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284A - 피토스테논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피토스테논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284A
KR20210053284A KR1020217005142A KR20217005142A KR20210053284A KR 20210053284 A KR20210053284 A KR 20210053284A KR 1020217005142 A KR1020217005142 A KR 1020217005142A KR 20217005142 A KR20217005142 A KR 20217005142A KR 20210053284 A KR20210053284 A KR 20210053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tostenone
phytosterol
fat
subcutaneous fat
di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나가시마
나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다이산카세이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산카세이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산카세이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피토스테논을 함유하는, 피하 지방을 저감하기 위한 경피 흡수제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가일층의 피하 지방의 저감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피토스테논의 신규 용도
본 발명은 피토스테논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지방의 과잉 축적은, 섭취 영양 과다, 운동 부족 등에 의한 에너지 소비 부족, 스트레스나 호르몬 밸런스의 변조, 질병의 후유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지방의 축적 부위는 간장 등의 장기, 장간막 조직이나 피하 조직 등이다. 특히 피하 조직은 지방의 축적 장소로서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상완부, 복부 및 요부에서부터 대퇴부에 걸친 부위는 대량으로 지방이 축적되기 쉽고, 미용상의 관점에서도 문제시되고 있다.
피하 지방의 과잉 축적을 경감시키기 위해, 의료에 있어서의 치료나 예방은 물론,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사나 각종 음료품을 통한 예방을 포함하는 수많은 시도가 행해져 왔다. 예를 들어, L-카르니틴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축육 펩티드, 해초류의 추출물, 카르테노이드, 안토시아닌류, 녹차 카테킨 등의 식품 소재가, 섭취하는 난 지질의 대사를 조절하거나, 체지방의 연소를 촉진하거나, 혹은 체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겨냥한 식품 소재로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비만 증상을 유효하게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소재는 드물고,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소재는 거의 눈에 띄지 않는 것이 현 상황이다. 따라서, 식사 중 지방의 흡수를 저해하고, 체내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거나, 혹은 체지방의 연소를 촉진하거나 또는 체지방의 대사를 촉진하는 소재가 요구되고 있었다.
식물스테롤(피토스테롤) 발효물인 식물 스테논(피토스테논)은, 고지방식에 첨가해서 급이했을 때에,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을 저감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내지 3). 피토스테논의 경구 투여에 의한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의 저감 효과는, β 산화에 의한 지방 대사의 항진, 지방산 합성 저해, 및 지질의 체외 배출을 포함하는 각 작용 기구에 의해 초래된다고 생각되고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 그러나, 피토스테논을 대상의 피부에 적용했을 때, 대상의 피하 지방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여기서, 피토스테논을 음식품의 첨가제, 의약 등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또한, 스테롤의 5-엔-3-온체(피토스테논의 일종)를 수율 좋게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일본특허공개 제2001-24054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03-48837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11-51939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07-284348호 공보
스즈키 쿠니오 외, Nippon Rinsho(2003), 61, Suppl.6, p.698-703 Kunio Suzuki, et al., J. Nutr. Sci. Vitaminol.(2007), 53, p.63-67 비만 연구(2007), 13(3), p.244-249
상기 상황에 있어서, 가일층의 피하 지방의 저감 방법 등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피토스테논을 대상의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대상의 피하 지방을 저감할 수 있는 것 등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이하에 나타내는, 경피 흡수제 등이 제공된다.
[1-1] 피토스테논을 함유하는, 피하 지방을 저감하기 위한 경피 흡수제.
[1-2] 피토스테논은,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인, 상기 [1-1]에 기재된 경피 흡수제.
[1-3]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은, 피토스테롤의 5-엔-3-온체, 피토스테롤의 4-엔-3-온체 및 피토스테롤의 4-엔-3,6-디온체를 포함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경피 흡수제.
[1-4] 피토스테논은 캄페스트-5-엔-3-온인, 상기 [1-1]에 기재된 경피 흡수제.
