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887A -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887A
KR20210053887A KR1020217005231A KR20217005231A KR20210053887A KR 20210053887 A KR20210053887 A KR 20210053887A KR 1020217005231 A KR1020217005231 A KR 1020217005231A KR 20217005231 A KR20217005231 A KR 20217005231A KR 20210053887 A KR20210053887 A KR 20210053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meric
calcium lactate
oral cavity
oral
ch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코 아메미야
슈야 다구치
다카히로 기시
요시타케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하우스 웰니스 푸드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스 웰니스 푸드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하우스 웰니스 푸드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5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詛嚼)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섭취 시의 쓴 맛을 억제한다.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을 배합함으로써, 울금 유래 성분의 쓴 맛이 억제된다. 또한,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츄어블정에 있어서,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을 배합함으로써, 울금 유래 성분의 쓴 맛이 억제되는 동시에,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씹어서 으깰 수 있는 경도가 부여된다.

Description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
본 발명은,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詛嚼)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의 쓴 맛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울금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전세계의 열대·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생강과울금속의 약용식물이다.
울금의 근경(根莖)에는 오일가용성의 커큐민(황색 색소)이나, 수용성의 비사쿠론 등의 다양한 유용 성분이 함유된다. 한편, 울금 유래의 커큐민 등의 유용 성분은, 경구 섭취 시에, 쓴 맛 등의 불쾌한 풍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물을 마시지 않고 구강 내에 있어서 용해하여 복용하는 속(速)용해성의 과립, 저작하여 복용하는 츄어블정, 구강 내에서 용해하여 복용하는 트로치제 등에서는, 울금 등의 불쾌 미각 성분의 불쾌한 풍미가 특히 현저하게 느껴진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서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불쾌 미각 성분 및 교미(矯味) 물질을 함유하는 조립물(造粒物)과, 그것을 피복하는, 상온에 있어서 수난용성(水難溶性)을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는 층을 구비한 경구섭취용의 피복 조립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쓴 맛을 가지는 약품을 포함하는 구강 내 붕괴정에 있어서, 쓴 맛을 마스킹하기 위하여, 소정량의 락트산 칼슘을 배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락트산 칼슘 등의 원료에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첨가하여 조립(造粒)을 행하여 타정 분말을 얻고, 얻어진 타정 분말을 타정하여 구강 내 붕괴정을 제조하는 것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약물의 불쾌한 맛을 마스킹한 제제로서, 약물, 규산류 및 락트산 칼슘을 함유하는 입상(粒狀) 고형 제제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약품과 규산 칼슘의 혼합물에, 락트산 칼슘 용액을 첨가 혼합하고 조립하여 입상 고형 제제를 얻는 것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서는, 약물의 불쾌한 맛을 마스킹한 제제로서, 약물 및 소정량의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습식 조립하여 얻어지는 경구용 제제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2-87064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8-94837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7-126188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4-189756호 공보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섭취 시에 구강 내에 있어서 울금 유래 성분의 쓴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과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섭취 시의 쓴 맛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이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츄어블정)인 경우에는, 섭취 시에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씹어서 으깰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에 있어서, 쓴 맛을 억제하는 동시에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씹어서 으깰 수 있는 물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을 배합함으로써, 울금 유래 성분의 쓴 맛이 억제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츄어블정에 있어서,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을 배합함으로써,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씹어서 으깰 수 있는 경도가 부여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하기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특허문헌 2, 3에서는, 약품의 쓴 맛을 마스킹하기 위해 락트산 칼슘을 배합한 제제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 문헌에 기재된 제제는, 락트산 칼슘을 수중에 용해시킨 후에 조립하여 얻어진 것이므로, 제제 중에 있어서 락트산 칼슘은 과립의 형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A) 울금 유래 성분, 및
(B)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
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
(2)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인, (1)에 기재된 조성물.
(3) 상기 (A) 울금 유래 성분이,
(A-1) 물 및/또는 친수성 유기용매로 추출한 비사쿠론을 포함하는 울금 추출물, 및
(A-2) 피복 가공한, 커큐민을 포함하는 울금 색소
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조성물.
(4) 락트산 칼슘의 칼슘 환산에서의 1중량부에 대하여, 비사쿠론이 0.017∼1.7 중량부, 커큐민이 1.29∼129 중량부인, (3)에 기재된 조성물.
