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343B1 -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343B1
KR102593343B1 KR1020230031177A KR20230031177A KR102593343B1 KR 102593343 B1 KR102593343 B1 KR 102593343B1 KR 1020230031177 A KR1020230031177 A KR 1020230031177A KR 20230031177 A KR20230031177 A KR 20230031177A KR 102593343 B1 KR102593343 B1 KR 102593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oil
ether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23003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10M169/04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the additives being a mixture of non-macromolecular an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16Paraffin waxes; Petrolatum, e.g. slack wa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7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two or more specified different alkylene oxides covered by groups C10M2209/104 - C10M2209/106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1/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1/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carbon, hydrogen and halo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Phosphate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연기관의 실린더 내벽의 미세 흠집을 일차적으로 막을 형성하고 엔진속에서 일어나는 연료와 피스톤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인해, 이들 사이에 반응이 일어나면서 이차적으로 추가 막을 형성함으로써, 마찰 감소의 특성이 있다. 또한, 일부 조성물이 엔진의 연소실이 노출이 됨에 따라 연료의 연소를 돕는 촉매작용에도 관여함으로써 연소 효율 향상하고 매연의 발생율을 낮추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베이스 오일 100 중량부; 상기 베이스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10~50 중량부 및 청정제 5~45 중량부 포함되고, 상기 첨가제는 가소제 15~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0~15 중량부, 미네랄오일 5~10 중량부, 난연제 1~3 중량부 및 희석제 1~5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Oil additive composi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본 발명은 내연기관 보호하고 연소를 촉매하여 연료절감 및 매연 발생율을 낮추는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자동차는 휘발유, 디젤 등의 액체연료를 이용하여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꿈으로써 작동한다. 이때, 상기 에너지를 전화하기 위한 핵심장치인 엔진은 연료를 흡기한 다음 이를 압축하고 폭발시키고 발생한 가스 등의 기체를 배출하는 공정을 거친다.
그러나, 상기 공정에서 엔진연료는 불완전 연소공정을 거침에 따라 카본,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및 이산화질소가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한 기체는 내연기관의 내부에 고착되어 연료 불순물을 생성한다.
상기 고착된 연료 불순물은 방치할 경우 잦은 엔진시동의 꺼짐, 연료기관의 마찰손실, 연료 손실이 커지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엔진이 운동함에 따라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으며 마찰손실을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이 촉구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0185호 엔진오일 첨가제 및 제조방법에 따르면, 금속설파이드, 나이트라이드 및 유기몰리브덴-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경우 금속설파이트나, 유기몰리브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료가 오일을 ?j유함에 따라 뭉쳐지고 이는 윤활 분순물로 작용되어 오히려 주기적으로 이를 청소할 필요가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0971호 엔진 오일 첨가제에 따르면, 엔진오일 첨가제에 나노 이산화규소를 첨가하는 것으로써, 구형상으로 피스톤과 실리더 사이에 볼 베어링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이산화규소의 뭉치는 현상으로 인하여 실리더와 피스톤 사이에 오히려 상처를 냄에 따라 엔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33018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74097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 실린더에 이중 막을 형성하여 마찰 감소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연소 촉매작용을 통한 연소효율을 높임으로써 환경오염 배출가스 저감 기능을 갖는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오일 100 중량부; 상기 베이스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10~50 중량부 및 희석제 5~45 중량부 포함되고, 상기 첨가제는 가소제 15~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0~15 중량부, 미네랄오일 5~10 중량부, 난연제 1~3 중량부 및 청정제 1~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오일은 엔진오일과 미션오일이 2:1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네랄오일은 유상유, 화이트유 및 이들의 혼합유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청정제는 1,2,4-트리클로로벤젠,1, 1, 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2-메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2-에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2-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2-이소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2-부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에테르(2-페녹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벤질에테르(2-벤질옥시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n-부틸에테르(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디메톡시에탄), 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디에톡시에탄) 및 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디부톡시에탄)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은, 내연기관의 실린더 내벽의 미세 흠집을 일차적으로 막을 형성하고 엔진속에서 일어나는 연료와 피스톤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인해, 이들 사이에 반응이 일어나면서 이차적으로 추가 막을 형성함으로써, 마찰 감소 효과가 있다.
