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332A - 뇌전증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뇌전증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332A
KR20210061332A KR1020217004603A KR20217004603A KR20210061332A KR 20210061332 A KR20210061332 A KR 20210061332A KR 1020217004603 A KR1020217004603 A KR 1020217004603A KR 20217004603 A KR20217004603 A KR 20217004603A KR 20210061332 A KR20210061332 A KR 20210061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ilepsy
compound
fenfluramin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norfenflur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리 폴 베차드
로빈 폴 쉐링턴
장-자크 알렉산더 카디오
파리사 카리미 타리
Original Assignee
제논 파마슈티칼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논 파마슈티칼스 인크. filed Critical 제논 파마슈티칼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61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0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11/02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11/15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by nitro or nitros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61K31/24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having an amino or nitr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9/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19/1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at least one of the hydroxy groups esterified by a carboxylic acid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뇌전증 발작 장애가 있거나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용도로서, 펜플루라민 라세미체보다 더 낮은 항발작 효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한 펜플루라민 라세미체보다 심장 독성이 더 적기 때문에 항-뇌전증 약물 (AED)로서 놀랍게도 효과적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단리된 펜플루라민 거울상이성질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드라베 증후군의 치료를 고려하며;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를 고려한다.

Description

뇌전증 치료 방법
본 개시내용은 드라베 증후군 (Dravet syndrome)을 포함하는 뇌전증(epilepsy) 치료를 위한 펜플루라민(fenfluramine) 또는 이의 활성 대사산물, 노르펜플루라민(norfenfluramine)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이의 전구약물(prodrug)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뇌전증 및 뇌전증 발작 장애(epileptic seizure disorder)는 미국의 적어도 3백만 명을 포함하여 전세계적으로 6천 5백만 명이 넘는 사람들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신경계 질병, 장애 및 병태의 부류를 나타낸다. 매년 미국에서 약 15만 건의 새로운 뇌전증 사례가 보고된다. 뇌전증 발작 장애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빈도, 강도 및 기간의 산발성 전신 또는 초점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병태이다 (예를 들어, 문헌[Berg et al., 2010 Epilepsia 51 (4): 676-685]). 뇌전증 발작은 일시적인 경련, 호흡 중단, 의식 상실, 언어 또는 운동 능력 손상, 자세 긴장도 상실, 비자연적 근육 수축 또는 기타 중추 신경계 (CNS)의 피질 뉴런에 의한 비정상적이고 과도한 신호 전달의 결과 중 하나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뇌전증 발작은 보행, 수영 또는 운전과 같은 일상적인 활동을 안전하게 수행하는 개인의 능력을 손상시킬 수 있거나 타박상, 절개, 화상, 정형외과적 부상, 낙상으로 인한 부상 등과 같은 신체 부상의 근본 원인이 될 수 있다. 더욱 극적으로, 뇌전증 발작은 간헐적으로 예상치 못한 뇌전증 사망 (SUDEP)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 중 미국에서는 매년 약 4만 건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부분 발작 (예를 들어, 단순, 복합, 이차 전신 및 초점 발병), 전신 발작 (예를 들어, 결신 (absence), 근간대성 (myoclonic), 무긴장성 (atonic), 긴장성 (tonic) 및 긴장성 간대성 (tonic clonic)) 및 광과민성 뇌전증 (photosensitive epilepsy), 자가 유발성 실신 (self-induced syncope), 난치성 뇌전증 (intractable epilepsy), 엔젤만 증후군 (Angelman syndrom), 양성 롤랜딕 뇌전증 (benign rolandic epilepsy), CDKL5 장애, 소아 및 청소년 결신 뇌전증 (absence epilepsy), 드라베 증후군, 전두엽 뇌전증, Glut1 결핍 증후군, 시상하부 과오종 (hypothalamic hamartoma), 영아 연축 (spasms)/웨스트 증후군 (West's syndrome), 청소년 근간대성 뇌전증, 란다우-클레프너 증후군 (Landau-Kleffner syndrom),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Lennox-Gastaut syndrom) (LGS), 근간대성 결신 뇌전증, 오타하라 증후군 (Ohtahara syndrom), 파나이이오토풀로스 증후군(Panayiotopoulos syndrom), PCDH19 뇌전증,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라스무센 증후군 (Rasmussen's syndrom), 고리 염색체 20 증후군 (ring chromosome 20 syndrome), 반사 뇌전증, 측두엽 뇌전증, 라포라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Lafora progressive myoclonus epilepsy), 신경피부 증후군, 결절성 경화증 복합질병 (tuberous sclerosis complex), 조기 영아 뇌전증 뇌증, 조기 발병 뇌전증 뇌증, 열성 발작을 동반한 전신 뇌전증 (GEFS+), 레트 증후군 (Rett syndrom), 다발성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자폐증, 운동실조, 저긴장성 및 발작성 이상운동을 포함하는 장애를 포함하여 다수의 뇌전증 발작 장애가 특성화되고 분류되었다.
뇌전증 발작을 제어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약 25개의 항뇌전증 약물 (AED)이 개발되었으며, 이들 중 많은 AED가 CNS에서 비 선택적 나트륨 채널 차단제로서 작용한다. (문헌[Macdonald RL, Meldrum BS. Principles of antiepileptic drug action. In Antiepileptic Drugs, Fourth Edition. Levy RH, Mattson RG, Meldrum BS, eds. New York: Raven Press, 1995:61-77]). 그러나 AED에 대한 반응은 환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특정 대상체에서 임의의 특정 AED의 효능을 예측하기가 어렵우며; AED 중 어느 것도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제로 고려되지 않는다. 더욱이 AED는 뇌전증 환자의 약 3분의 1에서 효과가 없기 때문에 다수의 고유한 유전적 결함이 서로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의 기저 원인이라는 인식을 촉발한다 (예를 들어, 문헌[Striano et al., 2016 Pharmacol. Res. 107: 426-429]).
영아기 중증 근간대성 뇌전증 (SMEI)로도 공지된 드라베 증후군은 1978년에 처음 기재된 뇌전증 발작 장애이다 (문헌[Dravet, 1978 Vie Meed 8: 543-548]). 드라베 증후군은 대략 40,000명 중 1명 내지 20,000명 중 1명 사이의 출생률로 발생하고, 생후 첫해에 발작이 특징이고, 종종 처음에는 열에 의해 유발되며 후속 발작은 반드시 열에 의해 유발되는 것은 아니다. 드라베 증후군 환자는 예측할 수 없는 빈번한 발작, 체온 또는 광과민성 유도 발작, 운동 이상 및/또는 손상, 정지 또는 퇴행성 정신 발달을 겪을 수 있다.
뉴런 특이적 전압 개폐 나트륨 채널 (SCN1A)의 유전적 결함은 2001년에 드라베 증후군의 대부분 (전부는 아님) 사례의 기저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문헌[Claes et al., 2001 Am. J. Hum Genet. 68: 1327-1332; Marini et al., 2011 Epilepsia 52 (Suppl.2): 24-29; Ceulemans et al., 2012 Epilepsia 53 (7): 1131-1139]). 따라서 SCN1A를 작용 메커니즘으로 포함하는 뉴런 나트륨 채널 차단 활성을 갖는 AED는 드라베 증후군 치료에 금기이다.
펜플루라민 ((R/S)-N-에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은 2개의 거울상이성질체의 라세미 혼합물로 존재하는 식욕 억제 암페타민 유사 약물이고, 비만 치료제로 펜터민 (2-메틸-1-페닐프로판-2-아민)을 포함한 제형으로 20년 이상 시판되었다. 펜플루라민은 혈액-뇌 장벽 (BBB)을 통과할 수 있으며 수포 5-HT 저장을 방해하고 선택적 세로토닌 수송체를 통해 5-HT 흡수를 역전시킴으로써 CNS의 세로토닌 (5-하이드록시트립타민, 5-HT)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세로토닌 효과는 펜플루라민의 식욕 억제 특성의 기저가 되는 것으로 여겨지며, 시험관내 랫트 유도 랫트 내후각 피질 모델에서 잠재적인 항뇌전증 효과에 대해 조사되었다 (문헌[Gentsch et al., 2000 Epilepsia 41 (8):925-928]).
그러나 펜플루라민은 심장 조직에서 발현되는 세로토닌 수용체 5-HT2B를 통한 펜플루라민 작용제 활성으로 인한 심장 판막 비대, 폐 고혈압 및 심장 섬유증을 포함한 심혈관 부작용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을 때 의약품 시장에서 회수되었다 (문헌[Andrejak et al., Arch. Cardiovascular Dis. (2013) 106: 333-339; Elangbam et al., Exp Toxicol Pathol (2008) 60 (4-5): 253-262; Cambon et al., Arch Cardiovascular Dis (2015) 108: 172-180]). 펜플루라민은 주요 대사산물인 노르펜플루라민을 통해 드라베 증후군 환자 집단에서 발작의 빈도 또는 중증도를 제한하는데 일정 정도의 명백한 효능을 나타냈지만 (문헌[Ceulemans et al., 2012; Boel et al., 1996 Neuropediatrics 27:171-173; Lagae, L. et al., "ZX008 (Fenfluramine HCl Oral Solution) in Dravet Syndrome: Results of a Phase 3,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Poster No. 2.434, American Epilepsy Society Annual Meeting, Dec. 1-5, 2017]), 그러나 심장 독성의 전례로 인해 AED로 사용할 수 없다. 구조적으로 관련된 화합물 벤플루오렉스 ((R/S)-2-(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일아미노)에틸 벤조에이트)는 또한 2개의 거울상이성질체의 라세미 혼합물이고, 노르펜플루라민의 전구약물이고, 유사하게 5-HT 방출을 촉진하며 (대사산물인 노르펜플루라민을 통해 5HT2 수용체에 작용제 활성을 가짐), 펜플루라민과 관련된 것과 유사한 심혈관 부작용으로 인해 회수되기 전 한동안 항 당뇨병제로 시판되었다. 그러나 벤플루오렉스 (Benfluorex)는 이전에 AED로 조사되지 않았다.
뇌전증 및 드라베 증후군을 포함하는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요구가 당 업계에 분명히 남아있다. 본 개시내용은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필요성을 해결하고 다른 관련 이점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특정 실시형태에서 드라베 증후군을 포함하여 뇌전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펜플루라민의 (R)-거울상이성질체, 벤플루오렉스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펜플루라민 또는 벤플루오렉스의 활성 대사산물 노르펜플루라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포유류에서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i)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ii)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및 (iii)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중 1, 2 또는 3개 모두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R)-펜플루라민은 (S)-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고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R)-노르펜플루라민은 (S)-노르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고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R)-벤플루오렉스는 (S)-벤플루오렉스가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a) (i)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ii)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및 (iii)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중 1, 2 또는 3개 모두의 치료학적 유효량; 및 (b) 펜터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임의의 순서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R)-펜플루라민은 (S)-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고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R)-노르펜플루라민은 (S)-노르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고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R)-벤플루오렉스는 (S)-벤플루오렉스가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의 추가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뇌전증 발작 장애는 드라베 증후군이다. 본 방법의 추가의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서, 뇌전증 발작 장애는 광과민성 뇌전증, 자기 유도 실신, 난치성 뇌전증, 엔젤만 증후군, 양성 롤랜딕 뇌전증, CDKL5 장애, 소아 및 청소년 결신 뇌전증, 드라베 증후군, 전두엽 뇌전증, Glut1 결핍 증후군, 시상하부 과오종, 영아 연축/웨스트 증후군, 청소년 근간대성 뇌전증, 란다우-클레프너 증후군,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LGS), 근간대성 결신 뇌전증, 오타하라 증후군, 파나이이오토풀로스 증후군, PCDH19 뇌전증,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라스무센 증후군, 고리 염색체 20 증후군, 반사 뇌전증, 측두엽 뇌전증, 라포라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신경피부 증후군, 결절성 경화증 복합질병, 조기 영아 뇌전증 뇌증, 조기 발병 뇌전증 뇌증, 열성 발작을 동반한 전신 뇌전증 (GEFS+), 레트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자폐증, 운동실조, 저긴장, 발작성 이상운동, 초점 발병 발작, 전신 발병 발작, 결신 발작, 제아본(Jeavon) 증후군, 뇌전증 뇌증, 해바라기 증후군, 취약-X 증후군, 교대성 편마비, 상염색체 우성 야행성 전두엽 뇌전증 (ADNFLE), 양성 롤랜딕 뇌전증, 두즈(Doose) 증후군, 조기 근간대성 뇌증, 이동 초점 발작을 동반한 영아 뇌전증, 전신 긴장성-간대성 발작을 동반한 뇌전증, 근간대성 결신 뇌전증, 수면 중 지속적 스파이크 및 파동을 동반한 뇌전증 뇌증, 청소년 결신 발작,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SCN8A 관련 뇌전증, SCN2A 관련 뇌전증, KCNQ2 관련 뇌전증, 및 TBC1 도메인 포함 키나제 (TBCK) 관련 지적 장애 (ID) 증후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R/S)-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a)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R/S)-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 또는 이의 전구약물의 치료학적 유효량; 및 (b) 펜터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임의의 순서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뇌전증 발작 장애는 드라베 증후군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뇌전증 발작 장애는 광과민성 뇌전증, 자기 유도 실신, 난치성 뇌전증, 엔젤만 증후군, 양성 롤랜딕 뇌전증, CDKL5 장애, 소아 및 청소년 결신 뇌전증, 드라베 증후군, 전두엽 뇌전증, Glut1 결핍 증후군, 시상하부 과오종, 영아 연축/웨스트 증후군, 청소년 근간대성 뇌전증, 란다우-클레프너 증후군,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LGS), 근간대성 결신 뇌전증, 오타하라 증후군, 파나이이오토풀로스 증후군, PCDH19 뇌전증,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라스무센 증후군, 고리 염색체 20 증후군, 반사 뇌전증, 측두엽 뇌전증, 라포라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신경피부 증후군, 결절성 경화증 복합질병, 조기 영아 뇌전증 뇌증, 조기 발병 뇌전증 뇌증, 열성 발작을 동반한 전신 뇌전증 (GEFS+), 레트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자폐증, 운동실조, 저긴장, 발작성 이상운동, 초점 발병 발작, 전신 발병 발작, 결신 발작, 제아본 증후군, 뇌전증 뇌증, 해바라기 증후군, 취약-X 증후군, 교대성 편마비, 상염색체 우성 야행성 전두엽 뇌전증 (ADNFLE), 양성 롤랜딕 뇌전증, 두즈 증후군, 조기 근간대성 뇌증, 이동 초점 발작을 동반한 영아 뇌전증, 전신 긴장성-간대성 발작을 동반한 뇌전증, 근간대성 결신 뇌전증, 수면 중 지속적 스파이크 및 파동을 동반한 뇌전증 뇌증, 청소년 결신 발작,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SCN8A 관련 뇌전증, SCN2A 관련 뇌전증, KCNQ2 관련 뇌전증, 및 TBC1 도메인 포함 키나제 (TBCK) 관련 지적 장애 (ID) 증후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필요한 인간 대상체에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80% 초과, 예를 들어 90%, 95%, 97%, 98%, 99%, 또는 99.5% 초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 (enantiomeric excess; ee), 또는 예컨대 80% 내지 99% 또는 90% 내지 99%의 ee를 갖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에 의해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하는 상기 방법은 예컨대 발작 빈도 또는 평균 경련성 발작 빈도를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0%, 예컨대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5, 35, 50, 60, 65, 70, 75, 또는 80%, 특히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5, 50, 또는 75% 감소시킴으로써, 뇌전증 발작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고,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80% 초과, 예를 들어 90%, 95%, 97%, 98%, 99%, 또는 99.5% 초과의 ee, 또는 예컨대 80% 내지 99% 또는 90% 내지 99%의 ee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필요한 인간 대상체에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은 80% 초과, 예를 들어 90%, 95%, 97%, 98%, 99%, 또는 99.5% 초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 ee, 또는 예컨대 80% 내지 99% 또는 90% 내지 99%의 ee를 갖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에 의해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하는 상기 방법은 예컨대 발작 빈도 또는 평균 경련성 발작 빈도를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0%, 예컨대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5, 35, 50, 60, 65, 70, 75, 또는 80%, 특히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5, 50, 또는 75% 감소시킴으로써, 뇌전증 발작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고,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은 80% 초과, 예를 들어 90%, 95%, 97%, 98%, 99%, 또는 99.5% 초과의 ee, 또는 예컨대 80% 내지 99% 또는 90% 내지 99%의 ee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필요한 인간 대상체에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80% 초과, 예를 들어 90%, 95%, 97%, 98%, 99%, 또는 99.5% 초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 ee, 또는 예컨대 80% 내지 99% 또는 90% 내지 99%의 ee를 갖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에 의해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하는 상기 방법은 예컨대 발작 빈도 또는 평균 경련성 발작 빈도를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0%, 예컨대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5, 35, 50, 60, 65, 70, 75, 또는 80%, 특히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5, 50, 또는 75% 감소시킴으로써, 뇌전증 발작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고,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80% 초과, 예를 들어 90%, 95%, 97%, 98%, 99%, 또는 99.5% 초과, 예컨대 80% 내지 99% 또는 90% 내지 99%의 ee, 또는 예컨대 80% 내지 99% 또는 90% 내지 99%의 ee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필요한 인간 대상체에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인간 대상체에서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와 같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에 의해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하는 상기 방법은 예컨대 발작 빈도 또는 평균 경련성 발작 빈도를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0%, 예컨대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5, 35, 50, 60, 65, 70, 75, 또는 80%, 특히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5, 50, 또는 75% 감소시킴으로써, 뇌전증 발작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간 대상체에서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와 같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인간 대상체에서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와 같은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 및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하고, 상기 화합물은 80% 초과, 예를 들어 90%, 95%, 97%, 98%, 99%, 또는 99.5% 초과의 ee, 또는 예컨대 80% 내지 99% 또는 90% 내지 99%의 ee를 갖는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인간 대상체에서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와 같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화합물은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 및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화합물은 80% 초과, 예를 들어 90%, 95%, 97%, 98%, 99%, 또는 99.5% 초과의 ee, 또는 예컨대 80% 내지 99% 또는 90% 내지 99%의 ee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양상 및 실시형태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고/거나 출원 데이터 시트에 나열된 모든 미국 특허, 미국 특허 출원 간행물, 미국 특허 출원, 외국 (미국 외) 특허, 외국 (미국 외) 특허 출원 및 비 특허 간행물 각각이 개별적으로 포함되는 것과 같이,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 및 실시형태는 필요한 경우, 추가 실시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특허, 출원 및 간행물의 개념을 사용하여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CF-1 마우스에서 6 Hz 발작 분석에서 후보 AED 화합물을 시험한 결과를 보여준다. 막대는 생체내 분석 1시간 전에 20 mg/kg의 라세미 펜플루라민, (R)-펜플루라민,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및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비히클 대조군의 IP 투여 후 보호된 마우스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n = 16/그룹).
