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97Y1 -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97Y1
KR200475797Y1 KR2020130002833U KR20130002833U KR200475797Y1 KR 200475797 Y1 KR200475797 Y1 KR 200475797Y1 KR 2020130002833 U KR2020130002833 U KR 2020130002833U KR 20130002833 U KR20130002833 U KR 20130002833U KR 200475797 Y1 KR200475797 Y1 KR 200475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topper
buffer
buffer 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470U (ko
Inventor
임보규
배수효
황인신
Original Assignee
임보규
배수효
황인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보규, 배수효, 황인신 filed Critical 임보규
Priority to KR2020130002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9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완충링부가 순차적으로 변형을 일으키면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창호용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복수의 완충링부가 창호틀측으로 갈수록 점차 장축의 길이가 작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창호가 닫힘에 따라 가장 큰 완충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게 하여 단계별로 완충 효과가 이루어지게 한 창호용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완충링부에 연약부를 형성하고,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이 연약부로부터 변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완충링부의 변형이 미리 정해진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완충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창호용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는, 자체 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진 창호용 스토퍼에 있어서, 창호에 끼움 설치하기 위한 압입부; 상기 압입부의 일측에 연속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며, 각 단면 형상이 장공 형태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완충링부; 및 가장 바깥쪽의 완충링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창호 프레임측과 접촉가능한 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ABSORBING-IMPROVED STOPPER FOR WINDOWS AND DOORS}
본 고안은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공 형상의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완충링부를 이용하여 변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창호를 닫음에 따라 닫힘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창호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은 종래의 창호용 완충 스토퍼가 개시되어 있다. 이 완충 스토퍼의 구성상 특징으로는 합성수지로 된 스토퍼 본체 선단에 충격흡수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충격흡수부는 완충주름으로 구성하고, 스토퍼와 더불어 완충주름 저면에 창틀레일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조립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저면 중앙부에 관통 요홈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1의 완충 스토퍼를 창틀에 설치 고정하면 창문 또는 베란다 문을 개방시킬 때 창문이나 베란다 문이 스토퍼의 충격흡수부에 부딪히게 됨으로서 충격흡수로 인한 창틀 및 창문 보호와 충격소음을 예방하게 된다.
특허문헌2는 다른 창호용 완충 스토퍼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잠금장치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소음을 완화시키고, 또한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고정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그리고 외관이 미려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창호용 완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특허문헌2의 스토퍼(10)는, 도 1과 같이, 외측창짝(3)의 개폐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외측레일(1d)의 높이보다 낮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창틀(1)의 하부 일측 모서리 내측레일(1c)과 외측레일(1d) 사이로 끼워지는 고정부(11); 상기 고정부(11)의 후방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측창짝(2)의 개방 시 잠금장치(2a)가 창틀(1)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2); 상기 고정부(11)의 전후방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레일(1c)과 외측레일(1d) 사이로 압입되는 압입돌기(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스토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스토퍼가 동일한 두께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창호가 닫힘에 따라 순간 순간 변하는 충격력에 대하여 바로 대응할 수 없게 되었다.
(2) 이처럼 충격력에 대하여 바로 대응할 수 없음에 따라 창호를 닫음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력은 그대로 창호와 창호틀에 전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음 발생과 함께 창호와 창호틀의 파손의 우려가 있었다.
(3) 이에 충격 흡수가 부드럽게 이루어지면서도 충격량을 충분하게 흡수하여 창호를 닫음에 따라 소음 발생이나 파손없이 동작할 수 있는 창호용 스토퍼가 요구되었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08-0000206호(공개일: 2008년 02월 19일) 한국공개실용 제20-2013-0000290호(공개일: 2013년 01월 14일)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완충링부가 순차적으로 변형을 일으키면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창호용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복수의 완충링부가 창호틀측으로 갈수록 점차 장축의 길이가 작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창호가 닫힘에 따라 가장 큰 완충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게 하여 단계별로 완충 효과가 이루어지게 한 창호용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완충링부에 연약부를 형성하고,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이 연약부로부터 변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완충링부의 변형이 미리 정해진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완충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창호용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는, 자체 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진 창호용 스토퍼에 있어서, 창호에 끼움 설치하기 위한 압입부; 상기 압입부의 일측에 연속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며, 각 단면 형상이 장공 형태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완충링부; 및 가장 바깥쪽의 완충링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창호 프레임측과 접촉가능한 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완충링부는, 압입부측에서 밀착부측으로 갈수록 그 장축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 완충링부는 인접한 완충링부를 연결시켜 주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격벽 사이에 연약부가 형성되고, 이 연약부는 길이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그 두께가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은 그 두께가 연약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압입부는, 일측에 변형공간부가 관통형성되고, 창호에 끼워지는 양측에는 각각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돌기부가 형성되며, 각 돌기부에는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각자 독자적으로 변형가능한 복수의 완충링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창호를 통해 가해지는 충격력에 대하여 이를 완충링부에서 순차적으로 완화시켜 부드러운 창호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유도한다.
