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646A -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646A
KR20210057646A KR1020200063422A KR20200063422A KR20210057646A KR 20210057646 A KR20210057646 A KR 20210057646A KR 1020200063422 A KR1020200063422 A KR 1020200063422A KR 20200063422 A KR20200063422 A KR 20200063422A KR 20210057646 A KR20210057646 A KR 20210057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sticks
unit
conveyor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549B1 (ko
Inventor
강옥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조흥기계
강옥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11378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100576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조흥기계, 강옥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조흥기계
Priority to KR102020006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roducing frozen sweets on sticks
    • A23G9/265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roducing frozen sweets on sticks for manipulating the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14Continuous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44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 A23G9/50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cornets
    • A23G9/503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cornets products with an inedible support, e.g. a stick

Abstract

본 발명은 막대 형태의 얼음과자인 아이스바에 손잡이로서 꽂혀있는 스틱을 몰드에 자동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공급하기 위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스틱이 담겨지는 스틱함(1); 상기 스틱함(1)에 담긴 스틱을 일렬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스틱인출부(3);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틱인출부(3)에 의해 인출되는 스틱을 루프 형태의 매거진(11)에 수직으로 겹겹이 적재하는 수직저장부(5);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대(2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저장부(5)에 적재된 스틱을 일렬로 수평 배열하는 배열부(7); 상기 배열부(7)에 배열해 있는 스틱을 파지하여 하방에 위치한 몰드(100)에 수직으로 꽂아넣는 스틱삽입부(9)를 포함하되; 상기 배열부(7)는; 상기 매거진(11)의 배출단(11a)의 직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대(22)에 설치되는 스틱컨베이어(23); 상기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스틱안착홈(25); 및 상기 스틱안착홈(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중에 상기 스틱안착홈(25)으로부터 스틱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틱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 직상부에 설치되는 누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본 발명은 아이스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막대 형태의 얼음과자인 아이스바에 손잡이로서 꽂혀있는 스틱을 몰드에 자동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공급하기 위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비단 여름철뿐만 아니라 그 외의 계절에도 아이스크림 또는 아이스바가 소비된다. 아이스바는 막대 형태의 얼음과자이며, 그의 중심에는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스틱이 꽂혀 있고 스틱은 하단에서 일정 부분 돌출되어 있다. 아이스바는 다수의 몰드에 액상의 원료를 투입하고 연속식 냉동시설을 통과시키면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 나무 소재로 되어 있는 스틱은 액상의 원료가 몰드 내에서 적당하게 얼었을 때 위에서 아래로 꽂아 넣음으로써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스틱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몰드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본 발명의 스틱 삽입장치이다.
종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10299호와 같이 스틱 삽입장치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 스틱 삽입장치에 의하면 가변저장부가 공급되는 스틱의 공급양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하로 승하강되게끔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가변저장부에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된다. 그러면 스틱간에 압착이 생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수평이송부재의 캐리어는 빠른 속도로 스틱을 탑재할 경우 제대로 안치홈부에 안착되지 못할 수도 있어 작업속도의 제한이 있으며, 이 수평이송부재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캐리어에 수평으로 개별 안착된 스틱은 홀딩유닛, 클램핑승강부재를 통해 스틱을 1차적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황에 따라 장치의 위치를 조정하기가 쉽지 않다. 아이스바의 원료는 냉동시간, 온도, 및 원료성분에 따라서 냉동시 소요되는 시간이 다르다. 