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046A -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046A
KR20210051046A KR1020190135808A KR20190135808A KR20210051046A KR 20210051046 A KR20210051046 A KR 20210051046A KR 1020190135808 A KR1020190135808 A KR 1020190135808A KR 20190135808 A KR20190135808 A KR 20190135808A KR 20210051046 A KR20210051046 A KR 20210051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unit
electrode
conductive past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건희
정용찬
허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엘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엘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엘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90135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1046A/ko
Priority to PCT/KR2020/014807 priority patent/WO2021086009A1/ko
Priority to US17/773,178 priority patent/US20220373834A1/en
Priority to CN202080075223.8A priority patent/CN114600042A/zh
Publication of KR20210051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optical,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therefor; method of ma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전(load)하는 단계; 및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상기 일측면에 부착(attach)시키고 경화(cure)시키고 그 일부를 음각(engrave)하여 복수의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electrode of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출하는 장치이다. 근래에는 TFT(Thin-film-transistor)를 이용한 박막 액정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필수 구성으로 포함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 및 장치의 두께는 혁신적으로 감소하게 되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또 하나의 이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둘러싸는 베젤(bezel)의 폭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반적으로 그 가장자리 영역에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의 TFT와 같은 스위칭 소자들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베젤은 이러한 전극 및 이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전선들을 내부에 수용하게 되므로, 그 폭을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베젤을 없애거나 그 폭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 작업은 몇 가지 해결하여야 할 문제를 내포할 수 있다.
먼저 전극을 형성하는 작업은 복수의 하위 공정을 포함하게 되므로 복잡하고, 까다로운 작업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 되고, 수율 또한 저하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전극을 가공하는 데에 있어 정밀도가 보장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높이는 데에 한계가 있게 된다. 최근에는 UHD 급의 해상도를 지닌 박막 액정 패널이 시장의 대세를 이루는 바, 이와 같은 고해상도의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을 만큼의 가공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패널 가장자리의 베젤의 폭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전극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전극 형성 장치의 사이즈를 줄이고 수율을 증가시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전극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전(load)하는 단계; 및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상기 일측면에 부착(attach)시키고 경화(cure)시키고 그 일부를 음각(engrave)하여 복수의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를 분사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제1 광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제2 광을 이용하여 상기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 중 일부를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부가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되고 남은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3 광을 이용하여 재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을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전극이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의 시작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턴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측면에 수직 연접하는 다른 측면에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광은 레이저이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일렬을 이루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등속으로 이동킬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전하는 단계;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를 분사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제1 광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제2 광을 이용하여 상기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 중 일부를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거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중에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의 시작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턴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측면에 수직 연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측면에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등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전하는 단계; 상기 장전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를 분사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제1 광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제2 광을 이용하여 상기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 중 일부를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시키는 작용, 상기 경화시키는 작용 및 상기 제거하는 작용 중 적어도 두 개의 작용이 각각 진행되는 시간 구간들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계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중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등속으로 이동 시키는 중에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의 시작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턴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측면에 수직 연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측면에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전하고 이동시키는 구동부; 도전성 페이스트를 분사하는 분사부; 제1 광을 방사하는 제1 광경화부; 제2 광을 방사하는 음각부; 및 상기 구동부, 상기 분사부, 상기 제1 광경화부 및 상기 음각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에 복수의 전극을 형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를 연속 분사하여 부착시키도록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광을 방사하여 상기 연속 분사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도록 상기 제1 광경화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광을 방사하여 상기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 중 일부를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하도록 상기 음각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전극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의 검사 데이터를 형성하는 제1 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의 검사 데이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검사부를 제어하고, 상기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검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의 이미지 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가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가 분사되기 이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및 자세를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정렬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중에, 상기 분사부에서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가 분사되기 이전에 상기 일측면을 청소하는 클리닝부; 및 상기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의 두께 정보를 획득하는 제2 검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는 동안 등속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시키기 이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및 자세도를 정렬하는 정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일측면에 수직 연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측면에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은 레이저이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일렬을 이루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배포 서버에 의해 배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패널 가장자리의 베젤의 폭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1회 