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083A -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083A
KR20210050083A KR1020190134233A KR20190134233A KR20210050083A KR 20210050083 A KR20210050083 A KR 20210050083A KR 1020190134233 A KR1020190134233 A KR 1020190134233A KR 20190134233 A KR20190134233 A KR 20190134233A KR 20210050083 A KR20210050083 A KR 20210050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ert frame
stopper
airtight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479B1 (ko
Inventor
고재용
Original Assignee
고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용 filed Critical 고재용
Priority to KR102019013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4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Abstract

본 발명은 강우(降雨)시 시간당 강수량이 많아 배수장치를 구성하는 고무배수판으로 유입된 빗물이 넘쳐나 그 수위가 매립프레임에 형성된 인서트프레임설치부에 도달하더라도 매립프레임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를 통해 빗물이 매립프레임 내부로 유입되어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슬래브에 매립되어지는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로 조립되어지는 인서트프레임(120)의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A drainage device for expansion joints of bridges with leak-proofing}
본 발명은 도로나 철도 상에 시공되어지는 교량의 상부슬래브에 발생한 빗물이 신축이음부에서 통해 배수되어지는 빗물을 모아 배수시킬 수 있도록 시공되어지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우(降雨)시 시간당 강수량이 많아 배수장치를 구성하는 고무배수판으로 유입된 빗물이 넘쳐나 그 수위가 매립프레임에 형성된 인서트프레임설치부에 도달하더라도 매립프레임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를 통해 빗물이 매립프레임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어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이 많이 나가는 차량이나 열차가 통과하는 교량은 차량이나 열차의 중량에 의한 충격 하중이 발생하게 되고, 충격 하중은 상부슬래브를 통해 교각으로 전달되어지게된다.
상기한 충격 하중에 의한 교량(상브슬래브 및 교각)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한 주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상부슬래브가 변위 및 변형되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상기 변위 및 변형은 상부슬래브와 상기 상부슬래브를 연결 해주는 신축이음장치와 함께 교각 상부로 시공되어지는 슈에서 받아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슬래브의 변위 및 변형을 원활하게 받아주는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맞물림되어지는 물림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부슬래브의 골격을 이루는 철근에 용접되어 타설되는 몰탈에 매몰되어지는 앙카바를 포함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에 형성된 체결홈부에 양단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신축이음부재(탄성고무)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의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상부슬래브에 발생하는 변위 및 변형에 대하여 연결 설치되어진 상부슬래브들 각각에 발생한 변위 및 변형 조건에 따라 변위 및 변형이 가능하도록 물림부가 틈을 이루며 맞물림되어 있어 우천으로 교량의 상부슬래브면(面)에 빗물이 발생하면, 빗물은 물론, 빗물에 혼입된 토사 및 비점오염원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신축이음장치의 물림부 틈 사이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종 이물질이 혼입되어진 빗물이 물림부의 틈 사이로 흘러들어간 빗물은 그대로 교량 아래로 낙수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낙수되어지는 빗물은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수질오염의 근원이 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량 상부슬래브의 신축이음장치 하부에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빗물을 한곳으로 모아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장치를 설치 사용하고 있다.
상기 배수장치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고, 이 사건출원발명과 대비되는 배수장치로는 특허 제10-707484호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가 선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등록발명은 상부슬래브의 연결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빗물에 의한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예방함과 동시에 신축부재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발명은 고정받침대에 대하여 물받이설치대가 헐겁게 조립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교체작업이 용이한 반면, 강수량이 많이 발생하여 빗물이 넘처날 때에는 고정받침대와 물받이설치대의 사이로 빗물은 물론, 빗물에 혼입된 이물질이 유입되어지는 구조이어서, 고정받침대의 고정대 설치홈로 유입된 빗물이 신축부재 밖으로 흘러 교각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슈를 오염시키는 단점과 함께 빗물에 혼입된 이물질이 고정대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받침대의 설치홈에 꽉차여지게되어 고정대를 고정받침대의 설치홈으로부터 빼내는 작업이 쉽지 않아 신축부재를 교환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선등록발명 특허 제10-707484호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제품이 이 사건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10-1570953호"교량 신축이음부 배수장치"인 것이다.
