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122Y1 - 도어충격완충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충격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122Y1
KR200347122Y1 KR20-2003-0040976U KR20030040976U KR200347122Y1 KR 200347122 Y1 KR200347122 Y1 KR 200347122Y1 KR 20030040976 U KR20030040976 U KR 20030040976U KR 200347122 Y1 KR200347122 Y1 KR 200347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oil
shock absorber
doo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문주하드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문주하드웨어 filed Critical (주)문주하드웨어
Priority to KR20-2003-0040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1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1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정에서 가구나 싱크대의 도어를 여닫을 때 도어가 도어틀에 부딛혀 발생되는 충격과 이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 본체 내에 오일시일을 사용하여 오일챔버를 형성하고, 그 중앙부에 로드를 삽입하고, 상기 로드의 끝단부에는 실린더와 체크밸브를 장착하여 오일의 이동경로를 조절하므로써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하우징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와 연결된 고정캡과 범퍼가 형성되어 진다.
본 고안의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오일챔버 내에 뭉쳐있던 공기방울을 잘게 부셔 오일과 함께 유로로 이동시킴으로써 공기방울로 인한 소음을 현저하게 작게할 수 있고, 오일챔버 내의 압력이 과다하게 누적되지 않도록 유로를 구성하여 피로누적으로 인한 고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충격완충장치{Door Damper}
본 고안은 도어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정에서 가구나 싱크대의 도어를 여닫을 때 도어가 도어틀에 부딛혀 발생되는 충격과 이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옷장, 책꽂이 등과 같은 가구나 싱크대에는 스프링힌지에 의해 도어가 부착되며, 이러한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서, 특히 도어를 열 때 보다는 닫을 때에, 서서히 닫을 때에는 괜찮겠지만 급작스럽게 닫을 경우에는 도어가 도어틀에 부딛혀서 심한 충격이 가해지고, 그 충격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며, 심할 경우에는 도어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어를 급작스럽게 닫을 때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부상을 당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가구나 싱크대 등의 도어를 부주의하게 닫는 경우가 많아서 상기한 문제가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본원 출원인이 개발하여 대한민국특허청에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20-0294107)와 같은 도어충격완충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에서의 도어충격완충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오일챔버(3)와 오일누설방지챔버(4)로 구분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설치되며 외주연에 유로홈이 형성된 로드(12)와;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와 유로홈이 연통되게 상기 로드(12)에 장착되어 오일챔버(3)에 설치되는 제1,2체크밸브(21,22)와; 상기 제2체크밸브(22)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9)과; 외주연에 패킹이 설치되며, 상기 오일누설방지챔버에 안착되는 부시(18)와; 축부와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부시와 맞닿아 설치되는 오일시일(17)과; 내측 바닥면에는 안착돌기가, 외측 바닥면에는 상기 오일시일의 축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가진 결합돌기가, 외측 바닥면에는 상기 오일시일이 축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가진 결합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커버와; 상기 안착돌기의 외주연에 일단이 장착되는 복귀스프링(15)과;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에 장착되는 고정캡과; 상기 로드에 장착된 부시, 오일시일링, 하우징커버(16), 복귀스프링 및 고정캡(14)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구; 및 상기 고정캡과 결합되는 범퍼(1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충격이 가해질 때 먼저 범퍼로 충격을 완화하고, 다음으로 스프링과 체크밸브를 통과하는 오일로 인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스프링힌지에 의해 부착된 도어가 개폐될 때 상기 오일챔버 내의 오일이 제1,2체크밸브를 통과하면서 상기 도어충격완충장치를 제작할 때에 오일챔버 내에 혼입되어 있던 공기방울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도어충격완충장치는 도 7과 같이 도어틀에 설치될 때 혼입된공기방울이 위쪽으로 치우쳐 뭉쳐지게 되어서 상기 뭉쳐진 공기방울이 좁은 유로를 통해 지나갈 때 심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오일이 이동하는 유로가 좁고 각도가 여러번 꺽여있어서 오일 내의 잔존 압력이 오랜사용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증가하게되어 상기 