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546B1 - 창호용 에어 댐퍼 - Google Patents

창호용 에어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546B1
KR101783546B1 KR1020160043169A KR20160043169A KR101783546B1 KR 101783546 B1 KR101783546 B1 KR 101783546B1 KR 1020160043169 A KR1020160043169 A KR 1020160043169A KR 20160043169 A KR20160043169 A KR 20160043169A KR 101783546 B1 KR101783546 B1 KR 101783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air
piston
groove
wind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기
Original Assignee
홍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기 filed Critical 홍정기
Priority to KR102016004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2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끝단에 마련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고정축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빠르게 진입하면 둘레가 확장됨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압력을 상승시키는 패킹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천천히 배출시키는 배기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가 일정속도 이상이면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공기가 압축되면며, 압축된 내부공기가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배기저지부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관통공으로 천천히 배출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이동이 느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에어 댐퍼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공기를 압축하거나 압축된 공기를 천천히 배출시킴으로써 피스톤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창호를 열고 닫을 때 창호의 충돌 및 창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원시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용 에어 댐퍼{Air damper for windows}
본 발명은 창호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서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한다.
이때, 창 또는 문들이 지지되는 창호프레임은 사용재료에 따라 목제 창호프레임과 금속제 창호프레임으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창호프레임이 제작되기도 한다.
현재 빌딩에는 일측 또는 하단부를 회전중심으로 선회 개방되는 T-T(Tilt & Turn)방식의 창호가 많이 사용되고, 주거환경에는 대형창문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티-티 방식의 창호는 초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경우 창문 개폐과정에서 고풍압(高風壓)에 의하여 창문틀이 창틀프레임에 급격하게 닫히게 되는데, 이때 창문틀이 닫히면서 창문틀과 창틀프레임의 충돌이 발생하고, 이 충격에 의해 창문틀 또는 창틀프레임의 각 모서리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기술문의 발명이 개발되었는데, 비교적 작은 창문에는 적용할 수 있지만, 미닫이 형태의 대형창문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대형창문은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손잡이를 잡고 무심결에 세게 잡아당기거나 밀면 관성에 의해서 창문의 열리거나 닫히는 속도가 줄어들지 않는다. 이는, 창문의 하단에 설치되는 도르래의 성능이 좋아야만 대형창문을 손쉽게 열거나 닫을 수 있다. 하지만, 대형창문의 이동속도가 빨라지면 이를 저지하기 어려워서 창문과 창틀이 서로 충돌하면서 창문 또는 창틀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소형창문은 무게가 가벼워서 순간의 충격이 작지만 대형창문은 관성이 커서 한번의 충격흡수만으로는 부족하다.
더욱 상세하게 종래의 발명을 살펴보면, 실린더의 내부에 스프링을 삽입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방식인데, 내부공기의 배출속도나 외부공기의 배출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창문의 충격흡수는 전적으로 스프링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중량이 큰 창문에 종래발명을 적용하면 창문의 충격이 스프링을 압축시키기 때문에 스프링에 전달되는 충격이 고스란히 실린더로 전달되고 이는 실린더의 파손을 야기 시킨다.
