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261B1 -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0261B1 KR101580261B1 KR1020150066216A KR20150066216A KR101580261B1 KR 101580261 B1 KR101580261 B1 KR 101580261B1 KR 1020150066216 A KR1020150066216 A KR 1020150066216A KR 20150066216 A KR20150066216 A KR 20150066216A KR 101580261 B1 KR101580261 B1 KR 1015802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aging
- pressing
- expansion joint
- groove
- water leak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는,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유간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철근에 결합되는 매립부가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유간 쪽으로 노출되는 영역에는 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노출부의 하단에는 결합홈부가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단에 의해 상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각 슬래브에 매립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간부가 "U"자 절곡되어 물받이부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상기 지지단이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부가 하향으로 개구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각각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물받이부재;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결합홈부 사이의 수밀을 유지시켜 상기 유간으로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된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안착부를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노출부에 볼트로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래브에 매설되는 지지 프레임의 결합홈부에 물받이부재의 안착부가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가압부재가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안착부와 결합홈부 사이의 수밀이 유지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결합홈부에 안착된 안착부를 가압부로 가압하도록 가압부재를 지지 프레임에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여 누수방지장치의 시공 및 설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고 누수 방지를 위한 수밀성이 향상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슬래브 사이에 설치되어 슬래브의 신축을 보상하는 장치이다. 즉, 통상의 교량은 복수 개의 슬래브가 연결되어 설치되며, 여기서 교량은 온도 변화와 하중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을 하게 되므로, 교량을 구성하는 슬래브는 일정 길이마다 적정한 간격을 뜻하는 유간을 가지며 설치되고, 상기 유간에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어 슬래브의 손상 방지는 물론 차량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교량 위로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하나의 슬래브에서 그 양측의 슬래브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교량의 유간에서 발생하는 누수 현상을 방지하여 교좌 장치나 철근콘크리트 빔이 부식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비교적 좁은 틈의 형태인 슬래브의 유간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그 설치 및 교체의 용이성이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의 한 예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59823호(공개일 : 2013.06.07)호에는 교량 신축이음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는, 양쪽의 슬래브(1)의 마주보는 면에 삽입공간(4)을 갖는 고정 프레임(2)이 각각 매립되고, 양쪽의 삽입공간(4)에는 "U"자형의 물받이 배수판(3)이 보조배수판(10)과 결합된 상태로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교량 신축이음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는, 물받이 배수판(3)이 보조배수판(10)에 의해 단순히 삽입공간(4)에 삽입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물받이 배수판(3)의 몸체(8)에 물이 찰 경우에, 물이 보조 배수판(10)과 삽입공간(4)의 벽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서 누수방지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930253호(공고일 : 2009.12.09)에는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슬래브에 매립된 고정프레임의 설치부에 배수유도판의 양단이 단순히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고정프레임의 설치부 내측벽과 배수유도판의 단부 사이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는, 배수부재가 슬래브에 매립된 프레임에 단순히 끼움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배수부재와 프레임 사이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전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들은, 프레인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배수부재의 양단을 삽입해야 하는 설치 작업이 복잡하여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도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누수방지구조를 개선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유간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철근에 결합되는 매립부가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유간 쪽으로 노출되는 영역에는 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노출부의 하단에는 결합홈부가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단에 의해 상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각 슬래브에 매립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간부가 "U"자 절곡되어 물받이부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상기 지지단이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부가 하향으로 개구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각각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물받이부재;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결합홈부 사이의 수밀을 유지시켜 상기 유간으로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된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안착부를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노출부에 볼트로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때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결합홈부의 바닥면과 상기 안착부의 저면 사이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누수방지용 보조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부의 바닥에는, 입구는 넓고 내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때, 상기 누수방지용 보조패드를 상기 요홈에 억지 삽입하여 수밀성을 높이기 위한 누름 삽입돌부가 상기 요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홈은 다수개가 연이어 형성되어 파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 삽입돌부는 각각의 상기 요홈에 삽입되도록 다수개가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가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때,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가압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가압부의 