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175A - 격자형 수조모듈 및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 - Google Patents

격자형 수조모듈 및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175A
KR20210059175A KR1020190146278A KR20190146278A KR20210059175A KR 20210059175 A KR20210059175 A KR 20210059175A KR 1020190146278 A KR1020190146278 A KR 1020190146278A KR 20190146278 A KR20190146278 A KR 20190146278A KR 20210059175 A KR20210059175 A KR 20210059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module
partition wall
live fi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409B1 (ko
Inventor
한정호
Original Assignee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6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4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4Tank vehicles compartmen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using electrical dischar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4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Abstract

본 발명은 장시간 운송 시에도 수조 내부 수용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해결함과 동시에 활어의 생존에 유리한 물의 흐름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조모듈 및 활어 운반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의 수조하우징과, 상기 수조하우징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조하우징을 구획한 격벽부를 기준으로 일측 공간에서 타측 공간으로 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격벽통과모듈이 상기 격벽부에 구비되되, 상기 격벽통과모듈은 인접하는 격벽부와 각각 다른 위치로 적용되는 격자형 수조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본체부와, 상기 차량본체부 후방측 상부에 설치되는 수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조모듈은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의 수조하우징과, 상기 수조하우징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격자형 수조모듈 및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Grid tank module and Live fish transport vehicle with grid tank module}
본 발명은 활어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내 활어가 수용된 물의 오염도를 활어의 운반 중에도 해결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조 내에서 수용된 물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선회나 생선탕은 활어를 사용하여 조리하느냐 또는 죽거나 냉동상태의 어류를 녹여서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조리된 회나 탕의 맛이 크게 차이가 있다.
또한, 생선회는 일반적으로 생선의 신선도에 따라 맛에 차이가 크기 때문에 활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활어회나 활어탕은 냉동상태 또는 죽은 상태의 어류를 재료로 사용하는 것보다 비싼값으로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활어를 어장으로부터 소비지까지 살아 있는 상태로 운반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산소공급장치가 구비된 단일의 대형 수조를 설치하여 운송차량의 적재함에 탑재한 후 이를 이용하여 활어를 운반하였다.
그런데, 종래 활어 운반 차에 적용되는 수조의 경우는 하나의 탱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해수를 수용한 후 활어를 넣게 되는데, 이와 같은 하나의 탱크 형태로 이루어진 활어 운반차에 적용되는 수조의 경우 활어가 살던 환경과 많은 차이를 가지게 되어 활어들에게 큰 스트레스를 주는 등의 문제로 운반 중 신선도가 떨어지거나 일부 활어는 죽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서 운반 중 활어의 생존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수조 내부 수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활어 운반차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2216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시간 운송 시에도 수조 내부 수용된 물이 오염되는 것을 해결함과 동시에 활어의 생존에 유리한 물의 흐름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조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활어 운반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조 내 물의 운송 및 오염도 측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수조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활어 운반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의 수조하우징과, 상기 수조하우징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조하우징을 구획한 격벽부를 기준으로 일측 공간에서 타측 공간으로 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격벽통과모듈이 상기 격벽부에 구비되되, 상기 격벽통과모듈은 인접하는 격벽부와 각각 다른 위치로 적용되는 격자형 수조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본체부와, 상기 차량본체부 후방측 상부에 설치되는 수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조모듈은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의 수조하우징과, 상기 수조하우징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에 의하여 구획된 임의의 공간에는 수질정화모듈, 펌프부 및 ORP검출센싱부가 설치되며, 상기 수질정화모듈, 펌프부 및 ORP검출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하우징을 구획한 격벽부를 기준으로 일측 공간에서 타측 공간으로 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격벽통과모듈이 상기 격벽부에 구비되되, 상기 격벽통과모듈은 인접하는 격벽부와 각각 다른 위치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형 수조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활어 운반차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모듈 내측에 수질정화모듈을 적용함과 동시에 수조모듈 내부 공간부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부가 구비되도록 하면서 상기 격벽부에 의하여 구획되어 생성된 공간을 순차적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격벽부에 의하여 구획된 각 공간 내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공간별로 활어의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격벽부에 물이 통과되는 위치를 인접하는 격벽부와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각 공간 내 물의 흐름방향이 구획된 공간 내 최대 유동 흐름 범위를 이루도록 하여 활어의 생존 및 스트레스 저하에 최적화된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부에 적용되어 격벽부 사이로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격벽통과모듈에 리브부를 적용하여 일부 활어나 또는 죽은 어류가 격벽통과모듈 주변에 모이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격벽부 사이로 물이 유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차의 평면도;
도 2는 상기 도 1의 활어 운반차의 수조모듈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차의 측단면도; 및