(5) 상기 (B)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의, 락트산 칼슘 5수화물로서의 함유량이 0.1∼10 %(w/w)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6) (A) 울금 유래 성분, 및
(B)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
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건식 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의 제조 방법.
(7) (A)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의 쓴 맛 억제 방법으로서,
상기 (A)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건식 타정하여 상기 정제를 얻을 때, 상기 원료 혼합물에, (B)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을 더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본 명세서는 본원의 우선권 기초가 되는 일본특허출원 번호 2018-162454호의 개시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은, 울금 유래 성분의 쓴 맛이 억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츄어블정)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섭취 시에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붕괴할 수 있는 동시에, 쓴 맛이 억제된 상기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의 쓴 맛 억제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정제에서의 울금 유래 성분의 쓴 맛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락트산 칼슘 과립의 현미경에 의한 확대 상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선을 그은 2개의 알갱이의 길이는 445㎛(상), 591㎛(하)였다.
도 2는, 락트산 칼슘 없음의 츄어블정의 단면 사진을 나타낸다.
도 3은, 락트산 칼슘 과립 2% 배합의 츄어블정의 단면 사진을 나타낸다. 도 3 중,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은 과립이며, 직선을 따른 길이는 634㎛이다.
<울금 유래 성분>
울금 유래 성분은 생강과울금속 식물에 유래하는 성분을 나타낸다. 생강과울금속 식물로서는, Curcuma longa(울금), Curcuma aromatica, Curcuma zedoaria, Curcuma phaeocaulis, Curcuma kwangsiensis, Curcuma wenyujin, Curcuma xanthorrhiza를 예로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Curcuma longa(울금)이다.
울금 유래 성분으로서는 특히, 생강과울금속의 식물의 근경에 유래하는 성분이 바람직하다. 근경에 유래하는 성분은, 근경을 적절한 치수 또는 형상으로 자른 것, 혹은 분쇄물의 형태로 한 것이나, 이들을 적절하게 건조한 것이라도 된다.
울금 유래 성분은, 울금속 식물의 근경 등의 부위가 적절한 용매에 의해 추출된 성분이라도 된다.
특히 바람직한 울금 유래 성분으로서는
(A-1) 물 및/또는 친수성 유기용매로 추출한 비사쿠론을 포함하는 울금 추출물, 또는
(A-2') 커큐민을 포함하는 울금 색소
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1)에 있어서 「물 및/또는 친수성 유기용매」는, 물, 열수, 친수성 유기용매, 물과 친수성 유기용매의 혼합 용매 등을 포함하고, 알코올, 물, 알코올과 물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알코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 용매의 혼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중량비로 10:90∼90: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80∼50:5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추출할 때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A-1)의 울금 추출물로서는, 울금의 부위, 특히 근경으로부터 추출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해당 추출물을, 또한 희석, 농축, 건조 등의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희석, 농축, 건조 등의 방법은, 종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1)의 울금 추출물은, 고체라도 되고 액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고체이며, 고체의 상기 (A-1)의 울금 추출물은, 입자, 과립, 분말 등의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A-1)의 울금 추출물은, 비사쿠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사쿠론은 0.15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울금 추출물 중의 비사쿠론의 양은, 울금 추출물을 아세트산 에틸과 혼합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청액으로 아세트산 에틸을 감압 증류 제거한 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한 액을 분석 샘플로 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제공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비사쿠론은는, 비사볼란형 세스퀴테르펜류로 분류되는 화합물이며, 하기 평면 구조식을 가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의미한다. 비사쿠론은 평면 구조식 중 *표시로 나타낸 위치에 부제탄소를 가지고, 이 때문에 수 종류의 광학이성체가 존재하지만, 본 명세서에서의 비사쿠론은 어느 광학이성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A-2')의 울금 색소는, 커큐민을 포함하는 울금속 식물의 근경 등의 부위로부터 추출된 것이다. 커큐민을 포함하는 울금 색소를 식물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유기용제(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메탄올, 에탄올 등)를 사용하여, 울금속 식물의 근경 등의 부위로부터 추출하고, 농축하고, 용제 획분으로부터 용제를 증발 제거하여 얻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또한, 상기 부위에 초임계 상태의 탄산 가스를 접촉시킴으로써를 추출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2')의 울금 색소는, 고체라도 되고 액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고체이며, 고체의 상기 (A-2')의 울금 색소는, 입자, 과립, 분말 등의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A-2')의 울금 색소는, 봐 바람직하게는, (A-2) 피복 가공한, 커큐민을 포함하는 울금 색소이다. 피복 가공이란, 일반적으로, 울금 색소를 경구 섭취했을 때, 혀 등이 착색하는 것을 억제할 목적으로 행해지는 가공이다. 상기 (A-2)의 울금 색소로서는, 특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등의 식품으로서 사용 가능한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의해 피복 가공된, 커큐민을 포함하는 울금 색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2)의 울금 색소는, 입자, 과립, 분말 등의 임의의 형상의 상기 울금 색소를 피복 가공하여 형성되고, 피복 가공 후의 형상은, 입자, 과립, 분말 등의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
락트산 칼슘은, 칼슘 강화, 겔 강도 향상, 과실, 야채의 형상 유지, 퇴색 방지, 산화 방지 등의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이다.
