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2097A - 댐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댐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2097A
KR20240082097A KR1020220166105A KR20220166105A KR20240082097A KR 20240082097 A KR20240082097 A KR 20240082097A KR 1020220166105 A KR1020220166105 A KR 1020220166105A KR 20220166105 A KR20220166105 A KR 20220166105A KR 20240082097 A KR20240082097 A KR 20240082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piston
inner diameter
r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준
장진호
신재훈
신재운
오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식회사 삼흥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식회사 삼흥정밀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6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2097A/ko
Priority to PCT/KR2023/013781 priority patent/WO2024117481A1/ko
Publication of KR2024008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2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를 보호하도록 댐퍼를 감싸는 댐퍼 커버와 댐퍼 케이스가 회전 운동을 하는 구조물에 의해서 발생하는 측력이 직접적으로 댐퍼에 가해져서 댐퍼가 손상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댐퍼 커버와 댐퍼 케이스가 상호 체결 관계를 통해 댐퍼의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댐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DAMPER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댐퍼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구조물에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퍼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를 저장실에 공급하여, 다양한 종류의 저장 대상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실에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사용자는 도어를 이용하여 냉장고의 캐비닛 내에 형성된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도어는 냉장고의 일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식 도어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되는 서랍식 도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냉장고에는 도어에 댐핑력(Damping Force)을 제공하는 댐퍼(Damper)가 장착되어 도어의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는 도어가 개방된 후에 닫히는 과정에서 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함으로써, 도어가 부드럽게 닫히도록 하여 도어의 닫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는 내부에 충전된 오일 또는 가스와 같은 충전물이 오리피스(Orifice)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저항력을 이용하여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댐퍼 내에서의 충전물의 이동은 일측에 피스톤이 장착된 피스톤 로드가 댐퍼 내 실린더를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스톤 로드는 실린더의 직경 대비하여 좁은 직경을 갖고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직선 왕복 운동 과정에서 일부 영역이 실린더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댐퍼가 회전 운동을 하는 구조물에 장착되거나 회전 운동을 하는 구조물에 충돌하도록 장착되는 경우, 댐퍼에는 구조물의 회전 운동을 통해서 발생하는 측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실린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피스톤 로드의 경우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을 갖기 때문에, 측력에 의해서 휘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 로드가 휘어지거나 파손되게 되면, 댐퍼는 제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저장실 내 냉기 유출 방지를 위하여 도어의 일측에는 필라(Pillar)가 설치될 수 있다.
필라는 도어가 열릴 때는 접혔다가 도어가 닫힐 때는 다시 펼쳐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어가 닫히는 경우 필라는 저항의 역할도 하기 때문에, 도어를 닫을 때에는 필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힘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닫히는 경우 댐퍼의 경우에도 댐퍼를 압축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힘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필라가 장착된 도어에 댐퍼도 함께 작동하는 경우, 필라의 저항력에 추가되는 댐퍼의 댐핑력에 의해서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댐퍼의 댐핑력을 감소시키거나 사용자가 도어를 닫아주는 힘을 증가시켜야 한다.
하지만 댐퍼의 댐핑력이 감소하게 되면 댐퍼의 효과가 미미하게 되어 도어가 부드럽게 닫히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댐퍼의 댐핑력을 유지한 채 사용자가 도어를 닫아주는 힘을 증가시키게 되면 사용자가 도어를 열 때 필요한 힘도 증가하게 되는 바, 사용자의 불만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댐퍼에 측력이 작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댐퍼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라가 동작하기 전에 댐퍼의 댐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댐퍼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댐퍼 내에 포함되어 댐퍼의 내경 변화 구간을 반복하여 왕복 이동하는 링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댐퍼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댐퍼 어셈블리와 냉장고는, 댐퍼 커버가 댐퍼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댐퍼에 측력이 작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댐퍼의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댐퍼를 보호하도록 댐퍼를 감싸는 댐퍼 커버와 댐퍼 케이스는 결합 구조 및 상호 작용에 의해서 댐퍼의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댐퍼 어셈블리와 냉장고는, 댐퍼, 상기 댐퍼의 전단부와 상기 댐퍼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는 댐퍼 커버, 및 상기 댐퍼의 후단부와 상기 댐퍼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는 댐퍼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 커버의 이동은 상기 댐퍼의 이동에 종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왕복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케이스는 상기 레일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측면에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 케이스는 상기 레일부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레일부를 따라 연장되어 개구된 한 쌍의 슬릿부를 상기 댐퍼 케이스의 측면에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슬릿부를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는 압축 또는 신장이 되고, 상기 댐퍼 커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가 상기 슬릿부에 구속됨으로써 상기 댐퍼의 최대 신장 거리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댐퍼 커버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제1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 케이스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복수의 제2 가이드 리브를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측면에 포함하고, 상기 댐퍼 커버는 개구된 형태의 복수의 삽입부를 상기 댐퍼 커버의 외측면에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2 가이드 리브를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 케이스는 상기 댐퍼 케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피스톤, 및 일측에 상기 피스톤이 고정되고, 타측의 일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 케이스는 상기 로드를 지지하고,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 케이스와 상기 로드 사이에는 보강판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보강판은 상기 로드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인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는, 제1 내경 구간, 제2 내경 구간, 및 상기 제1 내경 구간과 상기 제2 내경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내경 변화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경 구간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내경은 상기 제1 내경 구간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는, 오일이 충전된 하우징, 오일 유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경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경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브라켓,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링은 테프론(Teflon)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는 상기 오일이 누유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을 씰링하는 하나 이상의 씰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의 마찰 계수는 상기 씰러의 마찰 계수보다 낮고, 상기 링의 탄성 계수는 상기 씰러의 탄성 계수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피스톤은 제1 피스톤부와, 상기 제1 피스톤부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제1 피스톤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 피스톤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의 내경은 상기 제2 피스톤부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링은 상기 제2 피스톤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2 피스톤부의 둘레를 감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피스톤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링은 상기 링의 일면이 상기 제1 