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605A -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605A
KR20210054605A KR1020190139539A KR20190139539A KR20210054605A KR 20210054605 A KR20210054605 A KR 20210054605A KR 1020190139539 A KR1020190139539 A KR 1020190139539A KR 20190139539 A KR20190139539 A KR 20190139539A KR 20210054605 A KR20210054605 A KR 20210054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adar
vehicle
par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규
심소정
이일주
홍승찬
하재환
방상호
이동창
홍승수
윤왕균
홍승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첨단소재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첨단소재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605A/ko
Priority to US16/863,410 priority patent/US11332611B2/en
Priority to CN202010435790.1A priority patent/CN112778708A/zh
Publication of KR2021005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7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e.g. form, type, material or rugged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21Phosphates
    • C08K2003/324Alkali metal phosp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1Velocity regulation, e.g. cruise cont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인 물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유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용 조성물은 레이더에서 방사되는 레이더 빔이 투과되는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를 형성하는 조성물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70 ~ 90wt%와 폴리카보네이트(PC) 10 ~ 30wt%가 혼합되는 주재와; 적어도 강화필러를 포함하는 첨가제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adar penetration cov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인 물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유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의 자율주행을 가능하게는 하는 차량용 레이더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차량용 레이더 기술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예는 스마트 크루즈 시스템이 있다.
스마트 크루즈 시스템이란, 차량 전방에 장착된 레이더에 의해서 선행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엔진과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차량을 가감속시킴으로써 선행차량을 회피하여 차선을 변경하거나 선행차량이 없는 상태가 되면 최초 설정된 속도로 다시 가속 후 정속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스마트 크루즈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차량에는 레이더 장치가 장착되고, 레이더에서 방사되는 레이저 빔의 송수신을 통하여 선행차량의 움직임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레이더 장치는 레이저 빔을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밀리미터파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등의 내부전자 부품 및 이를 보호하는 레이돔(radome)을 포함한다. 또한, 레이돔의 전방에는 레이더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가 배치된다.
상기 레이돔 및 커버와 같은 레이더 모듈의 전방을 덮는 투과커버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레이더 내부의 안테나 등과 같은 내부 부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보호하기 위하여 충분한 강성이 필요하고,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레이더 빔의 투과 시 투과 손실을 최소화하여야 하는 요구조건을 갖는다.
또한, 투과커버는 자동차 엔진오일, 가솔린, 에탄올/알코올 같은 화학성분으로부터 화학적 반응을 하지 않는 안정화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레이돔 및 커버와 같은 레이더 모듈의 전방을 덮는 투과커버를 제작하는 소재는 PBT계열의 주재에 강화필러로 유리섬유(GF)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강화필러로 혼합되는 유리섬유(GF)는 그 함량이 증가될수록 요구되는 소재의 기계적인 물성은 증가되나, 레이더 투과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특성은 악화되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를 갖는다.
또한,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레이더 빔이 1차적으로 투과되는 레이돔의 경우, 레이돔 치수가 틀어지게 되면 방사되는 레이더 빔의 위상(phase)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빔 패턴이 틀어지는 빔 왜곡 현상이 발생된다.
