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787Y1 - 양변기용 오일댐퍼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오일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787Y1
KR200444787Y1 KR2020070013393U KR20070013393U KR200444787Y1 KR 200444787 Y1 KR200444787 Y1 KR 200444787Y1 KR 2020070013393 U KR2020070013393 U KR 2020070013393U KR 20070013393 U KR20070013393 U KR 20070013393U KR 200444787 Y1 KR200444787 Y1 KR 200444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rotation
locking unit
protrusion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518U (ko
Inventor
이무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시스
Priority to KR2020070013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78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7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용 오일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돌출부가 형성된 회전축대와; 상기 회전축대의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대가 점진적으로 회전하게 하고, 측면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중앙에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이 관통하는 제1 관통구를 가지되 상기 제1 관통구의 외주에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대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기를 가지는 상기 제1 걸림유닛과; 중앙에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이 관통하는 제2 관통구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걸림유닛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돌기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축대의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2 돌기를 가지는 제2 걸림유닛과;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이 관통되는 제3 관통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제1 걸림유닛 및 상기 제2 걸림유닛이 위치하게 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양변기에 뚜껑에 설치되어 외압에 의해 뚜껑이 회동할 시 그 축이 되어 회전한 회전축대가 제1 걸림유닛 및 제2 걸림유닛에 의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여 뚜껑이 직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양변기용 오일댐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변기용 오일댐퍼{OIL DAMPER FOR TOILET BOWL}
본 고안은 양변기용 오일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양변기에 뚜껑에 설치되어 외압에 의해 뚜껑이 회동할 시 그 축이 되어 회전한 회전축대가 제1 걸림유닛 및 제2 걸림유닛에 의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여 뚜껑이 직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양변기용 오일댐퍼에 관한 것이다.
원래 댐퍼는 오일댐퍼, 완충기라고도 하며, 오일의 마찰저항 및 오일의 유압을 이용하여 가해지는 외압을 흡수하는 장치로써, 상하운동을 완충시키는 장치, 회전운동을 완충시키는 장치 등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오일댐퍼는 양변기의 뚜껑 및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변부를 회동시키는 축 부분, 문을 회동시키는 축 부분 등에 설치되어 뚜껑, 좌변부 및 문 등 회동하는 대상체가 천천히 회동하게 하는 용도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용변 볼 시 양변기의 뚜껑이 중력에 의해 하향 회동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용변을 볼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에,두껑을 직립시켜야 하므로, 양변기의 뚜껑을 직립시키는 댐퍼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양변기에 뚜껑에 설치되어 외압에 의해 뚜껑이 회동할 시 그 축이 되어 회전한 회전축대가 제1 걸림유닛 및 제2 걸림유닛에 의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여 뚜껑이 직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양변기용 오일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돌출부가 형성된 회전축대와; 상기 회전축대의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대가 점진적으로 회전하게 하고, 측면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중앙에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이 관통하는 제1 관통구를 가지되 상기 제1 관통구의 외주에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대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기를 가지는 제1 걸림유닛과; 중앙에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이 관통하는 제2 관통구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걸림유닛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돌기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축대의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2 돌기를 가지는 제2 걸림유닛과;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이 관통되는 제3 관통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제1 걸림유닛 및 상기 제2 걸림유닛이 위치하게 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오일댐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걸림유닛 및 상기 제2 걸림유닛은 