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197A - 팽이 완구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197A
KR20210063197A KR1020200054884A KR20200054884A KR20210063197A KR 20210063197 A KR20210063197 A KR 20210063197A KR 1020200054884 A KR1020200054884 A KR 1020200054884A KR 20200054884 A KR20200054884 A KR 20200054884A KR 20210063197 A KR20210063197 A KR 20210063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xial direction
resistance
top toy
movabl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691B1 (ko
Inventor
마코토 무라키
타케아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21006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과제] 흥취성이 풍부한 공격 모양을 구비하는 팽이 완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축부와, 축부의 축방향에서의 상부에 걸린 동부를 가지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서 축부와 동부가 상대 회전하고, 일정 이상 상대 회전함으로써 축부와 동부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동부가 축부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된 팽이 완구에 있어서, 축방향에서 맞물려서 상대 회전에 대해서 회전 저항을 주는 제1 저항부 및 제2 저항부와, 소정의 힘을 부여하여 제1 저항부와 제2 저항부를 축방향으로 맞대는 제1 부세 부재와, 동작 상태에서 제1 저항부의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를 변화시키는 동작 부재를 구비하고, 제1 저항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제2 저항부와의 맞댄 개소에서 슬라이딩 하는 것이며, 동작 부재가 동작하는 것으로 제1 저항부의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가 변화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제1 저항부의 제2 저항부로부터의 축방향에서의 도피량이 변화한다.

Description

팽이 완구{TOY TOP}
본 발명은 팽이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축부로부터 동부(胴部)가 이탈하도록 구성된 팽이 완구에서, 팽이의 회전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동작하는 제동 부재를 구비하고, 원심력이 작용하면 축부 또는 동부에 제동 부재가 압접(壓接)하여 축부와 동부와의 상대적인 회전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팽이 완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축부와 동부와의 상대적인 회전이 억제되면, 동부가 축부로부터 벗겨지기 어려워져, 팽이 완구가 분해되지 않는 상태를 길게 유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6405415호 공보
그러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팽이 완구를 분해하기 어렵게 하는 수법은,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흥취성(興趣性)이 풍부한 팽이 완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흥취성이 풍부한 구성을 구비하는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수단은,
팽이의 회전 중심을 축중심으로 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축방향에서의 상부에 걸린 동부를 가지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서 상기 축부와 상기 동부가 상대 회전하여, 일정 이상 상대 회전함으로써 상기 축부와 상기 동부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동부가 상기 축부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된 팽이 완구에 있어서,
상기 상대 회전에 대해서 회전 저항을 주는 축부측의 제1 저항부 및 동부측의 제2 저항부와,
소정의 힘(付勢力)을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저항부와 상기 제2 저항부를 상기 축방향으로 맞대는 제1 부세 부재(付勢部材)와,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1 저항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를 변화시키는 동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저항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2 저항부와의 맞댄 개소에서 슬라이딩(摺動) 하는 것이며,
상기 동작 부재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제1 저항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가 변화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의 상기 제1 저항부의 상기 제2 저항부로부터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도피량이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부의 상기 가동 범위를 규제하는 가동 범위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가동 범위 규제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수단은, 제1 수단 또는 제2 수단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팽이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서 동작 가능하고,
상기 동작 부재를 원심력에 의한 동작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제2 부세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수단은, 제3 수단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의 세기를 조정하는 추(重)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수단은, 제3 수단 및 제4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부의 상기 가동 범위를 규제하는 가동 범위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가동 범위 규제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고,
상기 축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부(軸先部)를 구비하는 축본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범위 규제부는, 상기 축본체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수단은, 제2 수단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팽이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서 동작 가능하고,
상기 동작 부재를 원심력에 의한 동작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제2 부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부를 구비하는 축본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범위 규제부는, 상기 축본체 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본체 부재는, 상기 축방향의 단면 형상이 V자 형상인 슬라이딩부를 갖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를 받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 부세 부재의 상기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딩부를 부딪히게 하는 경사부를 갖고,
상기 동작 부재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경사부에 대해서 슬라이딩 하여 상기 가동 범위 규제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수단은, 제5 수단 또는 제6 수단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저부에 상기 축선부를 돌출시키는 구멍부를 가지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축본체 부재를 상기 축방향에서의 상부로 밀어 올릴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이며,
상기 축본체 부재가 밀어 올려졌을 때에, 상기 축선부는 상기 구멍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상태로부터 상기 구멍부의 내측에 수용된 수용 상태로 상기 축방향에서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수단은, 제1 수단부터 제7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부 및 상기 제2 저항부는, 상기 축방향에서 맞물림으로써 상기 상대 회전에 대해서 회전 저항을 주는 축부측의 제1 교합부 및 동부측의 제2 교합부이고,
상기 제1 교합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2 교합부와의 맞물림 개소에서 슬라이딩 하는 것이며,
상기 동작 부재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제1 교합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가 변화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의 상기 제1 교합부와 상기 제2 교합부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맞물림 관계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수단에 의하면, 축부와 동부와의 상대 회전에 대해서 회전 저항을 주는 제1 저항부 및 제2 저항부의,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의 축방향에서의 도피량(도피의 정도)이, 동작 부재의 동작 상태에 따라 변화한다.
이 때문에, 축부로부터의 동부의 벗겨짐의 용이함이 바뀌어, 팽이 완구를 이용한 놀이에 변화가 생기고, 흥취성이 풍부한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수단에 의하면, 동작 부재가 동작함으로써 가동 범위 규제부가 축방향으로 이동해 제1 저항부의 가동 범위를 규제한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의 축부로부터의 동부의 벗겨짐의 용이함이 바뀌어, 팽이 완구를 이용한 놀이에 변화가 생기고, 흥취성이 풍부한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제3 수단에 의하면, 팽이 완구가 회전하여 원심력을 일으키면, 원심력의 세기에 따라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제1 저항부의 제2 저항부로부터의 도피량이 변화하여, 축부와 동부와의 상대 회전의 용이성이 변화한다. 또한, 동작 부재는 원심력이 약해지면 제2 부세 부재에 의해서 동작 상태로부터 복귀한다.
