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153A - 개폐체의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의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153A
KR20210051153A KR1020190136062A KR20190136062A KR20210051153A KR 20210051153 A KR20210051153 A KR 20210051153A KR 1020190136062 A KR1020190136062 A KR 1020190136062A KR 20190136062 A KR20190136062 A KR 20190136062A KR 20210051153 A KR20210051153 A KR 20210051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opening
rotation
locking
slid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073B1 (ko
Inventor
조정형
한종욱
Original Assignee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락스(주 ) filed Critical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to KR102019013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073B1/ko
Priority to PCT/JP2020/039989 priority patent/WO2021085342A1/ja
Publication of KR2021005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2Rectilinearly moving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잠금부로부터 계합해제된 잠금부재가 다시 잠금부에 계합할 때 발생하는 타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잠금 장치(10)는 잠금부와, 베이스 부재(20)와, 회전 부재(50)와 잠금부재(70,70A)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쿠션(100)을 가지고, 회전 부재(50)는 회전부(51)와, 회전부 외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65)를 가지고 있으며, 돌출부(65)의 돌출 방향 선단에는 슬라이딩 접촉부(66)와 스토퍼부(68)를 가지고, 회전 부재(50)의 회전시에, 슬라이딩 접촉부(66)가 쿠션(100)에 슬라이딩 접촉한 후, 스토퍼부(68)가 쿠션(100)에 접촉하여 회전 부재(50)가 회전 규제된다.

Description

개폐체의 잠금 장치{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를 닫힌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등의 고정체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뚜껑 등의 개폐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개구부와 개폐체와의 사이에는 개폐체를 닫을 때 잠금과 동시에 개폐체를 열 때에는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특허 문헌 1에는 개폐 부재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지지된 조작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조작 부재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베이스부가 회전 부재에 연결되고, 선단부가 제 1 잠금공에 진퇴하는 제 1 로드 및, 베이스부가 회전 부재에 연결되고, 선단부가 제 2 잠금공에 진퇴하는 제 2 로드의 한 쌍의 잠금부재를 구비한 잠금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제 1 스프링에 의해 회전가압되며, 이 회전 부재를 통해, 양 잠금부재의 선단부가 잠금공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조작 부재와 베이스 부재 사이에는, 제 2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고, 조작 부재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에는 고무 재료로 형성된 쿠션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양 잠금부재를 양 잠금공으로부터 결합 해제시에는,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제 1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 부재를 회전시킨다. 그 후, 조작 부재에서 손을 떼면, 회전 부재가 제 1 스프링에 의해 회전가압됨과 동시에, 조작 부재가 제 2 스프링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쿠션이 조작 부재의 소정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타음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WO2017 / 078121호
상기 특허 문헌 1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는, 양 잠금공으로부터 결합 해제된 양 잠금부재가, 다시 잠금부에 결합할 때, 회전 부재에 의해, 양 잠금부재가 잠금공의 결합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이때 타음이 생긴다. 또한, 베이스 부재에는 고무 재질로 만들어진 쿠션이 고정되어 있지만, 이 쿠션은 조작 부재에 접촉할 뿐이므로, 잠금부재의 상기 동작에 의한 타음(회전 부재에 의해 잠금부재가 잠금공의 결합방향으로 가압될 때의 타음)을 억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부에서 결합 해제된 잠금부재가 다시 잠금부에 결합할 때 발생하는 타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또는 상기 개폐체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고정체 또는 상기 개폐체에 고정되어, 회전 지지부 및 쿠션 장착부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와, 상기 회전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 부재를 통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 가압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부에 계합 및 이탈하는 잠금부재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장착부에 장착되는 쿠션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 선단에는 슬라이딩 접촉부와,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에 대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가압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가 상기 쿠션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한 후,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쿠션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부에서 결합 해제된 잠금부재가, 다시 잠금부에 결합할 때, 회전 부재의 돌출부가 쿠션에 접촉한다. 