한편, 종래에는 PBT계열의 주재에 강화 필러로 유리섬유만으로 빔 왜곡 현상을 보완할 수 없기 때문에 주재에 ASA 소재를 더 혼합해서 빔 왜곡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ASA 소재를 형성하는 아크릴 러버는 유전특성을 악화시키는 성분으로써 레이더 투과성능이 좋지 않아 레이더 빔 감지거리를 짧게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57092호 (2010.05.03)
본 발명은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키지만 유전특성을 저하시키는 성분을 사용하지 않도록 성분을 조정하여 기계적인 물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유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용 조성물은 레이더에서 방사되는 레이더 빔이 투과되는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를 형성하는 조성물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70 ~ 90wt%와 폴리카보네이트(PC) 10 ~ 30wt%가 혼합되는 주재와; 적어도 강화필러를 포함하는 첨가제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재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폴리카보네이트(PC)의 합계 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2.5 ~ 7.5중량부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가제에는 인계 안정제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재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70 ~ 80wt%와 폴리카보네이트(PC) 20 ~ 30wt%가 혼합되고, 상기 인계 안정제는 주재 100중량부 대하여 0.2 ~ 0.5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계 안정제는 오르가노포스파이트(organo-phosphite) 또는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화필러는 유리섬유(GF)이고, 상기 유리섬유는 주재 100중량부 대하여 10 ~ 2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섬유는 장축길이가 60 ~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재를 형성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폴리카보네이트(PC)의 분율을 최적화시키고, 인계 안정제를 첨가하여 기계적 물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유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화학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레이더 빔 패턴이 왜곡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유전손실을 개선할 수 있으며, 표면 변색 및 물성 저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비중이 낮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를 사용하면서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리섬유의 함량을 낮춰 동일 유사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면서도 유전손실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의 장축길이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내충격 강도 및 제품 변형 최소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분 종류 및 함량과 물성 평가값을 보여주는 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분 종류 및 함량과 물성 평가값을 보여주는 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은 레이더에서 방사되는 레이더 빔이 투과되는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를 형성하는 조성물로서, 본 실시예에 따라 조성되는 조성물은 차량의 레이더 장치에 적용되는 레이돔 및 전방 커버와 같은 레이더 빔이 투과되는 커버 부재를 제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70 ~ 90wt%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10 ~ 30wt%가 혼합되는 주재와; 상기 주재의 내화학성 또는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인 물성의 향상을 위한 첨가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주재는 투과커버의 전체적인 형상 및 물성을 유지시키는 성분들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폴리카보네이트(PC)를 혼합하여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폴리카보네이트(PC)의 합량을 100wt%로 하여 주재를 형성하였다. 그래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의 함량 상한값은 폴리카보네이트(PC)의 함량과 연동된다.
만약 폴리카보네이트(PC)의 함량이 10wt% 미만이면, 레이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치수안정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폴리카보네이트(PC)의 함량이30wt%를 초과하면, 에탄올 등 화학물질에 반응하여 변색 및 물성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주재를 형성하는 성분으로 기계적 물성은 향상시키지만 반대로 유전특성을 저하시키는 성분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 Acrylonitrile-Styrene-Acrylate)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주재의 성분으로 사용하지 않고,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함으로써 기계적 물성 및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다만, 폴리카보네이트(PC)는 기계적 물성 및 치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그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첨가제로 내화학성의 확보를 위하여 인계 안정제를 사용한다.
부연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주재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하는데, 두 성분 중 폴리카보네이트(PC)는 함량이 증가하게 되면 에탄올 등 화학물질에 반응하여 변색 및 물성저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혼합에 따른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첨가제로 인계 안정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인계 안정제는 오르가노포스파이트(organo-phosphite) 또는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과 같은 안정제로서, Ester 결합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PC)와 에탄올 간 내화학성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킨다.
이때 인계 안정제는 주재 100중량부 대하여 0.2 ~ 0.5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계 안정제의 함량이 0.2중량부 미만이면,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인계 안정제의 함량이 0.5중량부 초과이면, 과도하게 첨가된 인계 안정제가 불순물로 작용하여 물성저하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투과커버의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인 물성의 향상을 위하여 주재에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 Ethelene)를 더 혼합할 수 있다. 이렇게 주재에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를 더 혼합함에 따라 투과커버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혼합되는 강화필러와 같은 첨가제의 혼합량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주재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폴리카보네이트(PC)의 합계 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2.5 ~ 7.5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함량이 2.5중량부 미만이면 내충격성의 개선 효과가 미흡하여 유리섬유와 같은 강화필러의 혼합량을 줄이기 어렵고,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함량이 7.5%중량부 초과이면 사출 흐름이 급격히 저하되어 유리섬유와 같은 강화필러를 고르게 분산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사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투과커버의 휨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화필러를 첨가제로 더 혼합할 수 있다.
강화필러는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섬유(GF)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유리섬유는 주재 100중량부 대하여 10 ~ 2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섬유(GF)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휨 변형량 감소와 같은 기계적인 특성의 향상 효과가 미비하고, 유리섬유(GF)의 함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유전손실이 증가하여 유전손실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투과커버의 휨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강화필러인 유리섬유(GF)는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유전손실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주재에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 Ethelene)를 더 혼합하면서, 강화필러인 유리섬유(GF)의 혼합량을 줄임으로써 유전손실을 개선하여 레이더 투과성능을 향상시킨다.