저면과 상기 지지단 또는 상기 걸림부를 향하는 상기 가압부의 측면을 감싸 상기 걸림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 형상으로 형성되어 저면 밀착부와 측면 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상기 저면 밀착부의 상면 또는 상기 측면 밀착부의 수직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의 수직면에는, 1개 이상의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의 수직면에 대응되는 상기 가압부재의 수직면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결합공과 상기 노출부에 형성되는 체결공이 일치할 때,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가압부가 상기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의 수직면 상부영역에는, 걸림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결합공과 상기 노출부에 형성되는 체결공이 일치할 때, 상기 걸림홈부에 걸려 상기 가압부가 상기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단이 상기 걸림홈부 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는 상기 가압부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의 수직면에 밀착되는 측면 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가압부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노출부 상단에는, 매립시 상기 지지단이 상기 슬래브의 유간 형성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서로 만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공간 형성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결합공과 상기 노출부에 형성되는 체결공이 일치할 때, 상기 공간 형성단의 저면에 지지되기 위한 결합 지지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래브에 매설되는 지지 프레임의 결합홈부에 물받이부재의 안착부가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가압부재가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안착부와 결합홈부 사이의 수밀이 유지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홈부에 안착된 안착부를 가압부로 가압하도록 가압부재를 지지 프레임에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여 누수방지장치의 시공 및 유지보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30)는, 교량의 슬래브(20)와 슬래브(20) 사이의 유간(S)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홈부(52)를 구비하여 양쪽의 각 슬래브(20)에 매립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50)과, "U"자 형의 물받이부(62)와 결합홈부(52)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64)를 구비하여 양쪽 결합홈부(52)에 각각 설치되는 물받이부재(60)와, 안착부(64)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홈부(52)와 안착부(64) 사이의 수밀이 유지되어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 프레임(50)은, 양쪽의 슬래브(20) 사이에 형성되는 유간(S)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양쪽의 슬래브(20)에 각각 매립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20)의 철근(22)에 결합되고 슬래브(20)에 매립되는 매립부(54)가 한쪽에 형성되고, 유간(S) 쪽으로 노출되는 영역에는 노출부(56)가 형성되며, 노출부(56)의 하단에는 결합홈부(52)가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단(57)에 의해 상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노출부(56)의 상부 영역에는 체결공(55)이 형성된다. 이 체결공(55)에는 가압부재(70)의 결합공(76)을 관통한 볼트(B)가 체결되어 가압부재(70)를 지지 프레임(50)에 결합하게 된다.
지지단(57)은 물받이부재(60)의 하향 개구된 구조의 걸림부(66)에 삽입되어 물받이부재(60)의 가 결합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지지단(57)과 걸림부(66)는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 걸림부(66)는 다중 절곡되어 지지단(57)이 끼워지도록 하향으로 개구된 삽입홈을 갖는다.
결합홈부(52)는 본 실시예에서 사각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매립부(54)는 별도의 연결부재 또는 연결볼트에 의해 철근(22)과 연결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50)의 노출부(56) 상단에는, 매립시 지지단(57)이 슬래브(20)의 유간 형성면(S1)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서로 만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공간 형성단(5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양쪽 지지 프레임(50)의 공간 형성단(53)에 의해 지지단(57)은 유간 형성면(S1)보다 돌출되지 않으므로 유간(S)에서의 기타 작업이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50)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압출 성형되거나 다이캐스팅 방식 또는 주물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물받이부재(60)는, 양단이 양쪽의 지지 프레임(50)에 결합되는 것으로, 슬래브(20)들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간(S)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빗물이나 이물질을 배수구(도시되지 않음)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중간부가 "U"자 절곡되어 물받이부(62)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전술한 지지 프레임(50)의 지지단(57)이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부(66)가 하향으로 개구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며, 걸림부(66)의 단부에는 결합홈부(52))에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64)가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다.
걸림부(66)는, 하향 개구되도록 다중 절곡된 구조를 갖으므로, 안착부(64)가 결합홈부(52)에 삽입될 때, 지지단(57)이 삽입된다. 따라서 양쪽의 안착부(64)가 각 결합홈부(52)에 삽입되면 각 지지단(57)이 걸림부(66)에 삽입되므로 물받이부재(60)의 양단이 양쪽의 지지 프레임(50)에 안정된 상태로 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6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부(52)에 형합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상향으로 개구된 삽입부(64A)를 형성한다. 삽입부(64A)는, 가압부재(70)의 가압부(72)가 삽입되도록 상향으로 개구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물받이부재(6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녹에 강한 스테인레스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70)는, 물받이부재(60)의 안착부(64)를 결합홈부(52)에 가압하여 누수가 방지되도록 수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안착부(64)와 결합홈부(52) 사이의 수밀을 유지시켜 유간(S)으로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결합홈부(52)에 삽입되어 안착된 안착부(64)를 수직방향, 즉 결합홈부(52)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72)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가압부(72)가 안착부(64)를 가압하는 상태에서 노출부(56)에 볼트(B)로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76)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가압부재(70)의 가압부(72)는, 삽입부(64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가압부(72)와 안착부(64) 사이에는,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가압부(72)가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때,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가압부(72)와 안착부(64)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부재(80)가 설치된다.
