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423A - 슬라이딩용 견인 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이딩용 견인 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423A
KR20210058423A KR1020190145854A KR20190145854A KR20210058423A KR 20210058423 A KR20210058423 A KR 20210058423A KR 1020190145854 A KR1020190145854 A KR 1020190145854A KR 20190145854 A KR20190145854 A KR 20190145854A KR 20210058423 A KR20210058423 A KR 20210058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drive gear
windows
window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538B1 (ko
Inventor
박민교
오성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Priority to KR1020190145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5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랙과 결합한 피니언과 구동 기어 사이에 장착한 록 핀이 창호 짝을 닫을 때는 구동 기어와 피니언이 함께 구동하게 하여 액추에이터로 견인하여 닫을 수 있게 하고, 창호 짝을 열 때는 구동 기어와 피니언이 분리되어 피니언이 아이들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창호 짝을 닫을 때는 견인하면서 로터리 댐퍼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고, 창호 짝을 열 때는 부하를 없애 쉽고 편리하게 창호 짝을 여닫을 수 있다. 특히, 록 핀이 피니언 양쪽에 탄성 지지를 받게 설치한 마찰판을 통해 지지를 받음으로, 록 핀이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아 더욱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로터리 댐퍼를 추가하여 구성함으로써, 창호 짝의 전체 중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댐핑력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견인형 창호용 댐퍼{PULL-TYPE DAMPER FOR DOORS AND WINDOWS}
본 발명은 견인형 창호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 짝을 닫을 때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구동 기어에 결속하게 하여 액추에이터 구동으로 견인하면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고, 창호 짝을 열 때는 피니언과 구동 기어의 결속을 해제하여 견인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적은 힘으로도 쉽고 편리하게 창호 짝을 여닫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를 옆으로 여는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는 사용할 때 강한 힘으로 닫으면 소음이 발생하고, 또한 때에 따라 창호를 닫을 때 손끼임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슬라이딩 창호에는 댐퍼를 장착하여 완충 작용과 더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기도 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783546호
창호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끝단에 마련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고정축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빠르게 진입하면 둘레가 확장됨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압력을 상승시키는 패킹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천천히 배출시키는 배기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가 일정속도 이상이면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공기가 압축되면며, 압축된 내부공기가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배기저지부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관통공으로 천천히 배출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이동이 느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에어 댐퍼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공기를 압축하거나 압축된 공기를 천천히 배출시킴으로써 피스톤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창호를 열고 닫을 때 창호의 충돌 및 창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원시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975764호
기어열과 랙을 이용하여 창호 짝을 여닫는 거리에 비례하여 가이드 블록이 짧은 거리만큼 움직이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크기를 줄이면서도 완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특히, 창호를 여닫을 때 움직이는 이동랙의 거리보다 실질적으로 완충 작용을 하는 가이드 블록이 이 이동랙의 거리의 약 1/3 정도 움직이도록 구성하므로, 가이드 블록이 움직인 거리에 알맞은 댐퍼를 장착하여 완충 작용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완충 작용을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중문에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자주 여닫는 슬라이딩 타입의 중문을 쉽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985136호
미서기문을 닫을 때 마지막 부분에서 천천히 닫히도록 하고, 특히 문을 열고 난 후에 닫아주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미닫이식 창호장치의 모서리 부분에 댐퍼 기능을 갖는 기어장치를 부착하여 문이 닫힐 때, 닫히는 마지막 부분에서 서서히 닫히게 함으로써 문짝과 문틀 프레임에 주는 충격을 완화하여 창호장치의 파손과 고장을 방지해 주고, 닫히는 순간 부딪히면서 발생하게 되는 소음도 발생하지 않으며 구조도 간단하여 고장 발생도 거의 없는, 댐퍼 기능을 갖는 기어장치가 부착된 창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 창호용 댐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창호 짝을 닫을 때는 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창호 짝을 열 때는 부드럽게 열려야 하는 데, 창호 짝을 열 때는 부드럽게 열리지 않을 때가 있다.