또한, 일부 조성물이 엔진의 연소실에 노출 됨에 따라 연료의 연소를 돕는 촉매작용에도 관여함으로써 연료 효율 향상하고 이는 매연의 발생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의 시험 성적서이다.
도 2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적용 전/ 후 막 형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오일 100 중량부; 상기 베이스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10~50 중량부 및 희석제 5~45 중량부 포함한다.
이하, 상기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베이스 오일은 기계의 마찰면에 생기는 마찰력을 줄이거나 마찰을 분산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오일로써, 일반적으로 엔진오일의 경우 사용할수록 피스톤 왕복 운동이 일어남으로써 엔진오일에 전단응력이 지속적으로 주어지고, 이에 따라 분자구조가 끊어져 점도가 저하된다. 이는 윤활에 필요한 유막 형성을 위한 점성 유지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점도조절지수제를 추가로 혼합하여 이를 개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엔진오일과 미션오일을 특정비율로 혼합하여 전단응력에 의한 분자구조 변형되는 것을 막는다.
관련하여 상기 미션오일은 황(S)과 인 광물질이 포함된 미션오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광물질이 실린더 표면에 막을 형성하고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관련하여 상기 황 광물질은 일반적으로 마모방지제에 인(P)같이 많이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는 황과 인이 다량으로 포함되는 경우 매연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후처리 장치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 포함하지 않으면서 황의 경우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양만 포함함으로써 후처리 장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엔진오일과 미션오일은 2 : 1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상기 미션오일의 비율이 높거나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동점도 지수가 낮아짐에 따라 엔진오일 교체 비율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엔진오일이 단독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전단응력에 의한 점도저하 원인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베이스 오일에 부가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의 구체적인 조성물은 가소제 15~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0~15 중량부, 미네랄오일 5~10 중량부, 난연제 1~3 중량부 및 청정제 1~5 중량부 포함된다.
이하 상기 첨가제에 포함된 각 조성물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 가소제
가소제는 물질의 점성 또는 소성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소제는 첨가제의 점성을 낮출 뿐만 아니라 실린더의 내벽에 추가 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소제는 는 디옥틸 프탈레이트(DOP), 디옥틸 아디페이트(DOA), 디옥틸 세바케이트(DOS), 디부틸 프탈레이트(DBP),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PP), 트리크레실포스테이트(T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관련하여, 상기 가소제는 15~25 중량부 포함되는게 바람직한데, 만약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흡착성능이 떨어짐에 따라 2차 막 형성에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25 중량부 초과 포함되는 경우에는 2차 막을 형성하고 남은 가소제의 함량이 불순물이 되어 오히려 윤활작용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2)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는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 부분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써 일반적으로 비누나 세제 등에 많이 활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계면활성제는 초기 막의 생성 및 생성된 막의 안정성을 위해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는 기본적으로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로 구성되어 있고, 음이온, 양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사용 비중이 높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경우 황산염 또는 기타 염 성분에 의해 금속이 부식되고,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경우 양이온성에 의한 금속이 부식될 수 있는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하여, 상기 계면활성제는 HLB값이 6.0~10.0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일례로 동남합성사의 MONOPOL NFE8, ICI사의 Brij30, Brij52, Brij72, 유니온 카바이드 사의 Tergitol.rtm. 15-S-3, Tergitol.rtm. 15-S-5, 헨켈사의 Dehydol LS-2, 니혼 계면활성제 코요사의 BB-5, BC-5.5, OP-3, INEOS Oxide사의 Laureth-2, Laureth-3, Laureth-4, 다우케미컬사의 LA-2, LA-3, LA-4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계면활성제는 10~1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효과가 미비하며, 15 중량부 초과 포함되는 경우 추가되는 조성물 함량에 효과가 미비하기 때문이다.