이러한 누수방지부재(80)는, 가압부(72)의 저면에 형성되는 끼움홈(72A)에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82)가 상면에 형성되어, 가압부(72)와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나사 등에 의해ㅣ 가압부(7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누수방지부재(80)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구성됨으로써, 가압부(72)가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때 안착부(64)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안착부(64)와 결합홈부(52)의 수밀성을 높이고, 누수방지부재(80)와 안착부(64) 사이의 수밀성도 높일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70)의 상단부에는, 가압부재(70)가 안착부(64)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공(76)과 노출부(56)에 형성되는 체결공(55)이 일치할 때, 공간 형성단(53)의 저면에 지지되기 위한 결합 지지단(73)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지지단(73)은 가압부(72)가 항상 안착부(64)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결합 지지단(73)이 공간 형성단(53)의 저면에 지지되어 가압부재(72)가 상항 누수방지부재(80)를 결합홈부(52) 방향을 가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3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슬래브(20)의 시공시 지지 프레임(50)의 매립부(54)가 매립되도록 시공하되, 노출부(56)가 슬래브(20)들 사이의 유간(S)을 기준으로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매립 시공한다. 이때, 양쪽 지지 프레임(50)의 각 공간 형성단(53)에 의해 지지단(57)이 유간 형성면(S1)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 과정으로, 양쪽 슬래브(20)에는 결합홈부(52)가 상향으로 개구된 상태의 지지 프레임(50)이 각각 설치된다.
이어서, 중간부에 "U"자 형의 물받이부(62)가 형성된 물받이부재(60)의 한쪽에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안착부(64)를 한쪽 지지 프레임(20)의 결합홈부(52)에 삽입하고, 다른쪽 안착부(64)를 반대 쪽 지지 프레임(20)의 결합홈부(52)에 삽입한다.
이 과정으로 양쪽의 안착부(64)가 양쪽 지지 프레임(20)의 결합홈부(52)에 삽입됨과 동시에, 안착부(64)와 물받이부(62) 사이에 형성된 각 걸림부(66)의 내부로 각 지지 프레임(20)의 지지단(57)이 삽입된다. 따라서, 물받이부재(60)의 양단이 안정적으로 양쪽의 지지 프레임(50)에 가 결합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물받이부재(60)가 양쪽의 지지 프레임(50)에 각각 가 결합되면, 각각의 가압부재(70)의 저면에 누수방지부재(80)를 결합한 후, 안착부(64)를 결합홈부(52)에 가압하여 수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즉, 가압부재(70)의 가압부(72)에 결합된 누수방지부재(80)를, 결합홈부(52)에 삽입되어 안착된 안착부(64)의 삽입부(64A)에 삽입한 후 가압부재(70)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가압부재(70)의 상단부 영역에 형성된 결합공(76)과 지지 프레임(50)의 노출부(56) 상단 영역에 형성된 체결공(55)이 일치되도록 하고, 볼트(B)를 결합공(76)을 통하여 체결공(55)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가압부(72)가 삽입부(6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가압하게 되면, 누수방지부재(80)가 변형되면서 안착부(64)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이로 인하여 안착부(64)의 저면과 결합홈부(52)의 바닥이 밀착된다. 이는 누수방지부재(80)가 자체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안착부(64)와 누수방지부재(80)가 누수가 방지되로록 밀착됨은 물론, 안착부(64)의 저면과 결합홈부(52)의 바닥도 가압부(72)의 가압력과 누수방지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누수가 방지되도록 수밀성을 유지하여 밀착된다.