상기 선등록 발명의 교량 신축이음부 배수장치는 상부 슬래브에 매립되어지는 매립프레임의 물받치설치홈과, 물받이의 양쪽으로 설치되어 물받이설치홈으로 조립되어지는 물받이설치대의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써, 강우(降雨)로 인해 상부 슬래브로부터 신축이음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많아 이 빗물의 수위(水位)가 물받이를 도달하고도 넘쳐나 흐르더라도 물받이설치홈으로 빗물은 물론, 이에 혼입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물받이설치홈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야기되는 배수장치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해소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부 배수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부슬래브에 매립되어지는 매립프레임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로 조립되어지는 인서트프레임의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써, 강우(降雨)로 인해 상부 슬래브로부터 신축이음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많아 빗물의 수위(水位)가 고무배수판을 도달하고도 넘쳐나 흐르더라도 매립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인서트프레임설치부로 빗물은 물론, 빗물에 혼입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립프레임으로의 빗물 누수를 근본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빗물이 상부슬래브 밑면과 상부슬래브를 받치고 있는 교각의 교량슈로 흘러들어가 발생하는 교량슈의 기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예방하였고, 더불어 교량슈의 기동불량이 발생할 경우 상부슬래브에 발생하는 하중과 진동이 교각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교각의 내구성을 약화시키게 되는 문제점까지도 해소하였으며, 매립프레임 내부로의 빗물 유입 차단 효율 향상과 함께 구조의 단순화로 생산원가의 절감은 물론, 간편한 시공은 물론,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횡단면 형상이 상부로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태로 일측면에는 인서트프레임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인서트프레임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되, 하부에는 인서트프레임의 하단 거치요부가 거치되어지는 거치벽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인서트프레임의 상단 기밀단부가 면접촉되어지는 기밀벽이 형성되어 있고, 인서트프레임설치부와 반대되는 쪽의 벽 외측에는 상부슬래브에 매립되어지는 앙카볼트가 조립되는 매립볼트조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평탄면에 스토퍼가 힌지 조립되어지는 스토퍼고정부재와 이에 이웃하여 상기 스토퍼를 기동시키는 연결형조절부재의 볼트머리가 장착되어지는 연결형조절부재조립홀더가 형성되어 있는 매립프레임과;
상기 매립프레임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의 하부 거치벽으로 거치되어지는 거치요부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매립프레임의 기밀벽에 대하여 밀착되어지는 기밀재를 포함하는 기밀단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기밀단부의 일측면에는 연결형조절부재를 구성하는 스토퍼의 끝이 이물림되어지는 기밀단부가 매립프레임의 기밀벽에 밀착되어질 수 있게 하는 래칫이 형성되어 있는 인서트프레임과;
상기 매립프레임의 상부 평탄면에 형성된 연결형조절부재조립홀더에 볼트머리가 위치하고, 스토퍼고정부재의 구름봉체결블럭에 구름봉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 스토퍼에 나사봉이 끼워지는 슬롯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의 슬롯홀이 끼워진 나사봉에 세팅너트가 나사식 체결 되어서된 연결형조절부재와;
상기 인서트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고무배수판장착편의 장착요부에 끝단이 위치하고, 상기 장착요부에 안착된 끝단 외측면에 위치하여 관통되는 리벳에 의해 고정되어지는 보조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고무배수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서트프레임은 매립프레임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의 하부 거치벽으로 거치되어지는 거치요부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되, 거치요부는 유자형으로 고무배수판 끝단이 안착되어지는 장착요부를 포함하는 고무배수판장착편이 매립프레임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거치요부와 기밀재를 포함 함과 동시에 래칫이 형성되어 있는 기밀단부 사이의 중간에는 빗물유도편이 매립프레임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 외측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밀단부 말단에는 인서트프레임의 기밀단부의 래칫에 이물림되어 있는 스토퍼의 끝을 해정시키는 스토퍼해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해정부재는 인서트프레임의 기밀단부 측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레버가 피스 결합되어지고, 상기 레버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는 슬롯홀에 스토퍼를 인서트프레임 기밀단부의 래칫로부터 해정되어질 수 있게 하는 평철이 힌지를 매개로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는, 상부슬래브에 매립되어지는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로 조립되어지는 인서트프레임(120)의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써,