이때, 돌출부의 슬라이딩 접촉부가 쿠션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한 후, 스토퍼부가 쿠션에 접촉하기 때문에, 회전 부재으로부터의 충격력을 이른바 2 단계의 충격 흡수 작용(댐퍼 작용)에 의해, 쿠션으로 받아 내게 되므로, 회전 부재의 회전에 따른 타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 회전 부재와 한 쌍의 잠금부재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며, (a)는 그의 확대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잠금부재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를 나타내며, (a)는 그의 확대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쿠션을 나타내며, (a)는 그 확대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 회전 부재와 쿠션을 조립한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5의 E-E 지시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 장착된 쿠션을 나타내며, (a)는 그 요부 확대 사시도, (b)는 (a)의 D-D 지시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가압된 회전 부재의 돌출부가 쿠션에 접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슬라이딩 접촉부가 쿠션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한 상태의 설명도, (b)는 스토퍼부가 쿠션에 맞닿은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가압된 회전 부재의 돌출부가 쿠션에 접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그의 제 1 공정의 설명도, (b)는 제 2 공정의 설명도, (c)는 제 3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가압된 회전 부재의 돌출부가 쿠션에 접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그의 제 4 공정의 설명도, (b)는 제 5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개폐체를 닫은 상태로 잠근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개폐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과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10)(이하 '잠금 장치(10)'라 한다)는 예를 들어, 차량의 계기판 등의 고정체(1)의 개구부(2)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글러브 박스 등의 개폐체(5)를 닫힌 상태로 잠그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잠금 장치(10)는 고정체(1)의 개구부(2)(도 15 참조)에 설치된 한 쌍의 잠금부(3,3)와, 개폐체(5)의 뒷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20)와, 베이스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가압 부재(6)(본 발명에서 '가압 부재'를 이룸)을 통해 소정 방향(도 12의 회전 가압 방향 A 참조)에 회전 가압된 회전 부재(50)와, 이 회전 부재(50)에 연결되고, 잠금부(3,3)에 계합 및 이탈하는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와, 개폐체(5)의 도시하지 않은 장착공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파지부(91)를 개폐체(5)에 대하여 근접 및 떨어지게 함으로써 한 쌍의 잠금부재(70,70A)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조작 부재(90)와,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장착되는 쿠션(100)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에는 돌출부(65)가 형성되어 있어, 더욱이 이 돌출부(65)는 슬라이딩 접촉부(66)와 스토퍼부(68)를 가지고 있다(회전 부재(50)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는 상술 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계기판의 개구부에 상자 형상의 글러브 박스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에 적용하거나(이 경우 계기판이 '고정체', 글로브 박스가 '개폐체'를 이룸) 혹은 계기판의 개구부에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구조(이 경우, 계기판이 '고정체', 뚜껑이 '개폐체'를 이룸)에 적용하여도 좋고, 고정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각종의 개폐체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체(1)의 개구부(2)의 폭 방향의 양쪽에 구멍 형상을 이룬 한 쌍의 잠금부(3,3)가 설치되어있다. 또한, 잠금부는 구멍 형상이 아니더라도, 오목 형상이나 돌기 형상, 테두리 형상 등 이어도 좋고, 또한 잠금부는 고정체가 아니라, 개폐체에 설치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잠금부재(70,70A)는 개폐체(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잠금부(3)가 고정체(1)의 개구부(2) 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잠금부재를 고정체 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고, 잠금부를 개폐체 측에 설치해도 좋다.
다음으로,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부재(20)는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27)와, 한 쌍의 잠금부재(70,70A)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35,35)를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20)는, 그 앞측에 한 쌍의 잠금부재(70,70A)를 슬라이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도 15, 16 참조), 뒷측에도 한 쌍의 잠금부재를 슬라이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의 '앞측'은 회전 부재가 배치되는 측을 의미한다 ('앞면측'도 같은 의미이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뒷면'는 회전 부재의 배치측과는 반대측을 의미한다('뒷면측'도 같은 의미이다).
또한, 베이스 부재 이외의 부재(개폐체(5)나, 회전 부재(50), 잠금부재(70,70A), 조작 부재(90), 쿠션(100) 등)의 '앞측'이나 '앞면측'이라 함은 차량 등의 고정체의 개구부로부터 개폐체가 열리는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과, 차량의 내부 공간측(승객을 향하는 측)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베이스 부재 이외의 부재에서 '뒷면'과 '뒷면측'은 상기의 '앞측'또는 '앞면측과 반대측, 즉 개폐체가 닫히는 방향에 위치하는 측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부재(20)의 구조를 설명하면 이 베이스 부재(20)는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베이스부(21)와, 이 베이스부(21)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22,23)을 가지고 있다. 