(2) 특히, 랙-피니언 방식으로 댐핑 효과를 얻을 때는 창호 짝을 때도 피니언이 회전하게 되므로, 그만큼 더 큰 힘이 필요하다. 이는, 노약자가 창호 짝을 열 때 큰 힘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3) 특히, 창호를 닫을 때 그 속도에 따라 신속하게 정해진 속도로 감속할 수 없어 창호에 큰 충격을 가해 내구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4) 창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그만큼 창호 짝의 중량이 많이 나감으로, 이에 맞게 댐핑력의 크기도 변해야 한다. 이에, 댐핑력을 확장할 수 있어야 하나, 종래 댐퍼는 댐핑력을 확장하기 어렵다.
(5) 이에, 창호 짝의 중량이 달라지면 새로운 크기의 창호용 댐퍼를 제작해야 한다. 이는, 제조 비용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된다.
(6) 창호를 세게 닫으면 어느 정도 댐핑 작용을 하나, 창호를 닫을 때 강한 힘이 가해지면 댐핑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떨어뜨려 쉽게 댐퍼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83546호 (등록일: 2017.09.25) 한국등록특허 제10-1975764호 (등록일: 2019.04.30) 한국등록특허 제10-1985136호 (등록일: 2019.05.27)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랙과 결합한 피니언과 구동 기어 사이에 장착한 록 핀이 창호 짝을 닫을 때는 구동 기어와 피니언이 함께 구동하게 하여 액추에이터로 견인하여 닫을 수 있게 하고, 창호 짝을 열 때는 구동 기어와 피니언이 분리되어 피니언이 아이들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창호 짝을 닫을 때는 견인하면서 로터리 댐퍼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고, 창호 짝을 열 때는 부하를 없애 쉽고 편리하게 창호 짝을 여닫을 수 있게 한 견인형 창호용 댐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록 핀이 피니언 양쪽에 탄성 지지를 받게 설치한 마찰판을 통해 지지를 받음으로, 록 핀이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아 더욱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견인형 창호용 댐퍼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로터리 댐퍼를 추가하여 구성함으로써, 창호 짝의 전체 중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댐핑력을 얻을 수 있게 한 견인형 창호용 댐퍼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견인형 창호용 댐퍼는, 창호 틀(F)에 장착하는 랙(100); 및 창호 짝(D)에 장착하여 상기 랙(100)에 치합하여 댐핑 작용하는 완충수단(200);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200)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나로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 본체(210); 상기 본체(210)에 장착하는 액추에이터(220); 상기 액추에이터(220)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외주에는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점차 깊어지게 적어도 두 개의 제1작동 홈(231)을 형성한 구동 기어(230); 상기 구동 기어(230)에 끼워져서 상기 랙(100)에 맞물릴 수 있게 설치하며, 내주에는 상기 제1작동 홈(231)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구동 기어(230)와 같은 방향을 따라 점차 깊어지게 제2작동 홈(241)을 형성한 피니언(240); 상기 제1 및 제2작동 홈(231,241)이 중첩하는 공간에 끼워져서 상기 피니언(240)과 나란하게 배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록 핀(250); 상기 피니언(240)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하되, 상기 피니언(240) 밖으로 돌출한 록 핀(250)을 관통하게 끼워서 안내하는 가이드(261)를 갖춘 두 개의 안내판(260); 및 상기 각 안내판(260)에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안내판(260)과 록 핀(250)의 가압하는 마찰판(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액추에이터(220)는, 직류 모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제어하되, 상기 구동 기어(230)와 직류 모터 축에 장착하여 서로 맞물리는 베벨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 홈(231)은, 2~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61)는, 상기 록 핀(250)이 상기 제2작동 홈(241)에 끼워져서 움직이는 궤적을 따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220)의 회전력은, 상기 마찰판(270)의 탄성 지지를 받는 록 핀(250)과 구동 기어(230)를 강제로 회전하게 하는 것은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완충수단(200)에는, 상기 본체(210)에 적어도 1~5개의 로터리 댐퍼(280)를 추가하여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형 창호용 댐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창호 짝을 닫을 때는 창호 피니언이 랙에 맞물려서 회전하면서 록 핀에 의해 구동 기어를 함께 회전하게 하여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고, 창호 짝을 열 때는 록 핀으로 고정한 피니언이 구동 기어에서 분리되어 자연스러우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열 수 있다.