도 4는 격벽통과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차의 평면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활어 운반차의 수조모듈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차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활어 운반차(1)는 차량본체부(3)와 수조모듈(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량본체부(3)는 하부에 엔진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휠이 적용되고 후방측에 상부에 상기 수조모듈이 설치되는 화물칸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전방측에 운전수 등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부(2)가 적용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수조모듈(100)은 상기 차량본체부(3)의 후방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모듈(100) 내부에는 물과 함께 활어가 수용되는 구성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상기 수조모듈(100) 내부에 저장되는 물은 해수와 동일한 성분의 물이 저장되고 활어는 광어 등과 같은 바다 어류가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조모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수조모듈(100)은 수조하우징(110), 격벽부(105) 및 격벽통과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모듈(100)의 외관을 이루되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조하우징(110)은 해수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조하우징(110)은 상기 차량본체부(3) 후방측 상부에 공지된 다양한 기술 중 일 형태가 적용되는 방식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격벽부(105)는 상기 수조하우징(110) 내부에 측방향 또는 상기 수조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수조하우징(110) 내부 공간부를 다수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시된 것처러, 상기 격벽부(105)는 판상의 보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수조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양측으로 이열로 구획됨과 동시에 수조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5개로 구획되도록 격벽부(105)가 적용된 형태가 도시된 것이나 이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갯수를 가지는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격벽부(105)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통과모듈(130)은 상기 각 격벽부(105)를 기준으로 구획된 일측 공간에서 타측 공간으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이룬다.
도 4는 격벽통과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통과모듈(130)은 원형관부(132), 삼각리브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형관부(132)는 내부가 중공되며 양단부에 개구부(133)가 형성되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격벽부(105)에 양단부가 일정 길이 노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관통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관부(132)의 양단 노출된 부위에는 상기 원형관부(132)의 외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단부측이 수렴하는 형태로 상기 삼각리브부(134)가 설치된다.
즉, 상기 삼각리브부(134)는 상기 격벽부(105)를 기준으로 상기 원형관부(132)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삼각리브부(134)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원형관부(132) 영역에는 원형관부(132)의 내부 중공부와 외부가 연통된 형태로 연통홀(136)이 복수 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격벽부(105)를 중심으로 일측 공간에서 타측 공간으로 물이 소정 유압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원형관부(132)의 일측 개구부(133)로부터 타측 개구부(133) 측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원형관부(132)의 일측 연통홀(136)을 통하여도 해수가 유입된 후, 원형관부(132)의 타측 연통홀(136)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격벽통과모듈(130)은 평면상 상기 복수 개의 격벽부(105) 각각에 서로 다른 위치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측면상을 기준으로도 상기 격벽통과모듈(130)은 상기 각 격벽부(105)마다 다른 위치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접하는 격벽부(105)에 각각 서로 다른 위치로 상기 격벽통과모듈(130)이 적용되되,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격벽부(105)에 의하여 하나의 구획된 공간을 통과하는 물의 유동 흐름이 각 공간에서 최대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한 개의 구획된 공간 상에서 보다 넓은 범위를 접촉하며 유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된 하나의 공간에 상하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메시망부(18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메시망부(180) 또한 하나의 구획된 공간을 상하로 다수 구획 공간으로 나누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격벽부(105)에 스토퍼 등을 적용하여 메시방부(180)의 가장자리가 걸리는 방식으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조하우징(110)은 상부가 개구되되, 상기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는 도어부(161, 16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부(161, 162)는 상기 수조하우징(110)에 힌지부(16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부(161, 162)를 락킹하는 락킹장치가 추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모듈(100)은 수조하우징의 일측 모서리부에 위치되는 구획된 공간에 수질정화모듈(140)과 펌프부(150) 및 ORP(Oxidation Reduction Potential)검출센싱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부(150)는 수조모듈(100) 내부 물이 상기 수질정화모듈(140)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질정화모듈(140)은 플라즈마 발생을 함으로써 물의 오염도를 개선할 수 있는 장치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ORP검출센싱부(160)는 지속적으로 유동하는 물의 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물의 유동 상태 또는 오염 상태를 파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공지된 다양한 펌프부와 수질정화모듈 및 ORP검출센싱부 중 일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ORP검출센싱부(160)와 펌프부(150) 및 수질정화모듈(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ORP검출센싱부(160)를 통한 측정값을 이용 물의 유동 상태를 파악하거나 또는 이에 따라 적절한 시간차를 가지고 상기 펌프부(150)와 수질정화모듈(140이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형 수조모듈(100) 및 이를 구비하는 활어 운반차(1)에 의하면, 상기 수조모듈(100) 내측에 수질정화모듈(140)을 적용함과 동시에 상기 수조모듈 내부 공간부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부(105)가 구비되도록 하면서 상기 격벽부(105)에 의하여 구획되어 생성된 공간을 순차적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격벽부(105)에 의하여 구획된 각 공간 내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공간별로 활어의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각 격벽부(105)에 물이 통과되는 위치를 인접하는 격벽부(105)와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각 공간 내 물의 흐름방향이 구획된 공간 내 최대 유동 흐름 범위를 이루도록 하여 활어의 생존 및 스트레스 저하에 최적화된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원형관부(132)에 삼각리브부(134)를 적용함으로써 일부 활어가 원형관부(132) 주변에 모이거나 또는 죽은 활어가 원형관부(132) 쪽으로 물의 유동에 따라 이동하더라도 연통홀(136)을 막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격벽부(105) 사이로 격벽통과모듈(130)을 통한 원활한 물의 유동흐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활어 운반차
2: 탑승부
3: 차량본체부
105: 격벽부
110: 수조모듈
130: 격벽통과모듈
132: 원형관부
134: 삼각리브부
136: 연통홀
140: 수질정화모듈
150: 펌프부
160: ORP검출센싱부

