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136B1 -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136B1
KR101985136B1 KR1020180029128A KR20180029128A KR101985136B1 KR 101985136 B1 KR101985136 B1 KR 101985136B1 KR 1020180029128 A KR1020180029128 A KR 1020180029128A KR 20180029128 A KR20180029128 A KR 20180029128A KR 101985136 B1 KR101985136 B1 KR 101985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guide
main body
window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Priority to KR1020180029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8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s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sliding bars, ro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열과 랙을 이용하여 창호 짝을 여닫는 거리에 비례하여 가이드 블록이 짧은 거리만큼 움직이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크기를 줄이면서도 완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창호를 여닫을 때 움직이는 이동랙의 거리보다 실질적으로 완충 작용을 하는 가이드 블록이 이 이동랙의 거리의 약 1/3 정도 움직이도록 구성하므로, 가이드 블록이 움직인 거리에 알맞은 댐퍼를 장착하여 완충 작용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완충 작용을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중문에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자주 여닫는 슬라이딩 타입의 중문을 쉽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DAMPER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랙과 이동랙 사이에 기어열을 갖춘 가이드 블록을 장착하고, 창호 짝을 여닫음에 따라 이 기어열의 기어비로 가이드 블록의 움직이는 속도를 감속하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므로, 창호 짝을 여닫는 거리가 길더라도 안전하면서도 쉽고 신속하게 창호를 여닫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방식으로 창호를 여닫는 슬라이딩 창호는 창호 짝을 여닫을 때 창호 짝이 창호 틀에 급격하게 닫히면서 창호 짝이나 창호 틀이 부서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은 댐퍼를 장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607555호
미닫이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열림(개방) 종료 직전 또는 닫힘(폐쇄) 종료 직전에 미닫이 도어의 속도를 적절하게 감속시켜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소정 거리만큼 미닫이 도어를 열거나 닫기만 하면 자동으로 미닫이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완료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수용되어 미닫이 도어의 링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링커와, 상기 링커의 횡이동을 강제하는 태엽 스프링 및 상기 태엽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링커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수단을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의 댐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미닫이 도어의 댐퍼 시스템은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미닫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속도를 완화시키는 미닫이 도어의 댐퍼 시스템에 있어서, 레일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상면이 개구된 수용부를 갖고,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일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로 구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한 브래킷;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브래킷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미닫이 도어의 링크가 걸리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걸림턱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미닫이 도어의 개폐 시 수용부를 따라 횡이동을 하도록 설치된 제1 링커; 상기 제1 링커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제1 링커와 함께 수용부를 따라 횡이동을 하는 제2 링커; 상기 브래킷의 타측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제2 링커에 연결되어 상기 브래킷의 타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태엽 스프링; 및 상기 태엽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제1, 제2 링커의 횡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765131호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감속장치는 직육면체형태로 반분(半分)되는 분할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도어의 전진과 후진 동작으로 발생한 에너지를 흡수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푸시풀로드의 선단에서 슬라이드 연동 도어의 전후진 동작시 트리거를 홀딩하여 연동을 유도하는 트리거 홀더, 상기 하우징의 전후측에서 구동롤러의 구동축을 지지하는 롤러가이더, 상기 트리거 홀더에 홀딩되어져 도어의 전후진 동작과 연동 가능하게 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연동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서 상기 감속장치가 설치된 댐퍼도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댐퍼도어, 콘트롤 도어 들이 슬라이딩 동작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레일 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콘트롤도어 그리고 이들 도어의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레일 그리고 이들에 의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0298호
미닫이 도어용 댐퍼 및 걸쇠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구에 구비된 미닫이 도어의 상부에 그 일단이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과, 상기 상부 브래킷의 타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롤러;와,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의 슬라이드 이동을 유도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레일이 형성된 레일 프레임;과, 상기 상부 브래킷에 결합되고, 상기 가구에 대해 접촉하여 탄력적으로 진퇴하는 로드를 구비하는 댐퍼;와, 상기 상부 브래킷 또는 상기 댐퍼에 돌출되게 구비된 작동볼트;와, 상기 미닫이 도어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작동볼트가 삽입 또는 이탈되는 홈이 구비되고, 탄성수단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가구에 대해 고정된 회동 걸쇠; 및 상기 작동볼트가 상기 회동 걸쇠의 홈에서 이탈하였을 때, 상기 회동 걸쇠가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되돌아가지 않도록 그 위치를 유지하는 스토퍼 수단;을 포함한다.
