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04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040A
KR20210050040A KR1020190133868A KR20190133868A KR20210050040A KR 20210050040 A KR20210050040 A KR 20210050040A KR 1020190133868 A KR1020190133868 A KR 1020190133868A KR 20190133868 A KR20190133868 A KR 20190133868A KR 20210050040 A KR20210050040 A KR 2021005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folding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fold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진용
박인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3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040A/ko
Priority to US15/930,293 priority patent/US11178779B2/en
Priority to CN202010959741.8A priority patent/CN112712757A/zh
Publication of KR2021005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의 하부 상에 배치된 고정 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고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고정 부재와 중첩 배치된 제1-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제1-1 부분은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혀진 상태(folded state)와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간의 상태 전환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한편, 이동형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부피 또는 두께를 가지면서도 더 큰 표시 화면을 가진 이동형 전자 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시에만 보다 대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벤더블 표시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딩 영역에서,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손상, 및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주변 부재들과의 간섭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명세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의 하부 상에 배치된 고정 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고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고정 부재와 중첩 배치된 제1-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제1-1 부분은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된다.
상기 표시 모듈은 표시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가 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일면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일면이 서로 바라보도록 상기 폴딩 영역이 벤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표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제1-1 부분은 상기 표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1 부분과 상기 고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1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1 부분과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1 부분과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의 사이에 힌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은 상기 힌지 부재를 통해 벤딩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힌지 부재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 배치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제1-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1-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 부분은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 부분은 제1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배터리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 배치된 메인 회로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제1-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1-3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3 부분은 상기 메인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3 부분은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메인 회로 보드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와 상기 메인 회로 보드는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 부분과 상기 표시 모듈의 사이에 배치된 제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 부분은 제2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표시 모듈에 부착된 제1-2-1 부분, 및 상기 제1-2-1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1 부분과 이격된 제1-2-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2 부분은 제1 두께를 갖고, 비폴딩 동작 시에 적어도 하나의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형상의 곡률은 상기 제1 두께의 5배 내지 30배이며, 상기 제1-2-2 부분은 상기 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곡면 형상이 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2 부분의 폭은 상기 제1-2-1 부분의 폭, 및 상기 제1-1 부분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2-2 부분은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2-2 부분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폴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3 부분과 상기 표시 모듈의 사이에 배치된 제3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3 부분은 제3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표시 모듈에 부착된 제1-3-1 부분, 및 상기 제1-3-1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1 부분과 이격된 제1-3-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고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외부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성된 외부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일측은 상기 배터리와 중첩 배치되고 상기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타측은 상기 메인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메인 회로 보드는 상기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의 하부 상에 배치된 고정 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고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고정 부재와 중첩 배치된 제1-1 부분, 상기 제1-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1-2 부분,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1-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제1-1 부분은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은 표시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가 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일면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일면이 서로 바라보도록 상기 폴딩 영역이 벤딩되며, 비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제1-2 부분과 상기 제1-3 부분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제1-2 부분의 상기 곡면 형상, 및 상기 제1-3 부분의 상기 곡면 형상은 각각 펴진다.
상기 제1-2 부분은 상기 표시 모듈에 부착된 제1-2-1 부분, 및 상기 제1-2-1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1 부분과 이격된 제1-2-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3 부분은 상기 표시 모듈에 부착된 제1-3-1 부분, 및 상기 제1-3-1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1 부분과 이격된 제1-3-2 부분을 포함하되, 비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제1-2-2 부분과 상기 제1-3-2 부분은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제1-2-2 부분의 상기 곡면 형상과 상기 제1-3-2 부분의 상기 곡면 형상은 각각 펴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폴딩 영역에서,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손상, 및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주변 부재들과의 간섭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폴딩 동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 메인 회로 보드, 배터리, 및 외부 단자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폴딩 동작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5의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5의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폴딩 동작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표시장치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장치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워치, 워치 폰,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이란, 플렉시블한 상태를 지칭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벤더블(badable), 롤러블(rollable) 등을 포함하여 지칭되는 용어이다. 나아가, 폴더블(foldable)은 "부분" 폴더블, "전체" 폴더블, "인" 폴더블, "아웃" 폴더블을 모두 포함하여 지칭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표시 장치(1)는 평면 시점에서 표시 장치의 상하측으로 가로 지르는 폴딩축(AXIS_F)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평면상 모서리가 수직인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표시 장치는 4개의 엣지(LS1, LS2, SS1, SS2)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장변 엣지(LS1, LS2)과 단변 엣지(SS1,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장변 엣지(LS1, LS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각 단변 엣지(SS1, SS2)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축(AXIS_F)은 각 장변(LS1, LS2)을 가로지르는 방향, 예컨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의 각 장변 엣지(LS1, LS2)가 접힐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폴딩축(AXIS_F)은 각 단변(SS1, SS2)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표시 장치(1)의 각 단변 엣지(SS1, SS2)가 접힐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폴딩축(AXIS_F)이 각 장변 엣지(LS1, LS2)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폴딩축(AXIS_F)은 각 장변 엣지(LS1, LS2)의 중심 부위를 가로지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두께 방향 기준 "상부", "상면"은 표시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 "하면"은 표시 방향의 반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평면 시점에서의 "상(위)", "하(아래)", "좌(왼)", "우(오른)"는 표시면을 정위치에 두고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과 그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1)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접혀진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은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구분된 영역들이 서로 포개질 수 있으며, 다시 펴진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은 상기 각 영역들이 펼쳐진 상태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패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 영역에는 복수의 패드들이 배치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리드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폴딩축(AXIS_F)과 만나는 표시 장치(1)의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과 인접한 영역에는 평면 상에서 각각 하측/상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예를 들어, 노치(notch))이 형성되고, 후술할 오목부에는 상태 전환을 위한 힌지 부재 등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모듈(도 3의 '10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모듈(100)에는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폴딩 영역(도 3의 'FR' 참조)과 비폴딩 영역(도 3의 'NFR1', 'NFR2' 참조)이 정의될 수 있다.
