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042B1 - 도어 완충 스토퍼 - Google Patents

도어 완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042B1
KR102193042B1 KR1020200053972A KR20200053972A KR102193042B1 KR 102193042 B1 KR102193042 B1 KR 102193042B1 KR 1020200053972 A KR1020200053972 A KR 1020200053972A KR 20200053972 A KR20200053972 A KR 20200053972A KR 102193042 B1 KR102193042 B1 KR 102193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ylinder
door
stopp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식
Original Assignee
유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식 filed Critical 유광식
Priority to KR1020200053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판 보드 형태의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일면측으로 상기 부착부의 중앙부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결합부; 타단부 내주면에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나사산부가 형성되며 원형 드럼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린더부;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실린더부의 타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 상기 실린더부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피스톤부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피스톤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도어 완충 스토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완충 스토퍼{Damping stopper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방 시 도어가 인접한 측벽에 닿으면서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도어용 완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이나 사무실의 실내에 설치되는 도어는 사용자의 편리성과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벽체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벽체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벽체와 충돌하여 충격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그 충격으로 인하여 도어가 파손되어 심한 경우에는 도어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고하고자 종래에는 도어와 벽 사이에 도어 완충구를 도어의 외측이나 도어가 닫히는 벽체 등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어 완충구는 금속제 몸체 선단에 고무부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거나 벽체 일정 위치에 고무재를 설치함으로써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시 충격을 완화하여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도어 완충구의 경우 완충효과가 크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371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격에 효율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완충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판 보드 형태의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일면측으로 상기 부착부의 중앙부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결합부; 타단부 내주면에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나사산부가 형성되며 원형 드럼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린더부;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실린더부의 타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 상기 실린더부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피스톤부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피스톤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도어 완충 스토퍼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부 내부에 나사결합되며 양단이 개구된 드럼형상의 걸림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실린더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걸림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내설부와, 상기 내설부의 일측에 연장된 형태를 이루되 상기 걸림부의 내경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는 도어와 벽체의 충격 완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용 실린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린더부의 종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용 실린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100)는 부착부(110), 결합부(120), 실린더부(150), 탄성부(130), 걸림부(160), 피스톤부(140), 완충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110)는 원판 보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 중앙홀(111)이 형성되되, 상기 부착부(110)의 일면측으로 상기 중앙홀(111) 외측에 돌출된 형태로 일측이 개구된 드럼 형태를 이루는 상기 결합부(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부착부(110)와 결합부(12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1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부(150)는 양측이 개구된 원형보드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150)의 타단부에 상기 결합부(120)가 나사결합되는 구성을 이룬다.
또한, 상기 걸림부(160)는 상기 실린더부(150)의 일단부 내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160)는 일측과 타측이 개구된 원형 드럼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60)는 상기 실린더부(15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상당히 짧은 길이를 가진다.
상기 피스톤부(140)는 상기 실린더부(150)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걸림부(16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내설부(141)와, 상기 내설부(141)의 일측에 연장된 형태를 이루되 상기 걸림부(160)의 내경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드부(142)와, 상기 로드부(142)의 일측에 구비되는 홈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130)는 코일스프링 형태를 이루되 상기 실린더부(150) 및 상기 결합부(120)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부착부(110)와 상기 피스톤부(140)의 내설부(141) 사이로 압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130)의 일단부에는 강성재질의 가압부(135)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135)는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코일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나선부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170)는 상기 실린더부(150)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부(140)의 일단부를 덮어 감싸며 고정된 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이를 위해 상기 완충부(170)는 상기 피스톤부(140)의 일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홈(17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100)는 상기 부착부(110)의 중앙홀(111)을 이용하여 벽체와 충돌하는 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 등 일부 위치에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도어가 열리는 경우 벽체에 상기 완충부(170)가 부딪히게 되는데, 이때 상당한 압력으로 도어가 부딪히는 경우에는 상기 피스톤부(140)가 상기 실린더부(150)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되 상기 완충부(170)와 코일스프링(130)에 의하여 충격이 이중으로 완화되어 도어와 벽체가 부딪히는 경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용 실린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린더부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에 적용되는 실린더부(250)는 단위실린더부(251)와 완충링부(256)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교번 배치된 구성을 이룬다.
이때,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단위실린더부(251)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각 단위실린더부(251)의 일측으로 내측에 내부홈부(253)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홈부(253)의 일측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부(2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실린더부(251)가 연결되는 부위로 상기 단위실린더부(251)의 타측으로 외측에 상기 스토퍼부(252)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외부홈부(255)와 상기 외부홈부(255)의 타측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홈부(25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후크부(25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홈부(253)의 길이(L2)는 상기 후크부(254)의 길이(L1)보다 길게 이루어져 상기 후크부(254)가 상기 내부홈부(253)를 따라서 일정 길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후크부(254)와 상기 스토퍼부(252)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부(252)의 일측으로 상기 외부홈부(255)에는 링형상의 보조완충부(170)가 설치되는 구성을 이룬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부(250)를 이루는 양단부에 배치되는 단위실린더부(251) 내측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합부(120)가 나사 결합되고 걸림부(160)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부(25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실린더부(250)가 적용되는 도어 완충 스토퍼는 상기 단위실린더부(251)들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되, 상기 단위실린더부(251) 사이의 보조완충부(256)에 의하여 충격이 추가적으로 완충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어 도어의 완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 스토퍼용 실린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실린더부(350)의 경우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토퍼부(252)가 일측으로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완충부(256) 위치로 소정 외력이 작용 시 파쇄되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 중공된 캡슐링부(356)가 설치된다.
상기 캡슐링부(356) 내부 중공부에는 소정 지시액이 수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린더부(350)가 적용 시에는 상당 시간이 지나 상기 완충부(170)나 탄성부(130)의 탄성이 소멸된 경우에는 상기 쐐기형태의 스토퍼부(252)가 상기 캡슐링부(356)를 파쇄하도록 함으로써 도어 완충 스토퍼의 교체 여부를 지시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때, 상기 캡슐링부(356) 주변 단위실린더부(251)에는 천재질의 흡수부가 적용되어 상기 캡슐링부(356) 내부 지시액이 누유 시 흡수부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지시액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파쇄 상태의 파악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도어 완충 스토퍼
110: 부착부
120: 결합부
130: 탄성부
140: 피스톤부
150: 실린더부
160: 걸림부
170: 완충부

