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531B1 -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531B1
KR101309531B1 KR1020130048313A KR20130048313A KR101309531B1 KR 101309531 B1 KR101309531 B1 KR 101309531B1 KR 1020130048313 A KR1020130048313 A KR 1020130048313A KR 20130048313 A KR20130048313 A KR 20130048313A KR 101309531 B1 KR101309531 B1 KR 101309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window frame
sliding door
wooden
slid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춘
권위만
이은동
권오빈
김대진
손재호
Original Assignee
신우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신우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13004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6Wooden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로 이루어진 미닫이 문틀과 창틀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고,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격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닫이 문틀과 창틀 간에 외기를 차단하고 소음의 전달을 저감시킬 수 있는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에서 횡단면상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홈부(10);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홈부(10)에 삽입되는 스터드(20); 및 상기 스터드(20)를 상기 홈부(10)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과 스터드(20)에 대해 완충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홈부(10)에 삽입되는 고정완충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20)는, 상기 홈부(10)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상기 삽입부(21)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23)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STRAIN-PREVENTING STRUCTURE OF WOOD SLIDING WINDOW AND DOOR}
본 발명은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로 이루어진 미닫이 문틀과 창틀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고,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격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닫이 문틀과 창틀 간에 외기를 차단하고 소음의 전달을 저감시킬 수 있는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의 교실, 강당, 주택의 현관 등에 설치되는 미닫이문과 문틀은 개폐시에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하고, 바닥면을 구획하여 각 구획의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한 미닫이문은 좌·우 방향으로 개폐됨에 따라 점유공간이 적은 이유로 인해 이전부터 선호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교의 교실은 교실과 복도를 구획하기 위하여 목재로 이루어진 미닫이문(1), 창문(5)과 신발장(9)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미닫이문(1)을 둘러싸는 미닫이 문틀(3)과 창문의 창틀(7)은 미닫이문(1)과 창문(5)의 개폐에 따라 충격을 받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에 의해 미닫이 문틀(3)과 창틀(7)의 뒤틀림이나 미닫이 문틀(3)과 창틀(7) 간에 벌어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틀 등의 뒤틀림은 미닫이문(1)과 창문(5)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므로 보수를 요하게 되는데, 이때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고, 이러한 보수를 위하여 수업 분위기를 방해하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학기간에 보수를 하게 되면, 그 기간 이전에 사용에 따른 불편함이 수반된다.
또한 미닫이 문틀(3)과 창틀(7)의 벌어짐은 실내외 단열 및 소음 차단 성능을 급격히 떨어뜨려 면학 분위기 방해 및 에너지 손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2096호(2012.03.23. 공개, 목재 변형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변형 방지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로 이루어진 미닫이 문틀과 창틀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고,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격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닫이 문틀과 창틀 간에 외기를 차단하고 소음의 전달을 저감시킬 수 있는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에 있어서,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에서 횡단면상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홈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스터드; 및 상기 스터드를 상기 홈부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과 스터드에 대해 완충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고정완충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는, 상기 홈부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에는, 횡단면상 홈부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로 굴곡진 완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완충재는 액상의 합성수지재로서 상기 홈부에 충진되어 경화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완충재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스터드의 삽입부에 압박을 가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각 홈부에 삽입되는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 간을 연결하는 지지부로 구성되고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는 다른 삽입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후크부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크부는 후방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고정완충재가 도포되는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는, 상기 통공을 통한 상기 고정완충재의 유출을 차단하면서 상기 고정완충재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 밀착 고정되는 가스켓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에서 횡단면상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홈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스터드; 및 상기 스터드를 상기 홈부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과 스터드에 대해 완충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고정완충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는, 상기 홈부에 각각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 간을 