스프링강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기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경사면보다 경사각도가 더 급격한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1 걸림유닛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경사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제3 경사면과; 상기 제3 경사면보다 경사각도가 더 급격하고, 상기 제2 경사면과 접촉되면 상기 제1 걸림유닛의 타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제4 경사면을 가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대는 상기 회전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대를 점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오리피스부와; 상기 제1 오리피스부와 상기 제1 돌출부 사이에 상기 회전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홈이 외주에 형성된 제1 폐쇄부와; 상기 제1 폐쇄부의 외주에 둘러지는 제1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대의 제1 폐쇄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폐쇄부에 의해 폐쇄되고 내부에 오일이 충만되는 제1 실과;상기 제1 실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대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 오리피스부 가 이동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오일의 유동을 억제하여 상기 회전축대가 점진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제1 점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대의 중앙에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제4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대의 상기 제4 관통구에 삽입되며 점진적인 회전을 위하여 제2 오리피스부가 형성된 서브회전축대와; 외주에 홈이 형성된 제2 폐쇄부 및 상기 제2 폐쇄부의 외주에 둘러지는 제2 오링을 가지는 서브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공간을 구분하여 일면이 상기 제1 폐쇄부와 대향하여 상기 제1 실을 형성하되, 중앙이 관통되며 상기 회전축대의 상기 제4 관통구와 연통되어 상기 서브회전축대의 일측이 관통하는 제5 관통구를 가지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타면과 상기 제2 폐쇄부 사이에 상기 서브회전축대의 상기 제2 오리피스부를 위치시키고, 오일로 충만되는 제2 실과; 상기 제2 실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대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2 오리피스부 가 이동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오일의 유동을 억제하여 상기 서브회전축대가 점진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제2 점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회전축대는 상기 서브회전축대의 내부에 상기 서브회전축대의 연장방향으로 설치되는 비틀림방지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외압에 의해 회전한 회전축대가 제1 걸림유닛 및 제2 걸림유닛에 의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변기, 비데 등의 뚜껑을 서있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배변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1 걸림유닛 및 제2 걸림유닛은 스크링강 재질로 마 련되므로, 잦은 뚜껑 회동에 의해 제1 걸림유닛 및 제2 걸림유닛이 쉽게 마모되지 않아 장시간 동안 비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조 공정 시, 오일이 충만되는 제1 실 및 제2 실을 형성할시 공기배출틈새를 형성하여, 보다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이하, "댐퍼(1)"라고 한다)가 적용되는 대상은 양변기, 비데 등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어느 축을 기점으로 회동하는 대상물이면 본 고안에 따른 댐퍼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양변기, 비데(W) 등의 사람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변부(Y)와 좌변부를 덮는 뚜껑(Z)은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댐퍼(1)는 회전축(X)상에 설치되어 좌변부(Y) 및 뚜껑(Z)을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Z)을 제1 대상물이라 명명하고, 좌변부(Y)를 제2 대상물이라 명명한다.
그리고, 양변기 대신 최근에 개발된 비데를 사용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므로, 본 고안에서의 비데는 양변기 및 비데 등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기구를 통칭한 단어임을 밝히는 바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댐퍼(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댐퍼(1)는 회전축 대(100), 커버(500), 하우징(200), 서브회전축대(600), 서브커버(700), 제1 걸림유닛(300) 및 제2 걸림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대(100)는 제1 돌출부(110), 제1 폐쇄부(130), 제1 오링(10) 및 제1 오리피스부(120)를 포함하며, 일측에 단면부(101)가 형성되어 제1 대상물이 회동할 회전축(X)에 기초하여 회동시킨다.
제1 돌출부(110)는 회전축(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110)는 후술할 제1 걸림유닛(300)의 홈(320)에 삽입된다.
제1 폐쇄부(130)는 회전축(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에 제1 오링(10)이 삽입될 수 있는 오링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제1 폐쇄부(130)는 후술할 하우징(200)에 삽입되고 격벽(230)과 대향하게 위치하여 후술할 제1 실(A)을 형성한다.
제1 오리피스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대(100)로부터 회전축(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실(A)에 충만된 오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1 파임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파임부(121)는 제1 오리피스부(120)의 일단이 단차진 부분이다.