이동하는 중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들을 진행하도록 하여 공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전극 형성 장치의 사이즈를 줄이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전극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의 각 주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순서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 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c)는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 측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50)은 그 측면에 전극(60)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6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배선 층(52)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배선 층(52)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에 영상을 표출하기 위해 상기 전기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이 복수의 서브 픽셀(sub pixel) 단위로 광(light)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인 경우, 상기 배선 층(52)은 상기 픽셀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하여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 또는 차단함으로써 상기 같이 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어레이 기판(51)과 컬러필터 기판(54) 사이에 액정 층(미도시)이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상기 어레이 기판(51)은 상기 배선 층(52)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60)은 복수 개가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50)은 소정의 두께를 지닌 직사각형의 패널(panel)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60)은 상기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서로 연접한 두 개의 측면(55, 56) 각각에 복수 개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층(52)은 상기 전극(60)과 각각 대응되고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 소자들로 상기 전압 또는 전류를 전달하는 리드(lead)(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60) 및 리드(53)은 탭(tab)(65) 단위로 그룹지어 형성될 수 있다. 탭(65)과 탭(65) 사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전극(60)이나 리드(53)이 형성되지 않은 구간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은 박막 액정표시장치(TFT LCD; Thin-film-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의 패널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는 TFT(Thin-film-transistor)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50)은 상기와 같은 예에 국한되지 않고, 패널 형상으로 구현되는 전기신호-화상 변환 장치로서, 측면을 통해 전기신호를 공급받는 것을 포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극(6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극(60)이 상기 배선 층(52)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 가장자리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부분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50)의 베젤(bezel)을 없애거나 그 두께를 최소화하는 설계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10)는, 구동부(100), 분사부(200), 제1 광경화부(300) 및 음각부(4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10)는 제2 광경화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00)는 상기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인입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장전(load)되고, 이동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구동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상부에 장전되는 플레이트(plate)(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0)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상기 표면의 전반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상기 구멍을 통해서는 공기 등의 유체가 흡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상기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흡입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은 상기 표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상기 플레이트(110)의 이동에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상기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흡입 작용이 중지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배출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은 상기 표면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이 완료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장치(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직전에 이와 같은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10)의 표면은 상기 장치(10)가 설치된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중력의 방향과 나란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0)는 회전 유닛(120)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회전 유닛(120)은 상기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 축(rotation axis)을 중심으로 특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후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 위치로 돌아 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 유닛(12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 측면(55)에 전극(60)을 형성한 후, 다른 측면(56)에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90도 회전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정 위치 정렬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닛(120)은 회전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회전 유닛(120)은 상기 회전 모터(미도시)의 회전자(rotator)와 상기 플레이트(110)가 직결되어 direct driving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 모터(미도시)는 DD 모터(Direct Driving Motor)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회전 유닛(120)은 상기 회전모터(미도시)로부터 상기 플레이트(1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별도의 동력 전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미도시)는 기어 박스(미도시) 또는 풀리-벨트(미도시) 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100)는 상기 플레이트(110)를 직선 이동시키는 제1 리니어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리니어액추에이터(130)는 상기 플레이트(110) 및 상기 회전 유닛(120)을 상기 바닥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리니어액추에이터(130)는 상기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인입되고 상기 플레이트(110)에 장전된 후, 후술할 본 발명의 전극 형성 방법에 의한 각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정 위치 정렬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리니어액추에이터(130)는 리니어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그 이외에도 직선 방향의 이송이 가능한 액추에이터라면 적용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상기 제1 리니어액추에이터(130)의 작동 방향을 y-축(y-axis)로 보고, 상기 제1 리니어액추에이터(130)를 Y-axis 리니어액추에이터라 칭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00)는 후술할 본 발명의 전극 형성 방법에 의한 각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플레이트(110)를 이동 시키는 제2 리니어액추에이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니어액추에이터(140)는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정 위치 정렬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리니어액추에이터(140)는 상기 플레이트(110), 상기 회전 유닛(120) 및 상기 제1 리니어액추에이터(130)를 상기 바닥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리니어액추에이터(130)의 작동 방향 및 상기 제2 리니어액추에이터(140)의 작동 방향은 수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상기 제2 리니어액추에이터(140)의 작동 방향을 x-축(x-axis)로 보고, 상기 제2 리니어액추에이터(140)를 X-axis 리니어액추에이터라 칭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200)는 도전성 페이스트(conductive paste)(70)를 분사(spray)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은(Silver;Ag)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는 상기 도전성 물질이 용매에 녹아 있되, 일정 시간 이상 특정 표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점도를 갖고, 분사될 수 있고, 또한 적외선, 자외선 또는 레이저 등의 에너지에 의해 경화되어 통전 가능한 고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성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광경화부(300)는 제1 광을 방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은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를 경화(hardening)시키는 광(光)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은 적외선, 자외선 또는 레이저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레이저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광에 의한 경화는 '소결(sintering)', '중합 (curing)' 및 '건조(dry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용일 수 있다.
