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581A - 신체 교정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신체 교정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581A
KR20210056581A KR1020190143224A KR20190143224A KR20210056581A KR 20210056581 A KR20210056581 A KR 20210056581A KR 1020190143224 A KR1020190143224 A KR 1020190143224A KR 20190143224 A KR20190143224 A KR 20190143224A KR 20210056581 A KR20210056581 A KR 20210056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
sliding
disk
exercise devic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984B1 (ko
Inventor
박명석
Original Assignee
박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석 filed Critical 박명석
Priority to KR1020190143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9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 for standing, sitting, laying,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36Special cran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Abstract

신체 교정 운동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에 지지되며, 수직축선에 평행한 디스크축선을 갖는 디스크축을 갖고 회전 가능한 크랭크디스크, 크랭크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 크랭크디스크 상측에 배치되며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크랭크디스크의 회전운동을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왕복하는 슬라이딩 이동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전환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신체 교정 운동장치{Sliding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신체 교정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장치의 도움으로 다리와 어깨상체부분을 움직이지 않으면서 골반과 허리부분을 중점적으로 운동시켜주며 내구성이 향상된 신체 교정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엉덩이 받침대의 슬라이딩 왕복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운동기구로서 사용자가 보조 장치의 도움으로 누워서 편하게 허리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슬라이딩 왕복이동되는 받침대와 받침대 하부에 배치되어 받침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이 운동기구는 받침대와 수직하게 결합되며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슬롯이 형성된 슬라이딩바아를 가지며, 회전평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슬라이딩슬롯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휠을 가진다. 회전휠이 회전되면서 돌출부가 슬라이딩슬롯을 따라 이동하며 운동방향을 전환하는 전환핀역할을 하며 슬라이딩바아를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며 이동시킨다.
그러나 슬라이딩슬롯은 받침대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회전휠의 회전에 의해 전환핀역할의 돌출부가 슬라이딩슬롯을 따라 이동되면서 슬라이딩바아와 결합된 받침대를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운동기구의 높이가 높아지므로 사용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돌출부가 받침대에서 먼 슬라이딩슬롯에서 슬라이딩바아를 밀거나 당기게 되는 경우 받침대와 슬라이딩바아의 결합부에 구동부하가 집중되어 내구성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높이를 낮추어, 사용자가 편안하면서 허리 골반운동을 집중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슬라이딩 이동구동에 대한 구동부하의 집중을 감소시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신체 교정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신체 교정 운동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며, 수직축선에 평행한 디스크축선을 갖는 디스크축을 갖고 회전 가능한 크랭크디스크; 상기 크랭크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 상기 크랭크디스크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크랭크디스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왕복하는 슬라이딩 이동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전환부를 갖는다. 크랭크디스크의 판면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운동기구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크랭크디스크의 판면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크랭크디스크의 회전운동을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왕복하는 슬라이딩 이동운동으로 전환하므로 슬라이딩 이동구동에 대한 구동부하의 집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전환부는, 상기 크랭크디스크와 상기 슬라이더 중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전환핀과, 타측에는 상기 수평슬라이딩 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환핀의 상단을 수용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전환슬롯을 가지면 크랭크디스크의 판면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크랭크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전환슬롯에 삽입된 전환핀이 회전되면서 슬라이더가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운동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스크축선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갖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구동피니언; 상기 구동축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피니언과 물림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크랭크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크랭크피니언을 포함하면 구동모터 영역과 크랭크디스크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운동기구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피니언과 상기 크랭크디스크에 대하여 물림결합되며 상기 크랭크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크랭크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기어를 더 포함하면 크랭크디스크와 구동모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는 상호 평행한 한 쌍으로 마련되면 슬라이더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안정적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랭크디스크의 판면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운동기구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크랭크디스크의 판면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크랭크디스크의 회전운동을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왕복하는 슬라이딩 이동운동으로 전환하므로 슬라이딩 이동구동에 대한 구동부하의 집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낮은 자세로 편안하면서 허리 골반운동을 집중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신체 교정 운동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 교정 운동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신체 교정 운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과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 교정 운동장치의 동작도.
도 5 는 변형된 크랭크전환부의 사시도.
도 6과 7 은 변형된 신체 교정 운동장치의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체 교정 운동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 교정 운동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신체 교정 운동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과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 교정 운동장치(1)의 동작도이고, 도 5 는 변형된 크랭크전환부(60)의 사시도이며, 도 6과 7 은 변형된 신체 교정 운동장치(1)의 동작도이다.
