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478B1 -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478B1
KR102432478B1 KR1020177016614A KR20177016614A KR102432478B1 KR 102432478 B1 KR102432478 B1 KR 102432478B1 KR 1020177016614 A KR1020177016614 A KR 1020177016614A KR 20177016614 A KR20177016614 A KR 20177016614A KR 102432478 B1 KR102432478 B1 KR 102432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ock absorber
sliding wing
final position
re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6076A (ko
Inventor
볼프강 베렌스
미카엘 멘체르
Original Assignee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filed Critical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Publication of KR2017008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for raising wings before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8Gas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3Adjustable b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4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springs and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될 수 있거나 또는 슬라이딩/리프팅 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윙(2)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윙(2)을 닫힘 위치로 끌어들이기 위한 가동력저장장치 및 상기 슬라이딩 윙(2)이 최종/닫힘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제동될 수 있도록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력저장장치와 완충부재는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의 하우징(3)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윙(2)이 개방 위치에 머무르게 될 때 상기 가동력 저장장치를 제어하도록 프레임(5)에 고정되는 드라이버(6)와 연동하는 가동조절부재(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윙(2)의 어느 한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하우징(3)과 결합하는 어댑터 부재(7, 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의 하우징(3)과 상기 어댑터 부재(7, 8)가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 높이조절장치(9)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End position retraction and end position damping device for a slidable leaf as sliding leaf or slidable lift-and-slide leaf of a window or a door}
본 발명은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될 수 있거나 또는 슬라이딩/리프팅 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 도어를 닫기 위하여 특히, 면적이 넓은 육중한 슬라이딩 도어 또는 리프팅-슬라이딩 도어를 닫기 위하여 도어를 정지 상태에서 가속시키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하중이 필요하게 된다. 작동 중에 있는 육중한 슬라이딩 도어는 최종 위치에 도달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강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서 이에 상응하는 저항력으로 제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물리적인 사실은 종종 부주의로 인해 제대로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딩 도어가 최종위치에서 충돌하게 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한편, 반발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가 최종위치에서 반대 방향으로 튕겨 나오게 되어 결국 틈새가 형성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도어를 닫힘 위치로 밀어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이미 알려졌으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완충부재 및 최종위치 닫힘부재 등이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장치가 독일 공개공보 DE 102006007897 A1에 개시되어있다. 완충/인입부재를 수단으로 하는 상기 장치는 한편 가스압력스프링을 이용하여 발생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키고, 다른 한편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압력을 받게 되는 가스압력스프링을 통해 도어가 슬라이딩 경로의 마지막 구간에서 닫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주지의 상기 완충/인입부재는 전달 부재를 구비하는 공동의 커넥팅 로드와 결합하여, 상기 완충/인입부재의 하우징에서 일어나는 커넥팅 로드의 운동을 전달부재의 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동조절부재로 전달한다. 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조절부재는 슬라이딩 도어와 완충/인입부재 사이의 연결을 최종위치 다음의 짧은 구간을 지나서 해제하고,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이를 다시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동조절부재는 활주체에 구비되는, 양팔을 구비하는 레버로 형성된다. 더 나아가서 레버에 구비되는 레버 다리에 추가적으로 가이드 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인입부재 및 슬라이딩 윙에 배치되는 드라이버는 특별히 도어에 얹혀지도록 구성되고, 나사 고정수단을 통하여 견고하게 결속된다.
이러한 장치의 단점으로 슬라이딩 윙이 프레임과 유지하는 간격이 허용치에 미달한다는 점을 들 수 있으며, 이는 어떠한 배치 방식이나 고정 방식을 통하여서도 극복될 수 없다는 것이다. 완충/인입부재는 슬라이딩 윙과 고정되며, 드라이버는 프레임과 고정되기 때문에 윈도우 또는 도어가 가질 수 있는 허용치는 보정될 수가 없는 것이다. 이렇게 발생하는 허용치의 동요는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저하시키기 된다. 따라서 이 장치는 슬라이딩 가능한 리프팅-슬라이딩 윙의 장착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이는 특히 슬라이딩 윙이 프레임을 향하여 인상 및 하강하게 되는 리프팅-슬라이딩 윙에서 들쑥날쑥한 허용치에 추가하여 더 넓은 간격을 요구하기 때문에 더욱 그런 것이다. 그 밖에도, 이 장치는 넓은 배치 공간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이 장치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횡단면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는 그런 종류의 윈도우 또는 도어에만 적합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피팅 장치가 독일 공개공보 DE 102006019351 A1 에도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안된 장치는 상호 대향하여 직선 운동하는 두 개의 가이드 부재, 가속장치 및 지연장치로 이루어진 가이드시스템을 포함한다. 가속장치 및 지연장치는 최종위치 방향에 인접하는 부분행정 내에서 행정 방향과 결부되어 작동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공동의 구조세트로서 가속장치 및 지연장치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작동/조작부재를 포함하는데, 이 작동/조작부재는 견고하게 및/또는 형상이 맞물려 확실하게 체결되는 개방위치로부터 가속장치 및 지연장치를 해제시키고 최종위치로 이동케 한다.