즉, 표시 모듈(100)은 중심 영역에 배치되고 폴딩축(AXIS_F)을 포함하는 폴딩 영역(FR),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비폴딩 영역(NFR1, NF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R1)은 폴딩 영역(FR)의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하고, 제2 비폴딩 영역(NFR2)은 폴딩 영역(FR)의 제1 방향(DR1)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폴딩 영역(FR)은 표시 장치(1)의 폴딩 동작 상태에서 표시 모듈(100)이 폴딩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접혀지거나 휘어지는 영역이고, 비폴딩 영역(NFR1, NFR2)은 상기 폴딩 동작 상태에서 폴딩 영역(FR)과 달리 접히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R1, NFR2)은 각각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평탄면에 위치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부 휘어질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의 단변 에지(SS1, SS2)와 인접한 단변 측면에는 전원 버튼(PBT)이 더 배치되고, 표시 장치(1)의 장변 에지(LS1, LS2)와 인접한 장변 측면에는 외부 단자(3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원 버튼(PBT)이 제1 단변 에지(SS1)와 인접한 측면에 배치되고, 외부 단자(360)가 제2 장변 에지(LS2)와 인접한 측면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들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전원 버튼(PBT)은 표시 장치(1)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는 메인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원 버튼(PBT)에 물리적 온/오프 신호 또는 터치식 온/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온/오프 신호는 상기 배터리에 인가되고, 상기 배터리에 인가된 상기 온/오프 신호는 상기 메인 회로 보드에 인가되어 전원 버튼(PBT)에 입력된 온/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회로 보드가 상기 배터리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자(360)는 상기 메인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단자(360)를 통해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상기 메인 회로 보드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메인 회로 보드, 및 이들과 연결되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외부 단자는 소정의 크기를 가져 밀집된 영역에 이들을 배치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메인 회로 보드는 상기한 비폴딩 영역(NFR1, NFR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와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한 비폴딩 영역(NFR1, NFR2)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이들의 전기적 연결 기능을 하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가 폴딩 영역(FR)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성 인쇄 회로 보드는 연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지만, 폴딩 동작과 비폴딩 동작이 반복되면 단선되거나 주변 부재들과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폴딩 동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폴딩 동작 상태에서, 우측에 폴딩 방향(도 2의 상부 방향, 제3 방향(DR3))을 따라 외력이 가해지면, 표시 모듈(100)의 폴딩 영역(FR)이 구부러지거나 접히게 되고, 표시 모듈(100)의 제2 비폴딩 영역(NFR2)은 상기 폴딩 방향을 따라 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제1 비폴딩 영역(NFR1)과 중첩하거나 대항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모듈(100)은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한다. 표시 모듈(100)의 일면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가 상부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 장치(1)의 표시면일 수 있고, 상기 타면은 상기 표시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폴딩 동작 상태일 때, 표시 모듈(100)의 비폴딩 영역(NFR1, NFR2)의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표시 모듈(100)의 폴딩 영역(FR)이 벤딩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가 표시 모듈(100)의 평탄부들의 표시면들이 서로 마주보고, 평탄부들의 상기 표시면의 반대면들이 서로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인 폴딩(In-folding)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아웃 폴딩(Out-folding)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가 인 폴딩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길 한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 메인 회로 보드, 배터리, 및 외부 단자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 모듈(100), 표시 모듈(100)의 하부 상에 배치된 힌지 부재(200), 힌지 부재(200)의 하부 상에 배치된 메인 회로 보드(310), 배터리(320), 전원 버튼(PBT)이 배치된 서브 회로 보드(350),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와 외부 단자(360), 메인 회로 보드(310), 배터리(320), 전원 버튼(PBT)이 배치된 서브 회로 보드(350),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와 외부 단자(360)의 하부 상에 배치된 고정 부재(400), 및 고정 부재(400)의 하부 상에 배치된 세트 커버(500: 510, 5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0)은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의해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도 6의 '110' 참조), 및 표시 패널(110)의 하부 상에 배치된 지지 부재(161, 163), 및 메탈 플레이트(171, 17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전기습윤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 및 나노 LED 표시 패널 등이 표시 패널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10)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되어 있다.
표시 패널(110)은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 패널(110)은 휘어지거나, 꺾이건,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대체로 표시 장치(1)의 평면상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모듈(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 모듈(100)의 하부 상에는 힌지 부재(200)가 배치될 수 있다. 힌지 부재(200)는 대체로 폴딩 영역(FR)에 중첩 배치되고, 부분적으로 인접한 비폴딩 영역(NFR1, NFR2)에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힌지 부재(200)는 표시 장치(1)의 상태 전환을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힌지 부재(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메인 회로 보드(310)는 제2 비폴딩 영역(NFR2)에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회로 보드(310), 및 배터리(320)와 외부 단자(360)는 좁은 면적이 위치하기 힘들기 때문에, 서로 다른 영역들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들은 연성 물질을 비포함하여 상대적으로 단단하기 때문에, 벤딩이 실제로 일어나는 폴딩 영역(FR)에 배치되는 경우는 고려할 수 없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회로 보드(310)는 제2 비폴딩 영역(NFR2) 상에 배치되고, 배터리(320), 및 외부 단자(360)는 제1 비폴딩 영역(NFR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들의 위치가 서로 반대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예시된 위치들에 각각 메인 회로 보드(310), 배터리(320), 및 외부 단자(360)가 배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 회로 보드(310)는 표시 모듈(100)의 표시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 패널(110)에 화소 구동을 위한 신호, 예컨대 데이터 전압 신호, 스캔 신호, 및 