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979A -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979A
KR20210049979A KR1020217012756A KR20217012756A KR20210049979A KR 20210049979 A KR20210049979 A KR 20210049979A KR 1020217012756 A KR1020217012756 A KR 1020217012756A KR 20217012756 A KR20217012756 A KR 20217012756A KR 20210049979 A KR20210049979 A KR 20210049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cord
optical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미야바야시
요시쿄 다메쿠니
겐이치로 오츠카
도모히코 우에다
히로야스 도요오카
다이 사사키
다츠히코 시토미
다쿠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78072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49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780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0458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556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24408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9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optical and electrical 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8Tools, e.g. handheld; Tuning wrenches; Jigs used with connectors, e.g. for extracting, removing or inserting in a panel, for engaging or coupling conne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mponents within the connector, for applying clips to hold two connectors together or for crimp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Abstract

용이하게 식별 가능한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를 제공한다.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의 커넥터(10)는, 페룰(7)과, 하우징(20)과, 발광 부재(40)와, 하우징(20)의 후방 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발광 부재(4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부츠(50)를 갖는다. 하우징(20)은, 후방으로 향해 개구하고 부츠(50)에 의해 덮이고, 판 형상 부재(42)를 지지하는 받이부(31)를 갖고, 전선(4)과 발광 부재(41)는 판 형상 부재(42)를 통해서 도통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CONNECTOR-EQUIPPED OPTICAL FIBER CORD WITH CONNECTOR, CONNECTOR, AND POW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카드가 수용되는 서브랙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서브랙은, 통 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는 전면 패널부와,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광용(光用)의 복수의 카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서브랙의 전면 패널부에는, 광섬유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 광섬유 접속부에 광섬유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307947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2-243670호 공보
광섬유 접속부에는 다수의 광섬유 코드(광섬유 케이블 등)가 접속되기 때문에, 배선된 다수의 광섬유 코드 중에서 선택해야 할 광섬유 코드를 특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광섬유 코드에 접속하는 커넥터에 발광 소자를 마련하는 것을 검토했다. 이 경우, 작업자는 테스터의 단자를 발광 소자의 전극에 도통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광섬유 코드의 한쪽에 위치하는 서브랙의 전면 패널부에 테스터를 대고 있는 작업자가, 광섬유 코드의 다른 쪽에 위치하는 커넥터의 발광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원래, 커넥터가 밀집하여 배치되는 서브랙의 전면 패널부에서는,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테스터로 발광 소자의 전극을 도통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용이하게 식별 가능한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는, 전방 단부에서 광학 요소와 광접속되는 광섬유와, 적어도 2개의 전선을 구비한 광섬유 코드와, 상기 광섬유 코드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광섬유의 전방 단부를 유지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을 유지하는 하우징과,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가 탑재된 탑재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를 구비한 발광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상기 발광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부츠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후방을 향해 개구하고 상기 부츠에 의해 덮이고,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지지하는 받이부를 갖고, 상기 전선과 상기 발광 부재는 상기 판 형상 부재를 통해서 도통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방 단부에서 광학 요소와 광접속되는 광섬유와, 적어도 2개의 전선을 구비한 광섬유 코드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로서, 광섬유의 전방 단부를 유지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을 유지하는 하우징과,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가 탑재된 탑재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를 구비한 발광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상기 발광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부츠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후방을 향해 개구하고,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지지하는 받이부를 갖고, 상기 판 형상 부재에는, 상기 탑재면으로부터 상기 탑재면과는 반대측의 면으로 관통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는, 전방 단부에서 외부 기기와 광접속되는 광섬유와, 적어도 2개의 전선을 구비한 광섬유 코드와, 상기 광섬유 코드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광섬유의 전방 단부를 유지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을 유지하는 하우징과,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가 탑재된 탑재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를 구비한 발광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상기 발광 부재를 덮는 부츠를 갖고, 상기 부츠에는, 상기 발광 소자와 도통하는 매립 전극이 매립되어 있고, 상기 매립 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부츠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판 형상 부재의 후방측에는, 상기 탑재면으로부터 상기 탑재면과는 반대측의 면까지 연속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선은, 각각 상기 통로에 삽입되고, 상기 전선과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매립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방 단부에서 외부 기기와 광접속되는 광섬유와, 적어도 2개의 전선을 구비한 광섬유 코드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로서, 광섬유의 전방 단부를 유지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을 유지하는 하우징과,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가 탑재된 탑재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를 구비한 발광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상기 발광 부재를 덮는 부츠를 갖고, 상기 부츠에는, 상기 발광 소자와 도통하는 매립 전극이 매립되어 있고, 상기 매립 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부츠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판 형상 부재의 후방측에는, 상기 탑재면으로부터 상기 탑재면과는 반대측의 면까지 연속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급전 장치는,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와 도통하고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노출된 복수의 전극을 구비한 광섬유 코드용 커넥터에 결합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장치로서, 상기 광섬유 코드가 연장되는 상기 커넥터의 뒷부분이 맞물림 가능하고, 상기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을 따라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커넥터 맞물림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로 돌출하여, 상기 복수의 전극과 각각 도통 가능한 복수의 용수철 형상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에 상기 커넥터의 뒷부분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가 각각의 상기 전극에 도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광섬유 코드로부터 선택해야 할 광섬유 코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용의 급전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코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광코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발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리어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리어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리어 하우징에 발광 부재를 탑재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커넥터가 접속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커넥터 구비 광코드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코드의 발광 부재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코드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발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리어 하우징과 발광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리어 하우징과 부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부츠의 수지 부분을 생략하고, 리어 하우징, 발광 부재 및 매립 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리어 하우징, 발광 부재 및 부츠를 포함하는 부위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의 도 17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발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커넥터의 후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커넥터에 결합한 급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용수철 형상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지그의 상면도이다.
도 29는 셔터부가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셔터부가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제 3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의 도 2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제 4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나타낸 급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지그를 하우징에 삽입하고, 또한, 커넥터가 급전 장치에 결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급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전극과 용수철 형상 단자가 도통 상태인 급전 장치 및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 및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인 광코드 및 광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광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광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7의 광커넥터를 구성하는 단자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단자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2는 도 37의 광코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3은 광코드가 광커넥터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4는 광코드가 광커넥터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5는 광커넥터로의 광코드의 고정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6은 광커넥터로의 광코드의 고정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7은 광커넥터가 접속되는 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8은 도 47의 패널의 커넥터 삽입구 및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는 도 47의 패널에 광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0은 제 6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광커넥터로의 광코드의 고정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1은 제 6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광코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모식도이다.
도 52는 제 6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와 관련되는 광코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설명]
최초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의 내용을 열기하여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는,
(1) 전방 단부에서 광학 요소와 광접속되는 광섬유와, 적어도 2개의 전선을 구비한 광섬유 코드와, 상기 광섬유 코드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광섬유의 전방 단부를 유지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을 유지하는 하우징과,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가 탑재된 탑재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를 구비한 발광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상기 발광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부츠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후방을 향해 개구하고 상기 부츠에 의해 덮이고,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지지하는 받이부를 갖고, 상기 전선과 상기 발광 부재는 상기 판 형상 부재를 통해서 도통하고 있다.
(1)의 구성에 의하면,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 특정한 광섬유 코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2) 상기 받이부는, 상기 개구로부터 전방측으로 향해 연장되는 오목부이더라도 좋다.
(2)의 구성에 의하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에 의해 판 형상 부재를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3) 상기 하우징은, 후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부츠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고, 상기 결합부에 상기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3)의 구성에 의하면, 후방으로 돌출하는 결합에 의해, 부츠를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4) 상기 부츠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한 광을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유도하더라도 좋다.
(4)의 구성에 의하면, 부츠가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한 광을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유도하므로, 부츠 전체를 빛나게 할 수 있다. 커넥터의 후방측으로부터 발광 소자의 점등을 인식하기 쉽다.
(5) 상기 판 형상 부재에는,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5)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을 통로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선을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쉽다.
(6) 상기 통로는, 상기 판 형상 부재를 관통하는 구멍이더라도 좋다.
(6)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선을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쉽다.
(7) 상기 판 형상 부재는, 각각 상기 발광 소자에 접속된 한 쌍의 단자를 갖고, 한 쌍의 단자는 각각,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선과 접속되는 후방측 리드부와,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측 리드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전방측 리드부에 액세스 가능한 급전용 개구가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7)의 구성에 의하면, 급전용 개구를 통해서 발광 소자에 급전이 용이해진다.
(8) 상기 급전용 개구는, 전후 방향의 적어도 한쪽에 바깥쪽으로 향해 넓어지는 경사면을 갖더라도 좋다.
(8)의 구성에 의하면, 급전용 개구가 외부로 향해 넓어지고 있으므로, 급전 단자를 전방측 리드부에 접촉시키기 쉽다.
(9) 상기 판 형상 부재는, 각각 상기 발광 소자에 접속된 한 쌍의 단자를 갖고, 한 쌍의 상기 단자는 각각,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선과 접속되는 후방측 리드부와,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측 리드부를 갖고, 전방측 리드부에는, 외부와 도통하는 도전 부재가 접속되어 있더라도 좋다.
(9)의 구성에 의하면, 도전 부재를 통해서 발광 소자에 급전할 수 있다.
(10)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하우징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더라도 좋다.
(10)의 구성에 의하면, 도전 부재가 하우징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도전 부재에 외부의 급전 단자를 도통시키기 쉽다.
(11)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부츠 사이에 끼워져 있더라도 좋다.
(11)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과 부츠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 도전 부재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도전 부재를 장착하기 쉽다.
(12) 상기 판 형상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부츠 사이에 끼워져 있더라도 좋다.
(12)의 구성에 의하면, 판 형상 부재를 하우징과 부츠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 판 형상 부재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는,
(13) 전방 단부에서 광학 요소와 광접속되는 광섬유와, 적어도 2개의 전선을 구비한 광섬유 코드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로서, 광섬유의 전방 단부를 유지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을 유지하는 하우징과,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가 탑재된 탑재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를 구비한 발광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상기 발광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부츠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후방으로 향해 개구하고,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지지하는 받이부를 갖고, 상기 판 형상 부재에는, 상기 탑재면으로부터 상기 탑재면과는 반대측의 면으로 관통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13)의 구성에 의하면, 판 형상 부재를 후방측으로부터 받이부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발광 부재를 하우징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14) 상기 통로는, 상기 판 형상 부재를 관통하는 구멍이더라도 좋다.
(14)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을 통로에 삽입하기 쉽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는,
(15) 전방 단부에서 외부 기기와 광접속되는 광섬유와, 적어도 2개의 전선을 구비한 광섬유 코드와, 상기 광섬유 코드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광섬유의 전방 단부를 유지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을 유지하는 하우징과,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가 탑재된 탑재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를 구비한 발광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상기 발광 부재를 덮는 부츠를 갖고, 상기 부츠에는, 상기 발광 소자와 도통하는 매립 전극이 매립되어 있고, 상기 매립 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부츠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판 형상 부재의 후방측에는, 상기 탑재면으로부터 상기 탑재면과는 반대측의 면까지 연속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선은 통로에 삽입되고, 각각 상기 전선과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매립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15)의 구성에 의하면, 매립 전극으로부터 급전하여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 특정한 광섬유 코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16) 상기 매립 전극은, 상기 부츠의 2개의 외표면에 걸치도록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좋다.
(16)의 구성에 의하면, 액세스하기 쉬운 방향으로부터 급전 단자를 매립 전극의 외주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17)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섬유 코드의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개구하여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지지하는 받이부를 갖더라도 좋다.
(17)의 구성에 의하면, 판 형상 부재를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받이부에 탑재한다고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판 형상 부재를 하우징에 탑재할 수 있다.
(18) 상기 부츠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한 광을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유도하더라도 좋다.
(18)의 구성에 의하면, 부츠 전체가 빛나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고, 후방측으로부터 발광 소자의 점등을 확인하기 쉽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는,
(19) 전방 단부에서 외부 기기와 광접속되는 광섬유와, 적어도 2개의 전선을 구비한 광섬유 코드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 커넥터로서, 광섬유의 전방 단부를 유지하는 페룰과, 상기 페룰을 유지하는 하우징과,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가 탑재된 탑재면을 갖는 판 형상 부재를 구비한 발광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상기 발광 부재를 덮는 부츠를 갖고, 상기 부츠에는, 상기 발광 소자와 도통하는 매립 전극이 매립되어 있고, 상기 매립 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부츠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판 형상 부재의 후방측에는, 상기 탑재면으로부터 상기 탑재면과는 반대측의 면까지 연속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19)의 구성에 의하면,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 특정한 광섬유 코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급전 장치의 일 실시 형태는,
(20)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와 도통하고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노출된 복수의 전극을 구비한 광섬유 코드용 커넥터에 결합하고, 상기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장치로서, 상기 광섬유 코드가 연장되는 상기 커넥터의 뒷부분이 맞물림 가능하고, 상기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을 따라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커넥터 맞물림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로 돌출하여 상기 전극과 각각 도통 가능한 복수의 용수철 형상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에 상기 커넥터의 뒷부분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가 각각의 상기 전극에 도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20)의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맞물림부에 커넥터의 뒷부분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발광 소자에 급전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급전 장치로부터 손을 떼어도 발광 소자를 계속 발광시키기 쉽고, 식별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커넥터의 후방으로부터 급전 장치를 접근시켜 급전하므로, 커넥터가 밀집하여 마련되는 전면 패널에 있어서도, 커넥터 뒷부분을 커넥터 맞물림부에 맞물리게 하기 쉽고, 식별 작업을 하기 쉽다.
(21)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에 셔터부를 갖고, 상기 셔터부는,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의 도통부를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측으로 돌출시켜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를 상기 전극에 도통시키는 제 1 위치와,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와 맞닿아 상기 도통부를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측으로 돌출시키지 않는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더라도 좋다.
(21)의 구성에 의하면, 셔터부의 위치에 따라 전극과 용수철 형상 단자의 도통 상태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용수철 형상 단자를 부주의하게 손상시킬 우려나 전극 및 커넥터의 전극의 주변 부위를 용수철 형상 단자로 손상시킬 우려가 작다. 이 때문에, 커넥터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22) 상기 셔터부가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 가능하더라도 좋다.