피스톤부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 피스톤부를 따라서 상기 제1 피스톤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이 복귀하는 경우 상기 링은 상기 링의 타면이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 피스톤부를 따라서 상기 브라켓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피스톤이 압축되면서 상기 링이 상기 제1 내경 구간을 지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전방에 충전된 상기 오일은 상기 오일 유로부로 형성되는 제1 유로를 통해서 상기 피스톤의 후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피스톤이 압축되면서 상기 링이 상기 제2 내경 구간을 지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전방에 충전된 상기 오일은 상기 링의 외경과 상기 하우징의 내경 사이 및 상기 제1 피스톤부의 외경과 상기 하우징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를 통해서 상기 피스톤의 후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피스톤이 복귀되면서 상기 링이 상기 제2 내경 구간을 지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후방에 충전된 상기 오일은 상기 링의 외경과 상기 하우징의 내경 사이 및 상기 제1 피스톤부의 외경과 상기 하우징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와 상기 제2 피스톤부의 외경과 상기 링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를 통해서 상기 피스톤의 전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피스톤이 복귀되면서 상기 링이 상기 제1 내경 구간을 지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후방에 충전된 오일은 상기 제2 피스톤부의 외경과 상기 링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를 통해서 상기 피스톤의 전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는, 캐비닛의 전면을 회전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에 각각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퍼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서 댐퍼에 측력이 작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댐퍼의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댐퍼를 보호하도록 댐퍼를 감싸는 댐퍼 커버와 댐퍼 케이스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댐퍼의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회전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 및 상기 한 쌍의 도어에 각각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된 한 쌍의 상기 댐퍼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댐퍼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한 쌍의 도어의 배면에 각각 장착되되, 상기 캐비닛의 측면을 향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도어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의 일측을 향하도록 접히거나 상기 제1 도어의 일측으로부터 펼쳐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필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댐퍼는, 제1 댐핑력 구간, 제2 댐핑력 구간, 및 상기 제1 댐핑력 구간과 상기 제2 댐핑력 구간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력 변화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댐핑력 구간에서 제공되는 상기 댐퍼의 제1 댐핑력은 상기 제2 댐핑력 구간에서 제공되는 상기 댐퍼의 제2 댐핑력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제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는 경우,
1차적으로 상기 제1 댐핑력이 상기 제1 도어에 제공되고, 2차적으로 상기 제2 댐핑력과 상기 필라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제3 댐핑력이 상기 제1 도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를 보호하도록 댐퍼를 감싸는 댐퍼 커버와 댐퍼 케이스가 회전 운동을 하는 구조물에 의해서 발생하는 측력이 직접적으로 댐퍼에 가해져서 댐퍼가 손상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댐퍼 커버와 댐퍼 케이스가 상호 체결 관계를 통해 댐퍼의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내경이 변화하는 내경 변화 구간을 포함하는 댐퍼를 사용함으로써, 도어가 닫힐 때에는 도어에 제1 댐핑력을 제공하다가 필라가 작동하기 전에는 댐퍼가 제1 댐핑력보다 작은 제2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라의 저항력과 댐퍼의 댐핑력이 모두 작용하는 도어를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제대로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가 부드럽게 닫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 내에 포함되어 피스톤과 함께 왕복 이동을 하는 링이 마찰이 적으면서도 강도가 높은 테프론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댐퍼 내 내경 변화 구간을 반복하여 이동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링의 파손을 감소시켜 댐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한 쌍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필라가 펼쳐진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필라가 장착된 도어가 열리는 상태에서 필라가 접쳐진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한 쌍의 댐퍼 어셈블리가 각각 장착된 한 쌍의 도어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하나의 도어에 장착되는 댐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댐퍼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댐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댐퍼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댐퍼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댐퍼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댐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댐퍼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댐퍼가 압축되어 링이 제1 내경 구간을 지나는 경우의 댐퍼의 측단면이고, 도 14는 댐퍼가 압축되어 링이 제2 내경 구간을 지나는 경우의 댐퍼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댐퍼가 복귀되어 링이 제2 내경 구간을 지나는 경우의 댐퍼의 측단면이고, 도 16은 댐퍼가 복귀되어 링이 제1 내경 구간을 지나는 경우의 댐퍼의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피스톤, 링, 및 브라켓에 의해서 형성되는 오일의 유입 경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댐퍼가 압축되어 링이 제1 피스톤부에 접촉되는 경우 오일의 유입구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피스톤에 형성된 오일 유로부의 유입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0은 댐퍼가 압축되어 링이 제1 피스톤부에 접촉되는 경우 오일의 유출구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피스톤에 형성된 오일 유로부의 유출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2는 댐퍼가 압축되어 링이 제1 피스톤부에 접촉되는 경우 오일의 오일 유로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3은 댐퍼가 복귀되어 링이 브라켓에 접촉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제3 유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5는 댐퍼가 최대로 인장된 상태에서의 댐퍼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6은 댐퍼가 최대로 압축된 상태에서의 댐퍼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7은 댐퍼가 미장착된 도어의 닫힘 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8은 댐핑력이 일정하게 작용하는 댐퍼가 장착된 도어의 닫힘 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9는 댐핑력이 변화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댐퍼가 장착된 도어의 닫힘 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 및 제빙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어셈블리가 장착된 냉장고를 구성하는 각 주요 부품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냉장고(1)는 내부에 제품의 저장 공간인 하나 이상의 저장실을 포함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도어(11, 12, 13)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외부 케이스(미도시)와 외부 케이스(미도시)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부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저장 공간으로 구분되어,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한 쌍의 상부 도어(11, 12)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는 상부 저장실이 위치하고, 캐비닛(10)의 하부에는 한 쌍의 하부 도어(13)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는 하부 저장실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저장실은 냉장실이고, 하부 저장실은 냉동실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상부 도어(11, 12)인 제1 도어(11)와 제2 도어(12)는 캐비닛(1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힌지(16)에 의해서 회전하여 저장실을 개폐하는 회전식 도어일 수 있다.
또한 하부 도어(13)도 회전식 도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도어(13)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일 수도 있다.
제1 도어(11)에는 사용자가 음용수와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14)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도어(11)의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필라(15)가 설치될 수 있다.
필라(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제1 도어(11)와 제2 도어(12)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유출될 수 있는 냉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필라(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11)가 열릴 때는 제1 도어(11)의 일 측면을 향하여 접히도록 회전하게 되고, 제1 도어(11)를 닫을 때는 다시 펼쳐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필라(15)는 제1 도어(11)를 열거나 닫을 때 캐비닛(10) 상단에 설치된 필라 회전 부재(미도시)의 캠(Cam)과 필라(15)의 상단에 형성된 필라캠(15a)이 접촉함으로써 회전할 수 있다.