이에, 제1 오리피스부(120)는 제1 실(A)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파임부(121)가 후술할 하우징(200)의 제1 점진유닛(220)의 함몰부(221)및 관통부(222)와 함께 제1 실(A)의 충만된 오일(oil)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되, 회전축대(100)의 회전에 의해 오일의 이동 통로가 개방/폐쇄되게 한다. 여기서, 개방되었던 오일의 이동 통로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오일의 유량이 감소되고, 이는 회전축 대(100)를 점진적으로 회전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추후 서술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폐쇄부(130)에는 연장방향이 회전축(X)과 동일한 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31)은 회전축대(100)의 제1 폐쇄부(130)가 하우징(200)에 원활하게 삽입되게 한다. 여기서, 도 18에 도시된 제1 폐쇄부(130) 및 하우징(200)은 타 도면에 도시된 제1 폐쇄부(130) 및 하우징(200)과 그 형상이 차이가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홈(131)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설명하기 위해 제1 폐쇄부(130) 및 하우징(200)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가령, 홈(131)이 없다면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A)을 형성할 시, 하우징(200)의 내부와 제1 폐쇄부(130)에 둘러진 제1 오링(10)에 의해 공기가 압축되어 삽입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제조 공정상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홈(131)이 있다면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12)를 홈(131)에 삽입시키면서 제1 폐쇄부(130)를 하우징(200)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막대(12)의 직경은 홈(131)의 직경보다 작은 것으로 마련된다.
그러면, 도 18의 (c)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131)가 제1 폐쇄부(130)에 둘러진 제1 오링(10)을 가압하여 홈(131)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홈(131)과 막대(12)에 의해 공기배출틈새(13)가 형성된다. 제1 폐쇄부(130)가 하우징(200) 내에 삽입되면서 공기배출틈새(13)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 고, 회전축대(100)의 제1 폐쇄부(130)가 삽입 완료되면 도 1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12)를 제거한다. 그러면, 막대(12)에 의한 제1 오링(10)의 가압이 해지되어 공기배출틈새(13)가 폐쇄되므로, 오일(F)이 충만되는 제1 실(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대(100)는 제4 관통구(140)를 가진다. 제4 관통구(140)는 회전축대(100)의 중앙이 회전축(X)을 따라 관통된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4 관통구(140)는 후술할 서브회전축대(600)가 관통되어 제2 대상물을 회동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은 제1 결합부(210), 격벽(230), 제1 실(A), 제2 실(B), 제1 점진유닛(220) 및 제2 점진유닛(240)을 포함한다.
제1 결합부(210)에는 후술할 제2 걸림유닛(400)의 제2 결합부(420), 커버(500)의 제3 결합부(520) 및 서브커버(700)의 제4 결합부(720)가 나사 결합된다. 이에, 제2 걸림유닛(400), 커버(500) 및 서브커버(700)는 제1 대상물 또는 제2 대상물의 회동을 따라 회전하지 않고 하우징(200)에 고정된다.
격벽(230)은 본 고안의 회전축대(100)가 점진적으로 회전 이동하게 하는 제1 실(A)과 서브회전축대(600)가 점진적으로 회전 이동하게 하는 제2 실(B)을 구분하기 위해 마련된다.
격벽(230)은 회전축대(100)의 제4 관통구(140)과 연통되는 제5 관통구(231)를 가진다. 따라서, 서브회전축대(600)는 제5 관통구(231) 및 제4 관통구(140)를 관통하여 제2 대상물과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A)은 회전축대(100)의 제1 폐쇄부(130)와 격벽(230)에 의해 형성되며 내부에 제1 오리피스부(120) 및 제1 점진유닛(220)이 삽입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B)은 서브커버(700)의 제2 폐쇄부(710) 및 하우징(200)의 격벽(230)에 의해 형성되며, 내부에 제2 오리피스부(610) 및 제2 점진유닛(240)이 삽입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제1 실(A) 및 제2 실(B)의 내부에는 오일이 충만된다.
제1 실(A)에 충만된 오일은 상기 제1 오링(10)과 도 2 및 도 3에 에 도시된 제3 오링(30)에 의해 누유되지 않는다.