냉동중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몰드의 정확한 포인트에 스틱을 꽂기 위해서는 스틱을 꽂는 라인상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야 좋은데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러한 조정작업이 어렵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10299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작업속도가 빠르더라도 정확하게 스틱을 공급할 수 있으며, 운전중 부하가 걸리는 부분이 없어 고장의 우려가 적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스틱이 담겨지는 스틱함; 상기 스틱함에 담긴 스틱을 일렬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스틱인출부; 상기 스틱인출부에 의해 인출되는 스틱을 루프 형태의 매거진에 수직으로 겹겹이 적재하는 수직저장부; 상기 수직저장부에 적재된 스틱을 일렬로 수평 배열하는 배열부; 상기 배열부에 배열해 있는 스틱을 파지하여 하방에 위치한 몰드에 수직으로 꽂아넣는 스틱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틱함, 스틱인출부 및 수직저장부는 각각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스틱인출부 및 수직저장부는 독립적으로 교번하여 작동하면서 상기 배열부에 스틱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직저장부의 매거진은 스틱의 공급속도와 배출속도가 상이한 경우에 대하여 이를 완충하기 위한 완충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완충수단은 저장공간이 가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인입부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케이싱; 상기 제1케이싱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루프 형태의 제2케이싱; 상기 제2케이싱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케이싱과 겹쳐지게 설치되는 제3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열부는 상기 매거진의 배출단의 직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하는 스틱컨베이어; 상기 스틱컨베이어의 이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스틱안착홈; 상기 스틱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중에 상기 스틱안착홈으로부터 스틱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틱의 상면을 지지하는 누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틱삽입부는 상기 스틱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스틱의 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270°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틱이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하는 회전부; 및 상기 파지부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직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틱이 2곳을 통해서 독립적으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스틱을 공급하는 주기를 늦출 수 있어서 인건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저장부가 상하로 승하강되는 구조가 아니라 회전하는 구조여서 스틱의 적재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저장부에 가해지는 부하가 적게 되며; 배열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수평으로 안착되어 있는 스틱을 파지하여 한번의 동작으로 직하방향으로 위치되게 함으로써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스틱을 공급하는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수직공급부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배열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배열부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스틱삽입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스틱삽입과정의 단계별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스틱 누름수단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적으로 참조하겠으며, 다른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이하, '스틱 삽입장치'라 함)는 스틱함(1), 스틱인출부(3), 수직저장부(5), 배열부(7) 및 스틱삽입부(9)를 포함한다. 적어도 스틱인출부(3)와 수직저장부(5)는 베이스프레임(10)에 의해 지면에 직립하게끔 설치된다. 단 배열부(7)와 스틱삽입부(9)는 몰드컨베이어(200)의 상면 양쪽에 얹힐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에는 바퀴(10a)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스틱 삽입장치는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도면부호 300은 콘트롤박스를 도시한다. 작업자는 콘트롤박스(300)를 통해 각 부를 제어 또는 콘트롤할 수 있다.
스틱함(1)은 스틱(S)이 담겨지는 박스로서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스틱함(1)에는 스틱(S)이 방향만 일치한 상태에서 무작위로 투입되어 있다. 스틱인출부(3)는 스틱함(1)에 담긴 스틱을 일렬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수직저장부(5)는 스틱인출부(3)에 의해 인출되는 스틱을 루프 형태의 매거진(11)에 수직으로 겹겹이 적재하는 것이다. 배열부(7)는 수직저장부(5)에 적재된 스틱을 일렬로 수평 배열하는 것이다. 스틱삽입부(9)는 배열부(7)에 배열해 있는 스틱을 파지하여 하부에 위치한 몰드(100)에 수직으로 꽂아 넣는 것이다. 스틱의 투입지점이 되는 몰드(100)의 개수 및 간격에 따라서 배열부(7)가 배열하는 스틱의 개수가 결정된다.
몰드(100)는 몰드컨베이어(200)에 의해 단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평이송된다. 물론 이 몰드컨베이어(200)는 냉동시스템 내에서 운전되는 것이다. 몰드(100)의 내부에는 아이스바의 원료가 충전되어 있으며, 원료는 냉동되는 과정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틱함(1), 스틱인출부(3) 및 수직저장부(5)는 각각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은 각기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작동함으로써 독립적으로 배열부(7)에 스틱을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어느 한쪽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도 다른 한쪽으로써 차질 없이 장치를 가동할 수 있다.
스틱함(1)에 쌓여있는 스틱을 하나씩 일렬로 인출하여 수직저장부에 공급하는 스틱인출부의 구성과 작동원리는 공지의 것과 다름없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선형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스크류봉(51)을 이용하여 스틱(S)을 하나씩 수직저장부(5)에 밀어올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직저장부(5)의 매거진(11)은 스틱의 공급속도와 배출속도가 상이한 경우에 대하여 이를 완충하기 위한 완충수단을 구비한다.
이 완충수단은 저장공간의 길이가 가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부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케이싱(13)과, 제1케이싱(13)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루프 형태의 제2케이싱(17)과, 제2케이싱(17)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케이싱(17)과 겹쳐지게 설치되는 제3케이싱(19)을 포함한다.