만약, 스프링의 탄성력을 높이면 충격흡수 후에 창문이 스프링에 의해 반동 되어 창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창문을 닫아야 하므로 매우 큰 힘으로 창문을 닫아야 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8272호(공개일자 2013. 08. 0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를 압축하거나 압축된 공기를 천천히 배출시킴으로써 피스톤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창호를 열고 닫을 때 창호의 충돌 및 창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원시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할 수 있는 창호용 에어 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끝단에 마련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고정축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빠르게 진입하면 둘레가 확장됨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압력을 상승시키는 패킹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천천히 배출시키는 배기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의 진입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이면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공기가 압축되고, 압축된 내부공기가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배기저지부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관통공으로 천천히 배출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이동이 느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에어 댐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공기를 더욱 천천히 배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배기저지부가 밀착되는 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는 유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축은,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연통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통홈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와 상기 패킹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구간 이동이 가능한 흡입안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상기 피스톤부가 인출되면 상기 흡입안내부가 상기 고정축의 끝단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피스톤부와 상기 흡입안내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형성된 틈새 및 상기 흡입홈으로 외부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 상기 패킹부는,
둘레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편 및 상기 확장편의 내측에 배치되고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요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에 끼워지는 가이드편을 포함하되, 상기 연통홈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요철홈을 통해서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 상기 이탈방지편은,
둘레에 상기 연통홈에 대응하는 유입홈이 더 형성되되, 상기 연통홈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유입홈을 통해서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 상기 피스톤부는,
끝단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요홈이 형성되되, 상기 요홈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 상기 유로는,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돌아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배기저지부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부 및 상기 결합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 상기 배기저지부는,
일단이 개구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내부공기가 유입되어 팽창하는 팽창공간이 마련된 끼움부가 마련되되, 상기 끼움부가 팽창과 복원을 함으로써 상기 피스톤부 및 상기 결합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 및 상기 배기저지부 사이에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기저지부의 팽창으로 인하여 상기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부의 내부로 공기를 신속하게 유입시킬 수 있어서 피스톤을 원위치로 신속하게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부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피스톤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부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천천히 배출시킴으로써 피스톤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부의 내부공기를 후방으로 팽창시키고 이를 복원함으로써 피스톤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를 이용함으로써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에어 댐퍼를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II-II선 단면을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에어 댐퍼에서 일부를 분해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에어 댐퍼의 정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에어 댐퍼의 작동상태를 확대한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공지 또는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에어 댐퍼는, 실린더부(1), 피스톤부(2), 결합부(3), 흡입안내부(6), 패킹부(4), 배기저지부(5) 및 캡(7)을 포함한다. 여기에, 스페이서(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1)는, 대략 원통형으로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의 바닥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부(1)는 바닥에 유로(112)가 형성되되, 유로(112)의 입구가 측벽과 인접하고, 관통공(111)의 주변으로 돌아서 유로(112)의 출구가 관통공(111)을 측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피스톤부(2)는, 실린더부(1)의 내부에 삽입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것으로, 피스톤로드(21) 및 밀착판(22)을 포함한다.
피스톤로드(21)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양 측면에 가이드홈(211)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가이드홈(211)의 내측으로 요철형태의 제1통로(212)가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밀착판(22)은, 대략 원판형태로, 피스톤부(2)의 끝단에 고정되고, 둘레에 복수의 요홈(221)이 형성된다. 이때, 밀착판(22)은 외경이 실린더부(1)의 내경에 대응하고, 요홈(221)은 밀착판(22)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부(2)가 실린더부(1)의 내부로 삽입되면, 실린더부(1)의 내부공기가 요홈(221)을 통해서 실린더부(1)의 외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피스톤부(2)가 실린더부(1)로부터 인출되면, 외부공기가 요홈(221)을 통해서 실린더부(1)의 내부로 유입된다.
결합부(3)는,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속하는 것으로, 고정축(31) 및 이탈방지편(32)을 포함한다.
고정축(31)은,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안내하는 것으로, 대략 단면이 십자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연통홈(311)이 형성되며, 일단이 밀착판(22)과 결합하여 고정된다.
이때, 고정축(31)은 길이가 패킹부(4)와 흡입안내부(6)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고정축(31)을 좀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가 일정구간 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탈방지편(32)은, 대략 십자모양의 판 형태로, 둘레에 연통홈(311)과 연통하는 복수의 유입홈(321)이 형성되고, 고정축(31)의 타단에 마련되되 고정축(31)의 저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축(31)에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를 순차적으로 끼운 상태에서 결합부(3)를 밀착판(22)에 고정시키면, 패킹부(4)가 이탈방지편(32)에 걸려서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가 고정축(31)에 구속되고,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는 고정축(3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흡입안내부(6)는, 대략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흡입홈(61)이 형성되고, 고정축(31)에 끼워지며 고정축(3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흡입안내부(6)는 외경이 밀착판(2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고, 패킹부(4)의 상부에 배치되며, 밀착판(22)의 요홈(221)과 흡입안내부(6)의 흡입홈(61)이 서로 연통된다.
