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920Y1 - 도어충격완충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충격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920Y1
KR200321920Y1 KR20030013350U KR20030013350U KR200321920Y1 KR 200321920 Y1 KR200321920 Y1 KR 200321920Y1 KR 20030013350 U KR20030013350 U KR 20030013350U KR 20030013350 U KR20030013350 U KR 20030013350U KR 200321920 Y1 KR200321920 Y1 KR 200321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il
shock absorber
bumper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13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문주하드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문주하드웨어 filed Critical (주)문주하드웨어
Priority to KR20030013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920Y1/ko
Priority to PCT/KR2003/001114 priority patent/WO200409598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16F9/5126Piston, or piston-like valv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05Y2201/256Fluid or viscous friction with pistons or v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4Type of motion, e.g. braking lin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정에서 가구나 싱크대의 도어를 여닫을때 도어가 도어틀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과 이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위한 도어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 본체 내에 오일시일을 사용하여 오일챔버를 형성하고, 그 중앙부에 피스톤로드를 삽입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끝단부에 실린더로드와 제1,2체크밸브를 장착하여 오일의 유통경로를 조절하고 스프링을 설치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공간가이드부시가 형성되고, 상기피스톤로드와 연결된 범퍼고정캡과 범퍼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제작 시에 오일챔버 내에 공기방울이 혼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공기방울로 인한 소음을 제거하고, 범퍼와 범퍼고정캡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도어가 닫힐때 상기 도어충격완충장치로부터 튀는 현상과 소음을 완화시켜 줄 수 있으며, 제2체크밸브에 확대틈을 형성하여 큰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화할 수 있고, 오일시일링을 오일시일에 압입하여 큰 충격으로 인한 오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충격완충장치{Door Damper}
본 고안은 도어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정에서 가구나 싱크대의 도어를 여닫을때 도어가 도어틀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과 이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위한 도어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옷장, 책꽂이 등과 같은 가구나 싱크대에는 스프링힌지에 의해 도어가 부착되며, 이러한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서, 특히 도어를 열 때 보다는 닫을 때에, 서서히 닫을 때에는 괜찮겠지만 급작스럽게 닫을 경우에는 도어가 도어틀에 부딛혀서 충격이 가해지고, 그 충격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며, 심할 경우에는 도어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어를 급작스럽게 닫을 때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부상을 당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가구나 싱크대 등의 도어를 부주의하게 닫는 경우가 많아서 상기한 문제가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본원 출원인이 개발하여 대한민국특허청에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20-0294107)와 같은 도어충격완충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에서의 도어충격완충장치를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오일챔버(113)와 오일누설 방지챔버로 구분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설치되며 외주연에 유로홈이 형성된 로드와;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와 유로홈이 연통되게 상기 로드에 장착되어 오일챔버(113)에 설치되는 제1,2체크밸브(210,220)와; 상기 제2체크밸브(220)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90)과; 외주연에 패킹이 설치되며, 상기 오일누설 방지챔버에 안착되는 부시(180)와; 축부와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부시와 맞닿아 설치되는 오일시일(170)과; 내측 바닥면에는 안착돌기가, 외측 바닥면에는 상기 오일시일의 축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가진 결합돌기가, 외측 바닥면에는 상기 오일시일의 축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가진 결합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커버와; 상기 안착돌기의 외주연에 일단이 장착되는 복귀 