Claims (3)

  1. 원판 보드 형태의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일면측으로 상기 부착부의 중앙부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결합부; 타단부 내주면에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나사산부가 형성되며 원형 드럼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린더부;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실린더부의 타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 상기 실린더부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피스톤부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피스톤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부 내부에 나사결합되며 양단이 개구된 드럼형상의 걸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부는 드럼 형태의 단위실린더부와 완충링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교번 배치된 구성을 이루되,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단위실린더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각 단위실린더부의 일측으로 내측에 내부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홈부의 일측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부가 구비되며,
    상기 단위실린더부가 연결되는 부위로 상기 단위실린더부의 타측으로 외측에 상기 스토퍼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외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홈부의 타측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후크부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홈부의 길이는 상기 후크부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져 상기 후크부가 상기 내부홈부를 따라서 일정 길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홈부에 상기 스토퍼부의 외측으로 상기 완충링부가 배치되는,
    도어 완충 스토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실린더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걸림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내설부와,
    상기 내설부의 일측에 연장된 형태를 이루되 상기 걸림부의 내경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도어 완충 스토퍼.
KR1020200053972A 2020-05-06 2020-05-06 도어 완충 스토퍼 KR102193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72A KR102193042B1 (ko) 2020-05-06 2020-05-06 도어 완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72A KR102193042B1 (ko) 2020-05-06 2020-05-06 도어 완충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042B1 true KR102193042B1 (ko) 2020-12-18

Family

ID=7404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972A KR102193042B1 (ko) 2020-05-06 2020-05-06 도어 완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0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4807A (zh) * 2023-04-24 2023-08-04 广东海坦电气柜锁有限公司 一种具有减振能力的止动门支撑装置
KR200497275Y1 (ko) * 2022-11-25 2023-09-18 주식회사 선테크 도어용 완충 구조
KR20230136307A (ko) 2022-03-18 2023-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도어용 스토퍼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906Y1 (ko) * 2003-10-23 2004-01-28 윤광노 화장실문 개폐용 다기능스토퍼장치
KR101753716B1 (ko) 2015-10-21 2017-07-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영구자석을 이용한 도어 완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906Y1 (ko) * 2003-10-23 2004-01-28 윤광노 화장실문 개폐용 다기능스토퍼장치
KR101753716B1 (ko) 2015-10-21 2017-07-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영구자석을 이용한 도어 완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307A (ko) 2022-03-18 2023-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도어용 스토퍼 어셈블리
KR200497275Y1 (ko) * 2022-11-25 2023-09-18 주식회사 선테크 도어용 완충 구조
CN116544807A (zh) * 2023-04-24 2023-08-04 广东海坦电气柜锁有限公司 一种具有减振能力的止动门支撑装置
CN116544807B (zh) * 2023-04-24 2024-02-23 广东海坦电气柜锁有限公司 一种具有减振能力的止动门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042B1 (ko) 도어 완충 스토퍼
US8336166B2 (en) Hinge damper
WO2006059860A1 (en) Buffer for noise removal of closing the door
US10795093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20140061986A1 (en) Shock absorber
CN103410903A (zh) 一种阻尼橡胶缓冲器
US20190234480A1 (en) Magnetic suspension shock absorber
KR102031286B1 (ko) 충격 및 진동 흡수 장치
KR200417461Y1 (ko) 문틀 커버
BRPI0610041A2 (pt) mola -amortecedor elastomérica com batentes integrados
KR101986716B1 (ko) 문 열림 완충장치
KR200233054Y1 (ko) 도어용 완충기
KR200475797Y1 (ko)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JP4584780B2 (ja) 形態保持構造
KR100730778B1 (ko) 쇽 업소버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229440B1 (ko) 쇽업소버의 스토퍼
JP2006349143A (ja) 緩衝部材
JP4555166B2 (ja) 形態保持構造
CN216589402U (zh) 一种长寿命新型伸缩油缸
KR200251384Y1 (ko) 출입문의 충격 완충장치
KR20090070449A (ko) 미서기 창틀용 완충 핸들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CN211175160U (zh) 缓冲装置
KR101016087B1 (ko) 냉장고용 도어 완충장치
KR200179281Y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완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