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039B1 -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 Google Patents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039B1
KR102310039B1 KR1020200181344A KR20200181344A KR102310039B1 KR 102310039 B1 KR102310039 B1 KR 102310039B1 KR 1020200181344 A KR1020200181344 A KR 1020200181344A KR 20200181344 A KR20200181344 A KR 20200181344A KR 102310039 B1 KR102310039 B1 KR 102310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rotrusion
window
windows
movable body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이상도
유영봉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0018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039B1/ko
Priority to EP21215449.6A priority patent/EP4019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for raising wings before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05Y2201/256Fluid or viscous friction with pistons or v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4Type of motion, e.g. braking lin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292Form or shape having apertures
    • E05Y2800/296Slo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는, 손잡이의 잠금해제 작동시 하부틀로부터 상승하며 개폐를 위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손잡이의 잠금 작동시 하강하며 슬라이딩이 억제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에 사용되는 댐퍼조립체로서, 상부틀에 설치되는 고정돌기; 상기 창호의 상단면에 설치된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을 기준으로 타단부가 상기 창호의 승강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1 브라켓에 축결합되는 가동몸체; 상기 가동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를 폐쇄하는 슬라이딩 작동시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 작동하며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댐핑부; 및 상기 창호의 하강에 대응하여 상기 댐핑부와 상기 고정돌기 간의 걸림이 유지되도록 상기 창호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몸체의 타단부가 소정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규제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창호의 폐쇄시 가속에 따른 충격소음과 문끼임이 댐핑부에 의해 방지될 수 있고, 가동몸체의 회동에 의해 고정돌기와 댐핑부간의 걸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창호의 개방작동이 가벼운 힘으로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댐핑부가 구비됨에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협소한 공간에도 간편하게 설치됨은 물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DAMPER ASSEMBLY FOR LIFT SLIDING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의 잠금해제와 잠금 작동시 하부틀로부터 승강하며 슬라이딩되거나 슬라이딩이 억제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에 적용되어 문끼임 사고 또는 창호 개폐시 충격을 저감하고 편리한 사용에 도움을 주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미닫이 창(sliding window)이나 미닫이 문(sliding door)은, 구조물에 고정된 상부틀과 하부틀에 끼워져 측방으로 미끄러지면서 구획된 공간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를 말한다.
위와 같은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는 문짝이 미끄러지면서 열고 닫히는 구조이고, 창호 기술의 향상으로 롤러에 의한 슬라이딩이 감속 없이 적은 힘으로 부럽고 빠르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단열 등을 이유로 점점 무거워지는 창호는 자체의 관성력(inertial force)으로 인해 개폐 과정에서 과도한 속력으로 가속되며 측부틀이나 다른 창호와 부딪혀 충격 소음 또는 파손을 야기하고,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의 신체가 문틈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빈번하게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59676호(공개일: 2014년09월11일)에는 댐퍼수납부가 확장된 슬라이더 완충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선행기술은, 미닫이 도어의 문틀 등에 고정되며 후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 댐퍼수납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케이스의 댐퍼수납부에 설치되는 댐퍼, 댐퍼의 로드 선단에 장착되며 미닫이 도어를 비롯한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걸림쇠가 삽입되는 후크 및 댐퍼의 복귀를 위해 일단은 후크에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케이스의 댐퍼수납부가 댐퍼를 상하 두 방향에서만 지지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큰 규격의 공압 또는 유압댐퍼를 채택할 수 있고, 공압 또는 유압댐퍼의 누유 염려 및 고정의 염려가 적어 완충장치 주변의 청결 유지가 용이하며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선행기술의 