(22)의 구성에 의하면, 작업 공간이 좁은 지름 방향이 아닌, 축 방향으로 셔터부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통과 비 도통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좋다.
(23) 상기 셔터부를 상기 제 2 위치를 향해 누르는 용수철 부재가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23)의 구성에 의하면, 급전 장치를 커넥터로부터 떼어 냈을 때에, 셔터부를 확실하게 제 2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24)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셔터부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 유지하는 래치부가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24)의 구성에 의하면, 용수철 형상 단자의 도통부와 전극의 도통/비 도통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25) 상기 셔터부의 제 1 위치는, 상기 제 2 위치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셔터부의 상대 위치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좋다.
(25)의 구성에 의하면, 셔터부에 대하여 하우징을 상대적으로 전진시키면 발광 소자를 점등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직감적으로 알기 쉽다.
(26)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뒷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된 지그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커넥터의 측방에는 커넥터가 밀집하여 있으므로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지만, 커넥터의 후방에는 큰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쉽다.
(26)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의 후방의 작업 공간을 사용하여 지그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급전 장치를 커넥터에 결합시키기 쉽다.
(27) 상기 지그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더라도 좋다.
(27)의 구성에 의하면, 급전 장치에 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지그가 회전하여, 커넥터에 그 충격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커넥터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8) 상기 지그에는, 상기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을 따라 개구하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28)의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에,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광섬유 코드를 무리 없이 지그에 따르게 할 수 있어, 광섬유 코드를 굴곡시킬 우려가 적다.
(29)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셔터부를 갖고,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의 바깥쪽에 마련되고, 상기 셔터부는,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의 도통부를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측으로 돌출시켜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를 상기 전극에 도통시키는 제 1 위치와,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와 상기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와 맞닿아 상기 도통부를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측으로 돌출시키지 않는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셔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탈착이 자유롭게 마련된 지그에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29)의 구성에 의하면, 작업 공간이 좁은 지름 방향이 아닌, 축 방향으로 셔터부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발광 소자의 도통 상태와 비 도통 상태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좋다.
또한, 커넥터의 전극에 용수철 형상 단자를 맞닿게 하지 않고, 용수철 형상 단자에 셔터부를 맞닿게 하여, 전극과 용수철 형상 단자의 도통 상태를 전환하므로, 전극 및 커넥터의 전극의 주변 부위가 용수철 형상 단자로 손상될 우려가 작다. 이 때문에, 커넥터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좋다.
(a) 콜렉트 척 구조의 둘레 방향으로 마련된 복수의 슬릿과, 상기 복수의 슬릿의 후단측에 마련된 나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나사부와 나사 고정되는 코드 누름 부재와, 발광 소자를 갖고, 상기 복수의 슬릿 중 적어도 2개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1조의 단자 유닛을 구비하고, 코드로부터 꺼내어진 한 쌍의 도선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슬릿으로부터 각각 도출 가능하고, 상기 코드 누름 부재를 상기 나사부에 나사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콜렉트 척 구조의 압박에 의해 상기 코드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도선과 상기 1조의 단자 유닛이 각각 겹쳐 협지(挾持)되는, 커넥터.
(a)의 구성에 의하면, 패널 등에 장착된 복수의 코드 중 특정한 코드를 선택할 때에 선택해야 할 코드가 용이하게 식별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b) 상기 1조의 단자 유닛은, 상기 복수의 슬릿 중 상기 콜렉트 척 구조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2개의 슬릿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a)에 기재된 커넥터.
(b)의 구성에 의하면,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커넥터에 구비되는 발광 소자가 시인 가능하다.
(c) 상기 1조의 단자 유닛은, 각각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각 베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슬릿 중 인접하는 2개의 슬릿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a) 또는 (b)에 기재된 커넥터.
(c)의 구성에 의하면, 코드로부터 꺼내어진 한 쌍의 도선을 복수의 슬릿 중, 어떠한 슬릿으로부터 도출시키더라도, 도선과 단자 유닛을 접촉시킬 수 있다.
(d) 상기 1조의 단자 유닛은, 외부로부터 전기적 접촉으로 도통 가능한 외부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접촉부는,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는 상기 발광 소자와 직교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a)로부터 (c)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d)의 구성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테스터 등을 외부 접촉부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발광 소자에 용이하게 급전 가능하다.
(e) (a)로부터 (d)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상기 한 쌍의 도선과 상기 1조의 단자 유닛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상기 코드를 구비하고 있는, 코드 구비 커넥터.
(e)의 구성에 의하면, 선택해야 할 코드가 용이하게 식별 가능한 코드 구비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f) (a)로부터 (d)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삽입 가능한 복수의 커넥터 삽입구를 구비하는 패널면과, 상기 커넥터 삽입구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패널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완부(腕部)와, 상기 패널면에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완부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1조의 단자 유닛에 마련되는 외부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광패널.
(f)의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의 발광 소자와 함께 광패널의 발광 소자도 점등되기 때문에, 선택해야 할 코드의 식별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g) 적어도 1개의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를 사이에 두도록 마련된 한 쌍의 도선과, 상기 광섬유 및 상기 한 쌍의 도선을 피복하는 외피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발광 소자가 마련되어 있는, 광섬유 코드.
(g)의 구성에 의하면, 패널 등에 장착된 다수의 광섬유 코드 중 선택해야 할 광섬유 코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h) 각 도선이 연동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g)에 기재된 광섬유 코드.
(h)의 구성에 의하면, 각 도선이 비교적 부드러운 항장력체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각 도선과 발광 소자의 사이에서의 도전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i) 각 도선이 연선인, (g) 또는 (h)에 기재된 광섬유 코드.
(i)의 구성에 의하면, 각 도선의 항장력성을 유지하면서, 광섬유 코드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j) 상기 연선으로 구성되는 각 도선은, AWG 24~AWG 26인, (i)에 기재된 광섬유 코드.
(j)의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 코드의 구조상의 규정 치수 및 허용 장력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의 상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이하, 커넥터 구비 광코드라고도 칭한다)(1)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구비 광코드(1)는, 광코드(2)와, 광코드(2)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 커넥터(1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광코드(2)의 긴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단부측을 전방이라고 부르고, 그것과는 반대측을 후방이라고 부른다.
<광코드>
도 2는 광코드(2)의 단면도이다.
광코드(2)는, 광섬유 소선(3)(광섬유의 일례)과, 한 쌍의 전선(4)과, 이 광섬유 소선(3) 및 한 쌍의 전선(4)을 피복하는 외피(6)를 갖고 있다. 외피(6)의 내부에 마련된 중공부(中空部)의 내부에, 광섬유 소선(3)과 전선(4)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중공부의 내부로서, 광섬유 소선(3)과 전선(4)의 극간에는, 아라미드 섬유 등의 항장력 섬유(5)가 마련되어 있다.
광섬유 소선(3)은, 코어와 클래드를 갖는 유리 섬유의 주위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UV 수지)가 피복되고, 그 외경이 250㎛로 되어 있다. 광섬유 소선(3)은, 광코드(2)의 전방 단부에 있어서, 외부 기기의 수발광 소자나 렌즈 부품 등의 광학 요소와 광접속되어, 외부 기기끼리 광접속한다. 또 광섬유로서는 상기의 예 이외에도, 외경 500㎛, 외경 900㎛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외경 250~900㎛의 광섬유이더라도 좋다.
각 전선(4)은, 예컨대 복수(본 예에 있어서 7개)의 금속선(4a)을 서로 꼬아 이루어지는 연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연선의 주위는 절연성 재료로 피복되어 있다. 금속선(4a)으로서는, 예컨대 도전성이 높은 연동선이 이용된다. 7개의 금속선(4a)을 서로 꼬아 이루어지는 전선(4)의 외경은, 예컨대 0.48㎜ 이상~0.65㎜ 미만으로 되어 있다. 즉, 전선(4)의 사이즈는, AWG(American Wire Gauge) 24~AWG 26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4)이 AWG 24보다 지름이 크면 광코드(2)의 구조상의 규정 치수를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전선(4)이 AWG 26보다 지름이 작으면 광코드(2)의 허용 장력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 전선(4)을 단선의 금속선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단선으로 구성되는 전선(4)의 경우는, 그 외경이 0.42㎜ 이상~0.65㎜ 미만(AWG 22~AWG 25)으로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 소선(3) 및 한 쌍의 전선(4)의 주위를 덮는 외피(6)는, 수지로 구성된다. 외피(6)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특히, 난연 폴리에틸렌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코드(2)의 취급의 용이함의 관점으로부터, 외피(6)의 영률은 5~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도 3은 커넥터(10)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커넥터(10)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광코드(2)(광섬유 코드의 일례)의 전방 단부에 붙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광섬유 소선(3)의 전방 단부를 유지하는 페룰(7)과, 이 페룰(7)을 유지하는 하우징(20)과, 발광 소자(41)를 구비한 발광 부재(40)와, 부츠(50)를 갖고 있다. 부츠(50)는, 발광 소자(41)를 덮도록 하우징(20)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페룰(7)은,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페룰(7)의 내부에는, 긴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에는, 광코드(2)의 광섬유 소선(3)으로부터 노출된 유리 섬유가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20)은, 페룰(7)과, 페룰(7)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광코드(2)의 일부를 덮는 부재이다. 하우징(20)은, 프론트 하우징(21)과, 미들 하우징(22)과, 리어 하우징(30)을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하우징(21)과 미들 하우징(22)은, 그 내부에 페룰(7)을 수용한다.
프론트 하우징(21)과 미들 하우징(22)의 사이에는, 용수철(24)이 배치되어 있다. 용수철(24)의 전단부는 페룰(7)에 맞닿고, 용수철(24)의 후단부는 미들 하우징(22)에 맞닿아 있다. 용수철(24)은, 페룰(7)을 전방측으로 누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상대의 광학 요소에 대하여 페룰(7)을 눌러 광결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미들 하우징(22)의 후단측에 있어서, 광코드(2)의 전방 단부로부터 노출된 항장력 섬유(5)는, 미들 하우징(22)의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파이프의 외주를 따른 상태에서 더욱 그 외주를 덮는 코킹 링과의 사이에 끼워져, 코킹 링이 코킹되어 고정된다. 또한 미들 하우징(22)의 후단측에 있어서, 외피(6)는 코킹 링의 후단측의 외주와 외피(6)의 고정 부재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리어 하우징(30)이 이들의 외주를 덮은 상태에서, 리어 하우징(30)은 미들 하우징(22)의 후단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페룰(7)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있는 광코드(2)의 일부를 덮는다.
리어 하우징(30)의 뒷부분의 외주에는, 부드러운 수지제의 부츠(50)가 장착되어 있다. 부츠(50)는, 리어 하우징(30)의 후방에 있어서 광코드(2)에 급격한 휘어짐이 작용하지 않도록 광코드(2)를 보호하는 것이다. 이 부츠(50)는, 리어 하우징(30)의 후방 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후술하는 발광 부재(4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이 부츠(50)는, 발광 부재(40)에 마련된 발광 소자(41)로부터 출사한 광을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유도하도록, 반투명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반투명의 수지로 형성하는 대신에, 투명 수지로 부츠(50)를 형성하고, 그 외표면이나 내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발광 소자(41)로부터 출사한 광을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유도하더라도 좋다. 혹은, 광 확산재를 함유하는 투명 수지에 의해 부츠(50)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발광 부재>
도 5는 발광 부재(40)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부재(40)는, 발광 소자(41)와, 상면이 탑재면(42a)으로 된 회로 기판(42)(판 형상 부재의 일례)과, 회로 기판(42)상에 형성된 제 1 단자(44)와 제 2 단자(45)를 갖는다. 이 탑재면(42a)은, 발광 소자(41)의 주 발광면과 대략 평행하다. 또한, 회로 기판(42)에는, 탑재면(42a)으로부터 탑재면(42a)의 뒤쪽까지 관통하는 2개의 통로(구멍)(43a, 43b)가 마련되어 있다(도 9 참조). 또, 통로(43a, 43b)는 발광 소자(41)보다 후방측에 마련하더라도 좋고, 전방측에 마련하더라도 좋다.
발광 소자(41)에는, LED(Laser Emitting Diode)나 EL(Electro Luminescence)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발광 소자(41)에는, 제 1 단자(44) 및 제 2 단자(4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단자(44) 및 제 2 단자(45)는, 회로 기판(42)의 탑재면(42a)상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44, 45)는, 회로 기판(42)상에 형성된 인쇄 배선 패턴, 혹은 금속판(버스바)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제 1 단자(44)에는, 발광 소자(41)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측 리드부(44a)와, 발광 소자(41)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후방측 리드부(44b)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단자(45)에는, 발광 소자(41)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측 리드부(45a)와, 발광 소자(41)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후방측 리드부(45b)가 마련되어 있다.
통로(43a, 43b)는, 후방측 리드부(44b, 45b)에 개구하고 있다. 제 1 단자(44) 및 제 2 단자(45)를 이루는 도전층은, 통로(43a, 43b)의 내주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참조).