제2케이싱(17)은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힌지축(15)을 중심으로 상부로 들려지는 경우에는 저장공간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며 더 많은 양의 스틱(S)을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여 가라앉는 경우에는 저장공간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스틱(S)의 저장량이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2케이싱(17)의 회전각도(또는 위치)를 감지하여 스틱(S)의 추가 공급 여부 또는 공급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열부(7)를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배열부(7)는 매거진(11)의 배출단(11a)의 직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몰드컨베이어(200) 위에 이를 직각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가로대(22)와,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하게끔 이 가로대(22)에 설치되는 스틱컨베이어(23)와,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스틱안착홈(25)과; 상기 스틱안착홈(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중에 상기 스틱안착홈(25)으로부터 스틱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틱(S)의 상면을 지지하는 누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대(22)는 오버헤드 방식이 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가로대(22)의 일단은 베이스프레임(10)이 지지하고 타단은 승강대(39)가 지지한다. 따라서 장치는 전체적으로 "
Figure pat00001
"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배열부(7)는 매거진(11)의 배출단에 설치되어 스틱이 스틱컨베이어(23)로 떨어지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6)와 행거(28)를 포함한다. 행거(28)는 스틱컨베이어(23)의 좌우측에 포크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토퍼(26)가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 아래로 하강할 경우(도 6의 우측에 해당)에는 스틱은 자중에 의해 스틱컨베이어(23) 상면에 닿게 된다. 스토퍼(26)가 상승한 때(도 6의 좌측에 해당)에는 스토퍼(26)가 매거진(11)의 맨 아래에 있는 스틱의 저면을 떠받치므로 스틱이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에서 이격되어 있게 된다. 스토퍼(26)는 스틱컨베이어(23)가 기동할 때 스틱이 스틱안착홈(25)에 끼워진 상태에서만 통과될 수 있도록 제한하기 위하여 매거진(11)의 배출단(11a)의 전방에 설치된다. 스토퍼(26)는 스틱의 두께에 따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틱컨베이어(23)는 가요성 벨트 형태로 되어 있으며 스틱의 길이보다 짧은 폭을 가진다. 스틱(S)이 얹어진 경우 스틱(S)은 스틱컨베이어(23)의 좌우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2개의 매거진(11,11')은 스틱컨베이어의 이송면을 따라 전후로 배치되어 있다.
누름수단은 스틱컨베이어(23)의 직상부에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블레이드(28)와, 가령 누름수단은 블레이드(28)와, 블레이드의 연장방향을 따라 식재된 브러시(29)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브러시(29)는 빗자루처럼 스틱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스틱이 튀어오르려고 할 때 이를 누를 수 있게 설치된다.
누름수단은 브러시를 대신하여 블레이드(28)의 하단에 일렬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29')을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롤러(29')는 블레이드(28) 상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중에 의해 스틱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완충작용을 위하여 롤러(29')의 표면은 실리콘 등의 쿠션소재로 되어 있다. 롤러(29')는 블레이드(28)에 설치된 장공(28a)에 끼워져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롤러(29')는 스틱(S)의 상면에 닿을까 말까 할 정도로 설치되며 튀어오르는 스틱(S)을 자중으로 누르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틱삽입부(9)는 파지부(31)와, 회전부(33)와 수직이송부(35)를 포함한다. 이하, 도 7과 도 8을 더 참조하여 스틱삽입부(9)를 설명한다.
파지부(31)는 스틱안착홈(25)에 안착되어 있는 스틱의 단부를 파지하는 것으로서 공압 또는 전자석으로 작동하는 집게형 클램프(32)를 포함한다. 클램프(32)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실린더(321)에 의해 작동되며, 스틱(S)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레버(323)와, 클램프실린더(321)에 의해 힌지축(32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누름레버(323)와 함께 집게 역할을 하는 집게레버(322)와, 집게레버(32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틱(S)의 저면에 지지되는 집게핀(32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클램프(32)가 하나의 스틱(S)을 파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클램프(32)가 2개 또는 그 이상의 스틱(S)을 파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회전부(33)는 파지부(31)가 스틱(S)을 파지한 다음 파지부(31)를 270°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틱(S)이 도 8c, 8d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회전부(33)는 회전축(37), 이 회전축(37)을 일정한 각도범위에서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7)은 양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대(39)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구동실린더는 모터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수직이송부(35)는 회전축(37) 및 회전축(37)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클램프(32)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직이송부(35)는 승강대(39)와, 승강대(39) 상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37)을 상하운동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회전축의 양단에는 이동블럭(41)이 설치되고, 이동블럭(41)은 승강대(39) 내부에 고정 설치된 수직가이드봉(4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방식일 수도 있고, 랙기어 구동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승강구동부는 승강높이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누름수단의 블레이드(27)는 스틱을 클램프가 스틱을 파지하는 순간 스틱 위에서 비켜나도록 구성된다. 블레이드(27)는 가로대(2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회전축(45), 블레이드회전축(45)과 블레이드(27)를 연결하는 블레이드아암(47), 및 블레이드회전축(45)을 회전시키킴으로써 블레이드(27)가 회전되면 상방향으로 들려지도록 하는 블레이드구동부(미도시됨)을 포함한다. 블레이드구동부는 블레이드기동실린더(30)에 의해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구동된다.