도 2는 수컷 DBA/2 마우스를 이용한 마우스 청원성 발작 시험에서 (R/S)-펜플루라민 및 (R)-펜플루라민의 항경련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n = 10/그룹). 청원성 반응 점수는 0 (발작 없음), 1 (격렬한 달리기), 2 (간대성 경련), 3 (긴장성 확장) 또는 4 (치사)로 지정되었다. 결과는 표시된 각 개별 데이터 포인트에 의한 평균 ± SEM으로 표시된다.
5.1 정의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다음 용어는 적시된 의미를 갖는다:
"거울상이성질체"는 공간에서 상이한 입체배열을 갖는 2개의 상이한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비대칭 분자를 지칭한다. 거울상이성질체를 지정하거나 지칭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용어는 "입체이성질체"(키랄 중심 주변의 상이한 배열 또는 입체화학에 의함; 모든 거울상이성질체가 입체이성질체이지만 모든 입체이성질체가 거울상이성질체인 것은 아님) 또는 "광학이성질체"(거울상이성질체의 광학적 활성에 의함, 다른 거울상이성질체가 평면 편광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능력)를 포함한다. 대칭 평면이 없기 때문에 거울상이성질체는 거울상과 동일하지 않고; 2개의 거울상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하는 분자는 키랄이며, 이는 "좌측" 및 "우측" 형태로 발생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기 분자에서 키랄성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4개의 다른 치환기 또는 기에 결합된 사면체 탄소의 존재이다. 이러한 탄소는 키랄 중심 또는 입체 중심으로 지칭된다. 입체 중심에서 원자의 3차원 배열 (또는 입체배열)을 표시하는 방법은 가장 낮은 우선순위 기가 가상 관찰자로부터 멀리 위치할 때 기의 우선순위 배열을 지칭하는 것이고; 더 높은 우선순위에서 더 낮은 우선순위까지 나머지 3개의 기의 배열이 시계 방향인 경우, 입체 중심은 "R" 입체배열을 가지며, 배열이 시계 반대 방향인 경우 입체 중심은 "S" 입체배열을 갖는다.
거울상이성질체는 동일한 경험적 화학식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반응, 물리적 특성 및 분광 특성이 화학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거울상이성질체는 다른 비대칭 화합물에 대해 다른 화학적 반응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비대칭 물리적 장애에 대해 다르게 반응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비대칭 장애는 편광이다.
거울상이성질체는 평면 편광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거울상이성질체는 광학적으로 활성이다. 동일한 화합물의 2개의 다른 거울상이성질체는 평면 편광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따라서 빛은 가상 관찰자에 대해 좌측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거나 (이는 좌회전 또는 "l" 또는 마이너스 또는 "-"임), 우측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우회전 또는 "d" 또는 플러스 또는 "+"임). 광학 회전의 부호 (+) 또는 (-)는 R 또는 S 표시와 관련되지 않는다. 동일한 양의 2개의 키랄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을 라세미 혼합물 또는 라세미체라고 하고, 기호 (+/-) 또는 접두사 "d/l"로 표시되며, 우회전 및 좌회전 형태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라세미체 또는 라세미 혼합물은 동일한 양의 (+) 및 (-) 형태가 존재하기 때문에 광학 회전이 0이다. 일반적으로 단일 거울상이성질체의 존재는 편광을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며; 따라서 단일 거울상이성질체는 광학적으로 순수한 것으로 지칭된다.
"R" 및 "S" 표시는 이의 키랄 중심 (들)에 대한 분자의 절대 입체배열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표시는 접두사 또는 접미사로 나타낼 수 있고, 하이픈으로 거울상이성질체 명과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하이픈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괄호 표시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라세미 화합물 또는 혼합물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분해" 또는 "분해하는"은 2개의 거울상이성질체 형태 (즉, (+) 및 (-); (R) 및 (S) 형태)로의 라세미체의 분리를 지칭한다.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 또는 "ee"는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가 다른 것보다 과량으로 존재하는 산물을 지칭하고, 각 거울상이성질체의 몰 분율의 절대 차이로 규정된다.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은 통상적으로 다른 거울상이성질체에 대비한 혼합물에 존재하는 거울상이성질체의 백분율로 표현된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는 (R)-거울상이성질체가 80% 초과, 바람직하게는 9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초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초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로 존재할 때 (S)-거울상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화합물 명의 프로토콜 및 구조 다이어그램은 ACD/Name 버전 9.07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UPAC 명명 체계의 변형된 형태이다. 예를 들어, 노르펜플루라민의 (R)-거울상이성질체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Figure pct00001
화합물 명은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이다.
"전구약물"은 생리적 조건 또는 가용매 분해에 의해 본 개시내용의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는 화합물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어 "전구약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대사 전구체를 지칭한다. 전구약물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불활성일 수 있지만 생체내에서 본 개시내용의 활성 화합물로 전환된다. 전구약물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혈액에서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체내에서 신속하게 전환되어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생성한다. 전구약물 화합물은 종종 포유류 유기체에서 용해성, 조직 적합성 또는 지연 방출의 이점을 제공한다 (문헌[Bundgard, H., Design of Prodrugs (1985), pp. 7-9, 21-24 (Elsevier, Amsterdam)] 참조). 전구약물에 대한 논의는 문헌[Higuchi et al., "Pro-drugs as Novel Delivery Systems," A.C.S. Symposium Series, Vol. 14, and in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 Ed. Edward B. Roc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Pergamon Press, 1987]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 둘 모두는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용어 "전구약물"은 또한 이러한 전구약물이 포유류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생체내에서 본 개시내용의 활성 화합물을 방출하는 임의의 공유 결합된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전구약물은 생체내 과정에 의해 절단될 때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구약물은 전구약물이 포유류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절단되어 각각 유리 하이드록실기, 유리 아미노기 또는 유리 마컵토기를 형성하는 임의의 기에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또는 머캅토기가 결합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전구약물의 예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에서 알코올의 아세테이트, 포르메이트 및 벤조에이트 유도체 또는 아민 작용기의 아미드 유도체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R)-펜플루라민 및 (R)-벤플루오렉스는 둘 모두 (R)-펜플루라민 및 (R)-벤플루오렉스가 생체내에서 (R)-노르펜플루라민으로 대사된다는 점에서 (R)-노르펜플루라민의 전구약물로 고려되며,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 및 용도의 적절한 항뇌전증 활성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하나 이상의 원자가 상이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로 대체됨으로써 동위원소 표지된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시된 화합물에 혼입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는 각각 2H, 3H, 11C, 13C, 14C, 13N, 15N, 15O, 17O, 18O, 및 18F와 같은 수소, 탄소, 질소, 산소의 동위원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사성 표지된 화합물은 예를 들어 작용 메커니즘 또는 약리학적으로 중요한 작용 부위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특성화함으로써 대상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의 효과를 결정하거나 측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약물 및/또는 기질 조직 분포 연구에 유용하다. 방사성 동위원소인 삼중 수소, 즉 3H 및 탄소-14, 즉 14C는 혼입의 용이성과 즉시 검출 수단을 고려하여 이러한 목적에 특히 유용하다. 삼중 수소 (3H)를 포함하는 방사성 리간드는 삼중 수소가 붕괴 반감기가 길고 방출이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에서 이루어지므로 상기 방사성 동위원소가 상대적으로 안전하기 때문에 막을 사용한 리간드 결합 연구에 특히 유용하다. 방사성 리간드는 일반적으로 표지되지 않은 화합물에서 삼중 수소를 수소로 교체하여 제조된다.
중수소, 즉 2H와 같은 더 무거운 동위원소로의 치환은 더 큰 대사 안정성, 예를 들어 생체내 반감기 증가 또는 투여 요구량 감소로 인한 특정 치료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부 상황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11C, 18F, 15O 및 13N과 같은 양전자 방출 동위원소로의 치환은 기질 수용체 점유를 조사하기 위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PET) 연구에 유용할 수 있다. 대상 화합물의 동위원소 표지된 거울상이성질체는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에 의하거나, 이전에 사용된 비 표지 시약 대신 적절한 동위원소 표지된 시약을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개시된 (R)-거울상이성질체의 생체내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산물은, 예를 들어 주로 효소 과정으로 인해 투여된 화합물의 산화, 환원, 가수분해, 아미드화, 에스테르화 등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대사산물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대상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를 포유류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생성된 대사산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대사산물은 대상 화합물의 방사성 표지된 거울상이성질체를 동물, 예를 들어 랫트, 마우스, 기니피그, 원숭이 또는 인간에게 검출 가능한 투여량으로 투여하여 대사가 이루어지는데 충분한 시간을 가능하게 하고 소변, 혈액 또는 기타 생물학적 샘플로부터 대사산물을 단리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선택성" 및 "선택적"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이 다른 것 (또는 다른 기) 대비 어느 하나와 우선적으로 (예를 들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결합하는 경향의 상대적 척도이다.
"안정한 거울상이성질체" 및 "안정한 구조"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용한 순도로의 단리 및 효과적인 치료제로의 제형화로의 진행을 위해 충분히 견고한 화합물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포유류"는 인간 및 실험실 동물 및 가정용 애완 동물 (예를 들어, 고양이, 개, 돼지, 소, 양, 염소, 말 및 토끼)과 같은 가축 및 야생 동물과 같은 비 가축 둘 모두 등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는 제한 없이 인간 또는 가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애주번트 (adjuvant), 담체, 부형제, 활택제, 감미제, 희석제, 보존제, 염료/착색제, 향미 증강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분산제, 현탁제, 안정화제, 등장제, 용매 또는 유화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는 비 제한적인 예로서 미국 식품의약국, 캐나다 보건청 또는 유럽의약국의 규제 기관에 의해 인간 또는 동물 약제학적 사용에 허용되는 것으로 승인된 것이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제형 및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을 포유류, 예를 들어 인간에게 전달하기 위해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배지를 지칭한다. 이러한 배지는 모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임의의 용매, 애주번트, 생체 이용률 향상제, 담체, 활택제, 감미제, 희석제, 보존제, 염료/착색제, 향미 증강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분산제, 현탁제, 안정화제, 등장제, 완충제 및/또는 유화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는 비 제한적인 예로서 미국 식품의약국, 캐나다 보건청 또는 유럽의약국에 의해 인간 또는 가축에서 사용하기에 허용되는 것으로 승인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뇌전증 또는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의 "예방"은 특히, 이러한 포유류가 병태에 대한 소인이 있지만 아직 병태가 있는 것으로 진단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적절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상기 장애가 포유류에서 발생할 가능성의 예방 또는 감소를 지칭한다.
"치료학적 유효량"은 투여될 때 수용체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에서 하기에 규정된 바와 같이 뇌전증 또는 또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치료학적 유효량"을 구성하는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양은 화합물, 뇌전증 병태 및 그 중증도, 투여 방식 및 치료할 포유류의 연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당업자에 의해 자신의 지식 및 본 개시내용을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대상 질병 또는 병태를 가진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에서 뇌전증 또는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를 지칭하고, 예를 들어,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i) 뇌전증 또는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의 억제, 즉, 그 진행의 정지,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적절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뇌전증 발작 또는 상기 장애의 다른 증상의 중증도, 기간 또는 빈도의 증가의 지연;
(ii) 뇌전증 또는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의 완화, 즉, (예를 들어, 적절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뇌전증 퇴행의 유발; 또는
(iii) 뇌전증 또는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로 인한 증상의 완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적절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뇌전증 발작 또는 상기 장애의 다른 증상의 중증도, 기간 또는 빈도의 감소.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한 치료는 (예를 들어, 적절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방식으로 기준선으로부터 뇌전증 발작 빈도의 감소, 예컨대 발작 빈도 또는 평균 경련성 발작 빈도의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한 치료는 기준선으로부터 발작 빈도 또는 평균 경련성 발작 빈도를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0%, 예컨대 적어도 25, 35, 50, 60, 65, 70, 75, 또는 80%, 특히 기준선으로부터 적어도 25, 50, 또는 75%만큼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개선하는", "개선된", "완화하는" 또는 "완화된"은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바와 같이 규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개선하다"는 일반적으로 개선 사건 이전의 병태에 비해 병태를 개선하거나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완화하다"는 일반적으로 완화 사건 이전의 병태에 비해 병태가 더 용인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개선하는" 또는 "개선된"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화합물의 투여에 의해 개선되거나 향상되는 뇌전증 또는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 또는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의 병태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완화하는" 또는 "완화된"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화합물의 투여에 의해 용인 가능하게 되는 뇌전증 또는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 또는 뇌전증 또는 이러한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의 병태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뇌전증 발작을 "완화하는"에는 뇌전증 발작의 중증도 또는 발생률 감소 (예를 들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방식의 저하)가 포함된다.
5.2 본 개시내용의 (R)-거울상이성질체
본 개시내용의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을 나타내는 (R)-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여 펜플루라민의 (R)-거울상이성질체, 벤플루오렉스의 (R)-거울상이성질체 및 노르펜플루라민의 (R)-거울상이성질체뿐만 아니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이다.
2개의 거울상이성질체의 라세미 혼합물인 펜플루라민은 다음 구조를 갖고:
Figure pct00002
;
화합물명은 (R/S)-N-에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이다. 펜플루라민의 제조는 프랑스 특허 M1658 (1963)에 처음 공개되었다. 펜플루라민의 (R)-거울상이성질체 및 (S)-거울상이성질체는 각각 다음 구조를 가지며:
Figure pct00003
각각의 화합물명은 (R)-N-에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 및 (S)-N-에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이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펜플루라민의 (R)-거울상이성질체는 본 명세서에서 (R)-펜플루라민으로 확인되고, 펜플루라민의 (S)-거울상이성질체는 본 명세서에서 (S)-펜플루라민으로 확인된다. 당 업계에서는 (R)-펜플루라민은 레보펜플루라민, l-펜플루라민, 또는 (-)-펜플루라민에 해당하고, (S)-펜플루라민은 덱스펜플루라민, d-펜플루라민, 또는 (+)-펜플루라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2개의 거울상이성질체의 라세미 혼합물인 벤플루오렉스는 다음 구조를 갖고:
Figure pct00004
화합물명은 (R/S)-2-(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일아미노)에틸 벤조에이트이다. 벤플루오렉스의 제조는 미국 특허제 3,607,909 호에 기재되어 있다.
벤플루오렉스의 (R)-거울상이성질체 및 (S)-거울상이성질체는 다음의 각각의 구조를 가지며:
Figure pct00005
각각의 화합물명은 (R)-2-(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일아미노)에틸 벤조에이트 및 (S)-2-(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일아미노)에틸 벤조에이트이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벤플루오렉스의 (R)-거울상이성질체는 본 명세서에서 (R)-벤플루오렉스로 확인되고, 벤플루오렉스의 (S)-거울상이성질체는 본 명세서에서 (S)-벤플루오렉스로 확인된다.
펜플루라민 및 벤플루오렉스의 활성 대사산물은 노르펜플루라민이며, 이는 또한 2개의 거울상이성질체의 라세미 혼합물이다. 노르펜플루라민은 다음 구조를 가지며:
Figure pct00006
화합물명은 (R/S)-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이다.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 (CAS 등록 번호 [1886-26-6])는 시중에서 (예를 들어, Toronto Research Chemicals, North York, Ontario, Canada; Clearsynth, Mississauga, Ontario, Canada; 또는 DrugImpurities, North Harrow, UK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노르펜플루라민의 거울상이성질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표준 분해 기술에 의해 단리될 수 있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노르펜플루라민의 (R)-거울상이성질체 및 (S)-거울상이성질체는 다음의 각각의 구조를 가지며:
Figure pct00007
각각의 화합물명은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 및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이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노르펜플루라민의 (R)-거울상이성질체는 본 명세서에서 (R)-노르펜플루라민으로 확인되고, 노르펜플루라민의 (S)-거울상이성질체는 본 명세서에서 (S)-노르펜플루라민으로 확인된다. 당 업계에서는 (R)-노르펜플루라민은 l-노르펜플루라민, 또는 (-)-노르펜플루라민에 해당하고, (S)-노르펜플루라민은 d-노르펜플루라민, 또는 (+)-노르펜플루라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 (ee), 예컨대 20%, 30%, 40%, 50%, 60%, 70%, 80%, 85%, 90%, 95%, 96%, 97%, 98%, 99%, 또는 99.5% 초과의 ee의 대상 화합물 (즉, 펜플루라민, 벤플루오렉스 및/또는 노르펜플루라민 중 하나 이상)의 (R)-거울상이성질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 용도 및 조성물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20% 내지 97%, 98%, 또는 99%, 예컨대 30% 내지 99%, 40% 내지 99%, 50% 내지 99%, 60% 내지 99%, 70% 내지 99%, 80% 내지 99%, 85% 내지 99%, 90% 내지 99%, 95% 내지 99%, 96% 내지 99%, 또는 97% 내지 99%, 특히 90% 내지 99%의 ee의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 용도 및 조성물에 사용된다.