하지만, 기존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스프링을 이용하거나 에어나 오일을 이용한 댐퍼를 이용하여 완충 효과를 얻고 있다.
(2) 이에, 스프링 길이나 에어 또는 오일을 이용한 댐퍼의 완충 작동 길이에 한계가 있다.
(3) 즉, 창호의 크기나 중량에 따라 스프링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댐퍼의 완충 동작 길이도 늘어나야 한다. 이는, 창호용 댐퍼의 전체 크기가 커져야 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완충 작용을 얻으려면 완충 용량이 큰 스프링이나 댐퍼를 사용해야 한다.
(4) 이에, 한정된 크기와 길이를 가진 창호에 기존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장착하는 데 충분한 장착 공간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장착 공간의 확보는 기존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의 설계에도 어려움을 갖게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607555호 (등록일 : 2016.03.24) 한국등록특허 제1765131호 (등록일 : 2017.07.3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0298호 (공개일 : 2017.10.3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기어열과 랙을 이용하여 창호 짝을 여닫는 거리에 비례하여 가이드 블록이 짧은 거리만큼 움직이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크기를 줄이면서도 완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창호를 여닫을 때 움직이는 이동랙의 거리보다 실질적으로 완충 작용을 하는 가이드 블록이 이 이동랙의 거리의 약 1/3 정도 움직이도록 구성하므로, 가이드 블록이 움직인 거리에 알맞은 댐퍼를 장착하여 완충 작용을 할 수 있게 한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완충 작용을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중문에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자주 여닫는 슬라이딩 타입의 중문을 쉽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는,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100")가 서로 마주보며 결합하여 창호 틀(S)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한 제1 및 제2귀환 가이드(110, 120), 그리고 상기 제1귀환 가이드(110)와 나란하게 형성한 제3귀환 가이드(130)를 갖춘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며, 내부에는 다른 기어비를 가지며 서로 맞물려서 회전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및 제2 기어(211, 212)를 갖춘 기어열(210), 그리고 상기 제1귀환 가이드(110)를 통해 본체(100)와 나란하게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제1귀환 가이드(110)와 연결한 제3귀환 가이드(130)의 안내를 받아 회전할 수 있게 가이드 돌기(221)를 가진 제1걸림 회전체(220)를 갖춘 가이드 블록(200); 한쪽을 각각 본체(100)에 고정하고, 다른 한쪽을 각각 가이드 블록(200)에 고정한 댐퍼(300') 및 스프링(300"); 상기 제1 기어(211)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100)에 고정 장착한 고정랙(400); 상기 제2 기어(212)가 맞물려서 회전함에 따라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하고, 한쪽에는 상기 본체(100) 밖으로 일부가 돌출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2걸림 회전체(510)를 갖춘 이동랙(500); 창호 틀(S)과 마주하는 창호 짝(F)에 장착하며, 창호 짝(F)을 열 때 상기 제2걸림 회전체(510)에 걸려 이동랙(500)을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창호 짝(F)을 닫을 때는 상기 제2걸림 회전체(510)가 제2귀환 가이드(120)를 따라 움직이게 하여 제2걸림 회전체(510)의 걸림을 해제하는 제1 스토퍼(600'); 및 창호 틀(S)과 마주하는 창호 짝(F)에 장착하며, 창호 짝(F)을 열 때 상기 제1걸림 회전체(220)가 제3귀환 가이드(130)를 통해 걸림이 해제되게 하고, 창호 짝(F)을 닫을 때는 상기 제1걸림 회전체(220)에 걸려 가이드 블록(200)을 강제로 움직이게 하는 제2 스토퍼(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기어(211)의 잇수(A)와 제2 기어(212)의 잇수(B)의 기어비(A:B)는,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걸림 회전체(220, 510)는, 상기 본체(100)의 한쪽 면을 통해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여 창호 짝(F)에 장착한 제1 및 제2 스토퍼(600', 600")의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00")은, 인장 스프링으로, 상기 댐퍼(300') 양쪽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댐퍼는 중문용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창호 짝을 개폐할 때의 슬라이딩 운동을 기어열을 이용하여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슬라이딩 창호를 부드럽고 쉽게 여닫을 수 있다.
