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27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270B1
KR101602270B1 KR1020150045447A KR20150045447A KR101602270B1 KR 101602270 B1 KR101602270 B1 KR 101602270B1 KR 1020150045447 A KR1020150045447 A KR 1020150045447A KR 20150045447 A KR20150045447 A KR 20150045447A KR 101602270 B1 KR101602270 B1 KR 101602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ductive member
pillar
thermally conductiv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5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라에 히터를 설치하지 않고도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냉장고는, 각각 냉장고 본체의 좌우측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냉장고 본체 내부의 식품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와 제2도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닫혀 있을 때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의 틈을 막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라;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설치되고, 설치된 도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필라의 전면으로 열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필라의 전면을 덮는 제1열전도부재; 및 상기 히터를 덮도록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도어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히터로부터 공급된 열을 상기 제1열전도부재로 전달하도록 상기 히터를 덮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열전도부재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2열전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내부에 물품을 냉동/냉장 보관하기 위한 장치다.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 냉각을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의 후방영역에는 기계실이 형성되며, 이 기계실에는 냉동사이클 장치 중 압축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다.
냉장고는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냉장고를 분류하는 기준도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기준의 하나로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 위에 배치된다.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의 경우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된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의 경우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배치된다.
이 중 특히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와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필라를 구비할 수 있다. 필라는 냉장실 도어 또는 냉동실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 사이의 틈을 막아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부품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에는 하나의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냉장실 도어가 좌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필라는 두 냉장실 도어 사이의 틈을 막아 냉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그러나 도어와 필라에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온도가 이슬점 이하의 온도로 내려가게 되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도어와 필라에 이슬이 맺히게 된다. 특히 필라는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동작 구조로 인하여 충분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필라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분히 충전될 수 없고, 필라의 표면에는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한다.
도어의 내부에 히터가 설치되면, 도어 표면의 온도를 이슬점 이상으로 유지하여 도어에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와 마찬가지로 필라의 내부에도 히터가 설치되면, 필라에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필라의 내부에 히터가 설치되면, 히터를 구동하기 위해 전력이 추가로 소모된다. 또한 히터에서 발생한 열이 냉장고 내부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침투하게 되어 냉장고의 소비 전력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소비 전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냉장고에 대해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냉장고의 소비 전력을 개선하면서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냉장고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가스켓을 은폐시켜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하고, 가스켓의 주름진 부분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의 냉장고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치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가 냉장고의 수납유닛을 인출하는 동작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재 없이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냉장고는, 각각 냉장고 본체의 좌우측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냉장고 본체 내부의 식품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와 제2도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닫혀 있을 때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의 틈을 막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라;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설치되고, 설치된 도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필라의 전면으로 열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필라의 전면을 덮는 제1열전도부재; 및 상기 히터를 덮도록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도어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히터로부터 공급된 열을 상기 제1열전도부재로 전달하도록 상기 히터를 덮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열전도부재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2열전도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는,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각각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플레이트; 상기 식품 저장실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단열재의 충전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및 냉기의 누설을 억제하도록 상기 도어 라이너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 라이너와 상기 필라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상기 히터를 덮는 위치와 상기 제1열전도부재에 접촉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가스켓의 적어도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열전도부재와 마주하는 위치에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자석과 상기 제1열전도부재는 냉기의 누설을 1차적으로 억제하도록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스켓과 상기 필라를 서로 밀착시키며, 상기 제1열전도부재와 제2열전도부재는 냉기의 누설을 2차적으로 억제하도록 서로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상기 히터를 덮는 위치에서 상기 제1열전도부재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휘어지거나 절곡되어 상기 제1열전도부재와 면접촉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부분에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가스켓 사이의 공간으로 휘어지거나 절곡되는 제3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라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힌지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열전도부재를 상기 제2부분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필라를 상기 제2열전도부재에 가까워지는 회전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열전도부재는 상기 제1부분과 면접촉되도록 상기 제1열전도부재의 다른 부분보다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라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힌지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돌기부를 상기 제1부분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필라를 상기 제2열전도부재에 가까워지는 회전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필라가 설치된 도어의 열림 동작에 따라 상기 필라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필라가 설치된 도어의 측면보다 튀어나오지 않는 위치까지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열전도부재가 설치된 도어는, 상기 외부 플레이트 및 상기 도어 라이너와 함께 단열재의 충전 공간을 형성하는 접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재는 일 단부에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측면을 향하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상기 홈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단열재의 충전 공간을 실링하도록 타 단부가 상기 도어 라이너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타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열전도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접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상기 홈에 끼움 결합된 위치와 상기 제1열전도부재에 접촉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착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홈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된 부분과 상기 접착면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된 부분의 사이에서 리세스되어 상기 제2열전도부재를 마주보는 히터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 설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에 설치된 히터에서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도어뿐만 아니라 필라에도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열전도부재는 필라에 설치되고 제2열전도부재는 도어에 설치된 히터를 덮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이 제2열전도부재를 통해 제1열전도부재까지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라에 별도로 히터 없이도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달리 필라에 히터를 설치하는 구조는 히터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필요로 하고, 냉장고의 내부로 침투하는 열에 의해 냉장고의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필라에 별도의 히터가 설치되지 않는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열전도부재를 이용하여 주름진 가스켓을 시각적으로 가릴 수 있으므로 도어의 측면에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도어의 측면이 외부 플레이트와 제2열전도부재로 이루어지면, 일체감 있는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가스켓이 제2열전도부재에 가려지면 가스켓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인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켓의 내부에 배치된 자석과 필라에 설치된 제1열전도부재의 인력에 의해 냉기의 누설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서로 면접촉하는 제1열전도부재와 제2열전도부재에 의해 냉기의 누설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이중 차단막으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냉장고의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달을 위해 서로 면접촉하는 제1열전도부재와 제2열전도부재의 면접 치수를 안정성 있게 확보할 수 있다. 제2열전도부재와의 면접 치수 확보를 위해 제1열전부재에 형성되는 돌기부는 제2열전도부재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필라의 회전을 구현하는 힌지 결합부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스프링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은 돌기부를 제2열전도부재에 밀착시키므로,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면접 치수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가 냉장고의 수납유닛을 인출하는 동작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필라, 상기 필라에 설치되는 제1열전도부재 및 상기 제1열전도부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는 도어의 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는 수납유닛을 인출하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합부재에 외부 플레이트와 제2열전도부재를 결합시키므로, 치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진공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 라이너는 그 형상이 제품마다 균일하지 않으므로, 제2열전도부재가 도어 라이너에 결합된다면 치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반면 외부 플레이트와 접합부재는 각각 금형 또는 사출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균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치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어를 열었을 때의 냉장고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어를 열었을 때의 냉장고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어를 닫았을 때의 냉장고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와 도 6은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1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도 7과 도 8은 필라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2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100)를 보인 정면도다.