(2) 특히, 이러한 록 핀의 양쪽 면에 탄성 지지를 받는 마찰판을 갖춤으로써, 록 핀이 미끌림이나 뒤틀림 없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부드럽게 움직이면서 피니언과 구동기어가 연동하게 하거나 각각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신속하면서도 정해진 위치에서 쉽게 결속이 이루어지거나 이러한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3) 적어도 하나의 로터리 댐퍼를 추가하여 구성함으로써, 창호 짝의 전체 중량이 많이 나갈 때는 그 중량을 고려하여 댐핑 효과를 조절하여 댐핑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형 창호용 댐퍼를 창호에 장착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형 창호용 댐퍼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형 창호용 댐퍼의 전체 구성에서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 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려고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 부분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려고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 부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 부분을 구성하는 구동 기어(a), 피니언(b), 그리고 마찰판(c)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형 창호용 댐퍼로 창호 짝을 닫을 때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형 창호용 댐퍼로 창호 짝을 열 때 구동 기어가 피니언에서 분리되어 아이들 상태로 작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견인형 창호용 댐퍼는,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랙(100), 그리고 완충수단(2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완충수단(200)은 구동 기어(230)에 끼운 피니언(240)이 이들 사이에서 작동하는 록 핀(250)에 의해 함께 회전하거나 피니언(240)만 회전하게 작동함으로써, 창호 짝(D)을 닫을 때 구동 기어(230)와 함께 피니언(240)이 랙(100)에 맞물리고 액추에이터(220) 구동으로 견인하게 하여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고, 창호 짝(D)을 열 때는 피니언(240)만 아이들 회전하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열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구동 기어(230)에는 액추에이터(220)를 장착하여 창호 짝(D)을 닫을 때는 이처럼 구동 기어(230)를 강제로 회전하게 제어하여 견인이 이루어지고, 창호 짝(D)을 닫았을 때 구동 기어(230)와 피니언(240)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다시 창호 짝(D)을 열 때 적은 힘으로도 쉽게 창호 짝(D)을 열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200)에는 로터리 댐퍼(280)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창호 짝(D)의 전체 중량을 고려하여 댐핑 효과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확장하여 구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F"는 창호의 외곽 틀을 구성하는 창호 틀을, "D"는 창호 틀 안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하는 창호 짝을 각각 나타낸다.
가. 랙
랙(100)은, [도 1]·[도 7] 및 [도 8]과 같이, 창호 틀(F)에 장착한다. 이때, 랙(100)은 창호 짝(D)에 장착하는 후술할 완충수단(200)과 맞물려서 안내할 수 있는 창호 틀(F) 위치에 장착한다.
이러한 랙(100)은 랙-피니언을 통해 직선 운동을 회전으로 바꿔주거나 그 반대 운동으로 바꿔주는 통상의 기술을 이루어진 기술을 이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창호 틀(F)의 측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완충수단
완충수단(200)은, [도 1]·[도 7] 및 [도 8]과 같이, 창호 짝(D)에 장착한다. 이때, 완충수단(200)은 그 내부에 구성한 피니언(240)이 창호 짝(D)을 닫을 때 상술한 랙(100)에 맞물려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한다.
이러한 완충수단(200)은,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체(210), 액추에이터(220), 구동 기어(230), 피니언(240), 적어도 두 개의 록 핀(250), 안내판(260), 그리고 마찰판(270)을 포함한다.