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일챔버 내에 뭉쳐있던 공기방울이 도어충격완충장치가 작동될 때 잘게 부서지게 함으로써 오일과 함께 좁은 유로로 이동할 때에도 소음이 적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유로를 여러번 꺽지 않고, 실린더를 확대관 형상으로 형성하여 오일챔버내의 압력이 과다하게 누적되지 않도록 한 도어충격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충격완충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범퍼에 급작스런 압력이 가해졌을 때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부품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실린더와 체크밸브에 대한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장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하우징 113 : 오일챔버
114 : 오일누설 방지챔버 120 : 로드
121 : 로드단턱 130 : 범퍼
140 : 고정캡 150 : 복귀스프링
160 : 하우징커버 161 : 안착돌기
162 : 결합돌기 170 : 오일시일
171 : 축부 172 : 플랜지부
180 : 부시 181 : 패킹
190 : 지지스프링 210 : 체크밸브
220 : 실린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오일챔버와 오일누설방지챔버로 구분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설치되며 외주연에 로드단턱이 형성된 로드와; 내부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외주연의 직경이 한쪽 방향으로 서서히 감소하는 형상으로 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설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지지스프링과 로드의 끝단에 있는 이링(E-ring)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와; 외주연에 패킹이 설치되며, 상기 오일누설방지챔버에 안착되는 부시와; 축부와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부시와 맞닿아 설치되는 오일시일과; 내측 바닥면에는 안착돌기가, 외측바닥면에는 상기 오일시일의 축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가진결합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커버와; 상기 안착돌기의 외주연에 일단이 장착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에 장착되는 고정캡과; 상기 로드에 장착된 부시, 오일시일, 하우징 커버, 복귀스프링 및 고정캡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구; 및 상기 고정캡과 결합되는 범퍼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본 고안은 도어틀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우징(housing) (110)은 외주연과 내주연에 각각 단턱(111)(112)이 형성되고, 상기 내주연의 단턱(112)에 의해 오일챔버(113)와 오일누설방지챔버(114)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오일누설방지챔버(114)측으로 개구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주연에 형성된 단턱(111)은 실시예에 따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로드(120)는 원통형축으로 끝단에는 로드단턱(121)이 형성되어 직경이 작아지고, 각종 구성부품을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파지홈(122)이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홈(122)에는 이링(E-ring)(123)과 같은 이탈방지구가 끼워져 도 5에 도시된 각 구성부품들이 로드(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구성부품들을 도시한 것으로, 체크밸브(210)는 중앙에 상기 로드(12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210c)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유체유동을 차단할 수 할 수 있는 차단턱(210a)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며 끝단에는 접시형상과 같이 가운데부분이 안쪽으로 움푹파져 있으며 테두리에서부터 외부로 경사진 감압턱(210b)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220)는 상부와 하부가 개봉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ㄱ자형 돌기(220a)가 형성되며, 외주연의 직경이 한쪽방향으로 서서히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ㄱ자형 돌기(220a)는 220b부분이 로드단턱(121)에 접촉하여 형성된다.
상기 체크밸브(210), 실린더(220) 및 지지스프링(190)은 로드단턱(121)에서부터 로드 끝단의 파지홈(122)에 끼워진 이링(123)까지 차례로 설치되어 있으며, 오일챔버(113) 내에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체크밸브(210)와 실린더(220) 및 지지스프링(190)으로 나누어지는 도 2의 A위치와 B위치의 오일이 작동 상황에따라 흐르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가 열릴 때에는 A위치의 오일이 실린더(220)의 외부와 내부의 유로를 통해 이동하고, 계속해서 체크밸브(210)의 감압턱(210b)을 지나 B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 도어가 서서히 닫칠 때에는 B위치의 오일이 체크밸브(210)의 감압턱(201b)을 지나 실린더(220)의 외부와 내부를 통해서 A위치로 이동하게 된다(도 2에 도시한 점선화살표 참조).
마지막으로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힐 때에는 A위치의 오일은 체크밸브(210)의 정지관성으로 인해서 실린더의 끈부분을 차단턱(210a)이 막아버리게 되어 실린더 내부로는 오일이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실린더 외부로만 이동하여 체크밸브의 감압턱(210b)을 지나 B위치로 이동하게 된다(도3에서 도시한 점선화살표 참조).