(2) 이때, 기어열을 기어비가 다른 적어도 두 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창호 짝이 열린 길이가 길더라도 가이드 블록이 짧은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기어비를 구성하므로, 댐퍼와 스프링과 같은 실질적으로 완충 작용을 하는 구성을 작게 구성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특히, 이러한 효과는 슬라이딩 창호의 폭이 넓은 경우 창호 짝을 여닫는 폭이 길수록 이러한 슬라이딩 길이가 길더라도 기어열을 통해 가이드 블록이 짧은 거리를 움직이게 하여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4)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의 전체 크기를 줄이면서도 완충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의 제조 비용을 줄이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5) 한편, 본 발명은 랙을 이용하여 기어열을 갖춘 가이드 블록이 움직이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중문에 장착함에 따라 중문에서 동시에 열릴 수 있게 하는 랙을 공용으로 사용하게 하여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창호에 장착한 예를 보여주는 창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블록과 여기에 연결한 댐퍼와 스프링의 연결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를 생략한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창호 짝을 닫을 때 제1스토퍼와 제2걸림 회전체의 작동을 보여주는 일부를 생략한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랙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를 생략한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장착한 상태에서 창호 짝을 열 때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제1 본체의 정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에서 제1 본체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장착한 상태에서 창호 짝을 닫을 때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제1 본체의 정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에서 제1 본체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는, [도 1] 내지 [도 11]과 같이, 본체(100), 가이드 블록(200), 댐퍼(300') 및 스프링(300"), 고정랙(400), 이동랙(500), 제1 스토퍼(600'), 그리고 제2 스토퍼(6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가이드 블록(200)이 고정랙(400)과 이동랙(500) 사이에서 움직이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때, 이 가이드 블록(200)에 장착한 기어열(210)을 통해 창호 짝(F)을 여닫는 거리보다 가이드 블록(200)이 짧은 거리를 움직이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창호를 여닫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기어열(210)에는 다른 기어비를 가진 적어도 두 개의 기어(211, 212)를 통해 가이드 블록(200)이 움직이면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창호 짝(F)이 많이 열리더라도 실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는 거리를 짧게 하여 댐퍼(300')와 스프링(300")의 완충 용량이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어열(210)과 맞물려서 창호 짝(F)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고정랙(400)과 이동랙(500)을 이용하므로, 중문과 같이 연속해서 이웃한 창호 짝을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하는 중문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를 적용함으로써,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면서도 쉽게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랙을 공유할 수 있게 하여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F"는 후술할 제1 및 제2 스토퍼(600', 600")를 장착하는 창호 짝을, "S"는 창호 짝을 안내하는 창호 틀을 각각 나타낸다.