필라(15)는 제1 도어(11)가 닫힐 때 저항 역할을 하여 제1 도어(11)에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필라(15)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력만으로는, 제1 도어(11)가 닫히는 경우 캐비닛(10)과 충돌하는 제1 도어(11)에 발생하는 반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1 도어(11)가 닫히는 경우 제1 도어(11)에 댐핑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도어(11)가 부드럽게 닫히도록 하고, 제1 도어(11)의 반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댐퍼 어셈블리(20)를 냉장고(1)에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 어셈블리(20)는 회전 운동을 통해서 개폐되는 제1 도어(11)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캐비닛(10)이나 다른 냉장고(1)의 구성품 내에 장착되어 제1 도어(11)에 충돌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댐퍼 어셈블리(20)가 회전 운동을 통해서 개폐되는 제1 도어(11)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1 도어(11) 배면의 상부 영역 일 측과 제2 도어(12) 배면의 상부 영역 일 측에는, 각각 힌지(16)가 삽입되는 힌지 장착 공간(17)과 회전축을 제공하도록 힌지(16)가 장착될 수 있는 힌지 장착부(17a)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장착 공간(17)은 캐비닛(10)의 일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힌지(16)가 삽입되어 작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례로, 힌지 장착 공간(17)에 댐퍼 어셈블리(20)가 설치될 수 있다.
댐퍼 어셈블리(20)는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을 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장착 공간(17)에는 댐퍼 어셈블리(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댐퍼 어셈블리 장착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 어셈블리 장착부(18)는 제1 도어(11)와 제2 도어(12)의 배면에 각각 형성되되, 제1 도어(11)와 제2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캐비닛(10)의 양 측면을 각각 향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댐퍼 어셈블리 장착부(18)에 댐퍼 어셈블리(20)가 장착되는 경우, 댐퍼 어셈블리(20)도 제1 도어(11)와 제2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캐비닛(10)의 양 측면을 각각 향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댐퍼 어셈블리(20)가 사선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댐퍼 어셈블리(20)와 충돌하는 상대 구조물은 힌지(16)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댐퍼 어셈블리(20)가 충돌하는 상대 구조물은 캐비닛(10) 또는 냉장고(1)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품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운동을 하는 구조물인 제1 도어(11)와 제2 도어(12)에 댐퍼 어셈블리(20)가 장착되기 때문에, 제1 도어(11)와 제2 도어(12)가 회전하는 경우 댐퍼 어셈블리(20)에는 측력이 가해질 수 있다.
특히 댐퍼 어셈블리(20)가 힌지 장착 공간(17)에 설치되는 경우, 제1 도어(11)와 제2 도어(12)의 회전 시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 반경 내에 댐퍼 어셈블리(20)가 위치하게 되므로 더욱 강한 측력이 가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 따른 댐퍼 어셈블리(20)는 측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댐퍼(100)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댐퍼(100)를 감싸는 댐퍼 커버(200)와 댐퍼 케이스(300)를 포함하여 댐퍼 어셈블리(20)가 직선 운동을 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더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댐퍼 어셈블리(2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댐퍼 어셈블리(20)의 전후 방향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을 따른 방향일 수 있고, 상하 방향은 Z축을 따른 방향일 수 있으며, 좌우 방향은 X축을 따른 방향일 수 있다.
댐퍼 어셈블리(20)는 댐퍼(10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단부가 폐쇄되고, 후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댐퍼(100)는 하우징(110)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된 로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2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로드(120)는 개구된 하우징(110)의 후단부를 통해서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로드(120)의 일측에는 피스톤(170)이 고정되어 하우징(110) 내에 위치하고, 로드(120)의 타측의 일부 영역이 하우징(110)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피스톤(170)에 대해서는 더욱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로드(120)는 하우징(110) 대비하여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댐퍼(1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 운동과는 별개로 댐퍼(100)에 측력이 가해지게 되면 로드(120)는 쉽게 휘어지거나 손상되어 댐퍼(100)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댐퍼 어셈블리(20)는, 댐퍼(100)의 전단부와 댐퍼(10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는 댐퍼 커버(200)와, 댐퍼(100)의 후단부와 댐퍼(10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는 댐퍼 케이스(300)로 댐퍼(100)를 보호할 수 있다.
댐퍼 커버(200)는 전단부가 폐쇄되고, 후단부가 개구된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 커버 바디(201)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00)의 전단부를 포함한 댐퍼(100)의 전단부로부터 이어지는 외주면의 일부 영역은 커버 바디(201)의 개구된 후단부를 통해서 삽입되어, 댐퍼(100)의 전단부가 커버 바디(201)의 전단부의 배면과 접촉하도록 댐퍼 커버(2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바디(201)의 내경은 하우징(1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바디(20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일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부(210)는 커버 바디(201)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커버 바디(201)의 외측면의 좌우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일부(210)의 후단부는 커버 바디(201)의 후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210)의 후단부에는 걸림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20)는 댐퍼 케이스(300)에 댐퍼 커버(200)가 삽입되는 경우 댐퍼 케이스(300)와 후크 결합을 통해서 댐퍼 커버(20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220)의 전단부는 레일부(210)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레일부(210)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걸림부(220)의 전단부는 댐퍼 케이스(300)의 슬릿부(320)와 후크 결합을 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300)의 슬릿부(320)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걸림부(220)의 후단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댐퍼 커버(200)가 댐퍼 케이스(30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댐퍼 커버(200)가 댐퍼 케이스(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한 쌍의 레일부(21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살짝 휘어지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과 형상으로 형성되어, 댐퍼 커버(20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레일부(210)의 내측면에는 레일부(210)가 연장된 방향으로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211)가 형성되어, 레일부(210)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다.