첫째, 강우(降雨)로 인해 상부 슬래브로부터 신축이음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많아 빗물의 수위(水位)가 고무배수판(140)을 도달하고도 넘쳐나 흐르더라도 매립프레임(110)에 형성되어 있는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로 빗물은 물론 빗물에 혼입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였고;
둘째, 매립프레임(110)으로의 빗물 누수를 근본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빗물이 상부슬래브 밑면과 상부슬래브를 받치고 있는 교각의 슈로 흘러들어가 발생하는 슈의 기동불량을 근본적으로 예방하였으며;
셋째, 더불어 슈의 기동불량이 발생할 경우 상부슬래브에 발생하는 하중과 진동이 교각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교각의 내구성을 약화시키게 되는 종래 문제점까지도 해소하였고;
넷째, 매립프레임(110) 내부로의 빗물 유입 차단 효율 향상과 함께 구조의 단순화로 생산원가의 절감은 물론, 간편한 시공은 물론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의 결합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를 구성하는 매립프레임에 인서트프레임을 장착하는 1단계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를 구성하는 매립프레임에 인서트프레임을 장착하는 2단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를 구성하는 매립프레임에 인서트프레임을 장착하는 3단계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를 구성하는 매립프레임에 인서트프레임을 장착하는 4단계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를 유지보수하때 스토퍼를 래칫로부터 해정시키는 상태의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는, 상부슬래브에 매립 형성되어지는 매립프레임(110)과, 상기 매립프레임(10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로 장착되어지는 인서트프레임(120)과, 상기 인서트프레임(120)이 매립프레임(110)에 장착 유지되어지도록 하는 연결형조절부재(130) 및 인서트프레임(120)의 고무배수판장착편(121a)으로 설치되어지는 고무배수판(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매립프레임(110)은, 횡단면 형상이 상부로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태로 일측면에는 인서트프레임(120)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가 형성되어진 하부에는 인서트프레임(120)의 하단 거치요부(121)가 거치되어지는 거치벽(112)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인서트프레임(120)의 상단 기밀단부(122)가 면접촉되어지는 기밀벽(1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와 반대되는 쪽의 벽(114) 외측에는 상부슬래브에 매립되어지는 앙카볼트가 조립되는 매립볼트조립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매립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상부 평탄면(118)에 스토퍼(134)가 힌지 조립되어지는 스토퍼고정부재(117)와 이에 이웃하여 상기 스토퍼(134)를 기동시키는 연결형조절부재(130)의 볼트머리(132)가 장착되어지는 연결형조절부재조립홀더(1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매립프레임(110)으로 장착되어지는 인서트프레임(120)은,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의 하부 거치벽(112)으로 거치되어지는 거치요부(121)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단에는 매립프레임(110)의 기밀벽(113)에 대하여 밀착되어지는 기밀재(122a)를 포함하는 기밀단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밀단부(122)의 일측면에는 연결형조절부재(130)를 구성하는 스토퍼(134)의 끝이 이물림되어지는 기밀단부(122)가 매립프레임(110)의 기밀벽(113)에 밀착되어질 수 있게 하는 래칫(1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서트프레임(120)의 상세 구조는 고무배수판(140) 끝단(141)이 안착되어지는 장착요부(121b)를 포함하는 고무배수판장착편(121a)이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거치요부(121)와 기밀재(122a)를 포함 함과 동시에 래칫(124)이 형성되어 있는 기밀단부(122) 사이의 중간에는 빗물유도편(123)이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 외측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기밀단부(122) 말단에는 인서트프레임(120)의 기밀단부(122)의 래칫(124)에 이물림되어 있는 스토퍼(134)의 끝을 해정시키는 스토퍼해정부재(150)가 설치되어 있는 것다.
상기 스토퍼해정부재(150)는 인서트프레임(120)의 기밀단부(122) 측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레버(151)가 피스(B) 결합되어지고, 상기 레버(151)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는 슬롯홀(152)에 스토퍼(134)를 인서트프레임(120) 기밀단부(122)의 래칫(124)로부터 해정되어질 수 있게 하는 평철(153)이 힌지(154)를 매개로 조립 구성된 것이다.