냉장고(100)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식품을 저온 보관하는 장치이다.
도 1에서는,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100)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냉장고의 종류가 반드시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냉동실이 냉장실 위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냉장고(100)의 전면부에는 도어(110a, 110b, 110c, 110d)가 배치된다. 도어(110a, 110b, 110c, 110d)는 냉장고(100)의 전면을 형성한다.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100)에서 냉장실 도어(110a, 110b)는 냉동실 도어(110c, 110d)의 상측에 설치되고, 냉동실 도어(110c, 110d)는 냉장실 도어(110a, 110b)의 하측에 설치된다.
냉장실 도어(110a, 110b)와 냉동실 도어(110c, 110d)는 각각 냉장고 본체(101, 도 2 참조)의 좌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좌측의 도어(110a, 110c)와 우측의 도어(110b, 110d)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냉장고 내부의 식품 저장실(냉장실은 도 2의 102를 참조, 도 2에 냉동실은 미도시)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명세서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도어(110a, 110b, 110c, 110d)란 냉장실 도어(110a, 110b)와 냉동실 도어(110c, 110d)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좌측의 도어(110a, 110c)는 제1도어로 구분되고, 우측의 도어(110b, 110d)는 제2도어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우측의 도어(110b, 110d)가 제1도어로 구분되고, 좌측의 도어(110a, 110c)가 제2도어로 구분될 수도 있다. 제1, 제2와 같은 서수는 냉장실 도어(110a, 110b)끼리 서로를 구분하고, 냉동실 도어(110c, 110d)끼리 서로를 구분하기 위해 부여되는 접두사로, 특별한 구성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냉장고(100)의 하부에는 높이 조절 나사(171, 172)가 설치될 수 있다. 높이 조절 나사는 냉장고 본체(101, 도 2 참조)로부터 인출되거나 다시 냉장고 본체(101, 도 2 참조)를 향해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냉장고(100)를 설치하는 장소가 평탄하지 않더라도, 높이 조절 나사(171, 172)를 이용하면 균형을 맞춰 냉장고(100)를 설치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110a, 110b) 중 적어도 하나(110a)의 전면에는 입출력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입출력부(160)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입력부는 냉장고(100)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인가받도록 이루어진다. 출력부는 냉장고(100)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2는 도어를 열었을 때의 냉장고(100)를 보인 정면도다.
도어(110a, 110b, 110c, 110d)는 회전에 의해 냉장고(100) 내부의 식품 저장실(냉장실은 102, 냉동실은 미도시)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식품 저장실(냉장실은 102, 냉동실은 미도시)은 도어(110a, 110b, 110c, 110d)를 열었을 때 노출되는 공간이다. 식품 저장실(냉장실은 102, 냉동실은 미도시)은 냉장실(102)과 냉동실(미도시)을 포함한다.
냉장실 도어(110a, 110b)는 냉장실(102)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냉동실 도어(110c, 110d)도 냉동실(미도시)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냉장실 도어(110a, 110b)가 열림에 따라 냉장실(102)이 노출되며, 냉동실 도어(110c, 110d)가 닫힘에 따라 냉동실(미도시)이 밀폐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어(110a, 110b, 110c, 110d)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함에 따라 냉장실(102)이나 냉동실(미도시)이 바로 노출되는 구조로 구현되지 않고, 불필요한 냉기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측의 냉장실 도어(110b)가 바깥쪽 도어(110b')와 안쪽 도어(110b")로 구분된다. 안쪽 도어(110b")는 냉장고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깥쪽 도어(110b')와 안쪽 도어(110b")는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깥쪽 도어(110b')만 열었을 때 냉장실(102)의 전체가 노출되지 않고 우측 냉장실 도어(110b)의 바스켓(183)만 노출된다. 이에 반해 안쪽 도어(110b")를 열었을 때는 냉장실(102) 전체가 노출된다. 바깥쪽 도어(110b')만 개방되면, 냉장실(102)이 안쪽 도어(110b")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냉기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불필요한 냉기의 손실을 막으면, 냉장고(!00)의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다.