완충장치는 문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따라서 위틀과 윗문틀 사이 이격거리가 일정해야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즉, 선행기술의 완충장치를 작동 개시되도록 하는 후크와 걸림쇠는 서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구조여서 장기간 사용이나 충격에 의해 위틀이나 윗문틀 중 어느 하나가 정위치에서 틀어지거나 창틀에 이물질이 끼는 등의 원인으로 위틀과 윗문틀 사이 이격거리가 일정하지 않게 되면, 후크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걸림쇠가 후크에 걸리지 않고 통과하거나 후크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걸림쇠가 케이스에 충돌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 손잡이의 회전 작동에 따라 창호 자체가 상승하며 슬라이딩 개폐되고, 하강하며 슬라이딩 억제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의 경우, 문틀과 창호 간의 상하부 간격이 1cm 내외로 가변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에 적용된 고정식 후크와 걸림쇠는 창호의 승강중에 쉽게 이탈하여 제대로 된 충격완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59676호(공개일: 2014년09월11일)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히 설치될 수 있는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구조의 댐핑조립체로 이루어지면서도, 창호의 폐쇄시 가속에 따른 충격소음과 문끼임이 방지될 수 있고, 상부틀 또는 하부틀과 창호의 간격이 다양한 원인으로 틀어지거나 가변되더라도 안정적이고 정확한 댐핑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손잡이의 잠금해제 작동시 하부틀로부터 상승하며 개폐를 위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손잡이의 잠금 작동시 하강하며 슬라이딩이 억제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에 사용되는 댐퍼조립체로서, 상부틀에 설치되는 고정돌기; 상기 창호의 상단면에 설치된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을 기준으로 타단부가 상기 창호의 승강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1 브라켓에 축결합되는 가동몸체; 상기 가동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를 폐쇄하는 슬라이딩 작동시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 작동하며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댐핑부; 및 상기 창호의 하강에 대응하여 상기 댐핑부와 상기 고정돌기 간의 걸림이 유지되도록 상기 창호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몸체의 타단부가 소정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규제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댐핑부는, 상기 가동몸체에 장착된 상태로 신축작동을 하며 상기 창호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댐퍼; 및 개방상태의 상기 창호가 폐쇄되기 전에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 작동하도록, 상기 댐퍼의 작동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가동몸체의 내측에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로부터 신장될 때 감속 작동을 하고 수축될 때 가속 작동을 하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후크부재와 축결합을 이루는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고정돌기가 인입되어 안착되는 체결홈; 상기 체결홈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걸리는 체결돌기; 및 상기 가동몸체 내측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피스톤로드의 수축시 상기 후크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고정돌기 간의 체결 또는 분리를 유도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신장시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고정돌기 간의 체결이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상부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에 경사이동 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슬라이딩블록의 하단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를 관통하며 나사체결되고,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승강시키는 조절나사에 의해 높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가동몸체는, 상하로 형성된 상기 제2 브라켓의 장공에 끼워지도록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장공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가동몸체의 회동을 규제하는 가동핀; 및 상기 가동핀과 상기 장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동핀의 슬라이딩을 윤활하는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체결홈 간의 원활한 체결과 체결력 유지를 위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창호의 상단면에 설치된 제1 브라켓을 기준으로 창호의 승강방향으로 회동하는 가동몸체와, 가동몸체에 구비되어 창호를 폐쇄하는 슬라이딩 작동시 상부틀에 설치된 고정돌기에 걸림 작동하며 창호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댐핑부와, 창호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가동몸체의 타단부가 소정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규제하는 제2 브라켓이 서로 유적으로 결합됨으로 인해, 창호의 폐쇄시 가속에 따른 충격소음과 문끼임이 댐핑부에 의해 방지될 수 있고, 상부틀 또는 하부틀과 