[1-5] 화장료인, 상기 [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피 흡수제.
[1-6] 의약인, 상기 [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피 흡수제.
[2-1] 피부에 적용하도록 사용되며, 피하 지방을 저감하기 위한 피토스테논.
[2-2] 피토스테논은,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인, 상기 [2-1]에 기재된 피토스테논.
[2-3]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은, 피토스테롤의 5-엔-3-온체, 피토스테롤의 4-엔-3-온체 및 피토스테롤의 4-엔-3,6-디온체를 포함하는, 상기 [2-3]에 기재된 피토스테논.
[2-4] 피토스테논은 캄페스트-5-엔-3-온인, 상기 [2-1]에 기재된 피토스테논.
[2-5] 화장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2-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토스테논.
[2-6]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2-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토스테논.
[3-1] 피토스테논을, 피하 지방의 저감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 있어서의 피하 지방을 저감하는 방법.
[3-2] 피토스테논은,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인, 상기 [3-1]에 기재된 방법.
[3-3]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은, 피토스테롤의 5-엔-3-온체, 피토스테롤의 4-엔-3-온체 및 피토스테롤의 4-엔-3,6-디온체를 포함하는, 상기 [3-2]에 기재된 방법.
[3-4] 피토스테논은 캄페스트-5-엔-3-온인, 상기 [3-1]에 기재된 방법.
[3-5] 화장 방법인, 상기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3-6] 치료 방법인, 상기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일층의 피하 지방의 저감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양태의 경피 흡수제는, 대상의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대상의 피하 지방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바람직한 형태의 경피 흡수제는, 대상의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대상의 피하에 과잉으로 축적된 지방을 대사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형태의 경피 흡수제는, 대상의 피하에 국소적 또는 광범위하게 과잉 축적되어, 건강 또는 미용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는 지방을 저감할 수 있어, 대상의 건강 또는 미용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피토스테논의 피하 지방에 대한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E: 에탄올 용액(대조), C: 캄페스트-5-엔-3-온, P: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
도 2는 피토스테논의 장간막 지방에 대한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E: 에탄올 용액(대조), C: 캄페스트-5-엔-3-온, P: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
도 3은 피토스테논의 정소 주위 지방에 대한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E: 에탄올 용액(대조), C: 캄페스트-5-엔-3-온, P: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
도 4는 피토스테논의 신장 주위 지방에 대한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E: 에탄올 용액(대조), C: 캄페스트-5-엔-3-온, P: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
도 5는 피토스테논의 간장에 대한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E: 에탄올 용액(대조), C: 캄페스트-5-엔-3-온, P: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몇 가지 양태는, 피토스테논을 함유하는, 피하 지방을 저감하기 위한 경피 흡수제를 제공한다. 피토스테논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피토스테논」은, 피토스테롤의 3위의 탄소 상의 수산기가 옥소기로 치환된 구조, 즉 3위에 카르보닐기를 갖는 에논 화합물이다. 본 명세서 중, 「피토스테논」을 「식물 스테논」 또는 「피토스테롤의 3-온체」라고 칭하고, 또한 「피토스테롤」을 「식물스테롤」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피토스테논」은, 피토스테논 및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의미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피토스테롤」은, 피토스테롤 및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의미에서 사용된다.
피토스테논은, 스테롤 골격의 3위에 카르보닐기를 갖는 한, 특히 그 구조에 한정은 없다. 피토스테논은, 다른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피토스테논은, 스테롤 골격의 3위 이외의 위치에 카르보닐기를 1개 이상 갖고 있어도 된다. 3위 이외의 위치에 카르보닐기를 갖는 피토스테논으로서는, 예를 들어 피토스테롤의 3,6-디온체(스테롤 골격의 3위 및 6위에 카르보닐기를 갖는다)를 들 수 있다. 또한, 피토스테논은, 스테롤 골격 또는 그 측쇄에 알킬기(예를 들어, 메틸기 및 에틸기), 수산기 등의 관능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피토스테논은, 구조 중에 이중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중 결합의 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스테롤 골격 또는 그 측쇄 중에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다른 이중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된다.