(3) 미네랄오일
미네랄오일은 석유, 석탄, 타르 셀유 등의 광물성 원료에서 얻어지는 기름의 한 종류이다. 본 발명에서의 미네랄 오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거나 공지된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후술되는 희석제의 사용성 및 취급의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유동 파라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 파라핀은 비교적 낮은 점도의 탑랍유를 고도로 정제한 무미, 무취, 무색의 투명한 유상유 또는 화이트유로써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써 다른 첨가제와 혼합되어도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혼합도 및 균일도를 개선하여 안정화 시킨다. 따라서 상기 안정화된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은 전술한 계면활성제와 혼합되어 실린더 표면에 도포된 후 추가 피막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미네랄오일은 5~1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미네랄오일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추가 피막 형성이 미비하여 마찰 감소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부 초과 포함되는 경우 찌꺼기를 형성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4) 난연제
방염제, 방염재료라고 불리는 난연제는 가연물을 불꽃을 점화해도 스스로 계속 연소되거나 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연제는 비할로겐계 난연제로써 바람직하며,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관련하여, 상기 인계 난연제의 예로는 트피스(2-클로로 이소 프로필) 포스페이트(TCPP),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PP),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PP),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melamine polyphosphate),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 포스페이트(RDP), 비스페놀 A 디페닐 포스페이트(BPADP), 알루미늄 디에틸 포스피네이트(ADP)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난연제는 1~3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상기 난연제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난연특성이 미비한 문제가 있으며, 3 중량부 초과 포함되는 경우 난연성 향상에 따른 다른 물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5) 청정제
청정제는 염소계를 기반의 물질로써 휘발성이 강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정제는 오일첨가제에 적정량 포함됨에 따라 내연기관의 실리더 내벽을 일부 세정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청정제가 1 중량부 미만 포함되는 경우 세정력이 미비하여 실린더 내벽의 세정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5 중량부 초과 포함하는 경우 낮은 점성으로 인하여 증점제와 같은 추가 첨가물질을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
관련하여 상기 청정제의 종류는 1,2,4-트리클로로벤젠,1, 1, 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2-메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2-에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2-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2-이소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2-부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에테르(2-페녹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벤질에테르(2-벤질옥시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n-부틸에테르(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디메톡시에탄), 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디에톡시에탄) 및 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디부톡시에탄)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조성물 범위에서 제조된 첨가제는 베이스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첨가제의 비중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첨가제 비중이 적어 실린더 내벽에 막을 형성시 얇은 막이 형성됨에 따라 효율적인 윤활기능을 낼 수 없으며, 50 중량부 초과 포함되는 경우에는 베이스 오일의 함량이 포함된 양 만큼 적어지기 때문에 막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혼합된 베이스 오일에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고 내연기관 용도에 맞게 희석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희석제는 전술한 가소제와 미네랄오일을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원활하게 혼합 분산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희석제는 부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하여 상기 희석제는 5~4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희석제 비율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불균일한 분산성을 보이기에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이 불투명하여 내연기관에 사용시 불순물 생성 등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45 중량부 초과 희석하는 경우 낮은 점도로 인하여 실린더 내벽에 막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바 희제의 비율을 상기 제시한 조성물 범위내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하여, 상기 희석제는 전술한 첨가제에 포함되는 희석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함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조된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은 연소 촉매작용을 통한 연소효율을 높임으로써 환경오염 배출가스 저감 기능을 갖는다. 또한 연소 촉매작용은 연료 효율을 10~25% 향상시킴에 따라 도시 내 주행의 경우 10~15%, 고속도로의 경우 15~25% 효율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의 효과에 대해 실시예를 바탕으로 상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제조>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의 기본물성 및 매연방출에 대한 것을 확인하고자 아래와 같이 오일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배합공정은 아래와 같으며 구체적인 배합에 사용된 원료 및 제조사는 아래 표 1에 표기 하였다.
제조 공정
(1) 엔진오일과 미션오일을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베이스 오일을 1,000 중량부 제조하였다.
(2) 별도의 용기에 가소제 200 중량부, 미네랄오일 100 중량부, 계면활성제 100 중량부, 난연제 30 중량부를 혼합하면서 청정제를 30 중량부 추가로 혼합하여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3) 상기 제조된 베이스 오일 1,000 중량부에 상기 제조된 첨가제 460 중량부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4) 상기 혼합물에 희석제 73 중량부를 추가 혼합하여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No 종류 원료명 제조사
1 베이스
오일
엔진오일 10W-40 SK
미션오일 덱스론Ⅲ GS칼텍스
2 첨가제 가소제 디뷰틸프탈산 영신화학
계면활성제 모노폴 NFE8 동남화성
미네랄오일 유동파라핀 대명케미칼
난연제 TCPP(염소화 인산 에스테르) 미래교역
청정제 TCE(트리클로로에틸렌) 영신화학
3 희석제 희석제 부틸셀로솔브 영신화학
<실험예 1 :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의 기본물성 측정>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의 외관 색상, 비중, 인화점, 동점도(40℃, 100℃) 및 유동점을 기본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상기 물성에 대한 기본 측정방법은 ASTM 기준에 의거하여 진행하였다.