창호의 간격이 창호의 승강작동 또는 다양한 원인으로 틀어지거나 가변되더라도 가동몸체의 회동에 의해 고정돌기와 댐핑부간의 걸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창호의 개방작동이 가벼운 힘으로 부드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댐핑부가 구비됨에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협소한 공간에도 간편하게 설치됨은 물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가 설치되는 창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댐퍼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개방된 상태에서 창호가 폐쇄되기 전에 고정돌기와 후크부재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이어서 고정돌기와 후크부재 간의 체결에 따라 신장되는 댐퍼의 작동에 의해 감속된 상태로 최종 폐쇄된 창호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이어서 최종 폐쇄된 창호의 슬라이딩을 억제하기 위해 손잡이를 잠금 작동한 경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이어서 최종 폐쇄된 창호의 슬라이딩을 위해 손잡이를 잠금해제 작동한 경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이어서 폐쇄된 상태에서 창호의 개방에 따라 수축되는 댐퍼의 작동에 의해 개방이 가속되며 고정돌기와 후크부재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이어서 후크부재가 고정돌기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창호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가 설치되는 창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댐퍼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개방된 상태에서 창호가 폐쇄되기 전에 고정돌기와 후크부재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이어서 고정돌기와 후크부재 간의 체결에 따라 신장되는 댐퍼의 작동에 의해 감속된 상태로 최종 폐쇄된 창호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이어서 최종 폐쇄된 창호의 슬라이딩을 억제하기 위해 손잡이를 잠금 작동한 경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이어서 최종 폐쇄된 창호의 슬라이딩을 위해 손잡이를 잠금해제 작동한 경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이어서 폐쇄된 상태에서 창호의 개방에 따라 수축되는 댐퍼의 작동에 의해 개방이 가속되며 고정돌기와 후크부재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이어서 후크부재가 고정돌기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창호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후(창호의 개폐)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하(창호의 승강)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100)는, 손잡이(12)의 잠금해제 작동시 하부틀로부터 상승하며 개폐를 위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손잡이(12)의 잠금 작동시 하강하며 슬라이딩이 억제되는 도 1의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10)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조립체(100)는, 상술한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10)의 폐쇄시 가속에 따른 충격소음과 문끼임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부틀(20) 또는 하부틀과 창호(10)의 간격이 창호(10)의 승강작동 또는 다양한 원인으로 틀어지거나 가변되더라도 가동몸체(130)의 회동에 의해 고정돌기(110)와 댐핑부(140)간의 걸림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협소한 공간에도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조립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10), 제1 브라켓(120), 가동몸체(130), 댐핑부(140) 및 제2 브라켓(150)(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돌기(110), 제1 브라켓(120), 가동몸체(130), 댐핑부(140) 및 제2 브라켓(150)(150) 등은 제조의 용이성, 생산성 향상 및 저비용을 위해 내충격성, 내열내한성, 고강도 및 내후성이 우수한 PC(폴리카보네이트), 내구성이 금속의 7배에 달하고, 내식성, 절연성, 충격흡수성 및 자기윤활성이 우수한 M/C NYLON(엠씨 나일론), 유리섬유로 강화된 NYLON66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소재로 각각 사출성형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돌기(110)는, 창호(10)틀의 상단부에 배치된 상부틀(20)에 고정 설치되어 후술할 후크부재(144)와 걸림 결합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창호(10)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후술할 후크부재(144)에 대하여 자동으로 걸림 결합을 이루는 갈고리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돌기(110)는, 전체적으로 창호(10)의 개방방향으로 꺾인 'ㄴ' 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틀(20)에 고정되는 단순한 구조일 수 있고,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2), 슬라이딩블록(114) 및 조절나사(116) 등을 더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고정돌기(110)의 구조는, 승강형 창호(10)의 승강 높이 차이, 창호(10)틀의 규격 차이 또는 창호(10)틀의 변형 여부 등에 따라 고정돌기(110)와 후술할 후크부재(144) 간의 이격거리가 서로 다르더라도, 상부틀(20)에 고정되는 고정돌기(110)의 높이 조절을 통해 후술할 후크부재(144)와 고정돌기(110) 간의 정확한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12)은, 중앙부에 