신체 교정 운동장치(1)는 프레임(10), 크랭크디스크(20), 구동부(30), 슬라이딩가이드(40), 슬라이더(50), 크랭크전환부(60), 아이들기어(70), 하우징(80) 및 받침대(9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한 판상을 갖는다. 프레임(10)은 후술할 하우징(80)과 결합하여 신체 교정 운동장치(1)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 구성들을 지지한다. 프레임(10)은 고정부재(11)를 갖는다. 고정부재(11)는 프레임(10)에 결합되어 후술할 구동피니언(32), 크랭크피니언(34) 및 아이들기어(70)를 프레임(10)에 고정하도록 한다. 고정부재(11)는 적어도 하나로 마련되며, 각각은 디스크축(22)과 구동축(31)이 관통하도록 하는 축관통공을 가진다. 고정부재(11)는 구동피니언(32), 크랭크피니언(34) 및 아이들기어(70)를 두께방향으로 수용하도록 높이를 갖고 형성된다.
크랭크디스크(20)는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크랭크디스크(20)는 디스크본체(21)와 디스크축(22)을 갖는다. 디스크본체(21)는 원반형상을 갖고, 중심영역에 디스크축(22)이 결합된다. 디스크축(22)은 수직축선에 평행한 디스크축선을 갖는다. 디스크축(22)은 고정부재(11)의 축관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디스크축(22)은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크랭크디스크(20)를 회전구동한다. 구동부(30)는 구동축(31), 구동피니언(32), 구동모터(33) 및 크랭크피니언(34)를 갖는다.
구동축(31)은 디스크축(22)의 디스크축선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갖는다. 구동축(31)은 고정부재(11)의 축관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구동축(31)은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피니언(32)은 구동축(31)의 일단에 결합된다. 구동피니언(32)은 직간접적으로 크랭크피니언(34)에 물림결합되어 상호 회전시킨다.
구동모터(33)는 구동축(31)의 타단이 결합되며 구동축(31)을 회전구동한다. 구동모터(33)는 고정부재(11)에 체결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결합된다.
크랭크피니언(34)은 구동피니언(32)과 물림결합되어 구동모터(33)의 회전구동에 따라 크랭크디스크(20)를 회전시킨다. 크랭크피니언(34)의 중심영역에 디스크축(22)이 결합된다.
슬라이딩가이드(40)는 프레임(10)의 판면에 평행한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 배치된다. 슬라이딩가이드(40)는 슬라이딩지지대(41)와 슬라이딩핀(42)을 갖는다.
슬라이딩지지대(41)는 슬라이딩핀(42)을 지지한다. 슬라이딩지지대(41)는 결합면(411), 지지면(412) 및 핀지지공(413)을 갖는다.
결합면(411)은 체결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공과 같은 결합수단을 갖고 프레임(10)의 판면에 면접촉하며 고정결합된다. 결합면(411)에는 디스크축(22)과 구동축(31)이 관통하는 축관통공이 형성된다.
지지면(412)은 결합면(411)의 양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결합면(411)이 프레임(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10)의 판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지지면(412)의 결합면(411) 일측 폭 전체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결합면(411) 타측의 일부구간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후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핀지지공(413)은 상호 대향한 지지면(412)에 형성되며 삽입되어 슬라이딩핀(42)이 프레임(10)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슬라이딩핀(42)은 핀지지공(41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슬라이딩핀(42)은 후술할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지지공(52)에 삽입되며 슬라이더(5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운동되도록 가이드하며 지지한다. 슬라이딩핀(42)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호 평행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더(50)는 크랭크디스크(20) 상측에 배치되며 슬라이딩가이드(40)를 따라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슬라이더(50)는 슬라이딩본체(51), 슬라이딩지지공(52) 및 받침대연결부(53)을 갖는다.
슬라이딩본체(5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지지공(52)이 프레임(10)의 판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두께를 갖는다. 슬라이딩본체(51)에는 후술할 전환슬롯(62)이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지지공(52)은 슬라이딩본체(51)의 측방에 형성되어 슬라이딩핀(42)이 삽입되며 슬라이딩핀(42)에 슬라이더(50)가 지지되도록 한다.
받침대연결부(53)는 슬라이딩본체(5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후술할 받침대연결판(92)과 결합된다. 받침대연결부(53)는 후술할 전환슬롯(62)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고 형성된다.
크랭크전환부(60)는 크랭크디스크(20)의 회전운동을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왕복하는 슬라이딩 이동운동으로 전환한다. 크랭크전환부(60)는 크랭크디스크(20)와 슬라이더 중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전환핀(61)과 타측에는 수평슬라이딩 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전환핀(61)의 상단을 수용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전환슬롯(62)을 갖는다.