이 블레이드구동부는 클램프(32)가 스틱을 파지한 순간 작동하여 스틱(S)의 상면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파지부, 회전부 및 수직이송부에 의해 수평으로 놓여있는 스틱을 수직방향으로 몰드(100)에 꽂아 넣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단계별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8a는 스틱(S)이 배열부의 스틱컨베이어(23)에 의해 배열되어 있고, 블레이드의 브러시(29)가 스틱의 상면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클램프(32)는 스틱(S)의 끝은 파지한다.
이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가 블레이드기동실린더(30)에 의해 블레이드회전축(45)을 회전중심으로 회전하여 위로 들리면서 스틱의 상면을 오픈시킨다.
이후, 도 8c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부(33)가 스틱(S)을 파지하고 있는 파지부(31)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270°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틱(S)이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한다.
이후, 도 8d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이송부(35)는 스틱(S)을 파지하고 있는 클램프(32)를 하강시키면서 직하부에 대기하고 있는 몰드(100)에 스틱(S)을 꽂고 다시 상승한다. 그리고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270°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배열된 스틱을 파지하여 다음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배열된 스틱(S)을 단순한 동작에 의해 몰드(100)에 끼워넣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 스틱함 3 : 스틱인출부
5 : 수직저장부 7 : 배열부
9 : 스틱삽입부 11.11' : 매거진
13,17,19 : 제1,2,3케이싱
15 : 힌지축
23 : 스틱컨베이어 25 : 스틱안착홈
26 : 스토퍼 27 : 블레이드
28 : 행거 29 : 브러시
29' : 롤러 31 : 파지부
32 : 클램프 33 : 회전부
35 : 수직이송부 37 : 회전축
39 : 승강대 41 : 이동블럭
43 : 수직가이드봉 45 : 블레이드회전축
47 : 블레이드아암
100 : 몰드 200 : 몰드컨베이어
300 : 콘트롤박스

Claims (2)

  1. 스틱이 담겨지는 스틱함(1); 상기 스틱함(1)에 담긴 스틱을 일렬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스틱인출부(3);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틱인출부(3)에 의해 인출되는 스틱을 루프 형태의 매거진(11)에 수직으로 겹겹이 적재하는 수직저장부(5);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대(2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저장부(5)에 적재된 스틱을 일렬로 수평 배열하는 배열부(7); 상기 배열부(7)에 배열해 있는 스틱을 파지하여 하방에 위치한 몰드(100)에 수직으로 꽂아넣는 스틱삽입부(9)를 포함하되,
    상기 스틱삽입부(9)는;
    상기 배열부(7)에 안착되어 있는 스틱의 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31);
    상기 파지부(31)를 270°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틱이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하는 회전부; 및
    상기 파지부(31)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직이송부(3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부(7)는;
    상기 매거진(11)의 배출단(11a)의 직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대(22)에 설치되는 스틱컨베이어(23);
    상기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스틱안착홈(25); 및
    상기 스틱안착홈(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중에 상기 스틱안착홈(25)으로부터 스틱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틱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 직상부에 설치되는 누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KR1020200063422A 2019-11-12 2020-05-27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KR10250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422A KR102500549B1 (ko) 2019-11-12 2020-05-27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85A KR102125867B1 (ko) 2019-11-12 2019-11-12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KR1020200063422A KR102500549B1 (ko) 2019-11-12 2020-05-27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285A Division KR102125867B1 (ko) 2019-11-12 2019-11-12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646A true KR20210057646A (ko) 2021-05-21
KR102500549B1 KR102500549B1 (ko) 2023-02-17

Family

ID=711378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285A KR102125867B1 (ko) 2019-11-12 2019-11-12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KR1020200063422A KR102500549B1 (ko) 2019-11-12 2020-05-27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285A KR102125867B1 (ko) 2019-11-12 2019-11-12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25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034B1 (ko) * 2023-06-07 2023-11-24 주식회사조흥기계 아이스바용 라운드 스틱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696B1 (ko) * 2020-08-27 2021-03-25 윤찬웅 아이스바제조시스템용 스틱공급장치