또한, 베이스부(21)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서, 그 폭 방향(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부착부(24,2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0)는 이들 부착부(24,25)를 통해 개폐체(5)의 뒷측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1)의 길이 방향 중앙은, 대략 원형 오목 형상을 이루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바닥부(26)으로부터는 대략 원통형을 이룬 회전 지지부(27)가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회전 지지부(27)의 선단 외주로부터는 빠짐 방지 돌기(27a)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3(a)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27)의 외측에는 원호 형상을 이룬 한 쌍의 가이드 리브( 28,28)가 돌출되어 있으며, 가이드 리브(28)의 외부에는 슬릿(29a)을 통해 휨 가능한 회전 규제조(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21)의 앞면측과 뒷면측에 는, 여러 가이드 벽(30)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벽(30)은, 베이스 부재(20)의 앞면과 뒷면에 한 쌍의 잠금부재가 배치된 경우에 한 쌍의 측벽(22,23)와 함께 그 슬라이드 가이드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앞측과 뒷측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벽(22,23)의 내면과, 가이드벽(30)의 외면으로부터는 복수의 오조립 방지 돌기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오조립 방지 돌기부(33)는, 잠금부재(70,70A)에 마련한 복수의 노치부(74a)(도 5 참조)와 함께, 베이스 부재(20)의 앞측 또는 뒷측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한 쌍의 잠금부재(70,70A)를 조립하여, 오조립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복수의 오조립 방지 돌기부(33)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0,70A)의 후술하는 베이스(71)를 구성하는 연장벽(74)의 일단면측에 배치되어 베이스 부재(20)에 대하여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의 빠짐 방지를 유지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가이드에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1)에는 한 쌍의 측벽(22,23)과 베이스 부재 뒷측의 한 쌍의 가이드 벽(32,32) 사이에 각 잠금부재(70,70A)의 돌기(80)(도 5 참조)가 삽입되는 슬릿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지지부(35,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잠금 장치(10)에 있어서의 베이스 부재(20)에는 쿠션 장착공(40)이 형성되어 있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쿠션 장착공(40)에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쿠션(100)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쿠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쿠션(100)은 베이스부(101)와 이 베이스부(101)에 연달아 설치함과 동시에, 베이스부(101)보다 감소된 지름의 원주 형상을 이루는 축경부(103)와, 이 축경부(103)에 연달아 설치함과 동시에, 축경부(103)보다 큰 지름의 헤드부(105)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101)의 헤드부(105)와는 반대측의 부분에는 테이퍼 돌기 형상을 이루는 삽입부(10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105)의 외주(105a)는, 쿠션(100의) 축 방향 기단측으로부터 선단 측을 향해 점차 감소된 지름의 경사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헤드부 전체적으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헤드부(105)의 슬라이딩 접촉부(66) 및 스토퍼부(68)보다도 축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부측의 부분(슬라이딩 접촉부(66) 및 스토퍼부(68)의 두께 방향의 표면보다도 뒷면측의 부분)이 베이스부측 부분(105b)을 이루고 있다.
또한 쿠션(100)를 형성하는 탄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부틸 고무(아이소뷰틸렌·아이소프렌 고무 : IIR), 니트릴 고무(NB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M, EPDM), 부타티엔 고무(BR), 우레탄계 고무, 실리콘계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등의 고무 재료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반발 탄성이 낮은(충격 흡수 능력이 큰) 탄성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100)은 회전 부재(50)의 돌출부(65)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접촉부(66)와 스토퍼부(68)의 표면보다도 높도록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쿠션(100)이 쿠션 장착공(40)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헤드부(105)의 축 방향 높이가 회전 부재(50)의 슬라이딩 접촉부(66)와 스토퍼부(68)의 표면(두께 방향의 한 단면)보다도 높아지도록 돌출되어 있다.
상기 쿠션 장착공(40)의 설명으로 돌아 가면, 이 쿠션 장착공(40)은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1)의 길이 방향 타단부측의 부착부(25)보다 약간 내측에서, 또한, 그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부(21)를 관통하는 원형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에는 쿠션(100)의, 슬라이딩 접촉부(66) 및 스토퍼부(68)보다도 베이스부측의 부분(머리부(105)의 베이스부측 부분(105b))을 둘러싸는 쿠션 지지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쿠션 지지부(41)는 쿠션 장착공(40)의 앞측 가장자리로서, 베이스부(21)의 표면보다도 한 단계 낮은 원형 오목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경은 쿠션 장착공(40)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쿠션 지지부(41) 내에 헤드부(105)의 베이스부측 부분(105b)이 삽입됨으로써, 이 베이스부측 부분(110a)이 쿠션 지지부(41)에 의해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도 11(b) 참조).