이로 인해서 팽이 완구의 회전의 정도로 축부로부터의 동부의 벗겨짐의 용이함이 바뀌어, 팽이 완구를 이용한 놀이에 변화가 생기고, 흥취성이 풍부한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제4 수단에 의하면, 추에 의해서 동작 부재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제5 수단에 의하면, 제1 저항부의 가동 범위를 규제하는 가동 범위 규제부가, 축선부를 구비하는 축본체 부재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동 범위 규제부를 이동시키면, 축선부의 위치도 이동시킬 수 있다.
제6 수단에 의하면, 축본체 부재에 설치된 V자 형상의 슬라이딩부가 동작 부재의 경사부에 대해 제2 부세 부재에 의해서 힘을 받아서, 동작 부재가 동작하면 이 가해지는 힘에 저항해 슬라이딩부가 경사부에 대해서 슬라이딩 한다.
이로 인해, 비교적 간단하고 쉬운 구성에 의해서 가동 범위 규제부의 축방향에서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7 수단에 의하면, 동작 부재에 의해서 축본체 부재가 밀어 올려지면 가동 범위 규제부의 위치가 올라감과 동시에, 축선부의 위치도 올라가서 구멍부의 내측에 수용된 수용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팽이 완구의 접지 면적이나 설치하는 부분의 형상 등도 바뀌기 때문에, 팽이 완구의 회전 특성을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축부로부터의 동부의 벗겨짐의 용이함과 팽이 완구의 접지 상태가 연동해 변화함으로써, 팽이 완구를 이용한 놀이에 변화가 생기고, 보다 흥취성이 풍부한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제8 수단에 의하면, 제1 저항부 및 제2 저항부가, 축방향에서 맞물림으로써 상대 회전에 대해서 회전 저항을 주는 축부측의 제1 교합부 및 동부측의 제2 교합부이다.
이 때문에, 회전 저항을 주기 위한 구성을, 서로 맞물리는 부재에 의해서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축본체 부재와 동작 부재와의 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a)는, 동작 부재가 2 부재로 나누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동작 부재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c)는, (b)에 나타내는 상태의 동작 부재에 축본체 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축부에서부터 하커버와 동작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기울어진 상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축부에서부터 하커버와 동작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기울어진 하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동부를 하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에서의 축부 상부 커버 및 동부의 걸어 맞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를 회전 구동시키는 런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a)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에서의 축부와 동부와의 걸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b)는, (a)에서 일점 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맞물림 관계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확대도이다.
도 11은 (a)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에서의 축부와 동부와의 걸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b)는, (a)에서 일점 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맞물림 관계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확대도이다.
도 12는 (a)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에서의 축부와 동부와의 걸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b)는, (a)에서 일점 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맞물림 관계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팽이 완구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기반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대해서는, 상하, 좌우 및 전후는 도 2에 나타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팽이 완구(1)는, 이른바 배틀 게임(battle game)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으로 상대방의 팽이 완구(1)를 복수의 요소로 분해시켜 승리하는 것과 같은 배틀 게임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팽이 완구(1)는, 크게 나누면, 축부(軸部)(10)와 동부(胴部)(40)를 구비하고 있다.
(세부)
1. 축부(10)
도 3은, 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축부(10)를 구성하는 기본 파트군만을 나타내고, 상부 커버(30) 및 가중 링(5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축부(10)는, 하부 구조를 구성하여, 팽이 완구(1)의 축이 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10)는, 하커버(下 cover)(11) 위에, 동작 부재(20), 축본체 부재(13), 원주 부재(15), 외통 부재(外筒部材)(16), 압압 부재(押壓部材)(18) 등의 기본 파트군이 조립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부(10)의 기본 파트군의 상부에, 가중 링(加重 ring)(50) 및 상부 커버(30)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하커버(11)는, 축부(10)의 저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그 대략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축선부(軸先部)(131)가 출몰 가능한 구멍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111)의 근방에는, 구멍부(111)를 끼운 지지부(112)가 입설(立設)되어 있다. 지지부(112)는, 축선부(131)를 가지는 축본체 부재(13)가 축부(10)에 조립되었을 때에, 축본체 부재(13)의 동요를 막고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다.
하커버(11)에는 구멍부(111)를 둘러싸는 대략 균등 위치에 관통구멍(113)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커버(11)의 외주부에 4개의 관통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구멍(113)에는, 하방으로부터 나사(12)가 삽통(揷通)되고, 축부(10)의 기본 파트군, 가중 링(50), 상부 커버(30)는, 나사(12)에 의해 같이 체결(共締)되도록 되어 있다.
축본체 부재(13)는, 하부에 축선부(131)를 구비하고 있다. 축본체 부재(13)는, 축선부(131)가 축부(10)의 조립 상태에서 팽이 완구(1) 전체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축선에 따르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선부(131)의 하단은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하는 추 형상(錘狀)으로 되어 있다. 또한, 축선부(131)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단이 평탄한 주상(柱狀)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축선부(131)의 상부는 개구(開口)하고 있고, 축선부(131)의 내부에는 요부(凹部)(1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부(132)의 깊이 등은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부(132) 내에는, 제2 부세 부재(14)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요부(132)의 깊이 등은 제2 부세 부재(14)의 크기나, 요구되는 가해지는 힘 등에 따라 설정된다.
축본체 부재(13)의 상부에는, 축선부(131)의 요부(132)의 개구를 끼우고, 도 2에서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矩形狀)의 장출부(張出部)(133)가 설치되어 있다.