전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320)와 메인 회로 보드(310)의 사이에는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는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가 포함하는 커넥터(332)를 통해 배터리(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332)는 배터리(3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는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가 포함하는 커넥터(331)를 통해 메인 회로 보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331)는 메인 회로 보드(31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320)의 일측에는 서브 회로 보드(35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회로 보드(350)에는 전원 버튼(PBT)이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회로 보드(350)와 배터리(320)는 서브 회로 보드(350)가 포함하는 커넥터(35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351)는 배터리(3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회로 보드(350) 상에 배치된 전원 버튼(PBT)은 서브 회로 보드(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원 버튼(PBT)은 배터리(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버튼(PBT)에 물리적 온/오프 신호 또는 터치식 온/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온/오프 신호(PPS)는 배터리(320)에 인가되고, 배터리(320)에 인가된 온/오프 신호(PPS)는 메인 회로 보드(310)에 인가되어 전원 버튼(PBT)에 입력된 온/오프 신호에 따라 메인 회로 보드(310)가 배터리(320)의 온/오프를 제어(온/오프 제어 신호(PCS)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단자(360)는 배터리(320)가 포함하는 커넥터(321)를 통해 배터리(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321)는 외부 단자(36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 단자(360)에 충전용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충전용 외부 장치로부터 인가된 충전 신호 또는 충전 전압 신호(PS)가 배터리(320)에 인가되어 배터리(32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자(360)는 메인 회로 보드(310)에 데이터 신호(DS)를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터리(320)와 메인 회로 보드(310)의 사이에는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는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가 포함하는 커넥터(342)를 통해 외부 단자(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342)는 외부 단자(36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는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가 포함하는 커넥터(341)를 통해 메인 회로 보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341)는 메인 회로 보드(31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에 데이터 신호(DS)를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용 외부 장치가 외부 단자(360)에 접속되면, 외부 단자(360)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DS)는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를 통해 메인 회로 보드(310)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및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는 상호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는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 대비 표시 장치(1)의 상측 장변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다시 말해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는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대비 표시 장치(1)의 하측 장변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가 적용됨으로써 외부 단자(360)가 표시 장치(1)의 하측의 제2 장변 에지(LS2)와 인접 측면에 배치된 실시예에서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는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외부 단자(360)와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는 각각 폴딩 영역(FR) 상에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는 각각 상술한 메인 회로 보드(310), 배터리(320), 또는 외부 단자(360)와 접속하기 위해 인접한 비폴딩 영역(NFR1, NFR2)의 일부에도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는 대체로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는 배터리(320)와 중첩 배치된 제1 부분으로부터 메인 회로 보드(310)와 연결된 부분까지 대체로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1 라인 형상부, 및 상기 제1 라인 형상부(상기 제1 부분)로부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라인 형상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 형상부의 단부에는 상술한 커넥터(341)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라인 형상부의 단부에는 커넥터(342)가 배치되어 각각 메인 회로 보드(310)와 외부 단자(360)와 접속될 수 있다.
배터리(320), 메인 회로 보드(310), 및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하부 상에는 고정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400)는 힌지 부재(200)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 부재일 수 있다. 고정 부재(400)는 폴딩 영역(FR)에 중첩 배치되어, 힌지 부재(200)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400)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와 부착되어 벤딩이 주로 발생하는 폴딩 영역(FR)에서 중첩 배치된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와 각각 결합됨으로써 표시 장치(1)의 폴딩 동작과 비폴딩 동작의 반복된 상태 전환으로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가 단선되거나 인쇄 회로 보드(330, 340)가 주변 부재들(예컨대, 힌지 부재(200))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와 고정 부재(400)의 결합은 후술할 제1 결합 부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고정 부재(400)와 결합된 부분은 표시 장치(1)의 폴딩 동작과 비폴딩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고정 부재(400)에 결합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길이 변화가 없어, 주변 부재들 간의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차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직접 접해 결합됨으로써 폴딩 동작/비폴딩 동작의 반복에 따른 벤딩 스트레스가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의해 완충 내지 완화됨으로써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에 인가되는 상기 벤딩 스트레스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00)에 결합되어 폴딩 동작/비폴딩 동작의 반복에 따른 길이 변화가 없어 단선될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고정 부재(400)의 단면 형상은 힌지 부재(200)를 커버하도록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 형상은 표시 모듈(100)의 상기 타면을 향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단면 형상이 곡면 형상으로 적용된 고정 부재(400)에 부착된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일 부분은 고정 부재(400)의 단면 형상을 따라 상기 타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400)의 하부 상에는 세트 커버(500: 510, 5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세트 커버(510)는 제1 비폴딩 영역(NFR1) 상에 배치되고, 제2 세트 커버(530)는 제2 비폴딩 영역(NFR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세트 커버(510, 530)는 상술한 부재들의 하부 상에 배치되어 상부 부재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비폴딩 동작 시에, 제1 세트 커버(510)와 제2 세트 커버(530)는 그 하면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지만, 폴딩 동작 시에 상기 그 하면들이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이동될 수 있다. 