냉장실(102)과 냉동실(103)에는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수납유닛(18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수납유닛(180) 중 일부는 도어(110a, 110b, 110c, 110d)에 형성될 수도 있다. 수납유닛(180)은 선반(181), 트레이(182), 바스켓(183)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선반(181)은 냉장실(102) 또는 냉동실(103)의 내부에 고정되어 식품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트레이(182)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트레이(182)를 당기면 노출되는 공간에 식품을 저장할 수 있다. 바스켓(183)은 도어(110a, 110b, 110c, 110d)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0a, 110b, 110c, 110d)는 냉장고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110a, 110b, 110c, 110d)의 회전은 힌지(미도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냉장고(100)는 도어(110a, 110b, 110c, 110d)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힌지(미도시)를 포함한다. 각 힌지들은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상부 힌지(미도시), 하부 힌지(미도시) 및 중간 힌지(미도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 본체(101)의 상면에 상부 힌지 커버(115, 116)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힌지 커버(115, 116)의 내부에는 상부 힌지(미도시)가 구비된다.
도어(110a, 110b, 110c, 110d)는 외부 플레이트(111), 도어 라이너(112) 및 가스켓(113)을 포함한다. 도어(110a, 110b, 110c, 110d)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냉장고(100)의 도어(110a, 110b, 110c, 110d)는 회전 가능한 회전형,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서랍형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회전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라(120)의 회전은 도어(110a)의 개폐 동작에 의해 구현되기 때문이다.
필라(120)는 도어(110a)의 일측에 설치된다. 도어(110a)의 일측이란 좌우측의 두 도어(110a, 110b)가 닫혀 있을 때 다른 도어(110b)를 마주보는 부분을 가리킨다. 도 2에는 좌우측의 냉장실 도어(110a, 110b)가 모두 열려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만일 좌우측의 냉장실 도어(110a, 110b)가 모두 닫혀 있는 상태를 가정한다면, 좌측 냉장실 도어(110a)에 설치된 필라(120)는 우측 냉장실 도어(110b)를 마주보게 될 것이다. 따라서 좌우측 냉장실 도어(110a, 110b)가 닫혀있을 때 필라(120)는 좌측 냉장실 도어(110a)와 우측 냉장실 도어(110b)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식품 저장실(냉장실은 102, 냉동실은 미도시)에 식품을 보관하고 저장된 식품을 꺼내는 과정에서 도어(110a, 110b, 110c, 110d)는 열림 동작과 닫힘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좌측 냉장실 도어(110a)와 우측 냉장실 도어(110b)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거나 좌측 냉동실 도어(110c)와 우측 냉동실 도어(110d)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면, 반복적인 열림 또는 닫힘 동작에 의해 도어(110a, 110b, 110c, 110d)의 파손 우려가 있다.
반복적인 열림 또는 닫힌 동작으로부터 도어(110a, 110b, 110c, 110d)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좌측 도어(110a, 110c)와 우측 도어(110b, 110d)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러므로 좌측 도어(110a, 110c)와 우측 도어(110b, 110d)가 닫혀 있을 때, 상기 좌측 도어(110a, 110c)와 우측 도어(110b, 110d)의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틈이 존재한다. 도 2에서는 닫혀 있는 두 냉동실 도어(110c, 110d)의 사이에 틈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두 냉장실 도어(110a, 110b) 사이에도 틈이 존재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필라(120)는 도어(110a)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 틈을 막도록 이루어진다. 도 2에서 필라(120)가 두 도어(110a, 110b) 사이의 틈을 막는 구성은 명확하게 확인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필라(120)의 보다 자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필라(120)가 도어(110a)에 설치되는 구성이 아니라, 냉장고 본체(101)에 설치되는 구성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냉장고 본체(101)에 설치되는 필라(120)는 식품 저장실(냉장실은 102, 냉동실은 미도시)의 전면부에 고정되며, 식품 저장실을 세로 방향으로 횡단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필라(120)가 냉장고 본체(101)에 설치되는 구조는 사용자가 식품 저장실에 식품을 넣거나 꺼내는 동작과 간섭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120)가 도어(110a)의 일측에 설치되면, 도어(110a)를 열었을 때 필라(120)가 식품 저장실(냉장실은 102, 냉동실은 미도시)을 가리지 않는다. 따라서 필라(120)가 도어(110a)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조는 사용자가 식품 저장실에 식품을 넣거나 꺼내는 동작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필라(120)는 좌우측 도어(110a, 110b) 사이의 틈을 막아 냉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그리고 필라(120)의 내부에는 단열재(미도시)로 채워져 단열 기능을 한다. 그런데 필라(120)에는 단열재가 충분히 충전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도어(110a)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필라(120)의 동작 구조와, 필라(120)의 제한적인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필라(120)의 동작 구조와 크기 제한으로 인하여 필라(120)의 표면은 이슬점 이하의 온도로 내려가게 되고, 필라(120)의 표면에는 이슬이 맺히게 된다.
본 발명은 필라(1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110a, 110b, 110c, 110d)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미도시)에서 발생된 열을 필라(120)까지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다. 열전달은 제2열전달부재(1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2열전달부재(140)에 대하여는 상기 제2열전달부재(140)가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도면을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어(110a)를 열었을 때의 냉장고(110)를 보인 부분 사시도다.
도어(110a)의 회전은 힌지(115a)에 의해 구현된다는 것을 앞서 설명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 본체(101)의 상면에 상부 힌지 커버(115)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힌지 커버(115)의 어느 일부는 냉장고 본체(101)의 상면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도어(110a)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어 도어(110a)와 결합된다.
도어(110a)는 외부 플레이트(111), 도어 라이너(112), 가스켓(113)을 포함한다.