락트산 칼슘은 수화물이나 염의 형태라도 된다. 예를 들면 락트산 칼슘 5수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락트산 칼슘으로서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락트산 칼슘의 과립은, 바람직하게는, 락트산 칼슘을 물을 바인더로 하는 유동층(流動層) 조립에 의해 조립하고, 건조하여 얻어진 과립이다.
락트산 칼슘의 과립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산란식 입자직경 분포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했을 때의 메디안 직경이 200㎛∼700㎛이다.
<경구섭취용 조성물>
본 발명의 일태양은,
(A) 울금 유래 성분, 및
(B)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
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구강 내에서 저작 및/또는 용해하여 섭취하는 조성물이다.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로서는, 구강 내에서 저작하여 섭취하는 정제, 즉 츄어블정을 예로 들 수 있다.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로서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여 경구섭취되는 트로키제, 속(速)용해성의 과립제, 구강 내 붕괴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A)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은, 섭취 시에 구강 내에 있어서 울금 유래 성분의 쓴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과제가 있지만, (B)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이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놀랍게도, 쓴 맛이 현저하게 억제된다.
(B)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이 존재하는 것에 의한 상기한 효과는, 과립형이 아닌 분말형의 락트산 칼슘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현저한 효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서의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의, 락트산 칼슘 5수화물로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10 %(w/w)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7 %(w/w)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4 %(w/w)이다.
상기 (A) 울금 유래 성분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A-1) 물 및/또는 친수성 유기용매로 추출한 비사쿠론을 포함하는 울금 추출물, 및
(A-2) 피복 가공한, 커큐민을 포함하는 울금 색소
를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상기 (A-1)의 울금 추출물은, 친수성이 높기 때문에 경구 섭취 시에 즉시 쓴 맛을 발현한다. 한편, 상기 (A-2)의 울금 색소는, 친수성이 낮게 또한 피복되어 있으므로, 경구섭취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쓴 맛을 발현된다.
이 때문에, 상기 (A-1)의 울금 추출물과 상기 (A-2)의 울금 색소와의 혼합물은, 경구섭취 직후부터 장시간에 걸쳐 쓴 맛을 보이지만,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이 포함되는 것에 의해, 이와 같은 장시간에 걸친 쓴 맛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2)의 대신, 피복 가공하지 않고 있는, 커큐민을 포함하는 울금 색소를 울금 유래 성분으로서 사용한 경우라도, 쓴 맛의 억제 등의 본 발명의 효과는 나타난다.
상기 (A) 울금 유래 성분이 상기 (A-1)의 울금 추출물일 경우, 락트산 칼슘의 칼슘 환산에서의 1중량부에 대하여, 비사쿠론이 바람직하게는 0.017∼1.7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35 중량부가 되도록, 상기 (A-1)의 울금 추출물이 포함된다.
상기 (A) 울금 유래 성분이 상기 (A-2)의 울금 색소인 경우, 락트산 칼슘의 칼슘 환산에서의 1중량부에 대하여, 커큐민이 바람직하게는 1.29∼129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3∼26 중량부가 되도록, 상기 (A-2)의 울금 색소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A) 및 (B) 이외에, 경구섭취 가능한 다른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부형제(賦形劑), 산미료, 감미료, 활택제, 향료를 예시할 수 있다.
부형제로서는, 맥아당 등의 당류, 전분 등의 다당류, 당 알코올, 식물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산미료로서는, 시트르산, 말산 등의 유기산이나 그의 염을 사용할 수 있다.