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에는 쿠션(100)의, 회전 부재(50)의 돌출부(65)의, 슬라이딩 접촉부(66)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하는 부분, 및 스토퍼부(68)이 접촉하는 부분은, 반경 방향의 반대측의 부분에, 쿠션 받침부(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3(a)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1)의 길이 방향 타단부측의 앞면측으로서, 쿠션 장착공(40)과 쿠션 지지부(4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대략 원호 형상의 벽부를 이룬 쿠션 받침부(43)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쿠션 받침부(43)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길이 방향 일단 측이 개구하여 있고, 제 1 가압 부재(6)를 통해, 회전가압방향 A 방향으로 회전가압된 회전 부재(50)의 돌출부 65)를,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잠금부재(70,70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잠금부재(70)는 소정 길이 연장된 베이스부(71)를 가지고 있으며, 그의 연장 돌출 방향의 선단에 상기 잠금부(3)에 계합 및 이탈하는 계합부(73)가 형성된 곧게 뻗은 봉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잠금부재(70A)는 베이스부(71) 및 계합부(73) 외에도 베이스부(71)의 연장 돌출 방향 선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굴곡부(72)을 가지고 있으며, 이 굴곡부(72)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계합부(73)가 연장되어 있으며, 잠금부재(70A) 전체적으로 대략 크랭크 로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잠금부재(70,70A)는 제 1 가압 부재(6)를 통해 회전가압 방향 A 방향으로 회전가압되는 회전 부재(50)에 돌기(80)에 의해 연결되는 관계 상, 도 15의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부(73,73)가 잠금부(3,3) 으로 향해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71)는 긴판 형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벽(74,75)과, 그들을 연결하는 연결벽(76)으로 이루어지고, 단면 H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72)는 조작 부재(90)의 조작 노브(93)(도 1 참조)가 삽입되는 테두리 형상을 이루는 노브 삽입부(72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작 부재(9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부재(90)는 대략 긴판 형상을 이룬 파지부(91)와, 파지부(91)의 뒷측의 길이 방향 일단측에 형성되고, 개폐체(5)의 도시하지 않은 설치공 주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설치부(92)와 파지부(91)의 뒷측으로서, 상기 회동 설치부(92)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돌출된 조작 노브(93)과, 파지부(91)의 뒷측으로서, 상기 조작 노브(93)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돌출하여 개폐체(5)의 장착공 주변에 결합하여 빠짐 방지 유지하는 한 쌍의 빠짐 방지조(94,9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90)는 개폐체(5)에 대하여 파지부(91)가 근접 및 떨어짐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부재(90)에는 제 2 가압부재(9)가 장착되어 있으며, 개폐체(5)에 대해 파지부(91)의 길이 방향 타단부가 항상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90)의 파지부(91)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개폐체(5)로부터 이격시키면, 조작 노브(93)가 잠금부재(70A)의 계합부(73)를 잠금부(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되어 있다(도 16 참조). 이에 연동하여 잠금부재(70)도 회전 부재(50)를 통해 계합부(73)을 잠금부(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잠금부재(70,70A)의 설명으로 돌아 가면, 베이스부(71)의 연장 방향 선단 측에는 대략 장방형의 테두리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 프레임(77)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프레임(77)의 내주로부터 복수의 탄성 가이드편(77a)가 연장되어 있다. 이들 탄성 가이드 편(77a)이 개폐체(5)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돌기부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접하고 잠금부재(70,70A)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구성한다.
또한, 각 잠금부재(70,70A)의 베이스부(71)를 구성하는 연장벽(74)에는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잠금부재(70,70A)를 슬라이드 배치할 때, 베이스 부재(20)에 형성한 오조립 방지 돌기부(33)가 삽입하여 관통되는, 복수의 노치부(74a)가 각각 형성되어있다.
또한, 각 잠금부재(70,70A)에는 회전 부재(50)와 연결용 돌기(80)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돌기(80)는 잠금부재(70,70A)의 베이스부(71)를 구성하는 연장벽(74)의 앞측으로서, 일측의 노치부(74a)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각 돌기(80)는 상기 위치부터 돌출한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복수의 노치 홈(81,82)에 의해, 축 방향 중간 부에 세경부(84)가 형성되어 있으며,이 세경부(84)에 연속형성된 축 방향 선단부에 세경부(84)보다도 확경된, 빠짐 방지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80)의 빠짐 방지부(85)는 슬라이드 지지부(35)의 뒷측에 대향 배치되고, 슬라이드 지지부(35)로부터의 돌기(80)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회전 부재(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회전 부재(50)는, 상기 회전 지지부(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51)와, 이 회전부(51)의 외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65)를 가지고 있다.
상기 회전부(51)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는 기판(52)과, 이 기판(52)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세워지게 형성한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관형 벽(53)과, 이 관형 벽(53)의 세워지게 형성한 방향 선단에 형성된 천장 벽(54)을 갖고 있다. 이 천장 벽(54)의 중앙에는 대략 열쇠공 형상을 이루는 장착공(5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공(54a)에는 베이스 부재(20)의 회전 지지부(27)가 삽입하여 관통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 지지부(27)의 빠짐 방지 돌기(27a)가 장착공(54a)의 앞측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베이스 부재(20)에 대하여 회전 부재(50)의 빠짐 방지 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9 참조).
또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 벽(53)의 뒷측 주변부로부터는 원호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55,56)가 돌출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가이드 리브(55,56)는 베이스 부재(2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리브(28,28)의 외측에 배치되어,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폭이 좁은 가이드 리브(56)는 그 둘레 방향 일단이 회전 지지부(27)에 회전 부재(50)가 회전지지된 후의, 베이스 부재(20) 측의 회전 규제조(29)에 대향 배치되어 회전 부재(50)를 회전 규제한다.