스프링(150)과;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에 장착되는 고정캡과; 상기 로드에 장착된 부시, 오일시링, 하우징 커버(160), 복귀스프링 및 고정캡(14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구; 및 상기 고정캡과 결합되는범퍼(1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충격이 가해질때 먼저 범퍼로 충격을 완화하고, 다음으로 스프링과 체크밸브를 통과하는 오일로 인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도어충격완충장치에 있어서, 스프링힌지에 의해 부착된 도어가 개폐될 때 상기 오일챔버내의 오일이 제1,2체크밸브를 통과하면서 상기 도어충격완충장치를 제작할 때에 이미 오일챔버내에 혼입되어 있던 공기방울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고, 또 상기 스프링힌지에 의해 부착된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힐 경우에는 상기 도어가 범퍼에 닿을때 튀는 현상과 함께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에 제1,2체크밸브를 통해서 지나가는 오일의 양이 적어지므로써, 오일에 압력이 과도하게 발생되고, 이러한 압력상승으로 인해 오일챔버를 둘러싸고 있던 하우징이 외부로 휘게 되어 오일의 유출을 막고 있던 오일시일과 하우징본체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게 되어 오일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1) 상기 도어충격완충장치를 제작할 때에 오일챔버내로 혼입되는 공기방울을 최소화하여 공기방울로 인한 소음을 제거하고, 2) 상기 범퍼와 범퍼고정캡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스프링 힌지에 의해 부착된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히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가 범퍼로부터 튀는 현상을 제거하고 동시에 소음을 제거하며, 3) 상기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히는 경우에도 제1,2체크밸브를 통과하는 오일의 양을 현저하게 줄여서 충격을 완화시키며, 아울러 4) 상기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히는 경우 오일시일과 하우징본체 사이에 생길수 있는 미세한 틈을 오일시일과 오일시일링을 이용하여 막아줌으로써 오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충격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충격완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구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구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에서 도어가 닫혔을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구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하우징 본체와 피스톤로드를 나타낸 부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구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범퍼, 범퍼고정캡 및 공간가이드부시를 나타낸 부품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구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오일시일링, 오일시일, 튜브가이드부시, 튜브형부재 및 안착링을 나타낸 부품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구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실린더가이드를 나타낸 부품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구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제2체크밸브를 나타낸 부품의 단면도, 평면도 및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구성된 도어충격완충장치의 제1체크밸브를 나타낸 부품의 저면도, 단면도 및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하 부호의 설명 **
10 : 범퍼 30 : 범퍼고정캡
40 : 피스톤로드 50 : 가이드부시
60 : 튜브가이드부시 61 : 튜브형부재
62 : 안착링 70 : 오일시일
75 : 오일시일링 100 : 하우징 본체
110 : 오일챔버 120 : 스프링 안착돌기
130 : 스프링 140 : 경사단턱
141 : 단턱 200 : 제2체크밸브
210 : 제1체크밸브 220 : 실린더가이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한쪽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된 방향으로 확대된 직경을 갖는 하우징 본체 내벽에 두 개의 단턱과 스프링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하우징 본체 내벽에 형성된 한쪽 단턱에 오일시일과 오일시일링을 설치하여 오일챔버가 형성되도록 하우징 본체를 나누고; 상기 오일챔버 내로 상기 피스톤로드로부터 연결되어 하우징 본체의 내벽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된 실린더로드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실린더로드와 제1체크밸브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체크밸브와; 상기 제1체크밸브와 하우징 본체 내벽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돌기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본체내의 또다른 한쪽 단턱에 설치된 튜브가이드부시와; 상기 튜브가이드부시 내에 설치된 튜브형부재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가 형성된 공간부가이드부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끝단부에 설치된 범퍼고정캡과; 상기 범퍼고정캡의 일정한 공간을 두고 설치된 범퍼로 구성되어 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도 9에서 한쪽이 개구되고, 개구된 방향으로 확대된 직경을 갖는 하우징 본체(100)의 내벽에 경사단턱(140)과 단턱(141)이 형성되고, 바닥의 내벽에스프링 안착돌기(1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단턱(140)과 단턱(141)사이에는 오일시일(70)과 튜브가이드부시(60), 튜브형부재(65) 및 안착링(68)이 차례로 연착되어 오일시일링(75)에 의해 고정되어진다.