도어가 닫힐 때와 열릴 때에 오일챔버 내의 공기방울이 상기 오일이동경로를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만약 공기방울의 크기가 작으면 소음이 작지만 공기방울의 크기가 크면 좁은 유로로 이동될 때 소음이 더욱 커지게 된다.
특히 오일의 유동속도가 빠르면 소음이 더욱 커지는데, 본 고안에서는 오일챔버(113) 내의 B위치에 형성된 공기방울 C가 체크밸브(210)의 감압턱(210b)을 지날 때 감압턱(210b)의 테두리가 매우 얇고 뽀족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발울이 부서짐과 동시에 오일의 흐름도 내부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면서 와류가 형성되어 공기방울을 더욱 잘게 부서지도록 한다. 이렇게 잘게 부서진 공기방울이 유로를 통과할 때에는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소음이 현저하게 작아지는 것이다.
또, 상기 실린더(220) 단면의 형상이 A위치로 갈수록 오일챔버의 내벽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B위치에서 A위치로 오일이 이동할 때 확대관 현상이 생기게 되어 A위치에 더욱 낮은 압력이 형성되어 오일의 흐름을 좋게 한다. 이렇게 오일의 흐름이 부드러워져서 오일챔버(113) 내의 압력이 과다하게 누적되지 않는다. 또한, 유로가 심하게 꺽여 있지 않고 오일챔버(113)의 내벽 쪽으로 일정하게 형성됨으로써 오일의 흐름을 더욱 좋게 한다.
한편, 외주연에 스폰지 형상의 발포고무와 같은 패킹(181)이 부착된 부시(180)가 그 중공에 의해 상기 로드(120)에 끼워지고, 상기 부시(180)는 오일누설방지챔버(114)의 단턱(112)에 안착설치된다.
그리고 축부(171)와 플랜지부(172)가 형성된 오일시일(Oil Seal)(170)이 그 중공에 의해 로드(120)에 끼워져 상기 부시(180)와 접촉설치된다.
상기 부시(180)와 오일시일(170)은 상기한 것처럼 오일누설 방지챔버(114)에설치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것처럼 오일챔버(113)에는 체크밸브(210), 실린더(220), 지지스프링(190)이, 오일누설방지챔버(114)에는 부시(180)와 오일시일(170)이 로드(120)에 끼워져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개구부(115)에 하우징 커버(160)가 끼워지는데, 상기 하우징 커버(160)는 원통형으로 내측 바닥면에는 안착돌기(161)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 바닥면에는 결합홈(162a)을 가진 결합돌기(162)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161)와 결합홈(162a)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의해 로드(120)에 끼워져 상기 결합돌기(162)의 외주연이 하우징(110)의 내주연에 밀착되면서 상기 결합홈(162a)으로 상기 오일시일(170)의 축부(171)가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10)의 개구부(115)에 압착삽입된다.
미설명 부호 163은 상기 하우징 커버(160)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지지돌기로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도어틀(510)의 요홈이나 홀더(410)에 본 고안의 도어충격완충장치가 설치되면 상기 지지돌기(163)가 요홈이나 홀더(410) 내주연에 꽉 밀착되어 도어충격완충장치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160) 내로 복귀스프링(150)이 삽입되어 안착돌기(161)의 외주연에 그 일단이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복귀스프링(150)의 타단에는 고정캡(140)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캡(140)은 지지돌기(141), 삽설홈(142) 및 상기 지지돌기(141)와 삽설홈(142)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삽설홈(142)에 복귀스프링(150)의 타단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부시(180), 오일시일(170), 하우징 커버(160), 복귀스프링(150) 및 고정캡(140)은 로드(120)의 파지홈(122)에 이링(123)이 끼워져 로드(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게 형성된다.