상기 '소결(sintering)'은 가열을 통해 입자가 녹으면서 서로 밀착하여 고결(固結; 엉기어 굳어짐)하는 작용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이 레이저인 경우 상기 '소결' 작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중합(curing)'은 화학적인 결합 반응에 의해 단위체로부터 분자량이 큰 물질을 생성하는 작용일 수 있다.
상기 '건조(drying)'는 수분 또는 용매 물질을 제거하여 단단히 굳히는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에 의한 경화가 중합 또는 건조 작용일 경우, 상기 제1 광은 적외선 또는 자외선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이 적외선인 경우, 상기 제1 광에 의한 경화는 열경화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이 자외선인 경우, 상기 제1 광에 의한 경화는 광경화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에 의한 경화는 상기 '소결(sintering)', '중합 (curing)' 및 '건조(drying)'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들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작용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각부(400)는 제2 광을 방사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은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의 일부를 음각(engrave) 작용을 통해 제거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은 레이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광경화부(500)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광경화부(500)는 제3 광을 방사할 수 있다. 상기 제3 광은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재경화(re-hardening)시키는 광(光)일 수 있다.
상기 제3 광에 의한 경화는 소결(sintering)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광은 레이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광에 의한 경화가 '중합' 또는 '건조'인 경우에, 상기 장치(10)가 상기 제2 광경화부(500)를 포함하여, 상기 제3 광에 의한 '소결'을 진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중합' 또는 '건조'를 통해 수분이 제거된 무른 상태의 도전성 페이스트(70)의 일부를 제2 광의 음각 작용을 통해 용이하게 제거하고, 남은 일부의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제3 광을 통해 단단히 소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치(10)는 제어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물리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구성들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거나, 또는 원거리에 형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다른 구성들의 작용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구동부(100), 상기 분사부(200), 상기 제1 광경화부(300), 상기 음각부(400) 및 상기 제1 광경화부(500)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측면에 복수의 전극(6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를 분사(spray)하여 부착시키도록 상기 분사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페이스트(70)를 jet 분사하는 방식을 통해 불규칙한 표면 위에도 정교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200)는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전극(60)이 시작되는 위치 및 끝나는 위치까지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연속하여 분사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상기 탭(65) 단위로 분사할 수 있다. 즉, 각 탭(65) 사이의 빈 구간에서는 분사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는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절약하고, 후술할 음각 공정에서 깎여 나간 도전성 페이스트(70)가 입자화되어 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1 광을 방사하여 상기 분사된 도전성 페이스트(70)를 경화시키도록 상기 제1 광경화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2 광을 방사하여 상기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70) 중 상기 복수의 전극(60)에 대응되지 않는 부분을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하도록 상기 음각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일부가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되고 남은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상기 제3 광을 이용하여 재경화시키도록 상기 제2 경화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음각을 하는 동안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는 가루가 되어 날릴 수 있다. 이러한 가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장치(10)는 입자 제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자 제거부(미도시)는 진공 흡입 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방에 공기 분사 수단(미도시)을 포함하고 타방에 상기 분사된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 흡입 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분사 수단(미도시)는 슬릿 또는 노즐을 통해 에어커튼의 형태로 공기를 분사하는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와 같이 분사부(200), 제1 광경화부(300), 상기 음각부(400), 제2 광경화부(500) 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전극(6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와 같은 전극(60)의 형성을 위한 상기 분사부(200), 상기 제1 광경화부(300), 상기 음각부(400), 상기 제2 광경화부(500) 의 각 작용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는 동안에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정 수행 중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사부(200), 상기 제1 광경화부(300), 상기 음각부(400), 상기 제2 광경화부(500) 등이 이동하면서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공정 수행을 위한 제어 및 위치 제어가 상호 간섭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와 같은 전극(60)의 형성을 위한 상기 분사부(200), 상기 제1 광경화부(300), 상기 음각부(400), 상기 제2 광경화부(500) 의 각 작용은 모두가,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는 동안에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와 같은 전극(60)의 형성을 위한 상기 분사부(200), 상기 제1 광경화부(300), 상기 음각부(400), 상기 제2 광경화부(500) 의 각 작용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50)에 대하여 동시에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와 같은 전극(60)의 형성을 위한 상기 분사부(200), 상기 제1 광경화부(300), 상기 음각부(400), 상기 제2 광경화부(500) 의 각 작용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상기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중에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개의 공정을 위한 장치들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공정의 진행을 위해 상기 패널(50)을 스카라 로봇 등에 의해 일일이 인입, 배출, 이동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체 장치의 사이즈가 커지고, 비용이 증가하며,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불량이 발생한 경우, 이를 즉시 재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도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10)는 이와 같이 하나의 장치(10) 내에서 패널(50)의 이동 중에 전극 형성에 필요한 공정들을 모두 수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불필요한 