주지의 이 장치는 가속장치 및 지연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두 개의 가동력저장 장치가 있어야 하는데, 이는 그 배치 및 요구되는 운동량으로 인하여 넓은 조립공간이 있어야 한다. 이 장치에 구비되는 관통공은 고정나사를 통하여 슬라이딩 윙과 프레임에 고정하는 목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의 고정 방식과 구성은 발생하게 되는 들쑥날쑥한 허용치를 상쇄시킬 수 있는 어떠한 가능성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가속장치 및 지연장치에 구현되는 경직된 메커니즘은 결국 후속하는 다른 장애 요소들, 예를 들면 추가적으로 슬라이딩 윙의 위치를 교정한다든지 또는 온도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길이의 변화 같은 장애 요소들을 보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이는 가속장치 및 지연장치의 고장으로 이어지거나 심지어 슬라이딩 윙의 피팅 장치 전체가 사용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가 있다.
더 나아가서 독일 공개공보 DE 202014001516 U1 에는 또한 윈도우 또는 도어을 위한 슬라이딩 윙 또는 리프팅- 슬라이딩 윙 및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가스압력 스프링은 커넥팅 로드 또는 피스톤 로드를 경유하여 윙의 인상속도를 지체함으로써 슬라이딩 윙이 잠금 위치로 충돌하는 것을 완화하는 한편, 제동을 거는 동시에 충격을 무마시킨다. 그 밖에도, 슬라이딩 윙이 앞서 열린 상태에서 압력을 받게 되는 가스압력 스프링을 통하여 슬라이딩 윙은 슬라이딩 운동의 마지막 구간에서 자동으로 닫힘 위치로 이동한다.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에 구비되는 U자 형상의 가동조절부재는 프레임에 배치되는 드라이버와 함께 작동하고, 개폐의 동작에 따라서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는 윈도우 또는 도어에 조립 장착될 수 있으며, 정확한 고정을 통하여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윙 또는 리프팅-슬라이딩윙에도 적합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의 하우징의 각각의 세로 방향의 단부에 형상 맞춤 결합 및/또는 견고한 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는 어댑터 부재가 구비된다.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와 어댑터 부재는 슬라이딩 윙의 상부 수평 빔의 단부에서 수용홈으로 인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발생하게 되는 허용오차, 예컨대 제작과 조립과정을 염두에 둔 허용오차 및 온도의 변화로 생기는 길이의 변동 또는 슬라이딩 윙을 안치시키는 가운데 발생하게 되는 허용오차 등의 동요는 고정나사를 수단으로 삼아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슬라이딩 윙 및 프레임에 고정하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는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국제 공개공보 WO 2013/146443 A1 에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윙 또는 슬라이딩 가능한 리프팅-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는 슬라이딩 윙을 잠금 위치로 인입하기 위한 가동력저장장치와 슬라이딩 윙이 최종위치 및 잠금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이를 제동하기 위한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력저장장치와 완충부재가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드라이버와 연동하고, 슬라이딩 윙이 개방 위치에 있게 될 때 가동력저장장치를 제동하는 가동조절부재가 슬라이딩 윙의 어느 한 부재에 고정되도록 하우징과 결합되는 어댑터 부재를 포함하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의 하우징과 어댑터 부재를 결합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서 유럽 공개공보 EP 2128368 A1에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윙으로서 슬라이딩 가능한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윙이, 바람직하게는 리프팅 될 수 있는 슬라이딩 윙이 개방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변환하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조작을 용이케 하고 또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이 확실하고, 미관이 수려하지만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좁은 공간에 단순, 신속, 안전, 정확한 방식으로 조립되고 조절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더 나아가서 윈도우 또는 도어의 허용오차에 적응할 수 있는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거나 또는 슬라이딩/ 리프팅 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는 커넥팅 로드 또는 피스톤 로드를 경유하는 가스압력 스프링을 수단으로 밀어내는 속도를 늦춤으로써 한편으로는 슬라이딩 윙이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슬라이딩 윙이 열리는 과정 중에 하중이 가해지는 가스압력 스프링을 통해서 슬라이딩 윙을 이동경로의 마지막 구간에서 자동으로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윈도우 또는 도어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는 슬라이딩 윙의 수용홈 내부에 감추어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발생하게 되는 허용오차의 동요 예컨대, 제작과 조립과정을 염두에 둔 허용오차 및 온도의 변화로 생기는 길이의 변동 또는 윙 또는 슬라이딩 윙을 프레임에 맞도록 안치시키는 동작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는 허용오차의 들쑥날쑥함을 해결할 수 있고 기능이 확실하게 작동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의 하우징과 어댑터 부재 사이의 결합부에 높이조절장치가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자동 조절되고, 상기 슬라이딩 윙에 배치되는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는 자동으로 상기 프레임에 맞도록 조정이 될 수 있고, 단계를 나누지 않고 스스로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절은 필요치 않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의 기능적인 장애 또는 슬라이딩 윙의 개폐 시 생겨날 수 있는 장애 요소는 슬라이딩 윙에 배치되는 가동조절부재 및 프레임에 장착되는 드라이버의 정확한 조절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단순하게 구성되기 위하여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어댑터 부재에 대하여 하우징이 가압된 상태로 지지가 되도록 용수철을 포함한다. 