또한,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는 제 1 가압 부재(6)를 통해 소정의 회전 가압 방향 A로 회전 가압하게 되어 있다. 이 제 1 가압 부재(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가압 부재(6)는 소위 토션 스프링으로 되어 있어, 권취부(6a)와 이 권취부(6a)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완부(6b, 6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의 완부(6a)가 베이스 부재(20) 측으로 걸리게 되고, 타방 완부(6b)가 회전 부재(50) 측에 걸리게 되어 있다. 이 제 1 가압 부재(6)가 회전 부재(50)를 회전가압 방향 A 방향으로 회전가압함으로써, 회전 부재(5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의 계합부(73,73)를, 잠금부(3,3)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지만(도 15의 화살표 B 참조), 이 가압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잠금부재의 일측을 잠금부측을 향해 당기는 '인장 스프링'등 이어도 되고, 잠금부재를 잠금부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면 된다.
또한, 회전부(51)의 외주로부터는, 한 쌍의 제 1 돌출 벽부(58) 및 제 2 돌출 벽부(59)과, 또 한 쌍의 제 1 돌출 벽부(60) 및 제 2 돌출 벽부(61)가 이 외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제 1 돌출 벽부(58)와 제 2 돌출 벽부(59) 사이, 및 제 1 돌출 벽부(60)와 제 2 돌출 벽부(61) 사이에는 잠금부재(70,70A)의 돌기(80)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63,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돌출 벽부(58,60)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가압 방향 A 측에 위치하고, 제 2 돌출 벽부(59,61)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가압 방향 A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 수용부(63,64) 내에 잠금부재(70,70A)의 각 돌기(80)가 각각 삽입되어, 제 1 돌출 벽부(58) 및 제 2 돌출 벽부(59)에 의해 끼워져 있음과 동시에, 제 1 돌출 벽부(60) 및 제 2 돌출 벽부(61)에 의해 끼워짐으로써, 회전 부재(50)에 한 쌍의 잠금부재(70,70A)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65)의 설명으로 돌아 가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돌출부(65)는 회전부(51)의 기판(52)의 외주로서, 제 1 돌출 벽부(58)와 제 2 돌출 벽 부(61)의 사이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돌출부(65)의 돌출 방향 선단에는 슬라이딩 접촉부(66)와, 이 슬라이딩 접촉부(66)에 대해 회전 부재(50)의 회전 가압 방향 A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스토퍼부(68)를 갖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가압 방향 A의 선단 측에 슬라이딩 접촉부(6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슬라이딩 접촉부(66)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가압 방향 A의 선단 측에 원호 형상면(66a)을 가지고 있으며, 슬라이딩 접촉부(66)로부터 스토퍼부(68)에 이르는 부분에는 원호 형상면(66a)에 대해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면(67)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접촉부(66)의 , 회전 부재(50)의 회전 가압 방향 A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외주각부에,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형성되고, 외측에 볼록(凸) 형상을 이루는 원호 형상을 나타내는 원호 형상면(6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호 형상면(66a)의, 회전 가압 방향 A와는 반대 측의 단부로부터는, 소정 길이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직선 형상면(6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선 형상면(66b)의 회전 가압 방향 A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상기 원호 형상면(66a)에 대해 오목(凹) 형상을 이루고, 만곡하여 연장된 만곡면(6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만곡면(67)의, 회전 가압 방향 A와는 반대 측의 단부가 상기 스토퍼부(68)에 연결되어 있다. 즉, 돌출부(65)의 돌출 방향 선단의 외주면에는 회전 가압 방향 A의 선단 측으로부터 회전 가압 방향 A와는 반대쪽을 향해 순서대로, 슬라이딩 접촉부(66)의 원호 형상면(66a), 슬라이딩 접촉부(66)의 직선 형상면(66b), 만곡면(67), 스토퍼부(6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만곡면(67)은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외주면의 전부가 쿠션(100)의 헤드부(105)의 외주에 접촉하도록 그 곡률 반경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3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68)는 그 선단이 회전 부재(50)의 회전시에, 베이스 부재(20)에 형성한 쿠션 받침부(43)에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65)의 돌출단면(65A)(슬라이딩 접촉부(66)의 원호 형상면(66a), 직선 형상면(66b), 만곡면(67), 스토퍼부(68)의 둘레면을 이루는 면)은 쿠션(100)의 머리부(105)의 외주(105a)에 적합하도록 회전 부재의 앞면측으로부터 뒷면측을 향해, 점차 돌출량이 작아지는 역테이퍼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쿠션 외주면에 대한 돌출부(65)의 접촉 면적이 최대한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돌출부(65)는 원호 형상면(66a)과, 직선 형상면(66b), 만곡면(67)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 면은 없어도 되고, 적어도 슬라이딩 접촉부 및 스토퍼부가 있으면 된다.