외부 플레이트(111)는 도어(110a)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어(110a)의 외관이란 도어(110a)의 전면, 상면, 하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냉장고(100)의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외부 플레이트(111)는 금형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외부 플레이트(111)가 금형으로부터 제작되면, 제작된 각각의 외부 플레이트마다 비교적 균일한 치수를 갖게 된다. 이에 반해 후술할 도어 라이너(112)는 진공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진공 성형에 의해 제작된 각각의 도어 라이너(112)들은 상대적으로 균일한 치수를 갖지 못한다. 외부 플레이트(111)와 도어 라이너(112)의 치수는 제2열전도부재(140)의 치수 안정성과 관련된다. 치수 안정성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어 라이너(112)는 외부 플레이트(111)와 결합되어 상기 외부 플레이트(111)와 함께 단열재의 충전 공간을 형성한다. 도어(110a)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도어 라이너(112)는 식품 저장실(냉장실은 102, 냉동실은 미도시)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110a)가 닫혀 있을 때 도어 라이너(112)는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도어(110a)가 열려야만 도어 라이너(112)가 노출된다.
도어 라이너(112)는 바스켓(183)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0a)의 바스켓(183)은 도어 라이너(112)와 내벽(183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내벽(183a)이란 바스켓을 형성하기 위해 도어 라이너(112)에 결합되는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내벽(183a)은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벽(183a)은 바스켓(183)으로부터 식품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스켓(113)은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도어 라이너(1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가스켓(113)은 외력에 의해 압축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어(110a)가 닫혔을 때 가스켓(113)은 식품 저장실(냉장실은 102, 냉동실은 미도시)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냉장고 본체(101)와 도어(110a)에 의해 가압된다. 도어(110a)가 닫혔을 때 가스켓(113)은 냉장고 본체(101)와 도어(110a)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며, 가스켓(113)은 냉장고 본체(101)와 도어(110a)의 틈 사이로 냉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필라(120)는 도어(110a)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필라는 도어 라이너(11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라이너(112)에 결합된 필라(120)는 도어(110a)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된다. 도어(110a)의 개폐 동작에 따라 필라(120)가 회전하는 것은 필라(120) 상단의 돌출부(127)와 냉장고 본체(101)에 설치된 수용부(105)에 의해 구현된다.
도어(110a)가 닫히는 과정에서 돌출부(127)는 수용부(105)로 삽입되고, 수용부(105)의 곡면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돌출부(127)와 수용부(105)의 형상은 도 3보다 도 4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므로,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돌출부(127)는 수용부(105)에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105)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127)와 수용부(105)의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하여 돌출부(127)가 수용부(105)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돌출부(127)는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돌출부(127)의 회전에 따라 필라(120)도 회전하게 된다. 도어(110a)가 닫히는 과정에서 필라(120)는 도어(110a)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대로 도어(110a)가 열리는 과정에서 돌출부(127)는 수용부(105)로부터 인출되고, 수용부(105)로 삽입되는 경로의 반대로 이동하게 된다. 돌출부(127)가 수용부(105)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돌출부(127)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돌출부(127)의 회전에 따라 필라(120)도 회전하게 된다. 도어(110a)가 열리는 과정에서 필라(120)는 도어(110a)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필라(120)의 전면에는 제1열전도부재(121)가 상기 필라(120)의 전면을 설치된다. 제1열전도부재(121)는 제2열전도부재(140)를 통해 전달된 열을 필라(120)의 전면으로 확산시켜 상기 필라(1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열전도부재(121)는 실질적으로 필라(120)와 동일하게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필라(120)의 전면을 대부분 덮도록 이루어진다.
제1열전도부재(121)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2열전도부재(140)가 배치된다. 제2열전도부재(140)는 도어(110a)의 측면에 결합된다. 제2열전도부재(140)가 도어(110a)에 설치되는 구조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2열전도부재(140)는 제1열전도부재(121)와 나란하게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2열전도부재(140)는 제1열전도부재(121)로 열을 전달하도록 제1열전도부재(121)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제2열전도부재(140)가 연장되는 구조로 인해 가스켓(113)의 적어도 일부가 제2열전도부재(140)로 가려진다. 제2열전도부재(140)가 가스켓(113)을 가림에 따라 가스켓(113)의 주름진 구조가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도어(110a)의 측면에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열전도부재(140)가 가스켓(113)을 가림에 따라 가스켓(113)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어(110a)의 내부에는 히터(130)가 설치된다. 제2열전도부재(140)는 히터(130)를 덮도록 도어(110a)의 측면에 결합된다. 제2열전도부재(140)가 제1열전도부재(140)와 접촉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므로, 히터(130)에서 제2열전도부재(140)로 전달된 열은 제2열전도부재(140)를 통해 제1열전도부재(121)까지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열은 제1열전도부재(121)를 통해 필라의 전면(120)으로 확산되고, 필라(120)의 온도는 이슬점 이상의 온도로 유지된다. 제2열전도부재(140)가 제1열전도부재(121)까지 열을 전달하는 구조는, 별도의 히터가 설치되지 않는 필라(120)의 전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110a)가 열림에 따라 필라(120)가 도어(110a)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필라(120)의 후면이 도어 라이너(112)를 마주보게 된다. 필라(120)의 후면이 도어 라이너(112)를 마주보는 상태에서 제1열전도부재(121)는 제2열전도부재(140)로부터 이격된다.