작업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10)는, 전극(60)의 검사 데이터를 형성하는 제1 검사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100)를 제어하면서,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의 검사 데이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검사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 작용 또한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100)를 제어하면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검사부(6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카메라(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610)는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의 이미지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형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검사부(600)는, 제1-1 카메라(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검사부(600)는, 제1-2 카메라(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610)는 라인스캔카메라(Line scan Camera)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널(50)의 일 측면을 스캔 촬영할 수 있다. 패널(50)의 측면의 전극(60) 및 상면의 리드(53)의 이미지 확인을 위하여 패널(50)이 등속 이동하면서 Line scan Camera를 이용 상면과 측면 검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 기준을 도면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전극(60)이 정상적으로 형성된 상태를 제1 카메라(610)로 촬영한 영상의 예를 나타낸다. 도 4의 (b)의 하얗게 나타난 부분이 전극(60)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1 카메라(620)는 라인스캔카메라(Line scan Camera)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널(50)의 상면을 스캔 촬영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배선 층(52)의 리드(53)가 형성된 상태를 상기 제1-1 카메라(610)로 촬영한 영상의 예를 나타낸다. 도 4 (a) 하단부의 흰색이 리드(53)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2 카메라(630)은 영역 촬영 카메라(Area Camera)일 수 있다. 영역(Area)를 촬영함으로써 육안 등에 의해 상기 전극의 부착 상태를 재확인(review)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극(60)은 그 위치가 상기 리드(53)의 각 위치에 대응되도록 나란하게 정렬(align)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60)들의 형상이 균일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비정상 상태의 전극을 촬영한 영상의 예들이다.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 중 하나는, 상기 전극(60)이 소정의 패턴(형상)으로 정확히 형성되지 못한 경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검사 기준은 상기 소정의 패턴 이외의 영역에 도전성 페이스트(70)이 남아 있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검사 기준 및 상기 소정의 패턴을 도전성 페이스트(70)가 다 채우지 못하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검사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검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극단적으로는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락(short)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의 검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상기 패턴 이외의 영역에 남아 있는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재작업을 통해 음각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비정상인 전극이 포함된 소정의 구간(예를 들면 탭(65))에 포함된 전극(60)들을 모두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한 후 해당 구간에 대해 다시 분사, 경화, 음각을 포함하는 공정을 반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검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open)이 발생할 수 있다. 극단적으로는 아예 전극(60)들 중 일부가 누락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기 신호가 전극(60)에서 리드(53)로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자의 검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다시 분사 작업부터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 예로 비정상인 전극이 포함된 소정의 구간(예를 들면 탭(65))에 포함된 전극(60)들을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한 후, 해당 구간에 대해 다시 분사, 경화, 음각을 포함하는 공정 단계들을 반복하여 전극(60)을 재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 중 다른 하나는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60)에 도전성 페이스트(70) 이외의 불순물이 섞여 결함(defect)이 발생한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검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비정상인 전극이 포함된 소정의 구간(예를 들면 탭(65))에 포함된 전극(60)들을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한 후, 해당 구간에 대해 다시 분사, 경화, 음각을 포함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전극(60)을 재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 중 또 다른 하나는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전극들(60) 간의 간격이 고르지 못하여 오정렬(miss align)이 발생한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기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비정상인 전극이 포함된 소정의 구간(예를 들면 탭(65))에 포함된 전극(60)들을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한 후, 해당 구간에 대해 다시 분사, 경화, 음각을 포함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전극(60)을 재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 중 또 다른 하나는 상기 전극(60)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거나 얇은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기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비정상인 전극이 포함된 소정의 구간(예를 들면 탭(65))에 포함된 전극(60)들을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한 후, 해당 구간에 대해 다시 분사, 경화, 음각을 포함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전극(60)을 재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이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응하는 재작업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리턴시키도록 상기 구동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는, 정렬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900)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위치 및 자세를 정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렬부(900)는 상기 플레이트(110)에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장전된 후, 적어도 본 발명의 전극 형성을 위한 도전성 페이스트(70)의 분사가 일어나기 이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위치 및 자세를 정렬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위치 및 자세를 정렬하는 것에 의해 이후 분사부(200), 상기 제1 광경화부(300), 상기 음각부(400), 상기 제2 광경화부(500) 등의 구성들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 간의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가 분사, 경화, 음각, 소결 등의 공정에 적합하게 된다.