<리어 하우징의 뒷부분의 구조>
다음으로, 발광 부재(40)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도 6으로부터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리어 하우징(30)의 뒷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급전용 개구(33a)를 포함하는 면에서의, 긴 방향을 따른 도 6의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30)의 뒷부분에는, 대경부(大徑部)(30a)와, 그것보다 소경의 외주면을 갖는 소경부(小徑部)(30b)(결합부의 일례)가 마련되어 있다. 소경부(30b)는, 대경부(30a)의 후방에 마련되고, 대경부(30a)에 대하여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소경부(30b)에, 부츠(50)가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된다. 또한, 소경부(30b)의 하면 및 측면에, 잠금 갈고리(37)가 마련되어 있다. 소경부(30b)가 후방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부츠(50)를 멈추기 쉽고, 부츠(50)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0)의 후방 단부인 소경부(30b)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광코드(2)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공간 A와, 후방으로 향해 개구하는 개구(31a)를 갖는 받이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받이부(31)는, 개구(31a)로부터 전방측으로 향해 연장되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31)는, 받이부(31)보다 광코드(2)의 지름 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선반부(32)와, 받이부(31)보다 광코드(2)의 지름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덮개부(3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선반부(32)는, 광코드(2)를 수용하는 공간과 받이부(31)의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반부(32)의 후방측 단부는, 받이부(31)의 개구(31a)보다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덮개부(33)에는, 외부로부터 받이부(31)로 관통하는 급전용 개구(33a)가 마련되어 있다. 급전용 개구(33a)는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개구하고 있다. 급전용 개구(33a)는, 전후 방향의 적어도 한쪽에 바깥쪽으로 향해 넓어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급전용 개구(33a)를 형성하는 면 중, 전면이 전방으로 향해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후면도 후방으로 향해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도 8은 리어 하우징(30)에 발광 부재(40)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리어 하우징(30)에 발광 부재(40) 및 부츠(50)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선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개구하는 받이부(31)에, 발광 부재(40)의 회로 기판(42)의 일부가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부재의 발광 소자(41)보다 전방측의 회로 기판(42)의 일부가 받이부(31)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광 부재(40)의 일부가 받이부(31)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발광 부재(40)의 발광 소자(41) 및 발광 소자(41)보다 후방측의 부위는, 받이부(31)에는 삽입되어 있지 않고, 받이부(31)의 개구(31a)보다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발광 소자(41) 및 발광 소자(41)보다 후방측의 부위의 상면은, 덮개부(33)에 덮여 있지 않다.
또, 받이부(31)의 높이 치수(광코드(2)의 지름 방향의 치수)는, 회로 기판(4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42)이 흔들리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받이부(31)에 지지된다.
회로 기판(42)이 받이부(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42)의 탑재면(42a)의 폭 방향(탑재면(42a)상에서 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부의 일부가, 리어 하우징(30)으로부터 연장된 누름부(38)에 의해 눌려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42)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회로 기판(42)의 일부가 받이부(31)에 삽입된 상태에서, 부츠(50)에 마련된 잠금 구멍(51)이 소경부(30b)에 마련된 잠금 갈고리(37)에 맞물리는 것에 의해, 부츠(50)가 리어 하우징(30)에 대하여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부츠(50)가 리어 하우징(30)에 장착된 상태에서, 부츠(50)는, 발광 소자(41)의 상면을 포함하여, 소경부(30b)의 전체 둘레를 덮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42)이 하우징(20)과 부츠(50)에 끼워져, 발광 부재(40)가 리어 하우징(30)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회로 기판(42)이 받이부(31)에 삽입된 상태에서, 2개의 급전용 개구(33a)는 각각 전방측 리드부(44a, 45a)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급전용 개구(33a)를 통해서 전방측 리드부(44a, 45a)에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급전 단자를 후방으로부터 접근시켜, 커넥터(10)를 지름 방향에 대하여 끼우도록 급전 단자를 장착하여, 발광 소자(41)에 용이하게 급전할 수 있다. 이때, 급전 단자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급전용 개구(33a)로부터 급전 단자를 전방측 리드부(44a, 45a)에 접촉시킨다. 급전용 개구(33a)가 전후 방향의 적어도 한쪽에 바깥쪽으로 향해 넓어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급전 단자가 전방측 리드부(44a, 45a)에 접촉하기 쉽다.
또한, 회로 기판(42)에 마련된 통로(43a, 43b)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재면(42a)으로부터 그 반대측의 면까지 관통하고 있다. 이 통로(43a, 43b)는, 회로 기판(42)이 받이부(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선반부(32)의 후단부는 회로 기판(42)의 통로(43a, 43b)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통로(43a, 43b)는, 회로 기판(42)의 탑재면(42a)측과 광코드(2)를 수용하는 공간 A의 양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광코드(2)로부터 연장되는 전선(4)은, 이 통로(43a, 43b)를 통해서 회로 기판(42)의 탑재면(42a)까지 돌아 들어가, 전방측 리드부(44a, 45a)에,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납땜에 한하지 않고, 용착으로 도전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 혹은 코킹 등에 의해 전선(4)을 전방측 리드부(44a, 45a)에 접속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구비 광코드는, 외부로부터 급전 단자를 급전용 개구(33a)를 통해서 전방측 리드부(44a, 45a)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발광 소자(41)를 점등시킬 수 있다. 긴 방향의 한쪽의 단부의 커넥터(10)에 있어서, 급전 단자를 전방측 리드부(44a, 45a)에 접촉시키면, 광코드(2) 내의 전선(4)을 통해서, 광코드(2)의 긴 방향의 다른 쪽에 마련된 커넥터(10)의 발광 소자(41)에도 전력이 공급되어, 다른 쪽의 발광 소자(41)도 점등한다.
<효과>
도 10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코드(1)가 접속되는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코드(1)는, 예컨대 광네트워크의 국 내 광접속에 이용된다. 이와 같은 용도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수한 광코드를 고밀도로 접속 대상의 장치(100)에 광접속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다수의 광코드 중에서 특정한 광코드를 식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코드(1)는, 발광 소자(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특정한 커넥터 구비 광코드(1)의 발광 소자(41)를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의 커넥터 구비 광코드 중에서 특정한 커넥터 구비 광코드(1)를 간단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 커넥터 구비 광코드(1)의 부츠(50)는, 발광 소자(41)로부터의 출사광을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유도하므로, 발광 소자(41)가 점등하면, 소경부(30b)의 전체 둘레를 덮는 부츠(50) 전체가 빛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에 의해, 장치(100)의 정면으로부터(커넥터 구비 광코드(1)의 후방측으로부터) 발광 소자(41)의 점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정한 커넥터 구비 광코드(1)를 식별하는 것이 더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전용 개구(33a)는, 전후 방향의 적어도 한쪽에 바깥쪽으로 향해 퍼지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급전용 단자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급전용 단자와 전방측 리드부(44a, 45a)의 접촉과 이간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급전용 개구(33a)가 급전용 단자에 의해 손상되기 어렵다.
그런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대상의 장치(100)에는, 무수한 커넥터 구비 광코드가 고밀도로 광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지 광코드에 발광 부재를 장착한 것만으로는, 광코드가 대형화하여 버려, 고밀도로 그 장치에 장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커넥터 구비 광코드에는, 대형화시키지 않고 발광 부재를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발광 소자(41)를 탑재한 회로 기판(42)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면으로 지지되도록, 발광 부재(40)를 하우징(20)에 탑재하는 것을 고안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예컨대, 본 발명과는 달리, 받이부를 하우징의 지름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마련하여, 회로 기판이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면으로 지지되도록 받이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회로 기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그 지지면을 크게 확보하려고 하면, 받이부가 지름 방향으로 대형화하여 버린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 대상의 장치(100)에 있어서는, 지름 방향에 관한 공간적인 제약이 매우 심하다.
본 발명자들은, 접속 대상의 장치(100)에 있어서는, 광코드(2)의 긴 방향에 대해서는 공간의 제약이 적은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광코드(2)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을 사용하여, 발광 부재(40)를 하우징(20)에 탑재하는 것을 검토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코드(1)에 의하면, 후방으로 향해 개구하는 받이부(31)에 회로 기판(42)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발광 부재(40)가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 회로 기판(42)은, 덮개부(33)와 선반부(32)의 사이의 전방으로 향해 연장되는 오목부인 받이부(12)로 지지된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42)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고 하면, 받이부(31)는 전후 방향의 치수가 커지기 쉽지만, 광코드(2)의 지름 방향의 치수는 커지기 어렵다. 다시 말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코드(1)에 의하면, 광코드(2)의 지름 방향으로 대형화시키지 않고, 발광 부재(40)가 탑재된 식별이 용이한 커넥터 구비 광코드(1)를 제공할 수 있다.
<조립 방법>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상술한 커넥터 구비 광코드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용수철(24), 미들 하우징(22), 리어 하우징(30), 부츠(50)에 광코드(2)를 통과시켜 둔다.
계속하여, 광코드(2)의 선단 부분의 외피(6)를 제거하여, 광섬유 소선(3) 및 한 쌍의 전선(4)을 노출시킨다. 외피(6)로부터 노출시킨 전선(4)은, 최종적으로 쌓아 올린 하우징(20)의 후방에 있어서,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 가능한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노출시켜 둔다. 계속하여, 광섬유 소선(3)으로부터 노출된 유리 섬유를 페룰(7)의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하여 고정한다.
계속하여, 노출된 광섬유 소선(3)의 위치까지 하우징(20)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페룰(7)을 프론트 하우징(21)에 수용하고, 프론트 하우징(21)과 미들 하우징(22)을 결합함과 아울러, 용수철(24), 미들 하우징(22), 리어 하우징(30), 부츠(50)를 조합한다. 이것에 의해, 도 11의 (a)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30)의 후방측으로 개구하는 받이부(31)에, 후방측으로부터 발광 부재(40)를 삽입한다. 또, 이 공정에 있어서는, 발광 부재(40)는 받이부(31)에 완전하게는 삽입하지 않고, 받이부(31)의 중도까지 회로 기판(42)을 삽입한다.
계속하여, 도 1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42)의 통로(43)에 전선(4)을 삽입하고, 그 단부를 회로 기판(42)의 탑재면(42a)측으로 삽입하여 통과시킨다. 계속하여 전선(4)의 단부를 회로 기판(42)의 후방측 리드부(44b, 45b)에 납땜한다. 이것에 의해, 전선(4)과 발광 소자(4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로 기판(42)에 통로(4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선(4)이 후방측 리드부(44b, 45b)까지 돌아 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1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42)을 완전하게 받이부(31)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전방측 리드부(44a, 45a)를 급전용 개구(33a)로부터 외부로 향해 노출시킨다.
또한, 부츠(50)의 잠금 구멍(51)을 리어 하우징(30)의 잠금 갈고리(37)에 끼워 넣고, 부츠(50)를 후방측으로부터 리어 하우징(30)의 소경부(30b)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구비 광코드(1)가 완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분명하다. 또한, 상기 설명한 구성 부재의 수, 위치, 형상 등은 상기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수, 위치, 형상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코드에 탑재되는 발광 부재(40', 40A)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발광 부재(40A)가 탑재되는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코드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로 기판(42)에 형성한 관통 구멍을 통로(43a, 43b)로서 설명했지만, 통로(43)는 관통 구멍이 아니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12(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로는, 회로 기판(42)의 후단측에 형성된 측방으로 개방되는 슬릿(43a, 43b), 혹은, 후방으로 개방되는 슬릿(43A)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슬릿(43A)을 구비한 발광 부재(40A)에 의하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부재(40A)를 하우징(20)에 장착할 때에, 전선(4)을 후방측에서 간단하게 슬릿(43A)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선(4)과 발광 소자(41)를 간단하게 도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용 개구(33a)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급전 단자가 전방측 리드부(44a, 45a)에 액세스 가능한 구성을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 리드부(44a, 45a)의 위에 리어 하우징(30)의 외표면으로부터 그 일부가 노출되는 도전 부재(46)를 마련하고, 이 도전 부재(46)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발광 소자(41)에 급전 가능하게 구성하더라도 좋다. 급전용 단자와 접촉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 도전 부재(46)의 노출되는 부위(46a)는, 리어 하우징(30)의 외표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전 부재(46)는, 리어 하우징(30)의 후단부와 부츠(50)의 전단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부재(46)를 전방측 리드부(44a, 45a)에 땜납 등으로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한 후, 발광 부재(40)를 받이부(31)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발광 소자(41)와 도전 부재(46)가 확실하게 도통된 발광 부재(40)를 간단하게 받이부(31)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판 형상 부재로서 발광 소자(41)를 탑재한 회로 기판(42)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와 관련되는 발광 부재(40B)의 사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발광 부재(40B)는, 판 형상 부재로서의 2매의 버스바(44B, 45B)를 구비하고 있다. 2매의 버스바(44B, 45B)에 걸치도록 발광 소자(41)가 마련되어 있다. 2매의 버스바(44B, 45B)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판이고, 그 전방측에 급전용 단자와 접촉하는 전방측 리드부(44Ba, 45Ba), 그 후방측에 전선(4)과 접촉하는 후방측 리드부(44Bb, 45B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리드부(44Bb, 45Bb)의 후단부에는, 후방측으로 향해 개구하는 슬릿(43B)이 마련되어 있다.
전선(4)을 슬릿(43B)에 끼우는 것에 의해, 전선(4)을 후방측 리드부(44Bb, 45Bb)에 고정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발광 부재(40B)의 2매의 버스바를 하우징(20)의 후방 단부에 마련한 받이부(31)에 후방측으로부터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간단하게 또한 지름 방향으로 대형화시키지 않고 발광 부재(40)를 커넥터(10)에 장착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의 커넥터(1010)의 단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도,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광코드(2)와, 커넥터(101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10)는, 광코드(2)의 전방 단부에 조립되어 있다. 커넥터(1010)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광섬유 소선(3)의 전방 단부를 유지하는 페룰(1007)과, 이 페룰(1007)을 유지하는 하우징(1020)과, 발광 소자(1041)를 구비한 발광 부재(1040)와, 부츠(1050)를 갖고 있다. 부츠(1050)는, 발광 소자(1041)를 덮도록 하우징(1020)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1020)은, 페룰(1007)과, 페룰(1007)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있는 광코드(2)의 일부를 덮는 부재이다. 하우징(1020)은, 프론트 하우징(1021)과, 미들 하우징(1022)과, 리어 하우징(1030)을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하우징(1021)과 미들 하우징(1022)은, 그 내부에 페룰(1007)을 수용한다.
<발광 부재>
도 16은 리어 하우징(1030)의 뒷부분과, 리어 하우징(1030)에 장착되는 발광 부재(10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1030)은, 대경부(1030a)와, 대경부(1030a)보다 작은 지름의 소경부(1030b)를 구비하고 있다. 소경부(1030b)는 대경부(1030a)보다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소경부(1030b)의 외주면에는,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돌출하는 잠금 갈고리(1033)가 마련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1030)의 소경부(1030b)의 뒷부분에는, 광코드(2)의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개구하는 받이부(1031)가 마련되어 있다. 받이부(1031)는, 리어 하우징(1030)의 뒷부분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반부(1032)의 상면이다. 이 선반부(1032)의 상면은, 광코드(2)의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개방되어 있다. 또, 리어 하우징(1030)에 있어서, 선반부(1032)의 지름 방향 안쪽(도 16에 있어서 선반부(1032)의 아래쪽)에는, 광코드(2)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공간 A가 마련되어 있다.