압축스프링으로 작동하게 되는 용수철과 높이조절장치의 간단한 구성은 제작을 용이하도록 하여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의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어댑터 부재 및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유동적인 부품을 통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의 높이 설정에 있어서 콤팩트하고, 용이하며, 거의 백래시 없을 정도의 조정이 가능한 것은 하우징의 세로 방향의 양 단부에서 어댑터 부재가 구비되고, 하우징은 자신의 높이에서 어댑터 부재에 대하여 스스로 조절하며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하우징이 슬라이딩 윙에 고정되는 어댑터 부재와 연동하며 힘이 전달되도록 결합된 상태로 프레임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윙과 평행하게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가 가속과 완충이 진행되는 동안 그리고 가동조절부재의 높이가 드라이버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균형이 맞추어지게 되는 동안 확실한지지가 가능하다는 것은 어댑터 부재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세로 방향의 양 단부가 T자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어댑터 부재는 이에 상응하는 형태(T자 형상)의 수용부를 구비하기 때문이다.
지속적으로 압력하에 놓이게 되는 용수철에 저장되는 가동력과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견고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어댑터 부재는 용수철이 완전하게 안치되도록 수용공을 포함하고, 하우징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는 수용공 안으로 인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고 용수철의 개방측 단부와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된다.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의 하우징을 어댑터 부재 및 높이조절장치에 확실하게 결속시키기 위하여 하우징과 어댑터 부재 사이의 구간을 동시에 제한하는 가운데 고정 플레이트가 고정나사를 수단으로 하여 어댑터 부재와 견고하게 결속되고, 형상 맞춤 결합방식으로 하우징과 일체를 이루는 형태로 구비된다.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가 가동조절부재와 드라이버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지속적으로 보장할 수 있게 가이드 레일에 구비되는 드라이버에 지속적으로 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것은, 한편으로 고정 플레이트가 어댑터 부재와 하우징 사이에서 벌어지는 슬라이딩을 제한하고 이때 용수철에 의해 최종 위치에서 계속 탄성지지되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 하우징은 양 단부에서 프레임을 향하는 면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로울러가 돌출하여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때 로울러는 높이조절장치를 통하여 미리 가압된 상태에서 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로울러는 경미한 마찰 저항력을 가짐으로써 슬라이딩 윙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에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되는 로울러가 콤팩트하고, 용이하며, 거의 백래시 없을 정도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로울러를 수용하기 위하여 하우징은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수용부는 하우징의 단면에 로울러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베어링 핀을 수용하기 위한 천공을 포함한다.
개방 위치에서 가동력이 구축되어 저장되며, 저장된 가동력이 정해진 행정을 통해 슬라이딩 윙을 잠금 최종위치로 가속하고 완충하고자 하는 의도에 따라 자동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의 작동에서 나타나는 효과적인 특징은 두 개의 다리를 구비하는 가동조절부재가 하우징의 측면가이드 수용부로부터 프레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딩 윙이 잠금 최종위치로 밀어지게 되면 상기 하나의 다리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드라이버를 통과하고 나서 드라이버에 확실하게 물려지고, 슬라이딩 윙이 적어도 한 행정 또는 부분 행정의 개방위치로 밀어지게 되면 다른 하나의 다리가 드라이버 에 제대로 물려질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딩 윙을 프레임에 장착하기 전 또는 이미 장착한 상태에서 고정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양 단부에 고정되는 어댑터 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슬라이딩 윙의 상부 수평 빔의 단부로부터 수용홈 안으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간단하며 비용이 절감되는 재료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때 하우징의 일 단부에 구비되는 어댑터 부재는 수용홈에서 고정나사를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격 부재와 수평 및 수직적으로 위치가 고정되는 형상 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이 가동력저장장치 및 완충부재의 부품들과 긴밀하게 조립되기 위한 또 다른 바람직한 결합은, 하우징의 단부에서 슬라이딩 윙의 수직 크로스 빔의 단부에 배치되는 어댑터 부재에 천공을 구비하는 원형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캐리어는 수용홈 하부에서 상부 수평 방향의 크로스 빔에 형성되는 수용공과 형상이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하고, 고정나사를 통해 슬라이딩 윙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는 조작로드 장치와 무관하게 윈도우 또는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는 점은 장치의 기능, 조립 및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윈도우 또는 도어가 이미 장착된 상태에서도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추가적 장착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원리적으로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은 특징들로 인하여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윙 또는 리프팅/슬라이딩 윙을 위한 편리한 형태의 구조가 단순하고도 비용이 절감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질 수 있다.