피토스테논으로서는, 예를 들어 피토스테롤의 5-엔-3-온체, 피토스테롤의 4-엔-3-온체 및 피토스테롤의 4-엔-3,6-디온체를 들 수 있다.
피토스테롤의 5-엔-3-온체로서는, 예를 들어 캄페스트-5-엔-3-온, 시토스트-5-엔-3-온, 스티그마스트-5-엔-3-온, 브라시카스트-5-엔-3-온, 24-알킬콜레스트-5-엔-3-온, 24-알킬콜레스트-5,7-디엔-3-온, 24-알킬콜레스트-5,8-디엔-3-온, 24-알킬콜레스트-5,9(11)-디엔-3-온, 24-알킬콜레스트-5,22-디엔-3-온, 24-알킬콜레스트-5,7,22-트리엔-3-온, 24-알킬콜레스트-5,8,22-트리엔-3-온, 24-알킬콜레스트-5,9(11), 22-트리엔-3-온 및 24-알킬콜레스트-5,25(27)-디엔-3-온을 들 수 있다.
피토스테롤의 4-엔-3-온체로서는, 예를 들어 캄페스트-4-엔-3-온, 시토스트-4-엔-3-온, 스티그마스트-4-엔-3-온, 브라시카스트-4-엔-3-온을 들 수 있다.
피토스테롤의 4-엔-3,6-디온체로서는, 예를 들어 캄페스트-4-엔-3,6-디온, 시토스트-4-엔-3,6-디온, 스티그마스트-4-엔-3,6-디온, 브라시카스트-4-엔-3,6-디온, 6-히드록시-시토스트-4-엔-3,6-디온, 4-콜레스텐-3,6-디온, 캄페스트-4-엔-3,6-디온 및 24-알킬콜레스트-4-엔-3,6-디온을 들 수 있다.
또한, 각 화합물 중 「알킬」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피토스테논으로서, 시판 중인 피토스테논을 사용해도 되고, 공지된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 방법 또는 그것에 준하는 방법으로 제조한 피토스테논을 사용해도 된다. 생물학적 방법은, 효소, 발효 등을 이용한 방법이다. 시판 중인 피토스테논으로서는, 예를 들어 시그마-알드리치사제의 스티그마-4-엔-3-온 등을 들 수 있다.
몇 가지 양태에서는, 피토스테논으로서,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을 사용한다.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은, 예를 들어 피토스테롤 또는 피토스테롤을 함유하는 식물체를 포함하는 배지로 미생물을 배양해서 발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제2007-284348호 공보 및 J. Nutr. Sci. Vitaminol 53, 63-67. 2006에 기재되어 있다. 몇 가지 양태에서는,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은 피토스테롤의 5-엔-3-온체, 피토스테롤의 4-엔-3-온체 및 피토스테롤의 4-엔-3,6-디온체를 포함한다. 몇 가지 양태에서는,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은, 피토스테롤의 5-엔-3-온체, 피토스테롤의 4-엔-3-온체 및 피토스테롤의 4-엔-3,6-디온체를 40중량% 이상(예를 들어, 40중량% 이상, 41중량% 이상, 42중량% 이상, 43중량% 이상, 44중량% 이상, 45중량% 이상, 46중량% 이상, 47중량% 이상, 48중량% 이상, 49중량% 이상, 50중량% 이상, 51중량% 이상, 52중량% 이상, 53중량% 이상, 54중량% 이상, 55중량% 이상, 56중량% 이상, 57중량% 이상, 58중량% 이상, 59중량% 이상 및 60중량% 이상) 포함한다. 몇 가지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은, 캄페스트-5-엔-3-온, 시토스트-5-엔-3-온, 스티그마스트-5-엔-3-온, 브라시카스트-5-엔-3-온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피토스테롤 5-엔-3-온체; 캄페스트-4-엔-3-온, 시토스트-4-엔-3-온, 스티그마스트-4-엔-3-온, 브라시카스트-4-엔-3-온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피토스테롤의 4-엔-3-온체; 및 캄페스트-4-엔-3,6-디온, 시토스트-4-엔-3,6-디온, 스티그마스트-4-엔-3,6-디온, 브라시카스트-4-엔-3,6-디온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피토스테롤의 4-엔-3,6-디온체를 함유한다. 다른 몇 가지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은, 시토스트-5-엔-3-온, 시토스트-4-엔-3-온, 캄페스트-5-엔-3-온, 캄페스트-4-엔-3-온 및 피토스트-4-엔-3,6-디온(즉, 캄페스트-4-엔-3,6-디온, 시토스트-4-엔-3,6-디온, 스티그마스트-4-엔-3,6-디온 및 브라시카스트-4-엔-3,6-디온)을 함유한다.