따라서, 가압부(72)에 결합된 누수방지부재(80)와 안착부(64)가 수밀이 유지되도록 밀착되고, 안착부(64)의 저면과 결합홈부(52)의 바닥이 수밀이 유지되도록 밀착됨으로, 슬래브(20)들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이 유간(S)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즉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볼트(B)를 결합공(76)을 통하여 체결공(55)에 체결하기에 앞서, 가압부재(70)의 결합 지지단(73)를 공간 형성단(73)의 저면에 지지시킨 후, 볼트(B)를 결합공(76)을 통하여 체결공(55)에 체결할 수도 있다. 즉, 가압부재(70)를 공간 형성단(53)과 결합홈부(52) 사이에 억지 끼움 결합하여, 누수방지부재(80)가 탄력적으로 안착부(64)를 결합홈부(52)에 가압하도록 하여 수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착부(64)가 결합홈부(52)에 삽입되고, 가압부(72)에 결합된 누수방지부재(80)가 삽입부(64A)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 지지단(73)을 공간 형성단(53)의 저면에 지지시키고, 볼트(B)를 결합공(76)으로 삽입한 후 체결공(55)에 체결하는 것만으로, 물받이부재(60)의 양단이 양쪽의 지지 프레임(20)에 누수가 방지되도록 수밀을 유지하여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30)는, 결합홈부(52)의 바닥과 안착부(64)의 저면 사이에, 가압부(72)가 안착부(64)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때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결합홈부(52)의 바닥면과 안착부(64)의 저면 사이에 밀착되어 누수가 방지되록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누수방지용 보조패드(90)가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방지용 보조패드(90)가 결합홈부(52)의 바닥면과 안착부(64)의 저면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결합홈부(52)의 바닥면과 안착부(64)의 저면 사이의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결합홈부(52)의 바닥면과 안착부(64)의 저면 사이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금속재로 된 물받이부재(60)의 안착부(64)와 금속재로 된 지지 프레임(50)의 결합홈부(52)가 맞닿을 경우에 그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미세한 누수가 발생될 수 있으나, 결합홈부(52)의 바닥면과 안착부(64)의 저면 사이에 누수방지용 보조패드(90)를 설치함으로써, 누수방지용 보조패드(90)가 결합홈부(52)의 바닥면과 안착부(64)의 저면 사이의 미세한 틈을 모두 막아 수밀성을 높임으로써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30)는, 결합홈부(52)의 바닥에는 입구는 넓고 내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의 요홈(52A)이 형성되고, 안착부(64)에는 가압부(72)가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때, 누수방지용 보조패드(90)를 요홈(52A)에 억지 삽입하여 수밀성을 높이도록 요홈(52A)과 형합되는 구조의 누름 삽입돌부(64B)가 요홈(52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결합홈부(52)에 요홈(52A)을 형성하고, 안착부(64)에 누름 삽입돌부(64B)를 형성함으로써, 결합홈부(52)의 바닥과 안착부(64)의 저면이 접촉되는 표면적을 확장시켜 누수방지용 보조패드(90)에 의한 수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누수방지용 보조패드(90)의 일부를 입구는 넓고 내부는 좁은 형태의 요홈(52A)에 누름 삽입돌부(64B)로 억지 삽입하면서 가압함으로써, 결합홈부(52)의 바닥과 안착부(64)의 수밀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30)는, 결합홈부(52)에 형성되는 요홈(52A)은 다수개가 연이어 형성되어 파형으로 이루어지고, 누름 삽입돌부(64B)는 각각의 요홈(52A)에 삽입되도록 다수개가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결합홈부(52)의 바닥과 안착부(64)의 저면 사이에 누수방지용 보조패드(90)가 설치된 상태에서, 요홈(52A)과 누름 삽입돌부(64B)가 연이어 형성되어 파형을 이룸으로써, 각각의 누름 삽입돌부(64B)가 각 요홈(52A)에 삽입되어 가압하므로, 결합홈부(52)의 바닥과 안착부(64)의 저면 사이에 수밀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있고,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30)는, 누수방지부재(80)가 가압부(72)의 저면과 걸림부(66)를 향하는 가압부(72)의 측면을 감싸 걸림부(66)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누수방지부재(80)는 "┗"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64A)의 바닥에 밀착되는 저면 밀착부(86)와 걸림부(66)의 내측면(66A)에 밀착되는 측면 밀착부(88)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압부(72)의 저면과 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홈(72A)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89)가 저면 밀착부(86)의 상면 또는 측면 밀착부(88)의 수직면에 형성되어, 가압부(72)와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누수방지부재(80)가 "┗"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면 밀착부(88)가 걸림부(66)의 외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누수방지부재(80)와 삽입부(64A) 사이의 수밀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즉, 누수방지부재(80)의 저면과 측면이 안착부(64)의 바닥과 걸림부(66)의 내측면(66A)에 밀착됨으로써, 누수방지부재(80)와 삽입부(64A)의 내측면(삽입부의 바닥과 걸림부의 내측면) 사이의 수밀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30)는, 누수방지부재(80)가, 걸림부(66)와 마주보는 가압부(72)의 측면에 결합되어 걸림부(66)의 수직면(66A)에 밀착되는 측면 밀착부(88)를 구비하고, 가압부(72)에 형성되는 끼움홈(72A)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89)가 가압부(72)의 측면과 마주보는 수직면(88A)에 형성되어 가압부(72)와 끼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누수방지부재(80)가 "┃"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면 밀착부(88)가 걸림부(66)의 외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누수방지부재(80)와 삽입부(64A) 사이의 수밀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는, 노출부(56)의 수직면(56A)에는, 1개 이상의 