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500A -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500A
KR20240020500A KR1020220098616A KR20220098616A KR20240020500A KR 20240020500 A KR20240020500 A KR 20240020500A KR 1020220098616 A KR1020220098616 A KR 1020220098616A KR 20220098616 A KR20220098616 A KR 20220098616A KR 20240020500 A KR20240020500 A KR 20240020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housing
slider
sp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노
Original Assignee
이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노 filed Critical 이병노
Priority to KR1020220098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500A/ko
Publication of KR2024002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중량체의 미닫이문을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함에 다라 중량체의 미닫이문을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밀어내는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간부(21) 및 체결공(23a)을 갖는 가이더(23)가 구비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공간부(21)에 형성된 가이더(23)가 끼워지는 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1)과 통하여지는 절개부(32)가 형성되어 공간부(21)로부터 출몰하는 슬라이더(30)와, 상기 하우징(20)에 슬라이더(30)가 탄력 설치되도록 하는 탄성부재(40)와, 상기 슬라이더(30)의 절개부(32)를 통해 삽입되어 가이더(23)의 체결공(23a)을 통해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50)와, 상기 하우징(20)의 공간부(21)를 폐쇄하는 커버(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The impact reduction apparatus of the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문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중량체의 미닫이문을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함에 다라 중량체의 미닫이문을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밀어내는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문은 옆으로 밀어서 열고 닫는 개폐식 문으로, 작은 공간에서도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출입문 뿐만 아니라 아파트의 창문 등으로 이미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상기한 미닫이문에는 미닫이문을 닫을 때 미닫이문이 문틀프레임에 충격이 가해지는 현상을 완화시키는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에 알려진 선행문헌 1은, 등록특허공보 제10-0803818호(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로써, 가이드 레일의 단부 부위에 장착된 케이싱내에 있어서 적당한 영역을 슬라이딩(sliding)하는 슬라이딩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후크(hook)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코일 스프링을 통하여 문 닫힘 쪽으로 밀어 붙여지고,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가 상기 후크 부재에 걸려진 상태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영역을 문 닫힘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실린더 틀체부와 피스톤 로드와 액체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의한 이동속도를 줄이게 하는 왕복형 액압댐퍼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선행문헌 2는, 등록특허공보 제10-1319534호(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로써, 상호 대향의 안내 홈을 갖고 분할 형성된 내부몸체의 내부에 댐퍼와 스프링 및 견인구가 내장되어, 상기 댐퍼의 댐퍼축과 견인구가 서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견인구는 안내 홈을 따라 유동되어지되 고정걸림구와 유동걸림구를 각기 돌출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내부몸체에 고정되고 스프링의 타단은 견인구에 고정되게 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계지핀이 상기 견인구에 구속되게 한 개폐구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걸림구는 견인구로부터 출몰되게 구성되어지되, 견인구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지스프링상에 위치되게 하고, 유동걸림구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동 홈으로는 견인구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된 고정핀이 위치되게 하여,상기 탄지스프링을 압축하며 유동걸림구가 견인구로부터 상,하 출몰되게 하고, 상기 고정핀에 의해서는 유동걸림구가 견인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03818(2008.02.14.공고)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19534(2013.10.21.공고)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30754(2014.08.13.공고)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48522(2015.09.01.공고)
그러나 이러한 선행문헌 1, 2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내구성이 떨어짐에 따라 조립식 서랍 등의 경량 미닫이문에는 적용 가능하지만, 아파트의 거실과 바란다를 구획하는 중량체의 미닫이문에는 적용 불가능하였다.
둘째, 미닫이문을 닫음에 따라 가해지는 충격을 다단으로 감쇄시킬 수 없었다.
셋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프링이 변형되어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미닫이문을 닫을 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이고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미닫이문이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미닫이문이 모헤어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여 노약자는 물론이고 어린이들도 중량체의 미닫이문을 손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2개의 슬라이더를 탄성부재로 각각 탄력 설치하는 경우,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를 서로 달리함에 따라 미닫이문을 닫음에 따라 가해지는 충격을 2중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공간부 및 체결공을 갖는 가이더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형성된 가이더가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과 통하여지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공간부로부터 출몰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더가 탄력 설치되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의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어 가이더의 체결공을 통해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폐쇄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슬라이더가 탄성부재를 압축시키면서 공간부내로 수용되면서 미닫이문을 닫을 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이고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미닫이문이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미닫이문이 모헤어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 노약자는 물론이고 어린이들도 중량체의 미닫이문을 손쉽게 개방할 수 있다.