여기서,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 중의 피토스테논 이외의 성분은, 예를 들어 기질인 식물스테롤(즉, 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브라시카스테롤)이다.
피토스테롤로서는, 예를 들어 캄페스테롤, β-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브라시카스테롤 및 24-알킬콜레스테롤을 들 수 있다. 피토스테롤은 시판 중인 것을 입수해서 사용해도 되고, 공지된 방법 또는 그것에 준하는 방법으로 제조해서 사용해도 된다.
「피토스테롤을 함유하는 식물체」란, 피토스테롤을 함유하는 식물체의 전체여도 되고, 혹은 식물체의 일부(예를 들어, 줄기, 잎, 뿌리, 꽃, 열매 및 종자)여도 된다. 피토스테롤을 함유하는 식물체로서는, 모든 식물, 예를 들어 대두, 해바라기, 채종, 산자나무 및 소나무를 들 수 있다.
배양에 사용하는 미생물은,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옥시다제 활성을 나타내는 미생물을 들 수 있다. 미생물로서는, 예를 들어 담자균류(예를 들어, 아가리쿠스속 및 구름버섯), 사상균류(예를 들어, 아스퍼질러스속 및 모나스커스속) 및 세균(예를 들어, 아스로박터(Arthrobacter)속, 스트렙토미세스속, 브레비박테리움(Brevibacteriumu)속 및 로도코커스(Rhodococcus)속 및 바실루스속)을 들 수 있다. 몇 가지 양태에서는, 미생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스로박터 심플렉스(Arthrobacter Simplex, 별명 노카르디오이데스 심플렉스(Nocardioidos Simplex)) 등을 들 수 있다.
미생물로서, 시판 중인 미생물을 사용해도 되고, 또는 인위적 변이 수단(예를 들어, 화학 물질(예를 들어, EMS(에틸메탄술포네이트), 디에틸술페이트, NTG(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 및 니트로소구아니딘), X선, γ선 및 자외선)에 의해 얻어진, 균학적 성질이 변이한 미생물을 사용해도 된다. 혹은, 미생물로서, 콜레스테롤옥시다제를 코드하는 유전자를 적당한 벡터에 의해 미생물(예를 들어, 대장균) 내에 도입하고, 형질 전환을 행하여 콜레스테롤옥시다제의 발현을 가능하게 한 형질 전환 미생물을 사용해도 된다.
경피 흡수제에 있어서의 피토스테논의 배합량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0.1 내지 2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이다.