이에 따라, 흡입안내부(6)가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피스톤부(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안내부(6)가 상부로 이동하면 밀착판(22)과 밀착되고, 하부로 이동하면 밀착판(22)과 흡입안내부(6) 사이에 틈새가 발생한다.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패킹부(4)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되 대략 양단이 개구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부의 외면에는 공기의 압력을 받으면 확장되는 원통형의 확장편(41)과, 하부의 내면에는 공기가 출입하는 복수의 요철홈(421)이 형성된 원통형의 가이드편(42)이 형성된다.
또한, 패킹부(4)는 고정축(31)에 끼워지되 흡입안내부(6)의 하부에 배치되고, 고정축(31)으로부터 일정구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4)는 고정축(31)의 연통홈(311)에 의해서 흡입안내부(6)의 내경과 패킹부(4)의 내경이 서로 연통하고, 패킹부(4)의 요철홈(421)과 고정축(31)의 연통홈(311)이 서로 연통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부(2), 결합부(3), 흡입안내부(6) 및 패킹부(4)가 결합한 상태에서 피스톤부(2)가 순간적으로 하부로 이동하면, 확장편(41)이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실린더부(1)의 내면에 밀착되고, 밀착판(22)에 의해서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가 하부로 끌려 내려간다. 이로 인하여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가 서로 밀착되고, 흡입안내부(6) 및 밀착판(22)이 서로 밀착된다.
반대로, 피스톤부(2)가 상승하면,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 또는 흡입안내부(6) 및 밀착판(22) 사이 중 적어도 어느 사이가 벌어지면서 틈새가 발생한다.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배기저지부(5)는, 실린더부(1)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천천히 배출시키는 것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대략 원판 형태의 충격흡수부(51)와, 충격흡수부(51)의 하부에 대략 측 단면의 형상이 화살모양으로 형성된 끼움부(52)가 형성되며, 끼움부(52)가 실린더부(1)의 관통공(111)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배기저지부(5)는 끼움부(52)의 내부에 팽창공간(521)이 형성되고, 팽창공간(521)은 충격흡수부(51)의 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충격흡수부(51)의 외경이 실린더부(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실린더부(1)의 내측벽과 충격흡수부(51) 사이로 유로(112)의 입구가 노출되도록 충격흡수부(51)의 외경이 실린더부(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패킹부(4)와 실린더부(1) 사이에서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팽창공간(521)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끼움부(52)가 팽창하고, 끼움부(52)가 팽창함으로써 끼움부(52)의 하단이 하부로 소정 연장된다. 이로 인하여 끼움부(52)와 실린더바닥(11)의 저면 사이에 틈새가 벌어져서 유로(112)의 출구가 열리고, 실린더의 내부공기가 유로(112)의 입구를 거쳐 관통공(111)의 주변으로 돌아서 유로(112)의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충격흡수부(51)는 상면이 단차져 돌출될 수 있다. 즉, 외부 충격에 의해서 결합부(3)가 충격흡수부(51)와 서로 부딪칠 경우 충격흡수부(51)의 상단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배기저지부(5)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경우 끼움부(52)의 길이가 실린더바닥(11)의 두께보다 소정 정도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끼움부(52)와 실린더바닥(11)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이 틈새로 실린더부(1)의 내부공기가 배출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8)는, 대략 와셔 형태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배기저지부(5)의 끼움부(52)에 끼워지되 실린더바닥(11)과 충격흡수부(51)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부(1)의 내부압력이 상승해도 유로(11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린더부(1)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충격흡수부(51)가 