연결하고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외곽으로 돌출되는 제1요철을 구비하는 제1연결부로 구성되는 제1철물과, 상기 홈부에 각각 삽입되는 제2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 간을 연결하고 상기 제1철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2요철을 구비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는 제2철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철물이 장착되는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에는 상기 제2요철이 삽입될 수 있는 함몰부가 마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에 의하면, 목재로 이루어진 미닫이 문틀과 창틀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고,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격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파손 및 변형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닫이 문틀과 창틀 간에 외기를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소음의 전달을 저감시킬 수 있어 면학 분위기 조성 및 벽체 기능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학교에서 교실과 복도를 구획하는 목재 벽체를 도시한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제3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제4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는 크게 홈부(10)와 스터드(20) 및 고정완충재(30)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10)는 목재 미닫이 창틀(7) 또는 미닫이 문틀(3)에서 횡단면상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상기 홈부(10) 사이의 창틀면 및 문틀면은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할 고정완충재(30)와 스터드(20)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고정완충재(30)와 스터드(20)가 창틀 및 문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터드(2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홈부(10)에 삽입되고,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터드(20)는 상기 홈부(10)에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상기 삽입부(21)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21)에는 횡단면상 홈부(10)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로 굴곡진 완충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5)는 외부의 충격이 문틀 또는 창틀에 가해졌을 때 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굴곡의 횟수는 특별한 한정이 없다. 다만, 삽입부(21)의 길이가 길어지고, 외부의 충격에 대해 문틀 또는 창틀의 변형량이 큰 경우라면, 굴곡의 횟수는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21)의 선단에는 다른 삽입부(21)를 향하여 돌출되는 후크부(2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7)는 상기 삽입부(21)의 선단이 직각 이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후크부(27)는 후술할 고정완충재(30)가 충진되었을 때 고정완충재(30)에 묻히어 외부로의 임의 이탈 또는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완충재(30)는 상기 스터드(20)를 상기 홈부(10)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7) 또는 미닫이 문틀(3)과 스터드(20)에 대해 완충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홈부(10)에 삽입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완충재(30)로 상기 홈부(10)에 충진되고, 충진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경화되는 액상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합성수지재는 경화되더라도 외력에 의해 수축 및 변형이 가능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홈부(10)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0)는 상기 창틀 및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10)에 액상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고정완충재(30)를 충진한다. 이때 상기 고정완충재(30)는 상기 홈부(10) 사이의 창틀 또는 문틀의 외면에도 도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홈부(10)에 스터드(20)를 삽입한다. 즉, 상기 홈부(10)에 상기 스터드(20)의 삽입부(21)가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홈부(10)에 미리 충진되어 있던 고정완충재(30)가 경화되면서 상기 스터드(20)를 상기 창틀 또는 문틀과 일체화시킨다.
이때 상기 창틀 또는 문틀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상기 스터드(20)의 이탈 및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21)의 선단에는 갈고리 형태의 후크부(27)가 고정완충재(30)에 묻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20)의 삽입부(21)에는 굴곡진 완충부(2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터드(20)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일 외력을 흡수하지 못하면 스터드(20)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스터드(20)가 변형되면 창틀 또는 문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스터드(20)의 기능이 사라지게 된다.
또한 완충부(25)의 주변에는 고정완충재(30)가 충진되어 있으므로, 가해진 외력은 완충부(25)와 고정완충재(30)가 상호 협조하여 흡수하게 된다. 즉, 가해진 외력을 먼저 고정완충재(30)가 일부 흡수하지만, 고정완충재(30)에 의해 전부를 흡수할 수는 없으므로 외력은 삽입부(21)를 따라 전달된다. 이때 삽입부(21)에 마련된 완충부(25)에 외력이 도달하면 완충부(25)가 수축되면서 외력을 흡수한다. 상기 완충부(25)에 의해서도 흡수되지 않은 외력은 다시 고정완충재(30)에 전달되면서 흡수되므로, 스터드(20)의 연결부(23)로는 외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이를 통해 스터드(20)의 연결부(23)와 삽입부(21)의 변형은 방지되고, 결국 스터드(20)가 감싸고 있는 창틀과 문틀의 변형이 방지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과 문이 서로 인접하여 창틀과 문틀이 접해 있는 경우에는 인접한 창틀 또는 문틀에서 전달된 외력이 해당 창틀 또는 문틀에서 스터드(20)의 연결부(23)에 먼저 전달되지만, 스터드(20)의 연결부(23)와 창틀 또는 문틀 간에는 고정완충재(30)가 충진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완충재(30)에 의해 외력이 흡수되어 창틀 또는 문틀로의 전달과 연결부(23)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고정완충재(30)가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액상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연성의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실시예에서는 고정완충재(30)가 일정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홈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터드(20)의 결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홈부(10)에 대한 스터드(20)의 결합은 상기 스터드(20)의 고정완충재(30)에 대한 억지끼움 결합이다.