장출부(133)의 상면에 있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가동 범위 규제부(134)로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범위 규제부(134)는, 축부(10)의 조립 상태에서 압압 부재(18)의 각부(脚部)(183)의 하방에 배치되어, 각부(183)의 가동 범위를 규제한다. 압압 부재(18)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저항부로서의 제1 교합부(185)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동 범위 규제부(134)가 각부(183)의 가동 범위를 규제하는 것에 의해서, 제1 교합부(185)의 가동 범위가 규제된다.
장출부(133)의 하면에 있는, 축선부(131)를 끼운 양측에는, 도 2에서의 전후방향에서의 축방향의 단면 형상이 대략 V자 형상인 슬라이딩부(摺動部)(135)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부(135)는, 제2 부세 부재(14)의 축방향에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동작 부재(20)의 후술하는 경사부(214)에 부딪히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135)의 형상은 도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본체 부재(13)의 축선부(131)의 요부(132)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원주 부재(15)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부세 부재(14)는, 일단측이 원주 부재(15)의 하단에 걸려(係止) 있으며, 타단측이 요부(132) 내에 배치된다.
제2 부세 부재(14)는, 축본체 부재(13)를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부세 부재(14)로서는, 원주 부재(15)의 하단과 요부(132)의 저부와의 사이에 축선부(131)에 대해서 하방향의 가해지는 힘을 더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의 것이 이용된다.
동작 부재(20)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21)(21a, 21b)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의 (a)부터 도 4의 (c)는, 동작 부재(20)와 축본체 부재(1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에서는, 분해 상태의 베이스 부재(21a, 21b)와, 이것에 조립되는 축본체 부재(13)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1)는, 도 2에서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대부(基台部)(211)와, 기대부(211)의 연장 방향에서의 일단측으로부터, 기대부(211)에 직교하는 방향(도 2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완부(腕部)(212)를 가지고 있다.
완부(212)는, 슬라이딩부(135)를 받는 경사면으로 구성된 경사부(214)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부(214)는, 슬라이딩부(135)의 형상에 따라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의 (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이스 부재(21)(21a, 21b)는 대략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베이스 부재(21a, 21b)는, 조립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의 (b),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부(212)가 설치되어 있는 측끼리 마주 보도록 서로 엇갈리게 맞대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조립 상태에서, 동작 부재(20)에서의 좌우 방향(도 2, 도 4의 (b)에서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한 쌍의 베이스 부재(21)의 경사부(214)에 의해서 대략 V자 형상의 홈(溝)이 형성된다.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본체 부재(13)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21)의 완부(212)의 사이에 생기는 틈새에 축선부(131)가 삽통(揷通)되고, 경사부(214)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V자 형상의 슬라이딩부(135)가 끼워 맞춰지도록(嵌合)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베이스 부재(21)의 기대부(211)에는, 스페이서(22)를 통해 추(23)가 배치된다. 기대부(211)에는 관통구멍(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추(23) 및 스페이서(22)는, 관통구멍(213)에 하방으로부터 삽통되는 나사(24)에 의해서 나사 멈춤 고정된다.
추(23)가 무거울수록 팽이 완구(1)가 회전했을 때에 생기는 원심력은 커지기 때문에, 기대부(211)에는 팽이 완구(1)에 주고 싶은 원심력의 세기에 따른 무게의 추(23)가 장착된다.
또한, 추(23)는 유저(user)가 착탈(着脫)할 수 있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무게가 다른 복수 종류의 추(23)를 준비해 두어, 추(23)를 적당하게 갈아 끼우는 것에 의해서 팽이 완구(1)에 주고 싶은 원심력의 세기에 대응한 무게의 조정을 유저 스스로가 행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외통 부재(16)는, 하단이 개구한 중공의 원통부(161)와, 원통부(161)의 하단부 외주(外周)로 내뻗은(張出) 플랜지부(162)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161)의 내부에는, 원주 부재(15)가 수용되어 있다.
외통 부재(16)는, 플랜지부(162)에서 원주 부재(15)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플랜지부(162)는, 동작 부재(20)의 상면에 재치(載置)된다.
원통부(161)의 상단은, 압압 부재(18)의 후술하는 상부 개구(184)로부터 노출하게 되어 있다.
원통부(161)의 상단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압압 부재(18)의 상면과 같거나 이것 보다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 원통부(161)의 상단부에는 팽이 완구(1)의 회전축을 끼우고 도 2에서의 전후 방향으로 대치하는 부위 2 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내뻗은 조(爪)(163)가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재(18)는, 외통부재(16)의 원통부(161)의 상측에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압부재(18)는, 팽이 완구(1)의 상하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는 원통부(181)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181)의 상단에는, 외통부재(16)의 원통부(161)의 상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부 개구(184)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61)는, 이 상부 개구(184)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181)의 외주 하단부에는 원통부(18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내뻗은 각부(18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각부(183)는 팽이 완구(1)의 회전축을 끼우고 전후 방향(도 2에서의 전후)으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축부(10)의 조립 상태에서, 각부(183)는, 축본체 부재(13)의 가동 범위 규제부(134)의 상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도 10의 (a) 등 참조).
또한, 압압부재(18)의 상단면에는, 팽이 완구(1)의 회전축을 끼우고 도 2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축부(10)측의 제1 저항부로서의 제1 교합부(18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교합부(185)는, 압압부재(18)의 원통부(18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철조(凸條)(돌기)부이다.
제1 교합부(185)는, 축방향에서 후술하는 동부(40)측의 제2 저항부로서의 제2 교합부(45)와 맞물림으로써 축부(10)와 동부(40)와의 상대 회전에 대해서 회전 저항을 주는 것이다.