1. 본체
본체(2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나로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서로 마주하여 조립하는 방법은 스크루나 볼트를 사용하거나,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2.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220)는, [도 1] 내지 [도 3]·[도 7]과 같이, 상술한 구동 기어(340)를 강제로 회전하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추에이터(220)는 구동 기어(3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베벨 기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액추에이터(220)는 직류 모터를 이용함으로써, 구동 기어(230)와 피니언(240)의 결속을 해제할 필요가 있을 때 쉽게 해제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특히, 이러한 액추에이터(220)는 후술할 로터리 댐퍼(280)를 추가했을 때는 창호 짝(D)의 전체 중량에 알맞게 적당한 속도로 회전 제어할 수 있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220)는 후술할 록 핀(250)과 구동 기어(230)를 강제로 회전하게 할 수 있는 회전력을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동 기어(230)가 후술할 마찰판(270)에 의해 탄성 지지를 받는 상태로 있게 되므로, 액추에이터(220)는 이처럼 탄성 지지를 받는 록 핀(250)과 구동 기어(230)를 강제로 회전하게 하여 구동 기어(230)와 피니언(240)이 함께 강제로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액추에이터(220)는, [도 7]과 같이, 창호 짝(D)을 닫을 때는 피니언(240)의 회전으로 구동 기어(230)가 함께 구동함에 따라 동시에 작동하여, 이 액추에이터(220)가 창호 짝(D)을 견인하여 소정의 속도로 이동하게 한다. 또한, [도 8]과 같이, 창호 짝(D)을 완전히 닫았을 때는 피니언(240)과 구동 기어(230)가 분리하게 하여 부하를 없앰으로써 쉽게 창호 짝(D)을 열 수 있게 한다.
3. 구동 기어
구동 기어(230)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상술한 액추에이터(220) 구동으로 회전하고, 이에 후술할 록 핀(250)을 통해 피니언(240)과의 결속을 해제하게 한다. 즉, 창호 짝(D)을 닫았을 때, 액추에이터(220)가 구동하여 구동 기어(230)를 강제로 회전하게 해서 피니언(240)과의 결속을 해제함으로써, 창호 짝(D)을 열 때 부하가 없어지게 되어 쉽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창호 짝(D)을 열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동 기어(230)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상술한 액추에이터(220)의 축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외주에는 적어도 두 개의 제1작동 홈(231)을 형성한다. 이때, 제1작동 홈(231)은 구동 기어(230)가 어느 한쪽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깊어지게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피니언(240)에 형성할 제2작동 홈(241)과 마주보게 하고, 그 사이에 록 핀(250)이 움직이면서 피니언(240)과 함께 움직이거나 따로 움직이게 한다. 이러한 움직임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제2작동 홈(241)과 록 핀(250)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제1작동 홈(231)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구동 기어(230)의 외주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동 기어(230)와 피니언(240)이 록 핀(250)에 의해 하나로 결속하여 함께 움직일 때 액추에이터(220)를 통해 전해진 회전력이 골고루 분산하여 전달할 수 있게 하여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1작동 홈(231)은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8개를 같은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 도면에서는 5개를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4. 피니언
피니언(240)은,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상술한 구동 기어(230)에 끼워져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외주는 창호 짝(D)을 닫을 때 상술한 랙(100)에 맞물림으로써 댐핑 작용과 더불어서 견인 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한다.
특히, 상기 피니언(240)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내주에는 상술한 제1작동 홈(231)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2작동 홈(24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작동 홈(241)은 상술한 제1작동 홈(241)을 형성할 때 구동 기어(23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이 제2작동 홈(241)도 점차 깊어지게 홈을 형성한다. 이는, 제1 및 제2작동 홈(241)이 겹쳐졌을 때, [도 7]과 같이 제1작동 홈(231)의 얇게 파인 곳과 제2작동 홈(241)의 깊게 파인 곳에 후술할 록 핀(250)이 위치하면, 록 핀(250)이 제1작동 홈(231) 밖으로 돌출하여 제2작동 홈(241)에 걸려 피니언(240)이 구동 기어(230)와 함께 회전하게 한다. 반대로, [도 8]과 같이, 제1작동 홈(231)의 깊게 파인 곳과 제2작동 홈(241)의 얇게 파인 곳에 후술할 록 핀(250)이 위치하면, 록 핀(250)이 제1작동 홈(231) 밖으로 돌출하지 않아 피니언(240)은 아이들 상태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
5. 록 핀
록 핀(250)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상술한 제1 및 제2작동 홈(231, 241)이 합쳐져서 생긴 공간에 각각 장착한다. 이때, 양단은 후술할 안내판(260)을 관통하게 끼워지거나, 관통하여 마찰판(270)에 밀착할 정도의 길이로 제작한다. 도면에서는, 5개의 록 핀(250)을 장착한 예를 보여준다.