5.3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유용성 및 시험
본 개시내용은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뇌전증 또는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의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대상 화합물 (즉, 펜플루라민, 벤플루오렉스 및/또는 노르펜플루라민 중 하나 이상)의 (R)-거울상이성질체의 사용 방법 또는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부분적으로 (i)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가 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대사산물 노르펜플루라민)의 여러 특정 유리한 활성을 보유하고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이고, (ii) 이러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R)-거울상이성질체가 해당 (S)-거울상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펜플루라민의 유해한 심장독성에 부적절하게 관여하는 펜플루라민 (또는 그 대사산물 노르펜플루라민)의 특정 유해한 활성이 있다는 예상치 못한 이전에 예측할 수 없었던 발견에 기반을 두고있다.
구체적으로, 펜플루라민의 적절한 항발작 활성이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대사산물, (R)-노르펜플루라민에 존재하고, 이러한 특정 거울상이성질체가 부적절한 펜플루라민 심장 독성 활성의 낮은 수준만을 보유하고, 또한 효과적인 AED라는 것이 본 명세서에 최초로 개시된다. 이와 달리, 펜플루라민 심장 독성 활성의 대부분은 (S)-펜플루라민 또는 그 대사산물인 (S)-노르펜플루라민에 존재하므로 이러한 거울상이성질체는 후보 AED로 적합하지 않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해당 (S)-거울상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를 제공함으로써, 펜플루라민 및 노르펜플루라민과 관련된 유해한 심장 독성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면서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음) 치료학적으로 유리한 펜플루라민 효과를 제공하는 AED 약제학적 조성물, 방법 및 용도가 최초로 개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펜플루라민의 부적절한 심장 독성은 세로토닌 수용체 2B 작용제 활성 (5-HT2B 수용체 작용제 활성)에 존재하며, 이는 주로 (S)-펜플루라민 및 이의 대사산물 (S)-노르펜플루라민과 구별된다. 따라서, (S)-펜플루라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R)-펜플루라민의 제조는 놀랍게도 (S)-펜플루라민, (S)-노르펜플루라민, 펜플루라민 또는 노르펜플루라민으로부터 제조된 제조물에 비해 현저하게 더 낮은 심장 독성 효과를 특징으로 하는 거울상이성질체가 다존재하는 제조물을 생성하여 유용한 AED를 제공한다.
추가로, (S)-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R)-펜플루라민의 제조는 놀랍게도 세로토닌 수용체 2A (5-HT2A 수용체) 작용제 활성 및 또한 세로토닌 수용체 2C (5-HT2C 수용체) 작용제 활성을 갖는 거울상이성질체 AED 조성물을 생성하고, 이는 (R)-노르펜플루라민으로 대사될 수 있으며,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NE) 방출을 촉진하는 적절한 AED 특성과 함께 강화된 5-HT2A/5-HT2C 작용제 활성을 나타낸다. 비 제한적인 이론에 따르면, 특정 실시형태에서 AED는 5-HT2A 작용제/5-HT2C 작용제/NE 방출 촉진제/불량한 5-HT2B 작용제 활성 프로파일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R)-펜플루라민 및 이의 대사산물 (R)-노르펜플루라민은 예상치 않게 이러한 적절한 특성을 나타내어 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예상밖의 후보 AED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 이전에, 당 업계에서는 강력한 5-HT2A 작용제 활성, 강력한 5-HT2C 작용제 활성 및 강력한 NE 방출 촉진 활성이 모두 (S)-노르펜플루라민에 존재하고, 따라서 AED 후보로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S)-노르펜플루라민은 또한 강력한 5 HT2B 작용제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강력한 펜플루라민 AED 활성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부적절한 펜플루라민 심장 독성의 원인으로 고려되었을 것이다. (문헌[Rothman et al., Pharmacol. Biochem. Behav. 71:825 (2002); Rothman et al., J. Pharmacol. Exp. Therapeut. 305:1191 (2003)]).
본 개시내용은 (R)-펜플루라민 및 이의 대사산물 (R)-노르펜플루라민이 차선의 5-HT2A 작용제 및 NE 방출 촉진제 활성 (즉, 각각 (S)-펜플루라민 및 (S)-노르펜플루라민보다 덜 강력한 활성)를 나타낸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덜 강력한 (R)-펜플루라민의 선택에 의해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AED가 획득될 수 있음을 최초로 교시한다. 이론에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나,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음) AED로서의 덜 강력한 (R)-펜플루라민 또는 (R)-노르펜플루라민의 본 발명의 선택은 (R)-거울상이성질체가 또한 펜플루라민 또는 노르펜플루라민에 비해 불량한 5-HT2B 작용제인한 치료 효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음) (R)-펜플루라민 및 (R)-노르펜플루라민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 이점은 본 개시내용 이전에 예측되지 않았을 것이며, 이러한 거울상이성질체의 AED로서의 적합성은 이전에 인식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특정 실시형태에서,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포유류에게
(i)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ii)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및
(iii)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중 1, 2 또는 3개 모두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R)-펜플루라민은 (S)-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고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R)-노르펜플루라민은 (S)-노르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고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R)-벤플루오렉스는 (S)-벤플루오렉스가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마찬가지로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치료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 (i), (ii) 및 (iii) 중 1, 2 또는 3개 모두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정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포유류에게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R/S)-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를 치료하기 위한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i), (ii) 및 (iii)-또는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중 1, 2 또는 3개 모두에 관한 것이다.
5.3.1 뇌전증 및 뇌전증 발작 장애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방법 및 용도는 뇌전증에 대한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방법 및 용도는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뇌전증 및 뇌전증 발작 장애는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뇌전증 또는 임의의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대상체 또는 환자를 확인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진단, 예후, 수술, 유전 및/또는 기타 임상 기준은 관련 분야의 당업자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AED 조성물의 투여의 임상적 적절성 및/또는 적용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Sontheimer,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2015 Academic Press/Elsevier, Waltham, MA; "Neurologic Disorders" in The Merck Manual of Diagnosis and Therapy 19th Ed. (R.S. Porter, Ed., 2011, Merck, Inc., NJ); "Neurological Diagnostic Tests and Procedures" at the websit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www. ninds. nih. gov/disorders/ misc/ diagnostic_tests.htm; Neurology in Clinical Practice - Vol. II, 4th Edition, Bradley et al., (Eds), 2004 Butterworth Heinemann/ Elsevier, Philadelphia, PA; Non-Neoplastic Disease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tlas of Nontumor Pathology- First Series Fascicle), D.N. Lewis et al., (eds.), 2010 Amer. Registry of Pathology, Annapolis Junction, MD; Bradley's Neurology in Clinical Practice (6th Ed.), R.B. Daroff et al. (eds.), 2012 Saunders/Elsevier, Waltham, MA; see also, e.g., Wright et al., 2016 Molec. Genet. Genom. Med. 4(2):197; Claes et al., 2001 Am. J. Hum. Genet. 68:1327-1332; Marini et al., 2011 Epilepsia 52(Suppl.2):24-29; Ceulemans et al., 2012 Epilepsia 53(7):1131-1139)]을 참조한다. 따라서, 뇌전증 또는 임의의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것으로 의심되는 환자의 진단 및 임상 모니터링을 위한 기준은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 및 방법은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광과민성 뇌전증, 자기 유도 실신, 난치성 뇌전증, 초점 발병 뇌전증, 엔젤만 증후군, 양성 롤랜딕 뇌전증, CDKL5 장애, 소아 및 청소년 결신 뇌전증, 드라베 증후군, 전두엽 뇌전증, Glut1 결핍 증후군, 시상하부 과오종, 영아 연축/웨스트 증후군, 청소년 근간대성 뇌전증, 란다우-클레프너 증후군,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LGS), 근간대성 결신 뇌전증, 오타하라 증후군, 파나이이오토풀로스 증후군, PCDH19 뇌전증,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라스무센 증후군, 고리 염색체 20 증후군, 반사 뇌전증, 측두엽 뇌전증, 라포라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신경피부 증후군, 결절성 경화증 복합질병, 조기 영아 뇌전증 뇌증, 조기 발병 뇌전증 뇌증, 열성 발작을 동반한 전신 뇌전증 (GEFS+), 레트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자폐증, 운동실조, 저긴장성 및 발작성 이상운동을 포함하는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와 관련된 광범위한 질병, 장애 또는 병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음).
5.3.2 시험관내 분석
5HT2C 및/또는 5HT2A 작용제로서 (R)-거울상이성질체의 효능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관내 분석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Rothman et al., 2003 J. Pharmacol. Exp. Therapeut. 305(3):1191-1199; Lawrence et al., 2000 Molecular Pharmacology, 57:75-81; Porter et al., 1999 Brit. J of Pharmacology 128:13-20]을 참조한다.
5.3.3 동물 모델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에서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음)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의 효능을 시험하기 위한 동물 모델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생물학적 실시예에서 기재된 동물 모델을 참조한다.
5.3.4 투여량
통상적으로,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의 성공적인 치료제는 다음 기준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충족할 것이다. 경구 가용성은 20% 이상이어야 한다. 동물 모델 효능은 약 0.1 μg 미만 내지 약 100 mg/kg 체중이고, 표적 인간 투여량은 0.1 μg 내지 약 100 mg/kg 체중이지만, 이 범위를 벗어난 투여량이 허용될 수 있다 ("mg/kg"은 투여되는 대상체의 체질량 킬로그램당 화합물의 밀리그램을 의미함). 치료 지수 (또는 치료 투여량에 대한 독성 투여량의 비율)는 100을 초과해야 한다. 효능 (예를 들어, 표적에 대한 시험관내 특성화에 의해 결정된 IC50 값으로 표시됨)은 10 μM 미만, 바람직하게는 1 μM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nM 미만이어야 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는 30 mg/kg+/-5%를 포함하는 약 0.25, 0.5, 0.75, 1, 1.5, 2, 2.5, 5, 10, 15, 20, 또는 25 mg/kg 내지 약 35, 40, 45, 또는 50 mg/kg, 예컨대 약 20 내지 40 mg/kg 또는 25 내지 35 mg/kg, 예컨대 20, 25, 30, 35, 또는 40 mg/kg+/-5%를 포함하여, 약 0.1 mg/kg 내지 약 50 mg/kg의 투여량의 펜플루라민과 같은 대상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의 (R)-거울상이성질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는 1 mg/kg+/-5% 또는 2 mg/kg+/-5%를 포함하는 약 0.25, 0.5, 0.75, 또는 1 mg/kg 내지 약 2, 2.5, 5, 또는 10 mg/kg, 예컨대 약 0.5 mg/kg 내지 약 2.5 mg/kg 또는 약 1 mg/kg 내지 약 2 mg/kg, 예컨대 0.5, 0.75, 1, 1.5, 2, 2.25, 또는 2.5 mg/kg+/-5%를 포함하여, 약 0.1 mg/kg 내지 약 10 mg/kg의 투여량의 펜플루라민과 같은 대상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의 (R)-거울상이성질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1 mg/kg 내지 2 mg/kg의 투여량이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 예를 들어 드라베 증후군의 치료를 위해 인간 대상체에 투여된다. 하나 초과의 대상 화합물이 본 방법 및 용도에 따라 투여되는 실시형태에서, 상기 투여량은 투여되는 화합물의 조합된 총 투여량을 나타낼 수 있거나, 상기 투여량은 투여되는 각각의 화합물의 개별 투여량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용도는 30 mg/kg+/-5%를 포함하는 약 1, 5, 10, 15, 20, 또는 25 mg/kg 내지 약 35, 40, 45, 또는 50 mg/kg, 예컨대 약 20 내지 40 mg/kg 또는 25 내지 35 mg/kg, 예컨대 20, 25, 30, 35, 또는 40 mg/kg+/-5%의 마우스 투여량을 포함하여, 약 1 mg/kg 내지 약 50 mg/kg의 마우스 투여량에 해당하는 펜플루라민과 같은 대상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의 (R)-거울상이성질체의 인간 투여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초과의 대상 화합물이 본 방법 및 용도에 따라 투여되는 실시형태에서, 상기 투여량은 투여되는 화합물의 조합된 총 투여량을 나타낼 수 있거나, 상기 투여량은 투여되는 각각의 화합물의 개별 투여량을 나타낼 수 있다.
5.4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투여
본 개시내용은 또한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을 나타내는 (R)-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는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 환자에 투여될 때 뇌전증 또는 또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바와 같음)하기 위한 유효량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 중에 개별적으로 또는 이와 조합하여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i)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ii)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및
(iii)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중 1, 2 도는 3개 모두의 치료학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고;
(R)-펜플루라민은 (S)-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고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R)-노르펜플루라민은 (S)-노르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고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R)-벤플루오렉스는 (S)-벤플루오렉스가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예를 들어, 80% 초과의 ee)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 예컨대 80%, 90%, 95%, 97%, 98%, 99%, 또는 99.5% 초과의 ee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30 mg가 아닌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양을 포함하며, 즉, 30 mg 미만 또는 초과, 예컨대 31, 32, 35, 40, 45, 또는 50 mg 초과 또는 29, 27, 또는 25 mg 미만의 양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31, 32, 35, 40, 45, 또는 50 mg 내지 100, 150, 200, 250, 300, 350, 또는 400 mg, 예컨대 31 mg 내지 150 mg, 32 mg 내지 150 mg, 35 mg 내지 150 mg, 40 mg 내지 150 mg, 50 mg 내지 150 mg, 31 mg 내지 200 mg, 32 mg 내지 200 mg, 35 mg 내지 200 mg, 40 mg 내지 200 mg, 50 mg 내지 200 mg, 31 mg 내지 300 mg, 32 mg 내지 300 mg, 35 mg 내지 300 mg, 40 mg 내지 300 mg, 50 mg 내지 300 mg, 31 mg 내지 400 mg, 32 mg 내지 400 mg, 35 mg 내지 400 mg, 40 mg 내지 400 mg, 또는 50 mg 내지 400 mg의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1, 2, 3, 5, 7, 또는 10 mg 내지 25, 27, 또는 29 mg, 예컨대 5 mg 내지 25 mg, 5 mg 내지 27 mg, 5 mg 내지 29 mg, 10 mg 내지 25 mg, 10 mg 내지 27 mg, 또는 10 mg 내지 29 mg의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양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은 5, 10, 15, 또는 20 mg 내지 100, 150, 200, 250, 300, 350, 또는 400 mg, 예컨대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5, 80, 100, 125, 150, 175, 200, 225, 250, 300, 350, 또는 400 mg의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 예컨대 80%, 90%, 95%, 97%, 98%, 99%, 또는 99.5% 초과의 ee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30 mg이 아닌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양을 포함하고, 즉, 30 mg 미만 또는 초과, 예컨대 31, 32, 35, 40, 45, 또는 50 mg 초과 또는 29, 27, 또는 25 mg 미만의 양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31, 32, 35, 40, 45, 또는 50 mg 내지 100, 150, 200, 250, 300, 350, 또는 400 mg, 예컨대 31 mg 내지 150 mg, 32 mg 내지 150 mg, 35 mg 내지 150 mg, 40 mg 내지 150 mg, 50 mg 내지 150 mg, 31 mg 내지 200 mg, 32 mg 내지 200 mg, 35 mg 내지 200 mg, 40 mg 내지 200 mg, 50 mg 내지 200 mg, 31 mg 내지 300 mg, 32 mg 내지 300 mg, 35 mg 내지 300 mg, 40 mg 내지 300 mg, 50 mg 내지 300 mg, 31 mg 내지 400 mg, 32 mg 내지 400 mg, 35 mg 내지 400 mg, 40 mg 내지 400 mg, 또는 50 mg 내지 400 mg의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1, 2, 3, 5, 7, 또는 10 mg 내지 25, 27, 또는 29 mg, 예컨대 5 mg 내지 25 mg, 5 mg 내지 27 mg, 5 mg 내지 29 mg, 10 mg 내지 25 mg, 10 mg 내지 27 mg, 또는 10 mg 내지 29 mg의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양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은 5, 10, 15, 또는 20 mg 내지 100, 150, 200, 250, 300, 350, 또는 400 mg, 예컨대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5, 80, 100, 125, 150, 175, 200, 225, 250, 300, 350, 또는 400 mg의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 예컨대 80%, 90%, 95%, 97%, 98%, 99%, 또는 99.5% 초과의 ee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30 mg이 아닌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의 양을 포함하고, 즉, 30 mg 미만 또는 초과, 예컨대 31, 32, 35, 40, 45, 또는 50 mg 초과 또는 29, 27, 또는 25 mg 미만의 양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31, 32, 35, 40, 45, 또는 50 mg 내지 100, 150, 200, 250, 300, 350, 또는 400 mg, 예컨대 31 mg 내지 150 mg, 32 mg 내지 150 mg, 35 mg 내지 150 mg, 40 mg 내지 150 mg, 50 mg 내지 150 mg, 31 mg 내지 200 mg, 32 mg 내지 200 mg, 35 mg 내지 200 mg, 40 mg 내지 200 mg, 50 mg 내지 200 mg, 31 mg 내지 300 mg, 32 mg 내지 300 mg, 35 mg 내지 300 mg, 40 mg 내지 300 mg, 50 mg 내지 300 mg, 31 mg 내지 400 mg, 32 mg 내지 400 mg, 35 mg 내지 400 mg, 40 mg 내지 400 mg, 또는 50 mg 내지 400 mg의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의 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1, 2, 3, 5, 7, 또는 10 mg 내지 25, 27, 또는 29 mg, 예컨대 5 mg 내지 25 mg, 5 mg 내지 27 mg, 5 mg 내지 29 mg, 10 mg 내지 25 mg, 10 mg 내지 27 mg, 또는 10 mg 내지 29 mg의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의 양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은 5, 10, 15, 또는 20 mg 내지 100, 150, 200, 250, 300, 350, 또는 400 mg, 예컨대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5, 80, 100, 125, 150, 175, 200, 225, 250, 300, 350, 또는 400 mg의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의 양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을 제공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컨대 80%, 90%, 95%, 97%, 98%, 99%, 또는 99.5% 초과의 ee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치료 유효량의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순수한 형태 또는 적절한 약제학적 조성물 중의 본 개시내용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의 투여는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의 허용되는 임의의 투여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대상 화합물을 적절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연고, 용액, 좌제, 주사제, 흡입제, 겔, 마이크로스피어 및 에어로졸과 같은 고체, 반고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제조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통상적인 투여 경로는 제한없이 경구, 국소, 경피, 흡입, 비경구, 설하, 직장, 질 및 비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비경구는 피하 주사, 정맥내, 근육내, 흉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안에 포함된 활성 구성성분이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할 때 생체 이용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다. 대상체 또는 환자,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투여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투여 단위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정제는 단일 투여 단위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에어로졸 형태의 화합물의 용기는 복수의 투여 단위를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형태를 제조하는 실제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명백할 것이며; 예를 들어, 문헌[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ition (Philadelphia College of Pharmacy and Science, 2000)]을 참조한다. 투여될 조성물은 어떠한 경우에도,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 대상 질병 또는 병태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음) 치료학적 유효량의 대상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유용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임의의 적합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며, 이는 조성물이 제공되는 개체에게 유해한 항체의 생성을 자체적으로 유도하지 않고 과도한 독성 없이 투여될 수 있는 임의의 약제학적 제제를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에는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물, 식염수, 글리세롤 및 에탄올 등과 같은 액체가 포함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및 기타 부형제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 Co., N.J., current edition)]에 제시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담체 (들)는 미립자이고, 따라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정제 또는 분말 형태이다. 담체 (들)는 액체일 수 있으며, 조성물은 예를 들어 경구 시럽, 주사 가능한 액체 또는 에어로졸이며, 이는 예를 들어 흡입 투여에 유용하다.