커버 바디(201)의 외측면에는 개구된 형태의 복수의 삽입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221)는 커버 바디(201)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일부 영역이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221)의 전단부는 커버 바디(201)의 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레일부(210)를 기준으로 레일부(21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삽입부(221)가 각각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커버(2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커버 바디(20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제1 가이드 리브(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가이드 리브(240)는 각각 커버 바디(201)의 상부 외측면과 하부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리브(240)는 커버 바디(201)의 후단부로터 전방의 일정 위치까지 좁은 폭을 갖도록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리브(240)는 댐퍼 커버(200)가 댐퍼 케이스(300) 내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할 때 커버 바디(201)의 전체 외주면이 댐퍼 케이스(300)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댐퍼 커버(200)의 커버 바디(201)와 댐퍼 케이스(300)의 내주면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감소시켜 주면서 댐퍼 커버(200)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댐퍼 케이스(300)는 전단부가 개구되고, 후단부가 폐쇄된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 케이스 바디(301)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00)의 후단부를 포함한 댐퍼(100)의 후단부로부터 이어지는 외주면의 일부 영역은 케이스 바디(301)의 개구된 전단부를 통해서 삽입되어, 댐퍼(100)의 로드(120)가 케이스 바디(301)의 후단부의 전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댐퍼 케이스(3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바디(301)의 내경은 하우징(1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301)의 후단부의 전면에는 댐퍼(100)의 로드를 지지하도록 후방으로 인입된 케이스홈(350)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홈(350)은 로드(120)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로드(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로드(120)의 결합 위치를 정렬하고 로드(120)의 상하 좌우 측방향으로의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댐퍼(100)는 댐퍼 커버(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댐퍼 케이스(300)에 삽입되기 때문에, 케이스 바디(301)와 댐퍼(100)의 하우징(110)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며 케이스 바디(301)의 내주면과 커버 바디(201)의 외주면이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바디(301)의 내경은 커버 바디(20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301)의 내측면에는 댐퍼 커버(200)의 한 쌍의 레일부(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10)는 케이스 바디(301)의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로 케이스 바디(301)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10)가 케이스 바디(301)의 내측으로 인입된 두께는 댐퍼 커버(200)의 레일부(210)가 외측으로 돌출된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310)는 케이스 바디(301)의 내측면 양 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댐퍼 케이스(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댐퍼 커버(200)의 레일부(210)는 가이드부(310)를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301)의 측면에는 가이드부(310)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가이드부(310)를 따라 연장되어 개구된 한 쌍의 슬릿부(320)가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릿부(320)는 케이스 바디(301)의 외측면과 내측면이 모두 개구되어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부(320)는 케이스 바디(301)의 전후 방향으로 기준으로 후방 영역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5와 도 26을 더 참조하면, 댐퍼 커버(200)의 걸림부(220)는 슬릿부(320)에 삽입되어 슬릿부(32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댐퍼(100)는 전후 방향으로 압축 또는 신장이 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00)가 최대로 신장되는 경우, 댐퍼 커버(200)의 걸림부(220)의 전단부는 개구된 슬릿부(320)의 전단부에 구속됨으로써 댐퍼(100)의 추가적인 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 커버(200)의 걸림부(220)는 슬릿부(320)에 구속됨으로써 댐퍼(100)의 최대 신장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00)가 압축되는 경우에는, 댐퍼 커버(200)의 걸림부(220)는 슬릿부(320)와의 구속이 해제되어 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부(320)의 전후 방향 길이는 걸림부(220)의 최대 전후 방향 이동 거리뿐만 아니라, 댐퍼(100)의 최대 압축 거리와 댐퍼 커버(200)의 최대 압축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301)의 내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2 가이드 리브(3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리브(330)는 케이스 바디(301)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좁은 폭을 갖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리브(330)의 전단부는 슬릿부(320)의 전단부를 넘지 않는 정도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가이드 리브(330)는 각각 슬릿부(320)의 상부 내측면과 하부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된 슬릿부(320)의 양 측에 제2 가이드 리브(330)가 형성됨으로써, 개구된 슬릿부(320)로 인하여 약해진 케이스 바디(301)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리브(330)는 댐퍼 커버(200)가 댐퍼 케이스(300) 내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할 때 댐퍼 커버(200)의 삽입부(221)가 제2 가이드 리브(330)를 따라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 커버(200)가 신장된 상태에서는 제2 가이드 리브(330)는 삽입부(221)에 삽입되지 않지만, 댐퍼 커버(200)가 압축된 상태에서는 제2 가이드 리브(330)의 전단부를 포함하는 일부 영역은 삽입부(221)에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301)는 케이스 바디(30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체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바디(301)의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체결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340)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체결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어셈블리(20)가 고정되는 고정 대상물과 결합 시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체결홀(341)을 통해서 체결부(340)를 고정 대상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부(340)는 케이스 바디(301)의 개구된 전단부에 인접한 전방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340)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케이스 바디(301)의 영역은 후방으로 돌출된 케이스 바디(301)의 영역보다 매우 작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댐퍼 어셈블리(20)는 소정의 삽입홀을 갖도록 형성된 댐퍼 어셈블리 장착부(18)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부(340)의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 바디(301)의 영역은 댐퍼 어셈블리 장착부(18)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340)는 댐퍼 어셈블리 장착부(18)와 체결됨으로써 댐퍼 어셈블리(20)를 제1 도어(11)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340)의 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 바디(301)의 일부 영역만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 바, 댐퍼 어셈블리(20)가 삽입되는 힌지 장착 공간(17)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디자인 심미감도 제공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300)와 댐퍼(100)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댐퍼 케이스(300)와 로드(120) 사이에는 보강판(400)이 배치될 수 있다.
보강판(400)은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로드(120)에 의해서 댐퍼 케이스(300)의 배면에 하중이 집중되어 댐퍼 케이스(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판(400)의 중심부에는 로드(12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후방으로 인입되어 돌출된 인입홈(45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 케이스(300)의 배면부와 마주하는 인입홈(450)의 일면은 케이스홈(350)에 고정되도록 돌출되고, 댐퍼(100)의 로드(120)와 마주하는 인입홈(450)의 타면은 로드(120)가 고정되도록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입홈(450)의 타면은 로드(120)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로드(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로드(120)의 결합 위치를 정렬하고 로드(120)의 상하 좌우 측방향으로의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인입홈(450)의 일면은 인입홈(450)이 케이스홈(350)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케이스홈(3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강판(400)과 로드(120)의 상하 좌우 측방향으로의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댐퍼 어셈블리(20)의 댐퍼 커버(200)는 댐퍼 케이스(3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댐퍼 케이스(300)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댐퍼 커버(200)의 이동은 댐퍼(100)의 이동에 종속되는 바, 댐퍼(100)가 압축 또는 신장되는 경우 댐퍼 커버(200)도 댐퍼(100)와 함께 댐퍼 케이스(300)의 내주면을 따라서 압축 또는 신장이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명세서에 따른 댐퍼 어셈블리(20)는 댐퍼 커버(200)와 댐퍼 케이스(300)가 댐퍼(100)의 외관을 보호하므로, 회전 운동을 하는 구조물에 의해서 발생하는 측력이 직접적으로 댐퍼(100)에 가해져서 댐퍼(100)의 로드(120)가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댐퍼 커버(200)와 댐퍼 케이스(300)가 레일부(210)의 걸림부(220)와 가이드부(310) 및 슬릿부(320)와의 상호 체결 관계를 통해 댐퍼(1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보조하기 때문에, 회전 운동을 하는 구조물에 의해서 발생하는 측력이 댐퍼 어셈블리(20)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댐퍼(1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댐퍼 어셈블리(20)는 댐퍼(100), 댐퍼 커버(200), 및 댐퍼 케이스(300)가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도, 댐퍼(100)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레일부(210)의 걸림부(220)와 슬릿부(320)의 후크 결합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는 바 공정수의 감소와 함께 효율적인 조립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24를 더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댐퍼(1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댐퍼(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가이드(130), 씰러(140), 스펀지(150), 스펀지 커버(151), 와셔(160), 피스톤(170), 링(180), 및 브라켓(190)이 로드(12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로드(120)에 의해서 중심부가 관통되도록 차례대로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원통형의 하우징(110)은 내부에 오일(112)이 충전되는 실린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130)는 로드(120)가 왕복 병진 운동을 하는 경우 상하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로드(12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하우징(110) 내부의 다른 부품들이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130)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나일론 수지일 수 있다.