이러한 고정완충재(30)는 상기 홈부(10)에 삽입되는 스터드(20)의 삽입부(21)에 압박을 가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각 홈부(10)에 삽입되는 압박부(31)와, 상기 압박부(31) 간을 연결하는 지지부(33)로 구성된다. 상기 압박부(31)와 지지부(33)는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20)의 후크부(27)는 후방을 향하여 절곡된다. 이는 상기 스터드(20)가 상기 고정완충재(30)의 압박부(31)에 삽입될 때 후크부(27)가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된 후, 원상 복원되면서 상기 고정완충재(30)를 압박하여 상기 스터드(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완충재(30)의 경화를 기다릴 필요 없이 시공이 가능하므로,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제3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의 구성에 가스켓(40)이 추가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스켓(40)은 상기 스터드(20)의 연결부(23)에 결합하려면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23)에 통공(24)을 형성한다.
상기 통공(24)은 상기 고정완충재(30)의 통로가 되어 상기 연결부(23)의 일면에 도포되는 고정완충재(30)에 의해 상기 연결부(23)의 타면에 배치되는 가스켓(40)이 밀착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가스켓(40)은 상기 고정완충재(3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가스켓(40)에 의해 인접한 창틀과 문틀 간의 밀착 효과 및 충격 흡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창틀과 문틀 사이로의 소음 또는 외기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제4실시예에 따른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밀착되는 미닫이 창틀과 문틀 간에 적용되는 것으로, 창틀과 문틀 중 어느 하나에 스터드(20) 중에서 제1철물(20a)이 장착되면 나머지 하나에는 제2철물(20b)이 장착되어 제1철물(20a)의 제1요철(29a)과 제2철물(20b)의 제2요철(29b)이 결합하여 변형 및 이동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터드(20)는 제1철물(20a)과 제2철물(20b)로 구분될 수 있고, 제1철물(20a)은 상기 홈부(10)에 각각 삽입되는 제1삽입부(21a)와, 상기 제1삽입부(21a) 간을 연결하고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7) 또는 미닫이 문틀(3)의 외곽으로 돌출되는 제1요철(29a)을 구비하는 제1연결부(23a)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철물(20b)은 상기 홈부(10)에 각각 삽입되는 제2삽입부(21b)와, 상기 제2삽입부(21b) 간을 연결하고 상기 제1철물(20a)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2요철(29b)을 구비하는 제2연결부(23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철물(20b)이 장착되는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에는 상기 제2요철(29b)이 삽입될 수 있는 함몰부(11)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창틀과 문틀의 결합 이전에도 제1요철(29a)과 제2요철(29b)의 결합에 의해 가고정이 가능하고, 창틀과 문틀 사이에 요철부위가 마련되므로, 요철부위를 통하여 외기와 소음의 전달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제1철물(20a)과 제2철물(20b)이 상호 보완하여 창틀과 문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제1철물(20a)과 제2철물(20b) 사이에 가스켓(미도시)을 배치하면 가스켓에 의한 완충효과와 소음 및 외기 차단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철물(20a)은 창틀(7)에 장착되고 제2철물(20b)은 문틀(3)에 장착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3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연결부(23a, 23b)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24)이 형성되고(도 7 참조), 일면에 상기 고정완충재(30)가 도포되는 상기 연결부(23)의 타면에는, 상기 통공(24)을 통한 상기 고정완충재(30)의 유출을 차단하면서 상기 고정완충재(30)에 의해 상기 연결부(23)의 타면에 밀착 고정되는 가스켓(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 미닫이문 3 : 미닫이 문틀
5 : 창문 7 : 미닫이 창틀
9 : 신발장 10 : 홈부
20 : 스터드 21 : 삽입부
23 : 연결부 24 : 통공
25 : 완충부 27 : 후크부
30 : 고정완충재 31 : 압박부
33 : 지지부 40 : 가스켓

Claims (7)

  1.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에서 횡단면상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홈부(10);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홈부(10)에 삽입되는 스터드(20); 및
    상기 스터드(20)를 상기 홈부(10)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과 스터드(20)에 대해 완충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홈부(10)에 삽입되는 고정완충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20)는, 상기 홈부(10)에 각각 삽입되는 제1삽입부(21a)와, 상기 제1삽입부(21a) 간을 연결하고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외곽으로 돌출되는 제1요철(29a)을 구비하는 제1연결부(23a)로 구성되는 제1철물(20a)과,
    상기 홈부(10)에 각각 삽입되는 제2삽입부(21b)와, 상기 제2삽입부(21b) 간을 연결하고 상기 제1철물(20a)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2요철(29b)을 구비하는 제2연결부(23b)로 구성되는 제2철물(20b)을 포함하며,