여기서,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내면에는 고정돌출부(221,24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출부(221,241)는 회전축대(100)의 측면을 지지하여 각 2개씩의 제1 점진유닛(200) 및 제2 점진유닛(240)이 각 1개씩 위치하도록 제1 실(A) 및 제2 실(B)의 내부를 구분한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출부(221)에는 오일홈(221a)이 형성되어 있다. 오일홈(221a)은 고정돌출부(221)에 의해 구분된 제1 실(A)의 내부 공간 간에 소량의 오일만이 유동하게 한다. 물론, 고정돌출부(241)에도 오일홈(221a)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오일홈(미도시)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점진유닛(220)은 함몰부(221) 및 관통부(222) 를 가진다. 그리고, 제2 점진유닛(240)은 도 7에 도시된 제1 점진유닛(22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상물의 회전에 의해 도면상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축대(100)가 자전하면 제1 오리피스부(120)는 반원형의 제1 실(A)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오일은 제1 오리피스부(120)의 제1 파임부(121), 제1 점진유닛(220)의 함몰부(221) 및 관통부(222)에 의해 형성된 상기 오일의 이동 통로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P).
그러나, 제1 오리피스부(120)의 이동이 계속 진행됨에 의한 상기 오일의 이동 통로가 거의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일의 이동 통로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므로, 이를 통해 유동하던 오일의 량이 점차 감소한다.
이는, 제1 오리피스부(12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게 되며, 이에 회전축대(100)의 회전속도가 감소되어 점진적으로 회전축대(100)가 회전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결국,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의 이동 통로가 폐쇄되면서, 오일은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Q). 여기서, 상기 오일의 이동 통로 폐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소량이 오일이 배출되어야만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된 고정돌출부(221)에 형성된 오일홈(221a)을 통해 소량의 오일이 고정돌기부(221,241)에 의해 구분된 제1 실(A)의 도면상 아랫부분으로 배출됨으로써 해결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과정은 회전축대(100)의 회전속도가 감소되어 점진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제2 오리피스부(610)도 제2 파임부(611)를 포함하고, 제2 실(B)에 삽입된 제2 점진유닛(240)에 의해 상기와 같은 과정이 수행된다. 이에, 서브회전축대(600)의 회전속도가 감소되어 점진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유닛(300)은 제1 관통구(310)를 가진다. 제1 관통구(310)는 회전축대(100)의 타측이 관통된다. 제1 관통구(310)의 외주에는 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홈(320)은 회전축대(100)의 제1 돌출부(110)가 삽입되기 위해 마련된다. 이에, 회전축대(100)의 회전을 따라, 제1 걸림유닛(300)도 회전한다.
제1 걸림유닛(300)에는 제1 돌기(33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돌기(330)는 후술할 제2 걸림유닛(400)의 제2 돌기(430)와 접촉되기 위해 마련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과 같이 제1 돌기(330)에는 제1 경사면(331) 및 제2 경사면(3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사면(332)의 경사각도는 제1 경사면(331)의 경사각도보다 더 급격하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유닛(400)은 제2 관통구(410)를 가진다. 제2 관통구(410)에는 회전축대의 타측이 관통된다. 또한 제2 걸림유닛(400)의 측면에는 제2 결합부(420)가 형성되어 하우징(200)의 제1 결합부(210)와 결합된다. 이에, 하우징(200)이 고정되면, 제2 걸림유닛(400)도 고정된다.
제2 걸림유닛(400)에는 하우징(200)에 결합되었을 시 회전축대(100)의 일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돌기(43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제1 돌기(330) 및 제2 돌기(430)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기(430)에는 제3 경사면(431)과 제4 경사면(432)이 형성된다.
제3 경사면(431)은 회전축대(100)를 따라 일방향 회전하는 제1 걸림유닛(300)의 제1 돌기(330)의 제1 경사면(331)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한다.