<본체>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100")로 구성한다. 이때,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100")는 하나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고, 이처럼 분리와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나사나 스크루와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하거나, 원터치 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도 5]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귀환 가이드(110)를 형성한다. 제1귀환 가이드(110)는 후술할 제1걸림 회전체(220)가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이다. 이러한 제1귀환 가이드(110)는 도면에서 본체(100)의 마주하는 면에 관통하게 형성하여 제1걸림 회전체(220)를 본체(100) 외부에 장착하여 제1귀환 가이드(110) 안내를 받도록 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제1걸림 회전체(220)를 본체(100) 내에 장착할 때는 제1귀환 가이드(110)를 본체(100) 내부에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도 1] 내지 [도 3]·[도 7] 및 [도 10]과 같이, 제2귀환 가이드(120)를 형성한다. 이때, 제2귀환 가이드(120)는 후술할 고정랙(5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제2걸림 회전체(510)가 제2 스토퍼(600")와 간섭받지 않고 원래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이다. 즉, 상기 제2걸림 회전체(510)는 닫힌 창호 짝(F)을 열게 되면 제2 스토퍼(600")에 의해 걸려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 제2걸림 회전체(510)는 제2귀환 가이드(120) 끝에 도달하면 제2걸림 회전체(510)가 당기는 힘에 의해 제2귀환 가이드(120) 끝에 걸쳐진다. 이에, 제2 스토퍼(600")가 제2 걸림 회전체(510)의 걸림 상태에서 분리된다.
이에, 상기 제2귀환 가이드(120)는, 창호 짝(F)을 열어 제2 스토퍼(600")가 고정랙(500)의 제2걸림 회전체(510)를 끌어당겨서 창호(F)를 열었을 때, 이처럼 창호 짝(F)이 열린 상태에서 다시 창호 짝(F)을 닫을 때 이 제2걸림 회전체(510)가 이 제2귀환 가이드(120)의 안내를 받게 하여 제2걸림 회전체(510)가 제1 및 제2 스토퍼(600', 600")에 걸리지 않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100)에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7]과 같이, 제3귀환 가이드(130)를 형성한다. 이때, 제3귀환 가이드(130)는 상술한 제1귀환 가이드(110)와 나란하게 형성하고, 특히 이 제3귀환 가이드(130)의 양단이 제1 가이드(110) 양단과 연결하게 구성한다.
이는, 제1귀환 가이드(110)의 안내를 받는 제1걸림 회전체(220)가, [도 5]와 같이, 제1 스토퍼(600') 안내를 받는 상태에서 창호 짝(F)을 열 때 이 제1걸림 회전체(220)에 형성한 가이드 돌기(221)를 안내하고, 이 가이드 돌기(221)가 제3귀환 가이드(130)의 안내를 받음에 따라 제1걸림 회전체(220)가 제1 스토퍼(600')의 걸림이 해제되게 하기 위한 가이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3귀환 가이드(130)에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스토퍼(131)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131)는 창호 짝(F)을 열 때 제3귀환 가이드(130) 안내를 받는 가이드 돌기(221)가 더는 움직이지 않게 하여 결과적으로 제1걸림 회전체(220)가 제1 스토퍼(600')의 걸림 상태에서 해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체(100)는, [도 1]과 같이, 창호 틀(S)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200)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본체(100) 내부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그리고, 이 가이드 블록(200)에는, 기어비가 다른 적어도 두 개의 기어(211, 212)로 이루어진 기어열(210)을 갖춘다. 