WO2022144121A1 (en) * 2020-12-28 2022-07-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stick handling apparatus, an ice cream produc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roducing ice cream
KR102519849B1 (ko) 2022-12-05 2023-04-11 주식회사조흥기계 안전성이 향상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193A (en) * 1985-02-06 1987-12-29 Sauer S.P.A. Plant for the production of popsicles and icecreams incorporaing a holding stick
WO1998018341A1 (en) * 1996-10-25 1998-05-07 Ntc Engineering Aps Arrangement,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sticks in an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in ice-cream bodies
JPH11346667A (ja) * 1998-06-09 1999-12-21 Izumi Food Machinery:Kk 冷菓製造用スティック挿入装置
KR200400056Y1 (ko) * 2005-08-18 2005-11-01 이익재 빙과류용 스틱 공급장치의 수평이송간 안내장치
KR20050105665A (ko) * 2004-05-03 2005-11-08 이익재 빙과류용 스틱 공급장치
KR20140110299A (ko) 2013-03-07 2014-09-17 이익재 스틱 공급장치
CN109760998A (zh) * 2018-11-26 2019-05-17 安徽双好食品有限公司 一种雪糕棒上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030Y1 (ko) * 1997-02-13 1999-06-15 이익재 아이스 바 제조기의 라운드 스틱 공급장치
KR200376464Y1 (ko) * 2004-12-09 2005-03-10 이익재 빙과류용 스틱 공급장치의 지지구조
KR101967258B1 (ko) * 2018-09-07 2019-04-09 주식회사조흥기계 아이스바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193A (en) * 1985-02-06 1987-12-29 Sauer S.P.A. Plant for the production of popsicles and icecreams incorporaing a holding stick
WO1998018341A1 (en) * 1996-10-25 1998-05-07 Ntc Engineering Aps Arrangement,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sticks in an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in ice-cream bodies
JPH11346667A (ja) * 1998-06-09 1999-12-21 Izumi Food Machinery:Kk 冷菓製造用スティック挿入装置
KR20050105665A (ko) * 2004-05-03 2005-11-08 이익재 빙과류용 스틱 공급장치
KR200400056Y1 (ko) * 2005-08-18 2005-11-01 이익재 빙과류용 스틱 공급장치의 수평이송간 안내장치
KR20140110299A (ko) 2013-03-07 2014-09-17 이익재 스틱 공급장치
CN109760998A (zh) * 2018-11-26 2019-05-17 安徽双好食品有限公司 一种雪糕棒上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034B1 (ko) * 2023-06-07 2023-11-24 주식회사조흥기계 아이스바용 라운드 스틱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867B1 (ko) 2020-06-23
KR102500549B1 (ko)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0549B1 (ko)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US3506140A (en) Apparatus for handling eggs
EP1996007B1 (en) Device and method for harvesting crop and cropholder
JPH0646900B2 (ja) 育苗施設
GB2051722A (en) Apparatus for stacking trays or boxes filled with articles, such as eggs
FR2593788A1 (fr) Appareil de stockage a alimentation continue
DK144671B (da) Maskine til fremstilling af et i en beholder indfoert frosset spiseligt og med et overtraek forsynet produkt
KR100542110B1 (ko) 빙과류용 스틱 공급장치
KR101446202B1 (ko) 스틱 공급장치
NO172025B (no) Anordning for bruk ved fremstilling av iskremprodukter
US4535605A (en) Apparatus for extraction of articles frozen in moulds in a freezing machine
CN216637785U (zh) 上架给杆装置及挂面杆输送系统
FR2501624A1 (fr) Procede de groupement, d'orientation et d'emballage d'objets et installation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CN214729952U (zh) 一种安瓿瓶包装设备
US4527972A (en) Machine for producing ice-cream
JP3410714B2 (ja) 冷菓製造装置における箸無し冷菓のトレイ詰め機構
WO1998037754A1 (fr) Mecanisme d'alimentation en recipients de spores de champignons pour dispositif d'inoculation de spores
JP3552133B2 (ja) ポット充填装置
CN214930928U (zh) 一种适用于草莓采摘机的装盒装置和采摘机
KR200376464Y1 (ko) 빙과류용 스틱 공급장치의 지지구조
CN217511600U (zh) 一种高韧度奶酪棒的乳化装置
JPH08126433A (ja) 種菌接種装置
KR20100010981U (ko) 포장장치
JP3533432B2 (ja) 育苗箱の積層装置
JP3485361B2 (ja) 食品焼成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