제4 경사면(432)은 제3 경사면(431)보다 더 급격한 경사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일방향 회전하던 제1 돌기(330)의 제1 경사면(331)이 제3 경사면(431)과 접촉 해제된 후, 외압에 의해 타방향 회전하면 제1 돌기(330)의 제2 경사면(332)이 제2 돌기(430)의 제4 경사면(432)과 접촉한다. 이때, 제2 경사면(332) 및 제4 경사면(432)은 모두 제1 경사면(331) 및 제3 경사면(431)보다 급격한 경사를 가지고 있다. 이에, 제2 경사면(332)이 타방향 회전하면서 제4 경사면(432)과 접촉하게 되면 제1 경사면(331)이 제3 경사면(431)을 슬라이딩 하는 것과는 달리, 상술한 급격한 경사에 의해 상술한 외압이 가해져도 제1 돌기(33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즉, 일예로 회전축대(100)에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W), 뚜껑(Z)이 결합되어 회동하고 있다고 가정하겠다. 뚜껑(Z)을 개방하기 위해 일방향 회동시키면, 제1 돌기(330)의 제1 경사면(331)은 제2 돌기(430)의 제3 경사면(431)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리고, 개방된 뚜껑(Z)은 상술한 외압인 중력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동하여 폐쇄되려고 하나, 제1 돌기(330)의 제2 경사면(332)이 제2 돌기(430)의 제4 경사면(432)과 접촉되어 뚜껑(Z)이 폐쇄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뚜껑을 닫기 위해 회전축대(100)가 타방향 회동하도록 가압하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제1 걸림유닛(300)은 제1 돌기(330)가 돌출된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고 제2 걸림유닛(400) 제2 경사면(332)이 제4 경사면(432)과 접촉해제된다.
여기서, 제1 걸림유닛(300) 및 제2 걸림유닛(400)은 스프링강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1 걸림유닛(300) 및 제2 걸림유닛(400)은 탄성을 가지므로, 제1 걸림유닛(300)은 제1 돌기(330)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용이하게 휘어질수 있고, 제2 걸림유닛(400)은 제2 돌기(430)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에, 제1 경사면(331) 및 제3 경사면(431) 간의 접촉/접촉해제, 제2 경사면(332) 및 제4 경사면(432) 간의 접촉/접촉해제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1 걸림유닛(300) 및 제2 걸림유닛(400)이 스프링강 재질로 마련되면, 제1 걸림유닛(300) 및 제2 걸림유닛(400)이 탄성 변형에 의해 용이하게 휘어질수 있으므로, 제1 경사면(331) 및 제3 경사면(431) 간의 접촉/접촉해제와 제2 경사면(332) 및 제4 경사면(432) 간의 접촉/접촉해제에 의해 제1 경사면(331),제2 경사면(332), 제3 경사면(431) 및 제4 경사면(432)이 쉽게 마모되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0)는 중앙에 회전축대(100)의 타측이 관통되는 제3 관통구(510)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하우징(200)의 제1 결합 부(210) 및 제2 걸림유닛(400)의 제2 결합부(420)와 나사결합되는 제3 결합부(5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커버(500) 및 하우징(200) 사이에는 제1 걸림유닛(300) 및 제2 걸림유닛(400)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댐퍼(1)는 1개의 회전축(X)으로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을 회동시킬 수 있는 서브회전축대(600) 및 서브커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회전축대(600)의 일측에는 제2 오리피스부(610)가 형성되어 하우징(200)의 제2 실(B)에 삽입된다. 또한, 서브회전축대(600)의 타측은 회전축대의 제4 관통구(140) 및 하우징(200)의 격벽(230)의 제5 관통구(231)를 관통한다. 그리고, 서브회전축대(600)의 일측에는 제2 대상물과 결합되기 위한 단차부(6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실(B)의 오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 오링(40)이 결합되는 오링홈(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회전축대(600)는 비틀림방지핀(6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틀림방지핀(602)은 서브회전축대(600)의 내부에 서브회전축대(600)의 연장방향으로 삽입 설치된다. 비틀림방지핀(602)은 사각핀, 육각핀, 팔각핀 또는 표면에 널(knurl)이 형성된 핀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비틀림방지핀(602)은 서브회전축대(600)에 비틀림에 대항하는 강성을 부여하여, 서브회전축대(600)의 단차부(601)가 회전함에 의해 제2 오리피스부(610)가 회전할 시 서브회전축대(600)에 가해지는 비틀림력에 의해 서브회전축대(6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제2 오리피스부(610)가 제2 실(B)에서 제2 점진유닛(240)과 함께 서브회전축대(600)를 점진적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은 제1 실(A)에서 제1 오리피스부(120)가 제1 점진유닛(220)에 의해 점진적으로 회전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커버(700)는 제2 폐쇄부(710) 및 제4 결합부(720)를 포함한다.