이때, 기어열(210)은 어느 하나의 기어(211)에 후술할 고정랙(400)이 맞물리고 나머지 기어(212)에 이동랙(500)이 맞물려서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열(210)은 고정랙(400)에 맞물린 기어(211)의 잇수(A)와 이동랙(500)에 맞물리 기어(212)의 잇수(B)의 기어비(A:B)가 1:(2~5), 가장 바람직하게는 1:3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동랙(500)이 2~5회 회전할 때 고정랙(400)의 안내를 받는 가이드 블록(200)이 1회전하는 비율로 이동랙(500)이 움직이는 거리보다 가이드 블록(200)이 더 천천히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열(21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두 개의 기어(211, 212) 사이에 아이들 기어(213)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들 기어(211, 212)가 원활하게 회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또한 원하는 기어 비를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블록(200)에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제1걸림 회전체(220)를 장착한다. 이때, 제1걸림 회전체(220)는 한쪽이 상술한 제1귀환 가이드(110)를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가이드 돌기(221)가 제2귀환 가이드(110)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 제1걸림 회전체(220)는, [도 5(a)] 및 [도 7]과 같이 창호 짝(F)이 닫힌 상태에서는 후술할 제1 스토퍼(600')가 끼워져서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이 상태에서 창호 짝(F)을 열기 시작하면 [도 5(b)] 및 [도 8]과 같이 창호 짝(F)과 함께 움직이는 제1 스토퍼(600')가 이 제1걸림 회전체(220)를 위로 들어올리게 한다. 이에, 제1 스토퍼(600')가 제1걸림 회전체(220)에서 이탈하여 빠져나갈 수 있게 하고, 그 이후에는 후술할 이동랙(500)이 창호 짝(F)을 열 때 가이드 블록(200)을 잡아당김에 따라 가이드 돌기(221)가 제3귀환 가이드(130)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1걸림 회전체(220)가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창호 짝(F)을 닫을 때 이동랙(500)이 가이드 블록(200)을 밀면 가이드 돌기(221)가 제3귀환 가이드(130) 안내를 받다가 제1귀환 가이드(110)로 이동하면서 제1걸림 회전체(220)가 제1 스토퍼(600')에 걸려 이 가이드 블록(200)에 연결한 후술할 댐퍼(300')와 스프링(300")의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가이드 블록(200)은, [도 7] 및 [도 11]과 같이 창호 짝(F)을 여닫을 때 후술할 댐퍼(300')와 스프링(300")를 통해 완충 작용이 이루어진다.
< 댐퍼와 스프링>
댐퍼(300')와 스프링(300")은, [도 3]·[도 4]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가이드 블록(200)이 서서히 움직일 수 있도록 완충 작용을 하게 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이때, 댐퍼(300')와 스프링(300")은, [도 3]·[도 4] 및 [도 7]과 같이, 한쪽을 가이드 블록(200)에 장착하고 다른 한쪽을 본체(10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300")은 인장 스프링을 사용하여 창호 짝(F)을 닫을 때 급격하게 닫히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300")은 댐퍼(300')의 완충 용량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를 장착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댐퍼(300') 양쪽에 각각 하나씩 두 개를 장착한 예를 보여준다.
< 고정랙 >
고정랙(400)은, [도 2]·[도 3]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본체(10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고정랙(400)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기어(211)에 맞물리게 하여 제1걸림 회전체(220)가 제1귀환 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음에 따라 가이드 블록(200)이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게 한다.
이러한 고정랙(400)은 피니언 기어 기능을 하는 상술한 기어(211)의 맞물림으로, 가이드 블록(200)이 움직임에 따라 이 기어(211)가 고정랙(400)을 따라 움직이게 제작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동랙 >
이동랙(500)은,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고정랙(400)과 나란하게 장착한다. 이때, 이동랙(500)은 기어열(210)의 나머지 기어(212)에 맞물려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특히, 상기 이동랙(500)에는, [도 3]·[도 6] 및 [도 7]과 같이, 후술할 제2 스토퍼(600")에 걸려 회전하는 제2걸림 회전체(510)를 갖춘다. 제2걸림 회전체(510)는 창호 짝(F)을 열어 창호를 열 때 이 제2 스토퍼(600")에 걸려 이동랙(500)을 잡아당기게 한다.