압압부재(18)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지만 금속제여도 좋다. 적어도 제1 교합부(185)는 제2 교합부(45)와 맞물리는 것이기 때문에, 마모 등에 견딜 수 있는 경질인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통부재(16)의 원통부(161)의 외주에는 제1 부세 부재(17)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부세 부재(17)의 일단은, 외통부재(16)의 플랜지부(162)의 상면에 재치되고, 타단은, 원통부(181)의 상단면의 이면(裏面)측에 부딪히게 되어 있다.
제1 부세 부재(17)는, 소정의 힘을 부여하는 것으로 압압부재(18)를 축방향의 상측을 향해 힘을 가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부세 부재(17)에 의해서 압압부재(18)가 축방향으로 밀어 올려지게 됨으로써, 제1 교합부(185)와 제2 교합부(45)가 축방향으로 맞대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상의 기본 파트군의 위에 가중 링(50)을 통하여 상부 커버(30)가 배치되어 축부(10)가 구성되어 있다.
가중 링(50)은 예를 들면 금속 등으로 형성되어, 팽이 완구(1)를 안정시키는 추로서 기능한다. 또한, 가중 링(50)에 각종 색이나 모양을 주는 것으로 팽이 완구(1)를 가식(加飾)해도 좋다.
가중 링(50)에는, 하커버(11)의 4개의 관통구멍(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나사(12)가 삽통되는 관통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부(31)와, 기대부(31)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개구한 원통부(33)를 가지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상부 커버(30)에 축부(1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기울어진 상방향으로부터 본 경우를 나타내고, 도 6은 기울어진 하방향으로부터 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하커버(11) 및 동작 부재(2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33)의 내부에는, 압압 부재(18)(압압 부재(18)의 원통부(181))가 하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진다.
원통부(33)의 외주에 있는 압압 부재(18)의 각부(18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노치부(切欠部)(34)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34)는, 각부(183)가 상하 움직임 가능한 폭을 가지고 있다.
기대부(31)의 이면(裏面)측에 있는 하커버(11)의 관통구멍(113) 및 가중 링(50)의 관통구멍(5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나사 수용의 보스(boss)(32)가 형성되어 있다.
하커버(11)의 관통구멍(113)으로부터 삽입된 나사(12)는, 가중 링(50)의 관통구멍(51)을 통하여 보스(32)에 나사 멈춤된다. 이로 인해, 축부(10), 가중 링(50) 및 상부 커버(30)가 일체화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커버(30)의 상면에는, 원통부(33)를 끼우고 도 2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상방으로 연장하는 설편(舌片)(35)이 형성되어 있다. 설편(35)은 원통부(33)의 상단부보다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2. 동부(40)에 대해
도 7은, 동부(40)를 하측(축부(10) 등이 조립된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동부(40)는, 팽이 완구(1)의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반 형상(圓盤狀)을 이루고 있다.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부(4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부(40)에는, 상부 커버(30)의 설편(35)을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호상 슬릿(弧狀 slit)(46)이, 팽이 완구(1)의 회전축을 끼우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각 호상 슬릿(46)의 둘레 방향 길이는 설편(35)이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동부(40)의 대략 중앙부에서 외통부재(16)의 조(16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걸림조(係止爪)(44)를 가지는 걸림부(43)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43)는 축방향의 하측으로 향해 늘어뜨려서 설치(垂設)되어 있으며, 걸림조(44)는 걸림부(43)의 하단부로부터 원반 형상의 동부(40)의 중앙으로 향해 내뻗은 플랜지 형상의 부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에서의 축부, 상부 커버 및 동부의 걸어 맞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부(40)를 축부(10)에 조립한 경우에는, 동부(40)를 축부(10)측에 꽉 누르면서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10)측의 조(외통부재(16)의 조(163))와 동부(40)의 걸림조(44)가 상하로 겹친 상태가 되면, 압압 부재(18)의 상단면과 외통부재(16)의 조(163)와의 사이에 동부(40)의 걸림조(44)가 끼워 넣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축부(10)로부터 손을 떼어 놓으면, 제1 부세 부재(17)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축부(10)측의 조(외통부재(16)의 조(163))의 하면과 동부(40)의 걸림조(44)의 상면이 맞닿는다(當接).
동부(40)의 대략 중앙부에 있는 걸림부(43)와 면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는, 동부(40)의 제2 저항부로서의 제2 교합부(45)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교합부(45)는, 축부(10)(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부(10)의 압압 부재(18))측의 제1 교합부(185)와 맞물리는 것이다.
제2 교합부(45)는 복수의 요철로 구성되어 있으며, 축방향에서 제1 교합부(185)가 어느 것의 요부와 끼워 맞춘(맞물린) 것으로 축부(10)와 동부(40)의 상대 회전에 대해서 회전 저항을 주도록 되어 있다.
<조립 방법>
다음으로, 팽이 완구(1)의 조립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축부(10)의 조립은 이미 종료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중 링(50) 및 상부 커버(30)가 축부(10)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중 링(50) 및 상부 커버(30)의 조립도 이미 완료하고 있는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축부(10) 상부 커버와 동부(40)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축부(10)에 가중 링(50) 및 상부 커버(30)가 일체적으로 조립된 조립체를 동부(40)에 하방으로부터 가까이한다. 이 때, 상기 조립체의 상부 커버(30)의 설편(35)을 동부(40)의 호상 슬릿(46)의 소정의 단(端)에 합치시킨다. 이 상태는, 축부(10)측의 조(163)와 동부(40)측의 걸림조(44)는 상하 방향으로 겹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가 걸어 맞춤 해제 상태이다. 그 후, 상기 조립체의 축부(10)를 동부(40)측으로 누른다(押壓). 그러면, 먼저, 상부 커버(30)가 동부(40)의 하면으로 꽉 눌러진다. 또한, 제1 부세 부재(17)가 압축되어, 축부(10)측의 조(163)가 동부(40)의 걸림조(44) 보다도 상방으로 상대적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축부(10)를 상부 커버(30)와 일체적으로 동부(40)에 대해 설편(35)이 상기 소정의 단과 반대측의 단까지 이동할 때까지 회전시킨다. 이 경우의 회전은, 동부(40) 및 상부 커버(30)와 축부(10)의 상대적인 회전이다. 그러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부(40)의 걸림조(44)가 축부(10)측의 조(163)의 하측으로 잠입하고, 양자(兩者)가 상하로 겹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축부(10)로부터 손을 떼어 놓으면, 제1 부세 부재(17)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축부(10)측의 조(163)의 하면과 동부(40)의 걸림조(44)의 상면이 맞닿는다.