반대로 도어(110a)가 닫힘에 따라 필라(120)가 도어(110a)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필라(120)의 좌측면이 도어 라이너(112)를 마주보게 될 것이다. 만일 도 3과 달리 필라(120)가 우측 도어(110b, 도 2 참조)에 결합된다면, 필라(120)의 우측면이 우측 도어(110b, 도 2 참조)의 도어 라이너(112)를 마주보는 상태가 될 것이다.
도어(110a)가 닫힌 상태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어(110a)를 닫았을 때의 냉장고(100)를 보인 부분 사시도다.
필라(110a)는 힌지 결합부(122)에 의해 도어 라이너(112, 도 3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110a)가 닫힘에 따라 필라(120)의 좌측면은 도어 라이너(112, 도 3 참조)를 향하게 된다. 도 4에는 도어 라이너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필라(120)의 위치와 도 3에 도시된 도어 라이너(112)를 참조하면, 도어(110a)가 닫힌 상태에서 필라(120)의 좌측면은 도어 라이너(112)를 향한다고 유추할 수 있다. 도어(110a)가 닫힌 상태에서 필라(120)의 좌측면이 도어 라이너(112)를 향하는 구조는 도 5에서 더욱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필라(120) 상단의 돌출부(127)를 살펴보면, 돌출부(127)의 우측은 둥글게 형성되어 수용부(105)의 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돌출부(127)의 좌측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수용부(105)로부터 인출되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돌출부의 우측과 좌측은 냉장고의 전면에서 냉장고를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였다.
냉장고 본체(101)에 설치된 수용부(105)는 돌출부(127)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수용부(105)에는 돌출부(127)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된다.
도어(110a)가 닫히는 과정에서 돌출부(127)는 수용부(105)에 삽입되어 수용부(105)의 곡면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수용부(105)의 입구가 좌측으로 편심되어 있고 필라(120)는 좌측 도어(110a)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어(110a)가 닫히면서 돌출부(127)는 자연스럽게 수용부(105)의 입구로 삽입된다. 돌출부(127)는 수용부(105)의 곡면에 의해 이동에 저항을 받게 되고, 수용부(105)의 곡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필라(120)는 회전한다. 필라(120)의 회전 방향은 제2열전달부재(140)에 가까워지는 방향이고, 필라(120)의 회전에 의해 제1열전달부재(121)는 제2열전달부재(140)에 접촉된다. 따라서 도어(110a)가 닫히면 제1열전달부재(121)와 제2열전달부재(140)는 자연스럽게 서로 열전달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수용부(105)의 입구는 좌측으로 편심되어 있으므로, 도어(110a)가 열리는 과정 동안 돌출부(127)의 좌측은 수용부(105)로부터 인출될 수 있음에 반해 돌출부(127)의 우측은 이동에 저항을 받게 된다. 이 저항에 의해 돌출부(127)의 우측에는 외력이 가해지고, 필라(120)는 도어(110a)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어(110a)가 열렸을 때 필라(120)는 도 3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도 4에서는 도면이 복잡해지지 않도록 우측 도어(110b, 도 3 참조)를 도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도 3과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좌우측 도어(110a, 110b)가 닫힌 상태에서 필라(120)의 전면은 좌측 도어(110a)와 우측 도어(110b) 사이의 틈을 향하도록 배치됨을 유추할 수 있다. 필라(120)의 전면에는 제1열전도부재(12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열전도부재(121)도 좌측 도어(110a)와 우측 도어(110b) 사이의 틈을 바라보게 된다.
제2열전도부재(140)는 도어(110a)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어(110a)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2열전도부재(140)는 제1열전도부재(121)를 향해 연장되어 제1열전도부재(121)와 접촉된다. 상기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는 면접촉될 수 있다.
도어(110a, 110b)의 반복적인 열림 또는 닫힘 동작에 따라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는 반복적으로 이격 또는 접촉된다. 반복적인 이격 또는 접촉 과정에서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에는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의 접촉 면적이 넓을수록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데, 제1열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면접촉되므로, 상기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킬 수 있다.
아울러 가스켓(113)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이므로, 댐퍼로서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의 넓은 접촉 면적과 가스켓(113)은 상기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의 파손을 완화할 수 있다.
도어(110a)의 측면에는 히터(130)가 설치되어 있고, 제2열전도부재(140)는 상기 히터(130)를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2열전도부재(140)는 히터(130)로부터 직접 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히터(130)에서 발생한 열은 도어(110a)의 측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제2열전도부재(140)를 통해 제1열전도부재(121)까지 전달되어 필라(120)에 이슬이 맺히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도 5와 도 6은 필라(1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1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다.
도 5와 도 6은 도어(110a, 110b)를 횡 방향으로 자르고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는 도어(110a, 110b)가 닫혀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어(110a)가 열려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도 6을 비교하면, 도어(110a)가 열림에 따라 필라(120)가 회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외부 플레이트(111)는 도어(110a, 110b)의 전면과 측면을 형성하고, 도어 라이너(112)는 외부 플레이트(111)와 결합된다. 그리고 도어(110a, 110b)는 제2열전도부재(140)의 설치를 위한 접합부재(150)를 포함한다.
접합부재(150)의 일 단부는 외부 플레이트(111)와 결합되고, 접합부재(150)의 타 단부는 도어 라이너(112)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접합부재(150)는 외부 플레이트(111) 및 도어 라이너(112)와 함께 단열재(114)의 충전 공간을 형성한다. 도면에서 작은 십자가 형태로 표시된 것은 단열재(114)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열재(114)는 외부 플레이트(111), 도어 라이너(112) 및 접합부재(15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는 공간에 단열재(114)의 원료를 투입 및 발포하여 형성된다.
