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266A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를 함유하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용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를 함유하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용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266A
KR20210057266A KR1020190143608A KR20190143608A KR20210057266A KR 20210057266 A KR20210057266 A KR 20210057266A KR 1020190143608 A KR1020190143608 A KR 1020190143608A KR 20190143608 A KR20190143608 A KR 20190143608A KR 20210057266 A KR20210057266 A KR 20210057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lactobacillus plantarum
glucosidase
composition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욱
김초록
엄주형
Original Assignee
비거트유산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거트유산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거트유산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3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266A/ko
Publication of KR2021005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23C9/1234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characterised by using a Lactobacillus sp. other than Lactobacillus Bulgaricus, including Bificlobacterium s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A61K2035/115Probiot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besit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수탁번호 KFCC11749P)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이 포함된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 기능이 있으며, 지방세포의 분화를 저해하고 지방축적을 억제하여 비만의 예방/개선/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를 함유하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용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strain having inhibitory activity of alpha-glucosidase and anti-obesitic effe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수탁번호 KFCC11749P) 함유하는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용 조성물과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는 소장의 융모에 존재하는 소화 효소로 이당류나 소당류를 탄수화물의 소화흡수 상태인 단당류로 가수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은 십이지장을 비롯한 공장 상부에서 탄수화물의 가수분해를 저해(소화 흡수율을 저하)시켜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비만, 당뇨병, 과당증 등 성인병의 치료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위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는 α-글루코시다아제에 의한 올리고당의 분해를 저해하는 물질로서 일부의 식물이나 미생물에 분포하고 있다. 미생물 기원의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로는 Actinoplanes 균주기원의 슈도올리고당 (pseudooligosaccharide), 스트렙토마이시스 (Streptomyces) 및 바실러스 (Bacillus) 속의 세균이 생산하는 1-데옥시노지리마이신 (1-deoxynojirimycin) 등이 알려져 있으며, 시판되는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로 acarbose, voglibose, 1-deoxynojirimycin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복부팽만, 구토, 설사 등의 위장장애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미분해된 이당류가 대장에서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어 가스, 설사, 변비 등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α-글루코시다아제를 과도하게 저해시킬 경우 당의 흡수율이 현저히 떨어져서 저혈당증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생균제를 그대로 이용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산균이 갖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가 α-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으로 인한 항비만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2481호 (발명의 명칭 :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FH185 균주, 출원인 : 한국식품연구원, 등록일 : 2015년04월0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8149호 (발명의 명칭 :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의 용도, 출원인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개일 : 2016년08월18일)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수탁번호 KFCC11749P) 균주를 함유하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용 조성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수탁번호 KFCC11749P)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용 조성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발효식품도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발효식품은 김치, 젓갈, 요거트 또는 장류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장류는 된장, 간장, 고추장 또는 청국장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의 배양물은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액체 상태의 배양물은 이를 건조하거나 분말화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고체 형태의 배양물도 마찬가지로 수분함량에 따라 이를 건조하거나 분말화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이 포함된 조성물은 식용가능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과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용 조성물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수탁번호 KFCC11749P)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이 포함된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 기능이 있으며, 지방세포의 분화를 저해하고 지방축적을 억제하여 비만의 예방/개선/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처리군의 지방세포 내 지방축적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균주를 MRS 및 MRS 대체 식물성 배지에서 24시간 배양 후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균주를 MRS 대체 식물성 배지에서 시간별로 배양 후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지방세포 분화 후 지방축적량 확인
3T3-L1 세포주는 특정 배양조건에서 지방세포(adipocytes)로 분화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지방세포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세포주이다. 3T3-L1은 Fetal bovine serum (FBS)가 없는 조건에서는 preadipocyte로 계속 분열하지만(proliferation),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위해서는 100% confluency로 세포를 배양하여 cell contact inhibition에 의해 세포 성장을 멈추게 하는(growth arrest) 지방세포 분화유도 준비상태를 만들어 (Day 0) 이 상태에서 지방세포 분화유도 물질인 Isobutylmethylxanthine, Dexamethason, Insulin (MDI)을 FBS가 포함된 세포배양액에 처리하여 (Day 0) 2-3일간 clonal expansion을 유도한 후, Insulin만 포함된 배지로 세포를 배양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였다 (Day 2~, terminal differentiation).
양성대조군은 고시 원료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5 μg/ml을 대조군으로 사용하고, 실험군에는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의 생균수 108 cfu/mL을 처리하여 배양 시간 경과에 따라 lipid droplet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3일째에는 지방측정용 시약 (AdipoRed Assay Reagent kit)을 이용하여, 세포내 lipid droplet만 선택적으로 염색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관찰한 후 형광강도 측정기로 지방 세포내 triglyceride 축적량을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확인하면 무처리군인 대조군(control)에 비해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처리군에서 지방축적량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 확인된다.
마찬가지로 같은 조건에서 다른 균주인 Lactobacillus plantarum BK-022 KFCC11750P과 비교하여 확인한 바, 하기 표 1과 같이 역시 본 발명의 균주가 갖는 항비만능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Identified species O.D.
Control 0.49
Lactobacillus plantarum BK-022 KFCC11750P 0.47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0.34
실시예 2. α-glucosidase 활성 저해효과 측정실험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의 초기농도를 각각 1×108CFU/㎖ ~ 1×1010CFU/㎖의 농도로 MRS 및 자사 자체의 MRS 대체 식물성 배지 (Food grade : Hydrolysed Soy Protein 15g, Yeast Extract 10g, D-Glucose Monohydrate 20g, Tween 80 1g, Sodium Acetate 5g, Magnesium Sulfate 0.1g, Manganese Sulfate 0.05g, Dipotassium Phosphate 2g/ℓ)에서 30℃, 24시간 배양하고 균액을 4,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 한 다음, 배양상등액 시료를 준비하였다.
시료의 α-glucosidase에 대한 활성 저해는 p-nitrophenyl a-D-glucopyranoside (pNPG)를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9)에 녹여 기질로 사용하였다. 추출물은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9)에 녹인 효소용액 0.1U/㎖의 α-glucosidase (Sigma Chemical Co, USA)와 기질 용액 2mM p-nitrophenyl a-D-glucopyranoside를 첨가한 후 잘 혼합하고 37℃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구로 1, 5, 10mM 농도의 acarbose를 같은 방법으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Inhibition (%) = [1-(시료 흡광도 기울기/Blank 흡광도 기울기)] × 100
이에 대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는데, 그 결과 두 배지 모두에서 BK-021 균주의 배양상등액이 양성대조구인 acarbose 10mM(92% 저해)과 비슷하게 82~90%의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L. plantarum BK-021 균주의 배양조건 최적화
자사 자체의 MRS 대체 식물성 배지를 이용한 배양시간별 L. plantarum BK-021 균주 배양상등액의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 때, Acarbose는 각 농도별로 48시간 배양하여 비교군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48시간 배양시 양성대조구인 Acarbose 10mM(63% 저해)보다 높은 가장 좋은 90%의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고, 24~96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36~48시간 동안 배양시 그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캡슐제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의 배양액에서 균체만을 수거한 후 동결건조한 분말을 캡슐에 넣어 캡슐형 유산균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발효김치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의 배양액에서 수거한 균체가 1중량%가 되게 김치 양념용 조성물에 혼합하였고, 상기 양념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배추김치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요거트의 제조
Lactobacillus plantarum BK-021의 배양액에서 수거한 균체 0.1g을 우유 1ℓ에 접종하여 37℃에서 8시간 동안 배양하여 요거트를 제조하였다.
[수탁기관]
기탁기관명 : 한국미생물보존센터
수탁번호 : KFCC11749P
수탁일자 : 20171114