상기 정렬부(90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카메라(9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 정 위치 또는 자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의 분석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특정 위치에는 특정의 표식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제2 카메라(910)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거리 측정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카메라(91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위치 또는 자세를 1차 정렬(pre-align)하고, 상기 거리 측정 센서(미도시), 또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미도시)와 상기 제2 카메라(910)의 조합을 통해서 보다 정확히 위치 또는 자세를 2차 정렬(align) 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 센서(미도시)는, 거리 측정 센서(미도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상기 일 측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카메라(910) 및 상기 거리 측정 센서(미도시)는 각각 두 개씩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카메라(91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위치 또는 자세를 2단계(pre-align, align)에 걸쳐 정렬할 수 있다. 즉, 광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위치 또는 자세를 1차 정렬(pre-align)하고, 보다 해상도가 높은 카메라를 통해서는 보다 정확히 위치 또는 자세를 2차 정렬(align)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카메라(910)는 네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광각을 촬영할 수 있는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위치 및 자세를 1차 정렬(pre-align)하고, 보다 해상도가 높은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서는 보다 정확히 위치 및 자세를 2차 정렬(align)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두 개의 특정 위치에 각각 표식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9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정렬을 위해 제어부(10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 및 위치 및 자세를 이동시키는 정렬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동작부는 본 발명의 장치(10)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정렬동작부는 상기 구동부(100)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니어액추에이터(130), 제2 리니어액추에이터(140) 및 회전 유닛(12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의 각 주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는 분사부(200), 제1 광경화부(300), 음각부(400), 제2 광경화부(500), 이외에도 클리닝부(700) 및 제1 검사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클리닝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부(7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중에, 상기 분사부(200)에서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가 분사되기 이전에 상기 일측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측면을 미리 청소함으로써, 오염을 방지하고, 도전성 페이스트(70)의 부착도 및 전극(60)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부(700)는 에어 노즐(710) 및 플라즈마 노즐(7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 노즐(Air Blow Nozzle)(710)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일측면에 부착된 오염원을 1차 제거하고, 플라즈마 노즐(720)이 2차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패널(50)이 등속이동하는 동안 패널(50)의 측면에 존재하는 이물을 Air Blow Nozzle를 이용하여 제거하며, CDA(Clean Dry Air)만을 사용하는 대기압 Plasma를 이용하여 유기물에 의해 오염된 다양한 기판의 표면을 건식세정하고, 표면 에너지 상승을 통해 코팅하고자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70)와 같은 물질의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이종재료간 접합 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클리닝 작업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정렬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치(10)는 상기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70)의 두께 정보를 획득하는 제2 검사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께도 검사함으로써 전극(70)의 도전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상기 제2 검사부(800)에서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정의 검사 기준이 만족되지 못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재작업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되돌려 재작업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검사부(800)는 2D 변위 센서 및 3D 변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검사부(800)는 제1 2D 변위 센서(810) 및 제2 2D 변위 센서(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2D 변위 센서(810)는 상기 분사부(200)의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2D 변위 센서(820)는 제1 광경화부(830)의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 중 적어도 일부의 전극(60)이 상기 제1 검사부(600) 및/또는 제2 검사부(80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의 분석 결과, 소정의 검사 기준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응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재작업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리턴시키도록 상기 구동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재작업은 상기 일 측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적어도 일부의 전극(60)을 포함하는 일 영역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일 영역은 상기 탭(65)일 수 있다.