접합부재(150)는 단일 부품이나 설명을 위해 임의적으로 홈(151), 접착면(152), 히터 설치 공간(153)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홈(151)은 도어(110a)의 측면을 향해 개구된다. 접합부재(150)의 일단(150a)이 도어(110a)의 측면을 향해 절곡되고, 홈(151)과 히터 설치 공간(153)의 사이에서 접착부재(150)의 일부(150b)가 돌출되면 접합부재(150)의 일 단부에 홈(151)이 형성된다.
외부 플레이트(111)와 제2열전도부재(152)는 홈(151)에 끼움 결합된다. 외부 플레이트(111)의 일단과 제2열전도부재(150)의 일단은 도어(110a)의 내부를 향해 절곡되며, 접합부재(150)의 홈(151)에 삽입되어 상기 접합부재(150)와 결합된다.
접합부재(150)는 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사출에 의해 제조된 각각의 접합부재(150)는 비교적 균일한 치수를 갖는다. 앞서 외부 플레이트(111)도 금형으로부터 형성되므로 비교적 균일한 치수를 갖는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와 달리 도어 라이너(112)는 진공 성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접합부재(150)나 외부 플레이트(111)에 비해 균일한 치수를 갖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 제2열전도부재(140)는 외부 플레이트(111)와 함께 접합부재(150)의 홈(151)에 끼움 결합되어 도어(110a)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을 도어 라이너(112)에 제2열전도부재(140)가 결합되는 비교예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구성은 비교예의 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외부 플레이트(111)와 접합부재(150)는 도어 라이너(112)보다 균일한 치수를 갖기 때문이다. 치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은, 대량 생산되는 냉장고(100)들 중 일부 제품에서 치수의 불균형 현상이 발생할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합부재(150)의 타 단부와 인접합 위치에는 접착면(152)이 형성된다. 접합부재(150)의 일부가 절곡 및 연장되어 접착면(152)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접착면(152)을 형성하기 위해 접합부재(150)는 타 단부에서 도어(110a)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고, 홈(151) 또는 히터 설치 공간(153)에 가까워지는 방향[필라(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및 연장되며, 다시 도어(110a)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 및 연장된다. 이렇게 절곡 및 연장되는 구조에 의해 접합부재(150)의 일부는 도어(110a)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접착면(152)을 형성하게 된다.
접착면(152)은 제2열전도부재(140)와 접착된다. 접착면(152)과 제2열전도부재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제(190)가 배치되어 상기 접합부재(150)의 접착면(152)과 제2열전도부재(14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제2열전도부재(140)는 홈(151)에 삽입되고, 접착면(152)과 접착된다. 따라서 제2열전도부재(140)는 스크류 등 제3의 체결 매개물 없이 도어(110a)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3의 체결 매개물 없이 제2열전도부재(140)를 도어(110a)에 고정시키는 구조는 디자인적으로 일체감 있는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제3의 체결 매개물을 포함하는 구성을 반드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홈(151)과 접착면(152) 사이에는 히터 설치 공간(153)이 형성된다. 히터 설치 공간(153)은 접합부재(150)의 일부가 도어(110a)의 내부를 향해 리세스 되어 형성된다. 히터(130)는 도어(110a)의 측면에 설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히터(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설치 공간(153)에 설치된다.
히터(130)의 설치 목적은 본래 도어(110a)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일 히터(130)가 없다면 도어(110a) 측면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져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고 도어(110a)의 측면에 이슬이 맺힐 수 있다.
히터(130)에서 발생한 열은 제2열전도부재(140)와 외부 플레이트(111)로 전달된다. 제2열전도부재(140)와 외부 플레이트(111)는 열전도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제2열전도부재(140)와 외부 플레이트(111)는 도어(110a)의 측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2열전도부재(140)와 외부 플레이트(111)로 전달된 열은 도어(110a)의 측면으로 확산될 수 있다. 열확산에 의해 도어(110a) 측면의 온도는 이슬점 이상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며, 도어(110a)의 측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필라(120)의 내부에는 단열재(124)가 충전된다. 그러나 필라(120)의 내부 공간은 단열재(124)가 충분히 채워질 수 있을 정도로 크지 않기 때문에, 필라(120)의 전면에는 이슬이 맺힐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도어(110a)의 측면에 설치된 히터(130)를 이용하여 도어(110a)의 측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필라(120)의 전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열전도부재(140)는 히터(130)를 덮도록 히터(130)가 설치되는 도어(110a)의 측면에 결합된다. 제2열전도부재(140)가 히터(130)로부터 열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2열전도부재(140)와 히터(130)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열전도부재는 히터(130)로부터 직접 열을 공급받거나, 접합부재(150)를 통해 히터(130)의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열전도부재(140)는 히터에서 공급된 열을 제1열전도부재(121)로 전달하도록 히터(130)로부터 제1열전도부재(121)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제2열전도부재(140)와 제1열전도부재(121)는 모두 열전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히터(130)에서 공급된 열은 제2열전도부재(140)를 통해 제1열전도부재(121)까지 전달된다.
제1열전도부재(121)는 필라(120)와 나란하게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제1열전도부재(121)로 전달된 열은 필라(120)의 전면으로 확산될 수 있다. 필라(120)의 전면으로 확산된 열에 의해 필라(120)의 전면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열전도부재(140)를 포함하므로, 도어(110a)의 측면에 설치된 히터(130)의 열을 이용하여 도어(110a)의 측면뿐만 아니라 필라(120)의 전면에도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는 도어(110a)의 측면과 필라(120)의 내부에 각각 히터를 설치하는 비교 구조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먼저 히터(130)의 수가 적다는 것은 그만큼 히터(13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은 냉장고(100, 도 2 참조)의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히터(130)의 위치가 필라(120)로부터 이격된다는 것은 식품 저장실(102, 도 2 참조)로 침투되는 열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은 냉장고(100, 도 2 참조)의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다.