관통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부틀(20)에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슬라이딩블록(114)은, 지지프레임(112)의 관통된 내부공간에 경사이동 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슬라이딩블록(114)의 하단면에 상술한 고리형상의 고정돌기(11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112)과 슬라이딩블록(114)에는, 고정돌기(110)의 승하강 이동을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해, 승강돌기와 경사형성된 승강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나사(116)는, 지지프레임(112)의 하단부를 관통하며 나사체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지지프레임(112)에 대한 정역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며 슬라이딩블록(114)을 승강시킴으로써, 고정돌기(110)의 상하 위치 즉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고정돌기(110) 및 후술할 체결홈(144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M)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영구자석(M)이 고정돌기(110) 및 후술할 체결홈(144a)의 일부를 이루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고정돌기(110)와 후크부재(144)(체결홈(144a)) 간의 체결이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고, 걸림 결합이 유격 없이 견고하게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창호(10)의 슬라이딩 작동중 고정돌기(110)와 체결홈(144a) 간에 발생하게 되는 소음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20)은, 창호(10)의 상단면에 설치되고, 후술할 가동몸체(130)의 일단부와 축결합(122)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제1 브라켓(120)으로 인해 가동몸체(130)의 타단부는 창호(10)의 승강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가동몸체(130)는, 상부틀(20)에 위치 고정된 고정돌기(110)에 걸림 결합된 후크부재(144)가 창호(10)의 승강작동에도 고정돌기(1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막대형 부품으로 구성되어 창호(10)의 상단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한 쌍의 막대형 부품으로 구성되는 가동몸체(130)는, 후술할 댐핑부(140)를 내측 공간에 수용한 상태로, 일단부가 상술한 제1 브라켓(120)과 축결합(122)되고 타단부가 후술할 제2 브라켓(150)(150)과 결합됨으로써, 창호(10)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축결합(122)을 기준으로 가동몸체(130)의 타단부가 소정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동몸체(130)는 제2 브라켓(150)(150)과 유격 없이 결합하면서 소정 범위에서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가동핀(134) 및 부싱(1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핀(134)은, 상하로 형성된 제2 브라켓(150)(150)의 장공(152)에 끼워지도록 가동몸체(13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막대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장공(152)의 안내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됨으로써, 가동몸체(130)의 회동을 규제하게 된다.
부싱(136)은, 가동핀(134)의 슬라이딩을 윤활하기 위해 마련된 링형 상의 구성요소로서, 가동핀(134)과 장공(152)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가동핀(134)과 장공(152)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싱(136)은, 내식성, 절연성, 충격흡수성 및 자기윤활성이 우수한 M/C NYLON(엠씨 나일론) 또는 내수성, 내약품성, 내열성 및 자기율활성이 우수한 TEFLON(테프론) 등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120)과 제2 브라켓(150)(150)에 의해 창호(10)의 상단면에 설치되는 가동몸체(130)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구비된 댐핑부(140)와 함께 회동하며 상대적으로 후크부재(144)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작동을 수행함에 따라, 후크부재(144)는 고정돌기(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걸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댐핑부(140)는, 상술한 가동몸체(130)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어 창호(10)를 폐쇄하는 슬라이딩 작동시 고정돌기(110)에 걸림 작동하며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걸림 작동에 기인한 감속 작용으로 인해 창호(10) 개폐에 따른 충격소음이 방지될 수 있고, 창호(10) 폐쇄로 인한 문끼임 사고 등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기능 내지 작용의 구현을 위해, 댐핑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42) 및 후크부재(14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142)는, 가동몸체(130)에 장착된 상태로 신축작동을 하며 창호(10)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실린더(142a), 피스톤로드(142b) 및 회동부(142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42a)는, 외력에 대한 완충 작용을 수행하는 소재가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가동몸체(13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가동몸체(130)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소재는, 압축스프링 또는 공기 등의 유체일 수 있다.