발광 부재(1040)는, 이 받이부(1031)에 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발광 부재는, 발광 소자(1041)와, 발광 소자(1041)가 탑재되는 2매의 버스바(판 형상 부재의 일례)(1042)를 구비하고 있다.
버스바(1042)는, 금속판이다. 버스바(1042)의 상면(광코드(2)의 지름 방향 바깥쪽의 면)은, 발광 소자(1041)가 탑재되는 탑재면으로 되어 있다. 버스바(1042)는, 발광 소자(1041)의 각각의 단자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발광 소자(1041)는, 2개의 버스바(1042)에 걸치도록 마련되어 있다. 버스바(1042)의 후방측에는, 탑재면(1042a)으로부터 탑재면(1042a)의 반대측까지 관통하는 통로인 슬릿(1043)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슬릿(1043)은, 후방측으로 개구한다. 슬릿(1043)의 폭 방향의 치수는, 전선(4)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버스바(1042) 대신에, 인쇄 배선이 실시된 프린트 기판 등에 발광 소자(1041)를 탑재하더라도 좋다.
도 17은 리어 하우징(1030)과, 리어 하우징(1030)에 장착된 부츠(105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츠(1050)는, 리어 하우징(1030)의 뒷부분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부츠(1050)에는, 잠금 구멍(1051)이 마련되어 있다. 잠금 구멍(1051)에 리어 하우징(1030)의 잠금 갈고리(1033)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부츠(1050)가 리어 하우징(1030)에 장착된다. 발광 부재(1040)가 전후 방향에 관하여 리어 하우징(1030)과 부츠(1050)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에 의해, 발광 부재(1040)가 커넥터(1010)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부츠(1050)에는, 매립 전극(1052)이 매립되어 있다. 부츠(1050)는, 매립 전극(1052)과 함께 인서트 성형된 수지 성형품이다. 매립 전극(1052)의 외주면은, 부츠(1050)의 수지 부분의 외주면과 동일면이거나 외주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매립 전극(1052)의 외주면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이루는 부츠(1050)의 2개의 측면에 걸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8은 부츠(1050)의 수지 부분을 생략하여, 리어 하우징(1030), 발광 부재(1040) 및 매립 전극(1052)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리어 하우징(1030), 발광 부재(1040) 및 부츠(1050)를 포함하는 부위의, 광코드(2)의 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부(1032)의 지름 방향 안쪽으로 삽입된 광코드(2)로부터 꺼내어진 전선(4)은, 버스바(1042)의 슬릿(1043)에 삽입되어, 그 전단부가 버스바(1042)의 탑재면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배선되어 있다. 버스바(1042)의 탑재면으로 돌아 들어간 전선(4)의 단부는, 납땜, 용착, 도전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 혹은 코킹 등에 의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버스바(1042)에 접속된다.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츠(1050)를 후방측으로부터 리어 하우징(1030)에 장착할 때에는, 매립 전극(1052)은, 전선(4)이 삽입되어 통과된 슬릿(1043)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전선(4)은, 전후 방향에 관하여 매립 전극(1052)과 슬릿(1043)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부츠(1050)는, 매립 전극(1052)이 전선(4)을 버스바(1042)로 향해 상시 누르는 상태에서, 리어 하우징(1030)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매립 전극(1052), 전선(4) 및 버스바(1042)가 서로 도통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또,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1043)은, 발광 부재(1040)가 받이부(1031)에 지지된 상태에서, 선반부(1032)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슬릿(1043)에 매립 전극(1052)을 삽입했을 때에, 매립 전극(1052)이 전선(4)에 버스바(1042)로 누르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매립 전극(1052)의 외주면에 급전 단자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매립 전극(1052), 전선(4), 버스바(1042)를 통해서 발광 소자(1041)에 전력이 공급된다. 긴 방향의 한쪽의 단부의 커넥터(1010)에 있어서, 급전 단자를 매립 전극(1052)에 접촉시키면, 광코드(2) 내의 전선(4)을 통해서, 광코드(2)의 긴 방향의 다른 쪽에 마련된 커넥터(1010)의 발광 소자(1041)에도 전력이 공급되어, 다른 쪽의 발광 소자(1041)도 점등한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에 의하면, 매립 전극(1052)의 외주면에 급전 단자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발광 소자(1041)를 점등시킬 수 있다. 긴 방향의 한쪽의 단부의 커넥터(1010)에 있어서, 급전 단자를 매립 전극(1052)에 접촉시키면, 광코드(2) 내의 전선(4)을 통해서, 광코드(2)의 긴 방향의 다른 쪽에 마련된 커넥터(1010)의 발광 소자(1041)에도 전력이 공급되어, 다른 쪽의 발광 소자(1041)도 점등한다.
<효과>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는, 발광 소자(10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특정한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의 발광 소자(1041)를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커넥터 구비 광코드 중에서 특정한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를 간단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의 부츠(1050)는, 발광 소자(1041)로부터의 출사광을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유도하므로, 발광 소자(1041)가 점등하면, 소경부(1030b)의 전체 둘레를 덮는 부츠(1050) 전체가 빛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에 의해, 도 10의 장치(100)의 정면으로부터(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의 후방측으로부터) 발광 소자(1041)의 점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정한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를 식별하는 것이 더 용이하게 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에 의하면, 전선(4)이, 탑재면으로부터 탑재면과는 반대측의 면까지 연속하도록 마련된 슬릿(1043)과, 부츠(1050)에 매립된 매립 전극(1052)에 의해 끼워져 있다. 이 때문에, 도 1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4)을 슬릿(1043)에 삽입하고, 이 전선(4)을 슬릿(1043)과 매립 전극(1052)의 사이에 둔다고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매립 전극(1052)의 외주면은, 부츠(1050)의 2개의 외표면에 걸치도록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전 단자를, 도 17의 예로 말하면, 위쪽 또는 측방의 2개의 방향 중, 액세스하기 쉬운 방향으로부터 급전 단자를 매립 전극(1052)에 접촉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에 의하면, 하우징(1020)의 리어 하우징(1030)은, 광코드(2)의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개구하여 발광 부재(1040)의 버스바(1042)를 지지하는 받이부(1031)를 구비하고 있다. 받이부(1031)에 대하여 지름 방향으로부터 발광 부재(1040)를 탑재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판 형상 부재에 마련한 통로로서 슬릿(1043)의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통로는, 발광 소자 탑재면으로부터 상기 탑재면과는 반대측의 면까지 연속하는 관통 구멍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관통 구멍에 삽입된 전선이 기판 상부에서 매립 전극과 접촉하여, 전선과 매립 전극과 발광 소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광코드(2)의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개구하는 형상의 받이부(1031)를 들어 설명했지만, 받이부(1031)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받이부(1031)를 후방으로 향해 개구시켜, 후방측으로부터 발광 부재의 판 형상 부재를 받이부에 삽입하여 지지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매립 전극(1052)을, 그 외주면이 부츠(1050)의 2개의 외표면에 걸치도록 마련한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0은 본 발명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1001A)의 도 17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립 전극(1052A)을, 그 외주면이 부츠(1050)의 한 외표면으로만 노출되도록 마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매립 전극(1052A)의 노출되는 부분을 광코드(2)의 긴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하면, 외부 전극과 접촉시키기 쉽다. 또한, 매립 전극(1052A)의 외주면은, 부츠(1050)의 수지 부분의 외주면과 동일면이더라도 좋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를 이용하여 급전하는 커넥터(20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커넥터(2010)의 단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2010)는, 광코드(2)의 전방 단부를 유지하는 페룰(2007)과, 이 페룰(2007)을 유지하는 하우징(2020)과, 하우징(2020)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되는 부츠(2050)를 갖고 있다. 또,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란 광코드(2)의 축 방향을 따른 방향을 말한다. 또한, 전방이란, 광코드(2)의 단부 방향을 말한다. 측방이란, 광코드(2)의 지름 방향을 말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룰(2007)의 내부에는, 긴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에는, 광코드(2)의 광섬유 소선(3)으로부터 노출된 유리 섬유가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2020)은, 프론트 하우징(2021)과, 미들 하우징(2022)과, 리어 하우징(2030)을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하우징(2021)과 미들 하우징(2022)은, 그 내부에 페룰(2007)을 수용한다. 미들 하우징(2022)은, 프론트 하우징(2021)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2030)은, 미들 하우징(2022)의 뒷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2030)의 뒷부분에는, 후방으로 향해 개구하는 받이부(20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받이부(2031)에는, 후방측으로부터 발광 부재(2040)가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리어 하우징(2030)의 뒷부분에는, 외부로부터 받이부(2031)로 관통하는 급전용 개구(2033a)가 마련되어 있다. 급전용 개구(2033a)는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개구하고 있다.
도 22는 발광 부재(2040)의 사시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부재(2040)는, 발광 소자(2041)와, 상면에 발광 소자(2041)가 탑재된 회로 기판(2042)과, 회로 기판(2042)상에 형성된 단자(2044)를 갖는다. 또한, 회로 기판(2042)에는, 표리로 관통하는 통로(2043)가 마련되어 있다.
발광 소자(2041)에는, 단자(204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2044)에는, 발광 소자(2041)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전극(2044a)과, 발광 소자(2041)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후방측 리드부(2044b)가 마련되어 있다. 통로(2043)는, 후방측 리드부(2044b)로 개구하고 있다.
다시 도 21로 돌아와, 발광 부재(2040)는, 발광 소자(2041) 및 발광 소자(2041)보다 후방측의 부위가 받이부(2031)의 개구(2031a)보다 후방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리어 하우징(2030)의 받이부(2031)에 삽입되어 있다. 발광 부재(2040)가 받이부(2031)에 삽입된 상태에서, 2개의 급전용 개구(2033a)는 각각 전극(2044a)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전극(2044a)은 외부로부터 급전용 개구(2033a)를 통해서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코드(2)의 전선(4)은, 회로 기판(2042)의 통로(2043)를 통해서 회로 기판(2042)의 상면까지 돌아 들어가고 있다. 전선(4)은, 후방측 리드부(2044b)에, 납땜, 용착 혹은 코킹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전선(4)에 의해, 광코드(2)의 한쪽의 단부에 마련된 커넥터(2010)의 발광 소자(2041)와, 광코드(2)의 다른 쪽의 단부에 마련된 커넥터(2010)의 발광 소자(2041)가 도통한다.
도 23은 커넥터(2010)의 뒷부분의 사시도이다. 리어 하우징(2030)의 뒷부분의 외주에는, 부드러운 수지제의 부츠(2050)가 장착되어 있다. 부츠(2050)는, 리어 하우징(2030)의 후방에 있어서 광코드(2)에 급격한 휘어짐이 작용하지 않도록 광코드(2)를 보호한다. 부츠(2050)는, 리어 하우징(2030)의 후방 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발광 부재(2040)의 일부를 덮는다.
이 부츠(2050)는, 발광 부재(2040)에 마련된 발광 소자(2041)로부터 출사한 광을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유도하도록, 반투명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반투명의 수지로 형성하는 대신에, 투명 수지로 부츠(2050)를 형성하고, 그 외표면이나 내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발광 소자(2041)로부터 출사한 광을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유도하더라도 좋다. 혹은, 광 확산재를 함유하는 투명 수지에 의해 부츠(2050)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커넥터(2010)가 접속된 광코드(2)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광네트워크의 국 내 광접속에 이용된다. 이와 같은 용도에 있어서는, 다수의 광코드(2)가 고밀도로 접속 대상의 장치(100)에 광접속된다. 이 때문에, 다수의 광코드(2) 중에서 특정한 광코드(2)를 식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2010)를 이용하여, 특정한 광코드(2)에 접속된 커넥터(2010)의 발광 소자(2041)를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의 광코드(2) 중에서 특정한 광코드(2)를 식별하기 쉽게 하는 것을 검토했다.
이 발광 소자(2041)를 발광시킬 때에는, 전극(2044a)을 통해서 발광 소자(2041)에 급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컨대 리드선 등의 단자를 급전용 개구(2033a)에 접근시켜 급전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리드선을 갖고 한쪽의 커넥터(2010)측에서 작업할 필요가 있고, 작업자는 그 장소로부터 멀어질 수 없다. 이 때문에, 거기로부터 떨어진 다른 쪽의 커넥터(2010)의 발광 소자(2041)의 발광을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밀집하여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2010)의 발광 소자(2041)의 전극(2044a)에 접촉시키기 쉽고, 특정한 광코드(2)의 식별 작업을 하기 쉬운 급전 장치를 개발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2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커넥터(2010)에 결합한 급전 장치(2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 장치(2100)는, 하우징(2060)과, 지그(209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060)은, 커넥터(2010)의 뒷부분에 결합 가능한 부재이다. 지그(2090)는, 하우징(2060)의 후방에 마련되고, 하우징(2060)의 뒷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2060) 및 지그(2090)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도 25는 하우징(2060)의 사시도이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60)은, 서로 마주 보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단자 수용부(2062)와, 한 쌍의 단자 수용부(2062)를 접속하는 측벽(2063)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060)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맞물림부(2061)가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 맞물림부(2061)는, 한 쌍의 단자 수용부(2062)와, 측벽(206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커넥터 맞물림부(2061)의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커넥터(2010)의 리어 하우징(2030)의 외형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한 쌍의 단자 수용부(2062)에는 각각, 용수철 형상 단자(2070)가 수용되어 있다.
커넥터 맞물림부(2061)는, 축 방향의 전방으로 개구하는 전방 개구부(2061a)와, 축 방향을 따라 측방으로 개구하는 측방 개구부(2061b)(개구부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 개구부(2061a) 및 측방 개구부(2061b)는, 커넥터(2010)의 리어 하우징(2030)의 외형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측벽(2063)은, 한 쌍의 단자 수용부(2062)를 접속하는 부위이고, 광코드(2)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단자 수용부(2062)의 한쪽의 단부끼리를 접속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측벽(2063)은, 광코드(2)의 축 방향의 후방으로부터 보아, 한 쌍의 단자 수용부(2062)의 우단부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맞물림부(2061)는, 광코드(2)의 축 방향의 후방으로부터 보아, 좌측으로 측방 개구부(2061b)가 개구하고 있다.