상기 재작업 위치는, 상기 클리닝, 분사, 경화, 음각 공정에 대응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렬부(900), 상기 클리닝부(700), 상기 분사부(200), 상기 제1 광경화부(300) 및 상기 음각부(400), 상기 제2 광경화부(500)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응하는 구성의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은 상기 일측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전극(60) 패턴을 제외한 영역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만족되는 제1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작업 위치는 상기 음각부(400)의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은, 상기 일측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전극(60) 패턴에 포함되는 영역의 전체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가 부착된 경우에 만족되는 제2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작업 위치는 상기 분사부(200), 상기 제1 광경화부(300), 및 상기 음각부(400)의 작업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은,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이 상기 전극(60) 패턴에 따른 정 위치에 형성된 경우 만족되는 제3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기준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재작업 위치는 상기 분사부(200), 상기 경화부, 및 상기 음각부(400)의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는 동안 등속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클리닝부(700) 또는 정렬부(900)의 작업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리턴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일측면에 수직 연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다른 측면에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다른 측면이 상기 일측면의 위치로 오도록 상기 구동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은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의 일부를 음각(engrave) 작용을 통해 제거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은 레이저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60)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일렬을 이루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전극(6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는 플레이트(110)에 측면 전극(60) 형성 이전 상태인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장전(도 7(a) 참조)하고, 상기 패널(50)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1차 정렬(pre-align)시키고(도 7(b) 참조), 상기 패널(50)을 2차 정렬(align)시키고(도 7(c) 참조), 상기 패널(50)을 연속하여 이동시키면서 클리닝(air blow & plasma cleaning), 분사(Jet Print), 경화(IR or UV or Laser), 음각(laser patterning), 소결(Laser), 검사를 진행하고(도 7(d) 참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90도 회전시키고 다시 1차 정렬(pre-align)시키고(도 7(e) 참조), 상기 패널(50)을 2차 정렬(align)시키고(도 7(f) 참조), 상기 패널(50)을 연속하여 이동시키면서 클리닝(air blow & plasma cleaning), 분사(Jet Print), 경화(IR or UV or Laser), 음각(laser patterning), 소결(Laser), 검사를 진행하고(도 7(g) 참조), 상기 패널(50)의 장전을 해제(도 7(h) 참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1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전극(60)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장전(load)하는 단계(S100); 및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단계(S2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S200)는,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상기 일측면에 부착(attach)시키고 경화(curing)시키고 그 일부를 음각(engrave)하고 소결(sintering) 하여 복수의 전극(6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S200)는, 상기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를 분사하여 부착시키는 단계(S210); 제1 광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된 도전성 페이스트(70)를 경화시키는 단계(S220); 및 제2 광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 또는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70) 중 상기 복수의 전극(60)에 대응되지 않는 부분을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3 광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된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재경화시키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S210)는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전극(60)이 시작되는 위치 및 끝나는 위치까지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연속하여 분사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S210)는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상기 탭(65) 단위로 분사할 수 있다. 즉, 각 탭(65) 사이의 빈 구간에서는 분사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는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절약하고, 후술할 음각 공정에서 깎여 나간 도전성 페이스트(70)가 입자화되어 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S230)는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S220)가 수행된 이후의 도전성 페이스트(70)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재경화시키는 단계(S240)는 상기 제거시키는 단계(S230)가 수행된 이후의 도전성 페이스트(70)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S200)는,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25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610)로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을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전극(60)이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S200)의 시작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리턴시키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턴시키는 단계(S300)는, 상기 일측면에 수직 연접하는 다른 측면에 전극(60)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회전시키는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다른 측면이 상기 일측면이 있었던 위치에 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회전 시킬 수 있다.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60) 중 적어도 일부의 전극(60)이 소정의 검사 기준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일 측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적어도 일부의 전극(60)을 포함하는 일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대응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리턴시키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은, 상기 일측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전극(60) 패턴을 제외한 영역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만족되는 제1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이 만족되지 못한 경우는 상기 전극(60)이 소정의 패턴(형상)으로 정확히 형성되지 못한 경우로, 상기 소정의 패턴 이외의 영역에 도전성 페이스트(70)이 남아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에 대응하는 단계는 상기 제거하는 단계(S230)일 수 있다. 극단적으로는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락(short)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거하는 단계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리턴시키고 상기 패턴 이외의 영역에 남아 있는 도전성 페이스트(70)를 재작업을 통해 음각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은, 상기 일측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전극(60) 패턴에 포함되는 영역의 전체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70)가 부착된 경우에 만족되는 제2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이 만족되지 못한 경우는 상기 소정의 패턴을 도전성 페이스트(70)가 다 채우지 못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open)이 발생할 수 있다. 