한편, 강화필러로 사용되는 유리섬유(GF)는 침상모양을 갖는데, 유리섬유의 장축과 단축 길이 차이에 의해 제품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섬유의 장축길이를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유리섬유(GF)는 장축길이가 60 ~ 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섬유(GF)는 장축길이가 60㎛ 미만이면 휨과 같은 변형을 저하시킬 수 있으나, 요구되는 내충격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유리섬유(GF)는 장축길이가 400㎛ 초과이면 휨과 같은 변형이 상당 수준으로 발생하여 투과커버 소재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비교예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주재 및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을 변경하여 시편을 제작한 다음 유전손실, 내화학성 및 제품 휨 평가를 실시하였다.
주재 및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은 도 1과 같이 변경하였고, 평가 결과를 도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이때 도 1에 따른 평가는 주재로 사용되는 PBT와 PC의 함량(wt%) 및 첨가재로 사용되는 내화학 개선제의 사용 유무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시편은 일반적인 양산재에 적용되는 강화필러와 동일하게 강화필러인 GF를 주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를 첨가하였다. 또한 내화학 개선제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경우에 내화학 개선제로 인계 안정제를 사용하였고, 주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동일하게 0.3중량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시편의 휨 평가는 레이돔 제품을 제작한 다음, 상단부에 레이저 스캔을 조사하여, Z축의 고점과 저점을 체크함으로써 제품의 휨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유전율과 유전손실 평가는 ASTM D2520, JISC256 규격을 따랐으며, 공식 실험명은 Standard Test Methods for Complex Permittivity(dielectric Constant)이다. 시편을 3x10x30mm로 샘플 제작하여 금속 빈공간에 넣어, 시편이 없을 때와 있을 때의 해당영역의 공진주파수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유전율 및 유전손실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내충격 평가는 ASTM D256 평가규격을 사용하였으며, 상온(23도)에서 두께 3.2mm로 제작된 시편에 대하여 IZOD 충격강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내화학성 평가는 가솔린, 디젤, 고광택 왁스, 엔진오일, 에탄올, 아세톤 등의 화학약품을 스포이드 등을 사용하여 시편의 유효면에 직접 떨어뜨리고,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다음, 85℃ 챔버에 투입하고 3시간 경과 후 꺼내서 화학약품을 닦아낸 시편에 대하여 그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균열, 변색, 퇴색 부풀음 등이 관찰되지 않으면 'PASS'로 판단하고, 균열, 변색, 퇴색 및 부풀음 등이 관찰되면 'NG'로 판단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를 형성하는 조성물로서, 유전손실 0.01 이하이고, 제품 휨 평가는 0.35mm이하이며, 내충격강도는 70이상이고, 내화학성은 만족(PASS) 평가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더 빔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레이돔의 치수안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종래의 양산재인 No. 4 시편은 치수안정성을 위해 ASA를 첨가하여, 제품 휨 평가에 만족하는 수준(0.35mm 이하)을 보였으나, 유전손실이 나빠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유전손실을 개선하기 위하여 ASA를 배제시키고 PBT만으로 제작된 No. 5 시편은 유전손실은 우수하나 제품 휨 평가 결과가 크게 나빠져서 레이돔 소재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No. 1 내지 No. 3 시편 및 No. 6 내지 No. 8 시편은 ASA를 배제시킨 상태에서 PBT와 PC를 혼합하여 주재를 형성한 시편으로서, No. 1 시편의 경우 PC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유전손실이 적었고, 내화학 개선제인 인계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았지만, 내화학성에 문제가 없었다.
또한, No. 6 및 No. 7 시편의 경우 PC 함량이 점점 높아질수록 에탄올 등의 화학물질에 반응하여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No. 2 및 No. 3 시편의 경우에는 내화학성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하여 organo-phosphite, Sodium Phosphate 같은 인계 안정제를 혼합하였다. 그 결과 내화학성이 개선되었고, 이는 인계 안정제를 통해 PC-에탄올 간 ester 결합을 일으키는 반응기와 선 결합을 통한 구조안정화에 기인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한편, No. 8 시편의 경우에는 내화학 개선제인 인계 안정제를 첨가하였지만, PC의 함량이 너무 많아 내화학성의 개선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유전손실의 개선을 위하여 강화필러로 사용되는 GF의 함량을 줄이면서 강성 저하를 보완하기 위하여 LLDPE를 추가로 혼합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주재 및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을 변경하여 시편을 제작한 다음 유전율, 유전손실, 내충격 강도(J/m) 및 제품 휨 평가를 실시하였다.