이와 같이 축부(10)측의 조(163)의 하면과 동부(40)의 걸림조(44)의 상면이 맞닿은 상태가 걸어 맞춤 상태이다. 이로 인해, 축부(10) 및 상부 커버(30) 등과, 동부(40)가 결합되어, 팽이 완구(1)가 조립된다.
<놀이 방법>
계속해서, 이 팽이 완구(1)를 사용한 놀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9는, 팽이 완구를 회전 구동시키는 런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놀이 방법의 일례에서는, 팽이 완구(1)를 회전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의 싸움을 행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 팽이 완구(1)의 회전력의 차지(charge)는, 도 9에 나타내는 런처(60)에 의해서 행해진다. 우선 런처(60)에 팽이 완구(1)를 세팅(setting)한다. 구체적으로는, 포크(fork)(63)가 동부(40)의 호상 슬릿(46)에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동부(40)의 호상 슬릿(46)의 회전 방향측의 단부의 테두리에 돌기(63b)를 걸어 맞춘다. 이로 인해서, 팽이 완구(1)가 런처(60)에 장착된다.
이 런처(60)는, 태엽 동력에 의해서 작동되고, 끈을 핸들(61)로 당기면, 동부(40)와 상부 커버(30)의 설편(35)이 포크(63)에 의해서 눌려서, 팽이 홀더(62)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팽이 홀더(62)의 회전은, 하방으로 돌출 설치된 포크(63)에 의해서 팽이 완구(1)에 전달되어, 팽이 완구(1)를 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런처(60)의 핸들(61)을 당기면, 팽이 홀더(62)의 회전이 정지하는 한편, 팽이 완구(1)는 관성력에 의해서 여전히 회전하므로, 포크(63)의 경사면(63a)을 따라서 팽이 완구(1)가 팽이 홀더(62)로부터 벗겨진다.
이와 같이 발사된 팽이 완구(1)는 소정의 필드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서로 충돌한다.
축부(10)의 압압 부재(18)는, 하측으로부터 제1 부세 부재(17)에 의해서 항상 축방향의 상측에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걸어 맞춤 상태에서는, 압압 부재(18)의 상단면은, 정상 상태에서 동부(40)의 하측면에 꽉 눌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0의 (a), 도 11의 (a) 및 도 12의 (a)는, 상기 걸어 맞춤 상태에서의 축부와 동부와의 맞물림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 도 11의 (a) 및 도 12의 (a)에서, 동부(40)의 주요부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각 도에서 축부(10)의 하커버(11) 및 가중 링(50), 상부 커버(30)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10의 (a)는, 축부(10)와 동부(40)의 걸어 맞춤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0의 (b)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10)측의 제1 교합부(185)와 동부(40)측의 제2 교합부(45)가 충분히 깊게 맞물려서, 벗겨지지 않은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교합부(185)는, 제2 교합부(45)의 어느 요부에 끼인 채, 이동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축부(10)와 동부(40)는 상대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해서 도 11의 (a)는, 축부(10)와 동부(40)의 걸어 맞춤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란, 예를 들면, 배틀 게임의 필드에서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충돌하는 것에 의해서 받는 충격이다.
이 경우에는, 도 11의 (a)에 태선(太線)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충격에 의해서 축부(10)(축부(10)의 압압 부재(18))가 제1 부세 부재(17)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상하 움직인다.
축부(10)의 압압 부재(18)가 떨어졌을 때에는, 도 11의 (b)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10)측의 제1 교합부(185)와 동부(40)측의 제2 교합부(45)의 맞물림이 얕아져 서로 접촉이 없는 상태(거의 접촉이 없는 상태를 포함함)가 생긴다.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지면, 제1 교합부(185)는, 제2 교합부(45)와의 맞물림 개소에서 슬라이딩 하기 때문에, 거의 맞물리지 않은 듯한 상태에서는, 제1 교합부(185)는, 제2 교합부(45)의 어느 요부에 끼인 상태로부터 다른(예를 들면 인접한) 요부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 교합부(185)는 제2 교합부(45)의 요철을 타고 넘어서 단계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축부(10)와 동부(40)는 제1 교합부(185)의 이동한 만큼만 상대 회전한 상태가 된다. 제1 교합부(185)가 크게 이동하면 그 만큼 축부(10)와 동부(40)가 크게 상대 회전한다. 그리고, 일정 이상 상대 회전하면 축부(10)와 동부(40)의 걸림이 해제되어 동부(40)가 축부(10)로부터 이탈해서 게임이 종료한다.
이상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이 완구(1)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원심력을 일으키면, 이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서 동작 부재(20)가 동작한다. 동작 부재(20)가 동작하면, 제1 교합부(185)의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가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팽이 완구(1)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원심력을 일으키면,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 부재(20)의 베이스 부재(21)(21a, 21b)가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서 팽이 완구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횡방향(도 12의 (a)에서 백발(白拔)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서로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베이스 부재(21a, 21b)의 경사부(214)가 벗어나고, 축본체 부재(13)의 슬라이딩부(135)가 경사부(214)에 따라서 올라가며, 도 12의 (a)에서 태선 화살표로 나타내 보이듯이 가동 범위 규제부(134)를 포함한 축본체 부재(13) 전체가 축방향의 상측으로 올라 간다.