가스켓(113)은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가스켓(113)의 어느 일부(113a)는 도어 라이너(112)의 홈(112a)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가스켓(113)은 도어 라이너(112)에 결합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113)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 라이너(112)와 필라(120) 사이에 배치된다. 가스켓(113)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도어(110a)가 닫혔을 때 도어 라이너(112)와 필라(120)에 의해 양쪽에서 가압된다. 이에 따라 가스켓(113)은 도어 라이너(112)와 필라(120)에 밀착되고 식품 저장실(102, 도 2 참조)과 도어(110a, 110b) 사이를 실링하여 냉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가스켓(113)의 내부에는 제1열전도부재(121)와 마주하는 위치에 자석(113b)이 배치된다. 제1열전도부재(121)가,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전도성뿐만 아니라 자성을 갖는다. 자석(113b)과 제1열전도부재(121)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인력을 발생시켜 가스켓(113)과 필라(120)를 서로 밀착시킨다. 가스켓(113)과 필라(120)가 밀착되는 구조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1열전도부재(121)의 재질을 반드시 금속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자석(113b)과 제1열전도부재(121)가 냉기의 누설을 1차적으로 방지한다면,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는 냉기의 누설을 2차적으로 방지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는 서로 면접촉되므로 식품 저장실(102, 도 2 참조)과 도어(110a, 110b) 사이를 추가로 실링하여 냉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단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가 냉기의 누설을 2차적으로 방지하는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제2열전도부재(140)의 구조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제2열전도부재(140)는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나 임의로 제1부분(141)과 제2부분(142)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 내지 제3부분(141, 142, 143)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제2열전도부재(140)를 제1 내지 제3부분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부분(141)은 접합부재(150)의 홈(151)에 삽입된 일단에서 절곡되어 도어(110a)의 측면을 따라 제1열전도부재(121)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제1부분(141)은 외부 플레이트(111)와 함께 도어의 측면을 형성한다.
제2부분(142)은 제1부분(141)으로부터 휘어지거나 절곡되어 제1열전도부재(121)와 면접촉을 유지하면서 연장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제2부분(142)이 제1열전도부재(121)와의 면접촉을 유지한다는 것은 도 5와 같이 도어(110a)가 닫힌 상태에 한정되는 설명이다. 도 6과 같이 도어(110a)가 열린 상태에서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는 서로 이격된다. 히터(130)에서 발생한 열은 제2열전도부재(140)의 제1부분(141)과 제2부분(142)을 통해 제1열전도부재에 전달된다.
제3부분은(143)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2부분(142)에서 제1부분(141)과 가스켓(113) 사이의 공간으로 휘어지거나 절곡된다. 제2열전도부재(140)에서 접합부재(150)의 홈(151)에 끼움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제2열전도부재(140)의 일단이라면, 제3부분(143)은 제2열전도부재(140)의 타단이 된다. 제2열전도부재(140)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식품 저장실(102, 도 2 참조)에 식품을 보관하거나 꺼내는 동작과 간섭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사용자가 다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3부분(14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 간섭 또는 사용자가 다칠 우려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필라(120)의 힌지 결합부(122)는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의 면접촉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힌지 결합부(122)에 의해 필라(120)는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힌지 결하부(122)는 스프링(122a)을 구비하여 필라(120)의 회전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스프링(120)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필라(120)는 둔각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5를 참조하면 필라(120)의 회전 궤적은 도어 라이너(112)와 가스켓113)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도어(110b)가 닫혔을 때 필라(120)는 제2열전도부재(140)에 밀착되고, 도 6과 같이 도어(110a)가 열렸을 때 필라(120)는 도어 라이너(112)에 밀착된다.
스프링(122a)에 의해 필라(120)가 제2열전도부재(140)에 밀착됨에 따라 제1열전도부재(121)와 제2열전도부재(140)도 서로 밀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열전도부재(140)의 제2부분(142)이 제1열전도부재(121)에 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열전도부재(140)는 제1열전도부재(121)에 열을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냉기의 차단막을 형성하여 냉기의 누설도 방지할 수 있으며,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은 냉장고(100, 도 2 참조)의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110a)를 개방함에 따라 필라(120)가 도어(110a)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필라(1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는 식품 저장실(102, 도 2 참조)의 수납유닛(180, 도 2 참조)을 인출하는 동작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수납유닛(180, 도 2 참조) 중 특히 인출하는 동작을 필요로 하는 것은 트레이(182, 도 2 참조)를 의미한다. 트레이(182, 도 2 참조)를 인출하게 되면 그 안에 저장된 식품이 노출되고, 사용자는 노출된 식품을 트레이(182)로부터 꺼내게 된다. 그러나 이 동작이 필라(1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된다면 사용자의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도어(110a)가 열림에 따라 필라(120)가 회전되었을 때 제1열전도부재(121)는 도어의 측면보다 튀어나오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도어(110a)의 측면보다 튀어나오지 않는다는 것의 기준은 도어(110a)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선이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열전도부재(121)는 도어(110a)의 측면보다 튀어나오지 않는다. 제2열전도부재(140)도 도어(110a)의 측면보다 튀어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필라(1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는 트레이(182)를 인출하는 동작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 7과 도 8은 필라(2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2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다.