또한, 상기 제2걸림 회전체(510)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창호 짝(F)이 열리는 과정에는 이동랙(500)과 함께 움직이고, 제2걸림 회전체(510)가 제2귀환 가이드(130) 끝에 위치하면 [도 10]과 같이 제2 스토퍼(600")가 이 제2걸림 회전체(510)를 회전하게 하여 제2귀환 가이드(120)의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하면서 걸림 작용이 끝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걸림 회전체(510)는, [도 1]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본체(100)에서 제1걸림 회전체(220)가 돌출한 면과 같은 본체(100) 면을 통해 후술할 제1 스토퍼(600')에 걸릴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및 제2걸림 회전체(220, 510)가 본체(100)의 한쪽 면, 바람직하게는 창호 틀(100)에 장착한 본체(100)와 마주하는 면에 설치하는 창호 짝(F)에 장착한 제1 및 제2 스토퍼(600', 600")에 마주하게 설치함으로써, 서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동랙(500)은 창호 짝(F)을 열 때 어느 하나의 기어(212)를 통해 맞물린 가이드 블록(200)이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완충 작용을 하게 한다.
<제1 스토퍼>
제1 스토퍼(600')는, [도 1] 및 [도 7]과 같이, 창호 짝(F)에 장착한다. 이때, 제1 스토퍼(600')는 창호 짝(F)을 열 때 제2걸림 회전체(520)를 강제로 잡아당기고, 창호 짝(F)을 닫을 때는 제2걸림 회전체(520)에 걸리지 않게 하여 창호 짝(F)이 급격하게 열리지 않게 하는 위치에 장착한다.
즉, 상기 제1 스토퍼(600')는, [도 7]과 같이 창호 틀(S)에 장착한 창호 짝(F)이 닫힌 상태에서는 제2걸림 회전체(520)에 걸리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되나, [도 8]과 같이 창호 짝(F)이 어느 정도 열리면 [도 9]와 같이 이 제1 스토퍼(600')가 제2걸림 회전체(520)를 강제로 잡아당긴다. 이에, 제2걸림 회전체(520)에 연결한 이동랙(500)이 함께 당겨지면서 여기에 치합한 가이드 블록(200)을 창호 짝(F)이 열리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어, 창호 짝(F)이 어느 정도 이상 열려 제2걸림 회전체(520)가 제2귀환 가이드(120)에 도달하면, 이 제2걸림 회전체(520)가 이 제2귀환 가이드(120) 끝에 안내를 받을 수 있게 걸쳐지게 하여 더는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제2걸림 회전체(520)는 제2귀환 가이드(120)에서 벗어나서 더는 잡아당겨 주지 못하는 상태에서 창호 짝(F)이 완전히 열린다.
한편, 상기 제1 스토퍼(600')는, [도 11]과 같이, 창호 짝(F)을 닫을 때는 회전한 상태에서 제2귀환 가이드(120)를 따라 움직이는 제2걸림 회전체(520)에 걸리지 않게 된다.
<제2 스토퍼>
제2 스토퍼(600")는, [도 1] 및 [도 7]과 같이, 창호 짝(F)에 장착하여 상술한 제1걸림 회전체(220)에 걸림 작용하게 하여 가이드 블록(200)이 움직이면서 완충 작용하게 장착한다.
즉, 상기 제2 스토퍼(600")는, [도 7]과 같이 창호 짝(F)이 닫힌 상태에서는 제1걸림 회전체(220)에 걸린 상태로 있게 되고, [도 8]과 같이 창호 짝(F)을 열게 되면 제1걸림 회전체(220)를 창호 짝(F)을 여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제1걸림 회전체(220)는, [도 8]과 같이 가이드 돌기(221)가 제3귀환 가이드(130)에 닿으면 회전하고, 이에 가이드 돌기(221)가 제3귀환 가이드(130)를 따라 움직이게 되어 제2 스토퍼(600")는 [도 9]와 같이 제1걸림 회전체(220)에서 완전히 벗어난다.