(2) 특히, 상기 완충링부는 창호측에서 창호틀측으로 갈수록 그 장축의 길이가 짧아지게 함으로써, 안쪽의 완충링부부터 순차적으로 변형되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3) 또한, 창호측에 끼워진 완충링부는 창호에 의하여 변형에 한계가 발생하기 때문에 완충링부가 어느 정도 이상 변형되게 되면 그 다음 완충링부가 변형되면서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부드러운 완충작용이 가능하게 한다.
(4) 완충링부가 창호의 홈부에 끼워지게 설치되어 완충링부의 변형 공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완충링부가 미리 정해진 홈부의 형태 내에서 변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게 되어 그 변형되는 형상이 일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5) 이에 각 완충링부가 균일하게 변형과 복귀를 반복하게 되어 어느 한쪽이 먼저 파손되는 것을 막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토퍼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특허문헌2의 대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가 창호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창호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 안에 따른 스토퍼가 창호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4에서의 A-A선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스토퍼를 창호(D)에 끼움 고정시키기 위한 압입부(100), 실질적으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는 완충링부(200), 그리고 창호틀(F)과 접촉하는 밀착부(300)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는, 완충링부(200)가 장공 형태로 관통구멍(210)이 형성되어 각 완충링부(200)가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면서 완충작용이 이루어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입부(100)는, 도 5와 같이, 창호(D)에 끼워져서 본 고안의 스토퍼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압입부(100)는 창호(D)의 측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홈부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압입부(100)는, 도 1과 같이, 일측에 변형공간부(110)가 형성된다. 변형공간부(110)는 압입부(100)가 창호(D)의 홈부에 끼워짐에 따라 변형되게 되는데, 이렇게 변형되는 부분을 수용하고, 끼워진 다음에는 원래 형태로 되돌아가면서 압입력을 높여주게 된다.
또한, 상기 압입부(10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양측 바람직하기로는 창호(D)의 홈부와 맞닿는 면에 각각 돌기부(120)가 형성된다. 이 돌기부(120)는 압입부(100)가 창호에 끼워짐에 따라 홈부와의 간섭을 통해 본 고안의 스토퍼가 빠지지 않도록 압입력을 생성하게 한다. 이에, 돌기부(120)는 끝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하여 홈부에 끼우기 쉽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돌기부(120)에는 각각 슬릿(121)을 전체 폭 길이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압입시 돌기부(120)의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고, 압입이 끝나게 되면 이 돌기부(120)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가면서 홈부를 가압하여 빠지지 않게 한다.
완충링부(200)는, 도 3과 같이, 장공 형태를 갖는 관통구멍(210)이 형성된다. 특히, 완충링부(200)는 복수개, 도면에서는 4개의 완충링부(200a~200d)가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완충링부(200)의 갯수는 창호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개수나 크기를 조절하여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링부(200)는 각 장축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한다. 즉, 도 3과 같이, 압입부(100)와 가장 인접한 완충링부(200a)의 장축(A)이 가장 바깥쪽의 완충링부(200d)의 장축(a)보다 길게 형성한다. 그리고, 나머지 완충링부(200b,200c)는 압입부(100)로부터 멀어질수록 순차적으로 작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완충링부(200)는, 내부의 공간부가 가장 큰 가장 안쪽의 완충링부(200a)부터 변형이 되면서 장축이 작은 순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순차적으로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이루어진 완충링부(20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220)과 이들 측벽(220)을 연결하는 연약부(221)로 구성을 구분할 수 있는데, 이때 연약부(221)의 두께(t)가 측벽(220)의 두께(T)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완충링부(200)에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이 연약부(221)가 쉽게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약부(221)는 측벽(200)과 연결되는 각 단부로부터 길이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완충 작용시 연약부(221)의 중간 부분에서부터 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완충링부(2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압입부(100)의 타측, 즉 변형공간부(110)의 측벽과 일체로 형성된다.