그 밖의 효과적인 실시 예들은 아래의 첨부 도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된 가동력이 해제된 상태의 최종위치에 있는, 높이조절 장치가 구비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가 슬라이딩 윙에 조립된 상태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슬라이딩 윙에 고정되는 어댑터 부재 및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저장된 가동력이 저장된 상태의 개방위치에 있는, 높이조절 장치 및 어댑터 부재가 구비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정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저장된 가동력이 해제된 상태의 최종위치에 있는, 높이조절 장치 및 어댑터 부재가 구비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정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장착 전 상태의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구비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구비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장착 후 상태의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구비한 개방 위치에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구비한 개방 위치에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슬라이딩 윙의 승강 상태를 도시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측단면도이다.
도 10b는 슬라이딩 윙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측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a에 따른 윈도우 또는 도어의 측면도이고, 장착된 상태의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구비한 슬라이딩 윙의 승강 상태를 도시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정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0b에 따른 윈도우 또는 도어의 측면도이고, 장착된 상태의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구비한 슬라이딩 윙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윈도우 또는 도어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a 및 도 10b에 따른 윈도우 또는 도어의 측면도이고, 장착된 상태의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구비한, 도 11a 및 도 11b에 따른 윈도우 또는 도어의 부분 확대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윙(2)은 화살표(39)가 가리키는 바와 같이 좌우로 슬라이딩 되며, 또한 각각의 실시에 따라 리프팅 될 수 있도록 고정된 프레임(5)에 배치된다. 화살표(39)는 개방 방향 및 담힘 방향을 나타낸다. 윙의 리프팅은 주지하다시피 손잡이로 형성되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조작핸들을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조작핸들을 움직임으로써 피팅 장치 홈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주지의 조작 로드를 통해 추진 로드로 전달/중계되고, 추진 로드는 마찬가지로 주지의 방식으로 하부 모서리 변환장치를 통해 전방 이동체 및 후방 이동체와 연동시켜, 슬라이딩 윙(2)의 리프팅과 그리고 종국에는 슬라이딩 방향(39)으로의 슬라이딩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도 2 및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될 수 있거나 또는 슬라이딩/리프팅 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윙(2)은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를 포함하고, 커넥팅 로드(41) 또는 피스톤 로드를 경유하는 가스압력 스프링(40)을 수단으로 하여 밀어내는 속도를 늦춤으로써 슬라이딩 윙(2)이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슬라이딩 윙(2)이 열리는 과정 중에 하중이 가해지는 가스압력 스프링(40)을 통해서 슬라이딩 윙(2)은 이동경로의 마지막 구간에서 자동으로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윙(2)의 수용홈(27) 내부에 감추어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회전축(43)에 두 개의 다리로 이루어진 U자 형상의 가동조절부재(4)가 배치된다. 상기 가동조절부재(4)는, 커넥팅링크 가이드(4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 되어, 커넥팅 로드(41)가 가스압력 스프링(40)의 하우징(45) 내부로 인입되는 가운데 가동력이 저장되는 개방 위치(도 4)로 이동한다. 이 개방위치에서 가스압력 스프링(40)을 향하는 방향으로 프레임(5)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된 형태의 종착단부면(46)은 커넥팅링크 가이드(44)의 일측 단부에 연장을 형성된다. 가동조절부재(4)가 만곡된 종착단부면(46)에 도달한 후 가동조절부재는 프레임(5)에 배치되는 드라이버(6)의 개방위치를 점하게 되어 가동력저장장치를 제동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위치가 도 4에도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윙(2)이 활짝 열리게 되면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는 계속해서 가동력이 저장되는 개방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이 위치에서 슬라이딩 윙(2)이 잠금 최종위치로 슬라이딩 되면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는 가동조절부재(4)가 드라이버(6)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작동하게 된다. 