제1 세트 커버(510)와 제2 세트 커버(530)는 폴딩 영역(FR) 또는 폴딩 영역(FR)의 일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폴딩 동작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과 함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DA)과 중첩 배치된 영역에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되고,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 배치된 영역에는 각 화소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배선이나 구동 회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소는 발광층과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회로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은 복수의 배선, 복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은 일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은 봉지막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봉지막은 발광층을 밀봉하여, 외부에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막은 무기막의 단일 또는 다층막이나, 무기막과 유기막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하부 상에는 지지 부재(161, 16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61)는 제1 비폴딩 영역(NFR1)의 전면, 및 폴딩 영역(FR)의 일부에 중첩 배치될 수 있고, 제2 지지 부재(163)는 제2 비폴딩 영역(NFR2)의 전면, 및 폴딩 영역(FR)의 일부에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61)와 제2 지지 부재(163)는 폴딩 영역(FR) 상에서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161, 163)는 금속, 또는 적어도 두 개의 금속 간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61, 163)가 포함하는 금속들의 예로는 알루미늄(Al), 구리(Cu), 철(Fe), 및 크롬(Cr) 등을 들 수 있지만, 예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161, 163)는 철(Fe)과 크롬(Cr)의 합금인 스테인레스 스틸(SUS)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61, 163)와 표시 패널(110)의 사이에는 접착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표시 모듈(100)의 비폴딩 영역(NFR1, NFR2), 및 폴딩 영역(FR)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161, 163)와 표시 패널(110)은 상기 접착층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층이 표시 모듈(100)의 비폴딩 영역(NFR1, NFR2), 및 폴딩 영역(FR)에 걸쳐 배치된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100)과 지지 부재(161, 163) 사이의 결합력은 비폴딩 영역(NFR1, NFR2), 및 폴딩 영역(FR)에서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R1, NFR2) 상에서 표시 모듈(100)과 지지 부재(161, 163) 사이의 결합력은 폴딩 영역(FR) 상에서 표시 모듈(100)과 지지 부재(161, 163) 사이의 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폴딩 영역(FR) 상에서 표시 모듈(100)과 지지 부재(161, 163) 사이의 결합력은 실제로 매우 미비하여 표시 장치(1)의 폴딩 동작 시에, 폴딩 영역(FR) 상에서 표시 모듈(100)과 지지 부재(161, 163)는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폴딩 영역(FR) 상에 배치된 상기 접착층은 폴딩 동작 시에, 표시 모듈(100)에 붙어있거나 지지 부재(161, 163)에 붙어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노출된 상기 접착층은 이물질 등에 취약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착층은 폴딩 영역(FR) 상에는 비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층은 비폴딩 영역(NFR1, NFR2) 상에는 중첩 배치되지만, 폴딩 영역(FR)과는 비중첩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1)의 폴딩 동작 시에, 비폴딩 영역(NFR1, NFR2) 상에서는 표시 모듈(100)과 지지 부재(161, 163)가 서로 부착되어 있지만, 폴딩 영역(FR) 상에서는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지지 부재(161, 163)의 하부 상에는 메탈 플레이트(171, 17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탈 플레이트(171)는 제1 비폴딩 영역(NFR1)의 전면, 및 폴딩 영역(FR)의 일부에 중첩 배치될 수 있고, 제2 메탈 플레이트(173)는 제2 비폴딩 영역(NFR2)의 전면, 및 폴딩 영역(FR)의 일부에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탈 플레이트(171)와 제2 메탈 플레이트(173)는 폴딩 영역(FR) 상에서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메탈 플레이트(171, 173)와 지지 부재(161, 163)의 사이에는 접착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메탈 플레이트(171, 173)와 지지 부재(161, 163)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따.
메탈 플레이트(171, 173)는 금속, 또는 적어도 두 개의 금속 간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탈 플레이트(171, 173)가 포함하는 금속들의 예로는 알루미늄(Al), 구리(Cu), 철(Fe), 및 크롬(Cr) 등을 들 수 있지만, 예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플레이트(171, 173)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탈 플레이트(171, 173)의 하부 상에는 힌지 부재(200: 210, 230, 250)가 배치될 수 있다. 힌지 부재(200)는 제1 메탈 플레이트(171)와 중첩 배치된 제1 힌지부(210), 제2 메탈 플레이트(173)와 중첩 배치된 제2 힌지부(230), 및 제2 힌지부(230)의 내부에 배치된 힌지 칼럼(2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비폴딩 동작 시에, 힌지 칼럼(250)은 제1 힌지부(210)에 체결되어 있지만, 폴딩 동작 시에, 힌지 칼럼(250)은 제1 힌지부(210)에 비체결되어 있어 폴딩이 가능하다.
힌지 부재(200)의 하부 상에는 고정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400)는 힌지 부재(200)와 중첩 배치되고, 힌지 부재(200)를 전반적으로 커버하여 힌지 부재(200)에 이물질 등이 침입되어 힌지 부재(200)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400)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 부재(400)의 하부 상에는 세트 커버(500: 510, 530)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100)과 세트 커버(500)의 사이에는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와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는 전반적인 형상, 및 연결되는 구성들이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통상의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에 대한 설명이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340)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는 연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는 폴딩 영역(FR)에 중첩 배치된 제1-1 부분(330b), 제1-1 부분(330b)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제1 비폴딩 영역(NFR1)에 중첩 배치된 제1-2 부분(330a), 및 제1-1 부분(330b)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R2)에 중첩 배치된 제1-3 부분(33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부분(330b)은 폴딩 영역(FR)에서 고정 부재(400), 및 힌지 부재(200)와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1-1 부분(330b)과 고정 부재(400)의 사이에는 제1 결합 부재(AM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AM1)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접착용 수지일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AM1)는 고정 부재(400)의 외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결합 부재(AM1)에 