경구 투여용으로 의도된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이고, 반고체, 반액체, 현탁액 및 겔 형태는 본 명세서에서 고체 또는 액체로 고려되는 형태 내에 포함된다.
경구 투여용 고체 조성물로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분말, 과립, 압축 정제, 알약, 캡슐, 츄잉 검 (chewing gum), 웨이퍼 (wafer)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또는 식용 담체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다음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트라가칸트 검 (gum tragacanth)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전분, 락토스 또는 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프리모겔 (Primogel), 옥수수 전분 등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또는 스테로텍스 (Sterotex)와 같은 윤활제;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와 같은 활택제; 수크로스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 페퍼민트, 살리실산메틸 또는 오렌지 향료와 같은 착향제; 및 착색제.
약제학적 조성물이 캡슐, 예를 들어 젤라틴 캡슐의 형태인 경우, 이는 상기 유형의 물질 이외에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오일과 같은 액체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액체, 예를 들어 엘릭시르 (elixir), 시럽, 용액, 에멀젼 또는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액체는 2개의 예로서 경구 투여용 또는 주사 전달용일 수 있다. 경구 투여용으로 의도되는 경우, 바람직한 조성물은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이외에 감미제, 보존제, 염료/착색제 및 향미 증강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주사 투여용으로 의도되는 조성물에는 계면활성제, 보존제, 습윤제, 분산제, 현탁제, 완충제, 안정화제 및 등장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액체 약제학적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또는 기타 유사한 형태이든지에 상관없이 다음 애주번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용수, 식염수 용액, 바람직하게는 생리 식염수, 링거 용액, 등장성 염화나트륨과 같은 멸균 희석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 작용할 수 있는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기타 용매와 같은 고정 오일; 벤질 알코올 또는 메틸 파라벤과 같은 항균제; 아스코르브산 또는 중아황산나트륨과 같은 항산화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과 같은 킬레이트제;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또는 포스페이트와 같은 완충제 및 염화나트륨 또는 덱스트로스와 같은 긴장성 조절용 제제. 비경구 제조물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앰플, 일회용 주사기 또는 다회 투여량 바이알에 밀봉될 수 있다. 생리 식염수가 바람직한 애주번트이다. 주사 가능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멸균된 것이다.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용으로 의도된 본 개시내용의 액체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절한 투여량이 획득되도록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의 양을 포함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의 이 양은 조성물 중 적어도 0.01 중량%이다. 경구 투여용으로 의도되는 경우, 이 양은 조성물 중 0.1 내지 약 70 중량%로 다양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경구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 4% 내지 약 50%의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예컨대 약 5%, 7%, 10%, 또는 15% 내지 약 20%, 25%, 30%, 35%, 40%, 또는 45%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바람직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제조물은 비경구 투여 단위가 희석 전에 0.01 내지 10 중량%, 예컨대 희석 전에 0.01 중량% 내지 4 중량%, 5 중량%, 6 중량%, 7 중량%, 8 중량%, 또는 9 중량% 또는 희석 전에 0.01 중량%, 0.2 중량%, 0.5 중량%, 0.8 중량%, 1 중량%, 1.5 중량%, 2 중량%, 3 중량%, 4 중량% 또는 5 중량% 내지 10 중량%의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도록 제조된다.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국소 투여용으로 의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담체는 용액, 에멀젼, 연고 또는 겔 베이스를 적합하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셀린, 라놀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밀랍, 미네랄 오일, 물 및 알코올과 같은 희석제, 유화제 및 안정화제. 증점제는 국소 투여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경피 투여용으로 의도되는 경우, 조성물은 경피 패치 또는 이온 삼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국소 제형은 희석 전에 약 0.1 내지 약 10% w/v (단위 부피당 중량), 예컨대 0.01 중량% 내지 4 중량%, 5 중량%, 6 중량%, 7 중량%, 8 중량%, 또는 9 중량% 또는 희석 전에 0.01 중량%, 0.2 중량%, 0.5 중량%, 0.8 중량%, 1 중량%, 1.5 중량%, 2 중량%, 3 중량%, 4 중량% 또는 5 중량% 내지 10 중량%의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의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직장에서 녹아 약물을 방출하는 좌제의 형태로 직장 투여용으로 의도될 수 있다. 직장 투여용 조성물은 적절한 비자극성 부형제로서 유지성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는 제한없이 라놀린, 코코아 버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근육내 또는 척추강내 투여를 위한 통상적인 제형은 오일 중 활성제의 현탁액 또는 용액, 또는 오일 중, 예를 들어 땅콩유 또는 참깨유 중 활성 구성성분의 용액으로 구성될 것이다. 정맥내 또는 척추강내 투여를 위한 통상적인 제형은 예를 들어 활성 구성성분 및 덱스트로스 또는 염화나트륨 또는 엑스트로스 및 염화나트륨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멸균 등장성 수용액으로 구성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절차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투여된 후 활성 구성성분, 즉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의 고속, 지속 또는 지연 방출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제어 방출 약물 전달 시스템에는 중합체 코팅된 저장소 또는 약물 중합체 매트릭스 제형을 포함하는 용해 시스템 및 삼투 펌프 시스템이 포함된다. 제어 방출 시스템의 예는 미국 특허제 3,845,770호 및제 4,326,525호 및 문헌[P. J. Kuzma et al., Regional Anesthesia 1997, 22(6): 543-551]에 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 모두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또한 국소, 전신 및 코-뇌 의료 요법을 위한 비강내 약물 전달 시스템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제어된 입자 분산 (CPD)™ 기술, 통상적인 비강 스프레이 병, 흡입기 또는 분무기는 후각 영역 및 부비동을 표적화함으로써 약물의 효과적인 국소 및 전신 전달을 제공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인간 또는 동물 암컷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질내 외피 또는 중심부 약물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피복으로 둘러싸여 있고, 테스토스테론을 적용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와 유사하게 매일 실질적으로 0차 패턴으로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를 방출할 수 있는 중합체 매트릭스의 활성 약제학적 구성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PCT 공개 특허 출원 WO 98/50016 및 미국 특허제 6,416,780호에 기재된 바와 같다.
가장 적합한 투여 경로는 치료되는 병태의 성질 및 중증도에 따라 달라진다. 당업자는 또한 투여 방법 (예를 들어, 경구, 정맥내, 흡입, 피하, 직장 등), 투여 형태, 적합한 약제학적 부형제 및 필요한 대상체에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의 전달과 관련된 기타 문제를 결정하는데 숙련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 투여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변형시키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활성 구성성분 주위에 코팅 외피를 형성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외피를 형성하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불활성이며, 예를 들어 당, 쉘락 (shellac) 및 기타 장용 코팅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 구성성분은 젤라틴 캡슐에 내포될 수 있다.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에 결합하여 화합물의 전달을 지원하는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적합한 제제는 단일클론 또는 다클론 항체, 단백질 또는 리포솜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에어로졸로서 투여될 수 있는 투여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이라는 용어는 콜로이드 특성에서 가압된 팩키징으로 구성된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스템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전달은 액화 또는 압축 기체에 의하거나 활성 구성성분을 분배하는 적절한 펌프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의 에어로졸은 활성 구성성분 (들)을 전달하기 위해 1상, 2상 또는 3상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에어로졸의 전달은 함께 키트를 형성할 수 있는 필요한 용기, 활성화제, 밸브, 하위 용기 등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과도한 실험없이 적절한 에어로졸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 잘 공지된 방법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 투여용으로 의도된 약제학적 조성물은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를 멸균 증류수와 조합하여 용액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균질한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계면활성제가 첨가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수성 전달 시스템에서 화합물의 용해 또는 균질한 현탁을 촉진하기 위해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와 비공유 결합에 의해 상호작용하는 화합물이다.
일반적으로,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1일 투여량은 (70 kg 포유류) 약 0.001 mg/kg (즉, 0.07 mg) 내지 약 100 mg/kg (즉, 7.0 g)이고; 바람직하게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1일 투여량은 (70 kg 포유류) 약 0.01 mg/kg (즉, 0.70 mg) 내지 약 50 mg/kg (즉, 3.5 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1일 투여량은 (70 kg 포유류) 약 1 mg/kg (즉, 70 mg) 내지 약 25 mg/kg (즉, 1.75 g)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1일 투여량은 (70 kg 포유류), 약 0.5 mg/kg 내지 약 2.5 mg/kg, 예컨대 0.75 mg/kg 내지 약 2.25 mg/kg, 1 mg/kg 내지 약 2 mg/kg, 또는 약 1 mg/kg 또는 약 2 mg/kg이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유효 투여량 범위는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바람직한 투여량 범위를 나타낸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투여량은 관련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고 결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별 대상체에 대해 조정될 것이다 (예를 들어, 문헌[Berkow et al., eds., The Merck Manual, 19th edition, Merck and Co., Rahway, N.J., 2011; Brunton et al., ed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2th edition, McGraw-Hill 2011; Avery's Drug Treatment: Principles and Practice of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3rd edition, ADIS Press, LTD., Williams and Wilkins, Baltimore, MD. (1987), Ebadi, Pharmacology, Little, Brown and Co., Boston, (1985); Osolci al., eds.,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current edition,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Katzung,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Appleton and Lange, Norwalk, CT (1992)] 참조).
각 치료에 필요한 총 투여량은 적절한 경우 하루 동안 다회 투여량 또는 단일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화합물의 최적 투여량보다 적은 투여량으로 개시된다. 그 후, 상황에서 최적의 효과에 도달할 때까지 투여량을 조금씩 증가시킨다. 본 약제학적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병리 또는 병리의 다른 증상에 대한 다른 진단 및/또는 약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2시간 내지 1년의 기간 동안 4 내지 72시간 간격으로 투여되는 약 0.1 μg 내지 약 100 mg/kg 체중 및/또는 그 안의 임의의 범위 또는 값, 예컨대, 1 내지 14, 14 내지 28, 또는 30 내지 44일, 또는 1 내지 24주 동안 1 내지 4, 4 내지 10, 10 내지 16, 16 내지 24, 24 내지 36, 24 내지 36, 36 내지 48, 48 내지 72시간 간격의 0.0001 내지 0.001, 0.001 내지 0.01, 0.01 내지 0.1, 0.1 내지 1.0,1.0 내지 10, 5 내지 10, 10 내지 20, 20 내지 50 및 50 내지 100 mg/kg 및/또는 그 안의 임의의 범위 또는 값이다.
본 개시내용의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수용체는 영장류목 (인간, 유인원 및 원숭이 포함), 우제류(Arteriodactyla) (말, 염소, 소, 양, 돼지 포함), 설치류(Rodentia) (마우스, 랫트 및 햄스터 포함), 토끼목(Lagamorpha) (토끼 포함) 및 식육목(Carnivora) (고양이 및 개 포함)의 포유류를 포함하는 임의의 포유류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수용체는 인간이다.