(용수철 형상 단자)
도 26은 용수철 형상 단자(207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위쪽의 단자 수용부(2062)의 외주부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용수철 형상 단자(2070)는, 도시하지 않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커넥터(2010)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재이다. 용수철 형상 단자(2070)는, 탄성을 갖는 금속선인, 도전성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단자 수용부(2062)에 2개의 용수철 형상 단자(2070)가 마련되어, 합계 4개의 용수철 형상 단자(2070)가 하우징(2060)에 마련되어 있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수철 형상 단자(2070)는, 도전성 와이어의 한쪽의 단부에 마련된 접속부(2071)와, 다른 쪽의 단부에 마련된 도통부(2072)와, 그 중간에 마련된 감김부(2073)를 구비하고 있다. 도통부(2072)는, 도전성 와이어가 구부러져 형성된 부위이다. 도통부(2072)는, 단자 수용부(2062)의 커넥터 맞물림부(2061)로 개구하는 단자 돌출 구멍(2062a)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통부(2072)는, 가장 지름 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부위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멀어지는 경사부(2071a)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2071)에는, 도시하지 않는 전선이 접속된다. 접속부(2071)를 통해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용수철 형상 단자(2070)에 전력이 공급된다.
하우징(2060)은 광코드(2)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부(2066)를 구비하고 있다. 감김부(2073)는, 장착부(2066)에 감겨져 있다. 접속부(2071)에, 지름 방향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면, 용수철 형상 단자(207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도통부(2072)는 단자 수용부(2062)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누르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도시한 상태에서는, 도통부(2072)가 단자 돌출 구멍(2062a)으로부터 커넥터 맞물림부(2061)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셔터부)
커넥터 맞물림부(2061)의 내부에는, 광코드(2)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셔터부(2080)가 마련되어 있다. 셔터부(2080)는, 커넥터(2010)의 부츠(2050)(커넥터의 뒷부분의 일례)가 수용되는 커넥터 수용부(2081)를 갖고 있다. 커넥터 수용부(2081)는, 광코드(2)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이다.
단자 수용부(2062)의 내벽에는, 복수의 래치부(2065)가 마련되어 있다. 셔터부(2080)의 외주면에는, 볼록부(2083)가 마련되어 있다. 셔터부(2080)의 볼록부(2083)가 하우징(2060)의 래치부(2065)에 맞닿는 것에 의해, 셔터부(2080)는, 커넥터 맞물림부(2061)의 내부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의 위치에 유지된다.
(지그)
다음으로, 도 27 및 도 28을 이용하여, 급전 장치(2100)의 지그(2090)를 설명한다. 도 27은 지그(2090)의 측면도이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2090)는, 파지부(2091)와, 한 쌍의 클립부(2092)를 구비하고 있다. 파지부(2091)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위이다. 파지부(2091)에는, 광코드(2)의 축 방향을 따라 오목부(2093)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클립부(2092)는 각각, 광코드(2)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2094)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클립부(2092)는, 축부(2094)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파지부(2091)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클립부(2092)의 전단부에는 각각,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갈고리부(209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갈고리부(2095)는, 하우징(2060)의 외주면의 뒷부분에 마련된 오목부(2064)(도 25 참조)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립부(2092)의 후단부에는 가압부(2096)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한 쌍의 갈고리부(2095)에는, 서로를 접근시키는 힘이 상시 작용하고 있다.
작업자가 손으로 가압부(2096)를 가압하면 갈고리부(2095)가 서로 이간하고, 가압부(2096)로부터 손을 떼면 갈고리부(2095)가 서로 접근한다. 갈고리부(2095)를 하우징(2060)의 오목부(2064)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가압부(2096)로부터 손을 떼면, 지그(2090)는 하우징(2060)을 파지하는 상태가 된다.
도 28은 지그(2090)의 상면도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코드(2)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관하여, 파지부(2091)는, 클립부(2092)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파지부(2091)에 마련된 오목부(2093)가, 광코드(2)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관하여, 중심 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급전 장치(2100)의 결합 방법)
다음으로, 도 29 및 도 30을 이용하여, 급전 장치(2100)를 커넥터(2010)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9 및 도 30은 커넥터(2010) 및 하우징(206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9는 커넥터(2010)가 커넥터 맞물림부(2061)에 맞물리고, 또한, 커넥터(2010)의 전극(2044a)이 용수철 형상 단자(2070)에 도통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0은 도 29의 상태로부터 급전 장치(2100)를 전방으로 더 밀어 넣어, 전극(2044a)과 용수철 형상 단자(2070)가 도통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작업자는, 커넥터(20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광코드(2)를, 하우징(2060)의 측방 개구부(2061b)로부터 커넥터 맞물림부(2061)의 내부에 넣어서, 광코드(2)를 지그(2090)의 오목부(2093)에 따르게 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커넥터(2010)의 일부를 측방 개구부(2061b) 혹은 전방 개구부(2061a)로부터 커넥터 맞물림부(2061)에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지그(2090)의 파지부(2091)를 잡고, 급전 장치(2100)를 커넥터(2010)로 향해 전진시킨다. 그러면, 커넥터(2010)는, 커넥터 맞물림부(2061)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급전 장치(2100)를 전진시키면,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2010)의 부츠(2050)가 셔터부(2080)의 커넥터 수용부(2081)에 수용되고, 리어 하우징(2030)의 후단면이 셔터부(2080)의 전단면에 맞닿는다.
도 29의 급전 장치(2100)를 커넥터(2010)에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셔터부(2080)는, 커넥터 맞물림부(2061)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29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셔터부(2080)의 도통 저지부(2082)가, 단자 돌출 구멍(2062a)을 막고 있다. 도통 저지부(2082)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부의 부위이다. 도통 저지부(2082)는, 단자 돌출 구멍(2062a)과 장착부(2066)의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위이다. 도통 저지부(2082)가 단자 돌출 구멍(2062a)을 막고 있기 때문에, 용수철 형상 단자(2070)의 도통부(2072)는 도통 저지부(2082)에 맞닿고, 단자 돌출 구멍(2062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도 29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커넥터(2010)의 전극(2044a)과 용수철 형상 단자(2070)가 도통하고 있지 않다. 발광 소자(2041)는 점등하고 있지 않다. 또, 용수철 형상 단자(2070)와 전극(2044a)을 도통시키지 않는 셔터부(2080)의 위치를, 「제 2 위치」라고 부른다.
도 29에서 나타낸 상태로부터, 급전 장치(2100)를 더 전진시키면,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부(2080)는 커넥터(2010)에 눌려, 커넥터 맞물림부(2061)의 내부에서 하우징(206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도통 저지부(2082)는 단자 돌출 구멍(2062a)보다 후방으로 이동하고, 단자 돌출 구멍(2062a)이 커넥터 맞물림부(2061)로 개구한다. 그러면, 용수철 형상 단자(2070)의 도통부(2072)는, 그 탄성력에 의해, 단자 돌출 구멍(2062a)으로부터 커넥터 맞물림부(2061)로 돌출한다. 돌출한 도통부(2072)는, 커넥터(2010)의 급전용 개구(2033a)를 통해서 전극(2044a)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용수철 형상 단자(2070)와 전극(2044a)이 도통하고, 급전 장치(2100)로부터 발광 소자(2041)에 전력이 공급되어, 발광 소자(2041)가 점등한다. 이와 같이, 용수철 형상 단자(2070)와 전극(2044a)을 도통시키는 셔터부(2080)의 위치를, 「제 1 위치」라고 부른다.
또, 도 30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작업자가 파지부(2091)를 잡고, 급전 장치(2100)를 후방으로 당기면, 부츠(2050)와 커넥터 수용부(2081)가 밀착한 채로, 커넥터(2010)와 셔터부(2080)가 일체적으로 커넥터 맞물림부(2061) 내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셔터부(2080)의 전단이 용수철 형상 단자(2070)의 경사부(2071a)에 맞닿는다. 셔터부(2080)를 하우징(2060)에 대하여 전방으로 더 이동시킨다. 그러면, 경사부(2071a)가 셔터부(2080)의 전단에 눌려, 도통부(2072)가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셔터부(2080)의 도통 저지부(2082)가 단자 돌출 구멍(2062a)을 막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도통 저지부(2082)가 용수철 형상 단자(2070)의 도통부(2072)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용수철 형상 단자(2070)와 전극(2044a)의 도통이 끊겨, 발광 소자(2041)가 소등한다. 급전 장치(2100)를 후방으로 더 당기면, 부츠(2050)가 커넥터 수용부(2081)로부터 이탈하여, 커넥터(2010)가 하우징(2060)으로부터 빠져나온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2100)에 의하면, 하우징(2060)이 커넥터(2010)의 뒷부분이 맞물리는 커넥터 맞물림부(2061)를 갖고, 커넥터 맞물림부(2061)에 커넥터(2010)의 뒷부분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용수철 형상 단자(2070)가 전극(2044a)에 도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전 장치(2100)를 커넥터(2010)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접근시켜, 급전 장치(2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극(2044a)과 용수철 형상 단자(2070)를 도통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2010)의 후방의 공간을 사용하여, 발광 소자(2041)에 급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2010)의 발광 소자(2041)를 발광시켜 특정한 광코드(2)를 특정하는 식별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술한 급전 장치(2100)를 이용하면, 작업자가 파지부(2091)로부터 손을 떼더라도, 커넥터(2010)가 커넥터 맞물림부(2061)로부터 빠져나가기 어렵기 때문에, 전극(2044a)과 용수철 형상 단자(2070)의 도통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광코드(2)의 한쪽의 단부에 마련한 커넥터(2010)에 급전 장치(2100)를 도통시켜, 급전 장치(2100)로부터 손을 떼고, 광코드(2)의 다른 쪽의 단부에 마련한 커넥터(2010)의 발광 소자(2041)의 점등 상태를 확인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2100)에 의하면, 셔터부(2080)가, 커넥터(2010)의 뒷부분이 수용되는 커넥터 수용부(2081)를 구비하고, 커넥터 맞물림부(2061)의 내부에 광코드(2)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셔터부(2080)는, 용수철 형상 단자(2070)의 도통부(2072)를 커넥터 맞물림부(2061)측으로 돌출시켜 용수철 형상 단자(2070)를 전극(2044a)에 도통시키는 제 1 위치와, 도통 저지부(2082)가 도통부(2072)와 맞닿아 도통부(2072)를 커넥터 맞물림부(2061)측으로 돌출시키지 않는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셔터부(2080)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통 상태와 비 도통 상태를 전환하기 때문에, 커넥터(2010)가 밀집되어 배치되어 작업 공간이 작은 커넥터(2010)의 측방의 공간을 이용하지 않고, 큰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2010)의 후방을 사용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좋다.
또, 셔터부(2080)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급전 장치(21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통부(2072)가 급전용 개구(2033a)의 주위에 접촉한 채로 이동하게 된다. 리어 하우징(2030)을 수지로 구성한 경우에는, 금속제의 도통부(2072)에 의해 리어 하우징(2030)이 손상될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부(2080)를 마련하여, 전극(2044a)이 하우징(2060)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제 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만, 도통부(2072)를 단자 수용부(2062)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2100)에 의하면, 하우징(2060)에는, 셔터부(2080)를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 유지하는 래치부(206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극(2044a)과 용수철 형상 단자(2070)의 도통 상태 혹은 비 도통 상태를 그 상태대로 유지하기 쉽다. 또, 셔터부(2080)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어느 한쪽으로만 파지하도록, 래치부(2065)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래치부(2065) 대신에,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60)의 내부에, 셔터부(2080)를 항상 제 2 위치로 향해 누르는 용수철 부재(2067)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도 31은 제 3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의 도 2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31에 나타낸 예에서는, 셔터부(2080)의 후방에 압축된 상태의 용수철 부재(2067)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수철 부재(2067)에 의해, 셔터부(2080)는 항상 전방으로 눌려, 도통 저지부(2082)는 단자 돌출 구멍(2062a)을 막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2100)에 의하면, 셔터부(2080)가 하우징(2060)에 대하여 후방에 위치할 때에 도통부(2072)와 전극(2044a)이 도통하는 제 1 위치가 되고, 제 1 위치보다 전방으로 셔터부(2080)를 이동시키면, 도통부(2072)와 전극(2044a)이 도통하지 않는 제 2 위치가 된다. 다시 말해, 제 1 위치는 제 2 위치보다 셔터부(2080)가 하우징(2060)의 후방에 위치한다. 작업자는, 하우징(2060)을 커넥터(2010)로 향해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셔터부(2080)는 하우징(2060)에 대하여 후퇴하고, 발광 소자(2041)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급전 조작이 직감적이고 알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2100)에 의하면, 하우징(2060)의 후방에는, 하우징(2060)의 뒷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된 지그(2090)가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2010)는 비교적 작은 부품이다. 이 작은 커넥터(2010)가 맞물리는 하우징(2060)도 비교적 작은 부품이 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그대로는 하우징(2060)을 잡기 어렵다. 그래서, 커넥터(2010)의 후방의 큰 작업 공간을 사용하여, 크고 잡기 쉬운 지그를 마련한 것에 의해, 급전 장치(2100)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2100)에 의하면, 지그(2090)의 갈고리부(2095)를 하우징(2060)의 오목부(2064)에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클립부(2092)가 하우징(2060)을 파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갈고리부(2095)를 통과하는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지그(2090)는 하우징(206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식별 작업 중에 잘못하여 지그(2090)에, 광코드(2)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더라도, 지그(2090)가 회전하여, 하우징(2060) 및 커넥터(2010)에 그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식별 작업 중에 잘못하여 커넥터(2010)가 파손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커넥터(2010)의 후방의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커넥터(2010)의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지그(2090)를 사용하여 커넥터(2010)를 하우징(2060)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지그(2090)의 하우징(2060)에 대한 회전은, 광코드(2)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한쪽 15도~45도(양측으로 30도~90도) 정도의 각도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좋다. 너무 자유롭게 회전하면 파지부(2091)를 갖고 하우징(2060)을 이동시킬 때, 위치 맞춤이 어려워진다. 한편, 회전량이 너무 적으면, 지그(2090)에 가해진 광코드(2)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힘을 놓아 주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2100)에 의하면, 지그(2090)에는, 광코드(2)의 축 방향을 따라 개구하는 오목부(2093)가 마련되어 있다. 식별 작업 중, 커넥터(2010)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되는 광코드(2)를 오목부(2093)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늘릴 수 있어, 광코드(2)에 무리한 휘어지는 힘이 작용하기 어렵다.