Claims (5)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BK-021, 수탁번호 KFCC11749P) 또는 배양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루코시다아제의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학 조성.
  3.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세포의 분화 억제 기능과 지방 세포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축적 억제 기능이 있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4. 제1항의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 기능 또는 지방 세포의 분화 억제 기능이 있는 발효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식품은 김치, 젓갈, 요거트 또는 장류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KR1020190143608A 2019-11-11 2019-11-1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를 함유하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용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057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608A KR20210057266A (ko) 2019-11-11 2019-11-1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를 함유하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용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608A KR20210057266A (ko) 2019-11-11 2019-11-1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를 함유하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용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266A true KR20210057266A (ko) 2021-05-21

Family

ID=7615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608A KR20210057266A (ko) 2019-11-11 2019-11-1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를 함유하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용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726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81B1 (ko) 2013-10-21 2015-04-16 한국식품연구원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fh185 균주
KR20160098149A (ko) 2014-02-17 2016-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81B1 (ko) 2013-10-21 2015-04-16 한국식품연구원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fh185 균주
KR20160098149A (ko) 2014-02-17 2016-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991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4209B1 (ko) 효소 생산능이 우수한 전통 발효식품 유래 신규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곡물 발효 효소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925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97362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91774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mkha1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60352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생제 내성, 항산화 활성, 효소 분비능,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 및 프리바이오틱스 기질 이용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베리류 발효물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bb0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94445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mg4592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0996056B1 (ko) 대장염 발생 예방 효능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에이치와이74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JP5940872B2 (ja) 抗糖尿病組成物及び飲食品
US2016021373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tea extracts for reducing lipid level
KR20200054796A (ko) 간 기능 개선용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1394322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cnu 9169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102091757B1 (ko) 혈당저하와 스트레스 완화에 유효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rcc531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94437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mg4553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94442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mg4555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2424598B1 (ko)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피부 미백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혈전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okbl-l.pe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2054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를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89300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k71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KR102294456B1 (ko) 영유아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mg4502 및 이를 포함하는 장 건강 증진,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20120137127A (ko) 차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057266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1 균주를 함유하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용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00377B1 (ko)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산화 활성,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357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48434B1 (ko) 무청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081475A (ko) 항염 활성, 피부 미백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혈전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okbl-l.pl 1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