그리고, 이 잠금 장치(10)에 있어서는,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의 회전시에, 슬라이딩 접촉부(66)가 쿠션(100)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한 후,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부(68)가 쿠션(100)에 접촉하여, 회전 부재(50)가 회전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 부재(50)의 회전시에, 슬라이딩 접촉부(66)가 쿠션(100)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하는 동시에(도 12(a) 참조), 이 슬라이딩 접촉부(66)가 쿠션(100)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한 상태에서, 다시 스토퍼부(68)가 쿠션(100)에 맞닿아(도 12(b) 참조), 회전 부재(50)가 회전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각 부재(베이스 부재, 회전 부재, 잠금부재, 조작 부재, 쿠션 등)는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잠금 장치의 배치 장소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잠금부재로서는 한 쌍의 부품이 아니라 한 개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잠금 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잠금 장치(10)의 조립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에, 쿠션 장착 공(40)에 쿠션(100)을 장착한다. 즉, 쿠션 장착공(40)의 앞측 개구로부터, 베이스부(101)의 삽입부(101a)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삽입하여, 이 삽입부(101a)를 쿠션 장착공(40)의 뒷측으로부터 빼낸다. 그러면 쿠션 장착공(40)에 축경부(103)가 삽입되어, 쿠션 장착공(40)의 뒷측 가장자리에 베이스부(101)가 계합함과 동시에, 쿠션 장착 공(40)의 앞측에 헤드부(105)의 베이스부측 부분(105b)이 맞닿기 때문에,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 장착공(40)이 베이스부(101) 및 헤드부(105)에 의해 끼워져서, 쿠션 장착공(40)에 쿠션(100)을 장착할 수 있다.
이어서, 베이스 부재(20)의 회전 지지부(27)의 주변에, 제 1 가압 부재(6)를 배치 한 후, 회전 부재(50)의 열쇠공 형상을 이룬 장착공(54a)에 회전 지지부(27)의 빠짐 방지 돌기(27a)를 일치시켜 삽입하여 관통시켜서, 빠짐 방지 돌기(27a)를 회전 부재(50)의 천장 벽(54)의 앞측에 배치한다. 그 후, 베이스 부재(20)의 회전 규제조(29)를 휘게 하면서 회전 부재(50)를 회전시켜, 회전 규제조(29)를 가이드 리브(56)가 타고 넘을 때까지 회전 부재(50)를 회전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회전 부재(50)가 빠짐 방지 및 역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회전 지지부(27)에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어서, 회전 부재(50)의 돌기 수용부(63,64)에 잠금부재(70,70A)의 각 돌기(80)를 삽입함으로써, 베이스 부재(20)의 앞측에 있어서, 회전 부재(50)에 대해 한 쌍의 잠금부재(70,70A)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잠금 장치(10)에 있어서는 고정체(1)의 개구부(2)로부터 개폐체(5)가 열린 상태에서 개폐체(5)를 닫아서,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의 계합부(73,73)가 고정체(1)의 잠금부(3,3)에 결합함으로써, 개폐체(5)가 닫힌 상태로 고정된다(도 15 참조).
이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90)의 파지부(91)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제 2 가압 부재(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개폐체(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0A)의 계합부(73)를, 제 1 가압 부재(6)에 의해 회전 가압된 회전 부재(50)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하여, 잠금부(3)으로부터 계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인입하는 동시에, 그것과 연동하여 회전 부재(50)를 통해, 잠금부재(70)의 계합부(73)을, 잠금부(3)로부터 계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인입하기 때문에, 개폐체(5)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고정체(1)의 개구부(2)로부터 개폐체(5)를 열 수 있다.
그 후, 조작 부재(90)의 파지부(91)로부터 손을 놓으면, 파지부(91)가 제 2 가압 부재(9)의 가압력에 의해 개폐체(5)에 근접함과 동시에, 회전 부재(50)가 제 1 가압 부재(6)에 의해, 회전 가압 방향 A 방향으로 다시 회전 가압되고,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의 슬라이딩 접촉부(66)가 쿠션(100)에 슬라이딩 접촉한 후,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부(68)가 쿠션(100)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잠금부재(70,70A)는 제 1 가압 부재(6)에 의해 회전 가압되는 회전 부재(50)를 통해 결합 부(73,73)가 잠금부(3,3)로 향해 가압된다.