5.5 조합 요법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는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에서 뇌전증 또는 또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음)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유용하게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치료제와 조합하여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 TAAR1 작용제, 예를 들어 펜터민 (비 제한적인 이론에 따라,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5HT2C 및/또는 5HT2A 수용체에 대한 (R)-노르펜플루라민 효과에 대한 보완 또는 보충물로서 노르에피네프린 방출을 증가시킬 수 있음);
· 아편계 진통제, 예를 들어, 모르핀 (morphine), 헤로인 (heroin), 코카인 (cocaine), 옥시모르폰 (oxymorphone), 레보르파놀 (levorphanol), 레발로판 (levallorphan), 옥시코돈 (oxycodone), 코데인 (codeine), 디하이드로코데인 (dihydrocodeine), 프로폭시펜 (propoxyphene), 날메펜 (nalmefene), 펜타닐 (fentanyl), 하이드로코돈 (hydrocodone), 하이드로모르폰 (hydromorphone), 메리피딘 (meripidine), 메타돈 (methadone), 날로르핀 (nalorphine), 날록손 (naloxone), 날트렉손 (naltrexone), 부프레노르핀 (buprenorphine), 부토르파놀 (butorphanol), 날부핀 (nalbuphine) 및 펜타조신 (pentazocine);
·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살리실산염 (예를 들어, 아스피린 (aspirin))과 같은 비아편계 진통제;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 예를 들어, 이부프로펜 (ibuprofen), 나프록센 (naproxen), 페노프로펜 (fenoprofen), 케토프로펜 (ketoprofen), 셀레콕시브 (celecoxib), 디클로페낙 (diclofenac), 디플루시날 (diflusinal), 에토돌락 (etodolac), 펜부펜 (fenbufen), 페노프로펜 (fenoprofen), 플루페니살 (flufenisal), 플루비프로펜 (flurbiprofen), 이부프로펜 (ibuprofen), 인도메타신 (indomethacin), 케토프로펜 (ketoprofen), 케토로락 (ketorolac), 메클로페남산 (meclofenamic acid), 메페남산 (mefenamic acid), 멜록시캄 (meloxicam), 나부메톤 (nabumetone), 나프록센 (naproxen), 니메술리드 (nimesulide), 니트로플루비프로펜 (nitroflurbiprofen), 올살라진 (olsalazine), 옥사프로진 (oxaprozin), 페닐부타존 (phenylbutazone), 피록시캄 (piroxicam), 설파살라진 (sulfasalazine), 설린닥 (sulindac), 톨메틴 (tolmetin) 및 조메피락 (zomepirac);
· 항경련제, 예를 들어 카바마제핀 (carbamazepine), 옥스카바제핀 (oxcarbazepine), 라모트리진 (lamotrigine), 발프로에이트 (valproate), 토피라메이트 (topiramate), 가바펜틴 (gabapentin) 및 프레가발린 (pregabalin);
· 항우울제, 예컨대 삼환계 항우울제, 예를 들어, 아미트립틸린 (amitriptyline), 클로미프라민 (clomipramine), 데스프라민 (despramine), 이미프라민 (imipramine) 및 노르트립틸린 (nortriptyline),
· COX-2 선택적 억제제, 예를 들어 셀레콕십 (celecoxib), 로페콕십 (rofecoxib), 파레콕십 (parecoxib), 발데콕십 (valdecoxib), 데라콕십 (deracoxib), 에토리콕십 (etoricoxib) 및 루미라콕십 (lumiracoxib);
· 알파-아드레날린제, 예를 들어 독사조신 (doxazosin), 탐술로신 (tamsulosin), 클로니딘 (clonidine), 구안파신 (guanfacine), 덱스메타토미딘 (dexmetatomidine), 모다피닐 (modafinil) 및 4-아미노-6,7-디메톡시-2-(5-메탄술포나미도-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2-일)-5-(2-피리딜)퀴나졸린;
· 바르비투르산염 진정제, 예를 들어, 아모바르비탈 (amobarbital), 아프로바르비탈 (aprobarbital), 부타바르비탈 (butabarbital), 부타비탈 (butabital), 메포바르비탈 (mephobarbital), 메트하비탈 (metharbital), 메토엑스탈 (methohexital), 펜토바르비탈 (pentobarbital), 페노바비탈 (phenobartital), 세코바르비탈 (secobarbital), 탈부탈 (talbutal), 테아밀랄 (theamylal) 및 티오펜탈 (thiopental);
· 타키키닌 (tachykinin) (NK) 길항제, 특히 NK-3, NK-2 또는 NK-1 길항제, 예를 들어, (αR, 9R) 7-[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8,9,10,11-테트라하이드로-9-메틸-5-(4-메틸페닐)-7H-[1,4]디아조시노[2,1-g] [1,7]-나프티리딘-6-13-디온 (TAK-637), 5-[[2R,3S)-2-[(1R)-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톡시-3-(4-플루오로페닐)-4-모르폴리닐]-메틸]-1,2-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온 (MK-869), 아프레피탄트 (aprepitant), 라네피탄트 (lanepitant), 다피탄트 (dapitant) 또는 3-[[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메틸아미노]-2-페닐피페리딘 (2S, 3S);
· 콜타르 (coaltar) 진통제, 예를 들어,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예를 들어 파록세틴 (paroxetine), 세트랄린 (sertraline), 노르플루옥세틴 (플루옥세틴 데스메틸 대사산물) (norfluoxetine (fluoxetine desmethyl metabolite)), 대사산물 데메틸세트랄린, '3 플루복사민, 파록세틴 (paroxetine), 시탈로프람 (citalopram), 시탈로프람 대사산물 데스메틸시탈로프람, 에스시탈로프람 (escitalopram), d,l-펜플루라민, 페목세틴 (femoxetine), 이폭세틴 (ifoxetine), 시아노도티에핀 (cyanodothiepin), 리톡세틴 (litoxetine), 다폭세틴 (dapoxetine), 네파조돈 (nefazodone), 세리클라민 (cericlamine), 트라조돈 (trazodone) 및 플루옥세틴 (fluoxetine);
· 노르아드레날린 (noradrenaline) (노레피네프린 (norepinephrine)) 재흡수 억제제, 예를 들어, 마프로틸린 (maprotiline), 로페프라민 (lofepramine), 미르타제핀 (mirtazepine), 옥사프로틸린 (oxaprotiline), 페졸아민 (fezolamine), 토목세틴 (tomoxetine), 미안세틴 (mianserin), 부프로프리온 (buproprion), 부프로프리온 대사산물 하이드록시부프로프리온, 노미펜신 (nomifensine) 및 빌록사진 (viloxazine) (비발란 (Vivalan)®), 특히 선택적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예컨대 레복세틴, 특히 (S,S)-레복세틴 및 벤라팍신 둘록세틴 신경 이완제 진정제/불안제;
· 벤라팍신 (venlafaxine), 벤라팍신 대사산물 O-데스메틸벤라팍신, 클로미프라민 (clomipramine), 클로미프라민 대사산물 데스메틸클로미프라민, 둘록세틴 (duloxetine), 밀나시프란 (milnacipran) 및 이미프라민 (imipramine)과 같은 이중 세로토닌-노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 도네페질 (donepezil)과 같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 온단세트론 (ondansetron)과 같은 5-HT3 길항제;
· mGluR에서 글루타메이트의 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mGluR) 길항제 또는 작용제 또는 알로스테릭 강화제;
· 멕실레틴 (mexiletine) 및 리도카인 (lidocaine)과 같은 국소 마취제;
· 덱사메타손(dexamethasone)과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 항부정맥제(예를 들어, 멕실레틴(mexiletine) 및 페니토인 (phenytoin));
· 무스카린 (muscarinic) 길항제, 예를 들어 톨테로딘 (tolterodine), 프로피베린 (propiverine), 트로프슘 t 클로라이드 (tropsium t chloride), 다리페나신 (darifenacin), 솔리페나신 (solifenacin), 테미베린 (temiverine) 및 이프라트로피움 (ipratropium);
· 무스카린 수용체에서 아세틸콜린의 무스카린 작용제 또는 알로스테릭 강화제
· 칸나비노이드 (cannabinoid) 수용체에서 엔돌핀의 칸나비노이드 또는 알로스테릭 강화제;
· 바닐로이드 (vanilloid) 수용체 작용제 (예를 들어, 레진페라톡신 (resinferatoxin)) 또는 길항제 (예를 들어, 캡사제핀 (capsazepine));
· 진정제, 예를 들어, 글루테티미드 (glutethimide), 메프로바메이트 (meprobamate), 메타쿠알론 (methaqualone) 및 디클로랄페나존 (dichloralphenazone);
· 벤조디아제핀 (benzodiazepines)과 같은 불안완화제,
· 미르타자핀 (mirtazapine)과 같은 항우울제,
· 국소 제제 (예를 들어, 리도카인 (lidocaine), 캡사이신 (capsaicin) 및 레지니페로톡신 (resiniferotoxin));
· 벤조디아제핀, 바클로펜 (baclofen), 카리소프로돌 (carisoprodol), 클로르족사존 (chlorzoxazone), 사이클로벤자프린 (cyclobenzaprine), 메토카르바몰 (methocarbamol) 및 오르프레나딘 (orphrenadine)과 같은 근육 이완제;
· 항히스타민제 또는 H1 길항제;
· NMDA 수용체 길항제;
· 5-HT 수용체 작용제/길항제;
· PDEV 억제제;
· 트라마돌 (Tramadol)®;
· 콜린성 (니코틴성) 진통제;
· 알파-2-델타 리간드;
· 프로스타글란딘 E2 하위유형 길항제;
· 류코트리엔 B4 길항제; 및
· 5-리폭시게나제 억제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조합"은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와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의 임의의 혼합물 또는 치환물을 지칭한다. 문맥상 달리 명백히 나타내지 않는 한, "조합"은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를 대상 화합물의 또 다른 (R)-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치료제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문맥상 달리 명백히 나타내지 않는 한, "조합"은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와 다른 치료제의 투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문맥상 달리 명백히 나타내지 않는 한, "조합"은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와 또 다른 치료제의 투여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문맥상 달리 명백히 나타내지 않는 한, "조합"은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와 또 다른 치료제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투여 형태, 투여 경로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치료 유효량의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를 펜터민과 조합하여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내용은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펜터민과 조합된 대상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르펜플루라민 라세미체)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도에 관한 것이다.
5.6 부품 키트
본 개시내용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키트는 또한 뇌전증 또는 다른 뇌전증 발작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음) 약제학적 조성물의 사용에 대한 지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키트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단위 투여량을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단위 투여량은 정맥내 주사의 제조물에 충분한 양일 수 있다. 광 및/또는 공기에 감응성인 이러한 조성물은 특별한 팩키징 및/또는 제형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빛에 불투명하고/거나 주변 공기와의 접촉으로부터 밀봉되고/거나 적절한 코팅 또는 부형제로 제형화된 팩키징이 사용될 수 있다.
5.7 본 발명의 (R)-거울상이성질체의 제조
A. (R)-펜플루라민 및 (S)-펜플루라민의 제조.
(R)-펜플루라민 및 (S)-펜플루라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키랄 합성 단위(synthon) 또는 키랄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거나, 키랄 컬럼을 사용하는 HPLC와 같은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펜플루라민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R)-거울상이성질체 및 (S)-거울상이성질체로의 결정화에 의한 펜플루라민의 광학적 분해는 예를 들어, 문헌[Coquerel et al., Chemistry Letters (1988), pp. 1081-1084]에 개시되어 있다.
B. (R)-노르펜플루라민 및 (S)-노르펜플루라민의 제조.
(R)-노르펜플루라민 및 (S)-노르펜플루라민은 키랄 컬럼을 사용하는 HPLC와 같은 통상적 기술을 사용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키랄 합성 단위 또는 키랄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거나, 노르펜플루라민 (예를 들어, Toronto Research Chemicals, North York, Ontario, Canada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R)-노르펜플루라민 및 (S)-노르펜플루라민은 또한 하기 반응식 1 및 2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다음 약어가 사용된다:
레이니 Ni (Raney Ni)는 레이니 니켈을 지칭하고;
atm은 대기를 지칭하고;
AcOH는 아세트산을 지칭하고;
MeOH는 메탄올을 지칭하고;
h는 시간을 지칭하고;
Pd/C는 탄소 상의 팔라듐을 지칭하고;
rt는 실내 온도를 지칭한다.
반응식 1은 (R)-노르펜플루라민의 제조를 보여준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8
화합물 101 및 102는 시판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노르펜플루라민은 먼저 표준 환원 아민화 조건 하에서 화합물 101을 화합물 102로 처리하여 화합물 103을 형성하고, 이어서 표준 촉매 수소화 조건 하에서 처리하여 (R)-노르펜플루라민을 형성함으로써 반응식 1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S)-노르펜플루라민은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되며, 화합물 101 및 201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9
C. (R)-벤플루오렉스 및 (S)-벤플루오렉스의 제조.
(R)-벤플루오렉스 및 (S)-벤플루오렉스는 EP 1321445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R)-노르펜플루라민 및 (S)-노르펜플루라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방법론은 (R)-노르펜플루라민 및 (S)-노르펜플루라민과 에틸렌 옥사이드를 반응시켜 해당 아미노 알코올을 형성한 다음 알코올 모이어티를 벤조일 클로라이드로 아실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8 일련의 실시형태
실시형태 1.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다음 중 1, 2 또는 3개 모두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i)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ii)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및
(iii)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R)-펜플루라민은 (S)-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고, (R)-노르펜플루라민은 (S)-노르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고, (R)-벤플루오렉스는 (S)-벤플루오렉스가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방법.
실시형태 2.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포유류에게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그리고 임의의 순서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a) 다음 중 1, 2 또는 3개 모두의 치료학적 유효량:
(i)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ii)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및
(iii)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및
(b) 치료학적 유효량의 펜터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
(R)-펜플루라민은 (S)-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고, (R)-노르펜플루라민은 (S)-노르펜플루라민이 실질적으로 부재하고, (R)-벤플루오렉스에는 (S)-벤플루오렉스가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방법.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뇌전증 발작 장애는 드라베 증후군인 방법.
실시형태 4.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뇌전증 발작 장애는 광과민성 뇌전증, 자기 유도 실신, 난치성 뇌전증, 엔젤만 증후군, 양성 롤랜딕 뇌전증, CDKL5 장애, 소아 및 청소년 결신 뇌전증, 드라베 증후군, 전두엽 뇌전증, Glut1 결핍 증후군, 시상하부 과오종, 영아 연축/웨스트 증후군, 청소년 근간대성 뇌전증, 란다우-클레프너 증후군,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LGS), 근간대성 결신 뇌전증, 오타하라 증후군, 파나이이오토풀로스 증후군, PCDH19 뇌전증,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라스무센 증후군, 고리 염색체 20 증후군, 반사 뇌전증, 측두엽 뇌전증, 라포라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신경피부 증후군, 결절성 경화증 복합질병, 조기 영아 뇌전증 뇌증, 조기 발병 뇌전증 뇌증, 열성 발작을 동반한 전신 뇌전증 (GEFS+), 레트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자폐증, 운동실조, 저긴장성 및 발작성 이상운동, 초점 발병 발작, 전신 발병 발작, 결신 발작, 제아본 증후군, 뇌전증 뇌증, 해바라기 증후군, 취약-X 증후군 (fragile-X syndrome), 교대성 편마비 (alternating hemiplegia), 상염색체 우성 야행성 전두엽 뇌전증 (ADNFLE), 양성 롤랜딕 뇌전증, 두즈 증후군, 조기 근간대성 뇌증, 이동 초점 발작을 동반한 영아 뇌전증, 전신 긴장성-간대성 발작을 동반한 뇌전증, 근간대성 결신 뇌전증, 수면 중 지속적 스파이크 및 파동을 동반한 뇌전증 뇌증, 청소년 결신 발작,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SCN8A 관련 뇌전증, SCN2A 관련 뇌전증, KCNQ2 관련 뇌전증, 및 TBC1 도메인 포함 키나제 (TBCK) 관련 지적 장애 (ID) 증후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실시형태 5.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R,S)-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형태 6. 뇌전증 발작 장애를 갖거나 가질 위험이 있는 포유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포유류에게
(a)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R,S)-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의 치료학적 유효량; 및
(b) 펜터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전구약물의 치료학적 유효량
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그리고 임의의 순서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형태 7. 실시형태 5 또는 실시형태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뇌전증 발작 장애는 드라베 증후군인 방법.
실시형태 8. 실시형태 5 또는 실시형태 6에 있어서, 뇌전증 발작 장애는 광과민성 뇌전증, 자기 유도 실신, 난치성 뇌전증, 엔젤만 증후군, 양성 롤랜딕 뇌전증, CDKL5 장애, 소아 및 청소년 결신 뇌전증, 드라베 증후군, 전두엽 뇌전증, Glut1 결핍 증후군, 시상하부 과오종, 영아 연축/웨스트 증후군, 청소년 근간대성 뇌전증, 란다우-클레프너 증후군,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LGS), 근간대성 결신 뇌전증, 오타하라 증후군, 파나이이오토풀로스 증후군, PCDH19 뇌전증,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라스무센 증후군, 고리 염색체 20 증후군, 반사 뇌전증, 측두엽 뇌전증, 라포라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신경피부 증후군, 결절성 경화증 복합질병, 조기 영아 뇌전증 뇌증, 조기 발병 뇌전증 뇌증, 열성 발작을 동반한 전신 뇌전증 (GEFS+), 레트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자폐증, 운동실조, 저긴장, 발작성 이상운동, 초점 발병 발작, 전신 발병 발작, 결신 발작, 제아본 증후군, 뇌전증 뇌증, 해바라기 증후군, 취약-X 증후군, 교대성 편마비, 상염색체 우성 야행성 전두엽 뇌전증 (ADNFLE), 양성 롤랜딕 뇌전증, 두즈 증후군, 조기 근간대성 뇌증, 이동 초점 발작을 동반한 영아 뇌전증, 전신 긴장성-간대성 발작을 동반한 뇌전증, 근간대성 결신 뇌전증, 수면 중 지속적 스파이크 및 파동을 동반한 뇌전증 뇌증, 청소년 결신 발작, 진행성 근간대성 뇌전증, SCN8A 관련 뇌전증, SCN2A 관련 뇌전증, KCNQ2 관련 뇌전증, 및 TBC1 도메인 포함 키나제 (TBCK) 관련 지적 장애 (ID) 증후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대상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의 합성에 관한 하기 실시예; 및 다음 생물학적 실시예는 본 방법의 실행 및 대상 화합물의 사용을 지원하기 위한 지침으로서 제공되며 청구된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6. 실시예
6.1 합성 실시예 1
(R)-노르펜플루라민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10
A. 메탄올 (60 mL) 중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온 (10.0 g, 49.5 mmol)의 혼합물에 (R)-1-페닐에탄-1-아민 (6.00 g, 49.5 mmol), 레이니 니켈 (물 중 50% w/w 슬러리 800 mg) 및 빙초산 (1.49 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수소 기체로 5분 동안 퍼징 (purging)하고 75℃로 가열하고 수소 대기 (8 atm) 하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규조토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농축 염산 (5 mL)을 첨가하여 여과액의 pH를 약 pH 1로 조정하였다. 물 (3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5℃로 냉각시키고 이 온도에서 20분 동안 방치하였으며, 그 동안 무색 침전물이 침착되었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메탄올과 물의 혼합물 (1:1 v/v, 200 mL)로 세척하여 (R)-N-((R)-1-페닐에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 (7.65 g, 22.2 mmol, 45%)을 해당 염산염으로 제공하였다. 여과액을 진공 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3 x 30 mL)로 세척하여 추가 양의 (R)-N-((R)-1-페닐에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 (4.52 g, 13.1 mmol, 26%)을 해당 염산염으로 제공하였다. 총 수율은 71%였다.
B. 메탄올 (25 mL) 중 (R)-N-((R)-1-페닐에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3 g, 6.50 mmol)의 용액을 건조 질소로 10분 동안 퍼징하였다. 탄소 상의 팔라듐 (0.44 g, 10% w/w Pd)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건조 질소로 10분 동안 퍼징하고 이어서 수소로 10분 동안 퍼징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수소 대기 (1 atm, 풍선) 하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고 규조토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 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0.2 M 염산 (20 mL)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헥산 (3 x 20 mL)으로 세척한 다음 수산화나트륨 (약 1 g)을 첨가하여 수성 층의 pH를 약 pH 12로 조정했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20 mL)로 추출하고 조합 유기 추출물을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 (50 mL)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하에 농축 건조하여 (R)-노르펜플루라민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 (1.12 g, 5.52 mmol, 85%)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52-7.39 (m, 4H), 3.22-3.18 (m, 1H), 2.80-2.73 (m, 1H), 2.63-2.56 (m, 1H), 1.13 (d, J = 6.0 Hz, 3H); MS (ES+) 204.2 (M + H); [a]D20-16.0° (c = 1.0, CHCl3).
