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997B1 - 가구용 쇼크업소버 - Google Patents

가구용 쇼크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997B1
KR100960997B1 KR1020100001457A KR20100001457A KR100960997B1 KR 100960997 B1 KR100960997 B1 KR 100960997B1 KR 1020100001457 A KR1020100001457 A KR 1020100001457A KR 20100001457 A KR20100001457 A KR 20100001457A KR 100960997 B1 KR100960997 B1 KR 100960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haft
piston assembly
shock absorber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00001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27Telescopic characterised by the piston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03Dampers characterised by having pressure absorbing means other than gas, e.g. spong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91Drawer movement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쇼크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린더에 삽입되며 샤프트와 스프링에 고정되는 피스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조립체는,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삽입 고정되는 샤프트 고정캡; 상기 샤프트 고정캡의 경사면에 끼워지는 오링; 및 상기 오링에 인접하도록 상기 샤프트 고정캡에 끼워지는 스프링 지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쇼크업소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사출성형으로 제조되었던 부품보다 그 형상과 구조, 제조방법을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도 간편해지게 되므로 규격화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쇼크업소버{A Shock Absorber for furniture}
본 발명은 쇼크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의 서랍 등에 장착되어 서랍을 여닫을 때 서랍의 흔들림과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을 구비한 가구용 쇼크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에는 문이나 서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문이나 서랍은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동작하게 되는데, 상기 가구에는 문이나 서랍의 개폐시 가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쇼크업소버는 문 또는 서랍과 가구의 접촉면에 사이에 설치되면서 서랍이나 문의 개폐시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가구를 보호하고 아울러 소음을 없애 주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가구에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구용 쇼크업소버의 단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주요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b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쇼크업소버의 동작에 따른 A영역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용 쇼크업소버(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에 삽입되면서 충격에 의해 이동하는 샤프트(20)와, 상기 실린더(1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스프링(30)과, 상기 샤프트(20)와 스프링(30)에 결합되면서 상기 실린더(10)의 내부 공간을 이동하는 피스톤 조립체(50, A)를 구비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 조립체(50)는 샤프트(20)가 끼워지는 샤프트 지지캡(60)과, 상기 샤프트 지지캡(60)이 끼워지며 공기유동홈(71)이 형성된 제1탄성체(70)와, 상기 제1탄성체(70)에 인접되는 제2탄성체(80)와, 공기유동홈(91)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2탄성체(80)가 끼워지면서 상기 사프트 지지캡(60)에 결합되고 타측이 스프링(30)에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캡(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 조립체(5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제1탄성체(70)와 제2탄성체(80)가 떨어져 있게 되므로 상기 제2탄성체(80)는 상기 제1탄성체(70)와 상기 스프링 지지캡(90)의 사이에서 유동하는 유동구간(L)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 조립체(50)가 실린더(10)의 내벽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유동구간(L)에 의해 실린더(10) 내부의 압력이 가해지고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의 내벽에는 압력해제홈(11)이 일정 길이만큼 형성된 압력해제구간을 구비하는데, 실린더(10)의 좌측에서부터 2/3 거리되는 지점 이후부터 상기 압력해제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20)가 이동하면 상기 피스톤 조립체(50)는 실린더(10)의 2/3 지점 이후에는 상기 압력해제홈(11)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피스톤 조립체(50)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가구용 쇼크업소버(1)는 충격에 의해 샤프트(20)가 움직이면 피스톤 조립체(50)가 실린더(10) 내부의 스프링(30)을 압축시키고 해제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동작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힘이 가해져 샤프트(20)가 실린더(10)의 내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좌측에 화살표로 표시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과 우측화살표로 표시된 실린더(10) 내부 압력으로 인하여 제2탄성체(80)가 제1탄성체(70)와 접촉하게 되고 실린더(10) 내벽과 밀착된 제2탄성체(80)는 실린더 내부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에서 가해진 힘이 계속적으로 실린더(10)의 내측으로 작용하면 피스톤 조립체(50)는 실린더(10)의 내측으로 스프링(30)을 압축하면서 계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10)의 2/3 지점 이후에 압력해제홈(11)이 형성된 압력해제구간에 위치하면서 실린더(10) 내부의 압력이 해제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 내부의 압력은 상기 스프링 지지캡(90)에 형성된 공기유동홈(91)과 제1탄성체(70)에 형성된 공기유동홈(71) 및 압력해제홈(11)에 의해 화살표 처럼 공기가 실린더(10)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압력이 해제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가구용 쇼크업소버는 피스톤 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비교적 많은 편이며, 이들 부품들은 공기유동홈을 포함하며 상호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며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이처럼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며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피스톤 조립체는 고가의 금형제조 비용이 지출될 뿐만 아니라 상호 조립되는 부품들의 치수를 정밀하게 맞추는 어려움이 있다. 이는 제품의 표준화에 많은 장애를 주며 제품의 가격을 그만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피스톤 조립체의 부품 수를 줄이고 제품의 규격화를 도모하면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가구용 쇼크업소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실린더에 삽입되며 샤프트와 스프링에 고정되는 피스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조립체는,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삽입 고정되는 샤프트 고정캡; 상기 샤프트 고정캡의 경사면에 끼워지는 오링; 및 상기 오링에 인접하도록 상기 샤프트 고정캡에 끼워지는 스프링 지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쇼크업소버를 제공한다.