주재 및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은 도 2와 같이 변경하였고, 평가 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이때 각 시편은 No. 12 시편을 제외하고 내화학 개선제로 사용되는 인계 안정제를 혼합하였다.
한편, 레이더 감지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유전손실을 낮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레이돔 부품의 경우, 외부 환경으로부터 변형 및 파손 등의 문제를 막기 위해 내충격 강도가 꼭 필요하며, 이를 위한 물성강화 목적으로 전술된 실험의 시편들과 같이 GF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No. 18 및 No. 19 시편의 경우와 같이 GF를 혼합하지 않은 시편은 유전손실은 매우 좋으나, 내충격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GF는 레이더 감지성능에 가장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소재인자로서, No. 13, No. 14 및 No. 17 시편의 경우와 같이 GF의 혼합량이 많아짐에 따라 유전손실 값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강화필러인 GF의 첨가에 따라 유전손실과 내충격 강도는 서로 trade off 관계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GF 함량을 낮춰서 유전손실을 개선하는 동시에, 내충격 강도 기준 조건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주재에 LLDPE를 추가로 혼합한 것이다.
GF를 혼합하지 않은 No. 18 및 No. 19 시편 및 PBT와 PC로만 주재를 형성한 No. 16 및 No. 17 시편에 비하여 PBT와 PC에 LLDPE를 더 혼합한 NO. 9 내지 No. 12 시편의 경우에 내충격 강도가 약 5배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GF를 15 중량부 이하로 첨가했을 시에도 내충격 강도를 확보하고 유전손실도 양산재(No. 13) 대비, 35% 가량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LLDPE가 첨가되지 않았으면서 GF의 혼합량이 15 중량부인 No. 16 시편의 경우에는 내충격 강도를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LLDPE는 그 함량이 많을수록 유전손실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내충격강도는 증가할 수 있으나, No. 15 시편과 같이 LLDPE 10중량부 첨가 시, GF의 분산성이 확보되지 않아 사출자체가 되지 않기에 소재로써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한편, GF는 장/단축 길이 차이에 의해 레이돔 소재의 미세한 변형을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레이더 안테나에서 방사한 레이더 빔 변형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발생할 수 있다.
GF는 장/단축 길이 차이가 적을수록(구형이 될수록) 레이더 빔의 변형이 적다. 실제로 No. 21 시편의 경우와 같이 장축길이가 짧은(50㎛) 경우에 휨 평가 기준은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으나, 내충격강도가 급격하게 하락하여서 레이돔 소재로 사용이 불가하였다.
반면에, No. 14 시편의 경우와 같이 GF의 장축길이가 긴(500㎛) 제품 제작 시, 강도 확보는 가능하나 제품 휨 변형이 심하여 레이돔 소재로 사용이 불가하였다.
한편, No. 9 내지 No. 12의 경우, 본 발명에서 제시한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을 만족하는 시편으로서, 유전율, 유전손실, 내충격 강도 및 제품 휨 평가가 모두 만족하는 수준을 보였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7)

  1. 레이더에서 방사되는 레이더 빔이 투과되는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를 형성하는 조성물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70 ~ 90wt%와 폴리카보네이트(PC) 10 ~ 30wt%가 혼합되는 주재와;
    적어도 강화필러를 포함하는 첨가제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재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폴리카보네이트(PC)의 합계 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2.5 ~ 7.5중량부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에는 인계 안정제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용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재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70 ~ 80wt%와 폴리카보네이트(PC) 20 ~ 30wt%가 혼합되고,
    상기 인계 안정제는 주재 100중량부 대하여 0.2 ~ 0.5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용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계 안정제는 오르가노포스파이트(organo-phosphite) 또는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화필러는 유리섬유(GF)이고,
    상기 유리섬유는 주재 100중량부 대하여 10 ~ 2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용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장축길이가 60 ~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투과 커버용 조성물.