6.2 합성 실시예 2
(S)-노르펜플루라민 ((S)-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11
A. 메탄올 (60 mL) 중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온 (10.0 g, 49.5 mmol)의 혼합물에 (S)-1-페닐에탄-1-아민 (6.00 g, 49.5 mmol), 레이니 니켈 (물 중 50% w/w 슬러리 800 mg) 및 빙초산 (1.49 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수소 기체로 5분 동안 퍼징하고 75℃로 가열하고 수소 대기 (8 atm) 하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규조토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의 pH를 농축 염산 (5 mL)을 첨가하여 약 pH 1로 조정하였다. 물 (3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5℃로 냉각시키고 이 온도에서 20분 동안 방치하였으며, 그 동안 무색 침전물이 침착되었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메탄올과 물의 혼합물 (1:1 v/v, 200 mL)로 세척하여 (S)-N-((S)-1-페닐에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 (8.01 g, 23.3 mmol, 47%)을 해당 염산염으로 제공하였다. 여과액을 진공 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3 x 30 mL)로 세척하여 추가 양의 (S)-N-((S)-1-페닐에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 (4.78 g, 13.9 mmol, 28%)을 해당 염산염으로 제공하였다. 총 수율은 75%였다.
B. 메탄올 (25 mL) 중 (S)-N-((S)-1-페닐에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3 g, 6.50 mmol)의 용액을 건조 질소로 10분 동안 퍼징하였다. 탄소 상의 팔라듐 (0.44 g, 10% w/w Pd)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건조 질소로 10분 동안 퍼징하고 이어서 수소로 10분 동안 퍼징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수소 대기 (1 atm, 풍선) 하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고 규조토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 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0.2 M 염산 (20 mL)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헥산 (3 x 20 mL)으로 세척한 다음 수산화나트륨 (약 1 g)을 첨가하여 수성 층의 pH를 약 pH 12로 조정했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20 mL)로 추출하고 조합 유기 추출물을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 (50 mL)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하에 농축 건조하여 (S)-노르펜플루라민 ((S)-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판-2-아민) (1.16 g, 5.72 mmol, 88%)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52-7.39 (m, 4H), 3.22-3.18 (m, 1H), 2.80-2.73 (m, 1H), 2.63-2.56 (m, 1H), 1.13 (d, J = 6.0 Hz, 3H); MS (ES+) 204.2 (M + H); [a]D20 +16.0° (c = 1.0, CHCl3).
6.3 생물학적 분석
본 발명의 (R)-거울상이성질체의 활성을 시험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이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생물학적 분석이 기재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6.3.1 생물학적 실시예 1. 드라베 증후군 마우스 모델
뇌전증 뇌증인 드라베 증후군은 뉴런 특이적 전압 개폐 나트륨 채널인 SCN1A를 인코딩하는 유전자의 이형접합 기능 상실 (LOF)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SCN1A를 인코딩하는 유전자의 이형접합 표적화된 결실을 갖는 마우스는 드라베 증후군의 많은 특징을 개괄하고, 이러한 화합물의 단리된 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펜플루라민 및 펜플루라민 관련 화합물을 시험하기 위한 유용한 질병 모델을 제공한다. 이형접합 Scn1a 녹아웃 (Scn1a+/-) 마우스가 또한 발작을 나타내며 드라베 증후군의 모델이다.
예를 들어, 균주 129S6/SvEvTac 및 C57BL/6J 상의 Scn1a+/-F1 마우스는 중증 뇌전증 및 조기 치사율을 나타내고 인간의 드라베 증후군의 포유류 모델로 고려된다. 감소된 나트륨 전류 (INa) 밀도 및 손상된 활동 전위 유발은 F1 Scn1a+/- 마우스의 해마 중간 뉴런에서 형성되어 감소된 활동 전위 의존 억제 GABAergic 신경 전달 및 향상된 신경 흥분성을 초래했다 (문헌[Han et al., 2012 Nature 489:385; Mistry et al., 2014 Neurobiol. Dis. 65:1]). 이 마우스는 문헌[Oakley et al., (2009) Proc. Natl. Acad. Sci. U.S.A. 106(10):3994-3999; Oakley et al., (2013) J. Pharmacol. Exp. Ther. 345(2):215-224)]에 의해 보고된 바와 같이 생후 3주째부터 고열에 의해 유발되는 발작에 감응성이다.
플루로실 (flurothyl) 발작 유도. 5 내지 12주령의 Scn1a+/-F1 마우스를 투명한 Plexigla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챔버에 배치하고, 플루로실 (2,2,2-트리플루로에틸에테르) (Sigma-Aldrich, St. Louis, MO)를 20 ml/min의 속도로 주사기 펌프를 통해 챔버에 천천히 도입하고 휘발되도록 하였다. 제1 MJ (근간대성 움찔거림) 및 GTCS (전신 긴장성 간대성 발작)에 대한 잠복기를 측정하여 발작 역치를 결정한다. 비히클 대조군 또는 비히클 중 투여된 활성 화합물 (예를 들어, 단리된 펜플루라민 거울상이성질체)을 마우스에 투여할 때 발작 역치를 측정할 수 있다. MJ는 첫 번째로 관찰 가능한 거동 반응이며 어깨 및/또는 목의 짧은 움찔거림이 특징이다. GTCS는 전신의 경련과 자세 상실이 특징이다. 상기 마우스를 또한 긴장성 뒷다리 확장으로의 GTCS의 진행에 대해 점수화한다.
KA 발작 유도. 3 내지 4개월령의 Scn1a+/-F1 마우스에 15, 20 또는 30 mg/kg 카인산 KA (Ocean Produce International, Shelburne, Nova Scotia, Canada)를 복강내 (i.p.)로 주사한다. KA를 0.9% (wt/vol) 수성 식염수에 2.5 mg/ml의 농도로 용해시켜 적절한 주입 부피를 획득한다. 모든 마우스에 정오 12시에서 오후 4시 사이에 주사하여 일주기 리듬으로 인한 거동 변화를 최소화한다. KA 주사 후, 마우스를 2시간 동안 관찰하고 변형된 Racine 척도에 따라 점수화한다 (문헌[Racine, R.J. 1972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32(3):281-294]). 이 변형된 척도는 다음 기준을 기반으로 한다. 0 단계 - 반응 없음; 1 단계 - 응시; 2 단계 - 고개를 끄덕임; 3 단계 - 앞다리 간대성 경련; 4 단계 - 들어올리기 및 떨어뜨리기; 5 단계 - GTCS; 6 단계 - 치사. 변형된 Racine 척도 점수를 비히클이 단독으로 투여된 마우스 (대조군)와 활성 펜플루라민 유래 화합물이 투여된 마우스에 대해 비교한다.
온도-유도 발작 분석. Scn1a+/-F1 마우스 새끼에서 고열을 유발하여 발작을 일으킨다. P14 내지 P22 마우스를 바닥에 흡수 종이가 깔린 Plexiglas™ PMMA 챔버에 배치한다. 마우스 몸통 심부 온도를 설치류 온도 제어기에 연결된 직장 온도 프로브로 모니터링하고, 마우스를 37.0℃에서 심부 온도를 유지하면서 PMMA 시험 챔버에 10분 동안 적응시킨다. 그런 다음 발작을 나타내는 거동이 개시될 때까지 또는 몸통 심부 온도가 42.5℃에 도달할 때까지 시험 챔버 위에 배치된 열 램프를 사용하여 심부 온도를 2분마다 0.5℃씩 상승시킨다. 발작이 개시될 때의 심부 온도, 거동 및 시간을 기록한다. 고열의 최대 지속 시간은 22분이다.
실험적 및 임상적 종료점: 발작은 근간대성 움찔거림, 앞발의 간대성 경련, 및/또는 사지의 긴장성 확장으로 규정된다. 발작 잠복기 및 기간을 기록한다. 전경련성 활성을 가진 화합물은 발작 잠복기를 감소시키고, 항경련성 활성을 가진 화합물은 이를 증가시킨다. 고열 노출의 전체 기간은 22분이며 모든 동물을 분석종료시 안락사시킨다.
열 유발 및 EEG. Scn1a+/-F1 마우스 그룹에서 각 동물의 심부 체온을 직장 온도 프로브에 의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열 램프와 연결된 피드백 회로에 의해 제어한다. 발작이 일어나거나 42℃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체온을 2분 간격으로 0.5℃씩 증가시킨다. 제1 발작까지의 잠복기에 의해 발작 역치를 측정하고, 비히클 (대조군) 또는 비히클 중 투여된 활성 화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경우와 비교한다. 그런 다음 동물을 냉각시키고 사육 케이지로 복귀시킨다. 열 유발을 P22에서 수행하고 유발 과정 및 결과 발작을 비디오 모니터링으로 기록한다. 자연 발작 기록 및 분석에서 하기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여 Racine 척도로 발작을 점수화한다.
자연 발작 기록 및 분석. Scn1a+/-F1 마우스를 P19에서 P27까지 지속적으로 비디오 모니터링한다. 결과 비디오 파일은 예를 들어 약 8X 속도로 검토한다. 의심되는 발작 사건을 감소된 속도, 예를 들어, 2X 속도로 검토하고, Racine 점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발작 중증도에 대해 1부터 5까지 점수화한다: 1, 입 및 안면 움직임; 2, 머리 끄덕임; 3, 앞다리 간대성 경련, 보통 1개의 사지; 4, 들어올리기 동반 앞다리 간대성 경련; 및 5, 전신 긴장성 간대성 발작 (GTC), 들어올리기, 간대성 경련 및 떨어뜨리기. 비히클 단독 (대조군)으로 투여된 마우스와 비히클 중 활성 화합물로 투여된 마우스 (시험)에 대해 Racine 점수를 비교한다.
C57BL/6J (B6) 백그라운드에서, Scn1a+/- 눌 이형접합체 (null heterozygote)의 50%는 생후 3주째에 개시하여 자연 발작 및 산발적 치사를 발생시킨다 (문헌[Yu et al., 2006 Nat. Neurosci. 9:1142-1149; Mistry et al., 2014 Neurobiol. Dis. 65:1-11]). P17 내지 P20 이형접합 마우스 (n = 2 내지 4)를 기록 챔버에 배치한다. 사료 및 물을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마우스 거동을 DVR 레코더 또는 컴퓨터에 연결된 아날로그 카메라 (챔버당 1개)를 사용하여 10 내지 14일 동안 하루 24시간 연속으로 기록한다. 마우스를 마지막 기록 후 5시간 이내에 희생시킨다. 비히클 단독 처리된 대조군 마우스를 자연 발작에 대한 후보 AED의 효능을 시험하는 임의의 연구에 포함시킨다. 화합물을 속성에 따라 제조업체의 지침 (Alzet Inc., Cupertino, CA, USA)에 따라 삼투 펌프를 사용하여 매일 또는 만성적으로 투여한다.
비디오 파일의 분석: 실험 그룹 상태 (대조군 대 시험 화합물) 정보가 제시되지 않은 연구자들은 수동으로 또는 발작 검출 소프트웨어 (Ethovision XT, 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Leesburg, VA)를 사용하여 거동 발작을 스캔하여 비디오를 분석한다.
통계적 분석. 모수 데이터 세트의 경우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한다. 이분법 데이터 세트 (GTCS를 나타내는 마우스 수 및 치사율)를 Fisher Exact 시험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도에 대해 분석하고 비모수 데이터 (KA 발작 단계)를 Mann-Whitney Rank Sum 시험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다음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R)-거울상이성질체를 시험하기 위한 다른 생체내 뇌전증 모델을 기재한다.
6.3.2 생물학적 실시예 2. 6 Hz 발작 시험
이 분석은 장기간의 저주파 (6 Hz) 자극에 의해 유발된 정신 운동 발작을 차단하는 시험 화합물의 능력을 시험하고, 치료 내성 부분 발작의 분야 인정 모델을 제공한다 (문헌[Brown et al., 1953 J. Pharmacol. Exp. Therapeut. 107(3):273-283; White HS, Woodhead JH, Wilcox KS, General principles: discovery and preclinical development of antiepileptic drugs, In: Levy RH, Mattson RH, Meldrum BS, Perucca E, editors. Antiepileptic drugs 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 pp. 36-48; Hartman et al., 2008 Epilepsia 49(2):334-339]).
최대 전기 충격 발작 (MES) (문헌[Suzuki et al., 1995 Neuroscience 64(3):665-674; Bouilleret et al., 1999 Neuroscience 89(3):717-729; Riban et al., 2002 Neuroscience 112(1):101-111) 또는 피하 Metrazol (s.c. Met) (Swinyard, E.A., 1969 Epilepsia 10(2):107-119]) 시험에서 불활성인 것으로 밝혀진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R)-거울상이성질체 (예를 들어, "시험 화합물")와 같은 조사 화합물을 각막 전극을 통해 전달되는 저주파 (6 Hz) 장기 (3초) 자극에 의해 유발된 정신 운동 발작을 차단하는 능력에 대해 스크리닝한다. 예를 들어, 레비티라세탐 (levetiracetam)은 1950년대 초에 처음 기재된 6 Hz 모델에서 매우 효과적이고 (ED50: 19 mg/kg, ip 주사 후 30분) (문헌[Toman et al., 1952 Texas Reports on Biology and Medicine 10:96; Swinyward, E.A. Electrically induced convulsions, in Experimental Models of Epilepsy, D.B. Purpura, et al., Editors. 1972, Raven Press: New York. pp. 443-458; Swinyard, E.A., Experimental Models of Epilepsy: A Manual for the Laboratory Worker, in Electrically Induced Convulsions, eds. J.K.P. D.P Purpura, D. Tower, D.M. Woodbry, R. Walter. 1972, New York: Raven Press, pp. 433-438]), 이는 MES 시험에서는 비효과적이다 (문헌[Barton et al., 2001 Epilepsy Res. 47(3):217-227]). 또한, 6 Hz 시험은 많은 AED를 포함하여 공지된 Na+ 채널 차단제에 대한 부분 내성 내지 완전한 내성을 보여주므로 이 시험은 후보 AED에 대한 조기 확인 및 차별화 스크리닝으로 유용하다. 따라서 이 저주파 (6 Hz) 장기 분석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화합물은 요법 내성 부분 발작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방법. 성체 수컷 CF1 마우스 (18 내지 25 g)에 시험 화합물을 20 내지 100 mg/kg의 투여량으로 복강내 (i.p.)로 전처리한다. 시험 화합물을 다양한 투여량에서 i.p. 투여했을 때, 독성 효과에 대한 사전 시험 스크리닝에서 독성이 나타난 경우, 명백한 독성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투여량을 변화시킨다. 각 처리 그룹 (n = 4 내지 16 마우스/그룹)을 시험 화합물로 처리한 후 5개 시점 (1/4, 1/2, 1, 2 및 4시간) 중 하나 이상에서 항경련 효과에 대해 조사한다. 전처리 후, 각 마우스의 각각의 안구에 적용된 0.5% 테트라카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한 방울을 제공한다. 그 후 마우스에 각막 전극을 통해 전달된 3초 동안의 저주파 (6 Hz) 자극으로 유발 실험한다. 저주파 장기 자극을 초기에 32 mA 강도로 전달한다. 동물을 수동으로 억제하고 자극 직후에 풀어주고 발작 활동의 존재 또는 부재를 관찰한다. 시험 화합물이 32 mA 스크리닝에서 효과적인 경우 자극 전류를 44 mA로 증가시켰지만, 그외에 상기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추가 분석을 수행한다. 투여량 반응 연구의 경우 투여량당 8마리의 마우스를 이용하고, 특정 자극 강도에서 피크 효과 시점 (TPE)에 투여량 반응 곡선을 생성한다.
통상적으로, 6 Hz 자극은 최소한의 간대성 단계 후 턱 간대성 경련, 앞다리 간대성 경련, 강모 경련 및/또는 꼬리 경직을 포함하는 정형화된 자동적 거동을 특징으로 하는 발작을 유발한다. 이러한 거동을 보이지 않는 동물은 보호된 것으로 고려된다. 발작 점수는 조사 화합물의 효능에 대한 추가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문헌[Racine, R.J. 1972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32(3):281-294]). 데이터를 Mann-Whitney U 시험으로 분석하고, p <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결정한다. 각 시점에서 획득된 데이터의 경우 결과는 시간에 따라 시험된 동물 수 중 보호된 총 동물 수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2/4는 시험된 4마리의 마우스 중 2마리가 보호된 것을 나타냄).
항경련 효과를 생성하는 시험 화합물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시점에서 적어도 2/4가 보호됨)을 각막 점화 마우스 시험 (문헌[Rowley and White 2010 Epilepsy Res. 92(2-3):163-169]), 해마 점화 랫트 시험 (문헌[Lothman, E.W. 1988 Epilepsy Res. 2 (6):367-379]) 또는 라모트리진 내성 편도체 점화 랫트 시험 (문헌[Srivastava 및 White 2013 Epilepsy Res. 104: 26])을 포함하는 다른 만성 뇌전증 또는 약물 내성 모델에서 임의로 시험한다.
6 Hz 모델에 의해 유발된 통상적인 발작은 초기에 순간적인 기절이 나타난 직후 앞다리 간대성 경련, 강모 경련 및 꼬리 경직이 나타난다 (문헌[Barton et al., 2001]). 이러한 거동은 원래 부분 발작이 있는 인간 환자의 모습과 유사하다고 기재되었기 때문에 해석 관련성을 제공한다 (문헌[Toman et al., 1952 Texas Reports on Biology and Medicine 10:96; Roman, J.E.P., 1951 Neurology 1:444]). 6 Hz 발작은 발작 역치를 증가시키는 벤조디아제핀, 숙신아미드, 바르비투레이트, 발프로산 및 기타 AED에 감응성이다 (문헌[Barton et al., 2001]).