이 위치로부터의 해제는 슬라이딩 윙(2)이 잠금 최종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가스압력 스프링(40)에 구비되는 커넥팅 로드(41)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하우징 덮개(47, 48)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덮개(47 또는 48)에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커넥팅링크 가이드(44)를 포함하는 가스압력 스프링(40)의 회전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공간부(49)를 포함하고,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11a, 1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 부재(7, 8)와 연동할 수 있도록 결속되고,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의 하우징(3)과 어댑터 부재(7, 8)의 결합부에 높이조절장치(9)가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를 통하여 발생할 수도 있는 슬라이딩 윙(2)과 프레임(5) 사이의 규격의 차이를 교정할 수 있으며, 또한 슬라이딩 윙(2)와 프레임(5) 사이에 연동하는 부품들 즉, 가동조절부재(4)와 드라이브(6)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최종위치 인입및 완충장치(1)는 높이조절장치(9)가 구비됨으로써 스스로 조절이 되고, 슬라이딩 윙(2)에 배치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의 부품은 자동으로 프레임(5)에 대하여 조정된다. 조립하는데 있어서 또는 윈도우 또는 도어를 사용하는 가운데 추가적으로 수행해야만 하는 조절 과정은 단계를 나누지 않고 스스로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따로 요구되지 않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의 기능적인 장애 또는 슬라이딩 윙의 개폐 시 생겨날 수 있는 장애 요소는 높이조절장치(9)를 수단으로 슬라이딩 윙(2)에 배치되는 가동조절부재(4)와 프레임(5)에 장착되는 드라이버(6)의 정확한 치수 조절을 통하여 해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장치(9)는 어댑터 부재(7, 8)에 의해 하우징(3)이 가압된 상태로 지지가 되도록 스프링 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위에 기술한 높이조절장치(9)에 비교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작동에 적합한 힘을 전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부품의 장착 역시 고려할 수 있다.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의 높이 조절은 어댑터 부재(7, 8) 및 하우징(3)으로 이루어지는 유동적인 부품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하우징(3)의 세로 방향의 양 단부(11, 12)에 어댑터 부재(7, 8)가 구비되고, 하우징은 어댑터 부재(7, 8)에 의해 슬라이딩 되며 자신의 높이를 스스로 조절하게 된다. 어댑터 부재(7, 8)와 힘이 전달되도록 연동 결합하게 도시된 하우징(3)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 이전의 상태에서 계속 응력을 받게 되는 높이조절장치(9)의 최종 위치에 머무르게 되고,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또는 도어에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3)은 슬라이딩 윙(2)에 고정되는 어댑터 부재(7, 8)로부터 화살표 방향(50)으로 프레임 방향(5)을 향하여 슬라이딩 윙(2)의 가로 빔과 평행하게 간격이 형성되도록 작용한다.
가속과 완충이 실질적으로 진행되는 동안 그리고 가동조절부재(4)와 드라이버(6) 사이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균형이 맞추어지게 되는 동안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가 확실하게 지지가 될 수 있는 것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과 어댑터 부재(7, 8) 사이의 세로 방향의 양 단부(11, 12)에 T자 형상의 가이드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상 맞춤 결합방식은 수직으로 수용홈(27)으로의 높이 이동을 가능케 하고, 슬라이딩 윙(2)의 수용홈(27)의 세로 방향으로 확실하게 지지가 되도록 한다.
지속적으로 압력하에 놓이게 되는 용수철(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 부재(7, 8)에 구비되는 수용공(15) 내부로 완전히 안치되는 형태로 수용된다. 하우징(3)의 세로 방향의 양 단부(11, 12)에 구비되는 플레이트(16)는 수용공(15) 안으로 인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플레이트(16)는 수용공(15) 내부에서의 공동으로 작동되기 위하여 용수철(10)의 개방 단부(17)와 지속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8)는 고정나사(19)를 수단으로 하여 어댑터 부재(7, 8)와 견고하게 결속하고, 하우징(3)에 구비되는 플레이트(16)의 가시적인 윤곽 면과 견고하게 결합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더 나아가서 이러한 결합은 하우징(3)과 어댑터 부재(7, 8) 사이의 높이를 조정하는 구간을 한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런 경계의 설정으로 인하여 높이조절장치(9)를 조절하기 위한 범위도가 정해진다. 이때 용수철(10)은 인접하는 최종 위치에서 계속하여 힘을 받게 된다.
슬라이딩 윙(2)의 수용홈(27)에 고정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의 가동조절부재(4)가 가이드 레일(22)에 구비되는 드라이버(6)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프레임(5) 방향으로 드라이버(6)에 지속적인 하중을 가할 수 있는 것은, 한편으로는 어댑터 부재(7, 8)와 하우징(3) 사이에서 벌어지는 슬라이딩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은 양 단부(11, 12)에서 프레임(5)을 향하는 면(20)으로 돌출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울러(2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로울러(21)는 높이조절장치(9)를 통하여 미리 가압된 상태에서 프레임(5)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22)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도 10a, 10b 및 도 11a, 11b). 드라이버(6)를 수용하고, 슬라이딩 윙(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의 가이드 레일(22)이, 도 10a, 도 10b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5)의 수용홈(51)에 형상 맞춤 방식으로 구비된다. 슬라이딩 윙(2)에 가해지는 저항력, 예컨대 바람의 압력 또는 무단침입으로 인해 가해지는 저항력은 프레임(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통하여 그리고 슬라이딩 윙(2)과 프레임(5) 사이에 미세한 틈이 형성됨으로써 쉽게 제어될 수 있다.