의해 고정 부재(400)와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가 결합될 때, 제1 결합 부재(AM1)의 물질이 고정 부재(400)의 외측면들로 흘러나와 고정 부재(400)와 하부의 세트 커버(500)가 상호 결합되어 폴딩 동작이 어려워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1 부분(330b)은 표시 장치(1)의 폴딩 동작과 비폴딩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고정 부재(400)에 결합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길이 변화가 없어, 주변 부재들 간의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차단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결합 부재(AM1)에 직접 접해 결합됨으로써 폴딩 동작/비폴딩 동작의 반복에 따른 벤딩 스트레스가 제1 결합 부재(AM1)에 의해 완충 내지 완화됨으로써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에 인가되는 상기 벤딩 스트레스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00)에 결합되어 폴딩 동작/비폴딩 동작의 반복에 따른 길이 변화가 없어 단선될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단면 형상이 곡면 형상으로 적용된 고정 부재(400)에 부착된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의 제1-1 부분(330b)은 고정 부재(400)의 단면 형상을 따라 상기 타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1 부분(330b)은 체결 나사 등을 통해 고정 부재(400)에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2 부분(330a), 및 제1-3 부분(330c)은 각각 제1-1 부분(330b)의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2 부분(330a)은 제1-1 부분(330b)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표시 모듈(100)에 부착된 제1-2-1 부분(330a1), 및 제1-2-1 부분(330a1)을 사이에 두고 제1-1 부분(330b)과 이격된 제1-2-2 부분(330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3 부분(330c)은 제1-1 부분(330b)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표시 모듈(100)에 부착된 제1-3-1 부분(330c1), 및 제1-3-1 부분(330c1)을 사이에 두고 제1-1 부분(330b)과 이격된 제1-3-2 부분(330c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1 부분(330a1), 및 제1-3-1 부분(330c1)은 각각 폴딩 영역(FR)과는 비중첩하고, 비폴딩 영역(NFR1, NFR2)에 각각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1-2-1 부분(330a1)의 일 부분은 배터리(320)와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1-3-1 부분(330c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2 방향( DR2) 하부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제1-3-1 부분(330c1)에 포함됨)은 제1-3-2 부분(330c2)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절곡된 부분과 인접한 제1-3-2 부분(330c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다가 다시 제1 방향(DR1)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커넥터(331)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1 부분(330b)의 폭(W330b)(제2 방향(DR2)의 폭), 제1-2 부분(330a)의 폭(W330a)(제2 방향(DR2)의 폭), 및 제1-3 부분(330c)의 폭(W330c)(제1 방향(DR1)의 폭 또는 제2 방향(DR2)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1 부분(330b)의 폭(W330b)(제2 방향(DR2)의 폭), 제1-2 부분(330a)의 폭(W330a)(제2 방향(DR2)의 폭), 및 제1-3 부분(330c)의 폭(W330c)(제1 방향(DR1)의 폭 또는 제2 방향(DR2)의 폭)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2-1 부분(340a1), 및 제2-3-1 부분(340c1)은 각각 폴딩 영역(FR)과는 비중첩하고, 비폴딩 영역(NFR1, NFR2)에 각각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2-2-1 부분(340a1)의 일 부분은 배터리(320)와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2-3-1 부분(340c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2 방향(DR2)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제2-3-1 부분(340c1)에 포함됨)은 제2-3-2 부분(340c2)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절곡된 부분과 인접한 제2-3-2 부분(340c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다가 다시 제1 방향(DR1)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커넥터(341)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2-1 부분(340a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2-1 부분(340a1)과 인접한 제2-2-2 부분(340a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다가 제2 방향(DR2)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1 부분(340b)의 폭(W340b)(제2 방향(DR2)의 폭), 제2-2 부분(340a)의 폭(W340a)(제2 방향(DR2)의 폭 또는 제1 방향(DR1)의 폭), 및 제2-3 부분(340c)의 폭(W340c)(제1 방향(DR1)의 폭 또는 제2 방향(DR2)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1 부분(340b)의 폭(W340b)(제2 방향(DR2)의 폭), 제2-2 부분(340a)의 폭(W340a)(제2 방향(DR2)의 폭 또는 제1 방향(DR1)의 폭), 및 제2-3 부분(340c)의 폭(W340c)(제1 방향(DR1)의 폭 또는 제2 방향(DR2)의 폭)은 동일할 수 있다.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는 전반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는 제1 두께(t1)를 가지며, 제1 두께(t1)는 약 0.09mm일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제1-2-1 부분(330a1)은 제1 메탈 플레이트(171)에 부착될 수 있다. 제1-2-1 부분(330a1), 및 제1 메탈 플레이트(171)의 사이에는 제2 결합 부재(AM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AM2)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접착용 수지일 수도 있다. 제1-3-1 부분(330c1)은 제2 메탈 플레이트(173)에 부착될 수 있다. 제1-3-1 부분(330c1), 및 제2 메탈 플레이트(173)의 사이에는 제3 결합 부재(AM3)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결합 부재(AM3)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접착용 수지일 수도 있다.
제1-1 부분(330b)은 하부의 고정 부재(400)에 부착되어 있고 제1-2-1 부분(330a1), 및 제1-3-1 부분(330c1)은 각각 상부의 메탈 플레이트(171, 173)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1 부분(330b)과 제1-2-1 부분(330a1)이 연결되는 부분(제1-1 부분(330b)에 포함되거나, 제1-2-1 부분(330a1)에 포함됨), 및 제1-1 부분(330b)과 제1-3-1 부분(330c1)으로 연결되는 부분(제1-1 부분(330b)에 포함되거나, 제1-3-1 부분(330c1)에 포함됨)은 상부 방향 또는 폴딩 영역(FR)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단면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탈 플레이트(171, 173)에 각각 부착된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의 제1-2-1 부분(330a1), 및 제1-3-1 부분(330c1)은 각각 상부의 메탈 플레이트(171, 173)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단면이 곡면 형상인 제1-1 부분(330b)과 달리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2-1 부분(330a1), 및 제1-3-1 부분(330c1)은 각각 상부의 메탈 플레이트(171, 173)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폴딩 동작과 비폴딩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실질적으로 길이 변화가 없어, 해당 영역에서도 주변 부재들 간의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차단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결합 부재(AM2)에 직접 접해 결합됨으로써 폴딩 동작/비폴딩 동작의 반복에 따른 벤딩 스트레스가 제2 결합 부재(AM2)에 의해 완충 내지 완화됨으로써 폴딩 영역(FR)에서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에 인가되는 상기 벤딩 스트레스가 줄어들 수 있다.