감미료로서는 감초 엑기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활택제로서는 자당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츄어블정)이다. 츄어블정은, 섭취 시에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씹어서 으깰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지만,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이 츄어블정 중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놀랍게도, 츄어블정의 경도가, 씹어서 으깨는 것이 용이한 적절한 경도로 저감된다. 이 효과는, 과립형이 아닌 분말형의 락트산 칼슘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현저한 효과이다. 또한, 츄어블정이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을 포함함으로써, 구강 내에서 저작되었을 때 느껴지는 울금 유래 성분의 쓴 맛이 억제된다.
츄어블정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락트산 칼슘이 과립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츄어블정에 포함되도록, 상기 (A) 울금 유래 성분, 및 상기 (B)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건식 타정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식 타정이란, 물 등의 바인더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건조한 원료 혼합물을 직접 타정하여 츄어블정을 성형하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츄어블정>
비사쿠론을 포함하는 울금 추출물은, 울금(Curcuma longa)의 근경 부분을 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 가열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조제했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에 의해 피복 가공한, 커큐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울금 색소는, 울금의 근경 부분을 아세톤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 가열 건조하여 아세톤을 제거함으로써 조제한 울금 색소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에 의해 피복 가공한 것이다.
락트산 칼슘 과립으로서, 다이헤이화학산업(太平化學産業)가부시키가이샤의 제품을 사용했다. 이 과립은, 락트산 칼슘을, 물을 바인더로 하는 유동층 조립에 의해 조립하고, 건조한 것이며, 락트산 칼슘은, 락트산 칼슘 5수화물로서 포함된다. 락트산 칼슘 과립의 메디안 직경은 336㎛이며, 최대로 약 800㎛까지의 입도 분포를 나타낸다(가부시키가이샤 호리바제작소(堀場製作所) 제조, 레이저 산란식 입자직경 분포 측정장치 LA-950에 의해 측정). 락트산 칼슘 과립의 현미경에 의한 확대 상을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선을 그은 2개의 알갱이의 길이는 445㎛(상), 591㎛(하)였다.
락트산 칼슘 세립으로서, 다이헤이화학산업(太平化學産業) 가부시키가이샤의 제품을 사용했다. 이 세립에서는, 락트산 칼슘은, 락트산 칼슘 5수화물로서 포함된다. 락트산 칼슘 세립의 메디안 직경은 60.7㎛이며, 최대로 약 350㎛까지의 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각 츄어블정 원료 조성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2
츄어블정의 제조는, 부형제, 울금 추출물, 울금 색소, 락트산 칼슘 과립 또는 락트산 칼슘 세립, 산미료, 감미료, 향료, 그 외를 소정의 비율로 되도록 혼합하고, 그 혼합 분체를 건식 타정하여 얻었다. 혼합 분체를 조립 등을 행한 후에 타정해도 된다. 타정에는, 정제의 성형에 사용되는 단발 정제기, 로타리식 타정기 등이 사용된다.
도 2에 락트산 칼슘 없음의 츄어블정의 단면 사진을 나타내고, 도 3에, 락트산 칼슘 과립 2% 배합의 츄어블정 단면 사진을 나타낸다. 도 3 중,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은 과립이며, 직선을 따른 길이는 634㎛였다. 락트산 칼슘 과립 2% 배합의 츄어블정에서는, 락트산 칼슘 과립이 그대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 1>
츄어블정의 붕괴 시간 및 경도를 측정했다.
붕괴 시간의 측정: 일본약방 15판 붕괴 시험에 기재된 붕괴성 시험법에 준했다.
경도의 측정: 기야(木屋)식 경도계를 사용하여 츄어블정에 직경 방향으로부터 힘을 가하여, 경도를 측정했다.