씰러(140)는 하우징(110)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오일(112)이 외부로 누유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하우징(110)을 씰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씰러(140)의 내경은 로드(120)의 외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맞닿고, 씰러(140)의 외경은 하우징(110)의 내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맞닿음으로써 오일(112)이 누유될 수 있는 틈새를 막아줄 수 있다.
씰러(140)는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누유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씰러(140)는 내유 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일 수 있다.
스펀지(150)는 댐퍼(100)가 압축될 때 피스톤(170)이 전진하는 경우, 오일(112)이 피스톤(170)이 전진하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부피를 보상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펀지(150)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어 댐퍼(100)가 압축되는 경우 스펀지(150)도 압축됨으로써 부피를 보상해줄 수 있다.
스펀지(150)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합성 수지일 수 있다.
스펀지 커버(151)는 댐퍼(100)의 압축으로 인하여 압축되는 스펀지(150)가 오일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댐퍼(100)가 복귀하는 경우 스펀지(150)의 형상이 복원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스펀지(150)는 스펀지 커버(151)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펀지 커버(151)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POM)일 수 있다.
와셔(160)는 피스톤(170)을 로드(120)에 삽입하는 경우 피스톤(170)이 로드(12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와셔(160)의 일면은 로드(120)의 직경이 감소하는 단턱부(121)에 걸림 결합이 되도록 로드(12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와셔(160)의 타면은 피스톤(170)의 일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맞닿음으로써, 피스톤(170)과 함께 오일(112)이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셔(160)는 피스톤(170)의 제1 피스톤부(171)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와셔(160)는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냉간 압연 강판(SPCC)일 수 있다.
피스톤(170)은 댐퍼(100)가 압축되는 경우 오일(112)이 유동될 수 있는 유로인 오일 유로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170)은 제1 피스톤부(171)와 제1 피스톤부(171)로부터 브라켓(190)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제1 피스톤부(171)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 피스톤부(172)로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170)은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나일론 수지일 수 있다.
피스톤(170)의 제2 피스톤부(172)에 대면하도록 브라켓(19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120)로부터 피스톤(170)이 빠지지 않도록 로드(120)의 끝단을 리벳 처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브라켓(190)은 리벳 처리 시 피스톤(17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190)의 일면은 피스톤(170)의 제2 피스톤부(172)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맞닿음으로써, 피스톤(170)과 함께 오일(112)이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브라켓(190)은 중심 방향으로 인입된 복수의 인입부(191)가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입부(191)를 통해서 오일(112)이 유동될 수 있다.
브라켓(190)은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냉강 압연 강판(SPCC)일 수 있다.
링(180)은 피스톤(170)과 브라켓(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180)의 내경은 제2 피스톤부(17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링(180)은 제2 피스톤부(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도록 이격되어 제2 피스톤부(172)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링(180)은 제1 피스톤부(171)와 브라켓(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링(180)의 전후 방향 두께는 제1 피스톤부(171)와 브라켓(19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피스톤부(172)의 전후 방향 두께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링(180)은 제2 피스톤부(172)를 따라서 제1 피스톤부(171)와 브라켓(190)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180)은 댐퍼(100)가 압축되는 경우 압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피스톤(170)의 외경과 하우징(110)의 내경 사이로 오일(112)이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고, 피스톤(170)의 오일 유로부(173)를 통해서 오일(112)이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링(180)의 일면은 제1 피스톤부(171)에 접촉하고, 링(180)의 타면은 브라켓(19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링(180)은 댐퍼(100)가 복귀되는 경우 복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오일(112)이 복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틈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이 경우 링(180)의 타면은 브라켓(190)과 접촉하고, 링(180)의 일면은 제1 피스톤부(17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링(180)은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불소 수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링(180)은 테프론(Teflon) 재질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테프론에 전체 중량 대비 10%~30%의 탄소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링(180)의 치수가 변경되는 것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테프론은 고무 대비하여 강도가 높고 마찰 저항이 적기 때문에 댐퍼(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강한 마찰에 의한 손상을 감소시켜 댐퍼(100)의 반복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링(180)은 강한 밀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찰 저항과 탄성력이 큰 물질로 형성되는 씰러(140) 대비하여 낮은 마찰 계수를 갖고,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계수는 재료의 강성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변형에 저항하는 성질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계수가 낮은 물질은 내변형도가 큰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링(180)이 강도가 높고 마찰 저항이 적은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됨에 따라 오일(112)에 의한 유체 흐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의 유체 흐름도가 좋아지게 되면 하우징(110)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링(180)과 하우징(110)과의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므로, 마찰력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댐퍼(100)의 일시적인 멈춤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로드(12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로드(120)의 왕복 이동에 의해서 댐퍼(100)가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로드(120)의 전방 영역에는 내경이 감소된 단턱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120)는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로드(120)에 고정되는 부품들은 로드(120)의 단턱부(121)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로드(120)의 왕복 이동시 함께 이동을 하거나, 왕복 이동에 무관하게 계속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130), 씰러(140), 스펀지(150), 및 스펀지 커버(151)는 단턱부(121)의 후방에 배치되어 로드(120)의 왕복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하우징(110) 내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와셔(160), 피스톤(170), 링(180), 및 브라켓(190)은 전체 로드(120)의 외경 대비하여 외경이 감소된 단턱부(121)의 전방에 배치되어 로드(120)가 왕복 이동하는 경우 같이 왕복 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와셔(160), 피스톤(170), 링(180), 및 브라켓(190)은 로드(120)와 함께 하우징(110)의 내경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브라켓(190)과 하우징(110)의 전단부 사이에는 탄성 부재(111)가 배치되어 댐퍼(100)가 압축된 이후에 복귀 시 복귀 방향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탄성 부재(111)는 스프링(180)일 수 있다.
탄성 부재(111)는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일 수 있다.