둘째, 하우징의 내부에 2개의 슬라이더가 탄성계수가 다른 탄성부재로 각각 탄력 설치된 경우에는 미닫이문을 닫을 때 문틀프레임에 닿으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2중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중량체의 미닫이문이 흔들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2개의 슬라이더에 탄성계수가 다른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써,
도 4a는 미닫이문이 닫힌 상태도
도 4b는 미닫이문이 열린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미닫이문(10)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30), 상기 슬라이더(30)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거나, 복원되는 탄성부재(40), 상기 하우징(20)에서 슬라이더(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부재(50), 상기 하우징을 폐쇄하는 커버(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에 공간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21)의 중간부위에는 격벽(22)이 형성되어 2개의 공간부(21)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각 공간부(21)의 중간지점에는 체결공(23a)을 갖는 가이더(2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상, 하부에는 미닫이문(10)에 고정시키도록 2개의 스크류 체결공(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 체결공(24)의 직각방향에는 커버 체결공(25)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가이더(23) 및 격벽(22)에는 돌출편(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공간부(21)를 출몰하는 슬라이더(30)에는 상기 하우징(20)의 공간부(21)에 형성된 가이더(23)가 끼워지는 통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31)의 일측으로는 통공(31)과 통하여지는 절개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32)의 일측으로는 개구부(3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구부(33)를 마개(34)로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32)와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지점에 공구삽입공(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삽입공(35)이 형성되는 부위에는 문틀프레임(70)과의 접촉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요입홈(3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20)에 가이드공(27)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30)에는 가이드공(27)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37)가 형성되어 있는 데, 이는 상기 각 슬라이더(30)가 하우징(20)에서 안정적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각 슬라이더(30)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0)에 의해 각각 공간부(21) 내에 탄력 설치되어 있다.
이때, 각 슬라이더(30)의 후방에 설치되는 탄성부재(40)의 탄성계수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탄성계수를 달리 적용하여 미닫이문(10)이 닫힐 때 가해지는 충격을 2중으로 흡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슬라이더(30)의 후방에 설치되는 탄성부재(40)를 교체하지 않고도 탄성부재(40)의 탄성계수를 달리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30)의 공구삽입공(35)으로 드라이버 등의 공구(도시는 생략함)를 집어넣어 체결부재(50)를 조여주면 슬라이더(30)가 탄성부재(40) 측으로 이동하여 탄성부재(40)를 압축시키게 되므로 탄성부재(40)의 탄성계수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30)의 절개부(32)를 통해 삽입되어 가이더(23)의 체결공(23a)을 통해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50)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볼트 및 너트를 적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체결부재를 적용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커버(60)에 피스체결공(61) 및 위치결정공(6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버(60)가 하우징(20)에 형성된 공간부(21)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나타낸 도 1 내지 도 3에서는 하우징(20)에 2개의 슬라이더(30)를 나타내었으나, 필요에 따라 1개의 슬라이더(30)만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슬라이더(30)의 후방에 설치되어 미닫이문(10)이 닫힐 때 슬라이더(30)에 의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40)의 압축길이는 미닫이문(10)의 무게에 따라 달리하도록 되어 있다.