아이들기어(70)는 크랭크피니언(34)과 크랭크디스크(20)에 대하여 물림결합되며 크랭크피니언(20)의 회전에 따라 크랭크디스크(20)를 회전시킨다. 아이들기어(7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크랭크피니언(34)과 구동피니언(32)을 연결하며 크랭크디스크(20)와 구동모터(3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하우징(80)은 프레임(10)과 결합되어 신체 교정 운동장치(1)의 외형을 이룬다. 하우징(80)은 하우징본체(81), 슬라이딩슬롯(82), 손잡이형성구(83) 및 손잡이(84)를 갖는다.
하우징본체(81)는 프레임(10)과 결합되어 내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슬라이딩슬롯(82)은 하우징본체(81)의 상부에 형성된다. 슬라이딩슬롯(82)은 받침대연결부(53)가 관통되며 슬라이더(50)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운동에 따라 받침대연결부(53)가 슬라이딩 이동운동되며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손잡이형성구(83)는 하우징본체(81)의 측방에 형성되어 손잡이(84)가 장착된다.
손잡이(84)는 손잡이형성구(83)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을 넣어 운동기구(1)를 들기 편하도록 한다.
받침대(90)는 하우징(80)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받치는 역할을 한다. 받침대(90)는 받침대본체(91)와 받침대연결판(92)를 갖는다. 받침대본체(91)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얹혀지는 받침대역할을 한다. 받침대연결판(92)은 받침대본체(91)와 고정결합되며 슬라이더(50)의 받침대연결부(53)와 결합된다. 받침대(90)는 슬라이더(50)와 결합되어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운동한다.
도 3과 도 4는 신체 교정 운동장치(1)의 동작도이다.
도 3 (a) 슬라이더(50)의 중앙영역에는 상하로 전환슬롯(62)이 형성되어 있고, 크랭크디스크(20)의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전환핀(61)이 전환슬롯(62)의 상측에 삽입되어 있다.
도 3 (b) 구동모터(33)의 회전구동에 따라 아이들기어(70)가 구동력을 크랭크피니언(34)으로 전달하여 크랭크디스크(20)의 전환핀(61)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핀(61)이 전환슬롯(62)의 좌측을 밀어 슬라이더(50)를 좌측으로 밀게된다. 전환핀(61)은 전환슬롯(62)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전환슬롯(62) 중앙에 위치한다.
도 4 (a) 구동모터(33)의 회전구동에 따라 아이들기어(70)가 구동력을 크랭크피니언(34)으로 전달하여 크랭크디스크(20)의 전환핀(61)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핀(61)이 전환슬롯(62)의 우측을 밀어 슬라이더(50)를 우측으로 밀게된다. 전환핀(61)은 전환슬롯(62)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전환슬롯(62) 중앙에 위치한 후 다시 전환슬롯(62)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전환슬롯(62) 중앙에 위치한다.
도 4 (b) 구동모터(33)를 계속 회전구동시킴에 따라 아이들기어(70)가 구동력을 크랭크피니언(34)으로 전달하여 크랭크디스크(20)의 전환핀(61)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핀(61)이 전환슬롯(62)의 좌측을 밀어 슬라이더(50)를 좌측으로 밀게된다. 전환핀(61)은 전환슬롯(62)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전환슬롯(62) 상측에 위치한다.
도 5 는 변형된 크랭크전환부(60)의 사시도이다.
변형된 크랭크전환부(60)의 전환핀(61)은 크랭크디스크(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말단으로부터 돌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높이조절돌출부(611)를 갖는다. 전환슬롯(62)은 내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높이조절장공(621)을 갖는다. 높이조절장공(621)은 전환슬롯(62)의 내측면에 파형을 갖고 형성된다. 높이조절장공(621)은 높이조절돌출부(611)가 삽입되며, 구동모터(33)의 회전구동에 따라 아이들기어(70)가 구동력을 크랭크피니언(34)으로 전달하여 크랭크디스크(20)의 전환핀(61)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핀(61)이 전환슬롯(62)을 밀거나 당기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높이조절돌출부(611)가 높이조절장공(62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파형으로 형성된 높이조절장공(621)에 의해 슬라이더(50)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운동한다.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지지공(52)은 슬라이딩핀(42)을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50)의 두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슬라이더(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높이조절장공(621)에 의해 슬라이더(5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경우 슬라이딩핀(42)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지지공(52)의 상하로 이동된다.