제2 폐쇄부(710)는 하우징(200)에 삽입되고 하우징(200)의 격벽(230)과 더불어 제2 실(B)을 형성하며, 외주에 오링홈(21)이 형성되어 제2 오링(20)이 삽입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오링(20)은 오링홈(41)에 삽입되는 제4 오링(40)과 더불어 제2 실(B)의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폐쇄부(710)에는 홈(71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폐쇄부(710)의 홈(711)은 제2 폐쇄부(710)의 외주에 형성된 홈(711a)과 홈(711a)이 서브커버(700)의 외면까지 연장되기 위해 서브커버(700)의 몸체에 형성된 홈(711b)으로 마련된다.
홈(711)은 회전축대(100)의 제1 폐쇄부(130)에 형성된 홈(131)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결합부(720)는 하우징(200)의 제1 결합부(210)과 나사결합 한다. 이에, 서브회전축대(60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오리피스부(610)가 제2 실(B) 내에 위치하 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댐퍼(1)가 비데(W)의 뚜껑(Z)에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뚜껑(Z)을 회동시키고 용변을 볼 시 뚜껑(Z)을 회동시킴에 의해 회전한 회전축대(100)가 제1 걸림유닛(300) 및 제2 걸림유닛(400)에 의해 회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종래에 뚜껑(Z)이 중력에 의해 자주 내려와서 사용자의 배변활동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배변활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 걸림유닛(300) 및 제2 걸림유닛(400)은 스크링강 재질로 마련되므로, 잦은 뚜껑(Z) 회동에 의해 제1 걸림유닛(300) 및 제2 걸림유닛(400)이 쉽게 마모되지 않아 장시간 비데(W)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조 공정 시, 오일이 충만되는 제1 실(A) 및 제2 실(B)을 형성할 시 공기배출틈새(13)를 형성하여, 보다 간단하게 본 고안에 따른 댐퍼(1)를 제조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회전축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하우징의 전방시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하우징의 후방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제1 점진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회전축대가 점진적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제1 걸림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제1 걸림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제2 걸림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제2 걸림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서브회전축대의 측면도이고,
도 16는 도 15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의 서브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8의 (A) 내지 (D)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를 제조할 시 공기배출틈새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은 도 18의 (C)에서 공기배출틈새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오일댐퍼가 설치된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번호에 대한 설명>
1 : 양변기용 오일댐퍼 100 : 회전축대
200 : 하우징 220 : 제1 점진유닛
240 : 제2 점진유닛 300 : 제1 걸림유닛
400 : 제2 걸림유닛 500 : 커버
600 : 서브회전축대 700 : 서브커버

Claims (6)

  1. 회전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돌출부가 형성된 회전축대와;
    상기 회전축대의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대가 점진적으로 회전하게 하고, 측면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중앙에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이 관통하는 제1 관통구를 가지되 상기 제1 관통구의 외주에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대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기를 가지는 제1 걸림유닛과;
    중앙에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이 관통하는 제2 관통구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걸림유닛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돌기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축대의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2 돌기를 가지는 제2 걸림유닛과;
    상기 회전축대의 타측이 관통되는 제3 관통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제1 걸림유닛 및 상기 제2 걸림유닛이 위치하게 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오일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유닛 및 상기 제2 걸림유닛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마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오일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경사면보다 경사각도가 더 급격한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1 걸림유닛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경사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제3 경사면과;
    상기 제3 경사면보다 경사각도가 더 급격하고, 상기 제2 경사면과 접촉되면 상기 제1 걸림유닛의 타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제4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오일댐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대는