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안착링(68)으로부터 분리되어 오일챔버(110)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챔버(110) 내에는 오일이 가득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중앙부에 피스톤로드(4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로드(40)의 오른쪽 끝단부에는 하우징 본체(100) 내벽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직경을 갖는 실린더가이드(220)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가이드(220)의 가이드축부(221)의 끝단부에 끼워지고 스프링(1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스프링안착홈(211)이 형성된 제1체크밸브(210)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축부(221)에 끼워지며 제1체크밸브(210)에 의해 한정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체크밸브(2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체크밸브의 스프링안착홈(211)과 하우징 본체(100)의 스프링안착돌기(120)에 스프링(130)이 고정 설치 되어 진다.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개구부(150)에는 공간가이드부시(50)가 삽입되어지는데 상기 공간가이드부시(50)는 왼쪽 끝단부에 외부플랜지부(52)와 내부플랜지부(53)가 형성되고, 그 외벽의 일부는 하우징 본체(100)의 내벽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하여 꽉끼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간가이드부시(50)의 오른쪽 끝단부는 오일시일링(75)과 연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진다. 상기 공간가이드부시(50)와 하우징 본체(100)는 고주파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융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가이드부시(50)로 형성된 후퇴공간부(51)내로 상기 피스톤로드(40)의 왼쪽 끝단부에는 플랜지부(31)가 형성된 범퍼고정캡(30)이 설치되어진다. 상기 범퍼고정캡(30)의 플랜지부(31)는 피스톤로드(40)가 스프링(130)에 의해 튀어나갈때 공간가이드부시(50)의 내부플랜지부(53)와 맞닿아 정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범퍼고정캡(30)의 좌측 끝단부에는 범퍼(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 범퍼(10)는 고무나 발포수지재 등으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 범퍼(10)가 범퍼고정캡(30)에 일정하게 이격되어 설치되어 진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도어충격완충장치의 주요 부품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범퍼(10)는 고무나 발포수지재로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범퍼고정캡(30)에 안착될 때 일정한 공간부(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스프링 힌지에 의해 부착된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힐 경우에 1차적으로 범퍼(100)의 탄성이 충격을 흡수하고, 2차적으로 상기 공간부(11)내의 공기를 밀어냄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도어가 범퍼로부터 튀는 현상과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오일시일(70)은 고무나 발포수지재의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오일의 유출을 방지한다. 상기 피스톤로드(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오일시일(70)의 중앙부에는 돌출부(72)가 형성되어지는데, 상기 돌출부(72)는 상기 피스톤로드(40)가 오일챔버(110) 내에서 오일을 뭍히고 스프링(130)에 의해 튀어나갈때피스톤로드(40)를 긁어내려서 오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오일시일(70)은 오일시일링(75)에 의해서 고정되어지는데 상기 오일시일링(75)의 끝단부에는 돌출삽입부(76)가 형성되어, 오일시일(70)이 오일시일링(75)에 의해 고정되어 질 때 돌출삽입부(76)가 오일시일(70)의 플랜지부(71)로 압입되어진다. 상기 돌출삽입부(76)가 탄성재질로 형성된 오일시일(700)의 플랜지부(71)로 압입되어지므로써, 스프링 힌지에 의해 부착된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힐 경우에 상기 범퍼(100)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이 피스톤로드(40)를 따라 오일에 주어지고, 오일의 유압이 증가하여 하우징 본체(100)가 외부로 휘어질 때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오일시일(70)과 하우징 본체(100)의 내벽사이의 미세한 틈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즉, 압입된 오일시일링(75)의 돌출삽입부(76)의 부피만큼 오일시일(70)이 부풀어 올라서 오일의 유출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상기 범퍼(10)에 주어지는 압력이 45Kgf 라면 약 0.03mm정도 틈이 생기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상기 제1체크밸브(210)는 실린더가이드(220)의 가이드축부(221)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연에 단턱을 형성하고, 그 단턱에 스프링안착홈(211)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130)이 안착될수 있도록 형성되어 진다. 또한 오일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유로홈(212)이 4방향으로 형성되어 진다.