이하 각 물성에 대한 결과값은 도 1에 표기 하였다. 관련하여, 도 1은 상기 기본물성 이외 알칼리가, 전산가, 수분함량 등을 더 확인한 제품시험성적서 이다.
한편, 결과에 따르면 외관의 경우 희석제가 포함되지 않고 베이스 오일과 첨가제만 혼합한 경우 색상이 탁했으나, 희석제가 포함되면서 불순물 없이 클리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중, 인화점, 동점도, 유동점 모두 기준치에 모두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분분석에 따르면 인(P)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의 막 형성 확인>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이 내연기관 실린더 표면에 이중 막을 형성하는지 적용 전과 적용 후의 실리더 표면의 막 상태를 확인하였다.
도 2는 이를 비교한 도면으로 실시예 1 적용 후 실리더 표면에 막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의 막 생성에 따른 효과 확인>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이 내연기관 실린더 표면에 막을 형성되고 내연기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차량의 평균 공회전에서의 매연 배출량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시험방법은 아래와 같다.
이때, 상기 측정차량은 SUV 디젤차량 6대와 1톤 트럭 디젤차량 2대에 시험을 이행하였다.
시험 방법
(1)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투입 전 700~900rpm 공회전 상태를 30분 대기후에 1,200rpm에서의 10분간 탄소미립자 배출량을 확인하였다.
(2) 시동을 완전 끈 후, 1시간 뒤에 상기 제조된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을 100~200ml 주입하였다.
(3) 상기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이 투입 24~48시간 경과 후, 700~900rpm 공회전 상태를 30분 대기후에 1,200rpm에서의 10분간 탄소미립자 배출량을 확인하였다.
상기 측정된 시험결과는 아래 표 2에 표기 하였다.
No 차종 및 유종 세부 차량명 투입후 경과시간 탄소미립자 배출량 (%BSU) 감소율
(%)
1 SUV 디젤 현대 베라크루즈 24 70 6 -91.4
2 SUV 디젤 현대 산타페 24 38 4 -89.5
3 1톤 트럭 디젤 현대 포터 24 40 5 -87.5
4 SUV 디젤 쌍용 코란도 24 30 4 -86.7
5 SUV 디젤 기아 카니발 24 40 6 -85.0
6 SUV 디젤 기아 카니발 24 70 10 -85.7
7 1톤 트럭 디젤 현대 포터 48 100 11 -89.0
8 SUV 디젤 현대 산타페 24 68 11 -83.8
상기 시험결과에 따르면, 차종 및 유종에 상관없이 탄소미립자 배출량은 최소 83.8% 감소하으며, 최대 91.4% 감소하였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평균 탄소미립자 배출량이 87.3% 감소하였는바 이는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이 연소 촉매작용을 통한 연소효율을 높임으로써 환경오염 배출가스 저감 기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베이스 오일 100 중량부; 상기 베이스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10~50 중량부 및 희석제 5~45 중량부 포함되고,
    상기 첨가제는 가소제 15~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0~15 중량부, 미네랄오일 5~10 중량부, 난연제 1~3 중량부 및 청정제 1~5 중량부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 오일은 엔진오일과 미션오일이 2:1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은 40℃ 동점도 지수가 11 내지 13 mm2/s 이며, 탄소미립자 배출량을 적어도 83.8%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오일은 유상유, 화이트유 및 이들의 혼합유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제는 1,2,4-트리클로로벤젠,1, 1, 1-트리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2-메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2-에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2-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2-이소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2-부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에테르(2-페녹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모노벤질에테르(2-벤질옥시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n-부틸에테르(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디메톡시에탄), 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디에톡시에탄), 부틸셀로솔브 및 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디부톡시에탄)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KR1020230031177A 2023-03-09 2023-03-09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KR102593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177A KR102593343B1 (ko) 2023-03-09 2023-03-09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177A KR102593343B1 (ko) 2023-03-09 2023-03-09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343B1 true KR102593343B1 (ko) 2023-10-24