내부압력에 의해서 실린더바닥(11)에 밀착되고, 이로 인하여 충격흡수부(51)의 일부가 유로(112)로 인입되어 유로(112)가 막힐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충격흡수부(51)와 실린더바닥(11) 사이에 경질의 스페이서(8)를 설치함으로써, 충격흡수부(51)가 유로(112)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7)은, 실린더부(1)의 상단 개구를 막고 피스톤부(2)가 실린더부(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둘레가 단차져 형성되며, 실린더부(1)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캡(7)은 피스톤로드(21)의 둘레에 대응하도록 중앙 부분이 관통 형성되고, 관통된 내측에 피스톤부(2)의 가이드홈(211)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71)가 형성되며, 가이드돌기(71)의 일면에 제1통로(212)와 연통하는 제2통로(72)가 홈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공기가 제1통로(212) 및 제2통로(72)를 통해서 실린더부(1)의 내부로 유입되고, 밀착판(22)이 캡(7)에 걸림으로써 실린더부(1)로부터 피스톤부(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흡입안내부(6)가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연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피스톤부(2) 및 결합부(3)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탈방지편(32)을 관통할 수 있을 정도로 흡입안내부(6) 및 패킹부(4)를 늘려서 고정축(31)에 끼울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에어 댐퍼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린더부(1)로부터 피스톤로드(21)가 돌출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21)가 천천히 실린더부(1)로 삽입되면,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가 느슨하게 밀착되고, 흡입안내부(6) 및 밀착판(22)이 서로 느슨하게 밀착된다.
이때, 확장편(41)이 확장되지 않고 원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실린더부(1)의 내부에 압력이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확장편(41)이 원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피스톤로드(21)가 계속해서 실린더부(1)로 삽입되면, 패킹부(4)의 하부에 채워진 실린더부(1)의 내부공기가 유입홈(321) 및 요철홈(421)을 통해서 연통홈(311)으로 유입된다.
연통홈(311)으로 유입된 공기는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 사이와, 흡입안내부(6) 및 밀착판(22) 사이로 빠져나간다.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 사이로 빠져나가는 공기는 흡입홈(61) 타고 요홈(221)을 거쳐 제1통로(212) 및 제2통로(7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흡입안내부(6) 및 밀착판(22) 사이로 빠져나가는 공기는 요홈(221)을 거쳐 제1통로(212) 및 제2통로(7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부(1)의 내부공기가 제1통로(212) 및 제2통로(72)를 통해 통해 실린더부(1)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실린더부(1)의 내부로 피스톤부(2)가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부(1)의 내부공기의 일부는 확장편(41)과 실린더부(1)의 내측면 사이로 빠져나갈 수도 있으며, 이렇게 빠져나간 공기는 흡입홈(61) 및 요홈(221)을 거쳐 제1통로(212) 및 제2통로(72)를 통해 실린더부(1)의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부(1)의 내부로 피스톤부(2)가 더욱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실린더부(1)로부터 피스톤로드(21)가 인출되면, 패킹부(4)가 이탈방지편(32)과 밀착되면서 밀착판(22) 및 흡입안내부(6) 사이와, 흡입안내부(6) 및 패킹부(4) 사이가 벌어지면서 틈새가 발생한다.
계속해서 피스톤로드(21)가 인출되면, 제1통로(212) 및 제2통로(72)로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요홈(221)을 통해서 벌어진 틈새로 유입된다.
즉, 밀착판(22)과 흡입안내부(6) 사이의 틈새로 유입된 공기는 연통홈(311)을 거쳐 요철홈(421) 및 유입홈(321)을 통해서 실린더부(1)의 내부로 채워진다.
또한, 흡입안내부(6)와 패킹부(4) 사이의 틈새로 유입된 공기는 연통홈(311)을 거쳐 요철홈(421) 및 유입홈(321)을 통해서 실린더부(1)의 내부로 채워진다.
