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593Y1 - 도어충격완충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충격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593Y1
KR200354593Y1 KR20-2004-0007685U KR20040007685U KR200354593Y1 KR 200354593 Y1 KR200354593 Y1 KR 200354593Y1 KR 20040007685 U KR20040007685 U KR 20040007685U KR 200354593 Y1 KR200354593 Y1 KR 200354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door
shock absorber
cylind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문주하드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문주하드웨어 filed Critical (주)문주하드웨어
Priority to KR20-2004-0007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5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정에서 가구나 싱크대의 도어를 여닫을 때 도어가 도어틀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과 이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실린더와 피스톤의 형식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원통형으로 전방이 개봉되고, 내벽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내부에 로드가 일정길이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연에 가이드될 수 있도록 후방이 개봉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후방 입구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에는 패킹이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된 로드의 끝단에 체크밸브가 스프링고정부재와 지지부재에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고정부재에는 복귀스프링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전방과 연설되어 내부에 구형의 충격흡수볼이 삽입된 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도어충격완충장치에 의하면 도어충격완충장치가 작동될 때 오일이 지나가는 유로가 부드럽게 형성되어 공기방울로 인한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고, 오일챔버내의 압력이 과다하게 누적되지 않아서 장치를 쓸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충격완충장치{Door Damper}
본 고안은 도어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정에서 가구나 싱크대의 도어를 여닫을 때 도어가 도어틀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과 이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옷장, 책꽂이 등과 같은 가구나 싱크대에는 스프링힌지에 의해 도어가 부착되며, 이러한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서, 특히 도어를 열 때 보다는 닫을 때에, 서서히 닫을 때에는 괜찮겠지만 급작스럽게 닫을 경우에는 도어가 도어틀에 부딛혀서 심한 충격이 가해지고, 그 충격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며, 심할 경우에는 도어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어를 급작스럽게 닫을 때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부상을 당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가구나 싱크대 등의 도어를 부주의하게 닫는 경우가 많아서 상기한 문제가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1과 같은 도어충격완충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도어충격완충장치는 범퍼(13)에 도어가 급작스럽게 부딪힐때 로드(12)가 오일챔버(3) 내로 밀려 들어가게되고, 이러한 충격을 복귀스프링(15)과 체크밸브(21,22)에 의한 오일의 흐름조절로 완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상기 오일챔버 내의 오일이 제1,2체크밸브를 통과하면서 상기 도어충격완충장치를 제작할 때에 이미 오일챔버 내에 혼입되어 있던 공기방울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유로가 지나치게 많이 꺽여 있어서 도어에 의해서 심한 충격을 받을 때 오일챔버의 외주연이 벌어져서 오일이 새어나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행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일챔버 내에 뭉쳐있던 공기방울이 도어충격완충장치가 작동될 때 오일의 유로를 부드럽게 바꿔줌으로써 소음이 거의 일어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오일챔버내의 압력이 과다하게 누적되지 않도록 한 도어충격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충격완충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에서 피스톤이 실린더의 내부에 밀려들어간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오일의 이동경로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부품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충격완충장치 20 : 도어틀
30 : 도어 100 : 피스톤
110 : 범퍼 112 : 충격흡수볼
120 : 오일챔버 130 : 복귀스프링
140 : 스프링고정부재 150 : 제1체크밸브
152 : 제2체크밸브 153 : 지지부재
160 : 고정부재 165 : 피스톤단턱
166 : 패킹 167 : 걸림홈
200 : 실린더 201 : 실린더단턱
210 : 로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실린더와 피스톤의 형식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원통형으로 전방이 개봉되고, 내벽에는 실린더단턱이 형성되며, 막혀있는 후방내부의 바닥중앙에는 로드가 일정길이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연에 가이드될 수 있도록 후방이 개봉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후방 끝단의 외주연에는 상기 실린더 내벽의 실린더단턱과 맞닿아 실린더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피스톤단턱이 형성되며, 후방 입구에는 중앙에 로드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에는 로드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패킹이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된 로드의 끝단에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스프링고정부재가 후방에 끼워진 제1,2체크밸브와 함께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부재에는 막혀있는 전방 내벽까지 복귀스프링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전방과 연설되어 내부에 구형의 충격흡수볼이 삽입된 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도 5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10)는 전방이 개봉된 원통형의 실린더(200) 내부에 피스톤(100)이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200)는 원통형으로 전방이 개봉되고, 내벽에는 실린더단턱(201)이 형성되며, 막혀있는 후방내부의 중앙에는 로드(210)가 일정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100)은 상기 실린더(200)의 내주연에 가이드될 수 있도록 후방이 개봉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후방 끝단의 외주연에는 상기 실린더단턱(201)과 맞닿아서 실린더(200)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피스톤단턱(167)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210)는 피스톤(100)의 내부중앙에 삽입되며, 상기 로드(210)의 끝단에는 전후방이 개봉된 원통형의 지지부재(153)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153)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제1,2체크밸브(150,152)가 결합된 스프링고정부재(1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고정부재(140)의 끝단에서 피스톤의 전방에 막혀있는 내벽까지 복귀스프링(130)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100)의 후방 입구에서 내부로는 중앙에 상기 로드(210)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부재(16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60)의 전방에는 역시 로드(210)가 삽입될 수 있는 패킹(16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60)의 외주연에는 피스톤(100)의 후방 내부 끝단에 형성된 걸림홈(167)에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걸림턱(167a)과 피스톤(100)의 내벽을 따라 외부로 흐르는오일을 차단해줄 수 있는 오일시일링(160a)이 결합되고, 고정부재(160)의 끝단이 일정 깊이로 파져있어서, 상기 파진 홈에는 로드(210)에 묻어있는 오일을 닦아내고, 오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오일시일(160b)이 삽입된다.
