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757A - 다이캐스팅 금형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팅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757A
KR20210050757A KR1020190135179A KR20190135179A KR20210050757A KR 20210050757 A KR20210050757 A KR 20210050757A KR 1020190135179 A KR1020190135179 A KR 1020190135179A KR 20190135179 A KR20190135179 A KR 20190135179A KR 20210050757 A KR20210050757 A KR 20210050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core
core
slid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310B1 (ko
Inventor
허만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산업
Priority to KR102019013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3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07Methods or apparatus for cleaning or lubricat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며, 주조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가 구비된 메인 코어와; 상기 메인 코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코어와 함께 주조품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 및 상기 서포트와 상기 메인 코어에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주입받은 에어를 상기 메인 코어의 외곽 방향으로 분사하여 상기 메인 코어와 상기 슬라이드 코어 사이에서 발생한 버어를 제거하는 버어 제거부를 포함하는, 다이캐스팅 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이캐스팅 금형 {Die casting mold}
본 발명은 고정형과 가동형을 포함하는 메인 코어에 슬라이드 코어가 설치된 구조의 다이캐스팅 금형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팅은 우수한 정밀도 및 주물 표면을 요하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정확하게 기계 가공된 금형에 용융 금속을 고압으로 주입하여 금형과 동일한 형상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공법을 말한다.
다이캐스팅 금형은 일반적으로 제품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된 고정형과, 그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동형을 포함하며, 고정형과 가동형을 근접 이동시켜 형폐시킨 후 용용 금속을 주입하여 다이캐스팅을 수행한다.
다이캐스팅 금형은 보다 복잡한 형상의 주조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메인 코어(고정형 및 가동형)에 슬라이드 코어가 추가로 구비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고정형과 가동형이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코어를 고정형과 가동형 쪽으로 전진시킨 후 용융 금속을 주입하여 다이캐스팅을 수행한다. 제품이 응고되면 슬라이드 코어를 후퇴시킨 후 가동형을 이동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이동시켜 형개시킨 다음 제품을 인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슬라이드 코어와 메인 코어 사이의 틈으로 용융 금속이 침투하게 되며 틈 내에서 응고하게 된다. 슬라이드 코어의 슬라이드 과정에서 응고된 금속과 슬라이드 코어가 마찰 접촉하면서 버어(burr) 등 이물질을 발생시키며, 이는 다이캐스팅 금형 내에 퇴적되게 된다.
이와 같은 버어 등의 이물질들은 슬라이드 코어의 동작시 슬라이드 코어의 이동에 간섭 현상을 발생시켜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버어 등을 주기적으로 청소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매우 복잡한 형상의 제품을 주조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슬라이드 코어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다중 슬라이드형 다이캐스팅 금형이 개발되었으며, 상기와 같은 버어 등의 이물질 퇴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다중 슬라이드형 금형의 생산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8-0039374호 (2018.04.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드 코어와 메인 코어의 사이에서 발생한 버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물질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다이캐스팅 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며, 주조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가 구비된 메인 코어와; 상기 메인 코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코어와 함께 주조품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 및 상기 서포트와 상기 메인 코어에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주입받은 에어를 상기 메인 코어의 외곽 방향으로 분사하여 상기 메인 코어와 상기 슬라이드 코어 사이에서 발생한 버어를 제거하는 버어 제거부;를 포함하는, 다이캐스팅 금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버어 제거부는, 상기 서포트에 형성되며, 외부의 에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에어 주입 유로; 및 상기 메인 코어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 주입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메인 코어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블로잉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블로잉 배관은, 주배관부와; 상기 주배관부의 일단에서 분기되며, 상기 에어 주입 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관부; 및 상기 주배관부의 타단에서 분기되며, 에어를 상기 메인 코어의 측면을 통해 토출시키는 토출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관부는 상기 메인 코어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코어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한 고정형 및 가동형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블로잉 배관은 상기 가동형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에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바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슬라이드 레일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서포트의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버어가 배출되는 버어 배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어 제거부의 에어 토출구 측에는 슬라이드 동작을 통해 상기 메인 코어의 측면에 쌓인 버어를 긁어내기 위한 스크레이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에는 주조 제품의 취출을 위한 이젝터 핀을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 플레이트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설치된 푸시 로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크레이퍼의 이동을 기설정치까지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며, 주조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가 구비된 메인 코어와; 상기 메인 코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코어와 함께 주조품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 및 상기 서포트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후퇴 동작시 슬라이드 동작을 통해 상기 메인 코어에 쌓인 버어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다이캐스팅 금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블로잉을 통해 버어를 날려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버어 등의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 블로잉 배관을 메인 코어의 외곽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시키는 구조로 형성하여 슬라이드 코어의 전진 등에 의해 버어 등의 이물질이 메인 코어 측으로 다시 진입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잇다.