제1-2-2 부분(330a2), 및 제1-3-2 부분(330c2)은 제1-2-1 부분(330a1), 및 제1-3-1 부분(330c1)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제1-2-2 부분(330a2), 및 제1-3-2 부분(330c2)은 커넥터(332, 331)와 각각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2-2 부분(330a2), 및 제1-3-2 부분(330c2)은 제1-2-1 부분(330a1), 및 제1-3-1 부분(330c1)과 달리 메탈 플레이트(171, 173)에 접착되지 않을 수 있고, 제1-1 부분(330b)과 달리 고정 부재(400)에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폴딩 동작 상태에서 표시 모듈(100)이 폴딩 영역(FR)을 중심으로 벤딩될 때, 표시 모듈(100)은 실질적인 길이 변화없지만, 표시 모듈(100)에 인접한 부재인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는 벤딩된 표시 모듈(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이 변화가 있어야 상기한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단선 등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2-2 부분(330a2), 및 제1-3-2 부분(330c2)은 비폴딩 동작 상태에서는 말려진 형상을 가지지만 폴딩 동작 상태에서는 벤딩된 표시 모듈(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말려진 형상이 펴지면서 폴딩 동작/비폴딩 동작의 반복 상황에서도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는 인접 부재들과 비부착된 부분에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여 폴딩 동작/비폴딩 동작의 반복 상황에서도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1-2-2 부분(330a2), 및 제1-3-2 부분(330c2)의 상기한 말려진 형상을 설명하면, 상기 말려진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곡면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제1-2-1 부분(330a1), 및 제1-3-1 부분(330c1)과 인접한 제1-2-2 부분(330a2), 및 제1-3-2 부분(330c2)은 제1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2-1 부분(330a1), 및 제1-3-1 부분(330c1)이 각각 상부의 메탈 플레이트(171, 173)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1 곡면 형상은 폴딩 영역(FR)에서 비폴딩 영역(NFR1, NFR2)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1-2-2 부분(330a2), 및 제1-3-2 부분(330c2)은 인접 부재들과 비부착된 부분에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1 곡면 형상보다 더 내측(폴딩 영역(FR)에 더 인접한 부분)에 제2 곡면 형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곡면 형상은 비폴딩 영역(NFR1, NFR2)에서 폴딩 영역(FR)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곡면 형상, 또는 상기 제2 곡면 형상과 인접한 부분은 하부의 세트 커버(510, 530)과 직접 접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의 비폴딩 동작의 상태에서 1-2-2 부분(330a2), 및 제1-3-2 부분(330c2)은 상기 제1 곡면 형상을 갖고, 폴딩 동작 상태에서는 펴진 형상을 갖는데, 상기 동작이 반복되면 1-2-2 부분(330a2), 및 제1-3-2 부분(330c2) 역시도 벤딩 스트레스를 받아 단선될 우려가 있을 수 있다. 특히나 상기 제1 곡면 형상 및/또는 상기 제2 곡면 형상이 너무 급격하게 꺾이는 형상(작은 곡률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면 단선될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곡면 형상 및/또는 상기 제2 곡면 형상이 적정한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한 관점에서 상기 제1 곡면 형상의 곡률(R)은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제1 두께(t1)의 약 5배 내지 약 30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면 형상의 곡률(R)은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제1 두께(t1)의 약 10배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폴딩 동작 상태에서, 표시 모듈(100)의 제1 비폴딩 영역(NFR1)의 상기 일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R2)의 상기 일면은 서로 바라보도록 폴딩 영역(FR)이 벤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폴딩 영역(FR) 상에서 표시 모듈(100)과 지지 부재(161, 163) 사이의 결합력은 실제로 매우 미비하여 표시 장치(1)의 폴딩 동작 시에, 폴딩 영역(FR) 상에서 표시 모듈(100)과 지지 부재(161, 163)는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폴딩 영역(FR)에서 표시 모듈(100)의 타면을 노출할 수 있다.
폴딩 동작 시에, 힌지 칼럼(250)은 제1 힌지부(210)에 비체결되어 있어 폴딩이 가능하다.
폴딩 동작 시에 제1 세트 커버(510), 및 제2 세트 커버(530)는 이들의 하면들이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트 커버(510)는 하부 방향을 바라보고 제2 세트 커버(530)는 상부 방향을 바라보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1 부분(330b)은 표시 장치(1)의 폴딩 동작과 비폴딩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고정 부재(400)에 결합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길이 변화가 없어, 주변 부재들 간의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차단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결합 부재(AM1)에 직접 접해 결합됨으로써 폴딩 동작/비폴딩 동작의 반복에 따른 벤딩 스트레스가 제1 결합 부재(AM1)에 의해 완충 내지 완화됨으로써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에 인가되는 상기 벤딩 스트레스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00)에 결합되어 폴딩 동작/비폴딩 동작의 반복에 따른 길이 변화가 없어 단선될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제1-2-1 부분(330a1), 및 제1-3-1 부분(330c1)은 각각 상부의 메탈 플레이트(171, 173)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폴딩 동작과 비폴딩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실질적으로 길이 변화가 없어, 해당 영역에서도 주변 부재들 간의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차단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결합 부재(AM2)에 직접 접해 결합됨으로써 폴딩 동작/비폴딩 동작의 반복에 따른 벤딩 스트레스가 제2 결합 부재(AM2)에 의해 완충 내지 완화됨으로써 폴딩 영역(FR)에서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에 인가되는 상기 벤딩 스트레스가 줄어들 수 있다.
나아가, 제1-2-2 부분(330a2), 및 제1-3-2 부분(330c2)은 비폴딩 동작 상태에서는 말려진 형상을 가지지만 폴딩 동작 상태에서는 벤딩된 표시 모듈(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말려진 형상이 펴지면서 폴딩 동작/비폴딩 동작의 반복 상황에서도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는 인접 부재들과 비부착된 부분에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여 폴딩 동작/비폴딩 동작의 반복 상황에서도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9는 도 5의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2-1 부분(330a1)의 폭(W330a1)과 제1-2-2 부분(330a2)의 폭(W330a2)이 상이하며, 제1-3-1 부분(330c1)의 폭(W330c1)과 제1-3-2 부분(330c2)의 폭(W330c2)이 상이하며, 제2-2-1 부분(340a1)의 폭(W340a1)과 제2-2-2 부분(340a2)의 폭(W330a2)이 상이하며 제2-3-1 부분(340c1)의 폭(W340c1)과 제2-3-2 부분(340c2)의 폭(W340c2)이 상이하다는 점에서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는 제1-2-1 부분(330a1)의 폭(W330a1)과 제1-2-2 부분(330a2)의 폭(W330a2)이 상이하며, 제1-3-1 부분(330c1)의 폭(W330c1)과 제1-3-2 부분(330c2)의 폭(W330c2)이 상이하며, 제2-2-1 부분(340a1)의 폭(W340a1)과 제2-2-2 부분(340a2)의 폭(W330a2)이 상이하며 제2-3-1 부분(340c1)의 폭(W340c1)과 제2-3-2 부분(340c2)의 폭(W340c2)이 상이하다.
제1-2-1 부분(330a1)의 폭(W330a1), 제1-3-1 부분(330c1)의 폭(W330c1), 제2-2-1 부분(340a1)의 폭(W340a1), 및 제2-3-1 부분(340c1)의 폭(W340c1)은 제1-1 부분(330b)의 폭(W330b), 및 제2-1 부분(340b)의 폭(W340b)과 각각 동일할 수 있다.