<제 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 4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후의 제 4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급전 장치(2100A)는, 하우징(2060A)과 지그(2090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부(2080A)가 지그(2090A)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
하우징(2060A)에는, 상술한 제 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방 개구부(2061a) 및 측방 개구부(2061b)를 구비한 커넥터 맞물림부(206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60A)의 단자 수용부(2062)에는 용수철 형상 단자(2070A)가 마련되어 있다. 도 32에 있어서, 용수철 형상 단자(2070A)를 도시하기 위해 하우징(2060A)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이 생략한 부분은 도 33 및 도 34에 나타냈다. 하우징(2060A)의 외주면의 뒷부분에는,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개구(2069)가 마련되어 있다.
(지그)
지그(2090A)는, 하우징(2060A)의 후방에, 하우징(2060A)에 탈착이 자유롭게 마련되어 있다. 지그(2090A)는, 파지부(2091)와, 파지부(209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지지부(2097)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2097)의 전단에는 셔터부(2080A)가 마련되고, 셔터부(2080A)에는 도통 저지부(2082)가 형성되어 있다. 도통 저지부(208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부위이다. 파지부(2091)에는, 광코드(2)의 축 방향을 따라 개구하는 오목부(2093)가 마련되어 있다.
도통 저지부(2082)의 후단에는, 축 방향의 후방으로 향해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조작부(2098)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2098)의 전후 방향의 중간에는,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2099)가 마련되어 있다.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부(2098)를 지름 방향 안쪽으로 향해 누르면, 돌기(2099)도 지름 방향 안쪽으로 이동한다.
도 33은 도 32에 나타낸 급전 장치(2100A)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지그(2090A)를 하우징(2060A)에 삽입하고, 또한, 커넥터(2010)를 급전 장치(2100A)에 결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급전 장치(2100A)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전극(2044a)과 용수철 형상 단자(2070)가 도통 상태인 급전 장치(2100A) 및 커넥터(201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060A)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068)이 마련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2068)은, 셔터부(2080A)의 도통 저지부(2082)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관통 구멍(2068)의 전방의 개구는, 단자 수용부(2062)의 단자 돌출 구멍(2062a)보다 지름 방향 바깥쪽 또한 용수철 형상 단자(2070)가 지지되는 장착부(2066)보다 지름 방향 안쪽으로 개구한다. 이 때문에,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2068)에 셔터부(2080A)를 삽입시키면, 도통 저지부(2082)가 용수철 형상 단자(2070)의 도통부(2072)에 맞닿는다. 셔터부(2080A)를 전방으로 더 이동시키면,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통 저지부(2082)가 도통부(2072)의 지름 방향 안쪽으로 들어가고, 도통부(2072)를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밀어 올려, 도통부(2072)를 단자 수용부(2062)의 내부로 끌어들이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통 저지부(2082)의 전단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지그(2090A)의 파지부(2091)를 파지하여, 도통 저지부(2082)를 관통 구멍(2068)에 삽입시켜, 지그(2090A)를 전진시키면, 용수철 형상 단자(2070A)와 전극(2044a)을 비 도통 상태로 할 수 있다. 지그(2090A)를 소정의 위치까지 전진시키면, 돌기(2099)가 하우징(2060A)의 외주면의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개구(2069)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지그(2090A)가 하우징(2060A)에 대한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다시 말해, 돌기(2099)를 개구(2069)에 끼워지게 한 채로, 지그(2090A)를 후퇴시키면, 하우징(2060A)도 지그(2090A)와 함께 후퇴한다.
(급전 장치의 결합 방법)
다음으로, 도 34 및 도 35를 이용하여, 급전 장치(2100A)를 커넥터(2010)에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급전 장치(2100A)를 커넥터(2010)에 결합하기 전에, 도통 저지부(2082)를 관통 구멍(2068)에 삽입하고, 도통 저지부(2082)가 단자 돌출 구멍(2062a)을 덮는 위치까지 지그(2090A)를 하우징(2060A)에 대하여 전진시켜 둔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통 저지부(2082)는 용수철 형상 단자(2070A)의 도통부(2072)에 맞닿고, 도통부(2072)는 커넥터 맞물림부(2061)로는 돌출하고 있지 않다.
다음으로, 이 상태인 채로, 커넥터 맞물림부(2061)에 커넥터(2010)를 맞물리게 하여, 급전 장치(2100A)를 전진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수철 형상 단자(2070A)와 전극(2044a)의 사이에 도통 저지부(2082)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용수철 형상 단자(2070A)와 전극(2044a)은 비 도통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발광 소자(2041)는 소등하고 있다. 용수철 형상 단자(2070A)와 전극(2044a)이 비 도통 상태가 되는, 셔터부(2080A)의 위치를 제 2 위치라고도 부른다.
이 상태로부터, 작업자는 조작부(2098)를 눌러 내려, 돌기(2099)를 개구(2069)로부터 이탈시킨다. 지그(2090A)를 더 후퇴시켜, 지그(2090A)를 하우징(2060A)으로부터 뽑아낸다. 이것에 의해, 도통 저지부(2082)가 단자 돌출 구멍(2062a)보다 후방으로 이동하여, 용수철 형상 단자(2070A)의 도통부(2072A)는 탄성력에 의해 커넥터 맞물림부(2061)측으로 돌출하고, 도통부(2072)가 전극(2044a)과 도통한다. 이것에 의해, 발광 소자(2041)가 점등한다. 이 도통부(2072)와 전극(2044a)을 도통시키는 셔터부(2080A)의 위치를 제 1 위치라고도 부른다.
급전 장치(2100A)를 커넥터(2010)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도통 저지부(2082)를 관통 구멍(2068)에 삽입하고, 지그(2090A)를 하우징(2060A)에 다시 장착한다. 지그(2090A)의 돌기(2099)가 하우징(2060A)의 개구(2069)에 끼워질 때까지, 지그(2090A)를 하우징(2060)에 대하여 전진시킨다. 돌기(2099)가 개구(2069)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도통 저지부(2082)는 용수철 형상 단자(2070A)의 도통부(2072)와 단자 수용부(2062)의 단자 돌출 구멍(2062a)의 사이에 들어가, 용수철 형상 단자(2070A)와 전극(2044a)이 비 도통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발광 소자(2041)는 다시 소등한다.
또한, 작업자가, 조작부(2098)를 눌러 내리지 않고, 지그(2090A)를 후퇴시키면, 돌기(2099)가 개구(2069)에 끼워져 있으므로, 하우징(2060A)도 지그(2090A)와 함께 후퇴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2010)가 하우징(2060A)의 커넥터 맞물림부(2061)로부터 전방으로 이탈하고, 급전 장치(2100A)와 커넥터(2010)의 결합이 해제된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2100A)에 의하면, 하우징(2060A)이 커넥터(2010)의 뒷부분이 맞물리는 커넥터 맞물림부(2061)를 갖고, 커넥터 맞물림부(2061)에 커넥터(2010)의 뒷부분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용수철 형상 단자(2070A)가 전극(2044a)에 도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전 장치(2100A)를 커넥터(2010)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접근시켜, 급전 장치(2100A)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극(2044a)과 용수철 형상 단자(2070A)를 도통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2010)의 후방의 공간을 사용하여, 발광 소자(2041)에 급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2010)의 발광 소자(2041)를 발광시켜 특정한 광코드(2)를 특정하는 식별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술한 급전 장치(2100A)를 이용하면, 작업자가 파지부(2091)로부터 손을 떼더라도, 커넥터(2010)가 커넥터 맞물림부(2061)로부터 빠져나가기 어렵기 때문에, 전극(2044a)과 용수철 형상 단자(2070A)의 도통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광코드(2)의 한쪽의 단부에 마련한 커넥터(2010)에 급전 장치(2100A)를 도통시켜, 급전 장치(2100A)로부터 손을 떼고, 광코드(2)의 다른 쪽의 단부에 마련한 커넥터(2010)의 발광 소자(2041)의 점등 상태를 확인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2100A)에 의하면, 셔터부(2080A)가, 하우징(2060A)에 대하여, 광코드(2)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셔터부(2080A)는, 도통부(2072)를 커넥터 맞물림부(2061)측으로 돌출시켜 용수철 형상 단자(2070A)를 전극(2044a)에 도통시키는 제 1 위치와, 용수철 형상 단자(2070A)와 전극(2044a)의 사이에 위치하고 셔터부(2080A)가 도통부(2072)와 맞닿아 도통부(2072)를 커넥터 맞물림부(2061)측으로 돌출시키지 않는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셔터부(2080A)는, 하우징(2060A)의 후방에 탈착이 자유롭게 마련된 지그(2090A)에 마련되어 있다.
다시 말해, 셔터부(2080A)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통 상태와 비 도통 상태를 전환하기 때문에, 커넥터(2010)가 밀집되어 배치되어 작업 공간이 작은 커넥터(2010)의 측방의 공간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좋다.
또한, 상술한 제 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셔터부(2080A)에 의해, 전극(2044a)이 하우징(2060A)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제 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만, 도통부(2072)가 단자 수용부(2062)로부터 돌출한다. 이 때문에, 커넥터(2010)가 용수철 형상 단자(2070A)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적다.
<제 5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 5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2100C)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후의 제 5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 3 실시 형태 및 제 4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장치(2100C) 및 커넥터(2010C)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제 3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본 형태는, 급전용 개구(2033a)로부터 커넥터(리어 하우징(2030C)) 외형보다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전극(2044a)이 돌출하고 있는 점, 급전 장치(2100C)에 셔터부가 없는 점, 용수철 형상 단자(2070C)가 판 형상 금속인 점이 상이하다.
커넥터(2010C)가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도통부(2072C)의 커넥터 맞물림부(2061C)측으로의 돌출량을, 커넥터 맞물림부(2061C)의 안쪽 치수와 커넥터(2010C)의 리어 하우징(2030C)의 외형 치수의 차이와 동등하게 또는 그 이하가 되도록 미리 조정하여 두는 것에 의해, 리어 하우징(2030C)에 도통부(2072C)를 접촉시키지 않고 급전 장치(2100C)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급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 3 실시 형태 및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부(2080, 2080A)가 하우징(2060, 2060A)에 대하여 후퇴했을 때에 용수철 형상 단자(2070)와 전극(2044a)이 도통하고, 셔터부(2080, 2080A)가 하우징(2060, 2060A)에 대하여 전진했을 때에 용수철 형상 단자(2070)가 전극(2044a)과 비 도통 상태가 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이것과는 반대로, 셔터부(2080, 2080A)가 하우징(2060, 2060A)에 대하여 전진했을 때에 용수철 형상 단자(2070)와 전극(2044a)이 도통하고, 셔터부(2080, 2080A)가 하우징(2060, 2060A)에 대하여 후퇴했을 때에 용수철 형상 단자(2070)가 전극(2044a)과 비 도통 상태가 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제 6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광섬유 코드 및 광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광섬유 코드 및 광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나타내는 광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39는 도 37에 나타내는 광커넥터의 단면도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광커넥터(3001)는, 광코드(3002)(광섬유 코드의 일례)가 장착된 코드형 SC 커넥터이다. 광코드(3002)는, 광섬유 소선(3003)(광섬유의 일례)과, 광섬유 소선(3003)을 사이에 두도록 마련된 한 쌍의 도선(3004)과, 이 광섬유 소선(3003) 및 한 쌍의 도선(3004)을 피복하는 외피(3005)를 갖고 있다(도 42 참조). 광코드(3002)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커넥터(3001)는, 페룰(3006)과, 이 페룰(3006)을 유지하는 플러그 프레임(3007)과, 플러그 프레임(3007)을 수용하는 플러그 하우징(3008)과, 플러그 하우징(3008)의 후단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플러그 프레임(3007)이 연결되는 리어 하우징(3009)과, 리어 하우징(3009)에 장착되는 코드 누름 부재(3010)와, 코드 누름 부재(3010)에 장착되는 부츠(3011)와, 리어 하우징(3009)과 코드 누름 부재(3010)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자 유닛(3020)을 구비하고 있다.
페룰(3006)은, 페룰 본체(3014)와, 이 페룰 본체(3014)에 고정된 플랜지부(3015)를 갖고 있다. 페룰 본체(3014)에는 그 둘레 방향의 중앙부에, 광코드(3002)로부터 꺼내어진 광섬유 소선(3003)으로부터 더 노출된 유리 섬유가 삽입되는 도시하지 않는 삽입 구멍이 페룰 본체(3014)의 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프레임(3007)은, 속이 빈 부재이고, 페룰(3006)을 유지한다. 플러그 프레임(3007)은, 리어 하우징(3009)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플러그 프레임(3007)과 리어 하우징(3009)의 사이에는, 용수철(3024)이 배치되어 있다. 광커넥터(3001)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용수철(3024)은, 플러그 프레임(3007)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도 39 참조).
리어 하우징(3009)은, 큰 통 형상부(3025)와, 이 큰 통 형상부(3025)의 뒤쪽에 마련된 작은 통 형상부(3026)를 갖고 있다. 작은 통 형상부(3026)의 지름은, 큰 통 형상부(3025)의 지름보다 작게 되어 있다. 작은 통 형상부(3026)의 외주에는 수나사(나사부의 일례)(26A)가 형성되어 있다. 작은 통 형상부(3026)에는, 그 긴 방향을 따라, 광코드(3002)의 외피(3005)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302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슬릿(3028)은, 작은 통 형상부(3026)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슬릿(3028)은 대략 십자 형상을 이루어, 이른바 콜렉트 척 구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4 참조).