하우징(3)에 가동의 로울러(21)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5)을 향하는 면(20)이 개방되는 수용부(23)가 구비된다. 로울러(21)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하여 수용부(23)는 하우징(3)의 측면에 로울러(21)의 회전축을 형성하게 되는 베어링 핀(25)을 수용하기 위한 천공(24)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서 가동력이 구축되고 저장되며, 저장된 가동력이 정해진 행정(42)을 통해 슬라이딩 윙(2)을 잠금 최종위치로 가속하고 완충하고자 하는 의도에 따라 자동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가동조절부재(4)에 구비되는 두 개의 다리(28, 29)가 하우징(3)의 측면가이드 수용부(52)로부터 프레임(5)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슬라이딩 윙(2)이 잠금 최종위치로 밀어지게 되면 다리(29)는 프레임(5)에 고정되는 드라이버(6)를 통과하고 나서 확실하게 물려지게 되고, 슬라이딩 윙(2)이 개방위치로 밀어지게 되면 드라이버(6)는 다리(28)에 의해서 제대로 물려진다.
도 4 및 도 5의 측면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드라이버(6)는 프레임(5)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22)의 홈(53)에서 활주체(54)를 통하여 후방을 결속하면서 슬라이딩 되고, 도 3에 도시한 대로 고정나사(55)를 통하여 자유롭게 위치를 점유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드라이버의 장착은, 가이드 레일(22)을 프레임(5)에 장착하기 전이거나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레일(22)의 공간부(56)를 통하여 가이드 레일(22)이 이미 장착된 상태이거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2)의 개방 단부(56)에서 홈(53) 안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윙(2)을 프레임(5)에 장착하기 전에 또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조립된 상태에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를 장착하기 위하여,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의 하우징(3)의 세로 방향의 양 단부(11, 12)에 형상이 맞물리는 방식으로 및/또는 서로 힘을 받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어댑터 부재(7, 8)가 구비되고, 어댑터 부재(7, 8)는 하우징(3)과 일체를 이루는 부품의 형태로 구성되고, 슬라이딩 윙(2)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크로스 빔의 일 측 단부로부터 수용홈(27) 안으로 인입되고, 하우징(3)의 일측 끝 부분에 배치되는 어댑터 부재(8)는 수용홈(27) 안에서 고정나사(32)를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격 부재(33)와 수평 및 수직적으로 층이 서로 맞닿는 형태로 위치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결합한다.
하우징(3)이 가동력저장장치 및 완충부재의 부품들과 긴밀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30)에 슬라이딩 윙(2)의 수직 크로스 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어댑터 부재(7)에 천공(36)을 구비하는 원형의 캐리어(35)가 구비되고, 캐리어(35)는 수용홈(27) 하부에서 상부 수평 방향의 크로스 빔(31)에 형성되는 수용공(37)과 형상이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하고, 고정나사(38)를 통해서 슬라이딩 윙(2)과 견고하게 결합한다.
그 밖에도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조작 로드 장치에 구비되는 피팅 부재와 무관하게 장착될 수 있다는 사실은 기능, 조립 및 비용적 측면에서 장점으로 부각되었다. 윈도우 또는 도어가 이미 장착된 상태에서도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를 추가적으로 장착하는 것도 아무런 문제없이 역시 가능하다.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윙(2) 또는 리프팅/슬라이딩 윙을 위한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은 특징들로 인하여 근본적으로 편리한 형태의 장치가 단순하고도 비용이 절감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1.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2. 슬라이딩 윙
3. 하우징 4. 가동조절부재
5. 프레임 6. 드라이버
7. 어댑터 부재 8. 어댑터 부재
9. 높이조절장치 10. 용수철/스프링
11. 단부 12. 단부
13. T자 형상 14. 수용부
15. 수용공 16. 플레이트
17. 단부 18. 고정 플레이트
19. 고정나사 20. 측면
21. 로울러 22. 가이드 레일
23. 수용부 24. 천공
25. 베어링 핀 26. 간격
27. 수용홈 28. 다리
29. 다리 30. 단부
31. 가로 빔 32. 고정나사
33. 이격부재 34. 세로 빔
35. 캐리어 36. 천공
37. 수용공 38. 고정나사
39. 화살표 40. 가스압력 스프링
41. 커넥팅 로드 42. 행정
43. 회전축 44. 커넥팅링크 가이드
45. 하우징 46. 종착단부면
47. 하우징 덮개 48. 하우징 덮개
49. 공간부 50. 화살표방향
51. 수용홈 52. 측면가이드 수용부
53. 홈 54. 활주체
55. 고정나사 56. 단부

Claims (13)

  1. 슬라이딩 될 수 있거나 또는 슬라이딩/리프팅 될 수 있는 윈도우용 또는 도어용의 슬라이딩 윙(2)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윙(2)을 닫힘 위치로 끌어들이기 위한 가동력저장장치; 및
    상기 슬라이딩 윙(2)이 최종/닫힘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제동될 수 있도록 완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력저장장치와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의 하우징(3)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윙(2)이 개방 위치에 머무르게 될 때 상기 가동력저장장치를 제어하도록 프레임(5)에 고정되는 드라이버(6)와 연동하는 가동조절부재(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윙(2)의 어느 한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하우징(3)과 결합하는 어댑터 부재(7, 8);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의 하우징(3)과 상기 어댑터 부재(7, 8)가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 높이조절장치(9); 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9)는 상기 어댑터 부재(7, 8)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3)이 힘이 가해진 상태로 지탱되도록 용수철(10)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부재(7, 8)는 상기 용수철(10)이 완전하게 위치를 점유할 수 있도록 수용공(15)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3)에 구비되는 플레이트(16)가 상기 수용공(15) 안으로 인입되고, 이때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여 상기 용수철(10)의 단부(17)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윙(2)에 배치되는 상기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1)가 자동 조절되는 높이조절장치(9)를 통해 자동으로 상기 프레임(5)에 높이가 맞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은 세로 방향의 각 단부(11, 12)에 상기 어댑터 부재(7, 8)가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 부재(7, 