그 후, 고정체(1)의 개구부(2)에 대해 개폐체(5)를 닫으려고 하면,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의 돌출된 계합부(73,73)가 고정체(1)의 개구부(2)의 가장자리에 접촉하고, 한 쌍의 잠금부재(70,70A)가 가압력에 대항하여 강제적으로 안으로 인입되고, 계합부(73,73)가 잠금부(3,3)의 위치에 도달하면, 계합부(73,73)가 다시 돌출하여 잠금부(3,3)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잠금부재(70,70A)의 인입 동작에 따라,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 방향 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토퍼부(68)가 쿠션(100)로부터 떨어진 후, 다시 스토퍼부(68)가 쿠션(100)이 접촉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상술한 조작 부재(90)의 파지부(91)로부터 손을 뗀 경우와 마찬가지로,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의 슬라이딩 접촉부(66)가 쿠션(100)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한 후,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부(68)이 쿠션(100)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 부재(50)의 슬라이딩 접촉부(66)가 쿠션(100)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한 후, 스토퍼부(68)가 쿠션(10)에 접촉하는 동작에 대하여, 13 및 도 14을 함께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제 1 가압 부재(6)에 의해 회전 가압 방향 A 측으로 회전 가압된 회전 부재(50)는 먼저 슬라이딩 접촉부(66)의 원호 형상면(66a)이 쿠션(100)의 헤드부(105)의 외주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한 후(도 13(a) 참조),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접촉부(66)의 직선 형상면(66b)의 소정 범위가 헤드부(105)의 외주에 접촉한다. 또한 회전 부재(50)가 회전하면,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접촉부(66)의 직선 형상면(66b)의 거의 전부가 헤드부(105)의 외주에 접촉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접촉부(66)에 의해 회전 부재(50)로부터의 충격력이 흡수된다(1 단계 충격 흡수 작용).
위와 같이, 슬라이딩 접촉부(66)가 헤드부(105)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번에는 만곡면(67)이 헤드부(105)의 외주에 서서히 접촉하고,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면(67)의 전체 둘레가 헤드부(105)의 외주에 접촉한다. 그러면 헤드부(105)를 짓눌리도록 약간 탄성 변형시키면서 스토퍼부(68)가 헤드부(105)에 접촉하기 때문에, 스토퍼부(68)에 의해 회전 부재(50)로부터의 충격력이 흡수된다(2 단계 충격 흡수 작용). 그 후,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곡면(67)과 스토퍼부(68)가 헤드부(105)을 더 짓눌리도록 탄성 변형시켜서, 회전 부재(50)의 충격력을 더 흡수하는 동시에, 회전 부재(50)의 회전 가압 방향 A 방향 측으로의 그 이상의 회전이 규제되어, 회전 부재(50)가 정지한다.
또한, 도 14(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접촉부(66)가 쿠션(100)에 슬라이딩 접촉한 후, 스토퍼부(68)가 쿠션(100)에 접촉하면, 돌출부(65)로부터의 충격력에 의해 쿠션(100)의 헤드부(105)가 화살표 F 방향으로 가압되지만, 헤드부(105)의 외측에 형성된 쿠션 받침부(43)에 의해 헤드부(105)가 받아 들여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 잠금 장치(10)는 고정체(1)의 개구부(2)로부터 개폐체(5)를 열고,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의 계합부(73,73)가 돌출가압 될 때, 혹은, 고정 체(1)의 개구부(2)에 대해 개폐체(5)를 닫아,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의 계합부(73,73)가 잠금부(3,3)에 다시 계합할 때, 도 12 ~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65)의 슬라이딩 접촉부(66)가, 쿠션(100)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한 후, 스토퍼부(68)가 쿠션(100)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회전 부재(50)로부터의 충격력을, 이른바 2 단계 충격 흡수 작용(댐퍼 작용)에 의해, 쿠션(100)에서 받아 들일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부재(50)의 회전에 따른 타음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슬라이딩 접촉부(66)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가압 방향 A의 선단 측에 원호 형상면(66a)을 가지고 있으며, 슬라이딩 접촉부(66)로부터 스토퍼부(68)에 이르는 부분에는 원호 형상면(66a)에 대해 오목 형상으로 만곡한 만곡면(6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되어 돌출부(65)가 쿠션(100)에 접촉할 때, 슬라이딩 접촉부(66)의 원호 형상면(66a)이 쿠션(100)에 슬라이딩 하여 접촉한 후, 오목 형상으로 만곡한 만곡면(67)이 쿠션(100)에 접촉하고, 그 후, 스토퍼부(68)가 쿠션(100)에 접촉하기 때문에, 회전 부재(50)로부터의 충격력을, 쿠션(100)에 의해 원활하게 받아들이고, 회전 부재(50)의 회전에 따른 타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있는 동시에, 쿠션(100)을 손상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100)은 회전 부재(50)의 돌출부(65)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접촉부(66)와 스토퍼부(68)의 표면보다도 높게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되어, 돌출부(65)가 쿠션(100)에 접촉할 때, 돌출부(65)가 쿠션(100)을 타고 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고(돌출부의 헛스윙 방지), 쿠션(100)에 의한 댐퍼 작용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에는, 쿠션(100)의, 슬라이딩 접촉부(66) 및 스토퍼부(68)보다도 베이스부측의 부분(헤드부(105)의 베이스부측 부분(105b))을 둘러싸는 쿠션 지지부(41)가 설치되어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65)가 쿠션(100)에 접촉하여, 회전 부재(50)로부터의 충격력을 받아들일 때, 쿠션(100)의 변형(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헤드부(105)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 부재 충돌시에 있어서의, 쿠션(100)과 돌출부(65)의 마찰력을 높여, 타음 억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9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에는 쿠션(100)의 회전 부재(50)의 돌출부(65)의, 슬라이딩 접촉부(66)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하는 부분, 및 스토퍼부(68)가 접촉하는 부분은 직경 방향의 반대측 장소에, 쿠션 받침부(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 따르면, 돌출부(65)가 쿠션(100)에 접촉하여, 회전 부재(50)로부터의 충격력을 받아 들일 때에, 쿠션 받침부(43)에 의해 쿠션(100)의 변형(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헤드부(105)의 변형)이 억제되므로, 쿠션(100)의 반발력을 높일 수 있으며, 회전 부재 충돌시에 있어서의, 쿠션(100)과 돌출부(65)의 마찰력을 더 높일 수 있어서, 타음 억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며, 이러한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고정체