경피 흡수제에는, 필요에 따라, 피토스테논 외에, 의약이나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즉 알코올류(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페녹시에탄올 등), 유화제(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고분자 유화제), 경피 흡수 촉진제(예를 들어, 지방산,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에테르, 방향족계 유기산, 방향족계 알코올, 방향족계 유기산 에스테르, 아릴에테르 및 리보솜 제제), 물(예를 들어, 정제수, 온천수 및 심층수), 유제, 계면 활성제, 금속 비누, 겔화제, 분체, 수용성 고분자, 피막 형성제, 수지, 자외선 방어제, 포접 화합물, 항균제, 향료, 소취제, 염류, pH 조정제, 청량제, 동물·미생물 유래 추출물, 식물 추출물, 혈행 촉진제, 수렴제, 항지루제, 미백제, 항염증제, 활성 산소 소거제, 세포 부활제, 보습제, 킬레이트제, 각질 용해제, 효소, 호르몬류, 비타민류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경피 흡수제의 제형에 따라, 이들 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피토스테논은 물에는 불용이기 때문에, 알코올류(예를 들어, 에탄올)에 용해시켜서 액상으로 해도 되고, 혹은 유화제를 사용해서 크림상으로 해도 된다. 몇 가지 양태의 경피 흡수제는, 경피 흡수 촉진제를 함유한다.
몇 가지 양태의 경피 흡수제는, 피하 지방을 저감하기 위한 의약이다. 의약으로서는, 피부에 적용 가능하면 되고, 액상 또는 반고형상(예를 들어, 겔상, 페이스트상 및 크림상)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의약으로서, 예를 들어 겔제, 크림제, 액제, 첩부제, 에어로졸제, 수성 연고제 및 팩제를 들 수 있다.
다른 몇 가지 양태의 경피 흡수제는, 피하 지방을 저감하기 위한 화장료이다. 화장료로서는, 피부에 적용 가능하면 되고, 액상 또는 반고형상(예를 들어, 겔상, 페이스트상 및 크림상)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화장료로서는, 예를 들어 기초 화장료(예를 들어, 화장수, 크림, 유액 및 미용액), 두발 화장료(샴푸, 린스 및 트리트먼트), 메이크업 화장료(예를 들어, 리퀴드 파운데이션 및 기초 유액) 및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들 수 있다.
몇 가지 양태의 경피 흡수제는, 피하 지방을 저감할 필요가 있는 대상에 있어서 피하 지방을 저감하기 위해서, 대상의 피부에 적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여기서는, 피토스테논을, 피하 지방의 저감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 있어서의 피하 지방을 저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혹은, 피부에 적용하도록 사용되며, 피하 지방을 저감하기 위한 피토스테논이 제공된다.
「대상」은 인간 또는 인간 이외의 생물, 예를 들어 새 및 비인간 포유 동물(예를 들어, 소, 원숭이, 고양이, 마우스, 래트, 모르모트, 햄스터, 돼지, 개, 토끼, 양 및 말)이다. 바람직하게는, 「대상」은 인간이다.
「적용」이란, 피토스테논을, 대상의 피하 지방을 저감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대상의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몇 가지 양태에서는, 피토스테논을, 대상에 있어서 저감할 필요가 있는 피하 지방이 축적되어 있는 피하 조직 상의 피부에 적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피토스테논을, 대상에 있어서 피하 지방이 축적되기 쉬운 부위, 예를 들어 상완부, 복부 및 요부에서 대퇴부에 걸친 부위에서 선택되는 부위의 피부에 적용한다. 경피 흡수제 또는 피토스테논은, 그 제형에 따라, 도포, 첩부, 분무 등에 의해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피토스테논의 적용량은, 연령, 성별, 증상, 투여 횟수, 제형 등에 따라 다르다. 피토스테논의 적용량은, 1일 1회부터 수회의 투여 횟수로, 예를 들어 5㎎/일 내지 1000㎎/일 또는 50㎎/일 내지 500㎎/일을 적용한다.