이와 같은 리어 하우징(3009)에는, 코드 누름 부재(3010)가 장착되어 있다. 코드 누름 부재(3010)는, 대략 통 형상을 이루고, 그 내주부에는 수나사(3026A)가 나사 고정되는 암나사(3010A)가 형성되어 있다. 코드 누름 부재(3010)는, 리어 하우징(3009)의 뒤쪽에 대하여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드 누름 부재(3010)의 후단의 개구 지름은, 코드 누름 부재(3010)의 전단의 개구 지름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 코드 누름 부재(3010)는, 리어 하우징(3009)의 작은 통 형상부(3026)를 사이에 두고 광코드(3002)의 외피(3005)를 고정하는 것이다.
코드 누름 부재(3010)의 외주에는, 부츠(3011)가 장착된다. 부츠(3011)는, 리어 하우징(3009)의 후방에 있어서 광코드(3002)에 급격한 휘어짐이 작용하지 않도록 광코드(3002)를 보호하는 것이다.
리어 하우징(3009)의 뒤쪽에는, 단자 유닛(3020)이 장착되어 있다.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자 유닛(3020)은, 금속제의 베이스부(3021)와, 발광 소자(3022)를 갖고 있다.
베이스부(3021)는, 제 1 베이스부(3021A)와, 제 2 베이스부(3021B)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베이스부(3021A)와 제 2 베이스부(3021B)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서, 서로 점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베이스부(3021A) 및 제 2 베이스부(3021B)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도선 접촉부(3021a) 및 도선 접촉부(3021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선 접촉부(3021a, 3021b)는, 리어 하우징(3009)의 작은 통 형상부(3026)에 마련된 4개의 슬릿(3028) 중 적어도 2개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도선 접촉부(3021a, 3021b)를 포함하는 각 베이스부(3021A, 3021B)는, 복수의 슬릿(3028) 중 인접하는 2개의 슬릿(3028)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발광 소자(3022)는, 베이스부(302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 1 베이스부(3021A)와 제 2 베이스부(3021B)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광커넥터(3001)의 상하 방향의 어느 쪽으로부터도 발광 소자(3022)를 시인할 수 있도록, 2개의 발광 소자(30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3021)에 있어서, 제 1 베이스부(3021A) 및 제 2 베이스부(3021B)의 발광 소자(3022)가 서로 대향하여 탑재되는 면과 직교하는 면에는, 외부 접촉부(3023A, 3023B)가 마련되어 있다. 외부 접촉부(3023A, 3023B)는, 광커넥터(3001)를 조립했을 때에 외부로 노출된다. 그 때문에, 외부로부터 테스터 등을 외부 접촉부(3023A, 3023B)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3021)로의 도통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광커넥터(3001)에 장착되는 광코드(3002)의 일례에 대하여 도 4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코드(3002)는, 광섬유 소선(3003)과, 광섬유 소선(3003)을 사이에 두도록 마련된 한 쌍의 도선(3004)과, 이 광섬유 소선(3003) 및 한 쌍의 도선(3004)을 피복하는 외피(3005)를 갖고 있다.
광섬유 소선(3003)은, 코어와 클래드를 갖는 유리 섬유의 주위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UV 수지)가 피복되고, 그 외경이 250㎛로 되어 있다.
한 쌍의 도선(3004)은, 횡단면에서 보아 광섬유 소선(300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도선(3004)은, 예컨대 복수(본 예에 있어서 7개)의 금속선(3004a)을 서로 꼬아 이루어지는 연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선(3004a)으로서는, 예컨대 도전성이 높은 연동선이 이용된다. 7개의 금속선(3004a)을 서로 꼬아 이루어지는 도선(3004)의 외경은, 예컨대 0.48㎜ 이상~0.65㎜ 미만으로 되어 있다. 즉, 도선(3004)의 사이즈는, AWG(American Wire Gauge) 24~AWG 26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선(3004)이 AWG 24보다 지름이 크면 광코드(3002)의 구조상의 규정 치수를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도선(3004)이 AWG 26보다 지름이 작으면 광코드(3002)의 허용 장력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 도선(3004)을 단선의 금속선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단선으로 구성되는 도선(3004)의 경우는, 그 외경이 0.42㎜ 이상~0.65㎜ 미만(AWG 22~AWG 25)으로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 소선(3003) 및 한 쌍의 도선(3004)의 주위를 덮는 외피(3005)는, 수지로 구성된다. 외피(3005)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특히, 난연 폴리에틸렌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코드(3002) 취급의 용이함의 관점으로부터, 외피(3005)의 영률은 5~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3005)의 외주에 있어서, 광섬유 소선(3003)과 한 쌍의 도선(3004)을 잇는 직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노치(3005a)가 마련되어 있다. 노치(3005a)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의 외피(3005)의 직경은 약 2㎜이다. 이 직경은 1.5㎜~2.8㎜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노치(3005a)에 의해, 광섬유 소선(3003)과 한 쌍의 도선(3004)의 배치 관계를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광섬유 소선(3003)과 한 쌍의 도선(3004)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외피(3005)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코드(3002)는,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단부에 있어서 외피(3005)가 제거되어 광섬유 소선(3003)과 한 쌍의 도선(3004)이 노출되어 있다. 광코드(3002)로부터 꺼내어진 한 쌍의 도선(3004)은, 리어 하우징(3009)에 마련된 복수의 슬릿(3028) 중 도 44의 상하 방향으로 마련된 2개의 슬릿(3028)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도선(3004)은, 도 4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자 유닛(3020)의 제 1 베이스부(3021A) 및 제 2 베이스부(3021B)에 각각 마련된 도선 접촉부(3021a, 3021b)와 각각 접촉한 상태에서 코드 누름 부재(301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한 광커넥터(3001)를 조립하여, 광코드(3002)를 고정하는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플러그 프레임(3007), 용수철(3024), 리어 하우징(3009) 및 단자 유닛(3020)을 가조립하고, 이들 부품에 광코드(3002)를 통과시킨다. 또한, 코드 누름 부재(3010) 및 부츠(3011)에도 광코드(3002)를 통과시켜 둔다.
계속하여, 광코드(3002)의 선단 부분의 외피(3005)를 제거하여, 광섬유 소선(3003) 및 한 쌍의 도선(3004)을 노출시킨다. 계속하여, 광섬유 소선(3003)으로부터 노출된 유리 섬유를 페룰(3006)의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한다.
계속하여, 플러그 프레임(3007), 용수철(3024), 리어 하우징(3009) 및 단자 유닛(3020)이 조립된 부품을 노출된 광섬유 소선(3003)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페룰(3006)을 플러그 프레임(3007)에 수용한다. 이때, 광코드(3002)로부터 노출된 한 쌍의 도선(3004)을 리어 하우징(3009)의 슬릿(3028)으로부터 외부로 도출하여 둔다. 이것에 의해, 도 45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계속하여,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3009)의 작은 통 형상부(3026)에 의해 광코드(3002)의 외피(3005)의 선단부를 덮은 상태에서, 작은 통 형상부(3026)에 형성된 수나사(3026A)를 코드 누름 부재(3010)의 암나사(3010A)에 나사 고정시킨다. 이때, 코드 누름 부재(3010)는, 리어 하우징(3009)의 뒤쪽에 대하여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슬릿(3028)이 마련된 작은 통 형상부(3026)는, 코드 누름 부재(3010)에 눌려 안쪽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작은 통 형상부(3026)에 외피(3005)가 끼워 넣어져 강하게 고정된다.
또한, 슬릿(3028)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한 쌍의 도선(3004)은, 단자 유닛(3020)에 접촉한 상태에서 협지된다.
계속하여, 부츠(3011)를 코드 누름 부재(3010)에 장착함과 아울러, 플러그 프레임(3007) 및 리어 하우징(3009)의 외주에 플러그 하우징(3008)을 장착한다. 그리고, 리어 하우징(3009)의 슬릿(3028)으로부터 외부로 튀어나와 있는 한 쌍의 도선(3004)을 절단한다. 이상에 의해,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광커넥터(3001)가 완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광커넥터(3001)는, 콜렉트 척 구조의 둘레 방향에 복수 마련된 슬릿(3028)과, 복수의 슬릿(3028)의 후단측에 마련된 수나사(3026A)를 갖는 리어 하우징(3009)과, 수나사(3026A)와 나사 고정되는 코드 누름 부재(3010)와, 발광 소자(3022)를 갖고, 복수의 슬릿(3028) 중 적어도 2개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1조의 단자 유닛(30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광코드(3002)는, 적어도 1개의 광섬유 소선(3003)과, 광섬유 소선(3003)을 사이에 두도록 마련된 한 쌍의 도선(3004)과, 광섬유 소선(3003) 및 한 쌍의 도선(3004)을 피복하는 외피(30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코드(3002)는, 그 단부에 광커넥터(3001)를 구비하고 있다. 광커넥터(3001)는, 발광 소자(3022)를 갖고, 복수의 슬릿(3028) 중 적어도 2개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1조의 단자 유닛(302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광코드(3002)로부터 꺼내어진 한 쌍의 도선(3004)이 적어도 2개의 슬릿(3028)으로부터 각각 도출 가능하고, 코드 누름 부재(3010)에 수나사(3026A)를 나사 고정하는 것에 의해, 콜렉트 척 구조의 조임에 의해 광코드(3002)가 고정됨과 아울러, 한 쌍의 도선(3004)과 1조의 단자 유닛(3020)이 각각 겹쳐져 협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후술하는 광패널(3100)(도 47~49 참조) 등에 장착된 복수의 광코드(3002) 중 특정한 광코드(3002)를 선택할 때에, 발광 소자(3022)를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 선택해야 할 광코드(3002)가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다. 예컨대, 광코드(3002)의 양단에 광커넥터(3001)를 장착하여 두는 것에 의해, 한쪽 단측의 광커넥터(3001)의 단자 유닛(3020)에 급전하면, 양단의 광커넥터(3001)의 발광 소자(3022)가 발광한다. 이것에 의해, 1개의 광코드(3002)의 양단의 대응 관계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발광 소자(3022)를 갖는 1조의 단자 유닛(3020)을 리어 하우징(3009)과 코드 누름 부재(3010)의 사이에 마련할 뿐인 간편한 구성으로 발광 소자(3022)를 갖는 광코드(3002)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발광 소자(3022)를 마련하기 위한 광커넥터(3001)의 소형화와 부품수의 삭감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코드(3002)의 한 쌍의 도선(3004)이 연동선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선(3004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도선(3004)이 비교적 부드러운 항장력체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광코드(3002)와 단자 유닛(3020)의 사이에서의 도전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도선(3004)이 복수 개의 금속선(3004a)을 서로 꼰 연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코드(3002)로부터 노출된 한 쌍의 도선(3004)이 리어 하우징(3009)의 슬릿(3028)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코드 누름 부재(3010)에 의해 한 쌍의 도선(3004)이 고정될 때에, 도선(3004)의 파단이나 단선을 막을 수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도선(3004)의 항장력성을 유지하면서, 광코드(3002)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코드(3002)의 허용 장력을 만족시킴과 아울러 광코드(3002)의 구조상의 제약의 관점으로부터, 각 도선(3004)의 사이즈는, AWG 24~AWG 26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조의 단자 유닛(3020)은, 복수의 슬릿(3028) 중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2개의 슬릿(3028)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광커넥터(3001)에 구비되는 발광 소자(3022)가 시인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조의 단자 유닛(3020)은, 각각 베이스부(3021A, 3021B)를 구비하고, 각 베이스부(3021A, 3021B)는, 복수의 슬릿(3028) 중 인접하는 2개의 슬릿(3028)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코드(3002)로부터 꺼내어진 한 쌍의 도선(3004)을 복수의 슬릿(3028) 중, 어떠한 슬릿(3028)으로부터 도출시키더라도, 도선(3004)과 단자 유닛(3020)을 적절히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조의 단자 유닛(3020)은, 외부로부터 전기적 접촉으로 도통 가능한 외부 접촉부(3023A, 3023B)를 각각 구비하고, 외부 접촉부(3023A, 3023B)는, 둘레 방향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발광 소자(3022)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테스터 등을 외부 접촉부(3023A, 3023B)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발광 소자(3022)에 용이하게 급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도선(3004)이 연동선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선(3004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도선(3004)이 비교적 부드러운 항장력체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광코드(3002)와 단자 유닛(3020)의 사이에서의 도전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도선(3004)이 복수 개의 금속선(3004a)을 서로 꼰 연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코드(3002)로부터 노출된 한 쌍의 도선(3004)이 리어 하우징(3009)의 슬릿(3028)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코드 누름 부재(3010)에 의해 한 쌍의 도선(3004)이 고정될 때에, 도선(3004)의 파단이나 단선을 막을 수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도선(3004)의 항장력성을 유지하면서, 광코드(3002)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코드(3002)의 허용 장력을 만족시킴과 아울러 광코드(3002)의 구조상의 제약의 관점으로부터, 각 도선(3004)의 사이즈는, AWG 24~AWG 26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7~49를 참조하여, 광커넥터(3001)가 장착되는 광패널(3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패널(3100)은, 도시하지 않는 광캐비닛 혹은 광접속 상자로 불리는 하우징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있는 부재이다.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패널(3100)은, 그 전면인 패널면(3101A)에, 복수의 커넥터 삽입구(3101)와, 발광 소자(3102)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삽입구(3101)는, 2개의 커넥터 삽입구(3101)가 1조가 되어, 이 1조의 커넥터 삽입구(3101)가 복수 개(본 예에 있어서는, 12개) 병렬로 되어 있다. 1조의 커넥터 삽입구(3101)는, 정면에서 보아 기운 상태(도 47에 있어서는, 우측 위로 기운 상태)로 배치되어, 1조의 커넥터 삽입구(3101)끼리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일부 겹치도록 배열되어 있다. 발광 소자(3102)는, 각 커넥터 삽입구(310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3102)의 근방에는, 번호 1~24가 붙어 있다.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조의 커넥터 삽입구(3101)에 있어서, 한쪽의 커넥터 삽입구(3101)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3102)는 해당 커넥터 삽입구(3101)의 하부에 배치되고, 다른 쪽의 커넥터 삽입구(3101)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3102)는 해당 커넥터 삽입구(310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패널(3100)의 각 커넥터 삽입구(3101)에 상술한 광커넥터(3001)가 삽입된다.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패널(3100)로부터는 전방으로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완부(3103)가 마련되어 있다. 각 완부(3103)는, 도체(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가 서로 접근하도록 만곡하고 있다. 각 완부(3103)는, 각 커넥터 삽입구(3101)에 삽입된 광커넥터(3001)의 단자 유닛(3020)의 외부 접촉부(3023A, 3023B)와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완부(3103)의 광패널(3100)측의 단부는 광패널(3100)상의 발광 소자(310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광커넥터(3001)의 발광 소자(3022)가 점등되면, 광커넥터(3001)가 삽입된 커넥터 삽입구(3101)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3102)도 점등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커넥터(3001)의 발광 소자(3022)와 함께 광패널(3100)상의 발광 소자(3102)도 점등되기 때문에, 선택해야 할 광코드(3002)의 식별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완부(3103)의 만곡부(3104)가 외부 접촉부(3023A, 3023B)를 사이에 두도록 접촉하기 때문에, 광커넥터(3001)의 탈락 방지에도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커넥터 삽입구(3101) 및 발광 소자(3102)를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치로 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 삽입구(3101) 및 발광 소자(3102)를 광패널(3100) 내의 작은 공간에 배치 가능함과 아울러, 병렬로 된 이웃의 커넥터 삽입구(3101)에 대응한 발광 소자(3102)와의 오인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광코드에 대하여, 각 도선의 구성과, 인장 강도의 관계를 측정했다.