제1-2-1 부분(330a1)의 폭(W330a1)은 제1-2-2 부분(330a2)의 폭(W330a2)보다 클 수 있고, 제1-3-1 부분(330c1)의 폭(W330c1)은 제1-3-2 부분(330c2)의 폭(W330c2)보다 클 수 있고, 제2-2-1 부분(340a1)의 폭(W340a1)은 제2-2-2 부분(340a2)의 폭(W330a2)보다 클 수 있으며, 제2-3-1 부분(340c1)의 폭(W340c1)은 제2-3-2 부분(340c2)의 폭(W340c2)보다 클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의 비폴딩 동작의 상태에서 1-2-2 부분(330a2), 제1-3-2 부분(330c2), 제2-2-2 부분(340a2), 및 제2-3-2 부분(340c2)은 적어도 상기 제1 곡면 형상을 갖고, 폴딩 동작 상태에서는 펴진 형상을 갖는데, 상기 동작이 반복되면 해당 영역에 큰 벤딩 스트레스가 인가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1-2-2 부분(330a2), 제1-3-2 부분(330c2), 제2-2-2 부분(340a2), 및 제2-3-2 부분(340c2)의 폭을 인접한 영역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벤딩 스트레스로 인해 단선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도 5의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2-2 부분(330a2), 제1-3-2 부분(330c2), 제2-2-2 부분(340a2), 및 제2-3-2 부분(340c2)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 장치의 폴딩 방향(비폴딩 영역(NFR1, NFR2)에서 폴딩 영역(FR)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리세스 홈(RCP)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리세스 홈(RCP)은 각 제1-2-2 부분(330a2), 제1-3-2 부분(330c2), 제2-2-2 부분(340a2), 및 제2-3-2 부분(340c2)의 연장 방향을 따라 1열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각 제1-2-2 부분(330a2), 제1-3-2 부분(330c2), 제2-2-2 부분(340a2), 및 제2-3-2 부분(340c2)에서 리세스 홈(RCP)이 일 방향을 따라 정렬된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그재그(Zigzag)로 배열될 수도 있다.
리세스 홈(RCP)은 도 11에서와 같이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하면(세트 커버(500)를 바라보는 일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일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하면의 반대면인 상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일부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리세스 홈(RCP)이 배치된 1-2-2 부분(330a2), 제1-3-2 부분(330c2), 제2-2-2 부분(340a2), 및 제2-3-2 부분(340c2)은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리세스 홈(RCP)은 평면상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구성 물질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평면상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구성 물질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는 폴딩 방향(비폴딩 영역(NFR1, NFR2)에서 폴딩 영역(FR)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리세스 홈(RCP)을 더 포함함으로써 1-2-2 부분(330a2), 제1-3-2 부분(330c2), 제2-2-2 부분(340a2), 및 제2-3-2 부분(340c2)의 벤딩 스트레스로 인해 단선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2는 도 5의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2-2 부분(330a2), 제1-3-2 부분(330c2), 제2-2-2 부분(340a2), 및 제2-3-2 부분(340c2)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 장치의 폴딩 방향(비폴딩 영역(NFR1, NFR2)에서 폴딩 영역(FR)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리세스 홀(HP)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리세스 홀(HP)은 평면상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구성 물질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평면상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의 구성 물질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세스 홀(HP)은 도 10, 및 도 11에 따른 리세스 홈(RCP)이 두께 방향으로 더 관통하여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를 완전히 관통한 형상을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0, 및 도 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도 5의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리세스 홈(RCP)이 각 제1-2-2 부분(330a2), 제1-3-2 부분(330c2), 제2-2-2 부분(340a2), 및 제2-3-2 부분(340c2)의 연장 방향을 따라 2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0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그 외 설명은 도 10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는 도 5의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리세스 홀(HP)이 각 제1-2-2 부분(330a2), 제1-3-2 부분(330c2), 제2-2-2 부분(340a2), 및 제2-3-2 부분(340c2)의 연장 방향을 따라 2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2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그 외 설명은 도 12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폴딩 동작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2-2 부분(330a2), 및 제1-3-2 부분(330c2)이 각각 세트 커버(510, 530)에 결합 부재(AM4, AM5)를 통해 부착된다는 점에서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2-2 부분(330a2), 및 제1-3-2 부분(330c2)이 각각 세트 커버(510, 530)에 결합 부재(AM4, AM5)를 통해 부착됨으로써 연성 인쇄 회로 보드(330, 340)와 세트 커버(510, 530) 간의 물리적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0: 표시 모듈
110: 표시 패널
330, 340: 연성 인쇄 회로 보드
320: 배터리
310: 메인 회로 보드
400: 고정 부재
500: 세트 커버

Claims (20)

  1.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의 하부 상에 배치된 고정 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고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고정 부재와 중첩 배치된 제1-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제1-1 부분은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된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표시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가 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일면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일면이 서로 바라보도록 상기 폴딩 영역이 벤딩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표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제1-1 부분은 상기 표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부분과 상기 고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1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1 부분과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된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부분과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의 사이에 힌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은 상기 힌지 부재를 통해 벤딩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힌지 부재를 커버하는 표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 배치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제1-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1-2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 부분은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부분은 제1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배터리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 배치된 메인 회로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제1-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1-3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3 부분은 상기 메인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3 부분은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메인 회로 보드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메인 회로 보드는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부분과 상기 표시 모듈의 사이에 배치된 제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 부분은 제2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표시 모듈에 부착된 제1-2-1 부분, 및 상기 제1-2-1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1 부분과 이격된 제1-2-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제1-2-2 부분은 제1 두께를 갖고, 비폴딩 동작 시에 적어도 하나의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형상의 곡률은 상기 제1 두께의 5배 내지 30배이며,
    상기 제1-2-2 부분은 상기 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곡면 형상이 펴지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2 부분의 폭은 상기 제1-2-1 부분의 폭, 및 상기 제1-1 부분의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2 부분은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2-2 부분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폴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3 부분과 상기 표시 모듈의 사이에 배치된 제3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3 부분은 제3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표시 모듈에 부착된 제1-3-1 부분, 및 상기 제1-3-1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1 부분과 이격된 제1-3-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고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된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외부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성된 외부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일측은 상기 배터리와 중첩 배치되고 상기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타측은 상기 메인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메인 회로 보드는 상기 제2 연성 인쇄 회로 보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19.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의 하부 상에 배치된 고정 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고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고정 부재와 중첩 배치된 제1-1 부분,
    상기 제1-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1-2 부분,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 배치된 제1-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제1-1 부분은 상기 고정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은 표시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일면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일면이 서로 바라보도록 상기 폴딩 영역이 벤딩되며,
    비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제1-2 부분과 상기 제1-3 부분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제1-2 부분의 상기 곡면 형상, 및 상기 제1-3 부분의 상기 곡면 형상은 각각 펴지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부분은 상기 표시 모듈에 부착된 제1-2-1 부분, 및 상기 제1-2-1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1 부분과 이격된 제1-2-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3 부분은 상기 표시 모듈에 부착된 제1-3-1 부분, 및 상기 제1-3-1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1 부분과 이격된 제1-3-2 부분을 포함하되,
    비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제1-2-2 부분과 상기 제1-3-2 부분은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동작 시에, 상기 제1-2-2 부분의 상기 곡면 형상과 상기 제1-3-2 부분의 상기 곡면 형상은 각각 펴지는 표시 장치.