이에 따라, 외부공기가 실린더부(1)의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됨으로써, 피스톤로드(21)를 신속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부(1)로부터 피스톤로드(21)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확장편(41)이 오므려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확장편(41)과 실린더부(1)의 내측면 사이로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부(2)를 더욱 신속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배기저지부(5)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적용된 경우에는 유로(112)의 출구가 항상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외부공기가 유로(112)를 통해서 실린더부(1)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피스톤로드(21)를 더욱 신속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한편, 피스톤로드(21)에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피스톤부(2)가 실린더부(1)의 내부로 빠르게 진입한다.
피스톤로드(21)의 순간적인 진입으로 인하여 실린더부(1)의 내부압력이 상승함으로써 확장편(41)이 외측으로 확장된다.
확장편(41)이 외측으로 확장되면, 확장편(41)이 실린더부(1)의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패킹부(4)의 이동이 느려지고 이로 인하여 피스톤로드(21)의 진입 또한 느려진다. 즉, 패킹부(4)가 피스톤로드(21)의 진입을 저지함으로써 피스톤부(2)의 진입이 느려지는 것이다.
나아가,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와, 흡입안내부(6) 및 밀착판(22)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유입홈(321) 및 요철홈(421)을 통해 연통홈(311)으로 내부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나 패킹부(4)와 흡입안내부(6), 흡입안내부(6)와 밀착판(22)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돼 있어서, 연통홈(311)으로 유입된 공기가 패킹부(4) 및 흡입안내부(6) 사이, 흡입아내부 및 밀착판(22)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실린더부(1)의 내부공기는 제1통로(212) 및 제2통로(72)를 통해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실린더부(1)의 내부압력이 계속해서 상승하면, 끼움부(52)가 팽창하면서 끼움부(52)와 실린더바닥(11)의 저면 사이가 벌어진다.
이때, 유로(112)의 출구가 열리고, 실린더부(1)의 내부공기는 유로(11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즉, 실린더부(1)의 내부공기가 유로(112)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피스톤부(2)의 진입속도가 느려지고, 피스톤부(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유로(112)가 관통공(111)의 주변을 돌아서 형성되기 때문에 실린더부(1)의 내부공기를 더욱 더디게 배출시킬 수 있어서, 피스톤부(2)의 진입속도를 더욱 늦출 수 있다.
내부공기가 배출된 후에는 끼움부(52)가 복원되면서 유로(112)의 출구가 자동으로 막힌다.
또한, 끼움부(52)가 복원되면서 팽창공간(521)의 축적된 공기가 피스톤부(2)를 인출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피스톤부(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피스톤부(2)에 복원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스톤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실린더부의 내부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거나 느리게 배출함으로써, 피스톤부의 이동속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실린더부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신속하게 유입할 수 있어서, 피스톤부를 신속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을 창호에 적용함으로써, 육중한 창문과 창틀, 도어와 문틀이 서로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실린더부
11; 실린더바닥
111; 관통공
112; 유로
2; 피스톤부
21; 피스톤로드
211; 가이드홈
212; 제1통로
22; 밀착판
221; 요홈
3; 결합부
31; 고정축
311; 연통홈
32; 이탈방지편
321; 유입홈
4; 패킹부
41; 확장편
42; 가이드편
421; 요철홈
5; 배기저지부
51; 충격흡수부
52; 끼움부
521; 팽창공간
6; 흡입안내부
61; 흡입홈
7; 캡
71; 가이드돌기
72; 제2통로
8; 스페이서

Claims (10)

  1.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끝단에 마련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고정축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빠르게 진입하면 둘레가 확장됨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압력을 상승시키는 패킹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천천히 배출시키는 배기저지부; 및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와 상기 패킹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구간 이동이 가능한 흡입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의 진입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이면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공기가 압축되고, 압축된 내부공기가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배기저지부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관통공으로 천천히 배출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이동이 느려지고,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상기 피스톤부가 인출되면 상기 흡입안내부가 상기 고정축의 끝단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피스톤부와 상기 흡입안내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형성된 틈새 및 상기 흡입홈으로 외부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에어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기를 더욱 천천히 배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배기저지부가 밀착되는 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는 유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에어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연통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통홈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에어 댐퍼.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둘레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편; 및
    상기 확장편의 내측에 배치되고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요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에 끼워지는 가이드편;을 포함하되,
    상기 연통홈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요철홈을 통해서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에어 댐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편은,
    둘레에 상기 연통홈에 대응하는 유입홈이 더 형성되되,
    상기 연통홈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유입홈을 통해서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에어 댐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끝단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요홈이 형성되되,
    상기 요홈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에어 댐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돌아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에어 댐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저지부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부 및 상기 결합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에어 댐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저지부는,
    일단이 개구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내부공기가 유입되어 팽창하는 팽창공간이 마련된 끼움부가 마련되되,
    상기 끼움부가 팽창과 복원을 함으로써 상기 피스톤부 및 상기 결합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에어 댐퍼.