극단적으로는 아예 전극(60)들 중 일부가 누락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기 신호가 전극(60)에서 리드(53)로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제2 기준에 대응하는 단계는, 상기 제거하는 단계(S230),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S210),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재경화시키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다시 부착하는 단계(S210)를 포함하여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 예로, 비정상인 전극이 포함된 소정의 구간(예를 들면 탭(65))에 포함된 전극(60)들을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한 후, 해당 구간에 대해 다시 부착시키는 단계(S210), 경화시키는 단계(S220), 음각시키는 단계(S230)를 반복하거나, 또는 실시 예에 따라상기 상기 세 단계(S210 내지 S230)에 재경화시키는 단계(S240)를 더하여 반복하여 전극(60)을 재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S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상기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등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S210),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S220), 상기 제거하는 단계(S23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중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S210),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S220), 상기 제거하는 단계(S230) 중 적어도 두 개의 단계는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50)에 대하여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착시키는 작용, 상기 경화시키는 작용 및 상기 제거하는 작용 중 적어도 두 개의 작용이 각각 진행되는 시간 구간들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S210),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S220), 상기 제거하는 단계(S230) 및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S240)의 각각은 상기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중에 수행되고, 어느 하나의 단계가 완료된 후에 다시 다른 하나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의 디스플레이 패널(50) 전극(60) 형성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극 형성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배포 서버에 의해 배포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일 수 있으며,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40: 로봇
50: 디스플레이 패널
51: 어레이 기판 52: 배선 층
53: 리드 54: 컬러필터 기판
55: 제1 측면 56: 제2 측면
60: 전극 61: 직사각형의 전극
65: 탭 70: 도전성 페이스트
80: 측면 전극 형성 유닛
100: 구동부 110: 플레이트
120: 회전 유닛 130: 제1 리니어액추에이터
140: 제2 리니어액추에이터 200: 분사부
300: 제1 광경화부 400: 음각부
500: 제2 광경화부
600: 제1 검사부 610: 제1 카메라
620: 제1-1 카메라 620: 제1-2 카메라
700: 클리닝부 710: 에어 노즐
720: 플라즈마 노즐
800: 제2 검사부 810: 2D 변위 센서
820: 2D 변위 센서
900: 정렬부 910: 제2 카메라
1000: 제어부

Claims (25)

  1.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전(load)하는 단계; 및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상기 일측면에 부착(attach)시키고 경화(harden)시키고 그 일부를 음각(engrave)하여 복수의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를 분사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제1 광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제2 광을 이용하여 상기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 중 일부를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부가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되고 남은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3 광을 이용하여 재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을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전극이 상기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의 시작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턴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측면에 수직 연접하는 다른 측면에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레이저이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일렬을 이루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등속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9.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전하는 단계;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분사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제1 광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제2 광을 이용하여 상기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 중 일부를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거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중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의 시작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턴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측면에 수직 연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측면에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등속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13.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전하는 단계;
    상기 장전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분사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제1 광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제2 광을 이용하여 상기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 중 일부를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시키는 작용, 상기 경화시키는 작용 및 상기 제거하는 작용 중 적어도 두 개의 작용이 각각 진행되는 시간 구간들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계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연속하여 이동시키는 중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등속으로 이동 시키는 중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의 시작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턴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측면에 수직 연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측면에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
  18.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전하고 이동시키는 구동부;
    도전성 페이스트를 분사하는 분사부;
    제1 광을 방사하는 제1 광경화부;
    제2 광을 방사하는 음각부; 및
    상기 구동부, 상기 분사부, 상기 제1 광경화부 및 상기 음각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에 복수의 전극을 형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를 연속 분사하여 부착시키도록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광을 방사하여 상기 연속 분사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도록 상기 제1 광경화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광을 방사하여 상기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 중 일부를 음각 작용을 통해 제거하도록 상기 음각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전극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전극의 검사 데이터를 형성하는 제1 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의 검사 데이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검사부를 제어하고, 상기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의 이미지 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가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가 분사되기 이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및 자세를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정렬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중에, 상기 분사부에서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가 분사되기 이전에 상기 일측면을 청소하는 클리닝부; 및
    상기 경화된 도전성 페이스트의 두께 정보를 획득하는 제2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이동하는 동안 등속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시키기 이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및 자세도를 정렬하는 정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성된 복수의 전극이 소정의 검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일측면에 수직 연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측면에 전극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레이저이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일렬을 이루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배포 서버.