KR1020190133868A 2019-10-25 2019-10-25 표시 장치 KR20210050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868A KR20210050040A (ko) 2019-10-25 2019-10-25 표시 장치
US15/930,293 US11178779B2 (en) 2019-10-25 2020-05-12 Display device
CN202010959741.8A CN112712757A (zh) 2019-10-25 2020-09-14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868A KR20210050040A (ko) 2019-10-25 2019-10-25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040A true KR20210050040A (ko) 2021-05-07

Family

ID=7554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868A KR20210050040A (ko) 2019-10-25 2019-10-2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78779B2 (ko)
KR (1) KR20210050040A (ko)
CN (1) CN1127127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018A1 (ko) * 2021-10-06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29979A1 (ko) * 2022-08-05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층의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117825A1 (ko) * 2022-11-30 2024-06-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514B1 (ko) * 2020-02-10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11592878B2 (en) 2021-03-31 2023-02-2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thermal spreading through a hinge of a configurable housing that supports a back flexible display
US11899506B2 (en) * 2021-03-31 2024-02-13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thermal spreading through a hinge of a configurable housing that supports a front flexible display
KR20240023130A (ko) * 2021-09-07 2024-02-20 구글 엘엘씨 폴딩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CN114596782B (zh) * 2022-03-17 2024-01-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屏设备及其柔性显示模组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958B1 (ko) 2004-04-21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JP2007059822A (ja) 2005-08-26 2007-03-08 Nippon Steel Chem Co Ltd ヒンジ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68324A (ja) 2006-03-30 2007-10-18 Konica Minolta Opto Inc 押し出し型塗布コーター、塗布物の生産方法、光学フィルム
CN101682985A (zh) * 2007-05-29 2010-03-24 住友电木株式会社 柔性基板及开/闭电子装置
KR20110002366A (ko) * 2009-07-01 201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5522088B2 (ja) * 2011-03-02 2014-06-18 日立金属株式会社 光電気伝送モジュール
KR101875855B1 (ko) * 2014-02-17 2018-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2228B1 (ko) *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425114B2 (ja) * 2014-07-02 2018-11-21 Tianma Japan株式会社 折り畳み式表示装置及び電気機器
KR102322377B1 (ko) * 2014-12-31 2021-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3892B1 (ko) * 2015-01-15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20160091520A (ko) * 2015-01-23 2016-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표시장치
KR102353760B1 (ko) * 2015-04-01 2022-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611993B1 (ko) * 2016-10-12 2023-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KR102646618B1 (ko) * 2017-01-11 2024-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26694B1 (ko) 2017-05-02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055438A1 (en) * 2017-09-12 2019-03-21 Knowles Cazenovia, Inc. VERTICAL SWITCHING FILTER BENCH
KR102529149B1 (ko) * 2017-12-27 2023-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7666B1 (ko) * 2017-12-28 2023-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65445B1 (ko) * 2018-01-16 2023-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91725B1 (en) * 2018-09-14 2019-11-26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moving support plates for a flexible display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0469635B1 (en) * 2019-01-23 2019-11-05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chambers accommodating a dynamic flexible substrate and corresponding systems
CN110505756B (zh) * 2019-07-30 2020-12-0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软性印刷电路板及显示设备
KR20210022189A (ko) 2019-08-19 2021-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018A1 (ko) * 2021-10-06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29979A1 (ko) * 2022-08-05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층의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117825A1 (ko) * 2022-11-30 2024-06-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27506A1 (en) 2021-04-29
US11178779B2 (en) 2021-11-16
CN112712757A (zh)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0040A (ko) 표시 장치
US10910410B2 (en) Flexible array substrat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2494409B1 (ko) 표시 장치
US10459554B2 (en) Display device
CN107544710B (zh) 具有触摸感应功能的显示面板
US10651130B2 (en) Display device
JP2018049193A (ja) 表示装置
KR102668904B1 (ko) 표시 장치
US10649411B2 (en) Display device and smart watch
KR102595102B1 (ko) 표시장치
KR20210027699A (ko) 표시 장치
US9642257B2 (en) Display device
US10431141B2 (en) Display device
US110545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joint portion of a wiring substrate extending from an inside to an outside of the case
EP3849285A1 (en) Display device
US10606106B2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isplay apparatus
KR20210106623A (ko) 표시 장치
US20110279423A1 (en) Information display panel
JP200919297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827621B2 (en) Display device
JP5648721B2 (ja) 電子機器
KR20230027360A (ko) 표시 장치
JP200705788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487993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210021210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