걸림홈(56B)이 각각 형성되고, 노출부(56)의 수직면(56A)에 대응되는 가압부재(70)의 수직면(71)에는, 가압부재(70)가 안착부(64)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공(76)과 노출부(56)에 형성되는 체결공(55)이 일치할 때, 걸림홈(56B)에 걸려 가압부(72)가 안착부(64)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돌기(77)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누수방지부재(80)가 안착부(64)의 삽입부(64A)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부재(70)를 하향(수직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탄성을 갖는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된 누수방지부재(80)가 탄력적으로 변형되고, 이로 인하여 가압부재(70)가 누수방지부재(80)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양만큼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걸림돌기(77)가 걸림홈(56B)에 걸리게 되어 가압부재(70)가 상승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77)가 걸림홈(56B)에 걸릴 때, 결합공(76)과 체결공(55)이 일치되므로, 볼트(B)를 결합공(76)을 통하여 체결공(55)에 체결한다.
따라서, 가압부재(70)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결합공(76)과 체결공(55)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즉, 걸림돌기(77)가 걸림홈(56B)에 걸리 때, 결합공(76)과 체결공(55)이 일치하도록 상기 걸림홈(56B)과 걸림돌기(77)의 형성위치를 설정함으로써, 걸림돌기(77)가 걸림홈(56B)에 걸릴 때, 결합공(76)과 체결공(55)이 일치될 수 있어서, 볼트(B)를 체결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부재(70)가 누수방지부재(80)를 강하게 가압하는 상태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고, 볼트(B)에 발생되는 전단응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누수방지부재(80)와 안착부(64), 그리고 안착부(64)와 결합홈부(52) 사이의 수밀이 향상되어 누수 방지기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20 : 슬래브 30 : 누수방지장치
50 : 지지 프레임 52 : 결합홈부
60 : 물받이부재 64 : 안착부
70 : 가압부재 72 : 가압부
80 : 누수방지부재 90 : 누수 방지용 보조패드
50 : 지지 프레임 52 : 결합홈부
60 : 물받이부재 64 : 안착부
70 : 가압부재 72 : 가압부
80 : 누수방지부재 90 : 누수 방지용 보조패드
Claims (11)
-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유간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의 철근에 결합되는 매립부가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유간 쪽으로 노출되는 영역에는 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노출부의 하단에는 결합홈부가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단에 의해 상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각 슬래브에 매립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간부가 "U"자 절곡되어 물받이부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상기 지지단과 끼움 결합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부가 하향으로 개구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각각 다중 절곡되어 형성된 물받이부재;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결합홈부 사이의 수밀을 유지시켜 상기 유간으로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된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안착부를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노출부에 볼트로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가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때,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때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결합홈부의 바닥면과 상기 안착부의 저면 사이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누수방지용 보조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의 바닥에는,
입구는 넓고 내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때, 상기 누수방지용 보조패드를 상기 요홈에 억지 삽입하여 수밀성을 높이기 위한 누름 삽입돌부가 상기 요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다수개가 연이어 형성되어 파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 삽입돌부는 각각의 상기 요홈에 삽입되도록 다수개가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가압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가압부의 저면과 상기 지지단 또는 상기 걸림부를 향하는 상기 가압부의 측면을 감싸 상기 걸림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 형상으로 형성되어 저면 밀착부와 측면 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상기 저면 밀착부의 상면 또는 상기 측면 밀착부의 수직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는 상기 가압부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의 수직면에 밀착되는 측면 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가압부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의 수직면에는,
1개 이상의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의 수직면에 대응되는 상기 가압부재의 수직면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결합공과 상기 노출부에 형성되는 체결공이 일치할 때,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가압부가 상기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노출부 상단에는,