KR1020190135808A 2019-10-29 2019-10-29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210051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808A KR20210051046A (ko) 2019-10-29 2019-10-29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및 방법
PCT/KR2020/014807 WO2021086009A1 (ko) 2019-10-29 2020-10-28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및 방법
US17/773,178 US20220373834A1 (en) 2019-10-29 2020-10-28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electrode of display panel
CN202080075223.8A CN114600042A (zh) 2019-10-29 2020-10-28 显示面板电极形成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808A KR20210051046A (ko) 2019-10-29 2019-10-29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046A true KR20210051046A (ko) 2021-05-10

Family

ID=7571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808A KR20210051046A (ko) 2019-10-29 2019-10-29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73834A1 (ko)
KR (1) KR20210051046A (ko)
CN (1) CN114600042A (ko)
WO (1) WO20210860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3025A (ja) * 1999-05-13 2000-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電極基板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1015298B1 (ko) * 2004-11-01 2011-02-15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평면 표시 패널의 전극 형성방법
KR100887947B1 (ko) * 2007-06-19 2009-03-12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라인빔을 이용한 레이저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1502430B1 (ko) * 2013-05-24 2015-03-17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실시간 검사 기능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전극 제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646983B (zh) * 2017-03-30 2019-07-26 深圳市极而峰工业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超窄显示屏边框的制作工艺
TW202326261A (zh) * 2017-10-16 2023-07-01 美商康寧公司 具有邊緣包覆之導體的無框顯示圖塊及製造方法
CN108089381A (zh) * 2018-01-02 2018-05-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侧面电极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6009A1 (ko) 2021-05-06
US20220373834A1 (en) 2022-11-24
CN114600042A (zh)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620B1 (ko) 노즐세정장치 및 노즐세정장치가 구비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US8196543B2 (en) Defect repairing apparatus, defect repair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0510611B1 (ko) 재료의 제거 방법, 기재의 재생 방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US8318237B2 (en) Pixel observation system, drawing system, liquid material drawing method,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and organic EL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WI244981B (en) Droplet jetting apparatus, an electro-optical apparatu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an electronic device
JP4551324B2 (ja) ペーストの塗布量測定装置及びペースト塗布装置
JP2007007642A (ja) コーティング装備及びその運用方法
JP2006073996A (ja) フォトレジストコーティング装置及びフォトレジストコーティング方法
JP2008100138A (ja) 液滴吐出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60081783A (ko) 박막 검사 센서어래이의 정렬용 조명장치와 그를 이용한센서어래이 정렬 방법 및 장치
JP5493256B2 (ja) カラーフィルタ外観検査装置における欠陥検出機能の点検治具
JP5254627B2 (ja) 電子回路のパターン欠損修復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210051046A (ko)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 장치 및 방법
JP4749159B2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装置における基板の位置調整方法
JP4974617B2 (ja) 溶液塗布装置
TW201325727A (zh) 膠塗佈機
JP2008155138A (ja) 塗布装置
KR101972930B1 (ko) 기판 처리 장치
JP2010231170A (ja) 液晶表示装置用基板の検査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230067564A (ko) 패턴 전사 인쇄 시스템 및 방법
TW202321047A (zh) 印刷裝置、印刷裝置的控制方法及程式、印刷系統
KR20070068832A (ko) 잉크젯 장치
JP2002182219A (ja) 液晶装置の製造装置
JP2021151736A (ja) ノズル観察装置、ノズル観察方法、ノズル検査装置およびノズル検査方法
KR102031728B1 (ko) 기판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