Family

ID=8851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177A KR102593343B1 (ko) 2023-03-09 2023-03-09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3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275A (ja) * 1975-01-04 1976-07-10 Nakagawa Denka Sangyo Taimaanosetsutenkaiheikiko
KR20060049786A (ko) * 2004-07-02 2006-05-19 에프톤 케미칼 코포레이션 개선된 부식 방지용 첨가제 및 윤활 제형
KR101330185B1 (ko) 2013-04-12 2013-12-06 주식회사 오일시티 엔진오일 첨가제 및 제조방법
KR101740971B1 (ko) 2016-08-05 2017-05-29 김지영 엔진 오일 첨가제
JP2018095861A (ja) * 2016-12-09 2018-06-21 三井化学株式会社 潤滑油用粘度指数向上剤および潤滑油組成物
KR102089942B1 (ko) * 2019-05-09 2020-03-18 (주)에코시즌 트랜스미션오일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275A (ja) * 1975-01-04 1976-07-10 Nakagawa Denka Sangyo Taimaanosetsutenkaiheikiko
KR20060049786A (ko) * 2004-07-02 2006-05-19 에프톤 케미칼 코포레이션 개선된 부식 방지용 첨가제 및 윤활 제형
KR101330185B1 (ko) 2013-04-12 2013-12-06 주식회사 오일시티 엔진오일 첨가제 및 제조방법
KR101740971B1 (ko) 2016-08-05 2017-05-29 김지영 엔진 오일 첨가제
JP2018095861A (ja) * 2016-12-09 2018-06-21 三井化学株式会社 潤滑油用粘度指数向上剤および潤滑油組成物
KR102089942B1 (ko) * 2019-05-09 2020-03-18 (주)에코시즌 트랜스미션오일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24474T3 (de) Treibstoff für diesel-, gasturbinen- und turboeinspritzmotoren mit mindestens vier verschiedenen sauerstoff enthaltenden funktionellen gruppen wie alkohole, ether, aldehyde, ketone, ester, anorganische ester, azetate, epoxide und peroxide
CN1084377C (zh) 内燃机含水燃料及其制备方法
DE69805561T2 (de) Brennölzusammensetzung für Dieselmotoren
US4674447A (en) Prevention of fouling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their exhaust systems and improved gasoline compositions
KR100642146B1 (ko) 내한성 향상 및 슬래그 방지와 클링커가 효과적으로제거되는 연료 첨가제 조성물
DE69100829T2 (de) Brennstoffzusammensetzungen mit verbesserten Verbrennungseigenschaften.
EP0303862A1 (en) Additive composition
KR101071204B1 (ko) 중유용 연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유
CN114907891B (zh) 一种清洁燃料及其制备方法
US5000863A (en) Lubrication boosting additives comprising organic titanium compounds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US20100050503A1 (en) Fuel additive
KR102593343B1 (ko) 내연기관용 오일첨가제 조성물
JP2003082368A (ja) 乳化燃料油添加剤及びその製造方法
DE69931014T2 (de) Grundöl für Dieselbrennstoff und dieses enthaltende Zusammensetzungen
AU642242B2 (en) Fuel compositions with enhanced combustion characteristics
Taghi-Akbari et al. Flammability, smoke produc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composites with an intumescent flame-retardant system and nano-silica
CZ2001941A3 (cs) Aditivní prostředek pro palivo, jeho použití a způsob zpracování paliva
EP1246894B1 (en) Fuel additive, additive-containing fuel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9804756A1 (de) Feste Kraftstoffadditive
KR101959604B1 (ko) 내연기관용 촉매 조성물
KR100895411B1 (ko) 소화제조성물
JP2003527466A (ja) 燃料組成物
EP0755996A1 (de) Neuer schwefelarmer, additivierter Diesel Kraftstoff mit verbesserter Schmierwirkung und erhöhter Dichte
US4080178A (en) Colloidal magnesium suspension in critical low concentration in diesel fuel
EP0537931A1 (en) Fuel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