6.3.3 생물학적 실시예 3. 해마 점화 랫트 모델
이 모델은 초점 발작의 해마 점화 랫트 모델에서 거동 발작을 차단하고/거나 후방전 기간 (ADD)을 감소시키는 시험 화합물의 능력을 시험한다. 점화 모델은 복합적 부분 발작을 치료하기 위한 시험 물질의 가능한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보다 통상적인 항경련 시험에 유용한 보조물이었다. 해마 점화 랫트는 이차적으로 전신에서 이루어지는 초점 발작의 실험 모델, 예를 들어 Lothman 및 동료들 (문헌[Lothman, E.W. 1988])에 의해 기재된 해마 점화 모델을 제공한다.
방법. 동물을 먼저 점화 획득을 위해 외과적으로 준비한다. 성체 수컷 Sprague-Dawley 랫트 (275 내지 300 g)에 양극성 전극을 외과적으로 이식한다 (문헌[Lothman, E.W. 1988]). 간단히 말해서, 양극성 전극은 케타민 (ketamine)-자일라진 (xylazine) 마취 하에 복측 해마 (AP-3.6, ML-4.9, VD-5.0, 경막 전치 막대 +5.0)에 정위 이식(stereotaxically implant)한다. 점화 요법을 개시하기 전에 일주일 동안 동물을 회복시킨다. 고속 해마 점화 패러다임은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총 5일의 자극 일 동안 격일로 반복되는 자극 요법을 적용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문헌[Lothman and Williamson 1994 Brain Res. 649 (1-2):71-84]). 자극 요법 동안, 50 Hz, 1 ms 2상 200 μA 펄스의 10초 훈련을 6시간 동안 30분마다 전달하여 자극 일당 12회의 자극을 제공한다. 동물이 점화되어 5 단계 거동 발작이 일관되게 존재하면, 시험 화합물을 1주의 무자극 기간 후 완전히 발현된 점화 발작 및 후방전 기간을 변형하는 능력에 대해 평가한다. 각 점화된 랫트를 시험 후 임의의 조사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해 시험 사이에 적어도 5일 방치한다.
해마 점화 랫트의 초점 발작. 후보 물질을 점화 획득 후 완전 점화된 이차 전신 발작을 차단하는 능력에 대해 평가한다 (문헌[Lothman, E.W. 1988]). 거동 발작 점수 (BSS)를 다음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문헌[Racine, R.J. 1972]):
1 단계-구강 및 안면 간대성 경련
2 단계-1 단계 + 고개 끄덕임
3 단계-2 단계 + 앞다리 간대성 경련
4 단계-3 단계 + 들어올리기
5 단계-4 단계 + 반복적인 들어올리기 및 떨어뜨리기
다음 시험 ("시험 11", "시험 12", 시험 13")의 경우, 평균값 및 S.E.M.을 후방전 기간 (ADD)에 대해 계산하고 p 값을 스튜던트 t-검정에 의해 결정한다. 대조군 및 처리 그룹으로부터의 BSS의 유의한 차이를 비모수 Mann-Whitney U 시험에 의해 결정하고, p <0.05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결정한다.
시험 11: 신경 독성의 확인 및 해마 점화 초점 발작을 차단하는 능력.
해마 점화 랫트 시험을 준비할 때, 후보 AED의 적절한 투여량 (최소 운동 장애 (MMI) 없음)을 결정한다. MMI 연구의 경우, 시점당 2마리의 랫트의 3개의 그룹에 300, 100 및 30 mg/kg의 시험 화합물을 투여하고 개방 구역에서 MMI를 1/4, 1/2, 1, 2 및 4시간째에 모니터링한다. MMI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2마리의 점화 랫트에 무독성 투여량의 시험 약물을 투여하고 약물 투여 후 15, 45, 75, 105, 135, 165, 및 195분에 점화 자극을 제공한다. BSS 및 후방전 기간에 대한 치료의 효과를 기록한다. 이러한 초기 스크리닝의 결과가 후보 AED가 완전히 발현된 점화 발작에 대해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경우, 그룹 크기를 후속 시험를 위해 8마리의 랫트로 증가시킨다 (시험 12 및 13).
각 시간 그룹에 대해, 결과를 시간에 따라 시험된 동물 수 중 보호된 동물의 총 수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2마리 중 2마리가 보호됨). 그 후 항경련 효과를 생성하는 시험 화합물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시점에서 적어도 1/2이 보호됨)을 증가된 n (예를 들어, n = 6 내지 8)으로 재스크리닝한다. 그 후 활성 화합물은 6 Hz 시험 (상기) 및 라모트리진 내성 편도체 점화 랫트 시험 (문헌[Srivastava and White 2013 Epilepsy Res. 104: 26])를 포함한 다른 약물 내성 모델의 후보가 된다.
시험 13: BSS를 기반으로 한 초점 발작을 차단하는 후보 항뇌전증 약물의 능력의 정량화.
별개의 점화 랫트 그룹 (n = 6 내지 8)에 시험 11 (상기)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후보 AED의 증량 투여량을 제공한다. 그 후 랫트를 약물 투여 후 15, 45, 75, 105, 135, 165 및 195분에 시험한다. 각 랫트의 BSS 및 ADD를 계산된 평균 및 S.E.M과 함께 기록한다. 발작 점수가 3점 이하인 동물은 보호된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투여량 반응 곡선과 후속 ED50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ADD의 유의한 변화를 또한 기록한다. 후보 AED (시험 약물)가 발작 점수 (3 이하)와 후방전 기간 (ADD) 모두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면 투여량 반응 연구를 개시한다. 각 투여량에 대한 BSS 및 ADD를 피크 효과 (TPE) 시점에 평균화하고, 평균 및 S.E.M.을 비모수 Mann-Whitney U 시험에 의해 대조군 값과 비교한다. 발작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후보 AED의 능력을 정량화하고 프로빗 (probit) 분석에 의해 ED50을 결정한다.
후보 AED의 각 투여량에 대한 BSS 및 ADD를 TPE에서 평균화하고, S.E.M.을 계산하여 대조군 값과 비교한다. 발작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후보 물질의 능력을 보호를 나타내는 다수의 투여량 (BSS ≤3)으로부터 수집된 결과로 정량화하고, ED50을 프로빗 분석에 의해 결정한다.
시험 12: 해마 점화 랫트에서 후방전 역치에 대한 효과.
이 동물 모델 분석을 완전 점화된 랫트에서 후방전 역치 (ADT)를 증가시키는 후보 항뇌전증 약물 (AED)의 능력을 평가한다. 초기 자극을 20 μA의 강도에서 수행한다. 자극 강도를 후방전이 발생할 때까지 1 내지 2분마다 10 μA씩 증가시킨다. 약물 전 역치 결정 15분 후에, 시험 약물의 단일 투여량을 2마리의 동물 각각에 투여한다. 그 후 ADT를 약물 투여 후 1/4, 1, 2 및 4시간과 같이 다양한 시간에 각 개별 랫트에 대해 재결정한다. BSS와 ADD를 시험된 각 시점에서 기록한다. 발작 점수 및 ADD를 또한 ADT에 기록한다. 거동 발작을 상기에 기재된 기준에 따라 점수화한다 (문헌[Racine, R.J. 1972]). 개별 발작 점수, ADD 및 ADT를 기록한다. 추정되는 AED 활성을 나타내는 후보 (시험) 약물의 경우, 4마리 이상의 동물을 사용하고 그 결과를 평균화하고 그룹 평균과 S.E.M.을 계산한다.
6.3.4 생물학적 실시예 4. 화학 경련 모델
이 모델을 공지된 화학 경련제, 비쿠쿨린 (bicuculline) 및 피크로톡신 (picrotoxin)의 효과에 대한 후보 AED의 효과에 대해 평가한다. 당 업계에서 인정되는 이 동물 모델에서 GABA A 수용체 (GABAA) 길항제, 비쿠쿨린 (BIC) 및 GABAA 염화물 채널 차단제인 피크로톡신 (PIC)에 의해 발작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문헌[White et al., 2012 Epilepsia 53(1):134-146; Shih et al., 2001 Toxicol. 162(1):35-42; White et al., 1997 Epilepsy Res. 28:167; Swinyard et al., 1993 Epilepsy Res. 15(1):35-45; Coleman et al., 1985 Life Sci. 37(8):749-755; Wood, J.D. 1975 Prog. Neurobiol. 5:77-95; Snodgrass, S.R. 1992 J. Child Neurol. 7(1):77-86; Newland and Cull-Candy 1992 J. Physiol. 447(1):191-213] 참조).
방법. 초기 연구에서 시험 약물 (후보 AED)을 BIC (2.7 mg/kg) 또는 PIC (2.5 mg/kg)의 피하 (s.c.) 주사에 의해 생성된 간대성 발작을 방지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적합한 비히클에서 다양한 투여량으로 실험실 마우스에 투여하고; 대조군 그룹에 비히클 및 BIC 또는 PIC 또는 비히클 단독을 제공한다. BIC 투여 후, CF1 마우스를 분리 케이지에 배치하고 발작의 존재 또는 부재에 대해 30분 동안 관찰하고; PIC가 제공된 마우스를 이 경련제의 저속 흡수로 인해 45분 동안 관찰한다. BIC 및 PIC 유발 발작은 일반적으로 앞다리 및 뒷다리, 턱 및 강모의 간대성 연축 에피소드로 구성된다. BIC에 의해 유발된 간대성 발작 후 일반적으로 뒷다리의 긴장성 확장 및 치사가 발생한다.
초기 연구에서 간대성 발작을 방지하거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능력을 나타내는 투여량의 후보 AED 화합물에 대해, 8마리 동물의 추적 조사 그룹에서 활성을 정량화하고, 시험 화합물의 ED50 및 95% 신뢰 구간을 프로빗 분석에 의해 결정한다.
6.3.5 생물학적 실시예 5. 제브라피시 모델
이 모델을 온전한 척추동물 유기체에서 AED 효과의 거동 및 전기생리학적 특성화를 위해 돌연변이 제브라피쉬 (Danio rerio))를 사용하는 분야 인정 모델에서 생체내 후보 AED의 효과에 대해 평가한다 (문헌[Dinday et al., 2015 ENEURO 2(4) e0068-15.2015 1-19]). 뉴런 전압 개폐 나트륨 채널 scn1Lab의 돌연변이에 대해 동형접합인 제브라피시는 발작, 조기 치사 및 다수의 AED에 대한 내성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베 증후군 유사 표현형을 개괄적으로 나타낸다. 동형접합 돌연변이 scn1Lab 제브라피시를 기재된 바와 같이 사육하고 선택한다 (문헌[Dinday et al., 2015]).
발작 모니터링. 제브라피시 거동에 대한 후보 AED 효과의 평가를 위해 단일 동형접합 돌연변이 scn1Lab 유충 (수정 후 5 내지 6일)을 1 내지 500 μM (예를 들어, 100 μM) 후보 AED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 메틸렌 블루를 포함하는 "배아 배지" (문헌[Dinday et al., 2015])에서 평평한 바닥 96웰 플레이트의 개별 웰에 배치하고, 기재된 바와 같이 (Id.) 이동 플로팅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이동 감지 비디오 장비를 사용하여 헤엄 활동을 모니터링했다. 활동을 0 (헤엄 활동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음), I 단계 (헤엄 활동의 짧은 에피소드), II 단계 (원을 그리며 빠르게 헤엄침) 또는 III 단계 (잠시 자세가 상실된 발작성 전신 경련)의 척도로 분류한다. 독성없이 II 단계 또는 III 단계에서 0 단계 또는 I 단계로 활동 수준을 감소시키는 후보 AED는 전기 생리학 추적 조사를 위한 가능한 항발작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전기 생리학. 전기 생리학적 측정을 기재된 바와 같이 헤엄 활동 시험의 적어도 2개의 독립적인 시험에서 독성이 없는 명백한 AED 항발작 활성이 관찰된 동일한 유기체로 수행한다 (문헌[Dinday et al., 2015]). 간단히 말해서, 기재된 바와 같이 (Id.) 제브라피시를 α-분가로톡신 (bungarotoxin) (1 mg/ml)으로 일시적으로 마비시키고, 1.2% 아가로스에 고정시키고, 적절한 특정 전뇌 구조 (예를 들어, 종뇌 (telencephalon), 시개 (optic tectum) 등)를 뇌파 검사를 위한 국소 필드 전극과 접촉시켜 후보 AED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서 뇌전증 전기 방전 활성을 평가한다.
생물학적 실시예 6. 생체내 6 Hz 발작 시험에서의 항경련 효과
이 실시예에서, 후보 AED의 생체내 항경련 효과를 6 Hz 발작 시험을 사용하여 마우스에서 시험하였다. 6 Hz 발작 시험을 생물학적 실시예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필수적으로 수행하였으며, 후보 AED 투여 후 1시간 시점에서의 데이터 수집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제시된 바와 같이 약간의 변형을 가하였다.
재료 및 방법.
화합물: 후보 AED 화합물을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았다:
라세미 펜플루라민 ([rac]-펜플루라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R)-펜플루라민 ([R]-(-)-펜플루라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rac]-노르펜플루라민)은 Toronto Research Chemicals, North York, Ontario, Canada로부터 구입했음;
(R)-노르펜플루라민 ([R]-(-)-노르펜플루라민.
동물: Harlan-Envigo (East Millstone, NJ)에서 구입한 성체 수컷 CF-1 알비노 마우스 (25 내지 35 g). 케이지당 4마리 마우스를 수용하고 실험 내내 여과수와 사료를 무제한 제공하였다.
화합물 제조 및 투여: 4개의 화합물 모두 멸균된 염수 수용액 (0.9% NaCl)에 용해시켰다. 화합물을 분석 1시간 전에 10 ml/kg 부피로 복강내 (IP) 주사를 통해 동물 (각 치료 그룹에서 16마리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대조군 동물에 비히클 (식염수)만을 제공하였다.
6 Hz 분석: 후보 AED 화합물을 시험 동물에 투여한 지 1시간 후 각막 전극을 통해 전달된 저주파 (6 Hz) 교류 (44 mA), 장기간 (3초) 자극에 의해 유발된 정신 운동 발작을 차단하는 능력에 대해 스크리닝했다. 이러한 발작은 인간에서 관찰되는 부분 발작의 모델로 고려된다. 0.5% 알카인 용액 한 방울을 전류 전달을 전달하기 전에 각 동물의 안구 각막에 적하하였다. 조절된 전원 공급 장치 (모델 57800 Electro-Convulsive Therapy Unit, Ugo Basile Srl, Gemonio, Italy)에 연결된 전극을 동물의 안구에 조심스럽게 배치하고 발판 구동부를 사용하여 3초 전류 펄스 (6 Hz, 44 mA)를 촉발하여 전기 충격을 개시했다. 동물을 수동으로 억제하고 전기 충격을 전달하고 발작이 개시됨에 따라 조심스럽게 풀어주었다. 일반적으로 발작은 초기 순간 기절 직후 턱 간대성 경련, 앞다리 간대성 경련, 강모의 경련 및 꼬리 경직이 적어도 1초 지속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거동을 보이지 않는 동물은 "보호된" 것으로 고려되었다.
약리학적 분포 및 생체분석. 6 Hz 분석에서 발작 거동의 특성화 직후, 동물을 인도적으로 희생시키고 이들 조직 구획에 투여된 화합물의 분포 분석을 위해 뇌 및 혈장 샘플을 수집했다.
뇌 샘플 균질화. 사전에 중량을 측정한 전체 마우스 뇌를 해동하고 1 mL의 탈이온수 및 1 mL의 아세토니트릴을 뇌 조직을 포함하는 각 샘플 바이알에 첨가했다. 샘플을 균질한 슬러리가 획득될 때까지 휴대용 Omni™TH 균질기 (Omni International, Kennesaw, GA, USA)를 사용하여 균질화하였다. 슬러리의 1 mL 분취량을 깨끗한 1.5 mL 플라스틱 에펜도르프(Eppendorf) 튜브로 옮기고 튜브를 13,000 rpm (15,871 x 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했다. 상청액을 수집하고 -80℃에서 라벨이 붙은 깨끗한 플라스틱 에펜도르프 바이알에 보관했다.
마우스 혈장 및 뇌 균질물 샘플 제조. 마우스 뇌 균질물 및 마우스 혈장 샘플은 물론 대조군 ("블랭크 (blank)") 비처리 마우스 혈장으로부터 제조된 보정 표준 및 QC 샘플을 단백질 침전으로 추출했다. 간단히 말해서, 50 μL의 각 뇌 균질물 및 마우스 혈장 샘플 (뿐만 아니라, 각 보정 표준, QC 샘플 및 블랭크 마우스 혈장 샘플)을 내부 표준 용액 50 μL [탈이온수/아세토니트릴 (1:1 v/v) 중 (S)-5-((1-벤질피롤리딘-3-일)(메틸)아미노)-6-메틸-N-(티아졸-4-일)피리딘-2-술폰아미드의 2,500 ng/mL 용액]와 혼합한 후, 물에 6% (v/v) 인산 50 μ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200 μL의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였다. 샘플을 30초 동안 교반한 다음 13,000 rpm (15,871 x 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했다. 상청액을 아세토니트릴:물 (1:1 v/v)로 4배 추가로 희석하고 분석 전에 96웰 플레이트로 옮겼다. 보정 및 QC 샘플을 저 QC (14 ng/mL), 중간 QC (225 ng/mL) 및 고 QC (3600 ng/mL)를 포함하는 QC 샘플을 사용하여 2.3 ng/mL 내지 4800 ng/mL 농도 범위의 블랭크 K2EDTA 마우스 혈장에서 제조하였다.