8)에 대항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의 상기 플레이트(16)와 상기 슬라이딩 윙(2)에 고정되는 상기 어댑터 부재(7, 8)의 상기 수용공(15)에 배치되는 상기 용수철(10)이 상호 힘이 전달되도록 연동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5) 방향을 향하여 상기 슬라이딩 윙(2)과 평행하게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의 세로 방향의 단부(11, 12)는 상기 어댑터 부재(7, 8)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댑터 부재(7, 8)는 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 플레이트(18)는 고정나사(19)를 통하여 상기 어댑터 부재(7, 8)와 견고하게 결속되고, 상기 어댑터 부재(7, 8)와 형상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하여 일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18)는 최종 위치에서 상기 어댑터 부재(7, 8)와 상기 하우징(3) 사이의 위치 변동을 제한하며, 상기 최종위치를 점유하는 동안 상기 용수철(10)을 통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은 각각의 단부(11, 12)에서 상기 프레임(5)을 향하는 면(20)에 돌출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울러(21)를 포함하고, 상기 로울러(21)는 상기 높이조절장치(9)를 통해 가압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5)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2)과 지속적인 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은 상기 로울러(21)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5)를 향하는 측면에 수용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3)는 상기 하우징(3)의 횡단면 상에 베어링 핀(25)을 수용하기 위한 천공(24)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핀(25)은 상기 로울러(21)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6)와 상기 가동조절부재(4) 사이의 간격(26)이 지속적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6)는 상기 프레임(5)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22)에 고정되고, 두 개의 다리(28, 29)로 이루어지는 상기 가동조절부재(4)가 상기 하우징(3)으로부터 프레임(5) 방향으로 돌출하면서 상기 드라이버(6)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윙으로서,
    상기 세로 방향의 단부(11, 12)에 고정되는 상기 어댑터 부재(7, 8)를 구비하는 상기 하우징(3)이 상부 가로 빔(31)의 일 단부(30)로부터 수용홈(27)으로 인입되고, 상기 하우징(3)의 단부(12)에 배치되는 상기 어댑터 부재(8)는 상기 수용홈(27)에서 고정나사(32)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속되는 이격 부재(33)와 수평/수직적으로 위치가 고정되는 형상맞춤 방식의 결속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윙.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에 구비되는 상기 어댑터 부재(7)의 단부(11)에 상기 슬라이딩 윙(2)의 세로 빔(34)의 단부(30)를 향하여 천공(36)을 구비하는 원형의 캐리어(35)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수용홈(27) 하부에서 상부 가로 빔에 구비되는 수용공(37) 안으로 형상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인입되고, 상기 슬라이딩 윙(2)에 구비되는 고정나사(38)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윙.
KR1020177016614A 2014-11-21 2015-10-29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KR102432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4009249.4 2014-11-21
DE201420009249 DE202014009249U1 (de) 2014-11-21 2014-11-21 Endlageeinzugs- und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für einen verschiebbaren Flügel als Schiebeflügel oder verschiebbaren Hebe-Schiebeflügel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PCT/EP2015/075054 WO2016078886A1 (de) 2014-11-21 2015-10-29 Endlageeinzugs- und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für einen verschiebbaren flügel als schiebeflügel oder verschiebbaren hebe-schiebeflügel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076A KR20170086076A (ko) 2017-07-25
KR102432478B1 true KR102432478B1 (ko) 2022-08-17

Family

ID=5213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614A KR102432478B1 (ko) 2014-11-21 2015-10-29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3221539B1 (ko)
KR (1) KR102432478B1 (ko)
CN (1) CN106795731B (ko)
DE (1) DE202014009249U1 (ko)
DK (1) DK3221539T3 (ko)
PL (1) PL3221539T3 (ko)
RU (1) RU2716190C2 (ko)
TR (1) TR201907220T4 (ko)
WO (1) WO2016078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MP201500121B1 (it) * 2015-05-20 2015-07-09 Tamar Sro Telaio integrato per un dispositivo frenante di ante di porte scorrevoli
DE102017100250A1 (de) * 2017-01-09 2018-07-12 Hettich-Heinze Gmbh & Co. Kg Schiebetürbeschlag
DE102017113862B3 (de) 2017-06-22 2018-09-20 Hahn-Gasfedern Gmbh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und Anordnung mit einer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KR101990204B1 (ko) * 2017-10-13 2019-06-17 황정연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CN107939206B (zh) * 2017-11-30 2023-06-30 湖南省金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滑撑式防火窗
KR102310039B1 (ko) * 2020-12-22 2021-10-07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3312A (ja) 2012-03-30 2013-10-17 Nifco Inc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2014177829A (ja) 2013-03-15 2014-09-25 Nakao Seisakusho:Kk 引戸用クロー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9371B1 (de) 2005-04-22 2010-02-26 Eku Ag Mitnehmer für eine Endlageeinzugs- und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und eine Endlageeinzugs- und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für eine Schiebetür.