상기 패킹(166)은 원통형의 스폰지 형상의 발포고무로 형성되고, 중앙에 로드(210)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100)의 내부가 고정부재(160)에 의해서 오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인 오일챔버(1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오일챔버(120)에는 로드(210)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부재(153)와 제1,2체크밸브(150,152)로 영역이 나뉘어 진다.
상기 피스톤(100)의 전방 끝단에는 범퍼(110)가 형성되는데, 상기 범퍼(11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도어와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부에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이 볼 형태로 된 충격흡수볼(11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53)와 제1,2체크밸브(150,152) 및 스프링고정부재(140)는 로드(210)의 끝단에 설치되어, 피스톤(1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오일챔버(120)에는 복귀스프링(130)이 스프링고정부재(140)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고정부재(140)의 후방에 제1체크밸브(150)과 제2체크밸브(152)가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고정부재(140)는 로드(210)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부재(153)에 삽설된다.
상기 제1,2체크밸브(150,152)는 중앙에 상기 스프링고정부재(140)의 후방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고, 얇은 버섯모양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고무나 기타 탄성재질로, 버섯모양의 상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가장자리가 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54)는 후방에서 로드(210)와 전방에서 스프링고정부재(1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가운데에 고정틀(153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틀(153a)과 이격되게 피스톤(10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드(210)의 끝단에 설치된 지지부재(153)의 후방에는 로드(210)에 끼워진 패킹(166), 오일시일링(160a)과 오일시일(160b)를 포함한 고정부재(160)가 피스톤(100)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1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와 같이 도어충격완충장치(10)가 도어틀(20)에 설치되었을 때 만약 도어(30)가 닫혀 있으면, 범퍼(110)가 밀려들어가서 도 3과 같이 복귀스프링(130)이 줄어들고, 피스톤(100)의 후방에 설치된 고정부재(160)가 실린더(200) 후방 내부의 바닥가까이로 들어간 상태에서 정지해 있다.
이때 도어(30)를 열게되면 복귀스프링(130)에 의해서 도 1과 같이 피스톤(100)이 전방으로 전진하여 상기 실린더단턱(201)과 피스톤단턱(165)이 맞닿는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30)가 열린 후에 다시 닫히는 경우는 도어(30)가 서서히 닫히는 경우와 도어(30)가 급작스럽게 닫히는 경우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어가 서서히 닫히는 경우
피스톤(100)이 도어(30)에 의해서 서서히 후방으로 밀릴 때 오일챔버(120) 내의 오일은 도 4의 A의 경우와 같이 제1,2체크밸브(150,152)의 외주연을 지나서 지지부재(153)의 AA부분과, BB부분을 통해서 이동하게 된다.