또한, 에어 블로잉 배관의 에어 토출구 측에 스크레이퍼를 추가로 설치하여 메인 코어의 측면에 퇴적된 버어를 긁어 제거할 수 있어 버어 제거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의 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어 제거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버어 제거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버어 제거부의 에어 토출구 측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이캐스팅 금형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이캐스팅 금형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의 단면도로서, 제1 서포트와 고정형이 생략되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은 서포트(10), 메인 코어(20) 및 슬라이드 코어(30)를 포함한다.
서포트(10)는 메인 코어(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서포트(11) 및 제2 서포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포트(12)는 제1 서포트(11)에 대하여 외부 구동력에 의해 상대 이동 가능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서포트(11)와 제2 서포트(12)의 사이에는 복수의 가이드 핀(15)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서포트(12)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메인 코어(20)는 서포트(10)에 의해 지지되며, 메인 코어(20)의 내부에는 주조품(1)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27)가 형성된다. 메인 코어(20)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형(21)과 가동형(22)을 포함한다. 고정형(21)은 제1 서포트(11)에 의해 지지되고, 가동형(22)는 제2 서포트(12)에 의해 지지되며, 제2 서포트(12)가 제1 서포트(11)에 대해 근접 이동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동형(22)도 제2 서포트(12)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 코어(30)는 메인 코어(2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 코어(20)와 함께 주조품(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드 코어(30)는 주조품(1)의 중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메인 코어(20)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다만, 슬라이드 코어(10)의 형상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슬라이드 코어(30)는 슬라이드 바디(31)에 의해 지지되며, 이는 제1 서포트(11)와 제2 서포트(12)의 사이에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 앵귤러 핀(3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서포트(12)가 제1 서포트(11)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 바디(31)는 앵귤러 핀(35)을 따라 이동하면서 메인 코어(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가동형(12)에는 다이캐스팅 완료시 주조품(1)을 취출하기 위해 주조품(1)을 밀어내는 이젝트 핀이 설치되고, 제2 서포트(12)에는 이젝트 핀을 이동시키기 가동 플레이트(16)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서포트(12)는 가동 플레이트(16)의 배치 및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외곽 프레임(13)과, 외곽 프레임(13)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의 가동 수단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16)는 외곽 프레임(13) 사이의 공간 내에서 직선 이동하여 이젝트 핀을 가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다이캐스팅 금형은 메인 코어(20)와 슬라이드 코어(30)의 사이에서 발생한 버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버어 제거부(40)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버어 제거부(4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어 제거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로서, 형폐 상태(closed state)와 형개 상태(opened state)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버어 제거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도 5 및 6에 표시된 화살표는 에어가 주입되어 분사되는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버어 제거부(40)는 서포트(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주입받은 에어를 메인 코어(20)의 외곽 방향으로 분사하여 메인 코어(20)와 슬라이드 코어(30) 사이에서 발생한 버어를 제거한다. 버어 제거부(40)는 서포트(10)와 메인 코어(20)에 구비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서포트(12)와 가동형(22)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버어 제거부(40)는 서포트(10)에 형성된 에어 주입 유로(41)와, 메인 코어(20)에 설치된 에어 블로잉 배관(42)을 포함한다.
에어 주입 유로(41)는 외부의 에어를 주입할 수 있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와 같이 가동형(22)을 지지하는 제2 서포트(12)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 블로잉 배관(42)은 에어 주입 유로(41)와 연통되어 슬라이드 코어(30)가 메인 코어(20)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에어 블로잉 배관(42)이 가동형(22)에 설치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에어 블로잉 배관(42)은 주배관부(43), 유입관부(44) 및 토출관부(4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유입관(44)는 주배관부(43)의 일단에서 분기되며, 에어 주입 유로(41)와 연통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토출관부(45)는 주배관부(43)의 타단에서 분기되며, 에어를 메인 코어의 측면을 통해 토출시키도록 구성된다.
토출관부(45)는 슬라이드 코더(30)의 전진 및 후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갖도록 설치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주배관부(44)가 그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토출관부(45)는 충분한 에어 블로잉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메인 코어(2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주배관부(45)에서 복수의 토출관부(45)가 분기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메인 코어(20)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드 코어(30)가 설치된 경우, 버어 제거부(40)도 이들 각각에 구비될 수 있으며, 버어 제거 영역의 크기에 따라 토출관부(40)의 개수도 달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버어 제거부의 에어 토출구 측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서포트(12)에는 슬라이드 바디(3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37, 38)이 슬라이드 바디(31)의 양 사이드에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37, 38)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바디(31)와 제2 서포트(12)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버어가 배출되는 버어 배출부(50)가 구비된다. 이러한 버어 배출부(50)는 슬라이드 바디(31)와 제2 서포트(12)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다이캐스팅 금형의 최외곽 측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3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버어 배출부(50) 상에는 앵귤러 핀(35)이 설치되는 핀 홀(18)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버어 배출부(50) 상을 이동하는 버어 중 일부는 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버어 제거부(40)의 에어 토출구 측에는 슬라이드 동작을 통해 메인 코어(20)의 측면에 쌓인 버어를 긁어내기 위한 스크레이퍼(60)가 설치된다. 제2 서포트(12)에는 스크레이퍼(60)가 설치되는 설치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60)는 설치홀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가동형(22)의 측면에 쌓인 버어를 긁어낼 수 있다.