상기 제2체크밸브(200)는 실린더가이드(220)의 가이드축부(221)에 끼워지며 상기 제1체크밸브(210)에 의해 한정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진다. 제2체크밸브(200)의 안쪽방향으로 4개의 돌기(201)가 형성되어 있고, 한쪽면이 잘라져 있는 확대틈(202)이 형성된다. 상기 확대틈(202)은 정상적인 작동을 할때에는 닫혀 있다가 스프링 힌지에 의해 부착된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힐 경우에 오일에 큰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2체크밸브(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이 증가하여 오일이 제2체크밸브(200)의 직경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힘이 주어지고, 이때 확대틈(202)이 벌어지게된다. 상기 제2체크밸브(200)의 직경이 확대됨으로써, 제2체크밸브(200)의 외주면과 실린더 본체(100) 내벽 사이로 흐르던 오일의 유로가 차단되고 오직 벌어진 확대틈(202) 사이로만 오일이 흐르게 되어, 오일의 흐름을 빠르게 함으로써 충격으로 인한 압력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린더가이드(220)와 제1체크밸브(210)의 중앙부에는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로드(40)가 삽입되어지기전에 오일을 삽입함에 있어서, 이 중공을 따라 오일을 천천히 주입함으로써, 공기의 혼입을 막을 수 있고, 공기의 혼입으로 인한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도어충격완충장치가 도어가 열릴때와 닫힐때 어떤 작동을 하는가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고, 본 고안의 주요 특징인 도어가 닫힐때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본 고안의 도어충격완충장치를 도어 틀에 장치한 상태에서 가구나 싱크대의 도어가 닫혀 있을 경우에는 도 3의 상태와 같이 상기 범퍼(10)와 범퍼고정캡(30)이 후퇴공간부(51) 내로 삽입되고, 피스톤로드(40)가 후퇴함으로써 상기 스프링(130)이 압착되어진다. 이때 도어를 열면 압착된 스프링(130)이 복원되면서 피스톤로드(40)를 밀어내게 되고, 상기 범퍼(10)와 범퍼고정캡(30)은 도 2의 상태와 같이 후퇴공간부(51)로부터 빠져 나온다.
도 1의 상태에서 도어가 서서히 닫힐 경우에는 범퍼(10)가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범퍼고정캡(30)을 후퇴공간부(51)로 밀어넣게 된다. 이 때 범퍼고정캡(30)이 피스톤로드(40)를 오일챔버(110)내로 밀어넣게 되고, 제1,2 체크밸브(210,220)의 유로홈(212)들과 하우징 내벽과의 공간부로 오일이 빠져나가서 튜브형부재(65)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 때 튜브형 부재는 도 2에서와 같이 줄어듦으로써 밀려들어온 피스톤로드(40)의 부피 만큼의 오일을 함유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도 1의 상태에서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힐 경우에는 범퍼(10)가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범퍼(10)와 범퍼고정캡(30) 사이의 공간부(11)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전달된 충격은 피스톤로드(40)를 오일챔버(110)내로 빠르게 밀어넣는데 이때 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제1체크밸브(210)에서 유로홈(212)과 하우징 본체(100) 내벽과의 공간부로 오일이 빠르게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또한 오일이 제2체크밸브(200)의 내부로 빠르게 유입되면서 제2체크밸브(200)의 내부에서부터 외부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게되고, 이때 확대틈(202)이 벌어져서 오일의 다른쪽의 유로들이 차단되고, 오직 확대틈(202)으로만 빠져나가게 되어 크게 충격을 완화시실수 있다. 이러한 오일챔버(110) 내의 압력의 상승으로 인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100)가 휘게될 때도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한 것과 같이 오일시일(70)에 오일시일링(75)이 압입되어 있으므로 오일의 유출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충격완충장치는 종래의 도어충격완충장치의문제점을 보완하여 급작스럽게 도어가 닫힐 경우에 도어가 범퍼로부터 튀는 현상과 이로인한 소음을 제거하고, 제2체크밸브의 확대틈을 이용하여 큰 충격에도 충격흡수를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심한충격에도 오일의 유출을 막아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시에 오일챔버내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공기방울로 인한 소음을 제거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한쪽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된 방향으로 확대된 직경을 가지며 그 내벽에 두 개의 단턱과 스프링 안착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설치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하우징 본체 내벽에 경사단턱에 설치된 오일시일링과; 상기오일시일링이 압입되어 설치된 오일시일과; 상기 오일시일링과 연착하여 설치된 튜브가이드부시와; 상기 튜브가이드부시와 연착되어 단턱에 고정되어 설치된 안착링과; 상기 튜브가이드부시 내에 설치되어 있는 튜브형부재와; 상기 하우징 본체 내로 상기 피스톤로드로부터 연결되어 실린더 내벽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된 실린더가이드와; 상기 실린더가이드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실린더가이드와 제1체크밸브 사이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체크밸브와; 상기 제1체크밸브와 하우징 본체 내벽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돌기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가 형성된 공간부가이드부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끝단부에 설치된 범퍼고정캡과; 상기 범퍼고정캡의 공간부에 설치된 범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이드의 중앙부에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크밸브는 4개의 유로홈이 형성되고,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크밸브는 안쪽으로 4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외주면이 절개된 확대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시일링은 돌출삽입부를 형성하여 오일시일의 플랜지부에 압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범퍼고정캡으로부터 공간부를 갖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030013350U 2003-04-29 2003-04-29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0321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3350U KR200321920Y1 (ko) 2003-04-29 2003-04-29 도어충격완충장치