이 때문에, 압압 부재(18)는, 외부로부터 큰 충격을 받았을 경우에도, 각부(183)가 가동 범위 규제부(134)의 상면에 부딪치는 위치 이상으로는 아래로 내려갈 수 없게 되어, 압압 부재(18)에 설치되어 있는 제1 교합부(185)의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가 제한되게 된다.
도 12의 (b)는, 도 12의 (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의 축부(10)측의 제1 교합부(185)와 동부(40)측의 제2 교합부(45)와의 맞물림 관계(제1 교합부(185)의 제2 교합부(45)로부터의 축방향에서의 도피의 가능량)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서도, 도 11의 (a) 및 도 11의 (b)에 나타내는 경우와 달리, 다소 맞물림 관계가 얕아졌다고 해도, 제1 교합부(185)와 제2 교합부(45)가 거의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는 이르지 않고, 축부(10)측의 제1 교합부(185)와 동부(40)측의 제2 교합부(45)가 벗겨지지 않는 상태(또는 지극히 벗겨지기 어려운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교합부(185)는, 제2 교합부(45)의 어느 요부에 끼인 채, 이동할 수 없으며, 축부(10)와 동부(40)는 상대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부세 부재(14)에 의한 가해지는 힘이 축본체 부재(13)를 축방향의 하측에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팽이 완구(1)의 회전이 약해져, 회전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이 일정 레벨을 하회하면(즉, 제2 부세 부재(14)에 의해 가해지는 힘 쪽이 원심력보다 우세함), 동작 부재(20)가 원심력에 의한 동작 상태로부터 복귀한다.
이 경우에는, 축본체 부재(13) 및 이것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 범위 규제부(134)의 위치가 내려간다. 이로 인해, 축부(10)측의 제1 교합부(185)는 제2 교합부(45)와 거의 맞물리지 않는 위치까지 내려갈(도피할) 수 있고, 제1 교합부(185)는, 제2 교합부(45)의 어느 요부에 끼인 상태로부터 다른(예를 들면 인접하는) 요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축부(10)와 동부(40)가 제1 교합부(185)의 이동한 만큼만 상대 회전하고, 일정 이상 상대 회전하면 축부(10)와 동부(40)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동부(40)가 축부(10)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서 축본체 부재(13)가 축방향의 상측에 올라가면, 축선부(131)의 위치도 올라가고(도 12의 (a) 참조), 축선부(131)가 하커버(11)의 구멍부(111)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돌출 상태로부터 구멍부(111)의 내측에 수용된 수용 상태로 축방향에서의 위치가 변화한다.
팽이 완구(1)는, 축선부(131)로 필드에 접지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작게 원을 그려 컴팩트(compact)하게 회전한다. 이에 대해서 축선부(131)가 구멍부(111)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하커버(11)의 저부 전체로 필드에 접지한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크게 필드 내를 돌아다니게 된다.
필드 내를 크게 돌아다니는 쪽이 보다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격렬하게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팽이 완구(1)가 분해되는 위험성이 높아지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축선부(131)가 수용 상태가 되는 때는, 제1 교합부(185)의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도 제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충돌에 의한 격렬한 충격을 받아도 분해하기 어려운 팽이 완구(1)로 될 수 있다.
또한, 팽이 완구(1)는, 일반적으로 런처(60)로부터 발사된 직후의 초기 단계의 쪽이 회전이 강하고,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도 커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틀의 초기 단계에서 분해되기 어렵고, 필드를 돌아다니는 공격적인 회전 특성을 가지는 팽이 완구(1)가 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팽이 완구(1)가 회전하고 원심력을 일으키면, 원심력의 세기에 따라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제1 교합부와 제2 교합부와의 맞물림 관계가 변화하고, 축부(10)와 동부(40)와의 상대 회전의 용이성이 변화한다.
이 때문에, 팽이 완구(1)의 회전의 정도에 의해서 축부(10)로부터의 동부(40)의 벗겨짐의 용이함이 바뀌어, 팽이 완구(1)를 이용한 놀이에 변화가 생기고, 흥취성이 풍부한 팽이 완구(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부재(20)가 동작함으로써 가동 범위 규제부(13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압압 부재(18)의 각부(183)의 가동 범위를 규제하고, 나아가서는 제1 교합부(185)의 가동 범위를 규제한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의 축부로부터의 동부의 벗겨짐의 용이함이 변하며, 팽이 완구를 이용한 놀이에 변화가 생기고, 흥취성이 풍부한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부재(20)를 동작 상태로부터 복귀시키기 위한 제2 부세 부재(14)를 구비하고, 원심력이 약해지면 제2 부세 부재(14)에 의해서 동작 부재(20)가 동작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팽이 완구(1)가 회전의 대소에 기인하는 원심력의 세기의 정도에 의해서 동작 부재(20)의 동작 상태를 자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팽이 완구(1)를 이용한 놀이에 변화가 생기고, 흥취성이 풍부한 팽이 완구(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추에 의해서 동작 부재(20)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회전 시에 동작 부재(20)를 동작 상태로 하는지를 조정할 수 있고, 보다 흥취성이 풍부한 팽이 완구(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부재(20)에 의해서 축본체 부재(13)가 밀어 올려지면 가동 범위 규제부(134)의 위치가 올라감과 동시에, 축선부(131)의 위치도 오르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축부(10)로부터의 동부(40)의 벗겨짐의 용이함과 팽이 완구(1)의 접지 상태를 연동하여 변화시킬 수 있고, 팽이 완구(1)를 이용한 놀이에 변화가 생기고, 보다 흥취성이 풍부한 팽이 완구(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팽이 완구(1)의 회전이 강하고,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도 큰, 배틀의 초기 단계만큼 축본체 부재(13)가 축방향의 상측으로 올라가며, 축선부(131)가 하커버(11) 내에 수용되어 팽이 완구(1)가 필드를 격렬하게 돌아다니는 한편, 분해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팽이 완구(1)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로 끼워 맞춘 V자 형상의 경사부(214)와 슬라이딩부(135)와의 축방향에서의 위치 관계를 본 실시 형태와는 역으로 하고, 팽이 완구(1)의 회전이 강하고,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도 큰, 배틀의 초기 단계만큼 축본체 부재(13)가 축방향의 하측으로 눌러 내리게 되고, 축선부(131)가 돌출하며, 타방으로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충돌했을 때에는 충격에 의해서 분해되기 쉬운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팽이 완구(1)의 회전이 약하고,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도 작아지면, 제2 부세 부재(14)가 작용하여 동작 부재(20)를 동작 상태로부터 복귀한다. 이로 인해, 배틀의 후반으로 갈수록 끈질기게 공격에 견디고, 또한 필드를 돌아다니며 공격적으로 되는 팽이 완구로 될 수 있다.