댐퍼(100)는, 제1 내경 구간(A), 제2 내경 구간(C), 및 제1 내경 구간(A)과 제2 내경 구간(C) 사이에 위치하는 내경 변화 구간(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경 구간(C)에서의 하우징(110)의 내경(D2)은 제1 내경 구간(A)에서의 하우징(110)의 내경(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내경 변화 구간(B)에서는 하우징(110)의 내경이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하도록 경사진 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댐퍼(100)가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구간을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댐퍼(100)로 서로 다른 크기의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경 구간(A)은 제1 댐핑력을 제공하는 제1 댐핑력 구간(A)일 수 있고, 제2 내경 구간(C)은 제2 댐핑력을 제공하는 제2 댐핑력 구간(C)일 수 있으며, 내경 변화 구간(B)은 댐핑력 변화 구간(B)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댐핑력 구간(A)에서 제공되는 댐퍼(100)의 제1 댐핑력은 제2 댐핑력 구간(C)에서 제공되는 댐퍼(100)의 제2 댐핑력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댐핑력 구간(A)은 댐핑 구간이고, 제2 댐핑력 구간(C)은 무댐핑 구간일 수 있으며, 댐퍼(100)가 압축됨에 따라 댐핑 구간에서 무댐핑 구간으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따른 댐퍼(100)는 하우징(110)의 내경에 단을 주어 변경하는 방법을 통해서 댐퍼(100)가 압축되는 경우 댐핑력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바, 오일(112)의 점도를 변경하거나 피스톤(170)의 오리피스인 오일 유로부(173)의 직경을 조절하지 않고도 적은 비용으로 소형의 댐퍼(100)의 댐핑력을 쉽게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100)가 압축되는 경우 댐핑 구간에서는 링(180)이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눌림으로써 링(180)과 하우징(110) 사이의 갭을 차단므로, 피스톤(170)의 오일 유로부(173)로만 오일(112)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댐퍼(100)가 지속적으로 압축됨에 따라 댐핑 구간을 지나서 무댐핑 구간으로 진입하는 경우, 링(180)과 하우징(110)의 내주면 사이의 갭이 증가하게 되면서 오일(112)은 피스톤(170)의 오일 유로부(173) 대신에 상기 갭으로 흐르게 되므로 댐핑력이 감소하게 되어 무댐핑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댐퍼(100)의 압축 및 복귀에 따른 오일(112)이 유동되는 유로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20)의 압축에 의해서 피스톤(170)이 압축되는 경우 링(180)은 링(180)의 일면이 제1 피스톤부(171)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제2 피스톤부(172)를 따라서 제1 피스톤부(171)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피스톤(170)이 압축되면서 링(180)이 제1 내경 구간(A)을 지나는 경우, 피스톤(170)의 전방에 충전된 오일(112)은 오일 유로부(173)로 형성되는 제1 유로(1731)를 통해서 피스톤(170)의 후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2를 더 참조하면, 제2 피스톤부(172)의 일 측면에는 오일(112)이 유입되는 유입구(174)가 피스톤(170)의 개구된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개구된 중심의 내측을 따라서 제1 피스톤부(171)의 배면으로 이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 피스톤부(172)의 일측에는 유출구(175)가 형성되어, 피스톤(170)의 개구된 중심의 내측을 따라서 유동되는 오일(112)이 유출구(175)를 통해서 피스톤(170)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 유로부(173)는 유입구(174)가 형성된 제2 피스톤부(172)와 접촉하는 브라켓(190)의 사이, 피스톤(170)의 개구된 중심과 피스톤(170)의 개구된 중심을 관통하는 로드(120)의 사이, 및 유출구(175)가 형성된 제1 피스톤부(171)와 접촉하는 와셔(160)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제1 유로(1731)일 수 있다.
댐핑력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오일 유로부(173)는 최대한 길게 돌아 나오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피스톤(170)이 압축되면서 링(180)이 제2 내경 구간(C)을 지나는 경우, 피스톤(170)의 전방에 충전된 오일(112)은 링(180)의 외경과 하우징(110)의 내경 사이 및 제1 피스톤부(171)의 외경과 하우징(110)의 내경 사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2 유로(1732)를 통해서 피스톤(170)의 후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내경 구간(C)에서는 제1 내경 구간(A) 대비하여 하우징(110)의 내경이 증가하기 때문에, 링(180)의 외경과 하우징(110)의 내경 사이에 갭이 발생하게 되므로, 오일(112)은 제1 유로(1731)가 아닌 제2 유로(1732)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20)의 복귀에 의해서 피스톤(170)이 복귀하는 경우 링(180)은 링(180)의 타면이 브라켓(190)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제2 피스톤부(172)를 따라서 브라켓(19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피스톤(170)이 복귀되면서 링(180)이 제2 내경 구간(C)을 지나는 경우, 피스톤(170)의 후방에 충전된 오일(112)은 링(180)의 외경과 하우징(110)의 내경 사이 및 제1 피스톤부(171)의 외경과 하우징(110)의 내경 사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2 유로(1732)와 제2 피스톤부(172)의 외경과 링(180)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1733)를 통해서 피스톤의 전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 23과 도 24를 더 참조하면, 링(180)의 타면이 브라켓(190)의 일면에 접촉함에 따라, 링(180)과 제1 피스톤부(171) 사이에 발생하는 갭을 따라서 제2 피스톤부(172)의 외경과 링(180)의 내경 사이를 지나 브라켓(190)의 인입부(191)로 이어지는 제3 유로(17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피스톤(170)이 복귀되면서 링(180)이 제1 내경 구간(A)을 지나는 경우, 링(180)의 외경과 하우징(110)의 내경 사이의 갭이 없어지게 되어 제2 유로(1732)는 폐쇄되므로, 피스톤(170)의 후방에 충전된 오일(112)은 제2 피스톤부(172)의 외경과 링(180)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1733)를 통해서 피스톤(170)의 전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명세서에 따른 댐퍼 어셈블리(20)는 서로 다른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내경이 변화하는 내경 변화 구간(B)을 포함하는 2단 댐퍼를 사용함으로써, 도어가 닫힐 때에는 도어에 제1 댐핑력을 제공하다가 필라(15)가 작동하기 전에는 댐퍼가 제1 댐핑력보다 작은 제2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어(11)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는 경우, 1차적으로 제1 댐핑력이 제1 도어(11)에 제공되고, 2차적으로 제2 댐핑력과 필라(1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력에 의한 제3 댐핑력이 제1 도어(11)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라(15)의 저항력이 작용하는 시점에서는 댐퍼(100)의 댐핑력을 감소시킴에 따라 필라(15)의 저항력과 댐퍼(100)의 댐핑력이 모두 작용하는 제1 도어(11)를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제대로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도어(11)가 부드럽게 닫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댐퍼 어셈블리(20)는, 댐퍼(100) 내에 포함되어 피스톤(170)과 함께 왕복 이동을 하는 링(180)을 마찰이 적으면서도 강도가 높은 테프론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댐퍼(100) 내 내경 변화 구간(B)을 반복하여 이동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링(180)의 파손을 감소시켜 댐퍼(100)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링(180)이 고무와 같이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내경이 변화하는 내경 변화 구간(B)을 반복하여 링(180)이 이동함에 따라 링(180)이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될 수 있다.