상기 인서트프레임(120)을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에 장착유지도록 하는 연결형조절부재(130)는, 매립프레임(110)의 상부 평탄면(118)에 형성된 연결형조절부재조립홀더(116)에 볼트머리(132)가 위치하고, 스토퍼고정부재(117)의 구름봉체결블럭(117a)에 구름봉(134a)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 스토퍼(134)에 나사봉(131)이 끼워지는 슬롯홀(13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34)의 슬롯홀(134b)이 끼워진 나사봉(131)에 세팅너트(133)가 나사식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인서트프레임(120)에 장착되는 고무배수판(140)은, 인서트프레임(120)에 형성되어 있는 고무배수판장착편(121a)의 장착요부(121b)에 끝단(141)이 위치하고, 상기 장착요부(121b)에 안착된 끝단(141) 외측면에 위치하여 관통되는 리벳에 의해 고정되어지는 보조연결부재(14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배수장치는, 매립프레임(110)이 교량을 구성하는 상부슬래브의 측면으로 매립 시공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상부슬래브에 매립 시공되어진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에 인서트프레임(120)을 장착하게된다.
상기 인서트프레임(120)을 매립프레임(110)에 장착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면하면 다음과 같다.
인서츠프레임(120)을 매립프레임(110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에 장착할 때에는 기밀재(122a)를 포함하는 기밀단부(122)가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도2에서와 같이 엇비스듬한 각도로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로 위치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인서트프레임(120)의 하부 거치요부(121)가 도3에서와 같이 매립프레임(110)의 하부 거치벽(112)에 안착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거치요부(12)가 거치벽(112)에 위치하여진 상태에서 상부의 기밀단부(122)가 기밀벽(122a)에 근접하도록 도4와 같이 세우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서트프레임(120)이 매립프레임(110)에 가조립되어지면, 절형연결형조절부재(130)를 이용하여 인서트프레임(120)이 조립된 상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하게된다.
상기 절형연결형조절부재(130)는 매립프레임(110)의 평탄면(118)에 형성되 어 있는 스토퍼고정부재(117)의 구름봉체결블럭(117a)에 구름봉(134a) 회전되어지게 체결되어진 스토퍼(134)의 슬롯홀(134b)에 볼트머리(132)가 상부를 향하도록 하여 나사봉(131)를 끼운다.
스토퍼(134)의 슬롯홀(134b) 나사봉(131)을 끼운 후에 상기 볼트머리(132)를 매립프레임(110)의 평탄면(118)의 연결형조절부재조립홀더(116)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스토퍼(134)의 슬롯홀(134b)을 관통하고 있는 나사봉(131)에 세팅너트(133)를 나사식 체결한다.(도5 참조)
이상에서와 같이 조립되어진 절형연결형조절부재(130)를 이용하여 인서트프레임(120)의 기밀단부(122)가 매립프레임(110)의 기밀벽(113)에 밀착되어지도록 하게된다.
인서트프레임(120)의 기밀단부(122)가 매립프레임(110)의 기밀벽(113)에 밀착되어진 상태가 도 1과 같다.
절형연결형조절부재(130)로 인서트프레임(120)의 기밀단부(122)을 매림프레임(110)의 기밀벽(113)에 밀착시킬 때에는 나사봉(131)에 나사식 체결되어진 세팅너트(133)를 잠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잠김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세팅너트(133)는 스토퍼(134)를 밀어올려 그 끝단이 인서트프레임(120)의 기밀단부(122)로 형성되어 있는 래칫(124)에 타고 넘어서게되고, 기밀단부(122)의 기밀재(122a)가 매립프레임(110)의 기밀벽(113)에 밀착되어질때까지 타고 넘어가면서 압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가 기밀 유지되어짐에 따라 강우(降雨)로 인해 배수장치를 구성하는 고무배수판(140)으로 유입된 빗물이 가득차서 그 수위가 매립프레임(110)에 형성된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에 도달하고도 넘쳐나더라도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로 빗물 및 이에 유입되어 있는 이물질이 유입되어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에 상부슬래브에 발생하는 빗물의 발생량에 관계없이 항상 안전한 기밀이 유지되어 짐에 따라 빗물이 매입프레임(110)으로 유입되어 넘처날경우 발생하였던 슈의 기동에 장애를 일으키는 종래 배수장치의 단점이 해결되었을 뿐만 아니라, 배수장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시 교량신축이음부로부터 배수장치를 쉽게 분리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시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스토퍼해정부재(150)를 이용하게 되는데, 인서트프레임(120)의 기밀단부(122)에 피스(B)에 의해 장착되어진 레버(151)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상기 레버(151)가 뉘워지면 레버(151)의 슬롯홀(151)에 힌지(154)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평철(153)의 끝단이 인서트프레임(120)의 기밀단부(122)에 형성되 있는 래칫(124)에 위치하여지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탁격구로 레버(151)의 상단을 타격하게 되고, 레버(151)가 타결될때 평철(153)이 스토퍼(134)의 끝단을 인서트프레임(120)의 기밀단부(122)의 래칫(124)에서 벗어나게 된다.