특히, 상기 록 핀(250)은, [도 7]과 같이 제1작동 홈(231)의 가장 얇게 파인 위치(즉, 제2작동 홈(241)이 깊게 파인 위치)에 있을 때는 일부가 구동 기어(230) 밖으로 돌출하여 구동 기어(230)가 피니언(240)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하고, 반대로 [도 8]과 같이 제1작동 홈(231)의 가장 깊게 파인 위치(즉, 제2작동 홈(241)의 가장 얇게 파인 위치)에 있을 때는 구동 기어(230) 밖으로 돌출하지 않게 하여 구동 기어(230)와 피니언(240)이 각각 따로 회전할 수 있는 굵기로 제작한다.
6. 안내판
안내판(260)은,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상술한 피니언(240)의 양쪽 면에 각각 하나씩 장착한다. 이때, 안내판(260)에는 상술한 록 핀(250)의 끝이 끼워져서 이 록 핀(250)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판(260)에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한쪽 면에 록 핀(250)을 끼울 수 있도록 가이드(261)를 관통 형성한다. 이때, 가이드(261)는 상술한 제1 및 제2작동 홈(231, 241)에 의해 작동하는 록 핀(250)의 궤적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마찰판
마찰판(27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체(210)에 한쪽을 지지한 스프링(271)의 탄성 지지를 받아 안내판(260)을 가압하여 피니언(240)에 밀착하게 함에 따라 부하로 작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마찰판(27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안내판(260)과 피니언(260)이 일체로 밀착하게 하여 록 핀(250)이 임의의 위치로 움직이거나 이동하는 것을 막아준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견인형 창호용 댐퍼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로터리 펌프(280)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8. 로터리 펌프
로터리 펌프(28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본체(210)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1~5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이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로터리 펌프(280)를 창호 짝(D)의 전체 중량을 고려하여 적정한 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본체(210)에 추가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창호 짝을 닫을 때는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록 핀이 구동 기어와 연동하게 하여 견인 역할을 통해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여 손끼임을 방지하고, 창호 짝을 열 때는 액추에이터가 구동 기어를 강제로 회전시켜서 피니언과의 연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구성함으로 쉽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창호 짝을 열 수 있게 된다.
100: 랙
200: 완충수단
210: 본체
220: 액추에이터
230: 구동 기어
231, 241: 제1, 제2작동 홈
240: 피니언
250: 록 핀
260: 안내판
261: 가이드
270: 마찰판
271: 스프링

Claims (6)

  1. 창호 틀(F)에 장착하는 랙(100); 및 창호 짝(D)에 장착하여 상기 랙(100)에 치합하여 댐핑 작용하는 완충수단(200);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200)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나로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 본체(210);
    상기 본체(210)에 장착하는 액추에이터(220);
    상기 액추에이터(220)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외주에는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점차 깊어지게 적어도 두 개의 제1작동 홈(231)을 형성한 구동 기어(230);
    상기 구동 기어(230)에 끼워져서 상기 랙(100)에 맞물릴 수 있게 설치하며, 내주에는 상기 제1작동 홈(231)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구동 기어(230)와 같은 방향을 따라 점차 깊어지게 제2작동 홈(241)을 형성한 피니언(240);
    상기 제1 및 제2작동 홈(231,241)이 중첩하는 공간에 끼워져서 상기 피니언(240)과 나란하게 배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록 핀(250);
    상기 피니언(240)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하되, 상기 피니언(240) 밖으로 돌출한 록 핀(250)을 관통하게 끼워서 안내하는 가이드(261)를 갖춘 두 개의 안내판(260); 및
    상기 각 안내판(260)에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안내판(260)과 록 핀(250)의 가압하는 마찰판(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형 창호용 댐퍼.
  2. 제1항에서,
    상기 액추에이터(220)는,
    직류 모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제어하되,
    상기 구동 기어(230)와 직류 모터 축에 장착하여 서로 맞물리는 베벨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댐퍼.