상기 로드(120)의 끝단에는 이링(123)으로 고정되는 범퍼(130)가 설치되는데, 상기 범퍼(13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지며, 설치할 때 작은 공간을 형성하여 범퍼(130)에 충격이 가해질 때 작은 공간에 있는 공기로 인해 한번더 충격을 완화해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로드(120)에 조립되는 구성부품들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처럼, 4개의 이링(123)에 의해 로드(120)에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로드와 일체가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상은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 도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이미 기술한 바처럼 도어틀에 요홈을 형성하여 설치할 수도 있지만 도어틀의 변형으로 인해 도어충격완충장치의 범퍼(130)와 도어가 정확히 일직선으로 부딪히지 않을 경우 충격완화 효과의 감소와 도어충격완충장치의 고장이 있을 수 있으므로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도어충격완충장치를 홀더(410)에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오일챔버 내에 뭉쳐있던 공기방울을 잘게 부수어 오일과 함께 유동시키므로 공기방울로 인한 소음이 현저하게작아지고, 오일챔버 내의 압력이 과다하게 누적되지 않아서 피로누적으로 인한 고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오일챔버와 오일누설방지챔버로 구분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설치되며 끝단에 직경이 작아지는 로드단턱이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로드단턱까지 삽설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오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원통형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설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지지스프링과 로드의 끝단에 있는 이링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와; 외주연에 패킹이 설치되며, 상기 오일누설방지챔버에 안착되는 부시와; 상기 부시와 맞닿아 설치되고 축부와 플랜지부가 형성된 오일시일과; 내측 바닥면에는 안착돌기가, 외측바닥면에는 상기 오일시일의 축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가진 결합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커버와; 상기 안착돌기의 외주연에 일단이 장착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에 장착되는 고정캡과; 상기 로드에 장착된 부시, 오일시일, 하우징 커버, 복귀스프링 및 고정캡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구; 및 상기 고정캡과 결합되는 범퍼로 형성된 종래의 도어충격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양측이 개봉되고, 내벽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외벽은 일방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중앙에 상기 로드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유체유동을 차단할 수 할 수 있는 차단턱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며 끝단에는 접시형상과 같이 가운데부분이 안쪽으로 움푹파져 있으며 테두리에서부터 외부로 경사진 감압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끝단에는 로드단턱 이후에 직경이 작아지며, 상기 로드단턱과 로드 끝단의 이링 사이에 실린더, 지지스프링, 체크밸브가 차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벽의 다수개의 돌기는 ㄱ자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2003-0040976U 2003-12-31 2003-12-31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0347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976U KR200347122Y1 (ko) 2003-12-31 2003-12-31 도어충격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976U KR200347122Y1 (ko) 2003-12-31 2003-12-31 도어충격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122Y1 true KR200347122Y1 (ko) 2004-04-08

Family

ID=4934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976U KR200347122Y1 (ko) 2003-12-31 2003-12-31 도어충격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1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7375A (zh) * 2022-01-13 2022-04-22 惠州市朝鹏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pu防撞亚麻纤维轻木滑板芯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7375A (zh) * 2022-01-13 2022-04-22 惠州市朝鹏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pu防撞亚麻纤维轻木滑板芯板
CN114377375B (zh) * 2022-01-13 2023-10-20 惠州市朝鹏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pu防撞亚麻纤维轻木滑板芯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7959B1 (en) Decelerating stop device for a movable member, in particular a furniture door or drawer, fittable to a stop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US5152029A (en) Hydraulic hinge
US8439172B2 (en) Oil damper using a cam
KR101638198B1 (ko) 양쪽개방 도어용 자동폐쇄 힌지 및 양쪽개방 도어 구조
US6443182B1 (en) Non-slamming check valve
US20120175830A1 (en) Buffer
KR200321920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0347122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0294107Y1 (ko) 도어 충격 완충장치
KR200363475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US9482186B2 (en) Leaf spring type variable valve
KR200271109Y1 (ko) 가구용 댐퍼
KR200354593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JP2001263516A (ja) リリーフバルブ
DE50312937D1 (ko)
KR200444787Y1 (ko) 양변기용 오일댐퍼
KR200435106Y1 (ko)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JPH03129078A (ja) ダンパ付きドアヒンジ
AU2016202203B2 (en) Diaphgram valve guiding assembly
AU2018260842B2 (en) Diaphragm valve sealing arrangement
KR100663751B1 (ko) 가구용 뎀퍼
KR200164272Y1 (ko) 첵크밸브
KR101915671B1 (ko) 역류방지형 버터플라이 밸브
KR102053225B1 (ko) 회전식 오일 댐퍼
KR102104743B1 (ko) 채터링 방지기능을 갖는 스윙 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