도 6과 7 은 변형된 신체 교정 운동장치(1)의 동작도이다.
도 6 (a) 전환핀(61)이 전환슬롯(62)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높이조절돌출부(611)가 높이조절장공(621)의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50)는 하강한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도 6 (b) 구동모터(33)의 회전구동에 따라 아이들기어(70)가 구동력을 크랭크피니언(34)으로 전달하여 크랭크디스크(20)의 전환핀(61)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핀(61)이 전환슬롯(62)의 좌측을 밀어 슬라이더(50)를 좌측으로 밀게된다. 전환핀(61)은 전환슬롯(62)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전환슬롯(62) 중앙에 위치한다. 높이조절장공(621)은 전환슬롯(62)의 상측에서 중앙영역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므로 높이조절돌출부(611)가 높이조절장공(621)의 낮은 곳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50)는 상승한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도 7 (a) 구동모터(33)의 회전구동에 따라 아이들기어(70)가 구동력을 크랭크피니언(34)으로 전달하여 크랭크디스크(20)의 전환핀(61)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핀(61)이 전환슬롯(62)의 우측을 밀어 슬라이더(50)를 우측으로 밀게된다. 전환핀(61)은 전환슬롯(62)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전환슬롯(62) 중앙에 위치한 후 다시 전환슬롯(62)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전환슬롯(62) 중앙에 위치한다. 높이조절장공(621)은 전환슬롯(62)의 중앙영역에서 상하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므로 높이조절돌출부(611)가 높이조절장공(621)의 높은 곳에 위치한 후 다시 낮은 곳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50)는 하강한 위치에 위치한 후 다시 상승한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도 7 (b) 구동모터(33)를 계속 회전구동시킴에 따라 아이들기어(70)가 구동력을 크랭크피니언(34)으로 전달하여 크랭크디스크(20)의 전환핀(61)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핀(61)이 전환슬롯(62)의 좌측을 밀어 슬라이더(50)를 좌측으로 밀게된다. 전환핀(61)은 전환슬롯(62)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전환슬롯(62) 상측에 위치한다. 높이조절장공(621)은 전환슬롯(62)의 중앙영역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므로 높이조절돌출부(611)가 높이조절장공(621)의 높은 곳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50)는 하강한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상기 전환핀(61)은 크랭크디스크(20)에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데 돌출된 부분과 돌출된 부분에 대하여 회전되는 회전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부가 전환슬롯(62)을 밀면서 이동하는데에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아 부하가 감소한다.
높이조절장공(621)이 전환슬롯(62) 영역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도록 형성하면 슬라이더(50)가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반복되면서 받침대(90)가 기울어졌다가 수평이 되었다가를 반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전환슬롯(62)의 형상이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와는 달리 곡률이 큰 타원형상을 가지며 전환슬롯(62)의 내측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곡률이 작은 타원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변경부재를 더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신체 교정 운동장치(1)로 인하여, 크랭크디스크(20)의 판면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운동기구(1)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크랭크디스크(20)의 판면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크랭크디스크(20)의 회전운동을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왕복하는 슬라이딩 이동운동으로 전환하므로 슬라이딩 이동구동에 대한 구동부하의 집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크랭크전환부(60)로 인하여 크랭크디스크(20)의 판면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크랭크디스크(20)의 회전에 따라 전환슬롯(62)에 삽입된 전환핀(61)이 회전되면서 슬라이더(50)가 슬라이딩가이드(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운동할 수 있다. 구동모터(33) 영역과 크랭크디스크(20)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운동기구(1)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기어(70)로 인하여 크랭크디스크(20)와 구동모터(3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40)는 상호 평행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슬라이더(50)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안정적일 수 있다.
1 : 신체 교정 운동장치 10 : 프레임
11 : 고정부재 20 : 크랭크디스크
21 : 디스크본체 22 : 디스크축
30 : 구동부 31 : 구동축
32 : 구동피니언 33 : 구동모터
34 : 크랭크피니언 40 : 슬라이딩가이드
41 : 슬라이딩지지대 42 : 슬라이딩핀
50 : 슬라이더 51 : 슬라이딩본체
52 : 슬라이딩지지공 53 : 받침대연결부
60 : 크랭크전환부 61 : 전환핀
62 : 전환슬롯 70 : 아이들기어
80 : 하우징 81 : 하우징본체
82 : 슬라이딩슬롯 83 : 손잡이형성구
84 : 손잡이 90 : 받침대
91 : 받침대본체 92 : 받침대연결판

Claims (5)

  1. 신체 교정 운동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며, 수직축선에 평행한 디스크축선을 갖는 디스크축을 갖고 회전 가능한 크랭크디스크;
    상기 크랭크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
    상기 크랭크디스크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크랭크디스크의 회전운동을 상기 수평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왕복하는 슬라이딩 이동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전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교정 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전환부는,
    상기 크랭크디스크와 상기 슬라이더 중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전환핀과, 타측에는 상기 수평슬라이딩 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환핀의 상단을 수용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전환슬롯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교정 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스크축선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갖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크랭크피니언; 및
    상기 구동축의 타단이 결합되어 회전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교정 운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피니언과 상기 크랭크디스크에 대하여 물림결합되며 상기 크랭크피니언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크랭크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교정 운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는 상호 평행한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교정 운동장치.