PCT/KR2003/001114 WO2004095982A1 (en) 2003-04-29 2003-06-05 Door dam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3350U KR200321920Y1 (ko) 2003-04-29 2003-04-29 도어충격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920Y1 true KR200321920Y1 (ko) 2003-07-31

Family

ID=3341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13350U KR200321920Y1 (ko) 2003-04-29 2003-04-29 도어충격완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21920Y1 (ko)
WO (1) WO200409598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4237A1 (en) * 2004-06-30 2006-01-12 Moonju Hardware Co., Ltd. Door damper
KR100960997B1 (ko) 2010-01-07 2010-06-03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가구용 쇼크업소버
KR101729917B1 (ko) * 2016-09-28 2017-04-25 삼광기업주식회사 이동식 서가용 완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5533B (en) * 2003-05-20 2004-12-21 Jr-Hung Li A cabinet door bumper
US7032271B2 (en) * 2004-04-02 2006-04-25 Jung-Hui Lin Noise control device for a steel door
CN103123257B (zh) * 2012-09-06 2015-08-05 浙江吉利罗佑发动机有限公司 进排气气门油封内凸缘检具及其检测方法
DE102013106087A1 (de) * 2013-06-12 2014-12-18 Dorma Gmbh + Co. Kg Türbetätiger mit einem Druckausgleichselement
US9702176B2 (en) 2014-07-07 2017-07-1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Spring loaded actuator assembly
CN105179557B (zh) * 2015-10-23 2018-09-1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液压阻尼器及铰链
CN105626735B (zh) * 2016-04-11 2017-08-15 常州气弹簧有限公司 辅助回复式气弹簧
CN108775754B (zh) * 2018-04-03 2022-05-20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一种冷柜
CN111173878B (zh) * 2020-01-22 2021-01-05 西北工业大学 一种具有自复位功能的自适应粘滞阻尼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578Y1 (ko) * 1999-08-12 2000-02-15 주식회사한일루브텍 쇽업소버
KR200282449Y1 (ko) * 2002-04-01 2002-07-19 (주)문주하드웨어 댐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4237A1 (en) * 2004-06-30 2006-01-12 Moonju Hardware Co., Ltd. Door damper
KR100960997B1 (ko) 2010-01-07 2010-06-03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가구용 쇼크업소버
KR101729917B1 (ko) * 2016-09-28 2017-04-25 삼광기업주식회사 이동식 서가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95982A1 (en) 200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384B1 (ko) 충격 감쇠, 특히 가구의 문 또는 서랍의 충격을 감쇠하기위한 장치
KR200321920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US8104140B2 (en) Decelerating stop device for a movable member, in particular a furniture door or drawer, fittable to a stop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US8336166B2 (en) Hinge damper
US7861371B2 (en) Door damper
KR100652128B1 (ko) 가구용 도어의 닫힘 충격 완충 장치
US20070251052A1 (en) Buffer for Noise Removal of Closing the Door
JP3910158B2 (ja) 衝撃緩衝装置
JP2008116051A (ja) 家具可動部分用の制動・緩衝装置
KR20030032848A (ko) 가동식 가구파트의 완충장치
US6622832B2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20090223759A1 (en) Shock absorber for drawer
KR200363475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0294107Y1 (ko) 도어 충격 완충장치
KR100929265B1 (ko) 가구용 충격 완충장치
KR100807641B1 (ko) 유압댐퍼
KR200435106Y1 (ko)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KR200354593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0282449Y1 (ko) 댐퍼
KR102070640B1 (ko) 고정력과 완충성을 구비한 오버슬램범퍼
KR20170029677A (ko) 엔진마운트
KR20090010015U (ko) 공압식 도어뎀퍼
KR100663751B1 (ko) 가구용 뎀퍼
KR20090025744A (ko) 도어뎀퍼
KR200385012Y1 (ko) 가구용 뎀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