    상기 회전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대를 점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오리피스부와;
    상기 제1 오리피스부와 상기 제1 돌출부 사이에 상기 회전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홈이 외주에 형성된 제1 폐쇄부와;
    상기 제1 폐쇄부의 외주에 둘러지는 제1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대의 상기 제1 폐쇄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폐쇄부에 의해 폐쇄되고 내부에 오일이 충만되는 제1 실과;
    상기 제1 실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대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 오리피스부 가 이동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오일의 유동을 억제하여 상기 회전축대가 점진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제1 점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오일댐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대의 중앙에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제4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대의 상기 제4 관통구에 삽입되며 점진적인 회전을 위하여 제2 오리피스부가 형성된 서브회전축대와;
    외주에 홈이 형성된 제2 폐쇄부 및 상기 제2 폐쇄부의 외주에 둘러지는 제2 오링을 가지는 서브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공간을 구분하여 일면이 상기 제1 폐쇄부와 대향하여 상기 제1 실을 형성하되, 중앙이 관통되며 상기 회전축대의 상기 제4 관통구와 연통되어 상기 서브회전축대의 일측이 관통하는 제5 관통구를 가지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타면과 상기 제2 폐쇄부 사이에 상기 서브회전축대의 상기 제2 오리피스부를 위치시키고, 오일로 충만되는 제2 실과;
    상기 제2 실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대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2 오리피스부 가 이동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오일의 유동을 억제하여 상기 서브회전축대가 점진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제2 점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오일댐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회전축대는
    상기 서브회전축대의 내부에 상기 서브회전축대의 연장방향으로 설치되는 비틀림방지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오일댐퍼.
KR2020070013393U 2007-08-10 2007-08-10 양변기용 오일댐퍼 KR200444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393U KR200444787Y1 (ko) 2007-08-10 2007-08-10 양변기용 오일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393U KR200444787Y1 (ko) 2007-08-10 2007-08-10 양변기용 오일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518U KR20090001518U (ko) 2009-02-13
KR200444787Y1 true KR200444787Y1 (ko) 2009-06-05

Family

ID=4129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393U KR200444787Y1 (ko) 2007-08-10 2007-08-10 양변기용 오일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78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923B1 (ko) * 2009-02-27 2011-08-05 주식회사 삼홍테크 롤형의 텐션부재가 내장된 오일 댐퍼
KR101054922B1 (ko) * 2009-02-27 2011-08-05 주식회사 삼홍테크 텐션부재가 내장된 오일 댐퍼
KR101675743B1 (ko) * 2009-03-20 2016-11-15 코웨이 주식회사 좌변기용 비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518U (ko) 200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2448B2 (ja) 回転ダンパ
US6393624B1 (en) Damping device for a toilet seat and lid unit in western-style toilet
EP2014191A1 (en) Cosmetics case
US11072958B2 (en) Damper hinge and western-style toilet using the same
EP2208912A1 (en) Hinge device
JP2009185476A (ja) 両開用自動閉扉蝶番及び両開扉構造
KR200444787Y1 (ko) 양변기용 오일댐퍼
KR101345236B1 (ko) 양변기용 오일댐퍼
CA2834150A1 (en) Hinge
TWI451027B (zh) 流體阻尼鉸鏈
JP5180231B2 (ja) ダンパ装置
KR100678719B1 (ko) 좌변기 커버의 변좌/덮개용 댐퍼
JP2016016211A (ja) ダンパーおよび便座ユニット
KR20100026281A (ko) 회전식 오일댐퍼
US10920476B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JPH03129078A (ja) ダンパ付きドアヒンジ
US20080284193A1 (en) Tailgate dampener
JP2003339577A (ja) 便座又は便蓋の自立機構を備えた便座装置
JP2006064122A (ja) ダンパ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ドア用ダンパ付きヒンジ機構
JP3155452B2 (ja) クラッチ機構
JP3071577B2 (ja) 回転ダンパ
RU2417298C2 (ru) Шарнирная структура для самозакрывающихся дверей или т.п., в частности стеклянных дверей или т.п., и узел, содержащий такую структуру
KR200379321Y1 (ko) 배기구의 전동 댐퍼 구조
TWI573925B (zh) 傢俱鉸鏈及其阻尼裝置
US20180172104A1 (en) Fluid-valve da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