피스톤로드(142b)는, 실린더(142a)에 대하여 선형으로 신축작동을 수행하는 막대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피스톤로드(142b)의 내측 단부는, 실린더(142a) 내의 압축스프링과 결합되거나 공기 등의 유체를 압축 또는 팽창시키도록 구성되어 외력에 대응한 감쇠력을 외측 단부에 절달하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로드(142b)의 외측 단부는, 피스톤로드(142b)의 내측 단부를 통해 전달된 감쇠력을 후크부재(144)에 전달하기 위해 회동부(142c)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동부(142c)는, 피스톤로드(142b)에 대하여 후크부재(144)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후크부재(144)와 축결합을 이루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142a)와 피스톤로드(142b)로 구성되어 감속 내지 감쇠 작동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142)는, 적어도 수축된 기본 상태의 피스톤로드(142b)가 실린더(142a)로부터 신장될 때 감속 작동(탄성변형 또는 반력의 발생)을 하고, 수축될 때 가속 작동(탄성복원 또는 반력의 회수)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142)는, 필요에 따라 실린더(142a)로부터 피스톤로드(142b)가 신장될 때는 물론, 수축될 때에도 각각 감속 작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댐퍼(142) 관련 공지기술의 적용이나 공지기술의 변형 등을 통해 다양한 감쇠능력과 작동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후크부재(144)는, 개방상태의 창호(10)가 폐쇄되기 전에 상부틀(20)의 고정돌기(110)에 대하여 걸림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창호(10)와 함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틀(20)의 일지점에 설치된 고정돌기(110)와 자동으로 걸림 결합을 이루는 갈고리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재(144)는,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알파벳 'G' 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회동부(142c)를 통해 상술한 피스톤로드(142b)와 축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후크부재(144)는,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홈(144a), 체결돌기(144b) 및 안내돌기(144c)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체결홈(144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동부(142c)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후크부재(144)에 의해 고정돌기(110)가 인입되어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고정돌기(110)의 형상에서 약간의 작동 유격을 둔 대응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돌기(144b)는, 체결홈(144a)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창호(10)의 폐쇄 작동시 고정돌기(110)와 가장 먼저, 걸림 결합을 이루고, 창호(10)의 개방 작동시 고정돌기(110)로부터 가장 나중에 이탈되는 구성요소로서, 고정돌기(110)의 내측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는 돌출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안내돌기(144c)는, 피스톤로드(142b)의 신축에 따라 이동하는 후크부재(144)의 직선운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체결돌기(144b)와 고정돌기(110) 간의 걸림 작동을 위해 후크부재(14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후크부재(144)의 하단 양측면에서 회동부(142c)와 거리를 두고 돌출형성되어 가동몸체(130) 내측의 안내홈(132)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안내홈(1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상의 홈으로 세로방향의 홈과 가로방향의 홈으로 구분되어 안내돌기(144c)와 함께 아래와 같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재(144)를 견인하는 피스톤로드(142b)가 창호(10)의 슬라이딩에 따라 완전히 수축된 상태에 놓이게 되면, 안내돌기(144c)는 가로방향에서 세로방향의 안내홈(132)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후크부재(14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위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후크부재(144)로 인해, 체결돌기(144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0)의 폐쇄 작동시 고정돌기(110)와 체결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10)에 걸림 결합된 상태의 체결돌기(144b)는, 창호(10)의 개방 작동시 고정돌기(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142b)가 완전히 수축된 도 3의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창호(10)가 완전히 폐쇄될 때까지 점차 신장되는 작동을 수행하는 경우, 안내돌기(144c)는 회동부(142c)를 축으로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의 안내홈(132)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후크부재(144)의 체결돌기(144b)와 상부틀(20)의 고정돌기(110)는 서로 견고한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브라켓(150)(150)은, 댐핑부(140)와 고정돌기(110) 간의 걸림 결합이 이루어진 위치로부터 하강하는 승강형 창호(10)에 대응하여 댐핑부(140)와 고정돌기(110) 간의 걸림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1 브라켓(120)을 마주하는 창호(10)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가동몸체(130)의 가동핀(134)이 끼워지는 상하 방향의 장공(152)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브라켓(150)(150)의 장공(152)은, 삽입설치된 가동핀(134)의 상하 슬라이딩을 안내하고 규제함으로써 가동몸체(130) 타단부의 회동 범위를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정돌기(110), 제1 브라켓(120), 가동몸체(130), 댐핑부(140) 및 제2 브라켓(150)(150) 등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댐퍼조립체(100)가,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10)에 설치되면, 다음과 같은 일련의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틀(20)에 설치된 고정돌기(110)는, 개방된 상태의 창호(10)가 폐쇄되기 전에 댐핑부(140)의 후크부재(144)와 