외경이 250㎛인 광섬유 소선과, 연동선을 서로 꼰 연선으로 구성되는 AWG 20(굵은 지름)~AWG 30(가는 지름)의 도선을 이용하고, 이들을 외피에 의해 덮는 것에 의해, 도 4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2개의 도선이 포함되어 있는 광코드를 작성했다. 그리고, 각각의 광코드에 대하여 인장 강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at00001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코드의 허용 장력은 98N 이상이다. 또한, 광코드의 구조상, 각 도선의 외경(연선 지름)은 0.67㎜ 이하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2개의 도선을 포함하는 광코드가 이용되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도선의 사이즈는 AWG 24~AWG 26인 것이 적합하다고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코드(3002)의 도선(3004)을 리어 하우징(3009)에 마련되어 있는 슬릿(3028)으로부터 도출시킨 후에, 리어 하우징(3009)에 단자 유닛(3020)을 장착하는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5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프레임(3007), 용수철(3024) 및 리어 하우징(3009)을 가조립하고, 이들 부품에 광코드(3002)를 통과시킨다. 또한, 단자 유닛(3020), 코드 누름 부재(3010) 및 부츠(3011)에도 광코드(3002)를 통과시켜 둔다.
계속하여, 광코드(3002)로부터 노출된 광섬유 소선(3003)으로부터 더 노출된 유리 섬유를 페룰(3006)에 삽입하고, 페룰(3006)을 플러그 프레임(3007)에 수용한다.
다음으로, 광코드(3002)로부터 노출된 한 쌍의 도선(3004)을 리어 하우징(3009)의 슬릿(3028)으로부터 외부로 도출하고, 그 후, 도 5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유닛(3020)을 리어 하우징(3009)의 후단부에 장착한다. 이때, 한 쌍의 도선(3004)이 리어 하우징(3009)과 단자 유닛(3020)의 사이에서 협지되도록, 단자 유닛(3020)의 베이스부(3021A, 3021B)에, 한 쌍의 도선(3004)이 삽입되어 통과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슬릿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도 5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3009)의 작은 통 형상부(3026)에 의해 광코드(3002)의 외피(3005)의 선단부를 덮은 상태에서, 리어 하우징(3009)에 코드 누름 부재(3010)를 장착하여, 광코드(3002)의 외피(3005)를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부츠(3011)를 코드 누름 부재(3010)에 장착함과 아울러, 플러그 프레임(3007) 및 리어 하우징(3009)의 외주에 플러그 하우징(3008)을 장착하고, 리어 하우징(3009)의 슬릿(3028)으로부터 외부로 튀어나와 있는 한 쌍의 도선(3004)을 절단한다. 이상에 의해, 광커넥터(3001A)가 완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제 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광코드(3002) 중 특정한 광코드(3002)를 선택할 때에, 발광 소자(3022)를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 선택해야 할 광코드(3002)가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 형태에서는, 광코드(3002)로서, 도 42에 도시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광코드(3002)의 예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코드(3002A)로서, 광섬유 심선(3013)과, 복수의 금속선(3004a)을 서로 꼬아 이루어지는 연선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도선(3004)과, 광섬유 심선(3013) 및 한 쌍의 도선(3004)을 피복하는 외피(3005)를 가짐과 아울러, 광섬유 심선(3013)의 주위를 항장력 섬유(3013a)에 의해 덮는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 심선(3013)을 항장력 섬유(3013a)에 의해 보호하는 것에 의해, 내굴곡성에 보다 우수한 광코드(3002A)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광섬유 심선(3013)의 예로서는, 광섬유 소선(3003)의 외주에 난연 폴리에틸렌을 피복하고, 외경을 약 0.9㎜로 하고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광코드로서, 중앙에 항장력체가 마련됨과 아울러 그 양측에 2개의 광섬유 심선이 병렬로 된 광섬유 테이프 심선이나, 중앙에 항장력체가 마련됨과 아울러 그 주위를 덮도록 복수의 광섬유 심선이 1층 또는 2층으로 마련된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 형태에서는, 광커넥터(3001)에, 발광 소자(3022)를 갖는 단자 유닛(3020)이 마련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섬유 소선(3003)과 한 쌍의 도선(3004)이 외피(3005)에 의해 덮여 있는 광코드(3002B)에 있어서, 외피(3005)상에 한 쌍의 도선(300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발광 소자(3022A)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발광 소자(3022A)를 구비하는 광코드(3002B)를 종래의 광커넥터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선택해야 할 광코드(3002B)가 용이하게 식별 가능한 발광 소자(3022A) 구비 광코드(3002B)를 간편한 구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광코드(3002B)의 각 도선(3004)이 연동선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도선(3004)이 비교적 부드러운 항장력체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각 도선(3004)과 광코드(3002B)에 마련되는 발광 소자(3022A)의 사이에서의 도전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도선(3004)이 리어 하우징(3009)의 복수의 슬릿(3028) 중 도 44의 상하 방향으로 마련된 2개의 슬릿(3028)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한 쌍의 도선(3004)이 도 44의 좌우 방향에 마련된 2개의 슬릿(3028)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때, 한 쌍의 도선(3004)은, 단자 유닛(3020)의 제 1 베이스부(3021A) 및 제 2 베이스부(3021B)에 각각 접촉한 상태에서 코드 누름 부재(301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한 쌍의 도선(3004)은, 복수의 슬릿(3028) 중 인접하는 2개의 슬릿(3028)으로부터 각각 외부로 도출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도선(3004)이 복수의 슬릿(3028) 중 어느 슬릿(3028)으로부터 도출된 경우도, 단자 유닛(3020)과 한 쌍의 도선(3004)이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광커넥터(3001)에 광코드(3002)를 고정할 때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 형태에서는, 광커넥터(3001)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전기 코드의 배선시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의 구성으로서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전기 코드 중 선택해야 할 전기 코드를 용이하게 식별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3년 8월 29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허 출원 2013-178072), 2013년 8월 29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허 출원 2013-178076), 2013년 10월 16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허 출원 2013-215563), 2013년 4월 2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허 출원 2013-077012), 2013년 4월 2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허 출원 2013-077014)에 근거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Claims (10)

  1.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와 도통하고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노출된 복수의 전극을 구비한 광섬유 코드용 커넥터에 결합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장치로서,
    상기 광섬유 코드가 연장되는 상기 커넥터의 뒷부분이 맞물림 가능하고, 상기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을 따라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커넥터 맞물림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로 돌출하여 상기 복수의 전극과 각각 도통 가능한 복수의 용수철 형상 단자
    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에 상기 커넥터의 뒷부분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가 각각의 상기 전극에 도통 가능하게 되어 있는
    급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에 셔터부를 갖고,
    상기 셔터부는,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의 도통부를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측으로 돌출시켜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를 상기 전극에 도통시키는 제 1 위치와,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와 맞닿아 상기 도통부를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측으로 돌출시키지 않는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급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를 이동 가능한 급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를 상기 제 2 위치로 향해 누르는 용수철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급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셔터부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적어도 한쪽으로 유지하는 래치부가 마련되어 있는 급전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의 제 1 위치는, 상기 제 2 위치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셔터부의 상대 위치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하는 급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뒷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된 지그를 갖는 급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급전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에는, 상기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을 따라 개구하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급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광섬유 코드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셔터부를 갖고,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의 바깥쪽에 마련되고,
    상기 셔터부는,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의 도통부를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측으로 돌출시켜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를 상기 전극에 도통시키는 제 1 위치와,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와 상기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용수철 형상 단자와 맞닿아 상기 도통부를 상기 커넥터 맞물림부로 돌출시키지 않는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셔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탈착이 자유롭게 마련된 지그에 마련되어 있는
    급전 장치.
KR1020217012756A 2013-08-29 2014-08-21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 KR20210049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8072 2013-08-29
JP2013178072A JP6174945B2 (ja) 2013-08-29 2013-08-29 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コードおよびコネクタ
JPJP-P-2013-178076 2013-08-29
JP2013178076A JP2015045814A (ja) 2013-08-29 2013-08-29 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コードおよびコネクタ
JPJP-P-2013-215563 2013-10-16
JP2013215563A JP6224408B2 (ja) 2013-10-16 2013-10-16 給電装置
PCT/JP2014/071935 WO2015029883A1 (ja) 2013-08-29 2014-08-21 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コード、コネクタおよび給電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274A Division KR102333259B1 (ko) 2013-08-29 2014-08-21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979A true KR20210049979A (ko) 2021-05-06

Family

ID=525864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756A KR20210049979A (ko) 2013-08-29 2014-08-21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
KR1020167005274A KR102333259B1 (ko) 2013-08-29 2014-08-21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274A KR102333259B1 (ko) 2013-08-29 2014-08-21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210049979A (ko)
CN (1) CN105492945B (ko)
WO (1) WO2015029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56895B (zh) * 2016-11-21 2019-07-2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跳线及其插头
KR101891591B1 (ko) * 2017-03-03 2018-08-27 레이트론(주)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83000B1 (ko) 2018-08-27 2020-02-28 (주)옵티베이스 광세기 균일 분포 조절 구조의 광섬유 코드 및 이를 가진 광섬유 기기
KR20220063332A (ko) * 2020-11-10 2022-05-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해킹 방지용 광섬유, 광케이블 및 광 패치코드
TWI810928B (zh) * 2022-05-09 2023-08-01 立佳興業股份有限公司 光學連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473U (ja) 2001-02-07 2001-08-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サブラック用光アダプタ取り付け部材
JP2012243670A (ja) 2011-05-23 2012-12-10 Sanwa Denki Kogyo Co Ltd ケーブル識別具、ケーブル識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453A (en) * 1994-07-15 1997-09-09 Roy Witte Fiber optic jumper cables and tracing method using same
DE19902428C1 (de) * 1999-01-22 2000-07-06 Mannesmann Vdo Ag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Kabels mit einer Leiterplatte und Gehäuse mit einem nach dem Verfahren mit der Leiterplatte verbundenen Kabel
US6456768B1 (en) * 2000-10-18 2002-09-24 Fitel Usa Corp. Optical fiber cable tracing system
JP3658585B2 (ja) * 2002-11-29 2005-06-08 エス・ディ・ケイ株式会社 プラグ
JP2009069378A (ja) * 2007-09-12 2009-04-02 Tamachi Denki Kk 光ファイバコード
JP2010237233A (ja) * 2009-03-30 2010-10-21 Fujikura Ltd 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
CN202522736U (zh) * 2012-03-29 2012-11-07 浙江万马集团电子有限公司 带标识信息的可追迹光跳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473U (ja) 2001-02-07 2001-08-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サブラック用光アダプタ取り付け部材
JP2012243670A (ja) 2011-05-23 2012-12-10 Sanwa Denki Kogyo Co Ltd ケーブル識別具、ケーブル識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088A (ko) 2016-05-03
CN105492945B (zh) 2017-05-31
KR102333259B1 (ko) 2021-11-30
CN105492945A (zh) 2016-04-13
WO2015029883A1 (ja)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6768B1 (en) Optical fiber cable tracing system
US6588938B1 (en) Optical/electrical plug connector
US6543941B1 (en) Jack receptacle having optical and electrical ports
KR102333259B1 (ko)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
EP1839559B1 (en) Electric connector for endoscope, endoscope, and method for assembling electric connector
JP2017134401A (ja) 光トランシーバ
US9383532B2 (en) Optical module
US9213151B2 (en) Tracking jumper cable assembly
EP2492588B1 (en) Solid state lighting assembly having a strain relief member
CN105229867B (zh) 低矮的应变释放和电缆保持
US9946038B1 (en) Cable tracing type jumper cable
TWI305434B (en) Data link module
JP6224408B2 (ja) 給電装置
US7189010B1 (en) Data link module
JP2014203580A (ja) 光ファイバコード
CN202631788U (zh) 光纤跳线
KR200404468Y1 (ko) 연결 케이블
JP6174945B2 (ja) 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コードおよびコネクタ
KR20190031662A (ko) 연결 추적이 가능한 듀플렉스 광섬유 커넥터
JP2015045814A (ja) 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コードおよびコネクタ
JP2014203579A (ja) コネクタ、コード付きコネクタおよび光パネル
CN109698423B (zh) 线缆端部识别器及使用该对应识别器的线缆组件
CN216285873U (zh) 光纤线缆组件
JP2005025127A (ja) レセプタクル及び光コネクタ
KR101731585B1 (ko) 통신선로 식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