또한, 동작 부재(20) 등의 내부의 부품을 유저가 용이하게 조립하고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유저에 있어서 1개의 팽이 완구를 적당 회전 특성의 다른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작 부재(20)가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서 동작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동작 부재(20)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동작 부재(20)의 동작 상태를 바꾸는 전환 수단을 마련해 두고, 유저가 소망한 동작 상태가 되도록 미리 설정하고나서 배틀 게임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동작 부재(20)를 동작 상태로부터 자동적으로 복귀시키는 제2 부세 부재(14)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작 부재(20)에 한 쌍의 V자 형상의 경사부(214)를 마련하고, 축본체 부재(13)에, 이 경사부(214)에 부딪히게 하는 V자 형상의 슬라이딩부(135)를 마련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경사부(214)는, 동작 부재(20)가 동작함으로써 축본체 부재(13)측의 슬라이딩부(135)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면 좋고, 동작 부재(20)측의 경사부(214) 및 축본체 부재(13)측의 슬라이딩부(135)의 형상은 여기에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경사부(214)는, V자 형상이 아닌, 한방향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이어도 좋다. 한 쌍의 베이스 부재(21)(21a, 21b)가 각각 같은 경사면을 가지고, 이것을 서로 마주 보게 하여 조합하는 것으로 V자 형상의 홈부(溝部)가 되도록 하고, 이 홈부에 슬라이딩부(135)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본체 부재(13)에 가동 범위 규제부(134)와 축선부(13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가동 범위 규제부(134)와 축선부(131)가 같은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축본체 부재(13)는 축선부(131)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팽이 완구는 항상 하커버(11)의 저면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가동 범위 규제부(134)를 동작 부재(20) 등에 마련하고, 축선부(131)와는 관계없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부(10)측의 제1 교합부(185)와 동부(40)측의 제2 교합부(45)가 축방향에서 맞물림으로써 축부(10)와 동부(40)와의 상대 회전에 대해서 회전 저항을 주는 구성으로 했지만, 상대 회전에 대해서 회전 저항을 주는 제1 저항부 및 제2 저항부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면방향의 마찰 저항을 이용하여 상대 회전에 회전 저항을 주는 구성 등, 각종의 구성이 적용 가능하다.
회전 저항을 주는 구성이, 제1 교합부(185)와 제2 교합부(45)와의 맞물림이 아닌 경우, 동작 부재(20)가 동작함으로써 제1 저항부의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가 변화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제1 저항부의 제2 저항부로부터의 축방향에서의 도피량이 변화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동작 부재(20)의 동작에 의해서, 축부(10)로부터의 동부(40)의 벗겨짐의 용이함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저항부와 제2 저항부는, 상기와 같이, 동작 부재(20)가 동작함으로써 제1 저항부의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가 변화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의 제1 저항부의 제2 저항부로부터의 축방향에서의 도피량이 변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제1 저항부 및 제2 저항부는, 본 실시 형태에 예시한 것 같은 요철부로 한정되지 않고, 일방의 부재(예를 들면 제2 저항부로서 기능)가 표면에는 요철이 없는 평면이지만 회전하는 팽이 완구의 둘레 방향으로 경사지는 비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나 둘레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는 단차부로 되어 있는 경우에, 타방의 부재(예를 들면 제1 저항부로서 기능)가 이에 대해서 힘이 가해지는 부재여도 좋다. 이 경우,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에, 타방의 부재가 일방의 부재의 비탈이나 단차부를 타고 넘는 것으로 축부(10)와 동부(40)가 상대 회전해 나간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동작 부재(20)의 동작 보다 제1 저항부의 제2 저항부로부터의 축방향에서의 도피량이 변화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축부(10)와 동부(40)와의 상대 회전의 용이성(즉, 팽이 완구의 분해의 용이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통부(33)를 가지는 상부 커버(30)와 가중 링(50)이 축부(10)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축부(10)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통부(33)를 가지는 상부 커버(30)나 가중 링(50)은 축부(10)와 별체(別體)의 부재여도 좋다.