KR1020160043169A 2016-04-08 2016-04-08 창호용 에어 댐퍼 KR101783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69A KR101783546B1 (ko) 2016-04-08 2016-04-08 창호용 에어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69A KR101783546B1 (ko) 2016-04-08 2016-04-08 창호용 에어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546B1 true KR101783546B1 (ko) 2017-09-29

Family

ID=6003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169A KR101783546B1 (ko) 2016-04-08 2016-04-08 창호용 에어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423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슬라이딩용 견인 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3733B2 (ja) * 1994-09-13 2006-10-18 エーブイエム,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速度調節可能なガスばね
JP2008116051A (ja) * 2001-01-09 2008-05-22 Julius Blum Gmbh 家具可動部分用の制動・緩衝装置
JP2013531154A (ja) * 2010-06-24 2013-08-01 ツィマー ギュンター 一定の減速能力を有するニューマチック式の減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3733B2 (ja) * 1994-09-13 2006-10-18 エーブイエム,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速度調節可能なガスばね
JP2008116051A (ja) * 2001-01-09 2008-05-22 Julius Blum Gmbh 家具可動部分用の制動・緩衝装置
JP2013531154A (ja) * 2010-06-24 2013-08-01 ツィマー ギュンター 一定の減速能力を有するニューマチック式の減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423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슬라이딩용 견인 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9064B2 (ja) 2つの連行要素を有する加速及び減速装置
KR100652128B1 (ko) 가구용 도어의 닫힘 충격 완충 장치
US10094157B2 (en) Variable shock-absorbing damper for furniture hinge, with built-in pressure control means
KR101783546B1 (ko) 창호용 에어 댐퍼
RU2712413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кольжения и торможения для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и ставней
US7204184B2 (en) Guide system with pneumatic stop for a movable component
KR101601734B1 (ko) 미닫이문용 손가락 끼임방지 및 충격완화장치
KR101442186B1 (ko) 도어 완충장치
US20090223759A1 (en) Shock absorber for drawer
KR101986716B1 (ko) 문 열림 완충장치
KR101423933B1 (ko) 가구용 슬라이드 도어의 댐퍼 시스템
KR101762806B1 (ko) 소프트 다단 댐퍼장치
US20020184997A1 (en) Double acting cylinder with integral end position volume chambers
KR200363475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JPH06272447A (ja) 引戸のクッション装置
KR101082981B1 (ko) 2중 역류방지 밸브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20210120205A (ko) 쇽업소버
KR100531829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지지장치
KR102168155B1 (ko) 도어 댐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자동 닫힘 장치
CN207245462U (zh) 一种导滑装置的阻尼器
KR200435106Y1 (ko)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KR200354593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140043917A (ko) 완충기
KR101820235B1 (ko) 단열압축을 이용한 쇼크 업쇼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