (ja) * 2010-07-05 2013-07-25 ロレアル 粉体化粧用組成物
JP6068205B2 (ja) * 2012-03-30 2017-01-25 株式会社コーセー 固形粉末化粧料
WO2014087183A1 (en) * 2012-12-04 2014-06-12 L'oreal Solid powdery cosmetic composition
JP7081784B2 (ja) 2018-01-09 2022-06-07 株式会社トキワ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7233674B2 (ja) 2018-02-14 2023-03-07 株式会社トキワ 固形粉末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4839A (ja) 2015-01-06 2016-07-11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固形粉末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03703B1 (fr) 2023-07-14
JP7382058B2 (ja) 2023-11-16
JP2021084888A (ja) 2021-06-03
CN112842939A (zh) 2021-05-28
US20210161774A1 (en) 2021-06-03
FR3103703A1 (fr)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1002002A1 (ja) 固型粉末化粧料
JP2012046449A (ja) 油性化粧料
JP2009114099A (ja) 油性睫用化粧料
JP5080919B2 (ja) 液状油性口唇化粧料
JP2002128629A (ja) 油性化粧料
JP2015155388A (ja) 油性固形口唇化粧料
CN111741741B (zh) 固体粉末化妆料
JP7081784B2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2006219486A (ja) 口唇化粧料
JP4472855B2 (ja) 油性化粧料
JP6190153B2 (ja) 固形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5591438B2 (ja) 弾性ゲル状油性化粧料
KR20210066728A (ko) 고형 분말 화장료의 제조 방법
JP7180351B2 (ja) 固形粉末化粧料
JP5022140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20200104803A (ko) 유성 고형 화장료
JP7497911B2 (ja) 固形粉末化粧料
JP2021063041A (ja) 粉末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36704A (ja) 化粧料
JP7449724B2 (ja) 固形粉末化粧料
JP2005343876A (ja) 固形粉末化粧料
JP2008222673A (ja) 油性化粧料
JP2007161590A (ja) 油性固形化粧料
WO2010098011A1 (ja) 粉末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28357A (ja) 固形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