UHPLC-ESI-MS/MS 분석. 이후 두 용매 모두 0.1% 포름산을 포함하는 80% 물 (A)/20% 아세토니트릴 (B)로 개시하는 이원 구배 용출을 사용하여, Shimadzu Nexera™ UHPLC 펌프가 장착된 Sciex™ TQ-5500 (AB Sciex™ LP, Concord, ON, Canada) 질량 분석기, 컬럼 구획 및 자동 샘플러 (Shimadzu Scientific Instruments, Inc., Columbia, MD, USA)를 사용하여 초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전기 분무 이온화 탠덤 질량 분광법 (UHPLC-ESI MS/MS)으로 샘플을 분석하였다. 0.6분 후 이동상 B를 100%에서 1분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용출을 100% 이동상 B에서 1.5분까지 유지한 다음 0.4 mL/min의 유속에서 2.5분의 총 구동 시간 동안 80% 이동상 A와 20% 이동상 B의 초기 비율로 재평형화되도록 했다. 사용된 컬럼은 ACE Excel™ 2 C18-PFP (2.1 mm i.d. x 5.0 mm 길이, 2 μm 입자 크기) (Advanced Chromatography Technologies Ltd, Aberdeen, Scotland)였다. 분석물과 내부 표준을 양이온 모드에서 전기 분무로 이온화하고, 표 1에 나열된 전이를 사용하여 다중 반응 모니터링 (MRM)으로 검출하였다.
펜플루라민, 노르펜플루라민 및 내부 표준에 대한 다중 반응 모니터링 (MRM)
화합물 전구체 이온 (m/z) 단편 이온 (m/z) DP (V) CE (eV) CXP (V) RT (min)
펜플루라민 232.0 158.9 300 30 10 1.49
노르펜플루라민 204.1 158.8 300 25 10 1.44
내부 표준 464.02 91.0 776 67 12 1.42
DP = 탈클러스터링 전위, CE = 충돌 에너지, CXP = 출구 전위, RT = 유지 시간
결과. 동물을 비히클 (n = 16) 또는 다른 투여량 그룹 (투여량당 n = 16)에 무작위로 배정하고 6 Hz 분석을 처리 조건에 대해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실험자에 의해 수행했다. 20 mg/kg으로 동물에게 투여했을 때, (rac)-펜플루라민 및 (R)-펜플루라민은 둘 모두 정신 운동 발작으로부터 보호된 마우스의 백분율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도 1). (rac)-펜플루라민에 의해 보호된 동물의 백분율은 37.5% (p = 0.018, 피셔 (Fisher)의 정확한 시험에 의함)였고, (R)-펜플루라민은 31.3% (p = 0.043)이고, 비히클 단독 (대조군)은 0%였다. 유사하게 (rac)-노르펜플루라민 및 (R)-노르펜플루라민을 20 mg/kg으로 동물에 투여한 결과 정신 운동 발작에 대해 유사한 보호 수준이 나타났다 (도 1). (rac)-노르펜플루라민에 의해 보호된 동물의 백분율은 50% (p = 0.002, 피셔의 정확한 시험에 의함) 였고, (R)-노르펜플루라민은 20% (p = 0.002)이고, 비히클 단독 (대조군)은 0%였다.
6 Hz 분석에서 효능 시험 직후 마우스로부터 수집된 뇌 및 혈장 샘플의 UHPLC-ESI-MS/MS 분석은 투여된 화합물의 다음의 총 뇌 및 혈장 농도를 나타냈다 (표 2):
생체내 펜플루라민/노르펜플루라민 생체 분포 분석
화합물 (20 mg/kg) 혈장
(rac)-펜플루라민 146.5 μM (33870 ng/g) 10.74 μM (2484 ng/g)
(R)-펜플루라민 193.7 μM (44797 ng/g) 15.02 μM (3474 ng/g)
(rac)-노르펜플루라민 151.2 μM (30718 ng/g) 12.97 μM (2636 ng/g)
(R)-노르펜플루라민 179.6 μM (36501 ng/g) 17.73 μM (3604 ng/g)
요약하면, 6 Hz 분석에서 펜플루라민과 노르펜플루라민은 모두 6 Hz 정신 운동 발작 분석에서 발작에 대한 보호 활성을 나타냈다. 펜플루라민 및 노르펜플루라민의 (R)-거울상이성질체는 펜플루라민 및 노르펜플루라민의 라세미체 제조물과 비교할 때 6 Hz 분석에서 유사한 수준의 발작 보호를 제공했다.
6.3.7 생물학적 실시예 7. 청원성 발작 시험에서 (R/S)-펜플루라민 및 (R)-펜플루라민의 항경련 효과
DBA/2는 asp2 돌연변이로 인해 청원성 발작에 감응성인 마우스의 널리 사용되는 교배 균주이다. DBA/2 균주의 거의 100%는 청원성 발작에 대한 연령 의존성 감응성을 나타내고 격렬한 달리기 후 간대성 경련 및 긴장성 확장을 나타내며 고강도 소리에 노출되면 종종 호흡 정지 및 치사가 초래된다 (문헌[DeSarro et al., 2017 Epilepsy Behav. 71:165-173]). 이 연구의 목적은 (R/S)-펜플루라민의 항경련 활성을 평가하고 이를 DBA/2 마우스에서 (R)-펜플루라민과 비교하는 것이었다.
본 방법은 문헌[Duermueller et al., Neuroreport 4(6):683-686]에 기재된 방법을 따라 수행한다. 마우스 (DBA/2, 3 내지 4주령)를 준비실에서 인접한 실험실로 개별적으로 옮기고 (3 내지 5분 간격), 전기 벨 (110 내지 120dB)이 장착된 Plexiglas™ 병 (직경 = 40 cm, 높이 = 35 cm)에 배치하였다. 벨이 작동하면 격렬한 달리기 피트, 간대성 및 긴장성 발작에 대한 발생 및 잠복기를 측정하였다. 치사된 마리 수를 또한 기록하였다. 청원성 반응 점수를 각 마우스에 0 (발작 없음), 1 (격렬한 달리기), 2 (간대성 경련), 3 (긴장성 확장) 또는 4 (치사)로 배정하였다. 긴장성 발작이 발생할 때까지 또는 최대 60초 동안 벨이 작동하였다. 그룹당 열 (10)마리의 마우스를 연구했다. 시험은 블라인드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모든 시험 화합물을 0.9% 식염수 (비히클)에 용해시키고 10 mL/kg의 투여량으로 복강내 (IP) 주사로 투여하였다. 비히클 단독, (R/S)-펜플루라민 (15 또는 30 mg/kg) 또는 (R)-펜플루라민 (30 mg/kg)을 발작 유발 60분 전에 투여하였다. 양성 기준 화합물 (발프로에이트; 180 mg/kg)을 발작 유발 30분 전에 투여하였다.
도 2 및 표 3은 수컷 DBA/2 마우스 (n = 10/그룹)를 이용한 마우스 청원성 발작 시험에서 (R/S)-펜플루라민 및 (R)-펜플루라민의 항경련 효과의 결과를 나타낸다.
비히클 대조군에서, 모든 DBA/2 마우스는 격렬한 단리기 후 간대성 및 긴장성 경련을 나타냈다. 벨이 울린 후 2.8 ± 0.4 내지 8.1 ± 0.8초 사이의 평균 잠복기의 경련성 증상이 관찰되었다. 시험한 10마리 중 2마리의 마우스가 치사하였다. 전체 청원성 반응 점수는 3.2 ± 0.13이었다. (R/S)-펜플루라민 (15 및 30 mg/kg)은 간대성 경련 (각각 -40% 및 -90%) 및 긴장성 경련 (각 투여량에 대해 -100%)을 나타내는 마우스의 수를 투여량 의존적으로 감소시키고, 간대성 (각각 +441% 및 +853%) 및 긴장성 경련 (각 투여량에 대해 +641%)에 대한 잠복기를 증가시켰다. 전체 청원성 반응 점수는 15 및 30 mg/kg에서 각각 50% 및 72% 감소했다. (R)-펜플루라민 (30 mg/kg)은 간대성 경련 (-40%)을 나타내는 마우스의 수를 감소시키고, 긴장성 경련 (-100%)을 완전히 억제했으며 간대성 및 긴장성 경련 (각각 +450% 및 +641%)에 대한 잠복기를 증가시켰다. 전체 청원성 반응 점수는 50% 감소했다.
이들 결과는 DBA/2 마우스의 청원성 발작 시험에서 15 및 30 mg/kg의 (R/S)-펜플루라민 및 30 mg/kg의 (R)-펜플루라민에 대한 명확한 항경련 활성을 나타낸다. 항경련 효과의 크기는 15 mg/kg의 (R/S)-펜플루라민과 30 mg/kg의 (R)-펜플루라민 사이에서 비슷했다.
수컷 DBA/2 마우스 (n = 10/그룹)를 이용한 마우스 청원성 발작 시험에서 ( R / S )-펜플루라민 또는 ( R )-펜플루라민의 항경련 효과 요약
처리 투여량
(mg/kg)
청원성 반응 점수 격렬한 달리기 간대성 경련 긴장성 확장
발생율
(%)
잠복기
(s)
발생율 (%) 잠복기
(s)
발생율
(%)
잠복기
(s)
비히클 0 3.2 ± 0.13 100 2.8 ± 0.4 100 5.8 ± 0.7 100 8.1 ± 0.8
(R/S)-Fen 15 1.6 ± 0.16 100 4.0 ± 0.7 60 31.4 ± 7.8 0 60.0 ± 0.0
30 0.9 ± 0.18 80 16.6 ± 7.4 10 55.3 ± 4.8 0 60.0 ± 0.0
(R)-Fen 30 1.6 ± 0.16 100 5.0 ± 1.4 60 31.9 ± 7.7 0 60.0 ± 0.0
발프로에이트 180 0.4 ± 0.16 40 38.1 ± 9.0 0 60.0 ± 0.0 0 60.0 ± 0.0
청원성 반응 점수 및 잠복기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표시된다.
2018년 7월 27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2/711,051호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미국 특허, 미국 특허 출원 공보, 미국 특허 출원, 외국 특허, 외국 특허 출원 및 비 특허 공보는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전술한 화합물, 조성물, 방법 및 용도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 상세하게 기재되었지만, 특정 변경 및 변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실시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기재된 실시형태는 제한적이지 않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청구된 발명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세부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및 균등물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Claims (34)

  1. 인간 대상체에서 뇌전증(epilepsy)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epileptic seizure disorder)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로서;
    화합물은 80% 초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enantiomeric excess; ee)을 갖는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90% 초과의 ee를 갖는,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95% 초과의 ee를 갖는,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97% 초과의 ee를 갖는,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99% 초과의 ee를 갖는,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80% 내지 99%의 ee를 갖는,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90% 내지 99%의 ee를 갖는,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드라베 증후군 (Dravet syndrome)을 앓고 있는,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12.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화합물은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고;
    화합물은 80% 초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ee)을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90% 초과의 ee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95% 초과의 ee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97% 초과의 ee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12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99% 초과의 ee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12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80% 내지 99%의 ee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12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90% 내지 99%의 ee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약제학적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30 mg 초과의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1. 제19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35 mg 초과의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2. 제19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40 mg 초과의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3. 제19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40 mg 내지 300 mg의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4. 제19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40 mg 내지 150 mg의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5.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약제학적 조성물.
  26.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약제학적 조성물.
  27. 제1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대상체에서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드라베 증후군을 앓고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29.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R)-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R)-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R)-벤플루오렉스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로서;
    화합물은 80% 초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ee)을 갖는, 화합물.
  30. 인간 대상체에서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31. 제30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드라베 증후군을 앓고 있는, 화합물.
  32. 라세미 노르펜플루라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3. 제32항에 있어서, 인간 대상체에서 뇌전증 또는 뇌전증 발작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34. 제33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드라베 증후군을 앓고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17004603A 2018-07-27 2019-07-26 뇌전증 치료 방법 KR202100613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11051P 2018-07-27 2018-07-27
US62/711,051 2018-07-27
PCT/US2019/043765 WO2020023923A1 (en) 2018-07-27 2019-07-26 Method for treating epileps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332A true KR20210061332A (ko) 2021-05-27

Family

ID=6755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603A KR20210061332A (ko) 2018-07-27 2019-07-26 뇌전증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20200030260A1 (ko)
EP (1) EP3829558A1 (ko)
JP (1) JP2021530541A (ko)
KR (1) KR20210061332A (ko)
CN (1) CN112930175A (ko)
AU (1) AU2019310600A1 (ko)
BR (1) BR112021001135A2 (ko)
CA (1) CA3106031A1 (ko)
CL (1) CL2021000196A1 (ko)
CO (1) CO2021002087A2 (ko)
CR (1) CR20210095A (ko)
EA (1) EA202190369A1 (ko)
IL (1) IL280128A (ko)
MA (1) MA53329A (ko)
MX (1) MX2021000987A (ko)
PE (1) PE20211065A1 (ko)
PH (1) PH12021550176A1 (ko)
SG (1) SG11202100682YA (ko)
WO (1) WO2020023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3470B1 (en) 2015-12-22 2021-01-20 Zogenix International Limited Metabolism resistant fenfluramine analog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80091924A (ko) 2015-12-22 2018-08-16 조게닉스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펜플루라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9689103A (zh) 2016-08-24 2019-04-26 周格尼克斯国际有限公司 用于抑制5-ht2b激动剂的形成的制剂及其使用方法
JP7383012B2 (ja) * 2018-08-31 2023-11-17 ゼノン・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ヘテロアリール置換スルホンアミド化合物、およびナトリウムチャネル阻害剤としてのその使用
EP3999570A1 (en) * 2019-07-18 2022-05-25 Basf Se Allophanate based dispersing agent
US11612574B2 (en) 2020-07-17 2023-03-28 Zogenix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of treating patients infected with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WO2023034115A1 (en) * 2021-09-01 2023-03-09 Zogenix International Limited Fenfluramine for treatment of demyelinating diseases and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4F (ko) 1960-11-05
GB1175516A (en) 1966-04-15 1969-12-23 Science Union & Cie New Phenyl-Aminopropane Derivatives and Preparations Containing them
US3845770A (en) 1972-06-05 1974-11-05 Alza Corp Osmatic dispensing device for releasing beneficial agent
US4326525A (en) 1980-10-14 1982-04-27 Alza Corporation Osmotic device that improves delivery properties of agent in situ
AU741482B2 (en) 1997-05-07 2001-11-29 Allergan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Limited Intravaginal drug delivery devices for the administration of testosterone and testosterone precursors
US6591909B1 (en) 2001-12-20 2003-07-1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Whey protein retarder
US9549909B2 (en) * 2013-05-03 2017-01-24 The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ravet syndrome
BR112017018297B1 (pt) * 2015-02-25 2023-12-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Uso de um agonista de receptor 5ht selecionado a partir de trazodona e lorcarserina, ou um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os mesmos, e uso de um agonista de receptor 5ht selecionado a partir de clemizol, um análogo de clemizol ou um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os mesmos
JP6668045B2 (ja) * 2015-05-15 2020-03-18 ゾゲニク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ドラベ症候群を処置するための選択的5−ht受容体アゴニストおよびアンタゴニスト
JP2017057188A (ja) * 2015-09-14 2017-03-23 ゾゲニク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特別な形態のてんかんの併用療法
GB201715919D0 (en) * 2017-09-29 2017-11-15 Gw Res Ltd use of cannabinoids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R20210095A (es) 2021-06-01
US20200030260A1 (en) 2020-01-30
CN112930175A (zh) 2021-06-08
WO2020023923A1 (en) 2020-01-30
CL2021000196A1 (es) 2021-12-31
CA3106031A1 (en) 2020-01-30
AU2019310600A1 (en) 2021-02-11
SG11202100682YA (en) 2021-02-25
EA202190369A1 (ru) 2021-06-10
MA53329A (fr) 2022-03-02
JP2021530541A (ja) 2021-11-11
MX2021000987A (es) 2021-06-15
IL280128A (en) 2021-03-01
CO2021002087A2 (es) 2021-04-30
BR112021001135A2 (pt) 2021-04-20
PE20211065A1 (es) 2021-06-09
EP3829558A1 (en) 2021-06-09
PH12021550176A1 (en) 202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1332A (ko) 뇌전증 치료 방법
TWI465452B (zh) 螺-吲哚酮化合物之鏡像異構物及其作為治療劑之用途
US11203572B2 (en) Substituted benzam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551626B1 (en) Benzenesulfonamide compounds and their use as therapeutic agents
EP3074377B1 (en) Substituted benzam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19512528A (ja) 抑うつ、不安症、快感消失症、疲労、自殺念慮、および外傷後ストレス障害の治療における(2r,6r)−ヒドロキシノルケタミンおよび(2s,6s)−ヒドロキシノルケタミンの使用方法
US10745392B2 (en) Benzenesulfonamide compounds and their use as therapeutic agents
US20220055977A1 (en) Therapeutic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3225008A1 (en) Safer psychoactive compositions
JP5947907B2 (ja) Kcnqカリウムチャネル作動薬として使用できる新規な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6808154B2 (ja) アダマンタン誘導体およびその使用
JPWO2019026994A1 (ja) アダマンチルメチルアミン誘導体およびその医薬としての使用
JP2023505054A (ja) 処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