락트산 칼슘 없음, 락트산 칼슘 과립 2% 배합, 락트산 칼슘 세립 2% 배합의 각 츄어블정의 붕괴 시간을 6회 측정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츄어블정에 락트산 칼슘을 배합함으로써, 배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붕괴 시간이 연장되었다. 붕괴 시간에 대해서는, 락트산 칼슘이 과립이거나 세립이거나에 의한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표 2]
Figure pct00003
락트산 칼슘 없음, 락트산 칼슘 과립 2% 배합, 락트산 칼슘 미립 2% 배합의 각 츄어블정의 경도를 5회 측정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락트산 칼슘 과립을 배합한 츄어블정은, 락트산 칼슘을 배합하지 않는 츄어블정과 비교하여 경도가 낮고, 구강 내에서의 저작에 의해 용이하게 붕괴되는 물성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락트산 칼슘 미립을 배합한 츄어블정은, 락트산 칼슘을 배합하지 않는 츄어블정과 비교하여 경도가 높고, 츄어블정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표 3]
Figure pct00004
락트산 칼슘 과립 0.5% 배합, 3% 배합, 5.4% 배합의 각 츄어블정의 경도를 5회 측정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락트산 칼슘 과립의 배합량의 증가에 의존하여, 츄어블정의 경도는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락트산 칼슘 과립의 배합량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구강 내에서의 저작에 의해 용이하게 붕괴되는 츄어블정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 4]
Figure pct00005
<시험 2>
락트산 칼슘 없음, 락트산 칼슘 과립 2% 배합, 락트산 칼슘 미립 2% 배합의 각 츄어블정에 대하여, 6명의 피실험자(피실험자 1∼6)에 의한 관능 평가 시험을 행하고, 저작을 시작했을 때의 쓴 맛(탑(top) 쓴 맛), 저작을 종료했을 때의 쓴 맛(라스트(last) 쓴 맛), 저작 중에 느끼는 불쾌한 냄새에 대하여 1∼5의 5단계(값이 높을수록 쓴 맛, 불쾌한 냄새가 강함)로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탑 쓴 맛, 라스트 쓴 맛, 불쾌한 냄새의 어디에 대해서도 락트산 칼슘이 과립일 때 가장 적은 것이 확인되었다.
[표 5]
Figure pct00006
<시험 3>
락트산 칼슘 과립 0.5% 배합, 3% 배합, 5.4% 배합의 각 츄어블정에 대하여, 시험 2와 마찬가지로, 6명의 피실험자(피실험자 1∼6)에 의한 관능 평가 시험을 행하고, 저작을 시작했을 때의 쓴 맛(탑 쓴 맛), 저작을 종료했을 때의 쓴 맛(라스트 쓴 맛), 저작 중에 느끼는 불쾌한 냄새에 대하여 1∼5의 5단계로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탑 쓴 맛, 라스트 쓴 맛, 불쾌한 냄새의 어디에 대해서도, 락트산 칼슘 과립이 0.5% 배합일 때보다, 3% 배합일 때 억제되었다. 탑 쓴 맛에 대해서는, 락트산 칼슘 과립이 5.4% 배합일 때 더욱 억제되었다. 라스트 쓴 맛에 대해서는, 락트산 칼슘 과립이 5.4% 배합일 때, 0.5% 배합 및 3% 배합보다 오히려 증대하였으나, 이것은, 락트산 칼슘 과립 자체의 쓴 맛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표 6]
Figure pct00007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출원은 그대로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것으로 한다.

Claims (7)

  1. (A) 울금 유래 성분, 및
    (B)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
    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詛嚼)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울금 유래 성분이,
    (A-1) 물 및/또는 친수성 유기용매로 추출한 비사쿠론(bisacurone)을 포함하는 울금 추출물, 및
    (A-2) 피복 가공한, 커큐민을 포함하는 울금 색소
    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락트산 칼슘의 칼슘 환산에서의 1중량부에 대하여, 비사쿠론이 0.017∼1.7 중량부, 커큐민이 1.29∼129 중량부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의, 락트산 칼슘 5수화물로서의 함유량이 0.1∼10 %(w/w)인, 조성물.
  6. (A) 울금 유래 성분, 및
    (B)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
    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건식 타정(打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의 제조 방법.