    상기 제2철물(20b)이 장착되는 상기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에는 상기 제2요철(29b)이 삽입될 수 있는 함몰부(1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1a, 21b)에는, 횡단면상 홈부(10)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로 굴곡진 완충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완충재(30)는 액상의 합성수지재로서 상기 홈부(10)에 충진되어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완충재(30)는 상기 홈부(10)에 삽입되는 스터드(20)의 삽입부(21a, 21b)에 압박을 가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각 홈부(10)에 삽입되는 압박부(31)와, 상기 압박부(31) 간을 연결하는 지지부(33)로 구성되고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1a, 21b)의 선단에는 다른 삽입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후크부(27)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27)는 후방을 향하여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3a, 23b)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24)이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고정완충재(30)가 도포되는 상기 연결부(23)의 타면에는, 상기 통공(24)을 통한 상기 고정완충재(30)의 유출을 차단하면서 상기 고정완충재(30)에 의해 상기 연결부(23)의 타면에 밀착 고정되는 가스켓(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KR1020130048313A 2013-04-30 2013-04-30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KR101309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313A KR101309531B1 (ko) 2013-04-30 2013-04-30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313A KR101309531B1 (ko) 2013-04-30 2013-04-30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258A Division KR101280994B1 (ko) 2013-01-24 2013-01-24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531B1 true KR101309531B1 (ko) 2013-09-25

Family

ID=4945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313A KR101309531B1 (ko) 2013-04-30 2013-04-30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5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751B1 (ko) * 2018-10-30 2020-01-02 동명산업 주식회사 단열 및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커튼월 프레임 보강구조
KR20200137683A (ko) * 2019-05-31 2020-12-09 남궁민우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822Y1 (ko) 2008-02-27 2008-09-09 방정혁 목재 판재의 휨과 뒤틀림 방지용 철물
JP2011037233A (ja) 2009-08-18 2011-02-24 Akita Prefectural Univ 部分フランジ付挿入補強部材及び応力緩衝層構造
KR20120002097U (ko) * 2010-09-14 2012-03-23 (주)삼익플랜 목재 변형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변형 방지 방법
KR20120002096U (ko) * 2010-09-14 2012-03-23 (주)삼익플랜 목재 변형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변형 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822Y1 (ko) 2008-02-27 2008-09-09 방정혁 목재 판재의 휨과 뒤틀림 방지용 철물
JP2011037233A (ja) 2009-08-18 2011-02-24 Akita Prefectural Univ 部分フランジ付挿入補強部材及び応力緩衝層構造
KR20120002097U (ko) * 2010-09-14 2012-03-23 (주)삼익플랜 목재 변형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변형 방지 방법
KR20120002096U (ko) * 2010-09-14 2012-03-23 (주)삼익플랜 목재 변형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변형 방지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751B1 (ko) * 2018-10-30 2020-01-02 동명산업 주식회사 단열 및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커튼월 프레임 보강구조
KR20200137683A (ko) * 2019-05-31 2020-12-09 남궁민우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KR102201160B1 (ko) * 2019-05-31 2021-01-11 남궁민우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4801B2 (ja) 汎用衝撃防止装置
KR200473101Y1 (ko)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
KR101309531B1 (ko)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KR102100231B1 (ko) 창호 충격방지용 스토퍼
KR101738584B1 (ko) 도어용 완충 스토퍼
KR101422813B1 (ko)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단열 도어장치
KR200483740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측면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KR101280994B1 (ko) 목재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틀의 변형 방지 구조
KR200377464Y1 (ko) 도어 프로파일 구조
KR100989505B1 (ko) 도어 프레임
KR101496018B1 (ko) 도어레버
KR200475797Y1 (ko)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KR20170017417A (ko) 측면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미닫이문
KR101499613B1 (ko) 문틀과 창틀의 결합구조
KR101971478B1 (ko) 차량용 차광막 장치
TW201532561A (zh) 具有阻尼機構的自閉合滑軌總成
CN210216789U (zh) 含面外限位的阻尼器安装结构
KR20150002556U (ko)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KR102030494B1 (ko) 창호의 창짝 완충용 조립체
KR20170006918A (ko)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KR100579473B1 (ko) 건축용 도어 방음구조
KR100354525B1 (ko) 도어프레임의 댐핑구조
JP5016536B2 (ja) 戸当たり
KR102274768B1 (ko) 개선된 복원 구조를 가지는 유동 방지형 미서기 창호
KR20140106924A (ko) 기밀성 향상 구조가 결합된 미닫이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