이처럼 움직이는 제2 스토퍼(600")는 가이드 돌기(221)가, [도 10]과 같이, 제1걸림 회전체(220)가 제3귀환 가이드(130) 끝에 형성한 스토퍼(131)에 걸려 더는 움직이지 않더라도 창호 짝(F)이 계속 열림에 따라 이 제2 스토퍼(600")는 창호 짝(F)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한편, 상기 제 스토퍼(600")는, [도 11]과 같이, 창호 짝(F)을 닫을 때는 제1걸림 회전체(220)에 걸려 이 제1걸림 회전체(220)를 회전 지지하는 가이드 블록(200)을 이송시키게 하여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창호 짝이 움직이는 거리보다 짧은 거리를 가이드 블록이 움직이면서 완충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완충 작용이 랙과 기어열의 기어비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는 완충 효과가 필요한 창호에 장착할 수 있으나, 특히 중문에 적용함으로써 중문을 쉽고 원활하면서도 부드럽게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본체 100a, 100b : 제1, 제2 본체
110, 120, 130 : 제1, 제2, 제3귀환 가이드
200 : 가이드 블록 210 : 기어열
211, 212 : 기어 220 : 제1걸림 회전체
300' : 댐퍼 300" : 스프링
400 : 고정랙 500 : 이동랙
520 : 제2걸림 회전체 600' : 제1 스토퍼
600" : 제2 스토퍼

Claims (5)

  1.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100")가 서로 마주보며 결합하여 창호 틀(S)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한 제1 및 제2귀환 가이드(110, 120), 그리고 상기 제1귀환 가이드(110)와 나란하게 형성한 제3귀환 가이드(130)를 갖춘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며, 내부에는 다른 기어비를 가지며 서로 맞물려서 회전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및 제2 기어(211, 212)를 갖춘 기어열(210), 그리고 상기 제1귀환 가이드(110)를 통해 본체(100)와 나란하게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제1귀환 가이드(110)와 연결한 제3귀환 가이드(130)의 안내를 받아 회전할 수 있게 가이드 돌기(221)를 가진 제1걸림 회전체(220)를 갖춘 가이드 블록(200);
    한쪽을 각각 본체(100)에 고정하고, 다른 한쪽을 각각 가이드 블록(200)에 고정한 댐퍼(300') 및 스프링(300");
    상기 제1 기어(211)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100)에 고정 장착한 고정랙(400);
    상기 제2 기어(212)가 맞물려서 회전함에 따라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하고, 한쪽에는 상기 본체(100) 밖으로 일부가 돌출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2걸림 회전체(510)를 갖춘 이동랙(500);
    창호 틀(S)과 마주하는 창호 짝(F)에 장착하며, 창호 짝(F)을 열 때 상기 제2걸림 회전체(510)에 걸려 이동랙(500)을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창호 짝(F)을 닫을 때는 상기 제2걸림 회전체(510)가 제2귀환 가이드(120)를 따라 움직이게 하는 제1 스토퍼(600'); 및
    창호 틀(S)과 마주하는 창호 짝(F)에 장착하며, 창호 짝(F)을 열 때 상기 제1걸림 회전체(220)가 제3귀환 가이드(130)를 통해 걸림이 해제되게 하고, 창호 짝(F)을 닫을 때는 상기 제1걸림 회전체(220)에 걸려 가이드 블록(200)을 강제로 움직이게 하는 제2 스토퍼(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2. 제1 항에서,
    상기 제1 기어(211)의 잇수(A)와 제2 기어(212)의 잇수(B)의 기어비(A:B)는,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3. 제1 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걸림 회전체(220, 510)는,
    상기 본체(100)의 한쪽 면을 통해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여 창호 짝(F)에 장착한 제1 및 제2 스토퍼(600', 600")의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4. 제1 항에서,
    상기 스프링(300")은,
    인장 스프링으로,
    상기 댐퍼(300') 양쪽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댐퍼는 중문용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KR1020180029128A 2018-03-13 2018-03-13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KR101985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28A KR101985136B1 (ko) 2018-03-13 2018-03-13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28A KR101985136B1 (ko) 2018-03-13 2018-03-13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136B1 true KR101985136B1 (ko) 2019-06-03

Family

ID=6684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128A KR101985136B1 (ko) 2018-03-13 2018-03-13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1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3483A (zh) * 2020-05-22 2020-08-25 袁贵军 无人值守变电站智能门禁系统