매립시 상기 지지단이 상기 슬래브의 유간 형성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서로 만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공간 형성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안착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결합공과 상기 노출부에 형성되는 체결공이 일치할 때, 상기 공간 형성단의 저면에 지지되기 위한 결합 지지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6216A KR101580261B1 (ko) | 2015-05-12 | 2015-05-12 |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6216A KR101580261B1 (ko) | 2015-05-12 | 2015-05-12 |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0261B1 true KR101580261B1 (ko) | 2015-12-24 |
Family
ID=5508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6216A KR101580261B1 (ko) | 2015-05-12 | 2015-05-12 |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026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9135B1 (ko) | 2017-10-17 | 2018-03-15 |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 설치 방법 |
KR20210049503A (ko) * | 2019-10-25 | 2021-05-06 | 고재용 | 교량 신축이음부의 누수방지가 가능한 배수장치 |
KR20210050083A (ko) * | 2019-10-28 | 2021-05-07 | 고재용 |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7307A (ko) * | 2005-12-23 | 2007-06-28 | 박민철 | 누수방지 교체형 신축 이음 장치 |
KR100930253B1 (ko) | 2009-02-19 | 2009-12-09 | 주식회사 리노이엔지 |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
KR101166433B1 (ko) * | 2012-03-27 | 2012-07-19 | 이진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20130059823A (ko) | 2011-11-29 | 2013-06-07 | 박종수 | 교량 신축이음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
KR101489877B1 (ko) * | 2014-05-15 | 2015-02-06 | 삼우기연 주식회사 | 교각 슬래브 유간용 물받이의 누수방지 실링 조립체,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및 보수공법 |
-
2015
- 2015-05-12 KR KR1020150066216A patent/KR1015802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7307A (ko) * | 2005-12-23 | 2007-06-28 | 박민철 | 누수방지 교체형 신축 이음 장치 |
KR100930253B1 (ko) | 2009-02-19 | 2009-12-09 | 주식회사 리노이엔지 |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
KR20130059823A (ko) | 2011-11-29 | 2013-06-07 | 박종수 | 교량 신축이음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
KR101166433B1 (ko) * | 2012-03-27 | 2012-07-19 | 이진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101489877B1 (ko) * | 2014-05-15 | 2015-02-06 | 삼우기연 주식회사 | 교각 슬래브 유간용 물받이의 누수방지 실링 조립체,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및 보수공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9135B1 (ko) | 2017-10-17 | 2018-03-15 |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 설치 방법 |
KR20210049503A (ko) * | 2019-10-25 | 2021-05-06 | 고재용 | 교량 신축이음부의 누수방지가 가능한 배수장치 |
KR102337480B1 (ko) | 2019-10-25 | 2021-12-08 | 고재용 | 교량 신축이음부의 누수방지가 가능한 배수장치 |
KR20210050083A (ko) * | 2019-10-28 | 2021-05-07 | 고재용 |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
KR102337479B1 (ko) | 2019-10-28 | 2021-12-08 | 고재용 | 누수차단이 가능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0261B1 (ko) |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장치 | |
CN101821534B (zh) | 横向密封垫圈及其方法 | |
KR101530663B1 (ko) |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방수부재 결합 구조물 | |
KR101615146B1 (ko) | 이중 지수 구조가 구비된 상수도용 피복강관 | |
KR101768903B1 (ko) | 교량 배수관용 종배수관 연결장치 | |
KR101073898B1 (ko) |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 |
RU2710184C1 (ru) | Торцовая стенка лотка для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водоотведения | |
KR101758889B1 (ko) | 물받이 교체가 가능한 물받이 기구 | |
KR20170117943A (ko) | 누수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2051614B1 (ko) |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 |
KR100924708B1 (ko) |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및 이의 시공 공법 | |
KR101530877B1 (ko) | 누수방지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 |
KR100936461B1 (ko) |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 |
KR101744056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20120029055A (ko) | 누수방지 효과가 우수한 배수형의 교량 신축이음 구조 | |
JP3606821B2 (ja) | 内水圧が作用する水路用の可撓性耐震接合構造 | |
JP2000034773A (ja) | 排水装置 | |
KR101654173B1 (ko) |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장치 | |
KR101020327B1 (ko) | 탈착식 판넬 고정용 덮개 | |
KR101610721B1 (ko) | 신축이음장치용 방수 커플링 | |
KR20070067307A (ko) | 누수방지 교체형 신축 이음 장치 | |
KR101854417B1 (ko) |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0985990B1 (ko) | 콘크리트 원형 배수로관 | |
JP2007169918A (ja) | 浴室壁面のコーナー部連結構造 | |
KR101147515B1 (ko) |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