몇 가지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경피 흡수제, 방법 또는 피토스테논은, 내장 지방보다 우선적으로 피하 지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몇 가지 양태에 있어서, 경피 흡수제, 방법 또는 피토스테논은, 피토스테논의 경구 투여와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몇 가지 양태에 있어서, 경피 흡수제, 방법 또는 피토스테논은, 다른 의약 유효 성분, 또는 다른 화장료 유효 성분과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한 모든 문헌 및 간행물은, 그 목적에 상관없이 참조에 의해 그 전체를 본 명세서에 편입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본원의 우선권 주장의 기초가 되는 일본특허출원인 특원2018-161943호(2018년 8월 30일 출원)의 특허 청구 범위, 명세서 및 도면의 개시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이점 및 그의 아이디어는, 본 명세서의 기재에 의해,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며,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및 구체적인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예시 또는 설명을 위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그들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의도 그리고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의 기재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수식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실시예
실시예 1: 피하 지방 대사 촉진제인 식물 스테논의 제조법
피검 물질인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은 일본특허공개 제2007-284348호 공보에 기재된 발효법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피토스테롤을 포함하는 배지로 그램 양성균을 배양하고, 배양액을 제조했다. 제조한 배양액에 피토스테롤을 첨가하고, 또한 유기 용매를 중층한 후, 교반 날개로 강하게 교반했다. 그 후, 2층 분리에 의해 상층을 회수하고, 건고시켜서,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에는 50중량% 이상의 각종 스테 논류가 포함되어 있었다.
시토스트-5-엔-3-온, 시토스트-4-엔-3-온, 캄페스트-5-엔-3-온, 캄페스트-4-엔-3-온 및 피토스트-4-엔-3,6-디온.
여기서, 「피토스트-4-엔-3,6-디온」은, 캄페스트-4-엔-3,6-디온, 시토스트-4-엔-3,6-디온, 스티그마스트-4-엔-3,6-디온 및 브라시카스트-4-엔-3,6-디온의 혼합물이다.
각 종 피토스테논 및 피토스테롤의 분석은 일본특허공개 제2007-284348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했다. 분석 수치는 하기와 같다.
5-엔-3-온체(12.5중량%), 4-엔-3온체(36.6중량%) 및 4-엔-3,6-디온체(2.8중량%). (합계: 51.9중량%)
또한,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 중 나머지 성분은, 기질인 식물스테롤(즉, 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브라시카스테롤) 등이다.
피검 물질인 캄페스트-5-엔-3-온은 캄페스테롤(다마 세이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을 원료로 해서 Parish 등의 선택적 산화법 혹은 스완 산화법에 의해 합성함으로써 얻었다(Parish E.J., et al: Synthetic communications(1992) 22, p.2839-).
미리 표준 정제 시료 AIN-93G(오리엔탈 고우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를 2주간 주어 살찌게 한 SD 래트(오리엔탈 고우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를 사용했다. 살찐 래트의 배의 털을 20㎜사방 밀고, 여기에 피검 물질인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30㎎/㎖ 에탄올 용액)을 2㎖, 피검 물질인 캄페스트-5-엔-3-온(5㎎/㎖ 에탄올 용액)을 2㎖, 또는 대조로서 에탄올 용액 2㎖를 군 분류한 각각의 개체(각 군의 n=3)에 코튼으로 부드럽게 도포했다. 이 조작을 2주간 계속했다. 도포 시험 종료 후, 래트를 해부하고, 간장의 지방, 정소 주위 지방, 신장 주위 지방, 장간막 지방 및 피하 지방을 정성스럽게 회수하고, 각각의 중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피하 지방량은 대조 (E)를 도포한 경우에 비해,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 (P)를 도포한 경우에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있고(p<0.05), 40% 정도 감소하고 있었다(도 1). 또한, 피하 지방량은 대조 (E)를 도포한 경우에 비해, 캄페스트-5-엔-3-온 (C)를 도포한 경우도 피하 지방이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있고(p<0.05), 16% 정도 피하 지방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 또는 캄페스트-5-엔-3-온을 도포한 경우의 피하 지방은 대조에 대하여 40% 및 16% 각각 저감했다.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의 경피 투여에 의한 피토스테논의 투여량은, 1일당 약 31㎎(30㎎/㎖x2㎖×0.519)이며, 2주간의 합계로 약 434㎎이다. 또한, 캄페스트-5-엔-3-온을 사용했을 때의 경피 투여에 의한 그 투여량은, 1일당 약 10㎎(5㎎/㎖×2㎖)이며, 2주간의 합계도 약 140㎎밖에 되지 않는다.