스토퍼(134)의 끝단이 래칫(124)으로부터 벗어난 인서트프레임(120)은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로부터 조립상태가 느슨한 상태가 되어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10 : 매입프레임 111 : 인서트프레임설치부
112 : 거치벽 113 : 기밀벽
114 : 벽 115 : 매립볼트조립부
116 : 연결형조절부재조립홀더 117 : 스토퍼고정부재
117a : 구름봉체결블럭 118 : 평탄면
120 :인서트프레임 121 : 거치요부
122 : 기밀단부 122a : 기밀재
123 : 빗물유도편 124 : 래칫
130 : 연결형조절부재 131 : 나사봉
132 : 볼트머리 133 : 세팅너트 134 : 스토퍼 134a : 구름봉
134b : 슬롯홀 140 : 고무배수판
141 : 끝단 142 : 보조연결부재
150 : 스토퍼해정부 151 : 레버
152 : 슬롯홀 153 : 평철
154 : 힌지 B : 피스

Claims (3)

  1. 횡단면 형상이 상부로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태로 일측면에는 인서트프레임(120)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가 형성되어 있되, 하부에는 인서트프레임(120)의 하단 거치요부(121)가 거치되어지는 거치벽(112)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인서트프레임(120)의 상단 기밀단부(122)가 면접촉되어지는 기밀벽(113)이 형성되어 있고,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와 반대되는 쪽의 벽(114) 외측에는 상부슬래브에 매립되어지는 앙카볼트가 조립되는 매립볼트조립부(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평탄면(118)에 스토퍼(134)가 힌지 조립되어지는 스토퍼고정부재(117)와 이에 이웃하여 상기 스토퍼(134)를 기동시키는 연결형조절부재(130)의 볼트머리(132)가 장착되어지는 연결형조절부재조립홀더(116)가 형성되어 있는 매립프레임(110)과;
    상기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의 하부 거치벽(112)으로 거치되어지는 거치요부(121)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매립프레임(110)의 기밀벽(113)에 대하여 밀착되어지는 기밀재(122a)를 포함하는 기밀단부(12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기밀단부(122)의 일측면에는 연결형조절부재(130)를 구성하는 스토퍼(134)의 끝이 이물림되어지는 기밀단부(122)가 매립프레임(110)의 기밀벽(113)에 밀착되어질 수 있게 하는 래칫(124)이 형성되어 있는 인서트프레임(120)과;
    상기 매립프레임(110)의 상부 평탄면(118)에 형성된 연결형조절부재조립홀더(116)에 볼트머리(132)가 위치하고, 스토퍼고정부재(117)의 구름봉체결블럭(117a)에 구름봉(134a)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 스토퍼(134)에 나사봉(131)이 끼워지는 슬롯홀(13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134)의 슬롯홀(134b)이 끼워진 나사봉(131)에 세팅너트(133)가 나사식 체결 되어서된 연결형조절부재(130)와;
    상기 인서트프레임(120)에 형성되어 있는 고무배수판장착편(121a)의 장착요부(121b)에 끝단(141)이 위치하고, 상기 장착요부(121b)에 안착된 끝단(141) 외측면에 위치하여 관통되는 리벳에 의해 고정되어지는 보조연결부재(142)를 포함하는 고무배수판(1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프레임(120)은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의 하부 거치벽(112)으로 거치되어지는 거치요부(121)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되, 거치요부(121)는 유자형으로 고무배수판(140) 끝단(141)이 안착되어지는 장착요부(121b)를 포함하는 고무배수판장착편(121a)이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거치요부(121)와 기밀재(122a)를 포함 함과 동시에 래칫(124)이 형성되어 있는 기밀단부(122) 사이의 중간에는 빗물유도편(123)이 매립프레임(110)의 인서트프레임설치부(111) 외측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밀단부(122) 말단에는 인서트프레임(120)의 기밀단부(122)의 래칫(124)에 이물림되어 있는 스토퍼(134)의 끝을 해정시키는 스토퍼해정부재(1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해정부재(150)는 인서트프레임(120)의 기밀단부(122) 측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레버(151)가 피스(B) 결합되어지고, 상기 레버(151)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는 슬롯홀(152)에 스토퍼(134)를 인서트프레임(120) 기밀단부(122)의 래칫(124)로부터 해정되어질 수 있게 하는 평철(153)이 힌지(154)를 매개로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KR1020190134233A 2019-10-28 2019-10-28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KR102337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233A KR102337479B1 (ko) 2019-10-28 2019-10-28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233A KR102337479B1 (ko) 2019-10-28 2019-10-28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083A true KR20210050083A (ko) 2021-05-07
KR102337479B1 KR102337479B1 (ko) 2021-12-08

Family