  3. 제1항에서,
    상기 제1작동 홈(231)은,
    2~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형 창호용 댐퍼.
  4.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261)는,
    상기 록 핀(250)이 상기 제2작동 홈(241)에 끼워져서 움직이는 궤적을 따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형 창호용 댐퍼.
  5. 제1항에서,
    상기 액추에이터(220)의 회전력은,
    상기 마찰판(270)의 탄성 지지를 받는 록 핀(250)과 구동 기어(230)를 강제로 회전하게 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견인형 창호용 댐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완충수단(200)에는,
    상기 본체(210)에 적어도 1~5개의 로터리 댐퍼(280)를 추가하여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형 창호용 댐퍼.
KR1020190145854A 2019-11-14 2019-11-14 슬라이딩용 견인 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KR102531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854A KR102531538B1 (ko) 2019-11-14 2019-11-14 슬라이딩용 견인 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854A KR102531538B1 (ko) 2019-11-14 2019-11-14 슬라이딩용 견인 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423A true KR20210058423A (ko) 2021-05-24
KR102531538B1 KR102531538B1 (ko) 2023-05-15

Family

ID=7615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854A KR102531538B1 (ko) 2019-11-14 2019-11-14 슬라이딩용 견인 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5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224B1 (ko) * 2016-01-11 2016-07-04 박덕교 슬라이드 방식의 댐핑 장치
KR101691512B1 (ko) * 2015-03-05 2016-12-30 인영식 클러치 기능을 갖는 기어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모터
KR101783546B1 (ko) 2016-04-08 2017-09-29 홍정기 창호용 에어 댐퍼
KR101975764B1 (ko) 2017-11-23 2019-05-07 김순석 댐퍼 기능을 갖는 기어장치가 부착된 창호장치
KR101985136B1 (ko) 2018-03-13 2019-06-03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512B1 (ko) * 2015-03-05 2016-12-30 인영식 클러치 기능을 갖는 기어 구조 및 그를 이용한 모터
KR101636224B1 (ko) * 2016-01-11 2016-07-04 박덕교 슬라이드 방식의 댐핑 장치
KR101783546B1 (ko) 2016-04-08 2017-09-29 홍정기 창호용 에어 댐퍼
KR101975764B1 (ko) 2017-11-23 2019-05-07 김순석 댐퍼 기능을 갖는 기어장치가 부착된 창호장치
KR101985136B1 (ko) 2018-03-13 2019-06-03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538B1 (ko) 202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0741B1 (en) A door closer
EP2673443A2 (de) Beschleunigungs- und verzögerungsvorrichtung mit mitnahmelement-schwenkgelenk
CN108547884B (zh) 一种过载保护的阻尼器和一种电动尾门撑杆
US9181744B2 (en) Door actuator
WO2015040395A1 (en) A frame with a sliding mechanism
CN101718159A (zh) 一种双磁互推锁舌弹出机构
KR102432478B1 (ko)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DE202015104502U1 (de) Kraftfahrzeugschloss
DE202012002502U1 (de)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und Erleichterung des Kipp-Öffnens und -Schließens für ein Fenster oder eine Tür
DE102009004506A1 (de) Drehflügel-Blockiervorrichtung
KR20210058423A (ko) 슬라이딩용 견인 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ITGE20100025A1 (it) Sistema di attuazione dell'apertura e chiusura di ante
CA1206489A (en) Window regulator
CN209974036U (zh) 电梯轿厢锁定装置
EP0775556B1 (en) Hammer mechanism
JP2007092386A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6516198B2 (ja) 扉用閉鎖制動装置
WO2008135023A1 (de) PENDELTÜR MIT SELBSTSCHLIEßSCHARNIER
KR102040123B1 (ko) 도어 안전장치
JP2004316329A (ja) 建築用開閉体における衝撃緩衝装置
DE102010031856A1 (de) Türeinheit
DE3922932A1 (de) Stopper fuer tueren oder dgl.
KR20240020500A (ko)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
CN114837499B (zh) 具有电动开启、吸合支链的自适应多功能汽车侧门锁
RU2100269C1 (ru) Раздвижная дверь кабины лиф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07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809

Effective date: 2022072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