다만 링(180)을 테프론 재질과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재질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링(180)이 내경 변화 구간(B)을 반복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압축과 복귀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링(180)은 마찰 계수가 낮기 때문에 하우징(110)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댐핑 구간에서 하우징(110)과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무댐핑 구간으로의 전환 과정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반해 고무 재질로 구성이 되는 씰러(140)는 마찰 계수가 높기 때문에 하우징(110)과의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여 오일(112)의 이동 압력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압축과 복귀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링(180)은 탄성 계수가 높기 때문에 댐핑 구간에서는 하우징(110)과 접촉이 이루어지되 무댐핑 구간에서는 하우징(110)과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외직경이 거의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반해 고무 재질로 구성이 되는 씰러(140)는 탄성 계수가 낮기 때문에 하우징(110)에 삽입되어 고정이 되는 경우 외직경의 변화량이 큰 상태로 고정이 되어 오일(112)의 이동 압력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링(180)의 경우 씰러(140)와 달리 마찰 계수가 낮고 탄성 계수가 높은 재질로 사용함에 따라, 댐핑 구간과 무댐핑 구간에서의 댐핑 전환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링(180)이 탄성 계수가 낮아서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오일 압력에 의해서 링(180)이 압착되어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댐핑 구간에서 무댐핑 구간으로의 전환 시 유로 면적dml 변화가 지연됨으로써 무댐핑 구간으로의 변화가 느려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명세서에 따른 링(180)의 경우 탄성 계수가 높아서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오일 압력에 의한 링(180)의 변형이 매우 적은 바, 댐핑 구간에서 무댐핑 구간으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댐퍼 어셈블리(20)에 댐퍼(10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걸림부(220)와 슬릿부(320)의 강한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 부재(11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펀지 커버(151)와 와셔(160) 사이가 초기 이격 거리(w)만큼 이격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초기 이격 거리(w)로 인하여 댐퍼(100), 댐퍼 커버(200), 및 댐퍼 케이스(300)는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도 탄성 부재(11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더욱 강한 체결력을 갖는 조립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7은 댐퍼가 미장착된 도어의 닫힘 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28은 댐핑력이 일정하게 작용하는 댐퍼가 장착된 도어의 닫힘 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29는 댐핑력이 변화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댐퍼가 장착된 도어의 닫힘 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댐퍼가 미장착되는 경우에는, 도어 닫힘 구간이 지나서 도어가 닫히게 되면 도어와 캐비닛이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도어의 반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한편 도 28을 참조하면 댐핑력이 일정하게 작용하는 1단 댐퍼가 장착되는 경우, 도어 닫힘 구간 내에서 댐퍼 접촉 시점 이후로 도어가 닫힐 때까지 도어의 닫힘 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고 도어 반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댐핑력이 일정하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도어의 반동을 크게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도어 닫힘 구간 내에 댐퍼의 댐핑력에 필라에 의한 저항력이 추가될 경우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29를 참조하면 댐핑력이 변화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2단 댐퍼가 장착되는 경우, 도어 닫힘 구간 내에서 댐퍼 접촉 시점 이후 도어의 닫힘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의 닫힘 속도 감소는 댐핑 구간에서의 댐핑의 작동으로 인한 댐핑력에 의한 것이다.
이후 댐핑력 변화 시점 이후에는 댐퍼의 힘이 감소하게 되어 도어의 담힘 속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의 닫힘 속도 증가는 무댐핑 구간에서의 댐핑의 작동으로 인한 것이다.
도어의 닫힘 속도가 다시 증가하는 구간에서 필라가 펼쳐지게 되면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고 도어의 반동이 약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2단 댐퍼를 사용하게 되면 도어가 완전히 닫히는 순간에는 1단 댐퍼 대비하여 약간의 도어 반동이 발생할 수는 있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냉장고
10: 캐비닛
11: 상부 도어, 제1 도어
12: 상부 도어, 제2 도어
13: 하부 도어
14: 디스펜서
15: 필라
16: 힌지
17: 힌지 장착 공간
17a: 힌지 장착부
18: 댐퍼 어셈블리 장착부7
20: 댐퍼 어셈블리
100: 댐퍼
A: 제1 내경 구간, 제1 댐핑력 구간
B: 내경 변화 구간, 댐핑력 변화 구간
C: 제2 내경 구간, 제2 댐핑력 구간
D1: 제1 내경 구간에서의 하우징의 내경
D2: 제2 내경 구간에서의 하우징의 내경
w: 초기 이격 거리
110: 하우징
111: 탄성 부재
112: 오일
120: 로드
121: 단턱부
130: 가이드
140: 씰러
150: 스펀지
151: 스펀지 커버
160: 와셔
170: 피스톤
171: 제1 피스톤부
172: 제2 피스톤부
173: 오일 유로부
1731: 제1 유로
1732: 제2 유로
1733: 제3 유로
174: 유입구
175: 유출구
180: 링
190: 브라켓
191: 인입부
200: 댐퍼 커버
201: 커버 바디
210: 레일부
211: 보강부
220: 걸림부
221: 삽입부
240: 제1 가이드 리브
300: 댐퍼 케이스
301: 케이스 바디
310: 가이드부
320: 슬릿부
330: 제2 가이드 리브
340: 체결부
341: 체결홀
350: 케이스홈
400: 보강판
450: 인입홈

Claims (27)

  1. 댐퍼;
    상기 댐퍼의 전단부와 상기 댐퍼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는 댐퍼 커버; 및
    상기 댐퍼의 후단부와 상기 댐퍼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는 댐퍼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댐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커버의 이동은 상기 댐퍼의 이동에 종속되는, 댐퍼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왕복 이동을 하는, 댐퍼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케이스는 상기 레일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측면에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한, 댐퍼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케이스는 상기 레일부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레일부를 따라 연장되어 개구된 한 쌍의 슬릿부를 상기 댐퍼 케이스의 측면에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슬릿부를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한 걸림부를 포함하는, 댐퍼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압축 또는 신장이 되고,
    상기 댐퍼 커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가 상기 슬릿부에 구속됨으로써 상기 댐퍼의 최대 신장 거리가 제어되는, 댐퍼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댐퍼 커버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제1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댐퍼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케이스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복수의 제2 가이드 리브를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측면에 포함하고,
    상기 댐퍼 커버는 개구된 형태의 복수의 삽입부를 상기 댐퍼 커버의 외측면에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2 가이드 리브를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한, 댐퍼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케이스는 상기 댐퍼 케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댐퍼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피스톤; 및
    일측에 상기 피스톤이 고정되고, 타측의 일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된 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 케이스는 상기 로드를 지지하고,