  7. (A)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경구섭취용 정제의 쓴 맛 억제 방법으로서,
    상기 (A)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건식 타정하여 상기 정제를 얻을 때, 상기 원료 혼합물에, (B) 과립형의 락트산 칼슘을 더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05231A 2018-08-31 2019-08-27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 KR202100538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62454 2018-08-31
JPJP-P-2018-162454 2018-08-31
PCT/JP2019/033533 WO2020045440A1 (ja) 2018-08-31 2019-08-27 ウコン由来成分を含む、口腔内で咀嚼される及び/又は口腔内で溶解する経口摂取用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887A true KR20210053887A (ko) 2021-05-12

Family

ID=6964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231A KR20210053887A (ko) 2018-08-31 2019-08-27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276991B2 (ko)
KR (1) KR20210053887A (ko)
CN (1) CN112638399B (ko)
TW (1) TWI825159B (ko)
WO (1) WO202004544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6188A (ja) 1993-10-29 1995-05-16 Eisai Co Ltd 粒状固形製剤
JP2004189756A (ja) 2004-03-26 2004-07-08 Ss Pharmaceut Co Ltd 不快な味がマスキングされた製剤
JP2008094837A (ja) 2006-09-13 2008-04-24 Kyot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苦味マスキング
JP2012087064A (ja) 2010-10-15 2012-05-10 House Foods Corp 不快呈味成分を含有する被覆造粒物及び固形の経口摂取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381A (ja) * 1996-01-17 1997-07-29 Kowa Co カルシウム塩含有チュアブル錠
JP2003002827A (ja) * 2001-06-20 2003-01-08 Kyowa Hakko Kogyo Co Ltd 血中中性脂肪の増加の予防又は改善剤
JP5032003B2 (ja) * 2005-06-15 2012-09-26 株式会社琉球バイオリソース開発 口腔粘膜用の鎮痛・抗炎症トローチ剤
TW201121551A (en) * 2009-12-24 2011-07-01 Tci Co Ltd Health food capable of improving health of bones.
JP5756727B2 (ja) * 2011-09-30 2015-07-29 ハウス食品グループ本社株式会社 顆粒
JP5572775B1 (ja) * 2014-03-11 2014-08-13 ハウス食品グループ本社株式会社 ウコン中の有用成分を含有する低水分系組成物
US11191729B2 (en) * 2016-02-16 2021-12-07 Teika Pharmaceutical Co., Ltd. Granular material for orally fast disintegrating table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6188A (ja) 1993-10-29 1995-05-16 Eisai Co Ltd 粒状固形製剤
JP2004189756A (ja) 2004-03-26 2004-07-08 Ss Pharmaceut Co Ltd 不快な味がマスキングされた製剤
JP2008094837A (ja) 2006-09-13 2008-04-24 Kyot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苦味マスキング
JP2012087064A (ja) 2010-10-15 2012-05-10 House Foods Corp 不快呈味成分を含有する被覆造粒物及び固形の経口摂取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76991B2 (ja) 2023-05-18
CN112638399A (zh) 2021-04-09
JPWO2020045440A1 (ja) 2021-08-10
WO2020045440A1 (ja) 2020-03-05
CN112638399B (zh) 2022-12-30
TW202015715A (zh) 2020-05-01
TWI825159B (zh)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7869T3 (es) Fabricación de comprimidos de eritritol
Sansone et al. Maltodextrin/pectin microparticles by spray drying as carrier for nutraceutical extracts
JP7014786B2 (ja) 投与製剤の製造方法
Pratami et al.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ray-dried microcapsules propolis from Tetragonula species
KR102018385B1 (ko) 구강내 붕괴정 및 그 제조 방법
TWI556823B (zh) 含阿卡波糖之口崩解錠
KR20050019101A (ko) 비-결정질 향료 또는 향미료의 방출 시스템
EP2844234B1 (de) Tabletten mit überzug und deren herstellung
JP5751677B2 (ja) エリトリトールおよびイソマルトのタブレット化
US10363225B2 (en) Non-bleeding bioactive natural pigments which prevent color and dust explosions,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KR20110022061A (ko) 직접 사출성형가능한 신속 붕해 정제 매트릭스
KR20210053887A (ko) 울금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및/또는 구강 내에서 용해하는 경구섭취용 조성물
JP5572775B1 (ja) ウコン中の有用成分を含有する低水分系組成物
JP5759047B1 (ja) ウコン中の有用成分を含有する低水分系組成物
JP6700084B2 (ja) コーティング顆粒
TW201113051A (en) Oral disintegrating tabl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008640A (ja) 不快な味を有する成分の不快な味を抑制した組成物
JP7338822B2 (ja) ターメロノールbの揮発を抑制する方法
JP3515954B2 (ja) プロポリス加工食品
WO2017068805A1 (ja) 唾液分泌促進剤、これ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及び飲料用組成物
JP6700083B2 (ja) 口腔内速崩壊錠
WO2022112959A1 (en) Non-colouring turmeric formulation and a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