밀착부(3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완충링부(2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부(300)는 도 5와 같이 창호(D)를 닫음에 따라 창호틀(F)과 밀착되면서 이에 따른 충격력을 흡수 및 전달하여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창호(D)의 홈부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기로는 상하에 각각 하나씩 두 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된 스토퍼는 창호를 닫음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력이 완충링부(200)의 변형에 의해 순차적으로 흡수 및 완충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100 : 압입부
110 : 변형공간부
120 : 돌기부
121 : 슬릿
200 : 완충링부
210 : 관통구멍
220 : 측벽
221 : 연약부

Claims (5)

  1. 삭제
  2. 자체 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진 창호용 스토퍼에 있어서,
    창호(D)에 끼움 설치하기 위한 압입부(100); 상기 압입부(100)의 일측에 연속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며, 각 단면 형상이 장공 형태로 관통구멍(210)이 형성된 복수의 완충링부(200); 및 가장 바깥쪽의 완충링부(200)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창호 프레임(F)측과 접촉가능한 밀착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링부(200)는, 압입부(100)측에서 밀착부(300)측으로 갈수록 그 장축의 길이(A,a)가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완충링부(200)는 인접한 완충링부(200)를 연결시켜 주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격벽(220) 사이에 연약부(221)가 형성되고,
    이 연약부(221)는 길이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그 두께가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220)은 그 두께(T)가 연약부(221)의 두께(t)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100)는,
    일측에 변형공간부(110)가 관통형성되고,
    창호(D)에 끼워지는 양측에는 각각 끝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돌기부(120)가 형성되며,
    각 돌기부(120)에는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릿(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KR2020130002833U 2013-04-12 2013-04-12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KR200475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833U KR200475797Y1 (ko) 2013-04-12 2013-04-12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833U KR200475797Y1 (ko) 2013-04-12 2013-04-12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70U KR20140005470U (ko) 2014-10-22
KR200475797Y1 true KR200475797Y1 (ko) 2015-01-05

Family

ID=5245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833U KR200475797Y1 (ko) 2013-04-12 2013-04-12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494B1 (ko) 2018-05-29 2019-10-10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호의 창짝 완충용 조립체
KR102156032B1 (ko) 2019-12-24 2020-09-15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창호 스토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676B1 (ko) * 2022-05-02 2022-07-07 주식회사 미맥스 틸팅형 시스템 창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542Y1 (ko) 2002-11-05 2003-05-27 박영기 창호용 새시
KR200316917Y1 (ko) 2003-03-26 2003-06-18 박용범 창문용 패킹
KR20040084002A (ko) * 2003-03-26 2004-10-06 박용범 창문용 패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542Y1 (ko) 2002-11-05 2003-05-27 박영기 창호용 새시
KR200316917Y1 (ko) 2003-03-26 2003-06-18 박용범 창문용 패킹
KR20040084002A (ko) * 2003-03-26 2004-10-06 박용범 창문용 패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494B1 (ko) 2018-05-29 2019-10-10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호의 창짝 완충용 조립체
KR102156032B1 (ko) 2019-12-24 2020-09-15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창호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70U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797Y1 (ko)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KR101259457B1 (ko) 슬라이딩 장치용 완충 부재가 설치된 리테이너
KR101559676B1 (ko) 댐퍼수납부가 확장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JPS61502345A (ja) ゴムバンパ−
KR102193042B1 (ko) 도어 완충 스토퍼
KR102201512B1 (ko) 조립식 문틀
KR200417461Y1 (ko) 문틀 커버
WO2007139364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JP5031394B2 (ja) クッションクリップ
KR101986716B1 (ko) 문 열림 완충장치
JP5592628B2 (ja) グラスラン
CN204199994U (zh) 静音吊轮移门系统
KR101219797B1 (ko) 냉장고 홈바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KR101309531B1 (ko)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KR20150015167A (ko) 도어레버
KR101986715B1 (ko) 문 닫힘 완충장치
KR102116766B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갖는 장롱의 듀얼 댐핑 스토퍼
KR101444084B1 (ko) 기밀성 향상 구조가 결합된 미닫이문
JP6887096B2 (ja) 戸当たり装置およびこれを有した開口枠材
KR200435106Y1 (ko)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CN212171902U (zh) 一种玻璃导槽
CN104790726B (zh) 门锁
CN205422260U (zh) 卡板降低噪音结构
KR20090070449A (ko) 미서기 창틀용 완충 핸들
US20150233170A1 (en) Tilt and turn window system having da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