ID=7591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233A KR102337479B1 (ko) 2019-10-28 2019-10-28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6402A (zh) * 2021-12-15 2022-02-08 张绅 一种装配式桥梁对接伸缩缝结构及其防阻塞排水机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652A (ko) * 2008-10-18 2009-09-17 주식회사 리노이엔지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EP2154303B1 (de) * 2008-08-11 2013-11-27 Af Tec Beteiligungs Gmbh Dehnfugenprofil zur Abdeckung einer Dehnfuge
KR101489877B1 (ko) * 2014-05-15 2015-02-06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각 슬래브 유간용 물받이의 누수방지 실링 조립체,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및 보수공법
KR101580261B1 (ko) * 2015-05-12 2015-12-24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KR20180068872A (ko) * 2016-12-14 2018-06-22 (주)대영산업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87937B1 (ko) * 2017-11-21 2018-09-10 삼우엠텍(주) 교량용 수밀형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54303B1 (de) * 2008-08-11 2013-11-27 Af Tec Beteiligungs Gmbh Dehnfugenprofil zur Abdeckung einer Dehnfuge
KR20090098652A (ko) * 2008-10-18 2009-09-17 주식회사 리노이엔지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KR101489877B1 (ko) * 2014-05-15 2015-02-06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각 슬래브 유간용 물받이의 누수방지 실링 조립체,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및 보수공법
KR101580261B1 (ko) * 2015-05-12 2015-12-24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KR20180068872A (ko) * 2016-12-14 2018-06-22 (주)대영산업 철도교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87937B1 (ko) * 2017-11-21 2018-09-10 삼우엠텍(주) 교량용 수밀형 신축이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6402A (zh) * 2021-12-15 2022-02-08 张绅 一种装配式桥梁对接伸缩缝结构及其防阻塞排水机构
CN114016402B (zh) * 2021-12-15 2024-05-03 沈阳汇智云创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桥梁对接伸缩缝结构及其防阻塞排水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479B1 (ko)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0539A (en) Expansion joint and seal
US7201533B2 (en) Sewer grate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9689116B2 (en) Rail track sleeper support
KR101722994B1 (ko) 아스팔트 콘크리트궤도 접속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558373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KR20210050083A (ko)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KR20130041045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CN109537440B (zh) 一种桥台引道结构
KR20010075743A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CN110387813B (zh) 一种桥梁的伸缩缝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00057559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KR200184750Y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2337480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누수방지가 가능한 배수장치
CN211848897U (zh) 一种便于清理的公路桥梁伸缩缝
ES2926302T3 (es) Carril de rodadura y construcción de vía con el carril de rodadura
RU2328569C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уть для тоннелей
KR101982577B1 (ko) 부양식 맨홀 뚜껑 세트
KR200255623Y1 (ko) 도로의 가드레일 및 중앙분리대용 지주봉
KR200345471Y1 (ko) 강재를 이용한 2-아치형 도로 및 철로 낙석방지시설
CN217810453U (zh) 一种具有高承载能力的桥梁
Ray_ EFFECT or DEFECTIVE JOINT SEALS ON PAVEMENT PERFORMANCE
KR100478975B1 (ko) 철도 도상자갈 슬라이드 방지 및 날개판이 부착된 철도도상배수용 블록
KR200423096Y1 (ko) 방호벽을 갖는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누수 방지 장치
CN215758510U (zh) 一种便于维修的预应力锚固式桥梁伸缩装置
KR200288739Y1 (ko) 철도 도상자갈 슬라이드 방지 및 날개판이 부착된 철도도상배수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