상기 샤프트 고정캡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경사면에서 연장된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공기유동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캡은 상기 접촉부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사출성형으로 제조되었던 부품보다 그 형상과 구조, 제조방법을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도 간편해지게 되므로 규격화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구용 쇼크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주요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쇼크업소버의 동작에 따른 A영역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구용 쇼크업소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7의 주요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6의 쇼크업소버의 동작에 따른 A영역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실린더에 삽입되며 샤프트와 스프링에 고정되는 피스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조립체는,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삽입 고정되는 샤프트 고정캡; 상기 샤프트 고정캡의 경사면에 끼워지는 오링; 및 상기 오링에 인접하도록 상기 샤프트 고정캡에 끼워지는 스프링 지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쇼크업소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구용 쇼크업소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7의 주요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11은 도 6의 쇼크업소버의 동작에 따른 A영역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쇼크업소버(10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에 삽입되면서 충격에 의해 이동하는 샤프트(120)와,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샤프트(120)와 스프링(130)에 결합되면서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 공간을 이동하는 피스톤 조립체(150, A)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 조립체(150)는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간소화되고 복잡한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되지 않아도 되는 간단한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피스톤 조립체(150)는 샤프트(120)가 끼워지는 샤프트 고정캡(160)과, 상기 샤프트 고정캡(160)이 끼워지는 오링(170)과, 상기 오링(170)에 인접하도록 상기 샤프트 고정캡(160)에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스프링 지지캡(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샤프트 고정캡(160)은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120)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중앙 영역에는 테이퍼진 경사면(16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61)에서 연장된 접촉부(163)가 타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163)에는 공기유동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 고정캡(160)은 스프링(130)의 일단부가 끼워지도록 스프링(130)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오링(170)은 상기 샤프트 고정캡(160)에 끼워지는데 상기 경사면(161)에 인접 배치되는데, 상기 스프링 지지캡(180)에 의해 압착 변형될 경우에는 상기 경사면(161)에 밀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61)은 오링(170)의 모양이 원형으로 복원되기 쉽도록 라운드처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목할 점은 상기 오링(170)은 종래기술로 예시한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준규격에 맞도록 기출시된 제품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출성형에 필요한 고가의 금형을 제작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캡(180)은 상기 오링(170)에 인접하도록 상기 샤프트 고정캡(160)에 끼워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샤프트 고정캡(160)에 마련된 접촉부(163)의 외측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캡(180)은 종래 기술로 예시한 공기유동홈(91)이 형성된 스프링 지지캡(90)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부품으로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역시 사출성형으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고가의 금형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샤프트 고정캡(160), 오링(170), 스프링 지지캡(180)의 3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피스톤 조립체(150)는 종래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었던 4개로 부품보다 그 형상과 구조, 제조방법을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도 간편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피스톤 조립체(150)가 채용된 본 발명의 가구용 쇼크업소버에 대한 동작을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 조립체(15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오링(170)과 스프링 지지캡(180)이 떨어져 있게 되므로 상기 오링(170)은 상기 샤프트 고정캡(160)와 상기 스프링 지지캡(180)의 사이에서 유동하는 유동구간(L)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 조립체(150)가 실린더(110)의 내벽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유동구간(L)에 의해 실린더(110) 내부의 압력이 가해지고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110)의 내벽에도 압력해제홈이 일정 길이만큼 형성된 압력해제구간을 구비하는데, 실린더(110)의 좌측에서부터 2/3 거리되는 지점 이후부터 상기 압력해제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120)가 이동하면 상기 피스톤 조립체(150)는 실린더(110)의 2/3 지점 이후에는 상기 압력해제홈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피스톤 조립체(150)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가구용 쇼크업소버(101)는 충격에 의해 샤프트(120)가 움직이면 피스톤 조립체(150)가 실린더(110) 내부의 스프링(130)을 압축시키고 해제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동작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힘이 가해져 샤프트(120)가 실린더(110)의 내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좌측에 화살표로 표시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과 우측화살표로 표시된 실린더(110) 내부 압력으로 인하여 스프링 지지캡(180)이 오링(170)과 접촉하게 되고 오링(170)은 샤프트 고정캡(160)의 경사면(161)에 밀착되면서 실린더(110) 내부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에서 가해진 힘이 계속적으로 실린더(110)의 내측으로 작용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조립체(150)는 실린더(110)의 내측으로 스프링(130)을 압축하면서 계속적으로 이동하고 실린더(110)의 2/3 지점 이후에 압력해제홈이 형성된 압력해제구간에 위치하면서 실린더(110) 내부의 압력이 일부 해제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10) 내부의 압력이 해제되면서 압착된 오링(170)이 복원되면서 오링(170)의 하부에는 틈이 생기고, 이 틈을 통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10) 내외의 압력 흐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면이 압력이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작동을 유지하면서도 사출성형으로 제조되었던 부품보다 그 형상과 구조, 제조방법을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도 간편해지게 되므로 규격화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쇼크업소버 110 : 실린더
120 : 샤프트 130 : 스프링
150 : 피스톤 조립체 160 : 샤프트 고정캡
170 : 오링 180 : 스프링 지지캡