한편, 내장 지방을 강력하게 저감시키는 캄페스트-5-엔-3-온 약 120㎎/일을 8주간에 걸쳐서 경구 투여한 경우의 피하 지방 저감율이 26%였던 것이 보고되고 있다(비만 연구(2007), 13(3), p.244-249). 경구 투여에 의한 캄페스트-5-엔-3-온의 투여량은, 1일당 약 120㎎이기 때문에, 8주간의 합계로는 약 6720㎎이나 달한다.
이러한 점에서, 피토스테논을 경피 투여하면 경구 투여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단기간 또한 소량의 투여로 피하 지방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내장 지방은 저감하기 쉽고, 피하 지방은 저감하기 어려운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피하 지방의 대사는 내장 지방이 대사된 후에 행해지는 것이 많고, 피하 지방을 우선적으로 대사하는 것은 유산소 운동을 행했을 때인 것도 알려져 있다. 장간막 주위, 신장 주위, 정소 주위, 간장 등의 부위의 지방은 내장 지방이라 한다. 그러나, 이 부위의 지방은 대조를 도포한 경우에 비해, 피검 물질을 도포한 경우에 현저하게 지방량이 감소한 경우는 없었다(도 2 내지 5). 즉, 피검물질을 도포했을 때, 피하 지방이 내장 지방보다 우선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의차 검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우선, 각 군의 평균값±표준 오차를 산출하고, 분산 검정을 행하였다. 그리고, 등분산의 경우에는 t 검정에 의해, 또한 부당 분산의 경우에는 웰치법에 의해 유의차 검정을 행하였다.
본 실시예에 의해, 피토스테논을 경피 투여하면 경구 투여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단기간 또한 소량의 투여로 피하 지방이 감소하는 것이 명확해졌다.

Claims (8)

  1. 피토스테논을 함유하는, 피하 지방을 저감하기 위한 경피 흡수제.
  2. 제1항에 있어서, 피토스테논은,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인, 경피 흡수제.
  3. 제2항에 있어서, 피토스테논 함유 조성물은, 피토스테롤의 5-엔-3-온체, 피토스테롤의 4-엔-3-온체, 및 피토스테롤의 4-엔-3,6-디온체를 포함하는, 경피 흡수제.
  4. 제1항에 있어서, 피토스테논은 캄페스트-5-엔-3-온인, 경피 흡수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인, 경피 흡수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인, 경피 흡수제.
  7. 피부에 적용하도록 사용되며, 피하 지방을 저감하기 위한 피토스테논.
  8. 피토스테논을, 피하 지방의 저감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 있어서의 피하 지방을 저감하는 방법.