KR1020190143224A 2019-11-11 2019-11-11 신체 교정 운동장치 KR102323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224A KR102323984B1 (ko) 2019-11-11 2019-11-11 신체 교정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224A KR102323984B1 (ko) 2019-11-11 2019-11-11 신체 교정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81A true KR20210056581A (ko) 2021-05-20
KR102323984B1 KR102323984B1 (ko) 2021-11-09

Family

ID=7614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224A KR102323984B1 (ko) 2019-11-11 2019-11-11 신체 교정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9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983A (ko) * 2005-07-28 2007-02-01 김성식 마사지 장치
KR20080042427A (ko) 2006-11-10 2008-05-15 황인철 척추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KR101287293B1 (ko) * 2013-04-15 2013-07-17 최병호 발목 및 다리 스트레칭 장치
KR20130115643A (ko) * 2012-04-12 2013-10-22 (주)엔텍 전신 좌우 굴절 운동 치료기
JP3187881U (ja) * 2013-10-09 2013-12-19 翔天電子實業有限公司 腰捩れ用健康器具
KR101528434B1 (ko) * 2014-12-03 2015-06-11 성락출 척추교정용 골반 자극장치
KR101630570B1 (ko) * 2015-02-27 2016-06-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881B2 (ja) 1991-10-29 2001-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低温庫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983A (ko) * 2005-07-28 2007-02-01 김성식 마사지 장치
KR20080042427A (ko) 2006-11-10 2008-05-15 황인철 척추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KR20130115643A (ko) * 2012-04-12 2013-10-22 (주)엔텍 전신 좌우 굴절 운동 치료기
KR101287293B1 (ko) * 2013-04-15 2013-07-17 최병호 발목 및 다리 스트레칭 장치
JP3187881U (ja) * 2013-10-09 2013-12-19 翔天電子實業有限公司 腰捩れ用健康器具
KR101528434B1 (ko) * 2014-12-03 2015-06-11 성락출 척추교정용 골반 자극장치
KR101630570B1 (ko) * 2015-02-27 2016-06-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984B1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0871C (en) Percussive massager with variable node spacing
KR101981420B1 (ko) 마사지 기구, 및 이 마사지 기구를 구비한 좌식형 마사지기
EP2208514A2 (en) Adaptive motion exercise device with oscillating track
US7155768B2 (en) Electric-motored floor-surface polisher
KR20220083139A (ko) 마사지 모듈 및 이를 갖는 안마의자
CN218046362U (zh) 一种摆动中心可调的踝泵运动装置
KR20210056581A (ko) 신체 교정 운동장치
EP3388114A1 (en) Elliptical trainer
KR100830900B1 (ko) 스윙, 회동 및 틸팅 조정 가능한 복합 운동기구
US20220202195A1 (en) Multifunctional Vibration Equipment With Less Noise
JP4223839B2 (ja) 4つ玉式マッサージ機構とこの機構を内蔵したマッサージ装置
TWI294294B (ko)
KR20200022150A (ko) 붕어운동 유도 기구
JP3120613U (ja) 腰部および脚部の運動器具
KR20130027181A (ko) 바닥재 철거장치
US20140197668A1 (en) Massage chair
JP2009291320A (ja) 揺動装置
JP6902799B2 (ja) 膝関節痛み改善装置
JP6284792B2 (ja) 電気かみそり
JP2003038591A (ja) 四つ玉式マッサージ機構とこの機構を内蔵したマッサージ装置
KR20120002930U (ko) 앉은 자세에 따라 형상 변경이 가능한 의자
JP5033236B2 (ja) 運動装置
US5489257A (en) Massaging assembly with movable lower-back supporting member
KR20110030150A (ko) 복부근육 강화와 척추근육 강화를 위한 허리운동기구
CN211324037U (zh) 一种多功能婴儿摇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