Claims (4)

  1. 실린더에 삽입되며 샤프트와 스프링에 고정되는 피스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조립체는,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삽입 고정되는 샤프트 고정캡;
    상기 샤프트 고정캡의 경사면에 끼워지는 오링; 및
    상기 오링에 인접하도록 상기 샤프트 고정캡에 끼워지는 스프링 지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쇼크업소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고정캡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경사면에서 연장된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쇼크업소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공기유동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쇼크업소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캡은 상기 접촉부의 외측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쇼크업소버.
KR1020100001457A 2010-01-07 2010-01-07 가구용 쇼크업소버 KR100960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457A KR100960997B1 (ko) 2010-01-07 2010-01-07 가구용 쇼크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457A KR100960997B1 (ko) 2010-01-07 2010-01-07 가구용 쇼크업소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997B1 true KR100960997B1 (ko) 2010-06-03

Family

ID=4236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457A KR100960997B1 (ko) 2010-01-07 2010-01-07 가구용 쇼크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9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6074A (en) 1977-12-20 1979-07-09 Mitsubishi Electric Corp Damper
JP2001132790A (ja) 1999-11-05 2001-05-18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
KR200321920Y1 (ko) 2003-04-29 2003-07-31 (주)문주하드웨어 도어충격완충장치
JP2009270585A (ja) 2008-04-30 2009-11-19 Koganei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6074A (en) 1977-12-20 1979-07-09 Mitsubishi Electric Corp Damper
JP2001132790A (ja) 1999-11-05 2001-05-18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
KR200321920Y1 (ko) 2003-04-29 2003-07-31 (주)문주하드웨어 도어충격완충장치
JP2009270585A (ja) 2008-04-30 2009-11-19 Koganei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340B1 (ko) 가구용 댐퍼
RU2363870C2 (ru) Ударный амортизатор
KR101729915B1 (ko) 가구용 댐퍼
JP2003210267A (ja) 家具の可動部分用エアダンパー
KR102575989B1 (ko) 볼 스크류
US20070251052A1 (en) Buffer for Noise Removal of Closing the Door
US8127901B1 (en) Hydraulic damping device for drawer
CN109708413B (zh) 抽屉组件及具有该抽屉组件的冰箱
KR20030078683A (ko) 이동식 가구부속품용의 충격흡수장치
US20150198212A1 (en) Double-rod type shock absorber
KR100652128B1 (ko) 가구용 도어의 닫힘 충격 완충 장치
EP1905322A3 (en) Cosmetic discharge structure of cosmetics case
US20140061986A1 (en) Shock absorber
DE202009019022U1 (de) Hydraulikzylinder mit Informationsgeber
EP2546443A1 (en) Door damper buffer
JP2018056077A5 (ko)
KR102193042B1 (ko) 도어 완충 스토퍼
KR100960997B1 (ko) 가구용 쇼크업소버
US20120091641A1 (en) Air pressure buffer
CN105317795A (zh) 线性致动器
US9989119B2 (en) Piston-cylinder unit
CN104358485A (zh) 弹性铰链及冰箱
US8025135B1 (en) Hydraulic damping device for drawer
US11459812B2 (en) Damper
CN204920549U (zh) 一种门吸用液压缓冲吸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