스크레이퍼(60)는 가동 플레이트(16)에 설치된 푸시 로드(65)에 연결되며(도 3 참조), 이에 따라 스크레이퍼(60)는 가동 플레이트(16)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이캐스팅 금형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다이캐스팅 금형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8에서는 고정형(21)과 제1 서포트(11)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는 다이캐스팅 금형의 형폐 상태(closed state)를 나타내고 있다. 즉, 고정형(11)에 대해 가동형(22)이 근접 이동하여 밀착되고, 슬라이드 코어(30)가 메인 코어(20)에 대해 근접 이동한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용융 금속이 금형 내에 공급되어 다이캐스팅 공정이 수행된다.
도 8의 (b)는 다이캐스팅 공정이 완료되어 형개 상태(opened state)로 전환되는 것을 보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코어(30)가 후퇴 동작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8의 (c)와 같이, 스크레이퍼(60)가 슬라이드 동작하여 메인 코어(22)의 측면에 퇴적된 버어를 긁어 내며, 이러한 동작은 이젝터 핀(미도시)의 제품 취출 동작과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8의 (d)와 같이, 스크레이퍼(60)가 원위치로 복귀하며, 긁어내어진 버어 등 이물질은 에어 분사 경로 상에 놓여지게 된다. 스크레이퍼(60)의 위치 복귀에 따라 에어 블로잉 배관(42)의 토출구가 노출되고, 외부의 에어를 에어 주입 유로(41)로 유입하여 에어 블로잉 배관(42)을 통해 에어를 분사한다. 이에 따라 버어 등의 이물질이 버어 배출부(50)를 통해 금형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8의 (e)는 다음 다이캐스팅 공정을 위해 금형이 다시 형폐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보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동형(22)이 고정형(21)을 향해 근접 이동하고, 슬라이드 코어(30)는 메인 코어(20) 측으로 전진 이동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젝터 핀의 가동을 위한 가동 플레이트(16)에 스크레이퍼(60)의 이동을 기설정치까지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70)가 추가로 설치된다. 이는 스크레이퍼(60)의 기설정치를 초과 이동하여 슬라이드 코어(30)와 충돌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의 (a)는 금형의 형폐 상태를 보이고 있고, (b)는 금형이 형개 상태로 전환되어 슬라이드 코어(30)가 후퇴하고 스크레이퍼(60)가 슬라이딩 동작한 것을 보이고 있다.
스토퍼(70)는 가동 플레이트(16)에 메인 코어(22)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설치되며, 제2 서포트(12)와 가동 플레이트(16) 사이의 이격 거리에서 스크레이퍼(60)의 이동 설정치를 차감한 길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a)의 형폐 상태에서 (b)의 형개 상태로 전환시, 스토퍼(70)가 제2 서포트(12)에 도달하게 되면 그와 접촉하여 더 이상 가동 플레이트(16)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에 따라 스크레이퍼(60)의 이동 또한 제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서포트 11: 제1 서포트
12: 제2 서포트 16: 가동 플레이트
20: 메인 코어 21: 고정형
22: 가동형 30: 슬라이드 코어
31: 슬라이드 바디 40: 버어 제거부
41: 에어 주입 유로 42: 에어 블로잉 배관
50: 버어 배출부 60: 스크레이퍼

Claims (10)

  1.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며, 주조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가 구비된 메인 코어;
    상기 메인 코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코어와 함께 주조품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 및
    상기 서포트와 상기 메인 코어에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주입받은 에어를 상기 메인 코어의 외곽 방향으로 분사하여 상기 메인 코어와 상기 슬라이드 코어 사이에서 발생한 버어를 제거하는 버어 제거부;를 포함하는, 다이캐스팅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어 제거부는,
    상기 서포트에 형성되며, 외부의 에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에어 주입 유로; 및
    상기 메인 코어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 주입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메인 코어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블로잉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잉 배관은,
    주배관부;
    상기 주배관부의 일단에서 분기되며, 상기 에어 주입 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관부; 및
    상기 주배관부의 타단에서 분기되며, 에어를 상기 메인 코어의 측면을 통해 토출시키는 토출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부는 상기 메인 코어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코어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한 고정형 및 가동형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블로잉 배관은 상기 가동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에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바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슬라이드 레일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서포트의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버어가 배출되는 버어 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어 제거부의 에어 토출구 측에는 슬라이드 동작을 통해 상기 메인 코어의 측면에 쌓인 버어를 긁어내기 위한 스크레이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에는 주조 제품의 취출을 위한 이젝터 핀을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 플레이트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설치된 푸시 로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크레이퍼의 이동을 기설정치까지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금형.