2.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히는 경우
피스톤(100)이 도어(30)에 의해서 급작스럽게 후방으로 밀릴 때에는 오일챔버(120) 내의 오일이 큰 압력으로 제 1,2 체크밸브(150,152)의 버섯모양의 상부를 누르게 되어 제1,2체크밸브(150,152)의 외주연이 후방으로 휘게된다. 따라서 도 4의 B의 경우와 같이 제1,2체크밸브(150,152)가 AA부분으로 통할 수 있는 길을 막게되어 오일은 BB부분 만으로 이동하게되고, 서서히 압력이 줄어들게 되면 제1,2체크밸브(150,15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오일이 AA부분으로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2의 경우에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해줌으로 즉 오일이 흐르는 양을 조절해 줌으로써 도어로 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해주고, 상기 오일의 흐름을 제어할 때 제1,2체크밸브(150,152)에 의해 유로가 부드럽게 형성되어, 공기방울에 의한 소음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오일챔버(120) 내의 압력이 과다하게 축척되지 않는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도어충격완충장치에 의하면 도어충격완충장치가 작동될 때 오일이 지나가는 유로가 부드럽게 형성되어 공기방울로 인한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고, 오일챔버내의 압력이 과다하게 누적되지 않아서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반적으로 내부에 오일이 차있고 체크밸브에 의해서 오일이 흐르는 유량이 조절되는 실린더와 피스톤 방식의 도어충격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원통형으로 전방이 개봉되고, 내벽에는 실린더단턱이 형성되며, 막혀있는 후방내부의 바닥중앙에는 로드가 일정길이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연에 가이드될 수 있도록 후방이 개봉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후방 끝단의 외주연에는 상기 실린더 내벽의 실린더단턱과 맞닿아 실린더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피스톤단턱이 형성되며, 후방 입구에는 중앙에 로드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에는 로드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패킹이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된 로드의 끝단에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스프링고정부재가 후방에 끼워진 제1,2체크밸브와 함께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부재에는 막혀있는 전방 내벽까지 복귀스프링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전방과 연설되어 내부에 구형의 충격흡수볼이 삽입된 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얇은 버섯모양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고무나 기타 탄성재질로 버섯모양의 상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가장자리가 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동일한 두개의 제1,2체크밸브가 연설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3. 제 1항 혹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체크밸브는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프링고정부재의 하단부에 차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는 로드가 피스톤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의 끝단과 스프링고정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가운데에 고정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틀과 이격되게 피스톤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원통형으로 형성된 지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2004-0007685U 2004-03-19 2004-03-19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0354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685U KR200354593Y1 (ko) 2004-03-19 2004-03-19 도어충격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685U KR200354593Y1 (ko) 2004-03-19 2004-03-19 도어충격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593Y1 true KR200354593Y1 (ko) 2004-06-29

Family

ID=4943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685U KR200354593Y1 (ko) 2004-03-19 2004-03-19 도어충격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59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916B1 (ko) 2005-08-20 2007-12-24 (주)문주하드웨어 도어힌지 부착용 뎀퍼
KR20190007994A (ko) 2017-07-14 2019-01-23 (주)삼우 회전댐퍼장치
KR101986716B1 (ko) * 2018-04-13 2019-06-10 (주)문주하드웨어 문 열림 완충장치
KR101986715B1 (ko) * 2018-04-13 2019-06-10 (주)문주하드웨어 문 닫힘 완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916B1 (ko) 2005-08-20 2007-12-24 (주)문주하드웨어 도어힌지 부착용 뎀퍼
KR20190007994A (ko) 2017-07-14 2019-01-23 (주)삼우 회전댐퍼장치
KR101986716B1 (ko) * 2018-04-13 2019-06-10 (주)문주하드웨어 문 열림 완충장치
KR101986715B1 (ko) * 2018-04-13 2019-06-10 (주)문주하드웨어 문 닫힘 완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140B2 (en) Decelerating stop device for a movable member, in particular a furniture door or drawer, fittable to a stop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JP5284801B2 (ja) 汎用衝撃防止装置
US7600295B2 (en) Arrangement for damping pivot movements
US20100162521A1 (en) Device for buffering the closing impact of furniture doors
US9920563B2 (en) Damping assembly, in particular for a flap of a vehicle
US20070251052A1 (en) Buffer for Noise Removal of Closing the Door
KR100652128B1 (ko) 가구용 도어의 닫힘 충격 완충 장치
EP2198104A1 (en) Door damper
KR100926402B1 (ko) 수격현상 방지용 체크밸브
KR200354593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0321920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0363475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EP1536720B1 (en) Door damper
KR200271109Y1 (ko) 가구용 댐퍼
KR200435106Y1 (ko)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KR100572005B1 (ko) 유압댐퍼
KR200347122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KR101032975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200386957Y1 (ko) 도어개폐용 댐핑장치
KR101762806B1 (ko) 소프트 다단 댐퍼장치
KR100663751B1 (ko) 가구용 뎀퍼
KR20060091846A (ko) 도어개폐용 댐핑장치
JP2002349129A (ja) 引き戸のエアダンパ
KR20120092883A (ko) 소형 유압 댐퍼
KR20240082097A (ko) 댐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C Consolidated trial decis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