KR20210058423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슬라이딩용 견인 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KR20210058421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슬라이딩용 무빙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4270A (ja) * 1998-03-17 1999-09-28 Nishi Seisakusho:Kk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JP2006506132A (ja) * 2002-11-19 2006-02-23 ジュリウス ブルム ゲゼルシャフト エム.ビー.エイチ. 可動な家具部分のための閉鎖装置および/または引込み装置
KR101156640B1 (ko) * 2009-10-08 2012-06-14 (주)삼우 도어 개폐구조
KR101607555B1 (ko) 2014-10-13 2016-03-30 전기순 미닫이 도어의 댐퍼 시스템
US20170130501A1 (en) * 2014-06-20 2017-05-11 Lama D.D. Dekani Movement Control Devices
KR101765131B1 (ko) 2015-07-27 2017-08-04 박영호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KR20170120298A (ko) 2016-04-21 2017-10-31 인포지씨 주식회사 미닫이 도어용 댐퍼 및 걸쇠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4270A (ja) * 1998-03-17 1999-09-28 Nishi Seisakusho:Kk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JP2006506132A (ja) * 2002-11-19 2006-02-23 ジュリウス ブルム ゲゼルシャフト エム.ビー.エイチ. 可動な家具部分のための閉鎖装置および/または引込み装置
KR101156640B1 (ko) * 2009-10-08 2012-06-14 (주)삼우 도어 개폐구조
US20170130501A1 (en) * 2014-06-20 2017-05-11 Lama D.D. Dekani Movement Control Devices
KR101607555B1 (ko) 2014-10-13 2016-03-30 전기순 미닫이 도어의 댐퍼 시스템
KR101765131B1 (ko) 2015-07-27 2017-08-04 박영호 슬라이드 연동 도어용 내장형 감속장치, 감속장치 설치된 댐퍼도어, 가이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연동 도어 시스템
KR20170120298A (ko) 2016-04-21 2017-10-31 인포지씨 주식회사 미닫이 도어용 댐퍼 및 걸쇠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423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슬라이딩용 견인 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KR20210058421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우신에스에스디 슬라이딩용 무빙기어형 댐핑 모듈시스템
CN111583483A (zh) * 2020-05-22 2020-08-25 袁贵军 无人值守变电站智能门禁系统
CN111583483B (zh) * 2020-05-22 2022-08-23 袁贵军 无人值守变电站智能门禁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13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US9708844B2 (en) Sliding door closing device
EP2994589B1 (en) A damping or return device for sliding door leaves
RU2643604C2 (ru) Раздвижная дверь
KR101945913B1 (ko) 초기 개방이 쉬운 미닫이문용 댐퍼 장치
RU2011109668A (ru) Доро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 именно, люк с рамой и затвором, снабженным обратным ходом относительно рамы, обеспечивающим закрытое положенние затвора в раме
RU2662704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раздвижной двери
JP5982420B2 (ja) 引戸制動装置
KR20070066830A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JP2006299578A (ja) 引戸又は引出しの引込み装置
JP6512403B2 (ja) 引戸用緩衝閉鎖装置
JP4313763B2 (ja) 引戸の引き込み装置
JP2006200301A (ja) 引戸の引き込み装置
KR102042312B1 (ko) 창짝의 개폐가 용이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20190041628A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KR101607555B1 (ko) 미닫이 도어의 댐퍼 시스템
KR20170041061A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101262765B1 (ko)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JP2006200300A (ja) 引戸の引き込み装置
JP2021536540A (ja) スライド式パネルおよびドアのための衝撃吸収制動装置
EP2136021A2 (en) Return and damping device for sliding doors, drawers and the like
KR102302094B1 (ko) 개폐 장치
KR20180096936A (ko) 미서기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KR101829872B1 (ko) 미닫이 도어 닫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