자동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부(140)는, 폐쇄 작동하는 창호(10)가 측부틀(30)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신장되는 피스톤로드(142b)를 통해 창호(10)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0)가 완전히 폐쇄되면, 사용자는 폐쇄된 창호(10)의 슬라이딩을 억제하기 위해 손잡이(12)를 회전(잠금)시켜 창호(1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돌기(110)가 설치된 상부틀(20)과 후크부재(144)가 위치한 창호(10) 간의 이격거리가 증대되지만, 후크부재(144)는, 제1 브라켓(120)을 축으로 회동하며 제2 브라켓(150)(150)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고 안내되는 가동몸체(13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돌기(110)와의 걸림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슬라이딩이 억제된 창호(10)의 개방을 위해, 손잡이(12)를 회전(잠금해제)시켜 창호(1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돌기(110)가 설치된 상부틀(20)과 후크부재(144)가 위치한 창호(10) 간의 이격거리가 감소하게 되지만, 후크부재(144)는, 제1 브라켓(120)을 축으로 회동하며 제2 브라켓(150)(150)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고 안내되는 가동몸체(13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돌기(110)와의 걸림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부(140)는, 창호(10)의 개방에 따라 수축되는 피스톤로드(142b)의 작동에 의해 창호(10)의 슬라이딩 속도를 가속하게 되고, 이와 함께 안내돌기(144c)에 의한 후크부재(144)의 회동에 따라 고정돌기(110)와 후크부재(144)는 서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0)의 개방이 계속 진행되면, 댐핑부(140)의 피스톤로드(142b)는 완전히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후크부재(14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후크부재(144)는 고정돌기(110)와 항상 걸림 결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조립체(100)에 의하면, 창호(10)의 폐쇄시 가속에 따른 충격소음과 문끼임이 방지될 수 있고, 상부틀(20) 또는 하부틀과 창호(10)의 간격이 창호(10)의 승강작동 또는 다양한 원인으로 틀어지거나 가변되더라도 가동몸체(130)의 회동에 의해 고정돌기(110)와 댐핑부(140)(후크부재(144))간의 걸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댐핑부(140)가 구비됨에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창호 12: 손잡이
20: 상부틀 30: 측부틀
100: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110: 고정돌기 M: 영구자석
112: 지지프레임 114: 슬라이딩블록
116: 조절나사 120: 제1 브라켓
122: 축결합 130: 가동몸체
132: 안내홈 134: 가동핀
136: 부싱 140: 댐핑부
142: 댐퍼 142a: 실린더
142b: 피스톤로드 142c: 회동부
144: 후크부재 144a: 체결홈
144b: 체결돌기 144c: 안내돌기
150: 제2 브라켓 152: 장공

Claims (7)

  1. 손잡이의 잠금해제 작동시 하부틀로부터 상승하며 개폐를 위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손잡이의 잠금 작동시 하강하며 슬라이딩이 억제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에 사용되는 댐퍼조립체로서,
    상부틀에 설치되는 고정돌기; 상기 창호의 상단면에 설치된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을 기준으로 타단부가 상기 창호의 승강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1 브라켓에 축결합되는 가동몸체; 상기 가동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를 폐쇄하는 슬라이딩 작동시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 작동하며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댐핑부; 및 상기 창호의 하강에 대응하여 상기 댐핑부와 상기 고정돌기 간의 걸림이 유지되도록 상기 창호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몸체의 타단부가 소정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규제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상기 가동몸체에 장착된 상태로 신축작동을 하며 상기 창호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댐퍼; 및 개방상태의 상기 창호가 폐쇄되기 전에 상기 고정돌기에 걸림 작동하도록, 상기 댐퍼의 작동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몸체는,
    상하로 형성된 상기 제2 브라켓의 장공에 끼워지도록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창호의 승강작동시 상기 장공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을 축으로 하는 상기 가동몸체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고정돌기 간의 걸림 결합을 유지시키는 가동핀을 포함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가동몸체의 내측에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로부터 신장될 때 감속 작동을 하고 수축될 때 가속 작동을 하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후크부재와 축결합을 이루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고정돌기가 인입되어 안착되는 체결홈;
    상기 체결홈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걸리는 체결돌기; 및
    상기 가동몸체 내측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피스톤로드의 수축시 상기 후크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고정돌기 간의 체결 또는 분리를 유도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신장시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고정돌기 간의 체결이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상부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에 경사이동 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슬라이딩블록의 하단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를 관통하며 나사체결되고,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승강시키는 조절나사에 의해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체결홈 간의 원활한 체결과 체결력 유지를 위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KR1020200181344A 2020-12-22 2020-12-22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KR102310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44A KR102310039B1 (ko) 2020-12-22 2020-12-22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EP21215449.6A EP4019727B1 (en) 2020-12-22 2021-12-17 Damper assembly for lift sliding window/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44A KR102310039B1 (ko) 2020-12-22 2020-12-22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039B1 true KR102310039B1 (ko) 2021-10-07