Claims (4)

  1.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의 수조하우징과, 상기 수조하우징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조하우징을 구획한 격벽부를 기준으로 일측 공간에서 타측 공간으로 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격벽통과모듈이 상기 격벽부에 구비되되,
    상기 격벽통과모듈은 인접하는 격벽부와 각각 다른 위치로 적용되는,
    격자형 수조모듈.
  2. 차량본체부와, 상기 차량본체부 후방측 상부에 설치되는 수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조모듈은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의 수조하우징과, 상기 수조하우징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에 의하여 구획된 임의의 공간에는 수질정화모듈, 펌프부 및 ORP검출센싱부가 설치되며,
    상기 수질정화모듈, 펌프부 및 ORP검출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하우징을 구획한 격벽부를 기준으로 일측 공간에서 타측 공간으로 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격벽통과모듈이 상기 격벽부에 구비되되,
    상기 격벽통과모듈은 인접하는 격벽부에 각각 다른 위치로 적용되는,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
KR1020190146278A 2019-11-15 2019-11-15 격자형 수조모듈 및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 KR102306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278A KR102306409B1 (ko) 2019-11-15 2019-11-15 격자형 수조모듈 및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278A KR102306409B1 (ko) 2019-11-15 2019-11-15 격자형 수조모듈 및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175A true KR20210059175A (ko) 2021-05-25
KR102306409B1 KR102306409B1 (ko) 2021-09-30

Family

ID=7614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278A KR102306409B1 (ko) 2019-11-15 2019-11-15 격자형 수조모듈 및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4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648A (ja) * 1992-01-31 1994-03-22 Amazon Marine:Kk 活魚輸送システム
JP2002010724A (ja) * 2000-06-29 2002-01-15 Babcock Hitachi Kk 海水中のアンモニア分解方法および装置
JP2003304775A (ja) * 2002-04-18 2003-10-28 Fishing Boat & System Engineering Association 共食い防止型生魚輸送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生魚輸送方法
JP2004113228A (ja) * 2002-09-26 2004-04-15 Ogura Boeki Kk アワビの育成方法及び育成装置
JP2012075384A (ja) * 2010-10-01 2012-04-19 Taiyo Suiken:Kk 閉鎖系水域の自動脱窒システム
KR102022161B1 (ko) 2017-09-08 2019-09-17 홍준섭 활어차용 수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648A (ja) * 1992-01-31 1994-03-22 Amazon Marine:Kk 活魚輸送システム
JP2002010724A (ja) * 2000-06-29 2002-01-15 Babcock Hitachi Kk 海水中のアンモニア分解方法および装置
JP2003304775A (ja) * 2002-04-18 2003-10-28 Fishing Boat & System Engineering Association 共食い防止型生魚輸送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生魚輸送方法
JP2004113228A (ja) * 2002-09-26 2004-04-15 Ogura Boeki Kk アワビの育成方法及び育成装置
JP2012075384A (ja) * 2010-10-01 2012-04-19 Taiyo Suiken:Kk 閉鎖系水域の自動脱窒システム
KR102022161B1 (ko) 2017-09-08 2019-09-17 홍준섭 활어차용 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409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43595B (zh) 具有用于冷冻柜的增加容量的集装箱船
KR20210059175A (ko) 격자형 수조모듈 및 격자형 수조모듈이 구비된 활어 운반차
BRPI1101728A2 (pt) Arranjo de poço central de casco do tipo de longarina
KR101561160B1 (ko)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KR101807542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060057003A (ko) 컨테이너선
KR101956600B1 (ko) 로팍스 선박의 힐링탱크 배치구조
KR20130093878A (ko) 케이슨 블록 구조물
KR100298084B1 (ko) 모듈형 활어 운반상자 및 이를 이용한 활어 운반 시스템
ES2228232A1 (es) Procedimiento para transformar un carguero en una piscifactoria navegable.
BRPI0809763A2 (pt) "método de tratamento de água de lastro e sistema para tratamento de água de lastro"
CN210960210U (zh) 一种农产品加工用浸液防腐装置
JP2015160593A (ja) 船舶
CN106103264A (zh) 货船
KR20130005464A (ko) 선박의 비상배수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80081955A (ko) 액화가스 운반선
RU158457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лесных грузов по водным путям
KR20170053267A (ko) 화물 적재 선박
RU147720U1 (ru) Контейнер
JP2008183001A (ja) 釣り餌ケース
KR20130006175U (ko) 선박의 냉장 저장구역
CN108146894A (zh) 便于钢铁装运的运输设备
KR20140023162A (ko) 액체 화물 운반선
FR3093680B1 (fr) Dispositif de portage adaptatif d’au moins un objet au travers d’un élément de carrosserie d’un véhic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