1: 팽이 완구
10: 축부
13: 축본체 부재
14: 제2 부세 부재
17: 제1 부세 부재
30: 상부 커버
40: 동부
44: 걸림조
45: 제2 교합부(제2 저항부)
131: 축선부
134: 가동 범위 규제부
135: 슬라이딩부
185: 제1 교합부(제1 저항부)

Claims (8)

  1. 팽이의 회전 중심을 축중심으로 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축방향에서의 상부에 걸린 동부를 가지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서 상기 축부와 상기 동부가 상대 회전하고, 일정 이상 상대 회전함으로써 상기 축부와 상기 동부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동부가 상기 축부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된 팽이 완구에 있어서,
    상기 상대 회전에 대해서 회전 저항을 주는 축부측의 제1 저항부 및 동부측의 제2 저항부와,
    소정의 힘을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저항부와 상기 제2 저항부를 상기 축방향으로 맞대는 제1 부세 부재와,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1 저항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를 변화시키는 동작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저항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2 저항부와의 맞댄 개소에서 슬라이딩 하는 것이며,
    상기 동작 부재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제1 저항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가 변화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의 상기 제1 저항부의 상기 제2 저항부로부터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도피량이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부의 상기 가동 범위를 규제하는 가동 범위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가동 범위 규제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팽이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서 동작 가능하고,
    상기 동작 부재를 원심력에 의한 동작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제2 부세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의 세기를 조정하는 추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부의 상기 가동 범위를 규제하는 가동 범위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가동 범위 규제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고,
    상기 축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부를 구비하는 축본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범위 규제부는, 상기 축본체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부재는 팽이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서 동작 가능하고,
    상기 동작 부재를 원심력에 의한 동작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제2 부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부를 구비하는 축본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범위 규제부는, 상기 축본체 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본체 부재는, 상기 축방향의 단면 형상이 V자 형상인 슬라이딩부를 갖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를 받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 부세 부재의 상기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딩부를 부딪히게 하는 경사부를 갖고,
    상기 동작 부재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경사부에 대해서 슬라이딩 하여 상기 가동 범위 규제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저부에 상기 축선부를 돌출시키는 구멍부를 가지고,
    상기 동작 부재는, 상기 축본체 부재를 상기 축방향에서의 상부로 밀어 올릴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이며,
    상기 축본체 부재가 밀어 올려졌을 때에, 상기 축선부는 상기 구멍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상태로부터 상기 구멍부의 내측에 수용된 수용 상태로 상기 축방향에서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부 및 상기 제2 저항부는, 상기 축방향에서 맞물림으로써 상기 상대 회전에 대해서 회전 저항을 주는 축부측의 제1 교합부 및 동부측의 제2 교합부이고,
    상기 제1 교합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2 교합부와의 맞물림 개소에서 슬라이딩 하는 것이며,
    상기 동작 부재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제1 교합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가동 범위가 변화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의 상기 제1 교합부와 상기 제2 교합부와의 상기 축방향에서의 맞물림 관계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KR1020200054884A 2019-11-22 2020-05-08 팽이 완구 KR102429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11073 2019-11-22
JP2019211073A JP6704593B1 (ja) 2019-11-22 2019-11-22 コマ玩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197A true KR20210063197A (ko) 2021-06-01
KR102429691B1 KR102429691B1 (ko) 2022-08-05

Family

ID=7085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884A KR102429691B1 (ko) 2019-11-22 2020-05-08 팽이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04593B1 (ko)
KR (1) KR10242969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415B2 (ko) 1980-03-19 1989-01-30 Kawasoo Tekuseru Kk
US5941753A (en) * 1998-01-02 1999-08-24 4 Kidz Inc. Spinning toplet assembly
KR100571594B1 (ko) * 2005-11-08 2006-04-14 배인수 이중 팽이
JP2017510394A (ja) * 2015-01-31 2017-04-13 グワーンドーン アルファ アニメーション アンド カルチ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誘導制御によって分離される合体式玩具コマ
JP2018139744A (ja) * 2017-02-27 2018-09-13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2018196419A (ja) * 2017-05-23 2018-12-13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2019141375A (ja) * 2018-02-22 2019-08-29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570019B1 (ja) * 2018-10-15 2019-09-0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593819B1 (ja) * 2018-07-10 2019-10-23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415B2 (ko) 1980-03-19 1989-01-30 Kawasoo Tekuseru Kk
US5941753A (en) * 1998-01-02 1999-08-24 4 Kidz Inc. Spinning toplet assembly
KR100571594B1 (ko) * 2005-11-08 2006-04-14 배인수 이중 팽이
JP2017510394A (ja) * 2015-01-31 2017-04-13 グワーンドーン アルファ アニメーション アンド カルチ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誘導制御によって分離される合体式玩具コマ
JP2018139744A (ja) * 2017-02-27 2018-09-13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2018196419A (ja) * 2017-05-23 2018-12-13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2019141375A (ja) * 2018-02-22 2019-08-29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593819B1 (ja) * 2018-07-10 2019-10-23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570019B1 (ja) * 2018-10-15 2019-09-0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78984A (ja) 2021-05-27
JP6704593B1 (ja) 2020-06-03
KR102429691B1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1629B1 (ja) コマ玩具
US10118103B2 (en) Toy top
JP5793631B1 (ja) コマ玩具
EP3323480B1 (en) Toy top
JP6250202B1 (ja) コマ玩具
CN210057374U (zh) 陀螺玩具
JP5990354B1 (ja) コマ玩具
JP3612508B2 (ja) コマ玩具システム
JP5969151B1 (ja) コマ玩具
JP6618970B2 (ja) コマ玩具
JP6526766B2 (ja) 玩具の部品取外し構造
KR102429691B1 (ko) 팽이 완구
JP6232153B1 (ja) コマ玩具
JP2020062071A (ja) コマ玩具
JP6644338B1 (ja) コマ玩具
JP6516587B2 (ja) コマ玩具
JP6334757B1 (ja) コマ玩具
JP2018196419A (ja) コマ玩具
JP6491780B1 (ja) コマ玩具
KR20210006828A (ko) 팽이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