Family

ID=7811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344A KR102310039B1 (ko) 2020-12-22 2020-12-22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4019727B1 (ko)
KR (1) KR1023100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537B1 (ko) 2022-06-07 2023-04-10 주식회사 미맥스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KR102557463B1 (ko) 2023-02-01 2023-07-19 주식회사 미맥스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에 장착되는 댐퍼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40899A3 (fr) * 2022-10-14 2024-04-19 Koblenz S.P.A Systeme de guidage perfectionne pour vantaux de portes coulissantes a fermeture et/ou ouverture assistee
EP4357289A1 (en) * 2022-10-19 2024-04-24 Electroelsa S.r.l. Elevator door with damp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6851A (ja) * 2006-12-21 2008-07-10 Kuriki Manufacture Co Ltd 引戸クローザー
JP2009275497A (ja) * 2008-05-16 2009-11-26 Kiyohara:Kk 引戸用閉止装置
KR101559676B1 (ko) 2014-07-30 2015-10-13 여길봉 댐퍼수납부가 확장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KR20160124209A (ko) * 2014-02-20 2016-10-26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4009249U1 (de) * 2014-11-21 2014-12-11 Siegenia-Aubi Kg Endlageeinzugs- und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für einen verschiebbaren Flügel als Schiebeflügel oder verschiebbaren Hebe-Schiebeflügel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DE102017113862B3 (de) * 2017-06-22 2018-09-20 Hahn-Gasfedern Gmbh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und Anordnung mit einer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6851A (ja) * 2006-12-21 2008-07-10 Kuriki Manufacture Co Ltd 引戸クローザー
JP2009275497A (ja) * 2008-05-16 2009-11-26 Kiyohara:Kk 引戸用閉止装置
KR20160124209A (ko) * 2014-02-20 2016-10-26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슬라이딩 윙을 위한 최종위치 인입 및 완충장치
KR101559676B1 (ko) 2014-07-30 2015-10-13 여길봉 댐퍼수납부가 확장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537B1 (ko) 2022-06-07 2023-04-10 주식회사 미맥스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KR102557463B1 (ko) 2023-02-01 2023-07-19 주식회사 미맥스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에 장착되는 댐퍼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9727B1 (en) 2023-07-05
EP4019727A1 (en)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0039B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KR101430754B1 (ko) 미닫이문의 속도조절댐퍼
RU2712413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кольжения и торможения для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и ставней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1990204B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KR101668355B1 (ko) 가이드 양방향 기울기형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101465768B1 (ko) 창 개폐 장치
JP2016217106A (ja) 引戸用緩衝閉鎖装置
EP2397637A1 (en) Moving body moving apparatus
KR20180106308A (ko) 창짝의 개폐가 용이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CN210342985U (zh) 一种上悬窗自动锁闭装置
EP4343097A1 (en) New damper for sliding door and window
CN110219521B (zh) 一种上悬窗自动锁闭装置
KR101784985B1 (ko)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101642410B1 (ko) 미는 힘이 덜 드는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10251953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KR20070066831A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KR200485706Y1 (ko)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프레임
KR20180096936A (ko) 미서기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KR101447728B1 (ko) 미닫이문의 개폐방법
KR102083058B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US2832627A (en) Gate latch keeper
CN104653017B (zh) 一种曲柄滑块机构控制的掀式自动门
KR102003115B1 (ko) 창짝의 부분 개폐가 가능한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101752693B1 (ko)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