  10.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며, 주조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가 구비된 메인 코어;
    상기 메인 코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코어와 함께 주조품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 및
    상기 서포트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후퇴 동작시 슬라이드 동작을 통해 상기 메인 코어에 쌓인 버어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다이캐스팅 금형.

KR1020190135179A 2019-10-29 2019-10-29 다이캐스팅 금형 KR102294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79A KR102294310B1 (ko) 2019-10-29 2019-10-29 다이캐스팅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79A KR102294310B1 (ko) 2019-10-29 2019-10-29 다이캐스팅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57A true KR20210050757A (ko) 2021-05-10
KR102294310B1 KR102294310B1 (ko) 2021-08-26

Family

ID=7591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79A KR102294310B1 (ko) 2019-10-29 2019-10-29 다이캐스팅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413B1 (ko) * 2022-08-31 2023-06-23 (주)대림산업 체결면 널링구조 인슐레이터 브라켓 금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856U (ja) * 1993-02-23 1994-09-20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ィ 金型ガス抜き部のバリ取り機構
JPH10277720A (ja) * 1997-04-08 1998-10-20 Toyota Motor Corp ダイカスト金型
JP2003039143A (ja) * 2001-07-26 2003-02-12 Kubota Corp 管鋳造装置の金枠端面清掃装置
JP2010075974A (ja) * 2008-09-26 2010-04-08 Ryobi Ltd 鋳造用金型及び鋳造法
JP2015139801A (ja) * 2014-01-28 2015-08-03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ィ 金型装置
KR20170058033A (ko) *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코넥 슬라이드 코어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KR20180039374A (ko)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대림산업 튜브재킷 다이캐스팅 금형 구조
CN207308927U (zh) * 2017-09-08 2018-05-04 宁波大榭开发区天正模具有限公司 一种具有顶杆喷涂结构的压铸模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856U (ja) * 1993-02-23 1994-09-20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ィ 金型ガス抜き部のバリ取り機構
JPH10277720A (ja) * 1997-04-08 1998-10-20 Toyota Motor Corp ダイカスト金型
JP2003039143A (ja) * 2001-07-26 2003-02-12 Kubota Corp 管鋳造装置の金枠端面清掃装置
JP2010075974A (ja) * 2008-09-26 2010-04-08 Ryobi Ltd 鋳造用金型及び鋳造法
JP2015139801A (ja) * 2014-01-28 2015-08-03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ィ 金型装置
KR20170058033A (ko) *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코넥 슬라이드 코어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KR20180039374A (ko)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대림산업 튜브재킷 다이캐스팅 금형 구조
CN207308927U (zh) * 2017-09-08 2018-05-04 宁波大榭开发区天正模具有限公司 一种具有顶杆喷涂结构的压铸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310B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7117B (zh) 模具和制造铸造制品的方法
KR102143350B1 (ko) 콜랩시블 코어 및 이를 장착한 반 주조 주형
KR102294310B1 (ko) 다이캐스팅 금형
JP6131106B2 (ja) ダイカスト成形機の被覆剤供給装置
KR20170058033A (ko) 슬라이드 코어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US20090218068A1 (en) Die for die cas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st product
JP6320056B2 (ja) 金型装置
KR20090061370A (ko) 다이 캐스팅용 카세트 장치
JP4725214B2 (ja) 成形金型
JP5733523B2 (ja) ダイカスト金型
CN112247107B (zh) 具有斜向开口腔道的产品压铸方法
JP2009279892A (ja) モールド成形用金型
JP3788752B2 (ja) 射出成形金型装置
JPH08309499A (ja) 歯車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9278388B2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a thin-walled article in metal
KR100421131B1 (ko) 사출성형용 금형
JP2012125925A (ja) 射出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装置
CN110653355B (zh) 压铸装置
JPH01224156A (ja) 竪型鋳込装置
JPH06262105A (ja) 粉体離型剤スプレー装置
JPH0565459U (ja) 金型装置
CN118143230A (zh) 一种压铸加工金属前盖用的脱料装置
JP2006137008A (ja) 離型剤の塗布方法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RU2110360C1 (ru) Пресс-форма для литья под давлением
JP2023087333A (ja) 金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