즉, 미닫이문(10)이 무거우면 탄성부재(40)의 압축길이를 길게하고, 이와는 반대로 미닫이문(10)이 가벼우면 탄성부재(40)의 압축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닫이문(10)이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닫이문(10)이 열린상태에서는 한 쌍의 슬라이더(30)가 탄성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도 4b와 같이 하우징(20)의 공간부(21)로부터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열렸던 미닫이문(10)을 닫으면 중량체의 미닫이문(10)이 관성력에 의해 문틀프레임(70) 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슬라이더(30)가 문틀프레임(70)에 닿는 순간 탄성부재(40)을 압축시키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도 4a와 같이 하우징(20)의 공간부(21)로 수용되므로 중량체의 미닫이문(10)이 심하게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닫이문(10)을 닫음에 따라, 슬라이더(30)가 탄성부재(40)를 압축시키면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때 도 3과 같이 탄성계수가 다른 탄성부재(40)를 사용하면 2개의 슬라이더(30)가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가해지는 충격을 2중으로 흡수하게 되므로 미닫이문(10)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닫혔던 미닫이문(10)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도시는 생략함)를 파지한 상태에서 미닫이문(10)의 열림방향인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미닫이문(1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므로 하우징(20)의 공간부(21)에 탄성부재(40)를 압축시키며 수용되어 있던 슬라이더(30)가 탄성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20)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미닫이문(10)을 문틀프레임(70)으로부터 멀리 밀어내게 되므로 손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주부들도 중량체의 미닫이문(10)을 손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각각의 슬라이더(30)는 가이드돌기(37)가 하우징(20)에 형성된 가이드공(27)에 끼워져 있어 안정적으로 출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충격흡수장치를 미닫이문(10)에 설치한 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문틀프레임(70)에 설치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미닫이문 20 : 하우징
21 : 공간부 22 : 격벽
23 : 가이더 27 : 가이드공
30 : 슬라이더 31 : 통공
32 : 개구부 37 : 가이드돌기
40 : 탄성부재 50 : 체결부재
60 : 커버 70 : 문틀프레임

Claims (4)

  1. 공간부(21) 및 체결공(23a)을 갖는 가이더(23)가 구비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공간부(21)에 형성된 가이더(23)가 끼워지는 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1)과 통하여지는 절개부(32)가 형성되어 공간부(21)로부터 출몰하는 슬라이더(30)와, 상기 하우징(20)에 슬라이더(30)가 탄력 설치되도록 하는 탄성부재(40)와, 상기 슬라이더(30)의 절개부(32)를 통해 삽입되어 가이더(23)의 체결공(23a)을 통해 나사 결합되어 탄성부재(40)의 탄성계수를 조절하는 체결부재(50)와, 상기 하우징(20)의 공간부(21)를 폐쇄하는 커버(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에 복수 개의 공간부(21)를 형성하여 상기 각 공간부(21)에 슬라이더(30)를 출몰 가능하게 탄성부재(40)로 탄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상,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더(30)에 삽입되는 탄성부재(40)의 탄성계수를 각기 달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에 가이드공(27)을 형성하고 슬라이더(30)에는 가이드공(27)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3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
KR1020220098616A 2022-08-08 2022-08-08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 KR20240020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616A KR20240020500A (ko) 2022-08-08 2022-08-08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616A KR20240020500A (ko) 2022-08-08 2022-08-08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500A true KR20240020500A (ko) 2024-02-15

Family

ID=89899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616A KR20240020500A (ko) 2022-08-08 2022-08-08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5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3056B2 (en) Front door device in vehicle
US9556654B2 (en) Lock device
KR101319534B1 (ko) 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US20060255596A1 (en) Flush handle latch mechanism
RU2712462C1 (ru)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раздвижная дверь с фикси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1127639B1 (ko) 개폐구용 완충장치
CN108884696B (zh) 具有多个止动位置的门挡装置
JP2006299578A (ja) 引戸又は引出しの引込み装置
US20190069672A1 (en) Retraction device and pull-out guide
JP4313764B2 (ja) 引戸の引き込み装置
EP2397637A1 (en) Moving body moving apparatus
US20050151380A1 (en) Push-pull latch bolt mechanism
JP2021536540A (ja) スライド式パネルおよびドアのための衝撃吸収制動装置
KR20240020500A (ko) 미닫이문의 충격 흡수장치
US20210324668A1 (en) Locking mechanism with additional damping mechanism
JP2004308258A (ja) 引き戸用鎌錠
JP5918308B2 (ja) 開閉体緩衝装置
KR101075034B1 (ko)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KR100895900B1 (ko) 회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GB2544256A (en) A closure mechanism for a shower door and a shower door assembly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EP2136021A2 (en) Return and damping device for sliding doors, drawers and the like
US6926315B2 (en) Push pull latch bolt mechanism
US11802428B2 (en) Flush bolt assembly with bolt-contained spring
DE3922932A1 (de) Stopper fuer tueren oder dg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