2 개구부
3 잠금부
5 개폐체
6 제 1 가압 부재(가압 부재)
10 개폐체의 잠금 장치
20 베이스 부재
27 회전 지지부
40 쿠션 장착공
41 쿠션 지지부
43 쿠션 받침부
50 회전 부재
51 회전부
65 돌출부
66 슬라이딩 접촉부
66a 원호 형상면
67 만곡면
68 스토퍼부
70,70A 잠금부재
90 조작 부재
100 쿠션

Claims (5)

  1.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또는 상기 개폐체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고정체 또는 상기 개폐체에 고정되어, 회전 지지부 및 쿠션 장착부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와,
    상기 회전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 부재를 통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 가압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부에 계합 및 이탈하는 잠금부재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장착부에 장착되는 쿠션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 선단에는 슬라이딩 접촉부와,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에 대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가압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가 상기 쿠션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한 후,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쿠션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가압 방향의 선단측에 원호 형상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로부터 상기 스토퍼부에 이르는 부분에는 상기 원호 형상면에 대해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 및 상기 스토퍼부의 앞면보다도 높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쿠션의,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 및 상기 스토퍼부보다도 베이스부측을 둘러싸는 쿠션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쿠션의,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에 접촉하는 부분 및 상기 스토퍼부가 접촉하는 부분은 직경 방향의 반대측의 장소에 쿠션 받침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1020190136062A 2019-10-30 2019-10-30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102603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062A KR102603073B1 (ko) 2019-10-30 2019-10-30 개폐체의 잠금 장치
PCT/JP2020/039989 WO2021085342A1 (ja) 2019-10-30 2020-10-23 開閉体のロッ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062A KR102603073B1 (ko) 2019-10-30 2019-10-30 개폐체의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153A true KR20210051153A (ko) 2021-05-10
KR102603073B1 KR102603073B1 (ko) 2023-11-17

Family

ID=7571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062A KR102603073B1 (ko) 2019-10-30 2019-10-30 개폐체의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3073B1 (ko)
WO (1) WO2021085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4900A (zh) * 2020-09-03 2023-03-31 百乐仕株式会社 开闭体的锁定装置
JP7423508B2 (ja) * 2020-12-25 2024-01-29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開閉体のロック装置、及び、車両用収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3379A (ja) * 2015-11-04 2019-02-1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4126Y2 (ko) * 1977-03-31 1982-07-28
JP6598124B2 (ja) * 2015-11-30 2019-10-3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3379A (ja) * 2015-11-04 2019-02-1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073B1 (ko) 2023-11-17
WO2021085342A1 (ja)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1153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101713746B1 (ko) 차량용 오버슬램 범퍼
JP5396067B2 (ja) トレイ装置
US20180106322A1 (en) Shock-absorbing device
WO2022050177A1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WO2016140086A1 (ja) 回動機構
JP2007145055A5 (ko)
WO2013021680A1 (ja) ラッチ装置
US12123250B2 (en) Fasteners
US9493968B2 (en) Striker with expandable sleeve
JP7152835B2 (ja) ロック装置
KR101986716B1 (ko) 문 열림 완충장치
JP2008143250A (ja) 容器装置
JP2014105730A (ja) クッションクリップ
JP4200166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2006307512A (ja) リッド開閉装置
JP7115967B2 (ja) クッション装置
JP4484745B2 (ja) エアダンパ
JP7377988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2019190624A (ja) クッションクリップ
KR0182889B1 (ko) 글로브 박스의 체결 및 소음방지구조
WO2021045066A1 (ja) 開閉体の押上げ装置
WO2023008342A1 (ja) 制振装置
JPS6310361Y2 (ko)
KR102419962B1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