    상기 댐퍼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댐퍼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케이스와 상기 로드 사이에는 보강판이 배치된, 댐퍼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로드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인입홈을 포함하는, 댐퍼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제1 내경 구간, 제2 내경 구간, 및 상기 제1 내경 구간과 상기 제2 내경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내경 변화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경 구간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내경은 상기 제1 내경 구간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내경보다 큰, 댐퍼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오일이 충전된 하우징;
    오일 유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경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경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브라켓;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링; 을 포함하는, 댐퍼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테프론(Teflon) 재질로 구성되는, 댐퍼 어셈블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오일이 누유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을 씰링하는 하나 이상의 씰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의 마찰 계수는 상기 씰러의 마찰 계수보다 낮고,
    상기 링의 탄성 계수는 상기 씰러의 탄성 계수보다 높은, 댐퍼 어셈블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제1 피스톤부와, 상기 제1 피스톤부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제1 피스톤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 피스톤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의 내경은 상기 제2 피스톤부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링은 상기 제2 피스톤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2 피스톤부의 둘레를 감싸는, 댐퍼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링은 상기 링의 일면이 상기 제1 피스톤부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 피스톤부를 따라서 상기 제1 피스톤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이 복귀하는 경우 상기 링은 상기 링의 타면이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 피스톤부를 따라서 상기 브라켓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댐퍼 어셈블리.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압축되면서 상기 링이 상기 제1 내경 구간을 지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전방에 충전된 상기 오일은 상기 오일 유로부로 형성되는 제1 유로를 통해서 상기 피스톤의 후면 방향으로 유동되는, 댐퍼 어셈블리.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압축되면서 상기 링이 상기 제2 내경 구간을 지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전방에 충전된 상기 오일은 상기 링의 외경과 상기 하우징의 내경 사이 및 상기 제1 피스톤부의 외경과 상기 하우징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를 통해서 상기 피스톤의 후면 방향으로 유동되는, 댐퍼 어셈블리.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복귀되면서 상기 링이 상기 제2 내경 구간을 지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후방에 충전된 상기 오일은 상기 링의 외경과 상기 하우징의 내경 사이 및 상기 제1 피스톤부의 외경과 상기 하우징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와 상기 제2 피스톤부의 외경과 상기 링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를 통해서 상기 피스톤의 전면 방향으로 유동되는, 댐퍼 어셈블리.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복귀되면서 상기 링이 상기 제1 내경 구간을 지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후방에 충전된 오일은 상기 제2 피스톤부의 외경과 상기 링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를 통해서 상기 피스톤의 전면 방향으로 유동되는, 댐퍼 어셈블리.
  23. 저장실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회전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 및
    상기 한 쌍의 도어에 각각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된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한 쌍의 상기 댐퍼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냉장고.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댐퍼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한 쌍의 도어의 배면에 각각 장착되되, 상기 캐비닛의 측면을 향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냉장고.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도어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의 일측을 향하도록 접히거나 상기 제1 도어의 일측으로부터 펼쳐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필라를 포함하는, 냉장고.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제1 댐핑력 구간, 제2 댐핑력 구간, 및 상기 제1 댐핑력 구간과 상기 제2 댐핑력 구간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력 변화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댐핑력 구간에서 제공되는 상기 댐퍼의 제1 댐핑력은 상기 제2 댐핑력 구간에서 제공되는 상기 댐퍼의 제2 댐핑력보다 큰, 냉장고.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는 경우,
    1차적으로 상기 제1 댐핑력이 상기 제1 도어에 제공되고,
    2차적으로 상기 제2 댐핑력과 상기 필라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제3 댐핑력이 상기 제1 도어에 제공되는, 냉장고.
KR1020220166105A 2022-12-01 2022-12-01 댐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40082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105A KR20240082097A (ko) 2022-12-01 2022-12-01 댐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CT/KR2023/013781 WO2024117481A1 (ko) 2022-12-01 2023-09-14 댐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105A KR20240082097A (ko) 2022-12-01 2022-12-01 댐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2097A true KR20240082097A (ko) 2024-06-10

Family

ID=9132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105A KR20240082097A (ko) 2022-12-01 2022-12-01 댐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82097A (ko)
WO (1) WO20241174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0435B2 (ja) * 1997-12-10 2006-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バー付き筒型緩衝器
KR101252165B1 (ko) * 2006-09-21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875757B1 (ko) * 2007-07-20 2008-12-26 (주)삼우교역 유압댐퍼
KR20110090157A (ko) * 2010-02-03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바도어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602270B1 (ko) * 2015-03-31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650728A1 (en) * 2018-10-12 2020-05-13 BSH Hausgeräte GmbH A damping unit and a home appliance with the damp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7481A1 (ko) 2024-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409B1 (ko) 가구가동부용 댐핑장치
EP2536986B1 (de) Haushaltsgerät
US7600295B2 (en) Arrangement for damping pivot movements
JP4319687B2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US20140150212A1 (en) Appliance lid hinge assembly
EP1598512A2 (en) Refrigerator
US20120311817A1 (en) Door closer, particularly for glass doors
KR20130041273A (ko) 가구용 댐퍼
US20130300273A1 (en) Hinge assembly for domestic appliance including spring having low-friction coating
TWI721197B (zh) 阻尼器裝置、其相關之用於保持側翼活門的設備以及應用此裝置的櫥櫃
US8833877B2 (en) Hinge assembly for domestic appliance
KR20240082097A (ko) 댐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A3027768C (en) Apparatus for minimizing closing force of a door
KR101113082B1 (ko) 도어클로져용 댐퍼
US11140984B2 (en) Furniture damper
JP5031640B2 (ja) 冷蔵庫
KR20240143502A (ko) 냉장고
EP4435359A1 (en) Refrigerator
KR20240143501A (ko) 냉장고
KR200354593Y1 (ko) 도어충격완충장치
KR20240143503A (ko) 냉장고
KR200281220Y1 (ko) 냉장고의 도어 완충구
KR20240143500A (ko) 냉장고
EP4435360A1 (en) Refrigerator
US20190085610A1 (en) Compartment damper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