제1열전도부재(221)는 면접 치수의 확보를 위해 다른 부분보다 돌출된 돌기부(221a)를 구비한다. 돌기부(221a)는 필라(22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열전도부재(240)의 제1부분(241)과 면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단열재(214)의 발포로 인하여 도어(210a, 210b)에 미세한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열전도부재(221)와 제2열전도부재(240)의 면접 치수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돌기부(221a)에 의해 제1열전도부재(221)는 제2열전도부재(240)의 제2부분(242)뿐만 아니라 제1부분(241)과도 면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설령 도어(210a, 210b)에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돌기부(221a)는 제1열전도부재(221)와 제2열전도부재(240)의 면접촉에 오차가 발생할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특히 힌지 결합부(222)의 스프링(222a)은 필라의 둔각 회전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이 탄성력에 의해 제1열전부재(221)는 제2열전도부재(240)에 밀착될 수 있다. 돌기부(221a)는 이 탄성력에 의해 제2열전부재(240)의 제1부분(241)에 밀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도 필라(2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는 식품 저장실(102, 도 2 참조)의 트레이(182, 도 2 참조)를 인출하는 동작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어(210a)가 열림에 따라 필라(220)가 회전되었을 때 돌기부(221a)는 도어(210a)의 측면보다 튀어나오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필라(2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는 트레이(182, 도 2 참조)를 인출하는 동작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냉장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각각 냉장고 본체의 좌우측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냉장고 본체 내부의 식품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와 제2도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닫혀 있을 때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의 틈을 막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라;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설치되고, 설치된 도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필라의 전면으로 열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필라의 전면을 덮는 제1열전도부재; 및
    상기 히터를 덮도록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도어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히터로부터 공급된 열을 상기 제1열전도부재로 전달하도록 상기 히터를 덮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열전도부재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2열전도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는,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각각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플레이트;
    상기 식품 저장실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단열재의 충전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및
    냉기의 누설을 억제하도록 상기 도어 라이너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 라이너와 상기 필라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상기 히터를 덮는 위치와 상기 제1열전도부재에 접촉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가스켓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열전도부재와 마주하는 위치에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자석과 상기 제1열전도부재는 냉기의 누설을 1차적으로 억제하도록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가스켓과 상기 필라를 서로 밀착시키며,
    상기 제1열전도부재와 제2열전도부재는 냉기의 누설을 2차적으로 억제하도록 서로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상기 히터를 덮는 위치에서 상기 제1열전도부재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휘어지거나 절곡되어 상기 제1열전도부재와 면접촉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부분에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가스켓 사이의 공간으로 휘어지거나 절곡되는 제3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힌지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열전도부재를 상기 제2부분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필라를 상기 제2열전도부재에 가까워지는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전도부재는 상기 제1부분과 면접촉되도록 상기 제1열전도부재의 다른 부분보다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힌지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돌기부를 상기 제1부분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필라를 상기 제2열전도부재에 가까워지는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가 설치된 도어의 열림 동작에 따라 상기 필라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필라가 설치된 도어의 측면보다 튀어나오지 않는 위치까지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전도부재가 설치된 도어는, 상기 외부 플레이트 및 상기 도어 라이너와 함께 단열재의 충전 공간을 형성하는 접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재는 일 단부에 상기 제1도어 또는 제2도어의 측면을 향하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상기 홈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단열재의 충전 공간을 실링하도록 타 단부가 상기 도어 라이너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타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열전도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접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상기 홈에 끼움 결합된 위치와 상기 제1열전도부재에 접촉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착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홈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된 부분과 상기 접착면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된 부분의 사이에서 리세스되어 상기 제2열전도부재를 마주보는 히터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045447A 2015-03-31 2015-03-31 냉장고 KR101602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447A KR101602270B1 (ko) 2015-03-31 2015-03-3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447A KR101602270B1 (ko) 2015-03-31 2015-03-31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270B1 true KR101602270B1 (ko) 2016-03-10

Family

ID=5553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447A KR101602270B1 (ko) 2015-03-31 2015-03-3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2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1992A (zh) * 2017-07-26 2017-12-1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翻转梁及冰箱
WO2023083002A1 (zh) * 2021-11-15 2023-05-1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冷藏冷冻装置门体的密封梁和冷藏冷冻装置
WO2024117481A1 (ko) * 2022-12-01 2024-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댐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7787A (ko) * 2013-01-30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7787A (ko) * 2013-01-30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1992A (zh) * 2017-07-26 2017-12-1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翻转梁及冰箱
WO2023083002A1 (zh) * 2021-11-15 2023-05-1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冷藏冷冻装置门体的密封梁和冷藏冷冻装置
WO2024117481A1 (ko) * 2022-12-01 2024-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댐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5604B2 (en) Refrigerator
CN108278831B (zh) 冰箱
US9322474B2 (en) Refrigerator
KR101998566B1 (ko) 냉장고
US9080808B2 (en) Refrigerator
KR20140060431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JP5753379B2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US9709316B2 (en) Spring loaded mullion for french door refrigerator
KR20140060429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AU2016317723A1 (en) Refrigerator
KR20140060145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US11866980B2 (en) Refrigerator
KR101602270B1 (ko) 냉장고
US7967403B2 (en) Home bar for refrigerato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EP3008409B1 (en) Refrigerator
JP5948601B2 (ja) 冷蔵庫
JP3679625B2 (ja) 冷却貯蔵庫
JP6292990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