KR1020190139539A 2019-11-04 2019-11-04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 KR20210054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539A KR20210054605A (ko) 2019-11-04 2019-11-04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
US16/863,410 US11332611B2 (en) 2019-11-04 2020-04-30 Composition for radar transmissive cover for vehicle
CN202010435790.1A CN112778708A (zh) 2019-11-04 2020-05-21 车辆的雷达透射罩的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539A KR20210054605A (ko) 2019-11-04 2019-11-04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605A true KR20210054605A (ko) 2021-05-14

Family

ID=7568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539A KR20210054605A (ko) 2019-11-04 2019-11-04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32611B2 (ko)
KR (1) KR20210054605A (ko)
CN (1) CN1127787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34906A1 (de) 2022-01-18 2023-07-20 Hyundai Advanced Materials Co., Ltd. Harzgeformtes produkt mit hoher schlagzähigkeit und geringem dielektrischen verlust und radarmodul mit dies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366A (ko) * 2020-04-28 2021-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
CN113372660B (zh) * 2021-07-05 2022-08-2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asa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92B1 (ko) 2007-10-02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파 송수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537A (ja) * 1992-05-06 1993-11-22 Nikon Corp 面形状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US5594062A (en) * 1994-03-16 1997-01-14 Kawasaki Steel Corporation Polycarbonate/polyolefin based resin compositions and their production processes and uses
KR20030069495A (ko) 2002-02-20 2003-08-27 서동학 부분 가교된 폴리프로필렌과 그의 공중합체의 제조 및그의 조성물
KR100535469B1 (ko) * 2003-04-16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607405B1 (ko) 2004-06-10 2006-08-02 한양소재 주식회사 대나무를 이용한 환경친화성시트 조성물
WO2007032253A1 (ja) * 2005-09-12 2007-03-2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体
CN101469114A (zh) * 2007-12-25 2009-07-01 上海普利特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增韧增强pc/pb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8404763B2 (en) * 2008-06-11 2013-03-26 Wintech Polymer Ltd. Method for forming an insert injection-molded article exhibiting improved resistance to heat shock comprising a specifically defined polybut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CN101875770B (zh) * 2010-07-14 2012-06-13 深圳市科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玻纤增强pc/pe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US9957388B2 (en) * 2013-01-10 2018-05-01 Mitsubishi Engineering-Plastics Corporation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N103709681B (zh) * 2013-12-20 2016-03-30 上海日之升新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高韧性、高耐热玻纤增强pb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6105178A1 (ko) * 2014-12-26 2016-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레이더 커버용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얻어진 레이더커버 및 레이더장치
EP3766937B1 (en) * 2016-05-19 2022-07-13 Mitsubishi Engineering-Plastics Corporation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92B1 (ko) 2007-10-02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파 송수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34906A1 (de) 2022-01-18 2023-07-20 Hyundai Advanced Materials Co., Ltd. Harzgeformtes produkt mit hoher schlagzähigkeit und geringem dielektrischen verlust und radarmodul mit diesem
KR20230111325A (ko) 2022-01-18 2023-07-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고내충격성 및 저유전손실을 갖는 수지 성형품,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32611B2 (en) 2022-05-17
US20210130607A1 (en) 2021-05-06
CN112778708A (zh)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4605A (ko)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
KR100755985B1 (ko)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EP2902443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radar cover
JP6147956B2 (ja) 高周波信号伝送部品、及び高周波電気・電子機器
EP1529807A2 (en) Epoxy resin composition for encapsulating optical semiconductor element and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U7747000A (en) Flame-retarded 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EP4006104A1 (en)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shaped article
CN110520468B (zh) 树脂组合物用填料、含填料的浆料组合物以及含填料的树脂组合物
KR20110134300A (ko) 광학 용도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이를 사용한 광학 부품, 및 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광반도체 장치
DE10211513A1 (de) Polyesterharzzusammensetzung und Formprodukt hiervon
US20220325037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millimeter-wave radar member,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composition
KR101447269B1 (ko) 폴리카보네이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KR20210133366A (ko) 차량의 레이더 투과커버용 조성물
KR102477271B1 (ko) 고인성 및 난연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US11223123B2 (en) Radio-wave-transmissive cover of vehicle radar
EP4198088A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olded product produced therefrom
JP2020164818A (ja) 高周波通信機器部品用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2593343B1 (ko)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KR20230111325A (ko) 고내충격성 및 저유전손실을 갖는 수지 성형품, 이를 포함하는 레이더 모듈
KR102547560B1 (ko) 경통 부재
KR20230055055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23131674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20230107839A (k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조성물 및 이의 레이더 디바이스 구성요소
KR20220154953A (ko) 플라스틱 복합 수지 조성물, 플라스틱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레이더 흡수용 플라스틱 성형물
CN114395236A (zh) 一种低介电玻纤增强pc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