KR1020217005142A 2018-08-30 2019-08-29 피토스테논의 신규 용도 KR20210053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61943 2018-08-30
JP2018161943 2018-08-30
PCT/JP2019/033822 WO2020045542A1 (ja) 2018-08-30 2019-08-29 フィトステノンの新規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284A true KR20210053284A (ko) 2021-05-11

Family

ID=6964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142A KR20210053284A (ko) 2018-08-30 2019-08-29 피토스테논의 신규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77868A1 (ko)
EP (1) EP3845232A4 (ko)
JP (1) JP7389748B2 (ko)
KR (1) KR20210053284A (ko)
CN (1) CN112601528A (ko)
WO (1) WO202004554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0544A (ja) 2000-02-29 2001-09-04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抗肥満剤及び脂質代謝改善剤
JP2003048837A (ja) 2001-08-03 2003-02-21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血糖降下剤
JP2007284348A (ja) 2004-07-14 2007-11-01 Technoflora:Kk ステロールの5−エン−3−オン体又は3,6−ジオン体の製造方法、脂質代謝改善剤、飲食品及び動物用飼料の製造方法、並びに分析方法
JP2011051939A (ja) 2009-09-02 2011-03-17 Toyo Hakko:Kk 血中hdlコレステロール上昇剤、並びにそれを含む飲食品添加剤、飲食品及び医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1462B2 (en) * 1997-11-06 2003-03-11 Riken Medicament for treating obesity and improving lipid metabolism
CZ20014004A3 (cs) * 1999-05-17 2002-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Způsoby kosmetické regulace stavu keratinové tkáně savců pomocí místního nanáąení fytosterolových kosmetických přípravků a tyto přípravky
WO2011122722A1 (ko) * 2010-04-01 2011-10-06 주식회사 벤스랩 콜레스테롤 산화효소를 제조하는 방법, 콜레스테롤 산화효소를 이용하여 식물스테롤 발효물을 생산하는 방법, 이 식물스테롤 발효물을 이용한 체지방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JP6529791B2 (ja) * 2015-03-11 2019-06-12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幹細胞の未分化状態維持剤及び増殖促進剤
JP2018161943A (ja) 2017-03-24 2018-10-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減速時姿勢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0544A (ja) 2000-02-29 2001-09-04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抗肥満剤及び脂質代謝改善剤
JP2003048837A (ja) 2001-08-03 2003-02-21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血糖降下剤
JP2007284348A (ja) 2004-07-14 2007-11-01 Technoflora:Kk ステロールの5−エン−3−オン体又は3,6−ジオン体の製造方法、脂質代謝改善剤、飲食品及び動物用飼料の製造方法、並びに分析方法
JP2011051939A (ja) 2009-09-02 2011-03-17 Toyo Hakko:Kk 血中hdlコレステロール上昇剤、並びにそれを含む飲食品添加剤、飲食品及び医薬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unio Suzuki, et al., J. Nutr. Sci. Vitaminol.(2007), 53, p.63-67
비만 연구(2007), 13(3), p.244-249
스즈키 쿠니오 외, Nippon Rinsho(2003), 61, Suppl.6, p.698-7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045542A1 (ja) 2021-11-25
EP3845232A1 (en) 2021-07-07
US20210177868A1 (en) 2021-06-17
WO2020045542A1 (ja) 2020-03-05
JP7389748B2 (ja) 2023-11-30
CN112601528A (zh) 2021-04-02
EP3845232A4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473B2 (en) Hair restoration/growth stimulating agent
JP2007119431A (ja)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活性化剤
JP2003212774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JP5990058B2 (ja) エストロゲン受容体β活性化剤
US1161262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s,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US8455023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melanogenesis and use thereof
KR102061933B1 (ko) 세스퀴테르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또는 근감소증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US11096917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s, comprising suberic acid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JP2005179367A (ja) 毛髪の喪失を阻止する皮膚科学的又は化粧品組成物の製造のためのエクディステロイドの使用
KR101986882B1 (ko) 오시멘, 유게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04328A (ko) 햄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조성물
KR20210053284A (ko) 피토스테논의 신규 용도
JP2011102264A (ja) アロマターゼ活性化剤
CN117379333A (zh) 二肽二氨基丁酰苄基酰胺二乙酸盐协同增效乙酰基六肽-8护肤功效的应用
KR20190000612A (ko) 필버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또는 근감소증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200106372A (ko)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6002510B2 (ja) エストロゲン受容体β活性化剤
DE102005031363A1 (de) Mittel mit Anti-Aging-Effekt
JP7455344B2 (ja) Endo180産生促進剤
KR102311011B1 (ko) 인간지방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WO2022004632A1 (ja) 発毛及び/又は育毛用組成物
US11400126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Dead Sea extract and an extract of Apple of Sodom and uses thereof
US2022008810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e as effective component for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muscular diseases, or improving muscule functions
KR101993510B1 (ko) 제라닉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5281174A (ja) 活性酸素消去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