DE102006019351B4 (de) 2006-04-24 2008-08-28 Zimmer, Günther Führungssystem mit Beschleunigungs- und Verzögerungsvorrichtung
DE202007014567U1 (de) * 2007-10-16 2007-12-13 Häfele GmbH & Co. KG Dämpfungs- und Einziehvorrichtung
EP2128368A1 (en) * 2008-05-29 2009-12-02 Mix S.r.L Stop device for panels of sliding doors
ITRN20090003U1 (it) * 2009-03-27 2010-09-28 Koblenz Spa Porta scorrevole a scomparsa.
US8925542B2 (en) * 2009-07-21 2015-01-06 Mansfield Assemblies Co. Slow open and/or slow close hinge assembly and hinge system
CN102472068B (zh) * 2009-08-20 2015-11-25 世嘉智尼工业株式会社 门窗开闭装置
KR101099241B1 (ko) * 2009-09-30 2011-12-27 주식회사 씨쓰리 행거도어가 연동하도록 결합된 미닫이 창호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CN203022495U (zh) * 2012-11-14 2013-06-26 佛山市南海区德骏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趟门缓冲器
DE202014001615U1 (de) 2014-02-20 2014-05-13 Franz Rothbrust Verstellbarer Armbandkompaß
DE202014001516U1 (de) * 2014-02-20 2014-03-21 Siegenia-Aubi Kg Endlageeinzugs-und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für einen verschiebbaren Flügel als Schiebeflügel oder verschiebbaren Hebe-Schiebeflügel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3312A (ja) 2012-03-30 2013-10-17 Nifco Inc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2014177829A (ja) 2013-03-15 2014-09-25 Nakao Seisakusho:Kk 引戸用クロー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7110145A3 (ko) 2019-02-06
PL3221539T3 (pl) 2019-09-30
EP3221539B1 (de) 2019-03-13
TR201907220T4 (tr) 2019-06-21
CN106795731A (zh) 2017-05-31
DK3221539T3 (da) 2019-05-13
CN106795731B (zh) 2018-08-31
RU2017110145A (ru) 2018-09-28
RU2716190C2 (ru) 2020-03-06
DE202014009249U1 (de) 2014-12-11
EP3221539A1 (de) 2017-09-27
WO2016078886A1 (de) 2016-05-26
KR20170086076A (ko)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478B1 (ko)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EP3099878B1 (en) Sliding door closing device
CN110603367B (zh) 用于引导门扇的导向系统
EP2286047B2 (de) Schiebetür
KR20160124209A (ko)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CN110168181B (zh) 滑动门配件
AU2014352079B2 (en) Flush bolt and door sealing system
CN107923206B (zh) 用于对两个滑动门进行定位的装置和家具
EP2925190B1 (de) 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bewegbaren möbelteiles
KR20130041246A (ko) 이젝터 장치 및 푸시 장치
KR101860577B1 (ko) 윈도우 또는 도어의 이동 가능한 윙을 위한 피팅
CA2661549A1 (en) A sliding support assembly
JP5650447B2 (ja) 引戸の跳ね上げ抑制装置
JP2019515162A (ja) 家具駆動装置
DE102017117573A1 (de) Dichtungsvorrichtung, damit versehener Schiebetürflügel sowie damit versehene Schiebetür
JP5650450B2 (ja) 引戸の跳ね上げ抑制装置
EP2136021A2 (en) Return and damping device for sliding doors, drawers and the like
EP3428376B1 (de) Beschlag für einen kipp- und schiebbaren flügel und verfahren zum öffnen und schliessen eines parallel abstellbaren und verschiebbaren flügels
EP2158374A1 (de) PENDELTÜR MIT SELBSTSCHLIEßSCHARNIER
CN113047722A (zh) 一种闭门缓冲器
DE102019216524A1 (de) Beschlaganordnung für einen parallelabstellbaren Flügel und Verschlussanordnung für eine Gebäudeöffnung
CN108583243A (zh) 一种新能源汽车用滑动式车门
KR102016832B1 (ko) 가구용 슬라이딩 아웃도어의 백래시 방지장치
KR102531538B1 (ko) 슬라이딩용 견인 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KR102010371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